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1606A -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1606A
KR20140061606A KR1020120127981A KR20120127981A KR20140061606A KR 20140061606 A KR20140061606 A KR 20140061606A KR 1020120127981 A KR1020120127981 A KR 1020120127981A KR 20120127981 A KR20120127981 A KR 20120127981A KR 20140061606 A KR20140061606 A KR 20140061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groove
sub
cell modu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6219B1 (ko
Inventor
박병선
Original Assignee
(주)해빛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빛에너지 filed Critical (주)해빛에너지
Priority to KR20120127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219B1/ko
Publication of KR20140061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물 위에 뜨는 재질로 형성되고, 측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측면을 에워싸도록 형성된 제1 홈, 상기 측면에 상기 제1 홈을 따라 형성된 제2 홈, 그리고 상부면에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하는 부판, 상기 물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1 지점에 위치하고 제어부 및 모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부에서 발생한 회전력에 따라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물의 주변에 위치하되 상기 제1 지점의 반대 부분에 위치하는 롤러, 상기 부판의 상기 제1홈 및 상기 롤러를 따라 연결되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줄인 탄성로프, 상기 부판의 상기 제2홈 및 상기 럴러를 따라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로프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태양전지 모듈을 강이나 호수와 같은 수상에 설치 가능하게 되므로 수상에서도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고, 태양전지 모듈이 태양의 이동방향에 대응되어 이동하므로 태양광 발전 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Floating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본 발명은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측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태양 에너지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이 주목 받고 있다.
태양광 발전은, 태양빛을 받아 열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발생하는 태양열 발전과 달리, 태양빛을 받아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태양전지에서 전기를 생성한다. 일반적인 태양 전지는 p형과 n형처럼 서로 다른 도전성 타입(conductive type)에 의해 p-n 접합을 형성하는 반도체부, 그리고 서로 다른 도전성 타입의 반도체부에 각각 연결된 전극을 구비한다.
이러한 태양 전지에 빛이 입사되면 반도체에서 전자와 정공이 생성되고, p-n 접합에 의해 생성된 전하는 n형과 p형 반도체로 각각 이동하므로, 전자는 n형의 반도체부 쪽으로 이동하고 정공은 p형 반도체부 쪽으로 이동한다. 이동한 전자와 정공은 각각 p형의 반도체부와 n형의 반도체부에 연결된 서로 다른 전극에 의해 수집되고 이 전극들을 전선으로 연결하여 전력을 얻는다.
이와 같은 태양 전지를 여러 개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은 건물의 지붕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태양광을 많이 조사(照射) 받는데, 이는 설치 장소가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태양전지 모듈은 태양의 위치 변화에 따라 태양전지 모듈의 위치가 변하지 않으므로 햇빛을 받을 수 있는 시간이 제한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전력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태양전지 모듈을 저수지나 호수와 같은 수상에 설치하기 위한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물 위에 뜨는 재질로 형성되고, 측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측면을 에워싸도록 형성된 제1 홈, 상기 측면에 상기 제1 홈을 따라 형성된 제2 홈, 그리고 상부면에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하는 부판, 상기 물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1 지점에 위치하고 모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부에서 발생한 회전력에 따라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물의 주변에 위치하되 상기 제1 지점의 반대 부분에 위치하는 롤러, 상기 부판의 상기 제1홈 및 상기 롤러를 따라 연결되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줄인 탄성로프, 및 상기 부판의 상기 제2홈 및 상기 회전부를 따라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태양의 일출시간, 태양의 일몰시간, 및 상기 모터부의 회전속도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모터부의 회전속도는 태양의 이동속도에 대응하는 상기 부판의 회전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몰시간 이후, 상기 모터부를 구동하여 상기 부판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다음 날 일출시간의 태양 위치에 대응되도록 한 다음, 상기 다음 날 일출시간까지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중지시키며, 상기 다음 날 일출시간 이후,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재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태양전지 모듈 지지판을 통해 상기 부판의 표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모터부는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다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하는 부판은 측면에 제1홈 및 제2홈을 구비하고, 부판의 제1홈에는 외부의 모터와 연결된 구동로프가 위치하며 부판의 제2홈에는 외부의 고정부와 연결된 탄성로프가 위치하여, 구동로프 및 탄성로프의 작용으로 수면에 떠있는 부판이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태양전지 모듈을 수면 위에 설치할 수 있고 태양광의 조사 위치에 따라 태양 전지를 회전하게 되어 댐, 호수 또는 저수지에서 태양광을 이용한 효율적인 전력 발전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태양전지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부판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부판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롤러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다수개의 태양전지 모듈(4)를 표면에 구비하고 측면에 제1홈(31) 및 제2홈(32)을 구비하는 부판(3), 제1홈(31)에 걸쳐지도록 위치하는 탄성로프(6)를 지탱하는 롤러(roller)(61), 그리고 제2홈(32)에 걸쳐지도록 위치하는 구동로프(5)를 구동하는 회전부(51)를 구비한다.
