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0676A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0676A
KR20140060676A KR1020120127256A KR20120127256A KR20140060676A KR 20140060676 A KR20140060676 A KR 20140060676A KR 1020120127256 A KR1020120127256 A KR 1020120127256A KR 20120127256 A KR20120127256 A KR 20120127256A KR 20140060676 A KR20140060676 A KR 20140060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ink
light emitting
emitting unit
bulb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서용
김현하
김남진
이형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7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0676A/ko
Publication of KR20140060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6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7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enclosed in a casing
    • F21V23/009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enclosed in a casing the casing being inside the housing of the ligh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추가적인 배선작업이 없이 무선으로 개별/그룹 제어가 용이한 조명 제어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방열성능을 향상시키고, 안정성 및 배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추가적인 배선작업이 없이 무선으로 개별/그룹 제어가 용이한 조명 제어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방열성능을 향상시키고, 안정성 및 배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에 주로 사용되는 광원으로는 백열전구, 방전등, 형광등이 주로 쓰이고 있으며, 가정용, 경관용, 산업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중 백열전구 등의 저항성 광원은 효율이 낮고 발열 문제가 크며, 방전등의 경우 고가격, 고전압의 문제가 있으며, 형광등의 경우 수은 사용에 의한 환경문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광원들의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효율, 색의 다양성, 디자인의 자율성 등 많은 장점을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조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순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때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로서, 수명이 길고, 소비 전력이 낮으며, 대량 생산에 적합한 전기적, 광학적, 물리적 특성들을 가지며, 백열 전구 및 형광등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한편, 빌딩과 같은 대형 건물에는 복수의 LED조명장치가 설치되고, 이러한 LED 조명장치를 개별/그룹 제어하기 위한 조명제어 시스템이 마련된다. 상기 조명제어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각 층 또는 특정 구역에 설치된 발광 다이오드의 온/오프, 각 상태 정보 또는 전력 사용량 등을 관리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의 사용처를 찾아서 그 낭비를 최소화한다.
또한, 상기 조명제어 시스템은 건물의 설비관리 및 설비운전 보수관리, 건물 내부 조명환경의 유지와 그로 인해 소비되는 에너지를 관리하기 위하여 다수의 LED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종래에는 다수의 LED조명장치가 각각 유선 통신 방식으로 컨트롤러와 연결됨으로써 배선작업이 복잡하고, LED조명장치가 재배치됨에 따라 새로운 조명제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 기존에 설치된 배선을 그대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추가적인 배선작업이 요구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조명제어 시스템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고, LED조명장치의 개별/그룹 제어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통신모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추가적인 배선작업이 없이 무선으로 개별/그룹 제어가 용이한 조명 제어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무선 통신모듈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성능을 높일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으로 점등(on)/소등(off), 조도(dimming) 또는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하고,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히트싱크;와 상기 제1 히트싱크에 장착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LED를 포함하는 발광유닛;과 상기 발광유닛을 둘러싸며 개구부를 갖는 벌브;와 상기 제1 히트싱크로부터 상기 벌브의 개구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2 히트싱크;와 상기 제1 히트싱크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발광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장부;와 상기 전장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1 히트싱크 내부로 삽입되는 케이스;와 상기 전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전원소켓;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2 히트싱크에 삽입되며 상기 전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외부 공기는 상기 벌브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벌브 및 제2 히트싱크 사이의 공간과 제1 히트싱크로 유동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히트싱크;와 상기 제1 히트싱크에 장착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LED를 포함하는 발광유닛;과 상기 발광유닛을 둘러싸며 개구부를 갖는 벌브;와 상기 제1 히트싱크로부터 상기 벌브의 개구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2 히트싱크;와 상기 제1 히트싱크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발광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장부;와 상기 전장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1 히트싱크 내부로 삽입되는 케이스;와 상기 전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전원소켓; 및 상기 개구부와 상기 발광유닛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발광유닛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제1 히트싱크 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제1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외부 공기는 상기 벌브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반사부재 및 제2 히트싱크 사이의 공간과 제1 히트싱크로 유동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는 추가적인 배선작업이 없이 무선으로 개별/그룹 제어가 용이한 조명 제어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는 방열성능을 높일 수 있고,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하며,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는 별도의 무선 통신모듈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무선으로 