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1053A - 휴대 단말기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1053A
KR20140061053A KR1020120128195A KR20120128195A KR20140061053A KR 20140061053 A KR20140061053 A KR 20140061053A KR 1020120128195 A KR1020120128195 A KR 1020120128195A KR 20120128195 A KR20120128195 A KR 20120128195A KR 20140061053 A KR20140061053 A KR 20140061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base station
communication network
switching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용길
양승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8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1053A/ko
Priority to US14/077,875 priority patent/US9344921B2/en
Priority to EP13192644.6A priority patent/EP2731380A1/en
Publication of KR20140061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05Multiple registrations, e.g. multih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기지국으로부터 등록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등록 확인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1기지국이 패킷 교환 모드로의 전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1기지국이 상기 전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회선 교환 모드로부터 상기 패킷 교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패킷 교환 모드로 상기 제1기지국을 통해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COMMUNICATION NETWORK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와 관련된 기술이 급속하게 발달함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일종인 스마트 폰(Smart Phone)이 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스마트 폰은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기능과 더불어 고급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스마트 폰은 전자 우편, 인터넷(internet), 전자책 읽기 기능 및 각종 애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할 수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는, 제2세대 내지 제4세대 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회선 교환 모드를 통해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며 패킷 교환 모드를 통해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는 자신이 위치하는 기지국이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제4세대 통신 시스템의 접속이 차단되었다. 여기서, 특정 조건은 기지국이 CSFB(Circuit Switched Fallback)가 지원되지 않는 회선 교환 모드를 제공하거나 단문 문자 메시지만을 지원하는 회선 교환 모드를 제공하거나 EPS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4세대 통신 시스템의 접속이 차단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제4세대 통신 시스템의 접속이 요청되더라도 휴대 단말기가 재부팅(rebooting)되기 전에는 휴대 단말기는 제4세대 통신 시스템에 대한 접속을 시도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사용자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제4세대 통신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가 패킷 교환 모드를 통해 제4세대 통신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기지국이 특정 조건에 해당되더라도, 휴대 단말기가 패킷 교환 모드를 통해 제4세대 통신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장치에 있어서, 무선 송수신부와, 제1기지국으로부터 등록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등록 확인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1기지국이 패킷 교환 모드로의 전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1기지국이 상기 전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회선 교환 모드로부터 상기 패킷 교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패킷 교환 모드로 상기 제1기지국을 통해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기지국으로부터 등록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등록 확인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1기지국이 패킷 교환 모드로의 전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1기지국이 상기 전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회선 교환 모드로부터 상기 패킷 교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패킷 교환 모드로 상기 제1기지국을 통해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가 패킷 교환 모드를 통해 제4세대 통신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기지국이 특정 조건에 해당되더라도, 휴대 단말기가 패킷 교환 모드를 통해 제4세대 통신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PS 모드의 전환 여부를 문의하는 팝업창을 표시한 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화상전화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E-Book, 휴대용 컴퓨터(Notebook, Tablet 등)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제1기지국(101)과 제2기지국(103)과 제3기지국(105)과 휴대 단말기(107)를 포함한다.
각 구성 요소를 살펴보면, 제1기지국(101)과 제3기지국(105)은 제1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제1통신 방식에 따른 서비스(예를 들면, 음성 또는 데이터 서비스)를 휴대 단말기(107)에 제공한다. 여기서, 제1통신 방식은 제4세대 통신 시스템에 따른 통신 방식이 될 수 있고, 제4세대 통신 시스템은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이하 'LTE'라 한다)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기지국(101)과 제3기지국(105) 각각은 자신의 셀 영역 내에서 제1통신 등록 확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방송한다. 그리고 제1기지국(101)과 제3기지국(105)은 휴대 단말기(107)의 요청에 따라 휴대 단말기(107)를 제1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한다.
