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4249A -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4249A
KR20140064249A KR1020120131358A KR20120131358A KR20140064249A KR 20140064249 A KR20140064249 A KR 20140064249A KR 1020120131358 A KR1020120131358 A KR 1020120131358A KR 20120131358 A KR20120131358 A KR 20120131358A KR 20140064249 A KR20140064249 A KR 20140064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input
bezel
boundary position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상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1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4249A/ko
Publication of KR20140064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2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방법이, 입력 인터렉션이 휴대단말기의 베젤영역과 감지영역의 경계 위치를 지나는가 검사하는 과정과, 입력 인터렉션이 경계위치를 지나면 경계위치에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가 검사하는 과정과, 기능이 할당된 경계위치이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위에 할당된 기능을 오버레이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A FUNCTION OF HANDHELD DEVIC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 인터렉션에 따라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는 통신 및 통화 기능 이외에 다양한 기능들을 가지는 복합 단말기로 발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런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휴대단말기는 제어영역(예를들면 action bar)에 미리 정의된 기능들을 설정하고, 해당 영역에서 설정된 기능을 선택하여야 한다. 즉, 종래에는 휴대단말기에서 임의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여러 경로를 거쳐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여야 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사용자가 자신이 이전에 생성한 컨텐츠에 대한 접근경로가 여러 depth 를 거쳐야 하고, 또한 현재 실행하던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성이 보장되지 않아 multi-tasking 경험에 있어 연속성을 보장할 수 없었다. 또한 현재 수행하던 앱과의 연관성이 결여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기억에 의존하여 이전에 생성한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곳을 찾아야 했으며, 이로인해 사용자의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설정된 입력 인터렉션 발생시 해당 인터렉션에 대응되는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베젤에 배치된 버튼을 향하는 입력 인터렉션 발생시 입력 인터렉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버튼의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베젤과 터치 감지영역의 경계를 통과하는 입력 인터렉션 발생시 해당 위치에 설정된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이때 실행 중인 기능은 하위 레이어(background layer)로 표시하며 입력 인터렉션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은 상위 레이어(foreground layer)로 표시하며, 이로인해 실행중이던 어플리케이션에서 필요한 contents, 정보 및/또는 프로그램(application)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기능 실행 방법은 백그라운드로 수행하고 있던 기능과의 연동성 및 연속성 보장할 수 있으며, 간단한 입력 인터렉션에 의해 수행되므로 접근경로를 단순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 인터렉션은 펜 인터렉션 및/또는 손가락 인터렉션이 될 수 있으며, 인터렉션은 터치 및 호버링 등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방법이, 입력 인터렉션이 휴대단말기의 베젤영역과 감지영역의 경계 위치를 지나는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인터렉션이 경계위치를 지나면 상기 경계위치에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기능이 할당된 경계위치이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위에 할당된 기능을 오버레이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장치가, 손가락 입력 및 펜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와, 경계위치 및 상기 경계위치에 매핑된 기능들을 저장하는 매핑 테이블과, 상기 입력부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 인터렉션이 휴대단말기의 베젤영역과 감지영역의 경계 위치를 지나고, 상기 매핑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경계위치가 기능이 할당된 경계위치로 확인되면 할당된 기능을 호출하여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위에 할당된 기능을 오버레이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 방법은 컨텐츠 작성시 간단한 입력 인터렉션으로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원하는 컨텐츠를 쉽고 빠르게 찾아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간단한 인터렉션으로 자신의 행동 패턴을 기반으로 한 상황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접근이 용이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repository)으로 설정(customize)할 수 있어 컨텐츠 결합 및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전환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인해 멀티 태스킹(multi-tasking)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a -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경계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및 경계 위치에서 실행할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 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경계위치를 지나는 입력 인터렉션 감지시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도 3에서 할당된 기능을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상기 도 