KR20140064334A - 발광 기능을 갖는 이중 유리 구조 - Google Patents

발광 기능을 갖는 이중 유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4334A
KR20140064334A KR1020120131558A KR20120131558A KR20140064334A KR 20140064334 A KR20140064334 A KR 20140064334A KR 1020120131558 A KR1020120131558 A KR 1020120131558A KR 20120131558 A KR20120131558 A KR 20120131558A KR 20140064334 A KR20140064334 A KR 20140064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glass
weight
transparent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이숙
Original Assignee
김이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이숙 filed Critical 김이숙
Priority to KR1020120131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4334A/ko
Publication of KR20140064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3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4/00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 C03C4/12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for luminescent glass; for fluorescent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76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comprising ligh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06B3/671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specially adapted for increased thermal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지속적인 자체 발광이 가능한 이중 유리 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유리구조는, 제2 판유리의 일면에 상기 제2 판유리의 테두리에 대응하도록 바(bar) 형태로 가공된 간봉이 접합되고, 상기 간봉의 비접합면으로 상기 제2 판유리와 대향되도록 제1 판유리가 접합하되, 상기 제2 판유리의 안측면에는 투명코팅 도료 및 투명발광 도료가 순차적으로 도포된 후, 상기 제1 판유리 및 제2 판유리 사이로 단열을 위한 투입가스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두 장의 유리 사이로 투명 발광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야간에 유리창의 발광을 유도함에 따라 효율적인 건물 익스테리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열 가스와 더불어 튜리튬 가스를 주입함으로써, 이중 유리의 발광 기능이 별도의 전원 없이 구현되어 소비전력 없이 건물의 외관을 용이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발광 기능을 갖는 이중 유리 구조{STRUCTURE OF PAIR GLASS HAVING A FUNCTION OF EMITTING LIGHT}
본 발명은 단열을 위한 이중 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장의 유리 사이로 투명 코팅 도료를 흡착시킨 후, 내측 유리의 외벽에 투명 발광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야간에 유리창의 발광을 유도하여 건물 익스테리어용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발광 기능을 갖는 이중 유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유리는 두 장의 유리판을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유리판 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 일정한 압력과 열로 유리판을 스페이서에 접착시킴으로써 제작한다. 이와 같은 이중유리는 유리판 사이의 공간에 의해 소음 및 열이 차단되는 효과에 의해 우수한 건축자재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건축자재에 대한 의장적인 효과를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위해 이중유리에 장식문양을 형성하는 다양한 방법이 도출되어 왔다.
더욱이 현대에 들어, 건축물은 그 고유의 기능 외 디자인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강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보조하여 유리를 이용한 다양한 건축물이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에 사용되는 유리는 사용용도에 따라 여러 다양한 종류로 구분된다. 특히 유리는 열손실에 취약하여 단열성능이 중요한 선택기준이 되며, 이를 고려한 것이 이중유리이다.
이에 첨부되는 특허문헌에는 이중 유리에 다양한 무늬나 모양을 연출할 수 있는 구조가 개시되고 있으며, 그 제조 공정을 도 1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단계는 문양이 형성된 시트(1)의 일측면에 투명접착제(2)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투명접착제(2)는 문양이 있는 면에 도포한다. 제2단계는 시트(1)의 투명접착제(2)부분을 제1판유리(3)의 일측면에 순차적으로 가압하여 기포를 제거하면서 순차적으로 접착면적을 넓혀가면서 접착시키는 단계이다. 시트(1)는 유연하기 때문에 제1판유리(3)와 접하는 면을 적게 하여 순차적으로 넓혀가면서 점진적으로 부착한다.
즉, 시트(1)를 제1판유리(3)와 일정 간격 떨어지게 한 상태에서 일단부를 먼저 제1판유리(3)에 접착시키고, 순차적으로 접착면적을 넓혀가되, 접착되는 부분을 가압하여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제3단계는 투명접착제(2)가 도포되지 않은 시트(1)의 타측면에 양면테이프(4)의 일측면을 접착하는 단계이다.
