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786B1 -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9786B1 KR101929786B1 KR1020180047040A KR20180047040A KR101929786B1 KR 101929786 B1 KR101929786 B1 KR 101929786B1 KR 1020180047040 A KR1020180047040 A KR 1020180047040A KR 20180047040 A KR20180047040 A KR 20180047040A KR 101929786 B1 KR101929786 B1 KR 1019297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 power generation
- horizontal
- reflector
- generation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20 polyvinyl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WATWJIUSRGPENY-UHFFFAOYSA-N antimony Chemical compound [Sb] WATWJIUSRGPEN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7 antimon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RQNWIZPPADIBDY-UHFFFAOYSA-N arsenic Chemical compound [As] RQNWIZPPADIBD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5 arseni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34 coal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21 mono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5 natural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9 petroleum deriva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38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tin lead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42 transportation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Abstract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정 크기를 갖는 고정플레이트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발전모듈이 고정플레이트 상면에 배치된 발전모듈부재; 상기 발전모듈에 태양광이 집광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가로반사부재 및 세로반사부재;를 마련하여 발전모듈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각각 반사체를 설치할 수 있고, 다수의 반사체에 의해 태양광을 직접 입사시킴은 물론 발전모듈에서 반사된 태양광을 재반사로 다시 공급할 수 있고, 각각의 반사부재를 필요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의 회전, 수직 방향으로의 회전 및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켜 태양광의 입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전모듈의 외측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반사판에 의해 태양광의 집광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너지는 석유와 석탄 및 천연 가스와 같은 화석 에너지로 그 양이 한정되어 있고, 오염 물질을 배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의 개발이 중요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주목 받고 있는 기술이 태양광을 이용하는 태양발전이다.
이러한 태양광을 이용하는 발전 기술은 빛을 수광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함으로써 용이하게 전력을 얻을 수 있는 원리이다. 따라서 무공해인 태양광을 무한정으로 전기 에너지로 바꿀 수 있고, 대기 오염이나 소음, 발열, 진동 등의 공해가 전혀 없는 깨끗한 발전 기술이다.
또한 연료의 수송과 발전 설비의 유지 관리가 거의 불필요한 반영구적인 수명을 가질 수 있다.
태양광 이용기술로는 주로 태양전지로 이루어진 태양전지를 통해 태양의 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이용하는 태양전지 이용기술과 집열기를 통해 태양의 열 에너지를 직접 이용하는 태양열 이용기술을 들 수 있다.
태양전지는 태양광 에너지를 직접 전기로 변환하는 반도체 화합물 소자이며, 0.2~ 0.5mm의 두께로 제작된다. 태양전지의 구조는 단결정실리콘 태양전지의 경우, 실리콘에 5가의 원소들인 인, 비소, 안티몬 등을 함침시켜 만든 p형 반도체로 이루어진 p-n 결합구조이다.
이렇게 pn 접합으로 구성된 태양전지(solar cell)에 p-n 접합의 금지 대역폭보다 큰 에너지를 가진 태양광이 입사되면 광전효과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하고, 외부에 부하를 접속하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태양전지를 직렬과 병렬로 연결하여 산업상 필요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태양전지 셀은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변환하는 반도체 단위 소자를 말하고, 태양전지판은 다수의 태양전지 셀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내구환경을 고려하여 제작된 최소면적 단위로 제작된 발전유닛을 말한다.
태양전지 셀은 하나의 셀로는 충분한 출력을 얻지 못하므로 각각의 셀을 직렬 혹은 병렬 상태로 연결해야 하는데, 이렇게 연결된 상태를 '태양전지판'이라 부른다.