태양전지 모듈(4)은 다수 개의 태양 전지를 구비하는 어레이(array)로, 태양전지는 p형과 n 형처럼 서로 다른 도전성 타입(conductive type)에 의해 p-n 접합을 형성하는 반도체부, 그리고 서로 다른 도전성의 타입의 반도체부에 각각 연결된 전극을 구비한다.
이러한 태양 전지에 빛이 입사되면 반도체부에서 복수의 전자-정공 쌍이 생성되고, 생성된 전자-정공 쌍은 광기전력 효과(photovoltaic effect)에 의해 전하인 전자와 정공으로 각각 분리되어, 전자는 n형의 반도체부 쪽으로 이동하고 정공은 p형의 반도체부 쪽으로 이동한다. 이동한 전자와 정공은 각각 n형의 반도체부와 p형의 반도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서로 다른 전극에 의해 수집되어 이 전극들을 전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전력을 얻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태양 전지에서 생산되는 전압과 전류는 매우 작기 때문에 원하는 크기의 전압이나 전류를 얻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태양 전지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한 후 패널(panel) 형태로 방수 처리한 형태의 태양 전지 모듈을 제조하여 사용한다.
도 2를 참고로 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태양전지 모듈(4)은 복수의 태양전지(101), 복수의 태양전지(101)를 보호하는 보호막(120a, 120b), 태양전지(101)의 수광면 쪽에 위치한 보호막(이하, '상부 보호막'이라 함)(120a) 위에 위치하는 투명 부재(130), 태양전지(101)의 보호막 중 아래에 위치하는 보호막(이하, '하부 보호막'이라 함)(120b) 아래에 위치하는 후면 시트(153), 그리고 상기 구성요소들을 수납하기 위한 프레임(160)을 구비한다.
복수의 태양전지(101)는 행렬 구조로 배열되어 있고, 각 태양 전지(101)는 복수의 연결부(170)에 의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도 2에서, 복수의 태양 전지(101)는 4×4 행렬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행과 열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태양 전지(101)의 개수는 조절 가능하며, 복수의 연결부(170)에 의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연결부(170)는 도전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리본(ribbon)일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보호막(120a, 120b)은 습기 침투로 인한 금속의 부식 등을 방지하고 복수의 태양전지(101)와 태양전지 모듈(4)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이러한 상부 및 하부 보호막(120a, 120b)은 태양전지(10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라미네이션 공정(lamination process) 시에 태양 전지(101)와 일체화된다. 이러한 보호막(120a, 120b)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 등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보호막(120a) 위에 위치하는 투명 부재(130)는 투과율이 높고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강화 유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강화 유리는 철 성분 함량이 낮은 저철분 강화 유리(low iron tempered glass)일 수 있다. 이러한 투명 부재(130)는 빛의 산란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내측면은 엠보싱(embossing)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그리고, 후면 시트(153) 역시 태양 전지 모듈(4)의 후면에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태양 전지(101)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이러한 후면 시트(153)는 EP/PE/FP(fluoropolymer/polyeaster/fluoropolymer)와 같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다.
후면 시트(153)의 하부에는 프레임(160)이 위치하고 있고, 프레임(160)은 상기 구성요소들(태양전지(101), 보호막(120a, 120b), 투명 부재(130), 후면 시트(153))을 수납한다.
다시 도 1을 참고로 하면, 태양전지 모듈 지지대(41)의 한 단부는 태양전지 모듈(4)의 프레임(160)에 연결되고 태양전지 모듈 지지대(41)의 다른 한 단부는 부판(3)의 표면에 고정된다.
태양전지 모듈 지지대(41)가 태양전지 모듈(4)의 프레임(160)과 부판(3)의 표면 사이를 지지함으로써, 태양전지 모듈(4)을 부판(3)에 고정 시킨다. 이 때, 태양전지 모듈 지지대(41)는 태양전지 모듈(4)이 태양광을 잘 흡수할 수 있는 각도를 갖도록 태양전지 모듈(4)과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태양전지 모듈(4)이 태양전지 모듈 지지대(41)를 통해 부판(3)의 표면에 위치하고, 태양전지 모듈(4)은 부판(3) 표면의 면적 및 생산하고자 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개수를 늘려 구비한다.