여기서, 제1통신 등록 확인 메시지는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기지국이 지원하는 서비스 대한 지원 정보를 포함한다. 서비스 지원 정보는 기지국이 CSFB 모드(mode)가 지원되지 않는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이하 'CS'라 한다) 모드를 제공하는지 또는 기지국이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이하 'SMS'라 한다)만을 지원하는 CS 모드를 제공하는지 또는 기지국이 EPS 서비스만을 제공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CS는 음성 통화를 지원하기 위한 음성 전송 방식이며,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단일 접속을 위해 접속 시간 동안에 물리적 경로(회선)를 제공하는 방식을 말한다.그리고 CSFB는 LTE에서 음성 통화를 지원하기 위한 방식을 말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CSFB는 휴대 단말기(107)가 LTE에 연결 중에 음성 통화가 요청되거나 수신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7)가 LTE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제2세대 또는 제3세대 통신 시스템과 연결하여 제2세대 또는 제3세대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방식을 말한다.
그리고 EPS는 LTE 서비스를 위해 설치되는 시스템으로, 무선부분(접속시스템)과 아이피(IP) 기반 코어 네트워크인 EPC(Evolved Packet Core)의 조합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EPC는 LTE를 위한 패킷 기반의 올-아이피(All-IP)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를 말한다.
그리고 제2기지국(103)은 제2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제2통신 방식에 따른 서비스(예를 들면, 음성 또는 데이터 서비스)를 휴대 단말기(107)에 제공한다. 그리고 제2기지국(103)은 휴대 단말기(107)의 요청에 따라 휴대 단말기(107)를 제2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2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한다.
여기서, 제2통신 방식은 제2세대 또는 제3세대 통신 시스템에 따른 통신 방식이 될 수 있고, 제2세대 통신 시스템은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이하 'GSM'이라 한다)이 될 수 있고, 제3세대 통신 시스템은 유니버셜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이하 'UMTS'라 한다)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7)는 제1통신 방식과 제2통신 방식을 모두 지원하며,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거나 제2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휴대 단말기(107)는 CS 모드 및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이하 'PS'라 한다) 모드를 모두 지원하고, 제1기지국(101)과 제3기지국(105)을 통해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고, 제2기지국(103)을 통해 제2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한다.
여기서, PS는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방식이고, 작은 블록의 패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에만 네트워크 자원을 사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특히, 휴대 단말기(107)는 제1기지국(101)을 통해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을 시도하고, 제1기지국(101)으로부터 제1통신 등록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통신 등록 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지원 정보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휴대 단말기(107)는 제1기지국(101)이 CSFB가 지원되지 않는 CS 모드를 제공하는지 또는 제1기지국(101)이 SMS만을 지원하는 CS 모드를 제공하는지 또는 제1기지국(101)이 EPS 서비스만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제1기지국(101)이 CSFB가 지원되지 않는 CS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1기지국(101)이 SMS만을 지원하는 CS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1기지국(101)이 EPS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조건들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휴대 단말기(107)는 CS 모드로 제1기지국(101)을 통해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한다.
이와 달리, 제1기지국(101)이 CSFB가 지원되지 않는 CS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1기지국(101)이 SMS만을 지원하는 CS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1기지국(101)이 EPS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7)는 사용자에게 CS 모드로부터 PS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한다.
만약에, 사용자로부터 PS 모드로의 전환이 요청되지 않으면, 휴대 단말기(107)는 제2기지국(103)을 통해 제2통신 네트워크에 등록을 시도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로부터 PS 모드로의 전환이 요청되면, 휴대 단말기(107)는 휴대 단말기(107)의 모드를 CS 모드로부터 PS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7)는 PS 모드로 제1기지국(101)을 통해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한다.