태양전지판은 백 시트(back sheet), 솔라셀, 리본, 에바(EVA) 유리로 구성된다. 백 시트는 모듈 맨 아래 깔리는 소재로 TPT(Tedlar/PET/Tedlar) 타입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리본은 전류를 흘려 보내는 통로로 사용되므로 구리에 은이나 주석납으로 코팅된 소재가 이용된다.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광의 효율적인 수광을 위하여 많은 경우 태양광 추적 기능을 가진 경우가 많으며, 태양광 추적 장치는 거대한 태양전지판을 회전시켜야 하므로, 태양전지판 구동을 위한 구동 장치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태풍 등 외부적인 자연환경에 대해 견고성을 유지하여야 하므로, 자연히 구조물의 관성이 커 모터의 구동에도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태양광 발전은 에너지 변환 효율이 낮아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태양전지를 평면 상에 매트릭스(행과 열)로 배열된 구조인 평면형 태양전지 모듈을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면적의 증가는 설치 장소 등에 제한을 가져오고 비용의 상승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평면형 태양전지 모듈은 우천, 우박 또는 바람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태양광이 조사되는 방향에 따라 전력 효율이 크게 변동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태양광을 집광하여 발전하는 추적방식의 태양광 발전장치로는 일축식과 이축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는 사용되는 모터의 구동축에 따라 결정되는데 일축식은 중앙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태양전지패널을 배열하고 감속기를 포함하는 모터를 이용하여 중심축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하는 방식으로 태양의 고도를 추적하지 않는 단순한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일축식은 고저를 추적해서 발생하는 10% 정도의 잉여 전력을 포기하는 대신 초기 설치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물론 일축식에서 고도 추적을 위해 필요하다면 수동으로 변경하여 고도를 추적할 수도 있으나, 현실적으로 무거운 설비를 수동으로 직접 조절하여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은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이축식은 태양전지 모듈을 집합시킨 고정장치의 중앙을 회전모터 또는 감속장치와 연결된 축 위에 설치하고, 태양의 움직임을 따라 좌우로 회전시키며 추적장치의 뒷부분에 스크류 잭을 포함하는 모터를 장치하여 후면으로 태양전지 고정장치를 당겨 고도를 조절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축식은 축장치 아래 노출된 조절기와 상부의 태양추적센서 등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제안된 각 태양에너지의 이용시스템 및 장치는 집광을 위해 마련되는 제반 수단이 복잡하며, 그 제작비용 역시 과다한 것이어서 주기적인 유지 보수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태양 고도광을 반사판에 집속함에 있어서 반사판이 태양의 위상 변화에 즉시 대응하지 못하여 집열장치의 출력이 떨어지거나 효율성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태양광 발전 집광 보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태양광 발전 집광 보조장치는 지주, 상기 지주에 설치되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태양광발전모듈을 포함하는 태양광발전유닛, 상기 태양광발전유닛의 일측 방향에 설치되고 입사하는 태양광을 상기 태양광발전모듈로 반사하는 반사판이 마련된 보조집광유닛을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태양광 발전용 반사판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반사판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경사지게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 개의 태양전지판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반사판으로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복수 개의 태양전지판 사이에서 경사지게 설치되고 적어도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접거나 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반사판은 적어도 한 면이 태양광의 반사를 위한 반사면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전모듈에서 반사된 태양광을 다시 발전모듈로 재공급할 수 있는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전모듈의 외측에 각각 반사부재를 설치하여 태양광이 발전모듈로 보다 효율적으로 공급되게 하는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일정 크기를 갖는 고정플레이트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발전모듈이 고정플레이트 상면에 배치된 발전모듈부재; 상기 발전모듈에 태양광이 집광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가로반사부재 및 세로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반사부재는 상기 발전모듈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설치되는 제1 가로반사체와 제2 가로반사체를 포함하며, 상기 세로반사부재는 상기 발전모듈부재의 폭 방향을 따라 양측에 설치되는 제1 세로반사체 및 제2 세로반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반사부재 및 상기 세로반사부재는 저면에 설치된 수평조절모터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반사부재 및 상기 세로반사부재는 각각 저면에 형성되는 수직구멍; 상기 수직구멍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조절모터; 상기 수평조절모터가 상기 수직구멍에 분리 및 결합되도록 상기 수평조절모터 하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반사부재 및 상기 세로반사부재는 소정 거리만큼 수평 이동되도록 일측 저면에 각각 형성되는 위치조절홈부; 상기 위치조절홈부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위치조절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조절홈부는 상기 위치조절모터와 