4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기능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a - 도 6c는 도 3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오버레이 표시되는 할당된 기능의 정보를 처리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경계위치를 감지하여 할당된 기능 및 버튼의 동작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베젤과 감지영역의 경계 위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경계위치와 특정 기능을 매핑시키며, 상기 기능이 매핑된 경계위치를 지나는 입력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해당 경계위치에 매핑된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여기서 상기 기능은 컨텐츠 및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소(이하 리포지터리(repository)라 칭한다)를 호출하거나, 또는 현재 실행되는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과 연동시켜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application)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계위치는 휴대단말기의 코너 또는 상하좌우 측면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베젤과 감지영역의 특정 경계위치들에 각각 대응되는 기능들을 설정하고, 베젤과 감지영역의 경계위치를 지나는 입력 인터렉션이 특정 경계 위치를 지나면 해당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즉, 상기 휴대단말기는 베젤영역(또는 감지영역)에서 감지영역(또는 베젤영역)으로 이동되는 입력 인터렉션 감지시, 입력 인터렉션이 발생된 두 영역의 경계 위치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경계위치가 특정 경계영역이면 설정된 해당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하며, 이때 실행 중이던 기능은 하위 레이어에 표시하고 새롭게 설정된 기능을 상위 레이어에 표시하며, 두 레이어 표시되는 기능들의 상호 연관시켜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베젤영역(bezel region)은 터치 등의 입력을 감지하지 못하는 휴대단말기의 테두리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감지영역은 입력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영역으로써, 터치센서 및/또는 전자기 유도(EMR: Electromagnetic radiation) 감지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및/또는 펜의 터치 등에 의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경계위치는 상기 베젤영역과 감지영역의 경계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입력 인터렉션이 상기 경계위치를 통과하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통과된 경계 위치에 설정된 기능이 매핑되어 있는가 확인한 후, 매핑된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상기 입력은 사용자의 손 및/또는 펜의 터치 또는 호버링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영역은 상기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인터렉션은 상기 감지영역에서 감지되는 입력 형태로써,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스윕(sweep), 스크롤(scroll), 플릭(flick), 멀티 터치 액tus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 인터렉션은 베젤영역에서 드래그되어 감지영역에서 드롭되거나 또는 감지영역에서 드래그되어 베젤 영역에서 드롭되는 드래그 앤 드롭 인터렉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능이 매핑되는 경계위치는 베젤과 감지영역의 코너 위치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입력인터렉션은 베젤 영역에서 감지영역으로 향하는 인터렉션이 될 수 있으며, 또한 감지영역에서 베젤 영역으로 향하는 인터렉션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인터렉션은 펜 또는 손가락에 의해 발생될 수 있으며, 또한 인터렉션 타입(interaction type)은 터치 또는 비터치(이하 hovering이라 칭한다)가 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베젤 영역에서 감지영역으로 향하는 인터렉션으로 가정하여 설명될 것이며, 입력 인터렉션은 펜에 의해 발생되며 인터렉션 타입은 터치 인터렉션으로 가정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감지영역에서 베젤 영역으로 향하는 인터렉션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입력 인터렉션은 손가락에 의해 발생될 수 있고, 또한 입력 인터렉션 타입은 호버링이 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코너 베젤과 펜입력(pen gesture)을 이용하여 상황 별로 유연하게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flexible 한 contents 저장공간)을 호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task 수행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사용자에게 그때 그때 필요한 컨텐츠(contents) 및/또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리포지터리 및/또는 프로그램(application) 을 손쉽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백그라운드로 수행하고 있던 앱과의 연동성 및 연속성 보장할 수 있으며, 원하는 기능(리포지터리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접근경로를 단순화하여 언제 어디서든 상황에 맞는 컨텐츠 및 정보, 프로그램에 한번에 접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MP3단말기, 타블렛 PC(tablelet PC), 컴퓨터 등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통신부120은 기지국 또는 다른 장치와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20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frequency up converter) 및 전력 증폭하는 송신부와,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주파수를 하강변환(frequency down converter)하는 수신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은 변조부 및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부는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송신부에 전달하며, 복조부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한다. 이런 경우, 상기 변복조부는 LTE, WCDMA, GSM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WIFI, WIBRO 등이 될 수 있고, NFC, Bluetooth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부120이 LTE, WIFI, bluetooh 통신부들을 구비한다고 가정한다.
