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2209A - 학습효과 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학습효과 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2209A
KR20140062209A KR1020120128547A KR20120128547A KR20140062209A KR 20140062209 A KR20140062209 A KR 20140062209A KR 1020120128547 A KR1020120128547 A KR 1020120128547A KR 20120128547 A KR20120128547 A KR 20120128547A KR 20140062209 A KR20140062209 A KR 20140062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ucation
learning
management server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1196B1 (ko
Inventor
김관형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28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196B1/ko
Priority to PCT/KR2013/010254 priority patent/WO2014077566A1/ko
Publication of KR20140062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자료서버에 저장된 교육자료들을 인증등록하기위해 인증등록 권한을 가지고 있는 담당자서버로 전송한후 해당 담당자서버로부터 그 검토결과를 전송받아 교육자료정보를 인증등록하거나 혹은 수정변경시키는 교육자료 인증서버와; 상기 유,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인증된 피교육 학습자가 요청하는 교육자료정보를 교육자료 인증서버로부터 로딩받아 해당 요청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재생시키고, 피교육자의 학습호응도를 측정한후 그 결과를 피교육자들의 개별성적이나 기타평가자료로 저장관리하는 제어관리서버와; 상기 제어관리서버의 기능제어신호에 따라 피교육자의 단말기상에 구비된 학습호응도 측정센서모듈로부터 유,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받은 교육중 피교육자의 몸체움직임신호를 처리하는 학습태도관리서버를 포함하는 학습효과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피교육자가 교육정보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저장된 교육시스템의 서버에서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자신에 적합한 교육내용을 통신매체와 인증시스템을 통해 자신이 지정한 단말기로 전송받아 교육받은 후 그 학습호응도에 따라 피교육자의 교육성취효과를 평가관리 함으로써, 교육목적의 성취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학습효과 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Education system having a learning effect check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학습효과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교육자가 교육정보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저장된 교육시스템의 서버에서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자신에 적합한 교육내용을 통신매체와 인증시스템을 통해 자신이 지정한 단말기로 전송받아 교육받은 후 그 학습호응도에 따라 피교육자의 교육성취효과를 평가 관리함으로써, 교육목적의 성취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학습효과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교육이라 함은 텍스트뿐만 아니라, 오디오(음성, 음향), 이미지, 비디오 등 전자 모니터상에 표현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내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내용을 전자 모니터 상에 표현하여 진행하는 교육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학교를 포함한 대부분의 교육현장에서는 각자의 능력과 상관없이 같은 수준의 교제와 동일한 학습방법으로 강사가 학습을 진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각각의 교육생들의 수준정도 등이 무시되는 경향이 대부분이었다. 그런데, 근년에는 전자통신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교육을 제공하는 특정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각 교육생들이 자신의 수준에 맞는 온라인교육을 받는 것이 매우 보편화되어 원격 교육을 통해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전문교육을 실행하는 교육현장 예컨대, 의과대학이나 공과대학 혹은 전문연구기관과 같은 교육기관에서 컴퓨터와 이 컴퓨터와 연결된 비디오시스템이 결합된 동영상교육시스템이 널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교육시스템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박남교에 의해 출원공개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01-0090552호(발명의 명칭: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 자료 제공 방법; 공개일: 2001년 10월 18일)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교육시스템의 일례를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다양한 형태의 학습내용을 파일형태로 제작하여 DB(70)에 저장하고 인증된 사용자가 요구하는 파일을 인터넷(71)을 통해 제공하는 관리서버(72)와;
상기 관리서버(72)에 인터넷(71)을 통해 접속하여 인증한후 학습목록에서 자신이 원하는 파일을 다운로드받아 재생시키는 학습자 단말기(73A-N)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교육시스템의 동작은 먼저,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기(73A-N)의 앞에 앉아 인터넷(71)을 통해 자신이 학습받을 인터넷사이트에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71)의 해당 사이트에 접속될 경우 해당 인터넷사이트를 관리하는 관리서버(72)가 초기메뉴화면을 학습자 단말기(73A-N)로 전송하여 표시되게 한다. 그러면, 상기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기(73A-N)를 통해 자신의 식별번호(Identification number, ID)와 인증번호(Password, PW)를 관리서버(72)로 전송하여 인증을 받게 된다. 이때 상기 학습자가 관리서버(72)가 제공한 초기메뉴화면에서 자신이 학습을 원하는 수준의 파일을 클릭할 경우 관리서버(72)는 학습자가 지정한 학습파일을 DB(70)에서 불러내어 해당 학습자 단말기(73A-N)로 전송하여 재생시킨다.