그리고 PS 모드로 제1통신 네트위크에 등록 중에 휴대 단말기(107)가 제3기지국(105)으로 이동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7)는 제3기지국(105)을 통해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을 시도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7)는 제3기지국(105)으로부터 제1통신 등록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통신 등록 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지원 정보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휴대 단말기(107)는 제3기지국(105)이 CSFB가 지원되지 않는 CS 모드를 제공하는지 또는 제3기지국(105)이 SMS만을 지원하는 CS 모드를 제공하는지 또는 제3기지국(105)이 EPS 서비스만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제3기지국(105)이 CSFB가 지원되지 않는 CS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3기지국(105)이 SMS만을 지원하는 CS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3기지국(105)이 EPS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조건들을 만족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7)는 PS 모드로 제3기지국(105)을 통해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한다.
이와 달리, 제1기지국(101)이 CSFB가 지원되지 않는 CS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1기지국(101)이 SMS만을 지원하는 CS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1기지국(101)이 EPS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조건들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휴대 단말기(107)는 휴대 단말기(107)의 폰 모드를 PS 모드로부터 CS 모드로 전환하고, CS 모드로 제3기지국(105)을 통해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7)는 제어부(201)와 표시부(203)와 메모리부(205)와 키입력부(207)와 무선 송수신부(209)와 데이터 처리부(211)와 오디오 처리부(213)를 포함한다.
각 구성 요소를 살펴보면, 무선 송수신부(209)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무선 송수신부(209)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무선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211)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 처리부(211)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213)는 데이터 처리부(211)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211)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키입력부(20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하고, 표시부(203)는 영상 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제어부(201)로부터 출력 요청되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만약에, 표시부(203)가 정전식 또는 감압식 등의 터치 표시 화면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키입력부(207)는 미리 설정된 최소한의 키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부(203)는 키입력부(207)의 키입력 기능을 일부 대체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205)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데이터 메모리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부팅(booting) 및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이하 'OS'라 한다)을 저장하고, 데이터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 동작 중에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201)는 CS 모드로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할 수 없는 경우, PS 모드로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201)는 제1기지국(101)을 통해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을 시도하고, 제1기지국(101)으로부터 제1통신 등록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통신 등록 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지원 정보를 분석한다.여기서, 제1통신 네트워크는 제1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를 말하고, 제1통신 방식은 제4세대 통신 시스템에 따른 통신 방식이 될 수 있고, 제4세대 통신 시스템은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이하 'LTE'라 한다)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통신 등록 확인 메시지는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기지국이 지원하는 서비스 대한 지원 정보를 포함한다. 서비스 지원 정보는 기지국이 CSFB가 지원되지 않는 CS 모드를 제공하는지 또는 기지국이 SMS만을 지원하는 CS 모드를 제공하는지 또는 기지국이 EPS 서비스만을 제공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제어부(201)는 제1기지국(101)이 CSFB가 지원되지 않는 CS 모드를 제공하는지 또는 제1기지국(101)이 SMS만을 지원하는 CS 모드를 제공하는지 또는 제1기지국(101)이 EPS 서비스만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제1기지국(101)이 CSFB가 지원되지 않는 CS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1기지국(101)이 SMS만을 지원하는 CS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1기지국(101)이 EPS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조건들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01)는 CS 모드로 제1기지국(101)을 통해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한다. 여기서, 위의 조건들은 PS 모드 전환 조건이라고 말한다.
이와 달리, 제1기지국(101)이 CSFB가 지원되지 않는 CS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1기지국(101)이 SMS만을 지원하는 CS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1기지국(101)이 EPS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경우, 제어부(201)는 사용자에게 CS 모드로부터 PS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1)는 'PS 모드로 전환할 것입니까?' 라는 문장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표시부(203)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PS 모드로의 전환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
만약에, 사용자로부터 PS 모드로의 전환이 요청되지 않으면, 제어부(201)는 제2기지국(103)을 통해 제2통신 네트워크에 등록을 시도한다. 여기서, 제2통신 네트워크는 제2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를 말하며, 제2통신 방식은 제2세대 또는 제3세대 통신 시스템에 따른 통신 방식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세대 통신 시스템은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이하 'GSM'이라 한다)이 될 수 있고, 제3세대 통신 시스템은 유니버셜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이하 'UMTS'라 한다)이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로부터 PS 모드로의 전환이 요청되면, 제어부(201)는 휴대 단말기(107)의 모드를 CS 모드로부터 PS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PS 모드로 제1기지국(101)을 통해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한다.