결합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래크기어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조절모터는 상기 래크기어에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웜과 상기 웜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반사부재 및 상기 세로반사부재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상기 가로반사부재 및 상기 세로반사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수평구멍; 상기 수평구멍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조절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의하면, 발전모듈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각각 반사체를 설치할 수 있고, 다수의 반사체에 의해 태양광을 직접 입사시킴은 물론 발전모듈에서 반사된 태양광을 재반사로 다시 공급할 수 있고, 각각의 반사부재를 필요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의 회전, 수직 방향으로의 회전 및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켜 태양광의 입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일정 크기를 갖는 고정플레이트(11)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발전모듈(12)이 배치된 발전모듈부재(10), 상기 발전모듈(10)에 태양광이 집광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11)의 외측에 설치되는 가로반사부재 및 세로반사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평판으로 설치된 발전모듈(12)에 태양광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게 함으로써, 태양광의 집광에 따른 태양광 효율을 높이며, 계절 및 시간에 구애됨이 없이 태양광의 집광을 보다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고정플레이트(11)의 상면에 다수의 발전모듈(12)이 설치된 발전모듈부재(10)와 상기 발전모듈부재(10)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가로반사부재 및 세로반사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1)는 대략 사각형, 직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에는 각각 발전모듈(12)에 설치된다. 이러한 발전모듈(12)은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1) 저면에는 고정플레이트(11)를 지지하는 고정다리(13)가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다리(13)는 설치하고자 하는 높이에 따라 적당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1)의 외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로반사부재와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세로반사부재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가로반사부재는 상기 발전모듈부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설치되는 제1 가로반사부재(21)와 제2 가로반사부재(22)를 포함하며, 상기 세로반사부재는 상기 발전모듈부재(10)의 폭 방향을 따라 양측에 설치되는 제1 세로반사부재(31) 및 제2 세로반사부재(32)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가로반사부재는 고정플레이트(11)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가로반사체(21)와 제2 가로반사체(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로반사부재는 고정플레이트(11)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세로반사체(31)와 제2 세로반사체(32)로 이루어진다.
이들 가로반사부재 및 세로반사부재는 각각 개별적으로 수평 방향으로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로반사부재 및 상기 세로반사부재는 저면에 설치된 수평조절모터(24)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로반사부재 및 상기 세로반사부재는 각각 저면에 형성되는 수직구멍(23), 상기 수직구멍(23)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조절모터(24), 상기 수평조절모터(24)가 상기 수직구멍(23)에 분리 및 결합되도록 상기 수평조절모터(24) 하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실린더(2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로반사체(21) 및 제2 가로반사체(22)에는 각각 제1 가로반사체(21)와 제2 가로반사체(22)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조절모터(24)가 설치된다.
상기 제1 가로반사체(21) 및 제2 가로반사체(22)의 저면에는 수직구멍(23)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구멍(23)에는 제1 가로반사체(21)와 제2 가로반사체(22)를 회전시키는 수평조절모터(24)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수평조절모터(24)는 수직구멍(23)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평조절모터(24)에는 수직구멍(23)에 분리 및 결합되도록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25)가 설치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세로반사부재는 제1 세로반사체(31)와 제2 세로반사체(32)로 이루어지는데, 이들 제1 세로반사체(31) 및 제2 세로반사체(32)에는 제1 가로반사체(21) 및 제2 가로반사체(22)와 동일하게 수평조절모터(24)가 설치된다.
<제2 실시 예>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명칭 및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발전모듈부재(10) 및 가로반사부재와 세로반사부재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반사부재 및 세로반사부재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부(41)와 상기 수직부(41)의 상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부(41)는 태양으로부터 입사되는 태양광을 발전모듈(12)로 공급되도록 하며, 경사부(42)는 수직부(41)의 상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발전모듈(12)에서 반사되는 태양광을 다시 발전모듈(12)로 재공급 되게 한다.