따라서, 상기 학습자 단말기(73A-N)의 디스플레이상에서 재생되는 학습내용을 학습자가 보면서 통상의 온라인학습을 실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교육시스템은 학습자의 학습호응도에 관계없이 학습파일이 재생되는 구조이고, 실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교육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학습효과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더하여, 상기와 같은 종래 교육시스템은 전문교육 학습자 예컨대, 의과대학 학생이나 간호대학 학생에 대한 교육 혹은 의료와 관련된 교육과 같이 범위가 너무 방대하고 전문적일 경우 각 학습대상마다 내용의 수준이 다르고 방법이 다 다르기 때문에 종래의 방법으로 실행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전문교육 학습자들에 대한 처음의 의료교육은 우선 반복되는 단어의 암기 위주의 교육부터 시작되고, 암기교육과 더불어 주입식의 일방적인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경험위주 혹은 문제 해결형(Problem based learning; PBL)의 방식을 도입하고 있으나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시간과 인원이 방대하게 필요하게 되고 한 가지 주제의 PBL을 만들기 위해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종래 교육시스템으로 취급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교육시스템은 지속적인 전문교육이 요구되는 전문분야 예컨대, 의료분야를 한 예로 들면 의과 대학 교육뿐 만 아니라, 의사 자격증 혹은 간호사자격증 혹은 의료기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에도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고 교육의 인증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인 반면, 실제 의료현장에서 체계적인 지식의 교육과 인증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란 어려운 실정인바 이러한 구조를 실제적으로 시스템에 구현하기가 매우 어려웠고, 또한, 교육을 통한 지식을 습득하였다고 하여도 임상 상황에서 적재적소 상황에 맞는 지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경험과 훈련이 필요한데 동질의 경험을 얻기도 어렵거니와 직접적인 경험을 얻기 위해서는 많은 위험요소들도 같이 내재하고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의료지식과 의료 환경에 신속하게 대처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더 나아가, 상기와 같은 종래 교육시스템은 분야에 따라서는 실제의 상황들이 객관식 시험처럼 경우의 수를 고를 수 있는 것이 아닌 또한 단답식의 질문으로 미리 예측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제 상황을 영상으로 연출하여 경험하는 것이 실제 상황을 판단하게 하는 것이 필요한데, 한가지 예로 의료분야의 경우를 들면, 환자가 이상하게 걷고 있는 데 “어느 관절이 이상이 있죠” 라고 한다면 벌써 관절 중에서 한 가지를 고르면 된다는 힌트를 주는 것이 되기 때문에 임상에서는 힌트를 주지 않는 형태의 교육이 진행되어야 하며, 또 환자의 어떤 행동이나 증상을 보고서 판단해야 하는 경우 이를 감지 못한다면 문제를 풀 수 없게 되는 구조인데, 이러한 상황에서 시험문제에서 “이 환자가 이런 증상이 있는데” 라고 제시하는 형태로 교육을 실행할 경우 힌트를 주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CT 검사의 경우 200-400장정도의 영상이미지가 발생하는데, 동영상시스템에서 어느 특정부위 사진한장을 제시 하면서 “이 사진에서 이상은 어디입니까” 할 경우 벌써 한 장으로 압축이 되는 것인 반면, 임상에서는 미리 이상이 있는 사진을 정해주지는 않는 상황이 벌어지므로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 연습하는 것은 힌트가 없는 동영상이나 이미지를 가지고 해결하는 연습이 필요한데, 종래의 교육시스템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발명된 것으로, 피교육자가 인증시스템을 통해 인증한 후 자신에게 맞는 수준별 교육 내용을 선택하여 학습 받게 되고 교육 중에 해당 피교육자의 개별 학습호응도를 검출한 후 그 결과에 따라 피교육자의 교육성취효과를 평가 관리할 수 있는 학습효과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야에 따라서는 동일한 교육에서 학습자를 평가할 때 종래 방법과 같이 피험자가 획일적인 동일한 문제를 접하게 되는 것이 아니라 피험자의 답변에 따라 다음 제시하는 자료가 다르게 되고 그에 따른 후속 문제가 다르게 제공되어 종래의 시험평가 방식과 다르게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상황을 그대로 재현하게 하여 학습효과를 향상시키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의료분야의 경우를 예를 들면, 환자의 상황을 보여 주고 문제 해결 과정을 질문하였을 경우 피험자가 다음 검사를 심전도라고 하거나 간기능 검사라고 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다음 문제에 피험자가 지목하지 않은 항목은 제공하지 않고 피험자가 지목한 것에 해당되는 자료만 제공하고 그 다음의 결정을 다시 질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실제 상황을 가장 잘 반영하는 시험평가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육 중 피교육자가 교육 내용 중 더 자세히 교육받기 또는 더 이해하기를 원하는 항목별정보들을 수집한 후 그 요청된 정보에 맞게 교육 내용을 재구성하여 해당 피교육자의 단말기로 다시 전송하여 학습하게 함으로써, 피교육자의 수준에 맞는 피드백교육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학습효과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인증된 교육자료 제작자가 유,무선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자신의 통신단말기를 통해 피교육자의 레벨에 따라 다양하게 교육자료를 제작하여 전송할 경우 이를 내용별로 정리하여 저장 관리하는 입력자료서버와;
상기 입력자료서버에 저장된 교육자료들을 인증등록하기위해 인증등록 권한을 가지고 있는 담당자서버로 전송한 후 해당 담당자서버로부터 그 검토결과를 전송받아 교육자료정보를 인증등록하거나 혹은 수정변경시키는 교육자료 인증서버와;
유,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인증된 피교육 학습자가 요청하는 교육자료정보를 교육자료 인증서버로부터 로딩받아 해당 요청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재생시키고, 피교육자의 학습호응도를 측정한 후 그 결과를 피교육자들의 개별성적이나 기타 평가자료로 저장관리하는 제어관리서버와;
상기 제어관리서버의 기능제어신호에 따라 피교육자의 단말기상에 구비된 학습호응도 측정센서모듈로부터 유,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받은 교육 중 피교육자의 움직임신호를 처리하는 학습태도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학습효과 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인증된 교육자료 제작자가 유,무선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자신의 통신단말기를 통해 피교육자의 레벨에 따라 다양하게 교육자료를 제작하여 전송할 경우 교육자료 인증서버가 그러한 교육자료들을 인증등록하기위해 인증등록 권한을 가지고 있는 담당자서버로 전송한후 해당 담당자서버로부터 그 검토결과를 전송받아 교육자료정보를 인증등록하거나 혹은 수정변경시키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 후에 제어관리서버가 유,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절차를 거쳐 접속한 피교육 학습자가 요청하는 교육자료정보를 교육자료 인증서버로부터 로딩받아 해당 요청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재생시키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후에 제어관리서버가 유,무선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현재 교육중인 피교육자 단말기에 구비된 인식입력장치로부터 피교육자의 학습호응도를 측정한후 그 결과를 피교육자들의 개별성적이나 기타 평가자료로 저장관리하는 제3 과정을 포함하는 학습효과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피교육자를 평가 테스트하는 경우, 본 발명은 제시한 평가 문제에 대해 피교육자의 응답을 수신하고 피교육자의 응답에 따라 적응적으로 다음 평가 문제를 제시하는 제4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제시한 문제에 대해 피교육자의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에 따라서 해당 응답에 연관된 다음 자료 또는 평가 문제를 교육자료 인증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다시 해당 피교육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속적인 평가 문제에 대하여 피교육자의 응답 내용을 수신하여 적응적으로 평가 문제 제공 및 응답 수신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의료용 문제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한 환자의 장면을 보여주고 이 장면을 보고 다음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문제나 나올 때, 피교육자가 소변검사라고 응답하면 소변검사에 해당되는 자료 혹은 이와 연관된 다음 문제를 서버에서 수신하여 피교육자에게 다음 문제를 다시 제시할 수 있다). 