그리고 PS 모드로 제1통신 네트위크에 등록 중에 휴대 단말기(107)가 제3기지국(105)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어부(201)는 제3기지국(105)을 통해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을 시도한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제3기지국(105)으로부터 제1통신 등록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통신 등록 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지원 정보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제어부(201)는 제3기지국(105)이 CSFB가 지원되지 않는 CS 모드를 제공하는지 또는 제3기지국(105)이 SMS만을 지원하는 CS 모드를 제공하는지 또는 제3기지국(105)이 EPS 서비스만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제3기지국(105)이 CSFB가 지원되지 않는 CS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3기지국(105)이 SMS만을 지원하는 CS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3기지국(105)이 EPS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조건들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201)는 PS 모드로 제3기지국(105)을 통해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한다.
이와 달리, 제1기지국(101)이 CSFB가 지원되지 않는 CS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1기지국(101)이 SMS만을 지원하는 CS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1기지국(101)이 EPS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조건들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01)는 휴대 단말기(107)의 폰 모드를 PS 모드로부터 CS 모드로 전환하고, CS 모드로 제3기지국(105)을 통해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는 휴대 단말기(107)의 폰 모드를 CS 모드로부터 PS 모드로 전환한 후에,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방안을 설명하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1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제1기지국(101)을 통해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을 시도한 후, 303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303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제1기지국(101)으로부터 제1통신 등록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후, 305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제1통신 네트워크는 제1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를 말하고, 제1통신 방식은 제4세대 통신 시스템에 따른 통신 방식이 될 수 있고, 제4세대 통신 시스템은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이하 'LTE'라 한다)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통신 등록 확인 메시지는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기지국이 지원하는 서비스 대한 지원 정보를 포함한다. 서비스 지원 정보는 기지국이 CSFB가 지원되지 않는 CS 모드를 제공하는지 또는 기지국이 SMS만을 지원하는 CS 모드를 제공하는지 또는 기지국이 EPS 서비스만을 제공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305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수신된 제1통신 등록 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지원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제1기지국(101)이 CSFB가 지원되지 않는 CS 모드를 제공하는지 또는 제1기지국(101)이 SMS만을 지원하는 CS 모드를 제공하는지 또는 제1기지국(101)이 EPS 서비스만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제1기지국(101)이 CSFB가 지원되지 않는 CS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1기지국(101)이 SMS만을 지원하는 CS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1기지국(101)이 EPS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조건들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201)는 307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309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위의 조건들은 PS 모드 전환 조건이라고 말한다.
만약에, 309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201)는 CS 모드로 제1기지국(101)을 통해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한다. 이와 달리, 307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제어부(201)는 사용자에게 CS 모드로부터 PS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한 후 311 단계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1)는 'PS 모드로 전환할 것입니까?' 라는 문장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표시부(203)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PS 모드로의 전환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
그리고 311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사용자에 의해 PS 모드로의 전환이 요청되면, 313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315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에, 315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201)는 제2기지국(103)을 통해 제2통신 네트워크에 등록을 시도한다. 여기서, 제2통신 네트워크는 제2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를 말하며, 제2통신 방식은 제2세대 또는 제3세대 통신 시스템에 따른 통신 방식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세대 통신 시스템은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이하 'GSM'이라 한다)이 될 수 있고, 제3세대 통신 시스템은 유니버셜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이하 'UMTS'라 한다)이 될 수 있다.