제어부10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10은 단말기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테이블들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모리110은 감지영역과 베젤 영역의 설정된 경계 위치 및 설정된 경계 위치에서 실행될 기능들이 매핑된 테이블을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13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30은 LCD 또는 OLED가 될 수 있다. 제1입력부140은 정정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으로 구현할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이하 손가락 터치라고 가정한다)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제2입력부 150은 EMR센서 패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펜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30, 터치패널140 및 ERM패널150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제어부100은 상기 제1입력부140 또는 제2입력부150을 통해 입력 인터렉션을 감지한다. 이때 상기 입력 인터렉션이 베젤영역(또는 감지영역)에서 감지영역(또는 베젤영역)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입력 인터렉션에 의해 감지되는 두 영역의 경계위치 값과 상기 메모리110에서 저장하고 있는 경계 위치 값들을 비교 분석한다. 이때 상기 감지된 경계위치 값이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된 경계위치 값과 동일하면(또는 상기 저장된 경계위치 값 범위내의 값을 가지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경계 위치값에 매핑된 기능을 호출하여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표시부130을 제어하여 상기 기능들을 서로 다른 레이어에 표시하는데, 현재 실행 중이던 기능은 하위 레이어에 표시하고 새롭게 설정된 기능을 상위 레이어에 표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제1입력부140 또는 제2입력부150을 통해 감지된는 입력 인터렉션에 따라 두 레이어 표시되는 기능들의 상호 연관시켜 제어한다.
도 2a -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경계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및 경계 위치에서 실행할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 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능을 실행하는 경계위치가 베젤의 코너 부근이며, 입력 인터렉션은 펜 인터렉션인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 기능을 실행하는 경계 위치는 베젤과 감지영역의 네 변(four sides) 경계위치들 중에서 어느 한변 또는 그 이상의 변들의 경계위치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한 개의 변에 하나 이상의 경계위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인터렉션은 제1입력부140을 통해 감지되는 손가락 인터렉션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펜은 전자기 유도 펜인 경우를 가정하고 있으며, 제2입력부150은 EMR 센서 패드로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펜이 정전용량 방식의 펜이면 상기 제2입력부150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베젤영역210과 감지영역2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2a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220은 감지영역으로써, 표시부130, 제1입력부140 및 제2입력부150의 크기와 같은 크기를 가진다. 그리고 참조번호210은 베젤영역이다. 그리고 참조번호230은 상기 감지영역220과 베젤영역210의 경계위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참조번호251-25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능이 설정된 경계위치의 예이며, 상기 도 2a에서는 베젤의 4개 코너 위치에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 이런 경우, 상기 메모리110은 상기 경계위치251-257 및 각 경계위치251-257에 대응되어 설정된 기능들을 매핑한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베젤영역210(또는 감지영역220)에서 감지영역220(또는 베젤영역210)을 이동하는 입력 인터렉션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도 2b는 펜260에 의해 입력 인터렉션이 발생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인터렉션은 터치 동작인 경우를 가정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펜 터치시 제2입력부150은 이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제2입력부150의 출력으로부터 펜터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입력부150은 펜260의 버튼265의 누름 여부에 따라 다른 세기를 가지는 입력을 발생하며, 휴대단말기는 버튼265를 누른 상태에서 발생되는 펜 입력을 기능을 설정하거나 실행하는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펜 입력은 버튼 265를 누른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펜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영역220에 터치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제1제2입력부150을 통해 이를 감지하며, 이때 펜260의 터치 궤적(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 인터렉션이 감지영역220을 통과하여 베젤영역210에 위치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베젤영역210에서의 입력은 감지할 수 없게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영역220에서 베젤영역210으로 이동하는 펜터치 감지시, 상기 제어부110에서 감지되는 최종 감지위치는 경계위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펜260의 터치가 베젤영역210을 통과하여 감지영역220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펜260의 터치가 시작된 베젤영역210에서의 입력은 감지할 수 없게된다. 