또는, 연관된 다음 자료 또는 평가 문제에 대한 평가가 끝난 경우에는 다른 문제로 넘어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저장된 교육내용 중 자신에 적합한 교육내용을 피교육자가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통신매체와 인증시스템을 통해 자신이 지정한 단말기로 전송받아 교육받은 후 그 학습호응도에 따라 피교육자의 교육성취효과를 평가 관리함으로써, 교육목적의 성취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학습자의 수준별로 학습내용을 재구성하여 제공하는 교육시스템이기 때문에 여러 기관에서 같은 교육을 하기 위해서 인력, 장소, 교육내용의 제작, 시간의 중복투자 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에 따라 학습준비비용을 상당히 저감시킬 수 있고, 기존의 단조로운 문장형식의 교육내용을 각종 영상 매체 혹은 오디오(음성, 음향), 텍스트, 이미지 등을 포함한 교육내용으로 복합처리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학습자가 현장감있는 내용을 간접적으로 경험을 하게 함으로써 피교육자에게 교육효과를 높일뿐만아니라 피교육자도 본인이 가장 이해하기 쉬운 본인에게 맞는 양질의 교육내용을 자신이 선택함으로써, 교육내용을 이해하는데 시간과 노력을 경제적으로 배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야에 따라서는 일반 시험 방법처럼 동일한 수준의 피험자 군에 동일한 문제가 제시되는 방식을 탈피하여 피험자의 응답에 따라 적응적으로 다음 문제가 선택되게 하고, 문장에 이미 어느 정도의 힌트가 있거나 답변할 범위가 좁혀지는 상황을 탈피하여 현장에서 일어나는 상황과 거의 근접한 상태의 문제 제시 방식을 제시함으로써 시험만 잘보고 실제로는 현장에서 잘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를 구분하고 실제 상황에 좀 더 잘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예컨대 의료 분야에 적용하는 경우 환자나 환자가족의 경우 의료진으로 부터 기대하는 설명이나 교육 중 실제상황에서 부족한 부분을 채울 수 있기 때문에 의료진과 환자가족, 환자간의 마찰을 줄이고 의료 효과를 높이는데 상당한 역할을 할 수 있고, 교육자의 측면에서도 동일한 교육내용을 계속 반복하는 것을 줄이고 또한 피교육자 혹은 환자로부터 이해가 부족한 면에 대한 Feedback을 동적으로 받기 때문에 이 부분을 개선하여 교육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강의실에서 제한된 시간에 다양한 이해정도와 수준을 달리하는 피교육자를 동시에 만족하게 강의하기가 어려운데, 동일한 내용을 다양한 각도로 제작함으로써, 모든 피교육자의 눈높이에 맞는 여러 가지 수준별 내용을 만들어 제공하므로 그에 따라 최상의 교육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교육시스템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학습효과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 시스템이 적용되는 학습자 단말기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 실시예는 인증된 교육자료 제작자가 유,무선네트워크(1,2)를 경유하는 자신의 통신단말기(3A-N)를 통해 피교육자의 레벨에 따라 다양하게 교육자료를 제작하여 전송할 경우 이를 내용별로 정리하여 DB(4)에 저장관리하는 입력자료서버(5)와;
상기 입력자료서버(5)의 DB(4)에 저장된 교육자료들을 인증등록하기위해 인증등록 권한을 가지고 있는 담당자서버(6)로 전송한 후 해당 담당자서버(6)로부터 그 검토결과를 전송받아 교육자료정보를 인증등록하거나 혹은 수정변경시키는 교육자료 인증서버(7)와;
상기 유,무선네트워크(1,2)를 통해 인증된 피교육 학습자가 요청하는 교육자료정보를 교육자료 인증서버(7)로부터 로딩받아 해당 요청자의 단말기(3A-N)로 전송하여 재생시키고, 피교육자의 학습호응도를 측정한 후 그 결과를 피교육자들의 개별성적이나 기타평가자료로 저장관리하는 제어관리서버(8)와;
상기 제어관리서버(8)의 기능제어신호에 따라 피교육자의 단말기(3A-N)상에 구비된 인식입력장치(9) 혹은 검출센서(10A-N)로부터 유,무선네트워크(1,2)를 통해 전송받은 교육중 피교육자의 몸체움직임신호를 처리하는 학습태도관리서버(11)와;
상기 제어관리서버(8)의 기능제어신호에 따라 교육 중 또는 교육 후 피교육자의 단말기(3A-N)에 영상, 오디오(음성, 음향) 또는 텍스트방식으로 제공되는 교육평가테스트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그 응답데이터를 수집처리하는 교육평가서버(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교육평가서버(12)는 피교육자의 응답을 수신하여 응답에 연관된 자료 또는 다음 연결된 문제를 교육자료인증 서버에서 추출하여 다시 피교육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피교육자의 응답에 따라 적응적으로 다음 자료 또는 평가 문제를 제시할 수 있다. 교육평가서버(12)는 피교육자로부터 적응적으로 자료 또는 문제를 제시하고 응답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피교육자는 의료인일 수도 있고, 다른 분야의 종사자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피교육자가 의료인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인식입력장치(9)에는 피교육 학습자의 단말기(3A-N)상에 구비된 PC카메라(13), 혈관지도 인식센서(10N), 마우스(14), 마이크로폰(15) 및 지문인식센서(10A)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내용별 분류는 제목의 대분류 소분류 등등, 제안자, 날짜를 포함한 모든 분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관리서버(8)는 상기 교육자료정보를 다운로드 또는 억세스하기 위해 접근하는 학습자가 일정한 요건을 갖추거나 혹은 인증된 자격을 갖춘 자인지를 인증하는 기능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관리서버(8)는 피교육 학습자에 대해 본인 혹은 학습자가 속한 기관서버(도시안됨)에서 학습자 본인의 허락하에 개인 정보를 포함한 인증등록정보를 자신의 학습자 단말기(3A-N)를 통해 제어관리서버(8)에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예컨대, 상기와 같은 피교육 학습자 인증등록정보 등록시 디지털 생체 정보(홍채인식, 지문인식, 얼굴인식, 음성인식, 손바닥의 혈관지도인식 등), RFID CARD발급, 인증번호, ID, PW, 그 외 개인의 사적인 정보(예를 들어 주민번호, 가족의 이름, 고향정보) 등의 고유 식별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한다,
더 나아가, 상기 학습태도관리서버(11)는 교육중 단말기 상에 구비된 검출센서(홍채, 마우스, 움직임검출센서 등)을 통해 피교육자의 학습호응도를 측정하고(이때 돌발 퀴즈를 내어 피교육자가 정상적으로 답변하는 지를 확인할 수도 있음) 그 학습호응도의 결과를 피교육자들의 개별 성적이나 기타평가에 반영할 수 있다.