만약에, 313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201)는 휴대 단말기(107)의 모드를 CS 모드로부터 PS 모드로 전환한 후, 317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317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PS 모드로 제1기지국(101)을 통해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는 휴대 단말기(107)의 폰 모드를 PS 모드로부터 CS 모드로 전환한 후에,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방안을 설명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1 단계에서, PS 모드로 제1통신 네트위크에 등록 중에 휴대 단말기(107)가 제3기지국(105)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어부(201)는 제3기지국(105)을 통해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을 시도한 후, 403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403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제3기지국(105)으로부터 제1통신 등록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후, 405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제1통신 네트워크는 제1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를 말하고, 제1통신 방식은 제4세대 통신 시스템에 따른 통신 방식이 될 수 있고, 제4세대 통신 시스템은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이하 'LTE'라 한다)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통신 등록 확인 메시지는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기지국이 지원하는 서비스 대한 지원 정보를 포함한다. 서비스 지원 정보는 기지국이 CSFB가 지원되지 않는 CS 모드를 제공하는지 또는 기지국이 SMS만을 지원하는 CS 모드를 제공하는지 또는 기지국이 EPS 서비스만을 제공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403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수신된 제1통신 등록 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지원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제3기지국(105)이 CSFB가 지원되지 않는 CS 모드를 제공하는지 또는 제3기지국(105)이 SMS만을 지원하는 CS 모드를 제공하는지 또는 제3기지국(105)이 EPS 서비스만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제3기지국(105)이 CSFB가 지원되지 않는 CS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3기지국(105)이 SMS만을 지원하는 CS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3기지국(105)이 EPS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조건들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201)는 407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09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에, 407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201)는 PS 모드로 제3기지국(105)을 통해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한다. 만약에, 409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201)는 휴대 단말기(107)의 폰 모드를 PS 모드로부터 CS 모드로 전환한 후, 411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411 단계에서, 제어부(201)는 CS 모드로 제3기지국(105)을 통해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PS 모드의 전환 여부를 문의하는 팝업창을 표시한 화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특정 기지국이 CSFB가 지원되지 않는 CS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특정 기지국이 SMS만을 지원하는 CS 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특정 기지국이 EPS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조건들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201)는 501 화면과 같이, 'PS 모드로 LTE에 접속하시겠습니까?' 라는 문구와 사용자의 의사를 확인할 수 있는 '예' 와 '아니오' 단어를 포함하는 팝업창(503)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및 동작을 통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가 패킷 교환 모드를 통해 제4세대 통신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기지국이 특정 조건에 해당되더라도, 휴대 단말기가 패킷 교환 모드를 통해 제4세대 통신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101: 제1기지국 103: 제2기지국
105: 제3기지국 107: 휴대 단말기
201: 제어부 203: 표시부
205: 메모리부 207: 키입력부
209: 무선 송수신부 211: 데이터 처리부
213: 오디오 처리부

Claims (18)

  1. 휴대 단말기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장치에 있어서,
    무선 송수신부와,
    제1기지국으로부터 등록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등록 확인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1기지국이 패킷 교환 모드로의 전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1기지국이 상기 전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회선 교환 모드로부터 상기 패킷 교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패킷 교환 모드로 상기 제1기지국을 통해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지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조건은, 상기 제1기지국이 CSFB(Circuit Switched Fallback)가 지원되지 않는 상기 회선 교환 모드를 제공하는 조건과 단문 문자 메시지만을 지원하는 상기 회선 교환 모드를 제공하는 조건과 EPS(Evolved Packet System)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조건 중에서 적어도 한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통신 네트워크 지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 네트워크는, 제4세대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지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1기지국이 상기 전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상기 회선 교환 모드로 상기 제1기지국을 통해 상기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지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선 교환 모드로부터 상기 패킷 교환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패킷 교환 모드로의 전환이 요청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회선 교환 모드로부터 상기 패킷 교환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지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패킷 교환 모드로의 전환이 거부되면, 제2기지국을 통해 제2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지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 네트워크는, 제2세대 통신 시스템과 제3세대 통신 시스템 중에서 하나의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지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킷 교환 모드로 상기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 중에 제3기지국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3기지국으로부터 등록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등록 확인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3기지국이 패킷 교환 모드로의 전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3기지국이 상기 전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패킷 교환 모드로 상기 제3기지국을 통해 상기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지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3기지국이 상기 전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상기 패킷 교환 모드로부터 상기 회선 교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회선 교환 모드로 상기 제3기지국을 통해 상기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지원 장치.