양면테이프(4)의 양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이의 일면을 시트(1)에 접착시킨다. 시트(1)의 문양부분은 투명접착제(2)에 의해 이미 제1판유리(3)에 접하게 보착되어 있으므로, 시트(1)의 후면 즉 문양이 없는 부분은 기포가 있어도 상관이 없다. 즉, 시트(1)의 후면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이중유리를 설치하는 것이므로, 자연스러운 기포의 생성은 상관이 없다. 따라서 양면테이프(4)를 시트(1)에 부착할 때에는 기포를 없애려고 하는 노력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양면테이프(4)를 이용하여 이중유리를 제조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된다. 제4단계는 양면테이프(4)의 타측면에 제2판유리(5)를 접착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에도 기포의 생성은 상관이 없으므로 별도의 가압 장비 등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두 장의 판유리를 큰 압력으로 압착하여 제조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진공 상태를 만들지 않더라도 기공 없이 시트를 부착할 수 있도록 시트를 하나의 판유리에 부착하고,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시트와 또 다른 판유리를 진공의 형성없이 그대로 부착시킴으로써, 큰 압력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진공 상태를 만들어 주지 않아도 되는 이중유리를 제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이중 유리는 두 장의 판 유리 사이에 문양이 형성된 시트를 접착하는 구조로서, 이는 주간에 문양에 대한 인식이 가능하나 야간에는 별도의 조명없이는 문양을 인식하기 어렵게 된다. 특히, 건물의 이중 유리는 안정성과 더불어 건물 익스테리어의 일환으로 적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기능성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68518, 공개일자 2008년 07월 23일, 발명의 명칭 ' 이중유리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장의 유리 사이로 투명 코팅 도료를 흡착하고, 내측 유리의 외벽에 투명 발광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야간에 유리창의 발광을 유도하여 건물 익스테리어용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발광 기능을 갖는 단열용 이중 유리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중 유리의 발광 기능이 별도의 전원 없이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소비전력 없이 건물의 외관을 용이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발광 기능을 갖는 단열용 이중 유리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발광 기능을 갖는 이중 유리 구조는, 발광 기능을 갖는 이중 유리 구조에 있어서, 제2 판유리의 일면에 상기 제2 판유리의 테두리에 대응하도록 바(bar) 형태로 가공된 간봉이 접합되고, 상기 간봉의 비접합면으로 상기 제2 판유리와 대향되도록 제1 판유리가 접합하되, 상기 제2 판유리의 안측면에는 투명코팅 도료 및 투명발광 도료가 순차적으로 도포된 후, 상기 제1 판유리 및 제2 판유리 사이로 단열을 위한 투입가스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명코팅 도료는, 아크릴 고분자 수지와 무기세라믹의 화합물인 졸-겔 유무기 복합수지 50 내지 80중량%, 용제 20~50중량%를 혼합 균질화 한 졸-겔 유무기 복합수지 바인더액 80 내지 99.9 중량% ; 유기안료 1 내지 30 중량%, 아민 값이 0 내지 10 mgKOH/g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 내지 35,000 g/mol인 분산제 1 내지 30중량%, 용제 40 내지 90 중량%이 균일하게 분산된 안료 분산액 0.1 내지 20 중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투명 발광도료는 5-15미크론의 입도를 갖는 축광안료 70-90중량부와, 알키드 수지, 폴리 우레탄 수지, 사이클릭 포스파젠,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및 스티렌 변성 아크릴 수지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가지의 화합물 10-30중량부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발광기능을 갖는 이중 유리는, 두 장의 유리 사이로 투명 코팅 도료를 흡착시킨 후, 내측 유리의 외벽에 투명 발광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야간에 유리창의 발광을 유도함에 따라 효율적인 건물 익스테리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중 유리의 발광 기능이 별도의 전원 없이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소비전력 없이 건물의 외관을 용이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이중 유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기능을 갖는 이중 유리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코팅 도료 및 투명발광 도료의 도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입가스 주입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기능을 갖는 이중 유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판유리(221)의 일면에 상기 제2 판유리(221)의 테두리에 대응하도록 바(bar) 형태로 가공된 간봉(225)이 접합되고, 상기 간봉(225)의 비접합면으로 상기 제2 판유리(221)와 대향되도록 제1 판유리(211)가 접합하되, 상기 제2 판유리(221)의 안측면(223)에는 투명코팅 도료 및 투명발광 도료가 도포된다.
상기 투명코팅 도료는 투명발광 도료를 도포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에 적용되는 도료로써, 투명코팅 도료가 제2 판유리(221) 상에 흡착된 후 상기 투명발광 도료가 투명코팅 도료 상으로 도포되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판유리(211) 및 제2 판유리(221)를 적절한 크기 또는 규정된 크기로 절단하고, 절단된 판유리 표면의 이물질을 세척한 후, 세척시에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하도록 충분히 건조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판유리(221)는 컨베이어 벨트 또는 압축장치에 의해 수직상태로 이동시켜 일시 고정한 후, 상기 제2 판유리(221)의 안측면(223) 테두리에 상기 간봉(225)을 접합한다.
