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3329A - 세면대의 수량 조절기 - Google Patents

세면대의 수량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3329A
KR20140063329A KR1020120130558A KR20120130558A KR20140063329A KR 20140063329 A KR20140063329 A KR 20140063329A KR 1020120130558 A KR1020120130558 A KR 1020120130558A KR 20120130558 A KR20120130558 A KR 20120130558A KR 20140063329 A KR20140063329 A KR 20140063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le
hot water
cold
col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6148B1 (ko
Inventor
최수창
Original Assignee
최수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창 filed Critical 최수창
Priority to KR1020120130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148B1/ko
Publication of KR20140063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1Fixing a tap to the sanitary appliance or to an associated mounting surface, e.g. a counterto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provisions against scalding, e.g. temperature limiting devices, external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기어변속부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수도꼭지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세면대의 수량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의 수량 조절기는 세면대에 설치되는 수도밸브의 관로 상에 설치되며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라인과,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냉수라인과 온수라인에서 공급되는 냉수공 및 온수공을 개방하거나 차단도록 슬라이딩되어 수량을 제어하는 차단디스크와, 상기 차단디스크를 이동시키는 제어봉을 포함하는 밸브카트리지와, 상기 세면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제1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어봉과 제1 링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어봉을 상기 온수공과 냉수공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조절레버를 포함하는 수량 및 수온 조절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가이드홀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장되어 급수를 폐쇄하는 폐쇄위치로부터 급수량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1 조절레버가 단계적으로 이동하여 급수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계단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세면대의 수량 조절기 {Water flow rate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세면대의 수량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기어변속부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수도꼭지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세면대의 수량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의 온도 및 유량 조절 밸브는 말 그대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보일러를 통한 온수 포함)의 양을 조절하는 한편, 냉ㆍ온수를 선택하거나 이들을 혼합하여 수온을 조절하도록 된 조절 밸브이다.
상기, 수도의 온도 및 유량 조절 밸브는 주방의 싱크대 상부에 설치되거나, 욕실(목욕탕 포함)에 설치되어 필요한 경우에 조작하여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수도의 온도 및 유량 조절 밸브는 콕크를 돌려서 물의 양을 조절함과 동시에 냉ㆍ온수를 선택하거나 이들을 혼합하여 수온을 조절하는 회전식과, 레버를 올리거나 내려서 물의 양을 조절하는 한편, 좌우로 돌려서 냉ㆍ온수를 선택하거나 이들을 혼합하여 수온을 조절하도록 된 레버식이 있다.
상기 회전식은 공급되는 냉수를 개폐시켜 공급함과 동시에 양을 조절하도록 된 냉수콕크와 공급되는 온수를 개폐시켜 공급함과 동시에 양을 조절하도록 된 온수콕크가 밸브 본체의 양측에 별도로 각각 설치되어 있어, 냉수만을 사용할 경우나 온수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하나의 콕크만을 회전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적정 온도(냉수도 아니고 온수도 아닌 온도)의 물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두 개의 콕크(냉수와 온수용)를 각각 회전 조작하여 적정 온도를 맞추어 사용하여야 하므로, 그 조작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특히, 냉수와 온수를 조절하는 밸브 카트리지가 다중화되어 있어 그 구성요소가 매우 많고,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결합 구조 또한 매우 복잡한 것이었다.
그리고, 상기 레버식은 회전식 보다 냉수와 온수의 혼합 조절이 용이하나, 차단 밸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된 회전 개폐 조작부위나 슬라이드 조작 부위가 비교적 강한 압력으로 지지되거나 밀착되어 있어 레버를 이용하여 유량을 조절할 때 힘이 들어가며 정확히 유량을 조절하기가 어려워 불필요하게 물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05-0078523호 : 수도의 온도 미 유량 조절 밸브 등록실용신안 제20-0415891호 : 세면대용 수도꼭지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기어변속기와 같은 형상의 조절수단을 통해 단계적으로 수도꼭지에서 토출되는 물의 수량을 제어할 수 있는 세면대의 수량 조절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의 수량 조절기는 세면대에 설치되는 수도밸브의 관로 상에 설치되며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라인과,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냉수라인과 온수라인에서 공급되는 냉수공 및 온수공을 개방하거나 차단도록 슬라이딩되어 수량을 제어하는 차단디스크와, 상기 차단디스크를 이동시키는 제어봉을 포함하는 밸브카트리지와, 상기 세면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제1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어봉과 제1 링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어봉을 상기 온수공과 냉수공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조절레버를 포함하는 수량 및 수온 조절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가이드홀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장되어 급수를 폐쇄하는 폐쇄위치로부터 급수량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1 조절레버가 단계적으로 이동하여 급수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계단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차단디스크는 상기 냉수공 및 온수공의 개폐를 위해 이동하는 일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냉수공 및 온수공의 개폐비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수량 및 수온 조절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제2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홀을 따라 회동하며 제2 링크를 통해 상기 제어봉과 연결되어 상기 차단판이 냉수공과 온수공의 개방 비율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조절레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조절레버는 상단에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비누를 꽂을 수 있는 지지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의 하부와 연결되는 연장로드로부터 손을 씻은 후 비누를 잡지 않고 상기 제1 조절레버를 이동시킬 수 있는 보조파지부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의 수량 조절기는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어 경제적이고, 환경 보호에도 도움이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의 수량 조절기가 장착된 세면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량 및 수온 조절유닛을 도시한 발췌사시도,