  10. 휴대 단말기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기지국으로부터 등록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 확인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1기지국이 패킷 교환 모드로의 전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1기지국이 상기 전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회선 교환 모드로부터 상기 패킷 교환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패킷 교환 모드로 상기 제1기지국을 통해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지원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조건은, 상기 제1기지국이 CSFB(Circuit Switched Fallback)가 지원되지 않는 상기 회선 교환 모드를 제공하는 조건과 단문 문자 메시지만을 지원하는 상기 회선 교환 모드를 제공하는 조건과 EPS(Evolved Packet System)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조건 중에서 적어도 한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통신 네트워크 지원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 네트워크는, 제4세대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지원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1기지국이 상기 전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상기 회선 교환 모드로 상기 제1기지국을 통해 상기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지원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교환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은, 상기 회선 교환 모드로부터 상기 패킷 교환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상기 패킷 교환 모드로의 전환이 요청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회선 교환 모드로부터 상기 패킷 교환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지원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패킷 교환 모드로의 전환이 거부되면, 제2기지국을 통해 제2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지원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 네트워크는, 제2세대 통신 시스템과 제3세대 통신 시스템 중에서 하나의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지원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교환 모드로 상기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 중에 제3기지국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3기지국으로부터 등록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 확인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3기지국이 패킷 교환 모드로의 전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3기지국이 상기 전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패킷 교환 모드로 상기 제3기지국을 통해 상기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지원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3기지국이 상기 전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상기 패킷 교환 모드로부터 상기 회선 교환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회선 교환 모드로 상기 제3기지국을 통해 상기 제1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 지원 방법.
KR1020120128195A 2012-11-13 2012-11-13 휴대 단말기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061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195A KR20140061053A (ko) 2012-11-13 2012-11-13 휴대 단말기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US14/077,875 US9344921B2 (en) 2012-11-13 2013-11-12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network in portable terminal
EP13192644.6A EP2731380A1 (en) 2012-11-13 2013-11-13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network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195A KR20140061053A (ko) 2012-11-13 2012-11-13 휴대 단말기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053A true KR20140061053A (ko) 2014-05-21

Family

ID=49596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195A KR20140061053A (ko) 2012-11-13 2012-11-13 휴대 단말기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44921B2 (ko)
EP (1) EP2731380A1 (ko)
KR (1) KR2014006105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66029A (zh) * 2014-01-23 2016-07-13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通信系统、终端和通信方法
JP2015177251A (ja) * 2014-03-13 2015-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9392498B2 (en) * 2014-10-23 2016-07-12 Qualcomm Incorporated Intelligent mode selection for circuit switched fall back devices
CN105025532B (zh) * 2015-06-12 2018-10-2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电路域回退的处理方法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02094A (fi) * 2000-09-22 2002-03-23 Nokia Networks Oy Matkaviestinten välisten yhteyksien järjestäminen langattomassa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US20040248616A1 (en) * 2003-06-05 2004-12-09 Pecen Mark Edward Method for enabling receipt of a packet-switched page by a mobile station
FI116442B (fi) * 2003-09-15 2005-11-15 Nokia Corp Pakettivälitteinen kanavanvaihto
US20050118946A1 (en) * 2003-11-05 2005-06-02 Erik Colban In-band signaling within broadcast stream and support for mixed flows
US7860046B2 (en) * 2003-12-08 2010-12-28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earer format type information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20090170516A1 (en) * 2006-04-12 2009-07-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GAN Coverage In The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Network