상기 간봉(225)은 단열 플라스틱 스페이서인 TPS 물질을 바(bar)형태로 배출시켜 TPS 간봉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2 판유리(221)를 상기 간봉(225)의 일면에 위치시키고 압착기로 가압하여 접착한다.
이후, 상기 제2 판유리(221) 상으로 투명코팅 도료 및 투명 발광도료를 도포하는데, 이는 도 3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밀폐된 함체 내부에 투명코팅 대상인 제2 판유리(221)를 압착기로 투입한 후,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투명코팅 도료를 분사한다. 여기서, 제2 판유리(221)는 단일 개 또는 다수 개가 투입되어 투명코팅이 이루어지는데, 투명재질의 코팅 용액으로써 상기 제2 판유리(221)의 일면에 분사되어 제2 판유리(221)와 흡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투명코팅 재료는 추후 상기 투명발광 도료와 흡착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투명발광 도료는 유리재질에 흡착되지 못하거나 변형이 발생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투명코팅 도료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료 조성물이 사용되는데, 상기 투명코팅 도료는 아크릴 고분자 수지와 무기세라믹의 화합물인 졸-겔 유무기 복합수지 50 내지 80중량%, 용제 20~50중량%를 혼합 균질화 한 졸-겔 유무기 복합수지 바인더액 80 내지 99.9 중량% ; 유기안료 1 내지 30 중량%, 아민 값이 0 내지 10 mgKOH/g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 내지 35,000 g/mol인 분산제 1 내지 30중량%, 용제 40 내지 90 중량%이 균일하게 분산된 안료 분산액 0.1 내지 20 중량% 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졸-겔 유무기 복합수지 바인더액은 아크릴 고분자수지와 무기세라믹의 화합물인 졸-겔 유무기 복합수지 50 내지 80 중량%, 용제 20~50중량%를 균질하게 혼합하여 점도를 조절하였다. 이러한 졸-겔 유무기 복합수지 바인더액의 사용량은 투명 코팅 도료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80 내지 99.9중량% 으로 사용되는 바, 만일 바인더의 함량이 80 중량% 미만일 경우 코팅된 도막의 연필경도, 부착성, 내용제성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졸-겔 유무기 복합수지 바인더 희석시 사용되는 유기용제로는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에폭시프로피온산, 자이렌, 톨루엔,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 사이클로헥사논, 부탄올,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된다.
특히, 졸-겔 유무기 복합수지 바인더는, 아크릴 고분자 수지와 무기 세라믹인 졸겔 실리케이트의 화합물로서, 아크릴 고분자 수지는 소수성(비극성)을 나타내고 졸겔 실리케이트는 친수성(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희석용제로는 비극성 용제 및 극성용제를 혼합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제의 선택 및 혼합비의 결정은 지속건조시간, 흐름 등의 불량발생, 도막의 융착, 갈라짐 현상(Mud Crack) 발생 여부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한다.
전술된 투명코팅 도료는 상온에서 분사되어야 하는데, 20℃ 내지 30℃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투명코팅 도료가 20℃ 미만에서 사용될 경우에는 요구되는 코팅 두께 즉, 0.5㎛ 내지 0.8㎛를 벗어나 코팅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투명코팅 도료가 30℃를 초과할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코팅 두께를 벗어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투명코팅 도료가 부분적으로 흘러 내리는 현상으로 인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투명코팅 도료는 상온 20℃ 내지 30℃에서 분사됨을 전제로 코팅 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코팅이 완료된 제2 판유리(221)는 건조기로 투입되는데, 제2 판유리(221)는 건조기에서 120℃ 내지 150℃ 상태로 1시간 내지 1시간 30분 동안 건조된다. 이후, 상기 제2 판유리(221)는 건조기로부터 인출되어 다시 함체로 투입된다.