따라서 상기 베젤영역210에서 감지영역220으로 이동하는 펜 터치션 감지시, 상기 제어부110에서 감지되는 최초 감지위치는 경계위치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펜터치는 드래그 앤 드롭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2b는 베젤영역210에서 펜터치가 발생되어 감지영역220으로 드래그 동작이 이루어지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베젤영역210에서 터치 앤 드래그가 발생되고, 드래그 동작이 이루어져 251-257의 경계위치들 중 어느 하나의 경계위치를 통과하여 감지영역220에서 드롭되면, 상기 베젤영역210에서 드래그 등의 입력을 감지하지 못하므로 상기 제어부100은 드래그 동작이 최초로 감지된 위치를 해당 경계위치로 판단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0은 드래그 동작이 처음으로 감지된 경계위치를 알 수 있으며, 이런 경계위치가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된 경계위치이면 해당 경계위치에 매핑된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베젤영역210과 감지영역220의 경계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2c는 도 2b에서 경계위치251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c의 경우, 경계위치251은 Y축 방향으로는 (X0,Y0)에서 (XO,Yn)까지, 그리고 X축 방향으로는 (X0,Y0)에서 (Xn,Y0) 까지이다. 그러면 상기 메모리110은 상기 경계위치251의 위치값((X0,Y0)-(XO,Yn) 및 (X0,Y0)-(Xn,Y0))을 저장하며, 상기 경계위치251에 매핑된는 기능도 저장한다. 그리거 상기 펜터치가 상기 경계위치((X0,Y0)-(XO,Yn) 및 (X0,Y0)-(Xn,Y0))를 통과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제2입력부150을 통해 이를 감지하고, 상기 메모리110의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설정된 해당 기능을 실행한다.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경계위치에 기능을 매핑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2d는 세팅모드(Settings>Bezel)에서 경계위치들에 각각 원하는 기능들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세팅모드를 선택(예를들면, Settings 메뉴에서 Bezel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현재 휴대단말기에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경계위치들을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경계위치가 상기 도 2a 및 도 2b와 같은 경우,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경계위치는 각 코너 베젤들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00은 도 2d와 같이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경계 위치들(upper left, upper right, bottom left, bottom right)을 참조번호 271과 같이 표시하고, 경계위치들에 설정할 수 있는 기능들을 참조번호 273과 같이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273과 같이 표시되는 표시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은 상기한 바와 같이 컨텐츠 및/또는 정보를 저장하는 리포지터리 및/또는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계위치는 단말기 제조시 디폴트로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는 세팅모드에서 경계위치 설정 메뉴를 구비하여야 하며, 상기 경계위치 설정메뉴에서 사용자가 펜 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원하는 경계위치를 설정한다. 이때 상기 경계위치는 베젤의 코너들, 또는 베젤과 감지영역이 경계를 이루는 상하 또는 양 측면들이 될 수 있다. 상기 경계위치 설정 메뉴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펜을 이용하여 경계위치를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제1입력부140 또는 제2입력부150을 통해 터치된 경계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경계위치 값들을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경계위치가 설정되면, 사용자는 상기 도 2d에서 설명된 바와 같인 세팅모드를 수행하여 설정된 경계위치에서 실행할 기능들을 매핑시킬 수 있다.
상기 도 2a -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입력 인터렉션이 베젤과 표시부130의 경계위치를 지나는(통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경계위치에 설정된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 인터렉션은 펜260에 의한 드래그 앤 드롭이고 상기 경계위치는 베젤영역의 각 코너들이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 기능이 리포지터리라고 가정한다.
이런 경우 먼저 사용자는 세팅모드에서 휴대단말기의 각 코너영역들에 repository를 할당하며, 제어부100은 메모리110에 각 경계위치들에 할당된 리포지터리를 저장한다. 이후 펜 입력(Pen gesture)이 코너 베젤 부분을 지나면, 상기 제어부100은 제2입력부150을 통해 이를 감지하고, 해당 경계위치에 설정된 repository를 메모리110에서 호출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호출된 repository를 실행중이던 기능(어플리케이션)의 상위 레이어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repository의 표시 사이즈는 상기 펜입력에 의해 조절(flexible) 가능하며, 상기 리포지터리의 표시사이즈 조정에 의해 표시되는 contents 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표시되는 Repository 내의 contents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application과의 연관성에 따라 재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Repository 내 컨텐츠를 선택하여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application 과 연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리포지터리에서 백그라운드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이동시켜 표시 및 저장하거나 또는 백그라운드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리포지터리로 이동시켜 표시 및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경계위치를 지나는 입력 인터렉션 감지시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는 감지영역220과 베젤영역210의 경계에서 특정 경계위치들(도 2a의 경우 베젤의 각 코너위치들)이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로 미리 설정한다. 