<제3 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명칭 및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발전모듈부재(10) 및 가로반사부재와 세로반사부재에 설치되는 수평조절모터(24), 위치조절모터(27) 및 수직조절모터(29)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반사부재 및 세로반사부재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으로 이루어진 가로반사부재 및 세로반사부재에 의해 발전모듈(12)로 태양광을 입사시킬 뿐만 아니라 발전모듈(12)에서 반사되는 태양광을 다시 발전모듈(12)로 재공급 되게 한다.
<제4 실시 예>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명칭 및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발전모듈부재(10) 및 가로반사부재와 세로반사부재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반사부재 및 세로반사부재는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제1 수직부(45)와 상기 제1 수직부(45)의 상측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제2 수직부(46) 및 상기 제1 수직부(45)와 제2 수직부(46) 사이에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호부(47)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수직부(45) 및 제2 수직부(46)는 태양광을 발전모듈(12)로 입사시키며, 원호부(47)는 발전모듈(12)에서 반사된 태양광을 반사모듈(12)로 재공급 되게 한다.
한편 제2 수직부(46)는 비교적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먼 거리에서 반사되는 태양광을 발전모듈(12)로 재공급시킬 수 있어 태양광을 보다 효율적으로 집광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수직구멍(23)에 설치되는 수평조절모터(24)에 의해 가로반사부재 및 세로반사부재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위치조절모터(27)는 가로반사부재 및 세로반사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수직조절모터(29)는 가로반사부재 및 세로반사부재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조절모터(24)는 승강실린더(25)에 의해 상승되어 수직구멍(23)에 결합되고, 승강실린더(25)에 의해 하강되어 수직구멍(23)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수평조절모터(24)는 제1 가로반사체(21), 제2 가로반사체(22) 및 제1 세로반사체(31), 제2 세로반사체(32)의 저면 중앙에 설치되어 각각의 가로반사부재 및 세로반사부재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즉, 수평조절모터(24)는 승강실린더(25)에 의해 상승되어 수직구멍(23)에 결합되고, 이어서 수평조절모터(24)는 가로반사부재 또는 세로반사부재를 회전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가로반수부재 및 세로반사부재는 원하는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며, 회전이 완료된 후 승강실린더(25)는 수평조절모터(24)를 하강시켜 수직구멍(23)에서 분리된다. 이는 가로반사부재 및 세로반사부재가 위치조절모터(27) 또는 수직조절모터(29)에 의해 회전 및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위치조절모터(27)는 모터(27b)에 의해 웜(27a)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웜(27a)의 회전에 의해 가로반사부재 및 세로반사부재가 수평 이동하게 된다.
또한 수직조절모터(29)는 가로반사부재 및 세로반사부재의 수평구멍(28)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직조절모터(29)의 회전에 의해 가로반사부재 및 세로반사부재가 각각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가로반사부재 및 세로반사부재는 수평조절모터(24)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며, 위치조절모터(27)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고, 수직조절모터(29)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발전모듈부재 11: 고정플레이트
12: 발전모듈 13: 고정다리
21: 제1 가로반사체 22: 제2 가로반사체
23: 수직구멍 24: 수평조절모터
25: 승강실린더 26: 위치조절홈부
27: 위치조절모터 27a: 웜
27b: 모터 28: 수평구멍
29: 수직조절모터
31: 제1 세로반사체 32: 제2 세로반사체
41: 수직부 42: 경사부
45: 제1 수직부 46: 제2 수직부
47: 원호부
12: 발전모듈 13: 고정다리
21: 제1 가로반사체 22: 제2 가로반사체
23: 수직구멍 24: 수평조절모터
25: 승강실린더 26: 위치조절홈부
27: 위치조절모터 27a: 웜
27b: 모터 28: 수평구멍
29: 수직조절모터
31: 제1 세로반사체 32: 제2 세로반사체
41: 수직부 42: 경사부
45: 제1 수직부 46: 제2 수직부
47: 원호부
Claims (7)
- 일정 크기를 갖는 고정플레이트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발전모듈이 고정플레이트 상면에 배치된 발전모듈부재; 및
상기 복수의 발전모듈에 태양광이 집광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외측에 설치되는 가로반사부재 및 세로반사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로반사부재 및 상기 세로반사부재는,
각각 저면에 형성되는 수직구멍;
상기 수직구멍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로반사부재 및 상기 세로반사부재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수평조절모터;