도 3은 세면대에 설치되는 수도밸브 및 밸브카트리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밸브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밸브카트리지의 분리사시도,
도 6은 수량 및 수온 조절유닛과 밸브 카트리지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밸브카트리지의 내부에서 냉수공과 온수공이 개방되도록 차단디스크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밸브카트리지의 내부에서 냉수공과 온수공이 폐쇄되어 수도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차단디스크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밸브카트리지의 내부에서 냉수공만 개방되도록 차단디스크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밸브카트리지의 내부에서 온수공만 개방되도록 차단디스크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수량 및 수온 조절유닛에서 제1 조절레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의 수량 조절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의 수량 조절기(1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세면대의 수량 조절기(10)는 세면대(1)에 설치되는 수도밸브(2)의 관로상에 설치되어 냉수와 온수의 토출을 제어하는 밸브카트리지(100)와, 밸브카트리지(100)에 설치된 차단디스크를 이동시키도록 세면대(1)의 일측에 마련된 수량 및 수온 조절유닛(200)을 포함한다.
수량 및 수온 조절유닛(200)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오토매틱 차량의 기어변속기와 비슷한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지지프레임(210)과 이 지지프레임(210)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제2 조절레버(260)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210)은 세면대(1)의 일측에 설치되며, 수량을 조절하는 제1 조절레버(250)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1 가이드홀(220)과, 수온을 조절하는 제2 조절레버(260)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2 가이드홀(24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이드홀(220)은 지지프레임(210)의 상단에 좌우방향을 따라 우측으로 연장된 제1 구간(221)과, 제1 구간(221)의 우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2 구간(222), 제2 구간(222)의 하단부에서 좌우방향을 따라 좌측으로 연장된 제3 구간(223), 제3 구간(223)의 좌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4 구간(224), 제4 구간(224)의 단부에서 좌우방향을 따라 우측으로 연장된 제5 구간(225), 제5 구간(225)의 우측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6 구간(226), 제6 구간(226)의 하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제7 구간(227), 제7 구간(227)의 우측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8 구간(228), 제8 구간(228)의 하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제9 구간(229), 제9 구간(229)의 우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10 구간(2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조절레버(250)는 수도밸브(2)에서 토출되는 물의 수량의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가이드홀(220)을 따라 진행하도록 되어 있고, 제1 조절레버(250)는 후술하는 밸브카트리지(100)의 제어봉과 연결되는 제1 링크(251)와 연결되어 있다.
제1 조절레버(250)는 도시된 것처럼 제1 구간(221)의 좌측에 있을 때 물 공급이 차단되고, 제4 구간(224), 제 6구간, 제8 구간(228) 및 제10 구간(230)의 하단에 위치할 때 토출되는 물의 수량이 단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오토매틱 차량이 운전자의 의도와 상관 없이 기어가 변속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조절레버가 우측으로 젖혀진 다음에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수량 및 수온 조절유닛(200)도 제1 조절레버(250)가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하강하여 물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가이드홀(220)이 도시된 것처럼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량의 조절이 4단계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나, 제10 구간(230)에 계속해서 지그재그 형태의 구간들을 연장시켜 수량의 조절 단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제2 가이드홀(240)은 제1 가이드홀(220)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프레임(210) 상에 형성되는데 일직선의 장공형태로 형성되며, 제2 조절밸브는 상기 장공을 따라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2 조절밸브 역시 밸브카트리지(100)의 제어봉과 연결되는 제2 링크(261)와 연결되어서 온수와 냉수의 배출비율을 조절하여 수도밸브(2)에서 토출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밸브카트리지(10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냉수라인(3) 및 온수라인(4)과 연결되며 냉수라인(3) 및 온수라인(4)에서 공급되는 냉수와 온수는 밸브카트리지(100)에서 토출량이 제어되어 함께 토출된다. 따라서 수도밸브(2)에서는 온수와 냉수가 혼합된 상태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밸브카트리지(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라인(3) 및 온수라인(4)과 각각 연결되는 냉수공(111)과 온수공(112)을 포함하여 급수되는 물을 공급시키는 카트리지베이스(110)와, 상기 카트리지베이스(110)의 냉수(111)공 및 온수공(112)의 개폐 범위를 조절하는 차단부(140)와 조이스틱 동작하면서 상기 차단부(140)의 전후좌우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봉(130)과, 상기 카트리지베이스(110)와 결합되면서 카트리지를 구성하되, 상기 제어봉(130)이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지렛대 동작하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차단부(140)의 전후좌우 이동을 제한하는 카트리지하우징(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트리지베이스(1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블럭으로서, 중앙 상방에는 상기 차단부(140)와의 기밀유지를 위해 평평도와 표면조도를 유지하는 세라믹 재질의 디스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냉수공(151) 및 온수공(152)이 양측에 동일하게 형성된 밀착부재(150)가 안착된다.