US20080039086A1 (en) * 2006-07-14 2008-02-14 Gallagher Michael D Generic Access to the Iu Interface
US7852817B2 (en) * 2006-07-14 2010-12-14 Kineto Wireless, Inc. Generic access to the Iu interface
US20080064389A1 (en) * 2006-09-13 2008-03-13 Motorola, Inc.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directing a call between multiple different operating modes
US8743887B2 (en) * 2007-10-09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ity support and IP multimedia subsystem (IMS) registration in a multimode network environment
WO2010019970A1 (en) * 2008-08-15 2010-02-18 Kineto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 home node b cell update handling
US8565221B2 (en) 2008-12-04 2013-10-22 Qualcomm Incorporated Domain specific PLMN selection
US8547969B2 (en) 2009-03-31 2013-10-0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n-packet switched service in a target radio access technology network
WO2010120689A2 (en) 2009-04-14 2010-10-2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emergency calls
US9037734B2 (en) * 2009-04-17 2015-05-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transfer of collaborative session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US8977303B2 (en) * 2009-05-08 2015-03-10 Zte Corporation Interworking circuit service fall back
EP2465301B1 (en) 2009-08-14 2017-03-22 Hilco Patent Acquisition 55,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support voice solutions for data centric terminals
CN102160439B (zh) * 2009-11-13 2015-08-19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解决多模无线设备中寻呼监测冲突的方法和装置
US9246655B2 (en) * 2009-12-17 2016-01-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aintaining packet switched session in LTE when establishing GSM circuit switched call
EP2548405A1 (en) * 2010-03-26 2013-01-2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anaging race conditions between circuit switched fallback requests
US9699718B2 (en) 2010-04-12 2017-07-0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o enable domain selection in a multimode device
US20120201226A1 (en) * 2010-08-16 2012-08-09 Sharad Deepak Sambhwani Switching-based downlink aggregation for multi-point hsdpa
CN103210683A (zh) * 2010-11-11 2013-07-17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改进电路交换回退性能的系统和方法
US8693467B2 (en) * 2011-01-07 2014-04-08 Via Telecom Co., Ltd Problem with GCSNA arq
US8897267B2 (en) * 2011-04-04 2014-11-2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softer handover by user equipment in a non-dedicated channel state
US9131476B2 (en) * 2011-08-16 2015-09-08 Amazon Technologies, Inc. Optimizing voice calls on packet switched networks
US9961591B2 (en) * 2011-10-18 2018-05-01 Qualcomm Incorported Optimizations to circuit-switched fallback (CSFB) proced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33457A1 (en) 2014-05-15
EP2731380A1 (en) 2014-05-14
US9344921B2 (en) 201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7447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ordinating communication operations associated with a plurality of subscriber identity cards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single wireless transceiver
US201501212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notification in electronic device
CN109451849B (zh) 寻呼消息发送和接收方法及装置、基站、用户设备
AU20142000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CN105812573A (zh) 一种语音处理方法及移动终端
KR20140063334A (ko)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300457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call in a portable terminal
KR20140061053A (ko) 휴대 단말기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112907A (ko) 근거리통신 연결시스템, 장치 및 방법
WO2015010591A1 (en)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adding contacts
KR102436552B1 (ko) 셀 타입 지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1890659B1 (ko) 휴대 단말기에서 ip 접속을 유지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30088382A (ko)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발견된 디바이스를 알리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6375970B (zh) 一种通过VoWiFi发送短信的方法及系统
CN104991922A (zh) 一种信息的输出方法及其装置
US201401550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location information of call service area in mobile terminal
KR20140089645A (ko) 심카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배터리 관리 방법
KR100597809B1 (ko) 이동 단말기의 대기 모드 상태에서 메시지를 출력하는방법 및 장치
CN108848557B (zh) 输出功率调整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CA2625126C (en) Classmark change message system and method
US91008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with network in portable terminal
US20080233887A1 (en) Classmark Change Message System and Method
US201200884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090240842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KR20110063951A (ko) 이동단말에서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