부판(3)은 물에 뜰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태양전지 모듈(4)을 설치할 수 있도록 표면을 평평하게 구성한다. 이러한 부판(3)은 삼각 또는 사각 등의 다각형의 표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수면에 안정적으로 부상하기 위해 원형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판(3)의 측면에 형성된 제1홈(31) 및 제2홈(32)은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안쪽으로 패인 홈을 갖는다. 제1 홈(31) 및 제2홈(32)은 굴렁쇠의 표면에 형성된 홈 또는 골과 같이 외부의 물질을 끼우기 위한 구성으로, 제1홈(31)에는 탄성로프(6)가 위치하고 제2홈(32)에는 구동로프(5)가 위치한다.
제1홈(31)에 끼워져 위치하는 탄성로프(6)는 제1홈(31)의 둘레를 따라 위치하고 있고, 동시에 롤러(61)에 걸쳐지도록 위치한다.
그리고, 제2홈(32)에 끼워져 위치하는 구동로프(5)는 제2홈(32)의 둘레를 따라 위치하고 있고, 동시에 회전부(51)에 걸쳐지도록 위치한다.
도 1을 참고로 하면, 탄성로프(6)는 롤러(61)와 제1홈(31)을 연결하도록 위치하고, 구동로프(5)는 회전부(51)와 제2홈(32)을 연결하도록 위치한다.
부판(3)이 물(1) 위에 떠 있도록 위치하는 것과는 달리, 회전부(51)는 제1 지점(21)에 위치한다. 이 때, 물(1)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제1 지점(21) 및 제2 지점(22)의 사이를 흐른다. 예를 들어, 태양전지 모듈(4)을 구비하는 부판(3)이 강이나 댐 등에 설치되는 경우 강물이나 댐 등에 의해 저수된 물(1)에 해당하고, 강물이나 댐 등 주변의 육지의 두 지점이 제1 지점(21) 및 제2 지점(22)에 각각 해당한다.
본 예에서 제1 지점(21)과 제2 지점(22)은 댐이나 강가 주변의 육지에 해당하는 지점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부판(3)과 인접하는 섬, 바위, 나무 또는 인공구조물 등과 같이 부판(3)과 연결될 수 있는 고정 된 물체나 지형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지점(21)에 위치하는 회전부(51)는 원기둥 형상을 갖고 있고, 회전부(51)는 모터부(52)와 연결되어 위치하여 모터부(52)의 구동에 따라 회전부(51)가 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구동로프(5)는 회전부(51)의 원기둥 둘레를 따라 위치한다. 따라서, 모터부(52)의 구동에 따라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51)에 의해 구동로프(5)도 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4를 참고로 하여 회전부(51) 및 모터부(52)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53) 및 모터부(52)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0), 전원부(50)로부터 전원을 전달 받고 모터부(5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53), 전원부(50) 및 제어부(53)와 연결되어 위치하고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부(52), 그리고 모터부(52)와 연결되어 위치하며 모터부(52)의 회전력에 따라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51)를 구비한다.
전원부(5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전달 받아 전원을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충전 가능한 휴대용 전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53)는 모터부(52)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모터부(5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모터부(52)는 전원부(50)로부터 전원을 전달 받고, 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회전력을 발생하며, 회전부(51)는 모터부(52)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회전부(51)는 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발생한 모터부(52)의 회전력에 의해 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태양은 한 시간에 15도 가량 움직이기 때문에 태양전지 모듈(4)이 태양의 이동방향 및 태양의 이동속도(한 시간에 15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회전 하도록 제어부(53)가 모터부(52)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는, 태양전지 모듈(4)이 태양의 이동시간에 대응하도록 회전해야 태양광을 최대한 많은 양을 조사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어부(53)는 태양의 일출시간 및 일몰시간의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저장해 두었다가, 태양의 일몰시간 이후에는 태양전지 모듈(4)의 위치를 다음 날 일출시간의 태양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태양전지 모듈(4)이 다음 날의 일출시간의 태양 위치에 대응되도록 위치하게 되고, 제어부(53)는 모터부(52)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모터부(52)제어함으로써 회전부(51) 및 부판(3)의 위치 이동을 제어한다. 그 후, 다음날 일출시간이 되면 제어부(53)는 모터부(52)를 다시 구동하여 부판(3)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제어부(53)는 이미 저장되어 있는 태양의 일출시간 및 일몰시간에 따라 태양전지 모듈(4)을 회전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의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는 태양전지 모듈(4) 자체가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부판(3)이 회전하며 부판(3)의 회전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4)이 회전하는 것으로, 제어부(53)에 저장된 정보에 의해 모터부(52)가 구동 되고, 모터부(52)는 회전부(51)를 회전시키며, 회전부(51)의 회전에 의해 최종적으로 부판(3)이 회전하게 된다.
