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4181A - 임신모돈의 산자수 증진용 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임신모돈의 산자수 증진용 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4181A
KR20140064181A KR1020120131216A KR20120131216A KR20140064181A KR 20140064181 A KR20140064181 A KR 20140064181A KR 1020120131216 A KR1020120131216 A KR 1020120131216A KR 20120131216 A KR20120131216 A KR 20120131216A KR 20140064181 A KR20140064181 A KR 20140064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composition
irg
present
feed
pregn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9235B1 (ko
Inventor
김영화
김동운
정현정
이성대
정은혜
김상호
곽정훈
박준철
조규호
사수진
김인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20131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235B1/ko
Publication of KR20140064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2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2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moulding, e.g. making cakes or briquet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신모돈의 산자수 증진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talian ryegrass, IRG)를 포함하는 임신모돈의 산자수 증진용 사료 조성물을 임신모돈에게 임신기간 동안 급여할 경우 기존의 사료와 비교하여 사료 섭취량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으면서도 산자수 증진 효과가 수득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료 조성물을 임신모돈에게 급여시킬 경우 산자수 증대에 따른 농가의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한 축산업을 실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료 조성물을 임신모돈에게 임신기간 동안 급여시킴으로써 산자수를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임신모돈의 산자수 증진용 사료 조성물{Feed composition for sow during pregnancy to increase the number born of pig}
본 발명은 임신모돈의 산자수 증진을 위한 사료 조성물 및 이러한 사료 조성물을 임신모돈에게 임신기간 동안 급여시킴으로써 산자수를 증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돈의 경영이익은 “소득(돈가× 출하두수)-생산비(사료비+가축비+노력비+방역치료비+분뇨처리비+상각비+기타)”에 의해 결정된다. 양돈가의 입장에서 경영이익을 높이기 위해서는 소득을 증가시키고 생산비를 낮추어야 한다. 돈가와 사료비 등은 외부의 경제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서 양돈농가가 양돈의 경영이익을 높이기 위해 노력할 수 있는 경영요소는 모돈의 생산성을 높이고, 질병발생율을 낮추는 방법이다.
돼지 생산성(Marketted-pigs per Sow per Year, MSY)은 모돈 한 마리당 1년간 생산된 돼지 중 판매 체중이 될 때까지 생존하여 판매된 마릿수를 의미한다.
국내 돼지 생산성(MSY)은 양돈 선진국에 비해 낮으나 점차 향상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2007년 14.5두에서 2008년 14.8두 2009년 16.5두, 2010년 16.5로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한편, 양돈 선진국인 덴마크 및 네덜란드는 2010년 MSY가 24.5 및 24.7로서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여, 양돈 생산비를 절감하고 있다. 국내 양돈농가의 MSY가 낮은 주요인은 네덜란드와 비교시 산자수가 낮고, 국내 상위 10% 농가와 비교시 이유 후 육성율 저하로 분석되었다.

한편, 임신모돈이 과비되면 번식능력이 저하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양돈농가에서는 모돈 개체별로 체평점관리 즉, 모돈의 체형 상태를 5단계(1 심하게 마름, 2 마름, 3 적당, 4 살찜, 5 과비)로 나누어 3을 목표로 관리하고 있다. 대체적으로 양돈농가의 경우 과비 상태로 사료급여량을 제한해 주고 있다. 제한급여로 인한 배고픔의 스트레스와 다태동물 특성에 기인한 장 눌림이 원인이 되는 극심한 변비발생으로 인해 돼지의 장내 환경이 좋지 않아 연산성이 떨어지고, 산자수가 감소하는 등 번식성적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돼지는 성장단계별로 영양소 요구량이 있다. 예를 들어, 성장단계별 발육은 골격-단백질-지방 순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성장초기에는 고영양사료, 즉 조단백질과 라이신이 높은 사료를 급여해 주어야 발육에 지장이 없으며, 성장후기로 갈수록 높은 영양소를 급여해 주게 되면 지방축적이 높아지므로 영양소가 낮은 사료의 급여가 요구된다. 영양소 요구량은 이유자돈1(체중 7-14kg)은 조단백질(crude protein, CP) 약 20%, 라이신 약 1.24%이며, 이유자돈2(14-25kg)는 조단백질 약 19%, 라이신 약 1.06%이고, 육성돈1(체중 25-50kg)은 조단백질 약 18%, 라이신 약 0.98%이며, 비육돈 2(80-120kg)는 조단백질 약 13%, 라이신 약 0.64%이다. 모돈은 자돈을 생산해야 하는데 유지와 생산(자돈)에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해야 하나, 너무 높은 영양소의 급여는 과비가 되고 번식성적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임신모돈의 산자수 증진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돼지의 산자수를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를 포함하는 임신모돈의 산자수 증진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펠렛으로 제조되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상업적으로도 입수가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임신모돈을 위한 사료 조성물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펠렛을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중량%의 양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임신모돈을 위한 사료 조성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펠렛의 양이 5중량% 미만이면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산자수 증진 효과를 수득할 수 없으며, 상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펠렛의 양이 10중량%를 초과할 경우 비용대비 효과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하다.