점등(on)/소등(off), 조도(dimming) 또는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통신 모듈의 장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의 절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통신 모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통신 모듈의 블록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통신 모듈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통신 모듈을 나타내는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는 제1 히트싱크와 상기 제1 히트싱크에 장착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LED를 포함하는 발광유닛과 상기 발광유닛을 둘러싸는 벌브와 상기 제1 히트싱크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발광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장부와 상기 전장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1 히트싱크 내부로 삽입되는 케이스와 상기 전장부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전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전원소켓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모듈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에 마련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벌브에는 개구부가 마련되며, 외부 공기는 상기 벌브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 히트싱크로 유동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통신 모듈의 장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의 절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100)에는 상기 조명장치(100)에 대한 제어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조명장치(100)의 작동상태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모듈(200)이 장착된다. 상기 통신모듈(200)은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상기 조명장치(1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통신모듈(200)은 상기 조명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300, 도 8참조)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모듈(200)로는 상기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조명장치(100)에 대한 제어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통신모듈(200)은 상기 조명장치(100)의 작동상태를 상기 단말기(300)로 송신하며,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조명장치(100)의 점등/소등, 조도 및/또는 색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조명장치(100)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장부(180)는 상기 발광유닛(12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발광유닛(120)의 작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모듈(200)은 상기 전장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조명장치(100)는 제1 히트싱크(110)와 상기 제1 히트싱크(110)에 장착되는 기판(121) 및 상기 기판(121)에 실장되는 LED(122)를 포함하는 발광유닛(120)과 상기 발광유닛(120)을 둘러싸며 개구부(131)를 갖는 벌브(130)와 상기 제1 히트싱크(110)로부터 상기 벌브(130)의 개구부(131)를 향하여 연장된 제2 히트싱크(170)와 상기 제1 히트싱크(110)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발광유닛(120)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장부(180)와 상기 전장부(180)를 둘러싸며 상기 제1 히트싱크(110) 내부로 삽입되는 케이스(140)와 상기 전장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140)에 장착되는 전원소켓(150) 및 상기 개구부(131)를 통하여 상기 제2 히트싱크(170)에 삽입되며 상기 전장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신모듈(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외부 공기(A)는 상기 벌브(130)의 개구부(131)를 통하여 상기 벌브(130) 및 제2 히트싱크(170) 사이의 공간과 제1 히트싱크(110)로 유동된다.
이하, 상기 조명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 히트싱크(110)는 상기 발광유닛(120)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1 히트싱크(110)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히트싱크(110)에는 외부 공기와의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열핀(111)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히트싱크(1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내부에 상기 케이스(140)가 삽입되기 위한 중공부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 히트싱크(110)는 상기 발광유닛(120)이 장착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반대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케이스(140)에 삽입되는 제2 면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히트싱크(110)는 인접하는 2개의 방열핀(111)들 사이의 공간에 외부 공기와의 대류 열교환을 위한 유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히트싱크(110)에는 상기 유동공간과 연통되는 복수의 유동홀(122)이 마련되고, 상기 유동홀(122)은 상기 제1 히트싱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홀(122)은 벌브(130)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외부 공기(A)는 상기 벌브(130)의 개구부(131)를 통하여 상기 벌브(130) 및 제2 히트싱크(170) 사이의 공간과 유동홀로 유동된다.
구체적으로, 외부 공기(A)는 상기 벌브(130)의 개구부(131)를 통하여 상기 벌브(130)와 제2 히트싱크(17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 히트싱크(110)의 유동홀(122)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1 히트싱크(110)의 인접하는 방열핀(111)들 사이의 유동공간을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히트싱크(110)의 대류 열교환 면적이 넓어지고 외부 공기(A)의 유동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상기 발광유닛(120)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신속히 발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유닛(120)은 상기 히트싱크(110)에 장착되는 기판(121)과 상기 기판(121)에 실장되는 LED(122)를 포함하며, 상기 히트싱크(110) 상에 상기 발광유닛(120)은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발광유닛(120)은 칩(chip) 또는 패키지(package)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유닛(120)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히트싱크(17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제1 히트싱크(1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벌브(130)는 상기 발광유닛(120)을 둘러싼 상태로 상기 히트싱크(1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개구부(131)를 갖는다.