이때 상기 경계위치는 단말기 제조시 디폴트로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에 의해 해당 위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세팅모드에서 경계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경계위치를 등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100은 제1입력부140 또는 제2입력부150을 통해 감지되는 입력들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표시부130을 통해 표시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펜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3단계에서 감지되는 펜 입력을 분석한다. 이때 상기 펜입력이 드래그 앤 드롭 인터렉션으로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15단계에서 상기 펜 인터렉션이 경계위치를 지나는가 검사한다. 즉, 펜 인터렉션이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가를 확인하는 것으로, 상기 펜 드래그 동작이 베젤 영역에서 시작되어 감지영역에서 드롭되거나 또는 감지영역에서 시작되어 베젤 영역에서 종료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100이 N*M(X=N, Y=M)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경우, 휴대단말기의 코너는 (X=0,Y=0), (X=0, Y=M), (X=N, Y=0) 및 (X=N, Y=M)이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제2입력부150을 통해 감지되는 펜 터치 위치 값이 X=0(Y=don`t care), Y=0(X==don`t care), X=N(Y=don`t care), Y=M(X==don`t care) 값을 가지면 경계위치를 통과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상기 펜터치는 일반적인 펜터치 동작(즉,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에서도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경계위치에서 특정 기능을 실행하고자 펜터치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260에 장착된 버튼265를 누른 상태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경계위치를 지나는 펜입력이 발생되면(즉, 드래그 동작이 베젤 영역에서 시작되었거나 베젤 영역에서 종료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3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7단계에서 상기 펜이 지나는 경계위치 값을 분석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펜이 터치된 경계위치가 설정된 기능이 설정된 위치값을 가지는가 검사하며, 해당 위치에 설정된 기능이 있으면 321단계에서 해당 기능을 호출하여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현재 실행중이던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 레이어로 표시하고, 상기 호출된 기능을 상위 레이어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호출된 기능의 표시 사이즈는 상기 백그라운드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이즈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는 두 레이어 간에 정보를 입력 인터렉션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호출된 기능의 표시 사이즈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면 베젤 영역에서 감지영역으로 드래그 동작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펜 드래그 동작이 종료된 위치(drop 위치)를 호출 기능의 표시 사이즈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323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및 호출된 기능들을 다른 레이어로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두 레이어 간의 정보들을 서로 연동시켜 표시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백그라운드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과 펜 터치에의해 호출된 기능을 포그라운드로 처리하는 표시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사용자의 입력 인터렉션(펜 또는 손가락)에 따라 표시되는 정보 및/또는 컨텐츠를 백그라운드에서 포그라운드로 또는 포그라운드에서 백그라운드로 드래그 앤 드롭시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동된 컨텐츠 및/또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그라운드 표시영역 또는 포그라운드 표시영역에서 스크롤 동작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스크롤이 발생된 표시영역의 정보 및/또는 컨텐츠를 스크롤 방향으로 스크롤시킨다.
그리고 상기 323단계에서 사용자가 종료를 요구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3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7단계에서 종료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의 종료 요구는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취소 메뉴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베젤영역에 장착된 취소버튼을 통해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종료요구는 포그라운드로 표시되는 기능 표시 영역 이외에 영역(즉, 백그라운드 표시영역)에서 설정된 터치 동작(즉, 미리 설정된 종료 터치 인터렉션, 예를들면 더블 탭 등)을 수행하여 종료를 요구할 수 있다. 상기 종료 요구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327단계에서 포그라운드로 표시되는 호출된 기능의 표시를 종료하고, 백그라운드로 표시되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할당된 기능을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도 4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기능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 도 6c는 도 3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오버레이 표시되는 할당된 기능의 정보를 처리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4 - 도 6c를 참조하면, 도 2a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코너의 경계위치에 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며, 그 기능이 repository라고 가정하며, 도 2d와 같은 방법으로 휴대단말기의 각 코너 경계위치들에 사용자가 원하는 repository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2a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각 코너 부분에 기능을 설정하는 경우, 하기 <표 1>과 같이 각 코너의 경계위치에 실행할 repository를 할당할 수 있다.