교육 후에 해당교육에 해당되는 평가는 피교육자의 레벨과 학습의 목적에 따라서 제어부관리서버에서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즉시 피교육자의 단말기를 통해 시험을 치르거나 혹은 일정한 장소에서 정해진 단말기에서 일정한 시간에 시험을 치르게 할 수 있다. 해당 교육에 대한 평가로서 필기시험, 현장 실기 또는 면접 시험 등이 정해져 있는 경우 피교육자에게 이를 공지할 수 있다. 제어부관리서버는 피교육자의 단말기로 시험에 대한 평가 내용을 즉시 통보하거나 혹은 정해진 시간에 통보할 수 있으며, 제어부관리서버에 저장된 평가 내용을 학습목적과 시험의 목적에 따라 피험자 혹은 피험자의 해당 부서의 단말기로 전자메일 또는 우편으로 전송 통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교육자는 필기시험, 현장 실기 또는 면접 시험 등 오프라인 상에서 피교육자를 평가할 수 있고, 평가 결과를 제어부관리서버에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제어관리서버(8)는 교육자료정보를 다운로드받아 재생하는 중에 피교육 학습자가 교육자료정보 내용중 더 교육받기를 원하거나 더 이해하기를 원하는 항목별정보들을 제어관리서버로 요청할 경우 제어관리서버가 그 요청에 맞게 교육자료정보를 재구성하여 해당 피교육자의 단말기(3A-N)로 다시 전송하여 학습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관리서버(8)는 피교육 학습자 단말기(3A-N)가 학습자료정보를 전송하여 재생할 시 그 재생되는 데이터가 현재 무단복제되고 있는 지를 계속 체킹한 후 무단복제 시도시 재생기능을 중지하여 무단복제를 방지시키는 기능이 구비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초기상태(S1)에서 인증된 교육자료 제작자가 유,무선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자신의 통신단말기를 통해 피교육자의 레벨에 따라 다양하게 교육자료를 제작하여 전송할 경우 교육자료 인증서버가 그러한 교육자료들을 인증등록하기위해 인증등록 권한을 가지고 있는 담당자서버로 전송한후 해당 담당자서버로부터 그 검토결과를 전송받아 교육자료정보를 인증등록하거나 혹은 수정변경시키는 제1 과정(S2)과;
상기 제1 과정(S2)후에 제어관리서버가 유,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절차를 거쳐 접속한 피교육 학습자가 요청하는 교육자료정보를 교육자료 인증서버로부터 로딩받아 해당 요청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재생시키는 제2 과정(S3)과;
상기 제2 과정(S3)후에 제어관리서버가 유,무선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현재 교육중인 피교육자 단말기에 구비된 인식입력장치로부터 피교육자의 학습호응도를 측정한후 그 결과를 피교육자들의 개별성적이나 기타 평가자료로 저장관리하는 제3 과정(S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피교육자를 평가 테스트하는 경우, 본 발명은 제시한 평가 문제에 대해 피교육자의 응답을 수신하고 피교육자의 응답에 따라 적응적으로 다음 평가 문제를 제시하는 제4 과정(S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제시한 문제에 대해 피교육자의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에 따라서 해당 응답에 연관된 다음 자료 또는 평가 문제를 교육자료 인증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다시 해당 피교육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속적인 평가 문제에 대하여 피교육자의 응답 내용을 수신하여 적응적으로 평가 문제 제공 및 응답 수신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또는, 연관된 다음 자료 또는 평가 문제에 대한 평가가 끝난 경우에는 다른 문제로 넘어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과정(S4)에는 교육자료정보를 다운로드받아 재생하는 중에 피교육 학습자가 교육자료정보 내용중 더 교육받기를 원하거나 더 이해하기를 원하는 항목별정보들을 제어관리서버로 요청할 경우 제어관리서버가 그 요청에 맞게 교육자료정보를 재구성하여 해당 피교육자의 단말기로 다시 전송하여 학습시키는 추가정보전송과정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과정(S3)에는 제어관리서버가 피교육 학습자의 인증등록정보를 등록할 경우 디지털 생체 정보(홍채인식, 지문인식, 얼굴인식, 음성인식, 손바닥의 혈관지도인식 등), RFID CARD발급, 인증번호, ID, PW, 그 외 개인의 사적인 정보(예를들어 주민번호, 가족의 이름, 고향정보) 등의 고유 식별에 도움이 되는 정보중 어느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신호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인증절차관리단계를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3 과정(S4)에는 제어관리서버가 학습태도 관리서버를 경유하여 교육중 단말기상에 구비된 검출센서(홍채, 마우스, 움직임검출센서 등)을 통해 피교육자의 학습호응도를 측정하고(이때 돌발 퀴즈를 내어 피교육자가 정상적으로 답변하는 지를 확인할 수도 있음) 그 학습호응도의 결과를 피교육자들의 개별성적이나 기타평가에 반영하는 학습호응도 구체측정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과정(S2)에는 교육자료 정보의 제작, 제작형태 혹은 교육자료 채택 등의 여부를 등록된 인원으로 구성된 예컨대, 교육위원회(혹은 감독기관)서버를 경유하여 제목별로 특성화된 담당자에게 전송한 후 채택이나 수정변경에 대한 내용을 결정 하도록 하는 제1-1단계와;
상기 제1-1단계후에 담당자들이 그 전송받은 교육자료정보를 평가한 후 그 내린 결정정보를 교육위원회서버로 전송하는 제1-2단계와;