본 발명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펠렛을 임신모돈을 위한 사료에 섬유소원으로 사용함으로써 돼지에게 포만감을 충족시켜 주고 변비해소 등 장내 환경을 개선시켜 임신모돈의 산자수를 증진시킨다는 놀라운 발견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talian ryegrass, 이하 “IRG”라 칭함, 일명 쥐보리, 애뉴얼 라이그라스)는 지중해가 원산지이며 목초 및 잔디용로 전세계 아열대에서 온대 지역에 널리 자생 또는 인위적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유럽 남부, 북부 아프리카 또는 북아시아, 북남미, 오세아니아 주 등 전 대륙에 걸쳐 널리 재배되고 있다. IRG는 기호성이 좋고 유식물의 활력이 매우 높아 파종에서 정착까지 큰 어려움이 없고, 짧은 기간에 높은 수량을 낼 수 있어 월동이 가능한 곳에서는 어떤 작물보다도 선호도가 높으며, 당함량이 높아 품질이 우수하고 가축에 대한 기호성이 좋으며 초기수량이 높다. 또한 초기생육이 빠르며 재생력이 좋아 여러 번 수확 이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조사료로서 품질이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의 임신모돈을 위한 사료 조성물에서 첨가된 IRG 펠렛은 섬유소원으로서 포만감을 충족시켜 주고 변비해소 등 장내 환경 개선으로 산자수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임신모돈을 위한 사료 조성물에서 요구되는 영양소에는 조단백질, 라이신 및 조섬유 이에외 Ca 및 P와 같은 광물질도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임신모돈을 위한 사료 조성물은 조섬유 4.6 내지 6%, 조단백질 13 내지 14%, 라이신 0.7 내지 0.9%, Ca 0.5 내지 1% 및 P 0.5 내지 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첨가되는 조섬유는 포만감을 높이고 배변량을 증가시켜 장내 환경을 개선시켜 산자수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IRG 펠렛을 조섬유원으로서 사용하며, 이러한 IRG 펠렛을 포함하는 조섬유는 사료 조성물에서 4.5 내지 6%의 영양 요구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섬유가 전체 사료 조성물 중 4.5% 미만일 경우 소화기능 장애가 일어날 수 있으며, 6%를 초과할 경우 사료섭취량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첨가되는 조단백질은 동물내 미생물들에 의하여 암모니아로 분해되는 분해 단백질과 분해되지 않는 비분해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비분해 단백질은 위내에서 소화, 흡수되지 않고 소장에서 소화, 흡수되는 단백질이고, 분해 단백질은 위에서 미생물들에 의하여 암모니아로 전변된다. 조단백질은 이렇게 생성된 암모니아와 사료로 공급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미생물들이 몸체 단백질을 합성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조단백질은 사료 조성물에서 13 내지 14%의 영양소 요구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단백질이 전체 사료 조성물 중 13% 미만일 경우 에너지양이 부족하게 되어 단백질 합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며, 14%를 초과할 경우 암모니아 생산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첨가되는 라이신은 필수 아미노산으로서 사료 섭취량을 높여 체중 증감을 도와 동물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가축의 질소 배출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라이신은 사료 조성물에서 0.7 내지 0.9%의 영양소 요구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라이신이 전체 사료 조성물 중 0.7% 미만일 경우 돼지의 성장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0.9%를 초과할 경우 특별한 문제는 없으나 비용대비 효과적이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는 Ca 및 P와 같은 광물질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광물질은 골격과 생명기능의 강화에 필요하며, 체조직과 효소를 합성하는데 필요한 유기물을 합성하는 구성성분이다. 이러한 광물질은 사료 조성물에서 각각 0.5 내지 1%의 영양 요구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는 상기 주요 성분 이외에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무기질, 비타민, 광물질 및 물과 같은 사료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사료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성분의 종류에 있어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바가 없으며,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모두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사료 조성물의 가소화 에너지(Digestible Energy, DE) 값은 3,450 kcal로서 기존의 사료와 유사한 값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신모돈의 산자수 증진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조방법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를 