repository 경계위치 비고
clipboard 251
(bottom left)
정보 및 컨텐츠를 복사하거나 붙여넣기하기 위한 임시 저장소
App tray 253
(bottom right)
최근에 많이 사용된 appication들을 모아놓은 저장소
gallery 255
(upper left)
촬영된 사진들을 저장한 저장소
search 257
(upper right)
휴대단말기에서 탐색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상기 <표 1>과 같이 경계위치 및 해당 경계위치에서 실행될 repository를 할당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Pen을 이용하여 코너 베젤 부분에서 원하는 repository를 실행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 2b와 같이 펜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각 코너 베젤 영역에서 표시부130의 화면(감지영역 220) 안으로 드래그 앤 드롭 동작을 수행하여 해당 코너 베젤에 할당한 repository를 실행할 수 있다. 반대로 표시부130의 화면을 터치한 후 휴대단말기의 각 코너 베젤영역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펜 드래그 동작에 의해 호출되는 repository는 다수의 정보 및/또는 컨텐트들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repository의 표시 사이즈를 flexible하게 조절하여 repository 내의 정보 및/또는 contents 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펜 드래그 동작시 펜이 드롭되는 위치(또는 펜이 터치되는 위치)를 분석하여 repository의 표시 사이즈를 결정한다.
도 4는 펜이 드래그에 감지되는 경계위치에 할당된 repository가 있는 경우, 도 3의 321단계에서 repository 표시 사이즈의 크기를 설정하여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펜 드래그 동작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제2입력부150을 통해 이를 감지하고, 펜 드래그가 경계위치를 통과하면 메모리110을 참조하여 해당 경계위치에 할당된 repository가 있는가 검사한다. 이때 repository를 있으면, 도 4의 411단계에서 펜 드래그 거리를 분석하며, 413단계에서 분석 결과에 따라 repository 표시사이즈를 설정한다. 이때 펜 드래그가 베젤 영역에서 시작되어 감지영역에서 드롭되면, 해당 베젤 코너에서 드롭 위치까지의 거리를 repository 표시사이즈로 설정할 수 있으며, 펜 드래그가 감지영역에서 시작되어 베젤영역으로 이동되면, 펜 터치가 시작된 감지영역의 위치에서 해당 베젤 코너까지의 거리를 repository 표시사이즈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415단계에서 할당된 repository를 상기 설정된 표시사이즈로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할당된 repository는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상위 레이어로 표시하며, 이때 표시 위치는 펜 드래그가 실행된 위치 또는 상기 표시부130의 디폴트로 설정된 위치가 될 수 있다.
도 5 - 도 6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베젤영역에서 감지영역의 펜 드래그를 수행하면, 제어부100은 제2입력부150을 통해 경계위치251에서 펜 드래그가 시작되는 것을 감지한다. 그리고 메모리110을 통해 해당 경계위치가 repository가 할당된 위치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0은 100은 411단계에서 드래그가 드롭된 위치(또는 드래그된 거리)를 분석하며, 413단계에서 분석된 결과에 따라 repository의 표시사이즈를 설정한다. 즉, 511과 같은 위치에서 드래그 드롭이 되었으면 경계위치251에서 511 위치까지의 거리(여기서는 대각선이 될 수 있음)를 표시 사이즈를 설정하며, 513과 같은 위치에서 드래그 드롭이 되었으면 경계위치251에서 513 위치까지의 거리를 표시 사이즈를 설정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펜 드래그 거리에 따라 할당된 repository의 표시사이즈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415단계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포그라운드 레이어에 표시사이즈를 설정하여 할당된 repository를 표시한다.