상기 제1-2단계후에 교육위원회서버로부터의 합격 혹은 부적절 혹은 수정 결정정보에 따라서, 해당 교육자료정보를 교육자료서버에 보관하고 그 나머지 수정 혹은 부적절 내용들을 다시 제작자 혹은 제출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3단계를 더 포함한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하려면, 먼저, 본 발명시스템(16)의 제어관리서버(8)의 기능제어신호에 따라 입력자료서버(5)가 인증된 교육자료 제작자로부터 유,무선네트워크(1,2)를 경유하는 자신의 통신단말기(3A-N)를 통해 피교육자의 레벨에 따라 다양하게 교육자료를 제작하여 전송받게 될 경우 이를 내용별로 정리하여 예컨대, 해당 교육자료를 제목의 대분류 소분류 등등, 제안자, 날짜를 포함한 모든 분류 등으로 분류한 후 DB(4)에 저장관리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관리서버(8)의 기능제어를 받는 교육자료 인증서버(7)는 상기 입력자료서버(5)의 DB(4)에 저장된 교육자료들을 인증등록하기위해 인증등록 권한을 가지고 있는 담당자서버(6)로 전송한 후 인증 결과를 해당 담당자서버(6)로부터 전송받아서 교육자료정보를 인증등록하거나 혹은 해당 자료제작자에게 피드백하여 수정변경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어관리서버(8)는 교육자료 인증서버(7)를 통해 교육자료정보의 제작, 제작형태 혹은 교육자료 채택 등의 여부를 등록된 인원으로 구성된 예컨대, 교육위원회 혹은 감독기관서버(17)를 경유하여 제목별로 특성화된 담당자에게 전송한 후 채택이나 수정변경에 대한 내용을 결정 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관리서버(8)는 상기 담당자들이 그 전송받은 교육자료정보를 평가한 후 그 내린 결정정보를 교육위원회서버(17)로 전송해줌에 따라 교육위원회서버(17)에서 처리되어 해당 교육자료정보에 대해 합격 혹은 부적절 혹은 수정 결정정보가 산출될 경우 해당 교육자료정보를 교육자료 인증서버(7)에 보관하는 한편, 그 나머지 수정 혹은 부적절 내용이 있는 교육자료정보들에 대해서는 다시 제작자 혹은 제출자 단말기(도시안됨)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과정 중에 특정 분야의 피교육 학습자 특히, 교육자료정보를 다운로드받기를 원하는 학습자들은 자신의 단말기(3A-N)를 통해 제어관리서버(8)에 접속한후 피교육 학습자 본인 혹은 학습자가 속한 기관서버(도시안됨)에서 학습자 본인의 허락 하에 개인 정보를 포함한 인증등록정보를 등록하고 부여받은 인증등록정보를 제어관리서버(8)에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와 같이 피교육 학습자 인증등록정보를 제어관리서버(8)에 등록할 경우 상기 제어관리서버(8)는 인식입력장치(9)를 통해 디지털 생체 정보(홍채인식, 지문인식, 얼굴인식, 음성인식, 손바닥의 혈관지도인식 등), RFID CARD발급, 인증번호, ID, PW, 그 외 개인의 사적인 정보(예를 들어 주민번호, 가족의 이름, 고향정보) 등의 고유 식별에 도움이 되는 정보 등을 입력받아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피교육 학습자는 예를 들면, 의과대학 학생, 간호대학학생, 약학대학학생과 같이 전문적인 의료와 관련된 교육을 받는 자들과 같이 인증이 반드시 필요한 특수한 경우에 상기 제어관리서버(8)는 해당 학습자가 일정한 요건을 갖추거나 혹은 인증된 자격을 갖춘 자인지를 인증등록정보를 통해 정밀하게 인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과정 중 만약, 피교육 학습자가 자신의 단말기(3A-N)를 통해 원하는 교육자료정보를 다운로드받기를 원할 경우 상기 제어관리서버(8)는 피교육 학습자의 단말기(3A-N)에 구비된 인식입력장치(9)를 통해 인증등록정보를 입력받는 인증절차를 실행하게된다.
즉, 상기 제어관리서버(8)는 피교육 학습자의 단말기(3A-N)의 인식입력장치(9)를 통해 ID(Identification number)와 PW(password)를 입력받거나 혹은 RFID card 신호를 전송받거나 또는 홍채인식카메라(13)를 통해 홍채인식한 신호를 전송받거나 혹은 지문인식센서(10A)를 통해 지문정보를 전송받거나 또는 얼굴인식카메라(13)를 통해 얼굴윤곽정보를 촬상하여 전송받거나 혹은 마이크로폰(15)을 통해 음성을 읽어 전송받거나 혹은 혈관지도인식센서(10N)를 통해 손바닥 혈관지도를 인식하여 전송받은 후 이들 인증등록정보를 기저장된 인증등록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제어관리서버(8)는 그 인증여부를 학습자의 단말기(3A-N)로 통보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와 같은 인증에 실패한 경우 재입력 받도록하고 일정횟수 이상 계속 실패할 경우 더 이상의 입력을 불허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담당자에게 연락하도록 단말기(3A-N)를 통해 알려준다,
여기서, 상기 인증과정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어관리서버(8)는 기등록된 관리 감독자가 있어 현장에서 관리하는 상태의 일부 모니터에 대해서는 인증절차의 일부 (예 ; ID, PW)만 입력하고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교육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정을 통해 인증된 피교육학습자들은 원하는 여러 교육자료정보중 본인의 신분 혹은 목적에 따른 허락되는 교육수준에 해당되는 내용 예를 들어, 의사의 경우 의사 수준에 해당되는 교육자료정보를 선택하여 입력 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관리서버(8)는 유,무선네트워크(1,2)를 통해 인증절차를 거쳐 접속한 피교육 학습자가 요청하는 예를 들면, 피교육자가 의사인 경우는 의사 수준에 맞는 교육자료정보를 교육자료 인증서버(7)로부터 로딩받아 해당 요청자의 단말기(3A-N)로 전송하여 재생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관리서버(8)는 학습태도관리서버(11)를 통해 유,무선네트워크(1,2)를 경유하여 현재 교육중인 피교육자 단말기(3A-N)에 구비된 인식입력장치(9) 혹은 검출센서(10A-N)로부터 유,무선네트워크(1,2)를 통해 전송받은 교육중 피교육자의 몸체움직임신호를 처리한다.
즉, 상기 제어관리서버(8)는 학습도중에 학습에 대한 충실도를 평가해야 할지를 학습자의 신분과 목적, 교육내용에 따라서 결정한다. 예를 들어, 교육자료의 내용을 중요도에 따라 구분하고 교육자료에 포함된 내용 중 충실도를 평가해야 할 특정 내용 부분을 미리 정하고, 해당 부분에서 충실도를 평가해야할 학습자의 신분을 정할 수 있다. 의료 분야의 경우를 예를 들면, 교육자료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들을 중요도에 따라 수개의 단계로 구분하여 지정하고, 제1 단계로 지정된 내용이 재생되고 있는 경우에서는 간호사 및 의대 학생의 충실도를 평가하도록 하고, 제2 단계로 지정된 내용이 재생되고 있는 경우에는 간호사, 의대 학생 및 인턴의 충실도를 평가하도록 하며, 제3 단계에서는 간호사, 의대 학생, 인턴 및 레지던트의 충실도를 평가하도록 한다. 또는 특정 단계에서 특정 학습자의 신분만 충실도를 평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어관리서버(8)는 학습 충실도 평가해야 하는 경우, 학습도중 홍채의 움직임, 얼굴의 움직임 일정단어를 읽게 하는 등 이번 인증 절차 시에 입력된 data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한 후 상기 학습태도관리서버(11)를 통하여 평가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학습태도관리서버(11)는 그 이외 일정 중간에 피교육 학습자의 단말기(3A-N)에 구비된 마우스(14)를 특정부위를 클릭하도록 요구하고 그 응답정보를 받던지, 학습자의 신분이 맞다면 그가 인지하고 있을만한 내용으로 질문하여 당사자가 계속 강의에 열심히 참여하는 지를 검증평가하여 제어관리서버(8)로 전송한다.