펠렛화하여 전체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첨가한 다음 제제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산자수 증진을 위해 임신 중의 모돈(돼지)에게 임신 초기에서 분만 후에 이르는 임신기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4개월 동안 급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을 임신모돈에 임신기간 동안 급여할 경우 기존의 사료와 비교하여 사료 섭취량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으면서도 산자수 증진 효과가 수득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료 조성물을 임신모돈에게 임신기간 동안 급여시킴으로써 산자수를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을 임신모돈에게 임신기간 동안 급여할 경우 기존의 사료와 비교하여 사료 섭취량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으면서도 산자수 증진 효과가 수득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료 조성물을 임신모돈에게 급여시킬 경우 산자수 증대에 따른 농가의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한 축산업을 실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료 조성물을 임신모돈에게 임신기간 동안 급여시킴으로써 산자수를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IRG 펠렛이 첨가된 사료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에 따라 IRG 펠렛을 5중량%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사료 배합비를 옥수수 65.94중량%, 대두박 15.82중량%, 밀기울 3.87중량%, 비트펄프 4.00중량%, 대두유 2.07중량%, 소금 0.30중량%, 석회석 0.87중량%, 인산칼슘 1.60중량%, L-라이신 0.10중량%, 메치오닌-50 0.03중량%, 그로빅 SW 0.30중량%, 소화제 0.10중량% 및 IRG 펠렛 5중량%로 하여, 사료 조성물이 영양소로서 조단백질 14.2%, 라이신 0.70%, 조섬유 4.75%, Ca 0.92% 및 P 0.65%를 함유하도록 하였다.
< 실시예 2>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과 같이 IRG 펠렛을 1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IRG 펠렛 함유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과 같이 IRG 펠렛을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 분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DE(Digestible Energy)
(kcal)
3,437 3,450 3,450
IRG 펠렛
(중량%)
- 5 10
CP(Crude Protein)
(%)
14.5 14.2 14.2
라이신
(%)
0.72 0.70 0.70
조섬유
(%)
3.26 4.75 5.79
Ca
(%)
0.75 0.82 0.82
P
(%)
0.60 0.65 0.65
<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IRG 펠렛을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IRG 펠렛을 함유하지 않는 사료 조성물을 각각 임신모돈에게 임신기간 4개월 동안 급여시킨 후 각각의 체중 및 등지방 두께의 변화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 분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공시두수(두) 8 8 7
체중(kg)
- 개시시 201.3 196.0 198.2
- 분만 7일 전 249.9 250.9 243.8
- 분만 후 234.8 221.5 212.3
등지방두께(cm)
- 개시시 1.56 1.78 1.48
- 분만 7일 전 1.49 1.83 1.78
- 분만 후 1.48 1.70 1.66
체중변화(kg)
- 개시시~분만 7일전 48.6 54.9 45.6
- 분만 7일전~분만후 - 15.1 - 29.4 - 31.5
- 개시시~분만후 33.5 25.5 14.1
등지방두께 변화(cm)
- 개시시~분만 7일전 - 0.07 0.05 0.30
- 분만 7일전~분만후 - 0.01 - 0.13 - 0.12
- 개시시~분만후 - 0.08 - 0.08 0.18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IRG 펠렛 함유 사료 조성물을 급여시킨 임신모돈과 IRG 펠렛을 함유하지 않는 사료 조성물을 급여시킨 임신모돈의 체중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특성이 발견되지는 않았다. 한편, 등지방 두께에 있어서는 급여 개시시에서 분만 7일전까지 본 발명에 따른 IRG 펠렛 함유 사료 조성물을 급여시킨 임신모돈의 경우 0.05에서 0.30cm까지 증대되었으며, IRG 펠렛을 함유하지 않는 사료 조성물을 급여시킨 임신모돈의 경우에는 0.07cm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IRG 펠렛을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IRG 펠렛을 함유하지 않는 사료 조성물을 각각 임신모돈에게 임신기간 4개월 동안 급여시킨 후 각각의 사료 섭취량 및 총 산자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 분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공시두수(두) 8 8 7
사료섭취량(kg/일) 2.78 2.87 2.71
총 산자수(두) 10.0 10.8 10.7