여기서 도 6a와 같이 상기 경계위치251에서 펜 드래그가 감지되고 상기 <표 1>과 같이 할당된 repository가 clip board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표시부130에 620과 같이 설정된 표시사이즈로 clip board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어플리케이션이 610과 같이 SNS인 경우, 도 3의 323단계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clip board 내의 컨텐츠를 563과 같이 SNS 표시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SNS를 실행하는 상태에서 경계위치251을 지나는 펜 드래그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펜 드래그 거리(위치)를 감지하여 SNS 화면 위에 clipboard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클립보드의 컨텐트를 SNS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SNS 화면의 컨텐트를 클립보드에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계위치253에서 펜 드래그가 감지되고 상기 <표 1>과 같이 할당된 repository가 app tray이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표시부130에 640과 같이 설정된 표시사이즈로 app tray를 표시한다. 이때 630과 같이 홈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경계위치253을 지나는 펜 드래그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사용자가 최근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들을 모아놓은 app tray를 표시하며, 도 3의 323단계에서 app tray 내의 정보를 643과 같이 선택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즉, 홈화면을 실행하는 상태에서 경계위치253을 지나는 펜 드래그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펜 드래그 거리(위치)를 감지하여 홈 화면 위에 app tray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app tray에서 선택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할 수 있다.의 컨텐트를 클립보드에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계위치255에서 펜 드래그가 감지되고 상기 <표 1>과 같이 할당된 repository가 gallery이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표시부130에 640과 같이 설정된 표시사이즈로 gallery를 표시한다. 이때 650과 같이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경계위치255를 지나는 펜 드래그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갤러리의 컨텐츠를 표시하며, 도 3의 323단계에서 갤러리의 컨텐츠를 663과 같이 선택하면 해당 컨텐츠를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며, 또한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갤러리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도 3의 323단계에서 오버레이 표시되는 repository 내의 정보 및/또는 컨텐츠를 스크롤시킬 수 있다. 상기 도 6a -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repository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오버레이 표시되며, 표시사이즈는 표시부130의 일부 영역이 된다. 이때 상기 설정된 표시사이즈 내에서 해당 repository의 모든 정보 및/또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표시되는 repository 화면을 스크롤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repository 내의 정보 및/컨텐츠를 사용자의 스크롤 방향에 따라 스크롤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repository의 표시 사이즈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repository 내에서 보여지는 contents 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repository 내에서 scroll이 가능하며, 이로인해 repository 안의 모든 contents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repository 내의 정보 및/또는 컨텐츠를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과의 연관성 또는 사용빈도에 따라 재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상황에 따라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application 에 따라) repository 내에 보여지는 contents 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은 Contents repository의 경우 현재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application에서 활용될 수 있는 contents를 우선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Application repository의 경우 현재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application과 연속적으로 자주 쓰여졌던 application을 우선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연속성은 application 간의 순차적 실행 history를 바탕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Repository 내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application과 연동시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repository 내의 컨텐츠를 drag & drop 으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application 의 원하는 곳으로 이동(insert)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에서 베젤과 감지영역 사이에 버튼을 배치할 수 있으며, 입력 인터렉션이 해당 버튼의 베젤과 감지영역의 경계를 지나는 경우에 해당 버튼의 설정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경계위치를 감지하여 할당된 기능 및 버튼의 동작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는 상기 베젤 영역210에 하나 이상의 버튼711-715들을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튼711-715는 터치 등의 입력 및/또는 압력 등의 입력을 감지하는 버튼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버튼 711은 메뉴 버튼이고, 713은 홈버튼이며, 715는 취소버튼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베젤영역210 및 감지영역220의 코너 경계위치 251-257 및 상하 및 측면 경계위치 721-723에 기능들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베젤 영역210에 버튼711-713들이 배치된 상태에서 베젤영역210과 감지영역220의 경계를 지나는 사용자의 펜 드래그가 버튼의 경계위치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해당 버튼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베젤영역(또는 감지영역)에서 감지영역(또는 베젤영역)으로 이동되는 펜 드래그 감지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펜드래그가 발생된 두 영역의 경계 위치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경계위치가 베젤 영역에 배치된 버튼의 위치와 일치되면(버튼이 배치된 베젤과 감지영역의 경계 영역을 통과하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해당 위치의 버튼을 실행한다.