상기 카트리지베이스(110)의 외측면에는 별도의 패킹이 하나 이상 인서트 되어, 상기 카트리지하우징(120)의 내벽과 밀착을 통해 카트리지 전체의 기밀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150)의 냉수공(151) 및 온수공(152)은 카트리지베이스(110)의 냉수공(111) 및 온수공(112)을 감싸는 관통공이며, 상기 밀착부재(150)의 냉수공(151) 및 온수공(152)은 사각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개폐 비율이 일정하게 변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차단부(140)는 상기 밀착부재(150)의 냉수공(151) 및 온수공(152)을 개폐시키는 차단디스크(141)와 제어봉(130)의 조작력을 차단디스크(141)에 전달하는 이동디스크(144)로 구성된다.
상기, 차단디스크(141)는 판체 형상의 세라믹디스크이며, 상기 차단디스크(141)의 양측에 내측으로 인입되고 상기 밀착부재(150)의 냉수공(151) 및 온수공(152)에 대응하는 제1, 제2 개폐홈(142,1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디스크(144) 역시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단디스크(141)의 상부에 적층되며, 상기 차단디스크(141)의 제1, 제2 개폐홈(142,143)과 동일한 위치에 역시 제1, 제2 토출홈(145,146)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봉(130)의 하단이 삽입되는 인서트홈(14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서트홈(147)은 제어봉(130)의 일 측 단부에 대해 회전을 방지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카트리지하우징(120)은 2단으로 된 캡 형상의 파이프로서, 직경이 작은 단부의 내측에 상기 제어봉(130)의 중간부분이 인서트 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그 공간 중 상기 차단디스크(141)가 위치하는 방향의 단부에는 제어봉(130)의 중간부분을 지지하면서 내부에 밀착시키는 제어봉지지구(131)가 끼움 결합된다.
상기 카트리지하우징(120)의 차단디스크(141)가 위치하는 내측 면에는 4방향에 스토퍼가 마련되어 차단디스크(141)의 이동 폭을 제한할 수도 있고, 카트리지하우징(120) 자체가 사각 형상으로 되어, 차단디스크(141)의 이동 폭을 제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봉은 상부에 각각 제1 링크(251) 및 제2 링크(261)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제1 링크(251)는 제1 조절레버(250)와 연결되며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차단디스크(141)가 냉수공(151) 및 온수공(152)을 개폐하는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봉(130)을 회전시켜 냉수공(151) 및 온수공(152)에서 토출되는 물의 수량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2 링크(261)는 제2 조절레버(260)와 연결되며, 도 9 및 도10에 도시되어 있듯이 차단디스크(141)가 냉수공(151) 및 온수공(152)이 이격된 이격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냉수공(151) 및 온수공(152)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개방영역이 더 넓어질 수 있게 움직이도록 제어봉(130)을 회전시켜 수온을 조절한다.
도 11에는 제1 조절레버(25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조절레버(250)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연장로드의 상단에 안착부(270)가 형성되고, 이 안착부(270)에 상방으로 돌출된 지지핀(27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지지핀(271)은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작아져 상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 안착부(270)에 비누(280)를 장착할 수 있다. 즉, 비누(280)에 지지핀(271)이 삽입되도록 하여 비누(280)를 안착부(270)에 장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수량조절을 위해 사용자가 제1 조절레버(250)를 만질 때 비누를 잡고 조절하면서 손에 비누가 자동으로 묻게 된다.