생시체중(kg) 1.75 1.56 1.42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IRG 펠렛 함유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임신모돈과 IRG 펠렛을 함유하지 않는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임신모돈의 사료 섭취량에 있어서는 거의 차이가 없으면서도 총 산자수에 있어서는 IRG 펠렛을 함유하지 않는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임신모돈이 10.0 두인 것에 비해 IRG 펠렛 함유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임신모돈의 산자수는 10.7 두 및 10.8 두로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IRG 펠렛 함량이 5중량%인 사료를 급여시킨 임신모돈이 IRG 펠렛을 10중량%의 양으로 함유시킨 사료를 급여시킨 임신모돈의 산자수에 비해 0.1 두가 높게 나타나 IRG 펠렛을 사료에 5중량%의 양으로 첨가시키는 것이 경제적인 면에서도 효율적임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talian ryegrass, IRG)를 포함하는 임신모돈의 산자수 증진용 사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RG는 펠렛으로 제조되어 포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RG 펠렛이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IRG 펠렛이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중량%의 양으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조섬유 4.6 내지 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조성물.
  6.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신모돈의 산자수 증진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를 펠렛화하여 전체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첨가한 다음 제제화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료 조성물을 임신모돈에게 임신기간 동안 급여시킴으로써 돼지의 산자수를 증진시키는 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따라 제조된 사료 조성물을 임신모돈에게 임신기간 동안 급여시킴으로써 돼지의 산자수를 증진시키는 방법.
KR1020120131216A 2012-11-19 2012-11-19 임신모돈의 산자수 증진용 사료 조성물 KR101429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216A KR101429235B1 (ko) 2012-11-19 2012-11-19 임신모돈의 산자수 증진용 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216A KR101429235B1 (ko) 2012-11-19 2012-11-19 임신모돈의 산자수 증진용 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181A true KR20140064181A (ko) 2014-05-28
KR101429235B1 KR101429235B1 (ko) 2014-08-12

Family

ID=50891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216A KR101429235B1 (ko) 2012-11-19 2012-11-19 임신모돈의 산자수 증진용 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23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4790A (zh) * 2014-10-24 2015-01-28 广西博白扬翔宝中宝饲料有限责任公司 一种哺乳母猪饲料
CN104397385A (zh) * 2014-11-07 2015-03-11 周华庆 一种母猪空怀期饲料配方及其加工方法
CN104782969A (zh) * 2015-04-15 2015-07-22 柳城县天福种猪场 用于饲养重胎母猪的饲料
CN104839477A (zh) * 2015-04-30 2015-08-19 新昌县大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妊娠母猪用饲料添加剂
CN104982702A (zh) * 2015-06-09 2015-10-21 柳州市柳南区明达鸽业养殖协会 一种具有防治软嗉病功能的鸽砂
CN107788248A (zh) * 2017-12-01 2018-03-13 广西晨康力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妊娠母猪饲料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31424A (zh) * 2014-11-10 2015-03-25 广东恒兴饲料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泌乳能力的哺乳母猪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CN104605191A (zh) * 2015-01-14 2015-05-13 广东恒兴饲料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柑橘皮的肉鹌鹑专用饲料
CN104605202A (zh) * 2015-01-23 2015-05-13 广东恒兴饲料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节粮型产蛋鸡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CN104920831A (zh) * 2015-05-28 2015-09-23 梧州市天誉茶业有限公司 一种生长鸡养殖用的六堡茶饲料及其制作方法
CN104938825A (zh) * 2015-06-09 2015-09-30 柳州市柳南区明达鸽业养殖协会 一种用于治疗鸽痘病的鸽砂
CN104920852A (zh) * 2015-06-09 2015-09-23 柳州市柳南区明达鸽业养殖协会 一种可以治疗鸽毛滴虫病的鸽砂