또한 베젤영역과 감지영역220의 특정 경계위치251-257 및 721-723들에 각각 대응되는 기능들을 할당한 상태에서 베젤영역210과 감지영역220의 경계위치를 지나는 펜드래그가 상기 기능이 할당된 경계 위치를 지나면, 상기 제어부100은 해당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베젤영역(또는 감지영역)에서 감지영역(또는 베젤영역)으로 이동되는 펜 드래그 감지시, 상기 펜드래그가 발생된 두 영역의 경계 위치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경계위치가 기능이 할당된 경계위치이면 할당된 해당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실행 중이던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위에 새롭게 실행되는 기능을 오버레이시켜 표시하며, 또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두 레이어 표시되는 기능들의 정보 및/또는 컨텐츠를 상호 연관시켜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베젤영역과 감지영역 경계위치들에서 원하는 기능들을 할당하고, 경계위치를 통과하는 입력 인터렉션 감지시 할당된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content 작성 시 손쉬운 interaction 으로 상황에 맞는 타 content를 쉽고 빠르게 찾아 결합하여 보다 풍부한 content 작성할 수 있으며, application 실행 시 손쉬운 interaction으로 자신의 행동 패턴을 기반으로한 상황에 적합한 application 으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repository를 경계위치에 설정할 수 있어(customize) 효율적으로 multi-tasking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5)

  1.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방법에 있어서,
    입력 인터렉션이 휴대단말기의 베젤영역과 감지영역의 경계 위치를 지나는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인터렉션이 경계위치를 지나면 상기 경계위치에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기능이 할당된 경계위치이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위에 할당된 기능을 오버레이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세팅모드에서 베젤영역과 감지영역의 경계위치들에 각각 대응되는 기능을 할당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컨텐츠 및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소 또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렉션은 펜 터치에 의한 드래그 앤 드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기능의 표시사이즈는 상기 드래그가 감지된 경계위치와 드래그의 시작 또는 종료 위치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이 할당된 경계위치는 베젤영역의 각 코너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기능의 화면에서 스크롤 발생시 해당 기능의 컨텐츠 또는 정보를 스크롤 방향으로 스크롤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입력 인터렉션이 상기 버튼의 경계위치를 지나면 해당 버튼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렉션은 베젤영역에서 드래그되어 감지영역에서 드롭되는 인터렉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휴대단말기 장치에 있어서,
    손가락 입력 및 펜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와,
    경계위치 및 상기 경계위치에 매핑된 기능들을 저장하는 매핑 테이블과,
    상기 입력부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 인터렉션이 휴대단말기의 베젤영역과 감지영역의 경계 위치를 지나고, 상기 매핑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경계위치가 기능이 할당된 경계위치로 확인되면 할당된 기능을 호출하여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위에 할당된 기능을 오버레이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세팅모드에서 베젤영역과 감지영역의 경계위치들에 각각 대응되는 기능을 할당하는 것을 특정으로 화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컨텐츠 및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소 또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렉션은 펜 터치에 의한 드래그 앤 드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기능의 표시사이즈는 상기 드래그가 감지된 경계위치와 드래그의 시작 또는 종료 위치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이 할당된 경계위치는 베젤영역의 각 코너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20131358A 2012-11-20 2012-11-20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장치 및 방법 KR201400642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358A KR20140064249A (ko) 2012-11-20 2012-11-20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358A KR20140064249A (ko) 2012-11-20 2012-11-20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249A true KR20140064249A (ko) 2014-05-28

Family

ID=50891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358A KR20140064249A (ko) 2012-11-20 2012-11-20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42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0352A (zh) * 2015-05-29 2015-08-19 北京拉酷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触控板的程序快速开启方法及系统
KR20170011723A (ko) 2015-07-24 2017-02-02 (주)에이아이티 영상 출력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0352A (zh) * 2015-05-29 2015-08-19 北京拉酷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触控板的程序快速开启方法及系统
KR20170011723A (ko) 2015-07-24 2017-02-02 (주)에이아이티 영상 출력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28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KR10202034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US10168864B2 (en) Gesture menu
KR100798301B1 (ko) 스크롤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US20170131865A1 (en) Electronic device with electromagnetic sen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669786A2 (en) Method for displaying item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CN105378597B (zh) 用于显示的方法及其电子装置
EP2706449B1 (en) Method for changing object posi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20121149A (ko)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아이콘 배치 방법 및 장치
KR20180120768A (ko) 사람-기계 상호작용 방법, 장치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US20160117092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 by using scroll bar
US20150248213A1 (en) Method to enable hard keys of a device from the screen
KR20110085189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US20130159934A1 (en) Changing idle screens
KR102323440B1 (ko) 페이지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641106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入力方法
KR20140064249A (ko)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장치 및 방법
JP2011204033A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KR20130114413A (ko) 엣지 슬라이딩 ui가 적용된 스마트 리모트 컨트롤러
KR102301652B1 (ko) 페이지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122021A (ko) 디스플레이 대상의 이동 방향 조절 방법 및 단말기
KR20110011845A (ko)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83786B1 (ko)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JP2018170048A (ja) 情報処理装置、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36053B1 (ko)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