이때, 만약 상기 학습자 호응도 측정과정 중에 상기 제어관리서버(8)는 현재의 학습자가 홍채나 다른 생체 정보가 이번 학습 시작 전 인증 시와 다를 경우 다시 한번 더 인증하도록 요구하고 그 후에도 입력한 인증정보와 다른 경우 불량학습자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관리서버(8)는 현재 실행되는 학습을 중지시키고 정도에 따라서는 이 학습 시스템을 지정된 단말기에서만 시행하도록 하여 철저한 관리감독을 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과정중에 피교육 학습자가 교육자료정보 내용 중 더 교육받기를 원하거나 더 이해하기를 원하는 항목별정보들을 제어관리서버(8)로 요청할 경우 상기 제어관리서버(8)는 그 요청에 맞게 교육자료정보를 재구성하여 해당 피교육자의 단말기(3A-N)로 다시 전송하여 학습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관리서버(8)는 피교육 학습자가 교육내용에 대한 이해도, 충실도, 내용의 성실성, 선호도, 전문성의 수준 등 다양한 면에서 평가하고, 이해되지 않는 점, 추가 요구 사항 등을 전송받을 경우 이 평가내용을 교육자료 인증서버(7)와 예컨대, 자료제작을 감독한 교육위원회서버(17)로 통보하여 해당내용을 검토한 후 타당성을 결정한 다음 해당 제작자에게 통보하여 조치되게 한다.
한편 상기 과정중에 제어관리서버(8)는 교육 후의 평가를 할 경우 교육의 종류와 목적, 학습자에 따라서 하지 않거나 offline test 혹은 online test로 나누어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관리서버(8)는 교육평가서버(12)를 통해 교육평가를 결정하여 진행하되, offline test의 경우 시험날짜와 장소를 해당 학습자의 단말기(3A-N)로 통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학습자는 자신의 단말기(3A-N)를 통해 offline test의 날짜 와 장소를 통지 받고 내용을 통지 받았다는 확인 내용을 제어관리서버(8)로 전송한다.
반면에 상기 제어관리서버(8)는 online test를 할 경우 교육의 내용과 목적, 학습자에 따른 평가 test를 매칭하여 실시한다, 이때 상기 online test의 경우 감독자가 있는 경우 인증절차의 일부 예를 들면, ID와 PW 혹은 그 이상의 몇 가지방식을 조합하여 인증절차를 진행하지만 감독자 없이 학습자가 자신의 단말기(3A-N)상에서 test할 경우 시험의 종류와 목적에 따라서 단말기(3A-N)의 카메라(13)상에 타인이 있는 지를 실시간으로 촬상하여 전송하게 한 후 학습자 혼자 응시여부를 확인한다. 이 과정에서 만약 학습자이외의 대상자가 추가로 있는 경우 상기 제어관리서버(8)는 시험을 중단하고 무효화 할 수 있고 학습자의 단말기(3A-N)로 무효통지를 할 수 있으며 다음지시사항을 전달한 후 시험보는 학습자가 내용을 전달받음을 제어관리서버(8)로 전송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시험의 예로는 1) 일반 text 혹은 화면상의 문제에 대한 선택형이거나 기술형인 경우는 해당 부분에 답을 입력하여서 제어관리서버(8)로 전송할 경우 정답 오답을 판단처리하면 된다. 2) 예를 들면, 흉부 X 선 검사 등과 같이 영상에 대한 부위를 test할 경우 일정부위를 지적해야 할 때가 있는데, 학습자의 단말기(3A-N)상의 공간적 좌표 값에 대한 자료를 취급하기 위해 설계된 정보시스템(도시안됨) 및 데이터베이스 시스템(도시안됨)을 공간좌표 정보시스템(도시안됨)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공간좌표 정보시스템은 공간좌표정보를 수집, 저장, 갱신, 처리, 분석 또는 표현하기 위해 구축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색자료 등 이미지자료 등의 통합체를 말하는 것으로서, 특정 공간좌표정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학습자의 단말기(3A-N)상의 객체는 점(point), 모양(선도, 색 구분, 색흐림 등), 형상, 색채, 폴리곤(polygon), 면(area)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분류되고 표현될 수 있는 공간 객체(spatial objects)를 말한다. 이들 점, 모양, 형상, 색채, 폴리곤, 면 또는 이들의 결합은 공간객체가 되며 이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 객체 영상 판독서버(도시안됨)에 연계하여 학습자가 해당 부위 또는 영역을 지적할 경우 객체 영상 판독서버(도시안됨)에 전송하고 정답과 오답을 판단하여 제어관리서버(8)로 전송하여 처리한다. 더 나아가, 상기 시험이 동영상 문제인 경우 일부 특정 시간에 해당부위를 지적해야 하는 데, 동영상 판독프로그램에 기록된 정답 시간을 학습자가 자신의 단말기(3A-N)상에 기술한 공간객체에서 동일하게 지적하였을 경우 시간과 위치에 따라서 정답과 오답으로 판독하여 처리한다.
피교육자를 평가 테스트하는 경우, 분야와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은 제시한 평가 문제에 대해 피교육자의 응답을 수신하고 피교육자의 응답에 따라 적응적으로 다음 평가 문제를 제시할 수 있다.(의료용 문제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한 환자의 장면을 보여주고 이 장면을 보고 다음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문제나 나올 때, 피교육자가 소변검사라고 응답하면 소변검사에 해당되는 자료 혹은 이와 연관된 다음 문제를 서버에서 수신하여 피교육자에게 다음 문제를 다시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속적인 평가 문제에 대하여 피교육자의 응답 내용을 수신하여 적응적으로 평가 문제 제공 및 응답 수신 과정을 반복하거나 또는, 연관된 다음 자료 또는 평가 문제에 대한 평가가 끝난 경우 다른 문제로 넘어가는 테스트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관리서버(8)는 학습자에 대한 시험평가자료를 즉시 학습자의 단말기(3A-N)로 혹은 후에 정해진 방식으로 통보하고 대그룹 내 혹은 소그룹 내 혹은 전체 등 다양 그룹 내의 rank를 알려주고 혹은 반복하여 시험하였을 경우 이전의 결과와의 변화를 비교하여 전달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관리서버(8)는 시험결과가 해당 학습자의 교육내용 목적의 기준 미달 시는 재수강하도록 통보한다.