그리고, <b> 단계에서 상기 제2 판유리(221)는 투명발광 도료가 도포된다. 상기 투명발광 도료는 5 - 15 미크론의 입도를 갖는 축광안료 70-90중량부와, 알키드 수지, 폴리 우레탄 수지, 사이클릭 포스파젠,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및 스티렌 변성 아크릴 수지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가지의 화합물 10-30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 투명발광 도료의 발광 컬러는 임의적으로 선택이 가능하며, 이를 이용하여 건물의 다수 유리창의 발광 컬러를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축광안료는 알루미늄, 갈륨 또는 아연을 구성원소의 하나로 하는 산화물,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칼리희토류 금속 및 알루미늄, 갈륨 또는 아연의 산화물을 모체로 하고, 이것에 희토류원소가 도프된 것이다. 상기 희토류원소는, 용도에 따라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 도프되어 축광안료(SrAl2O4 :Eu)를 형성한다.
필요에 따라 축광안료(SrAl2O4 :Eu)에 다른 물질로서의 탄성체가 폴리에스테르, 아크릴수지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이 혼합되어 광투과율이 다소 저하되는 투명 발광도료로 적용될 수 있다. 즉, 광투과율이 저하되더라도, 야간에 발광의 휘도를 높일 수 있는데, 도심지역에 위치한 건물일 경우에는 야경에 의한 외부 광원이 충분하기 때문에, 발광 휘도가 낮은 발광도료가 사용되고, 야경에 의한 외부 광원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광투과율이 낮고 발광 휘도가 높은 도료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투명코팅 도료 및 투명발광 도료가 제2 판유리(221) 상으로 도포되면, 제2 판유리(221)와 제1 판유리(211) 사이로 단열 가스를 주입한다. 이는 도 3의 <c>와 같이, 함체 내부에 제2 판유리(221) 및 제1 판유리(211)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 후, 투입 가스를 분사한다.
상기 투입 가스는 단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아르곤(Ar), 크립톤(Kr) 및 질소(N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스로 이루어진다. 필요에 따라, 대류에 의한 열전달을 최소화하여 단열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비교적 고가인 크립톤(Kr)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제성을 고려할 경우 아르곤(Ar) 및 질소(N2) 가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투입되는 가스는 단열 기능과 더불어, 상기 투명 발광도료의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트리튬(3H :Tritium) 가스를 더 포함하여 주입될 수 있다. 상기 트리튬 가스는 투명 발광도료와 화학적으로 접촉될 때 소정의 발광을 유도하게 된다.
상기 튜리튬는 적정량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실질적으로 이중 유리 내부에 확보되는 공간의 체적이 가로 1.5m × 세로 1.5m × 두께 0.5cm 일 때, 충진되는 트리튬 가스(3H :Tritium)는 800MBq 내지 900MBq(메가 베크렐)이 적절할 것이다.
트리튬 가스의 충진량이 800MBq 미만에서는 발광 상태가 식별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900MBq을 넘을 경우 인체 유해성이 제기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트리튬 가스의 충진 양을 대략 870MBq 정도로 설정하고 있으며, 야간에 발광 상태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투입가스가 공급되면, 도 4의 <a>와 같이 상기 제1 판유리(211)와 제2 판유리(221)를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밀착함으로써, 제1 판유리(211) 및 제2 판유리(221) 사이로 투입가스가 충진된다. 그리고, 도 4의 <b>에서 이중 유리가 완성되고, 함체로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판유리(211) 및 제2 판유리(221) 사이에는 단열 가스 및 트리튬 가스가 분포된 구조를 형성하며, 트리튬 가스와 투명발광 도료 간의 작용으로 지속적인 발광을 유도한다.
이와 같이 함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유리가 배출되면, 마지막 공정으로서 상기 제1 판유리(211) 및 제2 판유리(221) 사이 즉, 간봉의 외주면으로 치오콜(Polysulfied)을 주입하여 이중 유리를 완성한다.