CN104938828A (zh) * 2015-06-09 2015-09-30 柳州市柳南区明达鸽业养殖协会 一种可增加产蛋率的鸽砂
CN104920858A (zh) * 2015-06-09 2015-09-23 柳州市柳南区明达鸽业养殖协会 一种可有效控制新城疫疫情的鸽砂
CN104920861A (zh) * 2015-06-09 2015-09-23 柳州市柳南区明达鸽业养殖协会 一种防治鸽i型副粘病毒病的鸽砂
KR20230005023A (ko) 2021-06-30 2023-01-09 주식회사 이지바이오 강정사양에 적합한 모돈 사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강정사양에 의한 모돈 사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3688A (ja) 2002-11-15 2004-06-24 National Agriculture & Bio-Oriented Research Organization サイレージ調製剤及びサイレージの調製方法
JP2004321164A (ja) 2003-04-28 2004-11-18 Uurii:Kk 動物用ダイエット飼料及び毛球排出促進飼料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4790A (zh) * 2014-10-24 2015-01-28 广西博白扬翔宝中宝饲料有限责任公司 一种哺乳母猪饲料
CN104397385A (zh) * 2014-11-07 2015-03-11 周华庆 一种母猪空怀期饲料配方及其加工方法
CN104782969A (zh) * 2015-04-15 2015-07-22 柳城县天福种猪场 用于饲养重胎母猪的饲料
CN104839477A (zh) * 2015-04-30 2015-08-19 新昌县大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妊娠母猪用饲料添加剂
CN104982702A (zh) * 2015-06-09 2015-10-21 柳州市柳南区明达鸽业养殖协会 一种具有防治软嗉病功能的鸽砂
CN107788248A (zh) * 2017-12-01 2018-03-13 广西晨康力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妊娠母猪饲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9235B1 (ko) 201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235B1 (ko) 임신모돈의 산자수 증진용 사료 조성물
CN101978850B (zh) 绿色生物活性饲料
KR19990007808A (ko) 동물용 스트레스 조절제
CN117296786A (zh) 放牧和围栏系统的生长性能改善
CN102885202A (zh) 一种新型禽用微生态制剂及其制备方法
CN105053620A (zh) 荷斯坦公牛犊专用育肥精料补充饲料
Aruwayo Use of urea treated crop residue in ruminant feed
Hatungimana et al. Effect of urea molasses block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of sheep
CN104256184A (zh) 一种哺乳母猪饲料及其制备方法与饲养方法
JP5885245B2 (ja) 畜牛の飼育方法
CA3225779A1 (en) Use of furancarboxylic acids in the preparation of additives for animal feeds
WO2019140722A1 (zh) 丁酰甘氨酸及其衍生物在制备动物饲料添加剂中的应用
Salem et al. Boosting the role of livestock in the vulnerable production systems in North Africa and West Asia region
Misra Approaches for enhancing productivity of smallholder dairy production in India
Thang et al.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mixed cassava (Manihot esculenta) and legume (Phaseolus calcaratus) fodder on the rumen degradability and performance of growing cattle
El-Baki et al. Cassava as new animal feed in Egypt 3-pelleted complete cassava feed for growing rabbits
Somasiri et al. Effect of Gliricidia (Gliricidia sepium) leaf meal blocks on intake, live weight gain and milk yield of dairy cows
CN108967703A (zh) 一种改善蓝塘猪肉质的绿色饲料添加剂、预混料及配合饲料
Witjaksono The potential of local feed sources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Bali cattle farming system in southeast Sulawesi.
RU2782845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мясной продуктивности крупного рогатого скота
RU2529898C2 (ru) Кормовая добавка и способ кормления животных и птиц (варианты)
Önk et al. Effects of different fattening systems on fattening performance, slaughter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male Tuj lambs.
CN101744140A (zh) 可诱孕母牛犊奶牛饲料
CN102308913A (zh) 苏氨酸锰的应用
Kumar et al.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fish meal and commercially available bypass amino acids on growth performance of growing Murrah buffalo heif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