한편, 상기 제어관리서버(8)는 피교육 학습자 단말기(3A-N)가 학습자료정보를 전송하여 재생할 시 그 재생되는 데이터가 현재 무단복제되고 있는 지를 계속 체킹한 후 무단복제 시도 시 재생기능을 중지하여 무단복제를 방지시키는 기능이 구비된다.
상기 교육내용에 대한 보안과 복사방지방법은 다음과 같다.
예컨대, 상기 교육내용은 많은 인원과 시간이 소요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일반인에게 노출되어서는 안 되는 내용이 있으며 시험 내용 등은 공개 할 수 없는 내용들이 있어서 보안과 복사방지가 절대로 필요하다, 이 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교육이나 test의 종류에 따라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 중 하나 혹은 그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1) 단말기상의 카메라(13)을 이용하여 교육내용이나 시험의 종류, 중요도에 따라서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교육현장의 사진이나 동영상을 제어관리서버(8)로 전송하거나
2) DRM을 이용한 모니터 복사 방지 시스템(도시안됨)을 사용하거나
3) 학습자 단말기(3A-N)에 구비된 오른쪽 마우스 클릭방지를 사용하거나
4) USB port가 없고 monitor port가 고정된 학습자 단말기(3A-N)를 사용하거나
5) 지정된 장소에서 감독관의 입회하에 교육 혹은 시험을 진행하거나
6) 전송되는 교육내용의 중간에 스트리밍(streaming)에 보이지 않는 code, 이미지, 메시지를 삽입하는 기술을 적용하여 나중에 내용이 유통될 시 해당 교육 학습자의 책임이 있다는 점을 고지하여 미연에 방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1 : 유선네트워크 2 : 무선네트워크
3A-N: 통신단말기 4 : DB
5 : 입력자료서버 6 : 담당자서버
7 : 교육자료 인증서버 8 : 제어관리서버
9 : 인식입력장치 10A-N: 검출센서
11: 학습태도관리서버 12: 교육평가서버
13: PC카메라 14: 마우스
15: 마이크로폰 16: 교육시스템
17: 감독자서버

Claims (15)

  1. 인증된 교육자료 제작자가 유,무선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자신의 통신단말기를 통해 피교육자의 레벨에 따라 다양하게 교육자료를 제작하여 전송할 경우 이를 내용별로 정리하여 저장관리하는 입력자료서버와;
    상기 입력자료서버에 저장된 교육자료들을 인증등록하기위해 인증등록 권한을 가지고 있는 담당자서버로 전송한후 해당 담당자서버로부터 그 검토결과를 전송받아 교육자료정보를 인증등록하거나 혹은 수정변경시키는 교육자료 인증서버와;
    상기 유,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인증된 피교육 학습자가 요청하는 교육자료정보를 교육자료 인증서버로부터 로딩받아 해당 요청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재생시키고, 피교육자의 학습호응도를 측정한후 그 결과를 피교육자들의 개별성적이나 기타평가자료로 저장관리하는 제어관리서버와;
    상기 제어관리서버의 기능제어신호에 따라 피교육자의 단말기상에 구비된 학습호응도 측정센서모듈로부터 유,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받은 교육중 피교육자의 움직임신호를 처리하는 학습태도관리서버를 포함하는 학습효과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관리서버에는 피교육자의 단말기상에 구비된 각종인식입력장치를 통해 교육중 제어관리서버로부터 피교육자에게 영상, 오디오(음향, 음성) 또는 텍스트 방식으로 제공되는 교육평가테스트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그 응답데이터를 수집처리하여 다시 제어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교육평가서버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효과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입력장치에는 피교육 학습자의 단말기상에 구비된 PC카메라, 혈관지도 인식센서, 마우스, 마이크로폰 및 지문인식센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효과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관리서버는 교육자료정보를 다운로드받기위해 접근하는 학습자가 일정한 요건을 갖추거나 인증된 자격을 갖춘 자인지를 인증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효과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관리서버는 피교육 학습자에 대해 본인 혹은 학습자가 속한 기관서버를 경유하여 학습자 본인의 허락하에 개인 정보를 포함한 인증등록정보를 자신의 학습자 단말기를 통해 제어관리서버에 등록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효과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등록정보는 등록할 경우 디지털 생체 정보(홍채인식, 지문인식, 얼굴인식, 음성인식, 손바닥의 혈관지도인식 포함), RFID CARD발급, 인증번호, ID, PW 및 개인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효과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태도관리서버는 교육중 단말기상에 구비된 검출센서(홍채, 마우스, 움직임검출센서 포함)를 통해 피교육자의 학습호응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효과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관리서버는 교육자료정보를 다운로드받아 재생하는 중에 피교육 학습자가 교육자료정보 내용중 더 듣기를 원하거나 더 이해하기를 원하는 항목별정보들을 제어관리서버로 요청할 경우 제어관리서버가 그 요청에 맞게 교육자료정보를 재구성하여 해당 피교육자의 단말기로 다시 전송하여 학습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효과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관리서버는 피교육 학습자 단말기가 학습자료정보를 전송하여 재생할 시 그 재생되는 데이터가 현재 무단복제되고 있는 지를 계속 체킹한 후 무단복제시도시 재생기능을 중지하여 무단복제를 방지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효과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
  10. 인증된 교육자료 제작자가 유,무선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자신의 통신단말기를 통해 피교육자의 레벨에 따라 다양하게 교육자료를 제작하여 전송할 경우 교육자료 인증서버가 그러한 교육자료들을 인증등록하기위해 인증등록 권한을 가지고 있는 담당자서버로 전송한후 해당 담당자서버로부터 그 검토결과를 전송받아 교육자료정보를 인증등록하거나 혹은 수정변경시키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후에 제어관리서버가 유,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절차를 거쳐 접속한 피교육 학습자가 요청하는 교육자료정보를 교육자료 인증서버로부터 로딩받아 해당 요청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재생시키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후에 제어관리서버가 유,무선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현재 교육중인 피교육자 단말기에 구비된 인식입력장치로부터 피교육자의 학습호응도를 측정한 후 그 결과를 피교육자들의 개별성적이나 기타평가자료로 저장관리하는 제3 과정을 포함하는 학습효과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에는 교육자료정보를 다운로드받아 재생하는 중에 피교육 학습자가 교육자료정보 내용중 더 듣기를 원하거나 더 이해하기를 원하는 항목별정보들을 제어관리서버로 요청할 경우 제어관리서버가 그 요청에 맞게 교육자료정보를 재구성하여 해당 피교육자의 단말기로 다시 전송하여 학습시키는 추가정보전송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효과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에는 제어관리서버가 피교육 학습자의 인증등록정보를 등록할 경우 홍채인식, 지문인식, 얼굴인식, 음성인식, 손바닥의 혈관지도인식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생체정보, RFID CARD발급, 인증번호, ID(식별신호), PW(패스워드) 및 개인 고유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신호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인증절차관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효과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에는 제어관리서버가 학습태도관리서버를 경유하여 교육중 단말기상에 구비된 홍채, 마우스 및 움직임검출센서를 포함하는 검출센서를 통해 피교육자의 학습호응도를 측정하고 그 학습호응도의 결과를 피교육자들의 개별성적이나 기타평가에 반영하는 학습호응도 구체측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효과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정에는 교육자료정보의 제작, 제작형태 혹은 교육자료 채택등의 여부를 등록된 인원으로 구성된 감독기관서버를 경유하여 제목별로 특성화된 담당자에게 전송한후 채택이나 수정변경에 대한 내용을 결정 하도록 하는 제1-1단계와;