200 : 이중 유리 211 : 제1 유리
221 : 제2 유리 223 : 안측면
225 : 간봉

Claims (9)

  1. 발광 기능을 갖는 이중 유리 구조에 있어서,
    제2 판유리의 일면에 상기 제2 판유리의 테두리에 대응하도록 바(bar) 형태로 가공된 간봉이 접합되고, 상기 간봉의 비접합면으로 상기 제2 판유리와 대향되도록 제1 판유리가 접합하되, 상기 제2 판유리의 안측면에는 투명코팅 도료 및 투명발광 도료가 순차적으로 도포된 후, 상기 제1 판유리 및 제2 판유리 사이로 단열을 위한 투입가스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기능을 갖는 이중 유리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코팅 도료는 아크릴 고분자 수지와 무기세라믹의 화합물인 졸-겔 유무기 복합수지 50 내지 80중량%, 용제 20~50중량%를 혼합 균질화 한 졸-겔 유무기 복합수지 바인더액 80 내지 99.9 중량% ; 유기안료 1 내지 30 중량%, 아민 값이 0 내지 10 mgKOH/g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 내지 35,000 g/mol인 분산제 1 내지 30중량%, 용제 40 내지 90 중량%이 균일하게 분산된 안료 분산액 0.1 내지 20 중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기능을 갖는 이중 유리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졸-겔 유무기 복합수지 바인더액은 아크릴 고분자수지와 무기세라믹의 화합물인 졸-겔 유무기 복합수지 50 내지 80 중량%, 용제 20~50중량%를 균일하게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기능을 갖는 이중 유리 구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코팅 도료는 20℃ 내지 30℃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기능을 갖는 이중 유리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발광도료는 5-15미크론의 입도를 갖는 축광안료 70-90중량부와, 알키드 수지, 폴리 우레탄 수지, 사이클릭 포스파젠,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및 스티렌 변성 아크릴 수지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가지의 화합물 10-30중량부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기능을 갖는 이중 유리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안료는 알칼리희토류 금속 및 알루미늄, 갈륨 또는 아연의 산화물을 모체로 하고, 이것에 희토류원소가 도프(dope)된 축광안료(SrAl2O4 :E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기능을 갖는 이중 유리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가스는 아르곤(Ar), 크립톤(Kr) 및 질소(N2)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기능을 갖는 이중 유리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트리튬 가스(3H :Tritium)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기능을 갖는 이중 유리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튬 가스는 800MBq 내지 900MBq(메가 베크렐)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기능을 갖는 이중 유리 구조.

KR1020120131558A 2012-11-20 2012-11-20 발광 기능을 갖는 이중 유리 구조 KR201400643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558A KR20140064334A (ko) 2012-11-20 2012-11-20 발광 기능을 갖는 이중 유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558A KR20140064334A (ko) 2012-11-20 2012-11-20 발광 기능을 갖는 이중 유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334A true KR20140064334A (ko) 2014-05-28

Family

ID=50891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558A KR20140064334A (ko) 2012-11-20 2012-11-20 발광 기능을 갖는 이중 유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43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946A (ko) 2015-09-14 2017-03-22 김성민 자체발광 복층유리
KR20200043064A (ko) 2018-10-17 2020-04-27 박준성 조명 및 장식 기능을 구비한 이중유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946A (ko) 2015-09-14 2017-03-22 김성민 자체발광 복층유리
KR20200043064A (ko) 2018-10-17 2020-04-27 박준성 조명 및 장식 기능을 구비한 이중유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54646A (zh) 显示装置
KR20130001526U (ko) 투명 디스플레이
KR101157310B1 (ko) 맞춤형 건물 일체형 태양광발전 더미 모듈
CA3022335A1 (en) Laminated lighting unit
KR20140064334A (ko) 발광 기능을 갖는 이중 유리 구조
CN207609107U (zh) 一种多彩有机装饰板材
CN208718170U (zh) 一种透光型太阳能组件和太阳能幕墙
JPWO2010128678A1 (ja) 蓄光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209152000U (zh) 一种能够饲养水族的智能化地板
CN201097042Y (zh) 一种数码相框的显示屏前镜面装置
WO2022121462A1 (zh) 发光涂料及其制备方法、壳体组件和电子设备
CN211994537U (zh) 一种炫彩变光防爆隔热窗膜
CN202672992U (zh) 发光玻璃门体结构
CN112659705B (zh) 一种用于窗膜的基材
CN204781727U (zh) 一种高性能pc板
CN207517306U (zh) Led贴薄透明显示屏
CN204632775U (zh) 一种全黑双玻光伏组件
KR20110131359A (ko) 핫멜트 접착 유리 시공방법
CN111114079A (zh) 一种炫彩变光防爆隔热窗膜
KR20100108043A (ko) 비산방지필름, 이를 포함하는 장식용 유리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N206149559U (zh) 场致发光器件
CN205618024U (zh) 一种新型双层玻璃窗
CN211896767U (zh) 一种自修复型外贴窗膜
CN207489432U (zh) 一种免胶电梯广告框架
KR200364377Y1 (ko) 축광성 발광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