회전부(51) 및 부판(3)의 제2홈(22)에 위치하는 구동로프(5)는 마찰이 있는 재질의 줄(로프, rope)로, 회전부(51)의 회전에 따라 회전부(51) 및 제2 홈(32) 둘레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부판(3)은 회전부(51)의 회전방향 및 구동로프(5)의 이동방향에 따라 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부(51)의 회전에 따라 구동로프(5)가 제2홈(32)을 이동하기 위해서, 구동로프(5)는 체인, 브이벨트(v-belt), 또는 풀리(pulley)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로프(5)가 체인으로 형성될 때는 회전부(51)의 둘레에 체인을 감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어야 하고, 구동로프(5)가 브이벨트로 형성될 때는 회전부(51)에 브이벨트의 형상에 상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야 한다.
구동로프(5)가 풀리 구조로 형성될 때는 회전부(51)가 점성이 있는 원통 구조로 형성되고 구동로프(5)는 벨트 구조로 형성되며, 회전부(51)가 도르래 구조를 갖는 풀리 구조인 경우, 구동로프(5)는 밧줄과 같은 일반적인 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동로프(5)가 회전부(51)의 회전에 의해 부판(3)을 한 방향으로 회전 시킴에 따라 물(1) 위에 떠 있는 부판(3)의 위치가 제1 지점(21)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구동로프(5)에 의해 부판(3)의 위치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판(3)의 제1홈(31) 및 롤러(61)에 위치하는 탄성로프(6)가 부판(3)을 지지한다.
탄성로프(6)는 탄성이 있는 줄(로프, rope)로, 제2 지점(22)에 고정되어 위치하는 롤러(61)에 걸쳐 있으며, 부판(3)의 제1홈(31)을 따라 위치함으로써 부판(3)이 물(1) 위의 일정한 위치에 떠 있도록 한다.
탄성로프(6)의 탄성 정도(탄성계수) 및 탄성로프(6)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물(1)에 떠 있는 부판(3)의 위치변화 또는 댐, 호수 또는 저수지의 수위 변화에 대응하여 태양전지 모듈(4)을 일정한 위치에 유지하도록 한다.
롤러(61)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2 지점(22)에 수직하도록 위치하고 있고,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한 롤러(61)의 측면도를 참고하면, 롤러(61)는 제2 지점(22)에 수평 하도록 위치하는 하부 받침(611)과 상부 받침(612)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원기둥(613) 및 원기둥(61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외부의 힘에 의해 공회전하는 공회전부(614)를 포함한다.
이 때, 공회전부(614)의 둘레를 따라 탄성로프(6)가 위치하게 되면, 탄성로프(6)의 이동에 의해 공회전부(614)는 원기둥(613)의 둘레를 공회전하고, 이에 따라 탄성로프(6)가 롤러(61)를 기점으로 회전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 지점(21)에 위치하는 제어부(53)가 외부의 전원부(50)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고, 태양의 일출시간, 태양의 일몰시간, 그리고 모터부 구동 속도에 따라 모터부(52)가 구동되도록 제어부(53)가 모터부(52)를 구동한다.
제어부(53)가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모터부(52)를 구동하면, 모터부(52)는 전원부(50)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회전력을 발생한다.
그리고, 제1 지점(21)에 위치하는 회전부(51)는 모터부(5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 때 회전부(51)는 태양의 이동속도에 대응되는 속도(한 시간에 15도)로 회전한다.
그런 다음, 태양의 일출시간을 기점으로 구동되는 회전부(51)의 회전에 따라 회전부(51)에 위치하는 구동로프(5)가 부판(3)을 회전시킨다.
부판(3)은 태양이 떠 있는 시간 동안 제어부(53)의 모터부(52)제어에 의해 한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고, 태양의 일몰시간 이후에는 태양전지 모듈(4)이 다음날 일출시간의 태양 위치에 대응되어 위치하도록 부판(3)이 회전한다.
이와 같이 부판(3)이 위치한 다음, 제어부(53)는 부판(3)을 더 이상 회전시키지 않도록 제어하고, 다음날 일출시간부터 다시 구동된다.