    상기 제1-1단계후에 담당자들이 그 전송받은 교육자료정보를 평가한후 그 내린 결정정보를 교육위원회서버로 전송하는 제1-2단계와;
    상기 제1-2단계후에 교육위원회서버로부터의 합격 혹은 부적절 혹은 수정 결정정보에 따라서, 해당 교육자료정보를 교육자료서버에 보관하고 그 나머지 수정 혹은 부적절 내용들을 다시 제작자 혹은 제출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3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효과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제어관리서버의 기능제어신호에 따라 교육 중 또는 교육 후 피교육자의 단말기에 영상, 음성, 텍스트방식으로 제공되는 교육평가테스트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제공한 교육평가테스트 문제에 대해 피교육자의 응답을 수신하여 피교육자의 응답에 따라 적응적으로 다음 교육평가테스트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효과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20128547A 2012-11-14 2012-11-14 학습효과 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41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547A KR101441196B1 (ko) 2012-11-14 2012-11-14 학습효과 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3/010254 WO2014077566A1 (ko) 2012-11-14 2013-11-13 학습효과 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547A KR101441196B1 (ko) 2012-11-14 2012-11-14 학습효과 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209A true KR20140062209A (ko) 2014-05-23
KR101441196B1 KR101441196B1 (ko) 2014-09-18

Family

ID=5073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547A KR101441196B1 (ko) 2012-11-14 2012-11-14 학습효과 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1196B1 (ko)
WO (1) WO2014077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80304A (zh) * 2014-12-25 2015-06-03 曹进 一种情境式教学系统
CN104882040B (zh) * 2015-05-15 2017-08-04 潍坊科技学院 应用于汉语言教学的智能系统
CN104881738B (zh) * 2015-05-15 2018-02-09 殷彩艳 应用于思想政治教学的智能系统
CN106534237B (zh) * 2015-09-11 2021-10-15 郭向阳 一种针对课程修改用户信息的方法及装置
KR101770817B1 (ko) * 2015-12-28 2017-08-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학습자를 위한 주의집중 판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39716B1 (ko) * 2018-12-20 2020-07-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Tbm 운용 시뮬레이션 장비 및 이를 이용하여 tbm 기기 운용 능력을 측정하는 방법
KR102194240B1 (ko) 2020-02-10 2020-12-23 (주)혜윰아이씨티 실시간 대화형 영상원격기술을 통한 지식거래플랫폼시스템
KR102270903B1 (ko) * 2020-11-19 2021-06-30 최준석 발레교육 운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9545A (ja) * 2001-09-25 2003-04-04 Sharp Corp 教科書配布装置,教科書配布システム,教科書配布方法,教科書配布プログラム,教科書配布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教科書表示システム
JP2006308815A (ja) * 2005-04-27 2006-11-09 Contec Lab:Kk 電子学習システム及び電子システム
KR101040835B1 (ko) * 2008-06-04 2011-06-14 주식회사 타임스코어 쌍방향 맞춤형 온라인 교육 오픈 마켓 플레이스 운영 방법
KR20110058419A (ko) * 2009-11-26 2011-06-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온/오프라인 연계 기반의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20065111A (ko) * 2010-12-10 2012-06-20 박찬시 몰입도 평가 기반 맞춤형 온라인 학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77566A1 (ko) 2014-05-22
KR101441196B1 (ko) 201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196B1 (ko) 학습효과 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ucas et al. Credentialing of hospitalists in ultrasound‐guided bedside procedures: a position statement of the Society of Hospital Medicine
Gunn et al. The use of virtual reality computed tomography simulation within a medical imaging and a radiation therapy undergraduate programme
Christopoulos et al. The effects of augmented reality‐supported instruction in tertiary‐level medical education
Vestal et al. Engaging students with patient safety in an online escape room
Farrow et al. Assessment and recognition of MOOCs: The state of the art
Minty et al. The use of mixed reality technology for the objective assessment of clinical skills: a validation study
Weingardt et al. Translating research into practice: the role of web-based education
Eitner et al. Comparative study on interactive computer‐aided‐learning and computer‐aided‐testing in patient‐based dental training in maxillofacial surgery
Tyson Osmosis
Anggoro et al. Analysis of Students’ Satisfaction Levels in Hybrid Learning
AlShahrani et al. Immediate feedback: a new mechanism for real-time feedback on classroom teaching practice
Yockey Simulation anxiety and learning styles
Swygert et al. Using performance tasks in credentialing tests
Wayne et al. Developing an ethics curriculum for an internal medicine residency program: use of a needs assessment
US201201419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access to treatment plans
MacIver POINT OF CARE ULTRASOUND: DISTANCE EDUCATION FOR POCKET ULTRASOUND DEVICES
Gerace A simulation-based teaching strategy to achieve competence in learners
Cuchna Measuring Outcomes in Competence and Confidence in Clinical Skills Through the Use of Standardized Patients
Smyers Examining the learning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an interactive simulated patient experience
Zacharzuk-Marciano Nursing faculty experiences of virtual learning environments for teaching clinical reasoning
Conejo Faculty and student perceptions of preparation for and implementation of high fidelity simulation experiences in associate degree nursing programs
Beam Do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Influence Graduate Students’ Professional Communication?
King Can Simulation Utilizing Standardized Patients Ease Anxiety and Enhance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Working With Patients Experiencing Mental Illness? A Pilot Study.
Beard Exploring the lived experiences of participants in simulation-based learning activ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