아울러 제1 조절레버(250)는 손을 씻은 후에는 비누(280)를 잡지 않고 제1 조절레버(25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별도의 보조파지부(272)가 안착부(270)와 이격되도록 연장로드로부터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세면대 2; 수도밸브
3; 냉수라인 4; 온수라인
10; 세면대의 수량 조절기
100; 밸브카트리지
110; 카트리지베이스
111; 냉수공 112; 온수공
120; 카트리지하우징
130; 제어봉
140; 차단부
141; 차단디스크
142; 제1 개폐홈 143; 제2 개폐홈
144; 이동디스크
145; 제1 토출홈 146; 제2 토출홈
150; 밀착부재
151; 냉수공 152; 온수공
200; 수량 및 수온 조절유닛
210; 지지프레임
220; 제1 가이드홀
221; 제1 구간 222; 제2 구간
223; 제3 구간 224; 제4 구간
225; 제5 구간 226; 제6 구간
227; 제7 구간 228; 제8 구간
229; 제9 구간 230; 제10 구간
240; 제2 가이드홀
250; 제1 조절레버
251; 제1 링크
260; 제2 조절레버
261; 제2 링크
270; 안착부
271; 지지핀 272; 보조파지부

Claims (3)

  1. 세면대에 설치되는 수도밸브의 관로 상에 설치되며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라인과,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냉수라인과 온수라인에서 공급되는 냉수공 및 온수공을 개방하거나 차단도록 슬라이딩되어 수량을 제어하는 차단디스크와, 상기 차단디스크를 이동시키는 제어봉을 포함하는 밸브카트리지와;
    상기 세면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제1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어봉과 제1 링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어봉을 상기 온수공과 냉수공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조절레버를 포함하는 수량 및 수온 조절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가이드홀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장되어 급수를 폐쇄하는 폐쇄위치로부터 급수량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1 조절레버가 단계적으로 이동하여 급수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계단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의 수량 조절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디스크는 상기 냉수공 및 온수공의 개폐를 위해 이동하는 일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냉수공 및 온수공의 개폐비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수량 및 수온 조절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제2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홀을 따라 회동하며 제2 링크를 통해 상기 제어봉과 연결되어 상기 차단판이 냉수공과 온수공의 개방 비율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조절레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의 수량 조절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레버는 상단에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비누를 꽂을 수 있는 지지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의 하부와 연결되는 연장로드로부터 손을 씻은 후 비누를 잡지 않고 상기 제1 조절레버를 이동시킬 수 있는 보조파지부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의 수량 조절기.
KR1020120130558A 2012-11-16 2012-11-16 세면대의 수량 조절기 KR101436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558A KR101436148B1 (ko) 2012-11-16 2012-11-16 세면대의 수량 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558A KR101436148B1 (ko) 2012-11-16 2012-11-16 세면대의 수량 조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329A true KR20140063329A (ko) 2014-05-27
KR101436148B1 KR101436148B1 (ko) 2014-09-03

Family

ID=5089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558A KR101436148B1 (ko) 2012-11-16 2012-11-16 세면대의 수량 조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1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3137A (zh) * 2020-05-12 2021-11-16 厦门松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滑动调温机械淋浴器、滑动调温淋浴器及其显示模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186Y1 (ko) 2001-01-08 2001-07-19 이은춘 다단계 수량 조절 및 온도조절형 수도전
KR20050078523A (ko) * 2004-02-02 2005-08-05 김종구 수도의 온도 및 유량 조절 밸브
KR100838489B1 (ko) 2007-01-18 2008-06-16 한재석 수전 및 그 제어 방법
JP5212896B2 (ja) 2008-06-30 2013-06-19 Toto株式会社 水栓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3137A (zh) * 2020-05-12 2021-11-16 厦门松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滑动调温机械淋浴器、滑动调温淋浴器及其显示模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6148B1 (ko)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161077A (ja) 湯水混合栓
US7861742B2 (en) Cartridge of water supply valve
EP2690328A1 (en) Single-lever mixing faucet
US8347905B1 (en) Energy saving faucet
JP5638379B2 (ja) シングルレバー水栓
KR100797519B1 (ko) 수도 밸브 카트리지
KR101436148B1 (ko) 세면대의 수량 조절기
KR100797521B1 (ko) 수도 밸브 카트리지
JP2014020551A (ja) 水栓金具用の節湯型カートリッジ
KR100839143B1 (ko) 유량 조절 밸브
JP4657502B2 (ja) 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
KR20120086581A (ko) 자폐식 수도밸브
KR101314012B1 (ko) 수전 금구
JP7223603B2 (ja) 水栓及び水栓装置
KR20070121401A (ko) 수도밸브의 수량/수온 조절장치
JP5687444B2 (ja) 水栓システム
KR20090008310U (ko) 유량 및 온도의 다단 조절기능을 갖는 밸브
KR200419784Y1 (ko) 수온조절이 가능한 세면대용 수전금구구조
KR20120045781A (ko) 냉온수 혼합 수전
EP3736387A1 (en) Automatic faucet
JP2009062787A (ja) 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
KR200327570Y1 (ko) 연수기
KR20120009917A (ko) 수도밸브의 수량/수온 조절장치
KR20100040078A (ko) 수도밸브 및 수도밸브의 조절레버
KR20140141017A (ko) 싱글레버용 수도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