상기 수평조절모터가 상기 수직구멍에 분리 및 결합되도록 상기 수평조절모터 하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실린더;
상기 복수의 발전모듈로 태양광이 공급되도록 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상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발전모듈에서 반사된 태양광을 상기 발전모듈로 재공급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반사부재는 상기 발전모듈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설치되는 제1 가로반사체와 제2 가로반사체를 포함하며,
상기 세로반사부재는 상기 발전모듈부재의 폭 방향을 따라 양측에 설치되는 제1 세로반사체 및 제2 세로반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7040A KR101929786B1 (ko) | 2018-04-24 | 2018-04-24 |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7040A KR101929786B1 (ko) | 2018-04-24 | 2018-04-24 |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29786B1 true KR101929786B1 (ko) | 2018-12-17 |
Family
ID=6500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7040A KR101929786B1 (ko) | 2018-04-24 | 2018-04-24 |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978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06323A1 (ko) * | 2020-04-07 | 2021-10-14 | 주식회사 나노밸리 | 반사판을 가지는 태양전지 모듈과 반사판을 조절하는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3636B1 (ko) * | 2010-02-26 | 2011-02-10 | 주식회사 광동메가텍 | 태양광 전송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
WO2017181354A1 (zh) * | 2016-04-20 | 2017-10-26 | 博立多媒体控股有限公司 | 折叠式太阳能系统 |
-
2018
- 2018-04-24 KR KR1020180047040A patent/KR10192978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3636B1 (ko) * | 2010-02-26 | 2011-02-10 | 주식회사 광동메가텍 | 태양광 전송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
WO2017181354A1 (zh) * | 2016-04-20 | 2017-10-26 | 博立多媒体控股有限公司 | 折叠式太阳能系统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06323A1 (ko) * | 2020-04-07 | 2021-10-14 | 주식회사 나노밸리 | 반사판을 가지는 태양전지 모듈과 반사판을 조절하는 방법 |
JP2022531525A (ja) * | 2020-04-07 | 2022-07-07 | ナノヴァリ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 反射板を有する太陽電池モジュールと反射板を調節する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90752B1 (ko) |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발전 장치 | |
KR101032515B1 (ko) | 각도조절이 가능한 반사판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장치 | |
KR100864215B1 (ko) | 다수의 크랭크축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 |
KR101035388B1 (ko) |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양광 구조물 | |
KR100760043B1 (ko) |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 |
KR20150078384A (ko) |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 |
US20120255594A1 (en) | Solar Power Generator Module | |
JP2015106684A (ja) | 太陽光発電システム | |
KR20100025208A (ko) | 태양광 발전장치 | |
CN203590122U (zh) | 一种风光互补的太阳能发电系统 | |
CN201616779U (zh) | 一种太阳能光伏发电装置 | |
KR101929786B1 (ko) |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 |
CN104660153A (zh) | 一种风光互补的太阳能发电系统 | |
KR20200104992A (ko) | 집광 및 분광에 의한 고효율 태양광 발전시스템 | |
KR101383789B1 (ko) | 태양광 발전장치 | |
KR20110083804A (ko) | 자동 태양광 트래킹이 가능한 휴대형 태양광 발전장치 | |
KR101192070B1 (ko) | 하이브리드형 발전장치 | |
JP2014075426A (ja) | 太陽光発電装置およ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 |
KR101346106B1 (ko) | 태양광 발전장치 | |
KR101178676B1 (ko) | 태양광 발전 가로등 | |
KR100922710B1 (ko) |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20190123389A (ko) | 파이프를 이용한 수상용 태양광 발전장치 | |
KR20110021030A (ko) | 태양에너지 및 풍력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장치 | |
KR20190024017A (ko) | 건축구조물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 |
KR20130047802A (ko) | 태양 전지 어레이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