이에 따라, 회전부(51) 및 부판(3)의 제2홈(32)을 따라 걸쳐지도록 위치한 구동로프(6)가 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부판(3)이 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부판(3)은 물(1) 위에서 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때 부판(3)은 회전부(51)의 회전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이 때, 구동로프(5)가 부판(3)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물(1) 위에 위치하는 부판(3)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지점(22)에 위치하는 롤러(61)에 연결된 탄성로프(6)는 부판(3)의 제1홈(31)에 연결됨으로써 부판(3)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지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물 3 : 부판
4 : 태양전지 모듈 5 : 구동로프
6 : 탄성로프 21 : 제1 지점
22 : 제2 지점 41 : 태양전지 모듈 지지대
51 : 회전부 52 : 모터부
53 : 제어부 61 : 롤러

Claims (5)

  1. 물 위에 뜨는 재질로 형성되고, 측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측면을 에워싸도록 형성된 제1 홈, 상기 측면에 상기 제1 홈을 따라 형성된 제2 홈, 그리고 상부면에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하는 부판,
    상기 물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1 지점에 위치하고 모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부에서 발생한 회전력에 따라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물의 주변에 위치하되 상기 제1 지점의 반대 부분에 위치하는 롤러,
    상기 부판의 상기 제1홈 및 상기 롤러를 따라 연결되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줄인 탄성로프, 및
    상기 부판의 상기 제2홈 및 상기 회전부를 따라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로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회전부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태양의 일출시간, 태양의 일몰시간, 및 상기 모터부의 회전속도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모터부의 회전속도는 태양의 이동속도에 대응하는 상기 부판의 회전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몰시간 이후, 상기 모터부를 구동하여 상기 부판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다음 날 일출시간의 태양 위치에 대응되도록 한 다음,
    상기 다음 날 일출시간까지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중지시키며,
    상기 다음 날 일출시간 이후,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재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태양전지 모듈 지지판을 통해 상기 부판의 표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5.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모터부는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KR20120127981A 2012-11-13 2012-11-13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496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7981A KR101496219B1 (ko) 2012-11-13 2012-11-13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7981A KR101496219B1 (ko) 2012-11-13 2012-11-13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606A true KR20140061606A (ko) 2014-05-22
KR101496219B1 KR101496219B1 (ko) 2015-02-26

Family

ID=50890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27981A KR101496219B1 (ko) 2012-11-13 2012-11-13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2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7865A1 (ko) * 2014-07-31 2016-02-04 주식회사 그린탑 부유식 태양광 발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204B1 (ko) * 2018-11-09 2019-06-19 강동길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선박 인양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48810A1 (en) * 2004-09-08 2006-03-09 Laing Nikolaus J Solar electricity generator consisting of groups of plants
KR100831382B1 (ko) * 2007-03-09 2008-05-22 (주)쏠라비젼 태양전지를 이용한 부양식 발전 시스템
KR100998337B1 (ko) * 2008-04-03 2010-12-03 공종현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KR101028944B1 (ko) 2010-10-26 2011-04-12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유식 태양광 발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7865A1 (ko) * 2014-07-31 2016-02-04 주식회사 그린탑 부유식 태양광 발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219B1 (ko) 201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248B1 (ko) 태양추적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1541698B1 (ko)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KR20100064448A (ko) 경사각 및 회전각 조절장치를 구비한 태양 전지판 구조물
KR101005296B1 (ko) 도로의 방음벽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KR101037326B1 (ko) 각도 조절 가능한 태양전지판
KR101624042B1 (ko) 태양광 발전장치
JP2010205762A (ja) 追尾型太陽光発電装置
KR101045067B1 (ko)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KR101298633B1 (ko) 수상 플로트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62572B1 (ko)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26748A (ko) 광 집속형 태양전지 모듈 및 그의 어셈블리 방법
KR102072553B1 (ko) 수상태양광발전장치
KR101496219B1 (ko)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KR20140028181A (ko)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929786B1 (ko)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47663B1 (ko) 태양광 모듈의 회전지지장치
KR101557741B1 (ko) 수상용 태양광 발전장치의 물순환장치
US20200091860A1 (en) Solar photovoltaic module
KR101770681B1 (ko) 태양광 추적센서유닛을 갖는 태양광 집열장치
KR101923681B1 (ko) 태양광발전장치
KR101383789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319998B1 (ko) 태양광 발전장치
US10116253B2 (en) Solar power generating device
KR101502480B1 (ko) 원통형 태양전지 모듈 및 어레이,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315982B1 (ko) 태양광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