한편, 상기 케이스(140)는 상기 전장부(180)를 상기 제1 히트싱크(110)로부터 절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케이스(140)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40)는 상기 전장부(180)를 둘러싸며 상기 제1 히트싱크(110) 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전장부(180)는 상기 발광유닛(120)과 케이블 또는 플렉서블 회로기판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장부(180)는 상기 발광유닛(12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발광유닛(120)의 작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통신모듈(200)은 상기 전장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40)에는 상기 전장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소켓(150)이 장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장부(180)에는 커넥터(181)가 마련되고, 상기 통신모듈(200)의 회로기판은 상기 커넥터(18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소켓(150)을 통해 외부 전원이 조명장치(100)로 공급되고, 상기 커넥터(181)를 통해 상기 통신모듈(200)로 구동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신모듈(200)은 상기 벌브(130)를 통하여 상기 전장부(180)와 연결되며, 상기 벌브(130)에는 개구부(131)가 마련된다. 상기 통신모듈(200)은 상기 벌브(130)의 개구부(131)를 통하여 상기 전장부(18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장부(180)의 커넥터(181)는 상기 벌브(130)의 개구부(131)와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2 히트싱크(170)는 상기 제1 히트싱크(110)로부터 상기 벌브(130)의 개구부(131) 측으로 연장되며, 통신 모듈(200)이 삽입되는 장착부재(171)와 상기 제1 히트싱크(110)로부터 상기 벌브(130)의 개구부(131) 측으로 갈수록 상기 장착부재(171)와 멀어지도록 경사진 복수의 측벽(17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유닛(120)은 상기 장착부재(170)를 중심으로 제1 히트싱크(110) 상에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유닛(120)이 상기 제1 히트싱크(110)의 유동홀(112)을 가로막지 않도록 상기 발광유닛(120)은 상기 유동홀(122)과 상기 제2 히트싱크(170)의 장착부재(171) 사이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장부(180)는 상기 케이스(140)에 둘러싸인 상태에서 상기 히트싱크(110)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통신모듈(200)은 상기 하우징(201)이 상기 장착부재(17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장부(180)의 커넥터(181)에 상기 통신모듈(200)의 회로기판(202)이 삽입된다.
한편, 상기 장착부재(171)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측벽(172)은 방열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100)에 따르면, 제1 히트싱크(110)와 제1 히트싱크(110)로부터 벌브(130)의 개구부(131) 측으로 연장된 제2 히트싱크(170)를 통하여 대류 열교환 면적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172)은 상기 발광유닛(120)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제1 히트싱크(110)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벽(172)은 상기 히트싱크(110) 측에서 상기 벌브(130)의 개구부(131) 측으로 갈수록 상기 장착부재(171)와 멀어지도록 경사진 반사면(172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반사면(172a)은 상기 발광유닛(120)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상기 히트싱크(110) 측으로 반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측벽(172)의 반사면(172a)은 상기 조명장치(100)의 배광영역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조명장치(100)의 전방위(Omnidirectional) 배광을 구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전방위 배광이라 함은 배광 각도 135°이상에서 최소 5% 이상의 광속을 확보하고, 0° 내지 135°사이의 배광 각도에서 평균 광속 편차가 20% 이내로 구현되는 기술을 뜻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 장치(100)는 상기 반사면(172)에 의하여 전방위 배광이 구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통신모듈(200)의 장착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140)에는 상기 장착부재(171) 측으로 연장된 쉴드부재(141) 마련되며, 상기 통신모듈(200)의 하우징(201)은 상기 벌브(130)의 개구부(131)를 통과하여 상기 쉴드부재(14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쉴드부재(141)는 상기 케이스(140)와 마찬가지로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부재(170)와 상기 통신모듈(200)을 절연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쉴드부재(141)는 상기 장착부재(170)를 통해 상기 통신모듈(200)로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절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모듈(200)의 하우징(201)은 상기 쉴드부재(14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201)에는 하나 이상의 후크부(210, 도 6참조)가 마련되고, 상기 쉴드부재(141)에는 상기 후크부(21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기 위한 걸림부(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장치(100)는 상기 발광유닛(120)과 상기 벌브(130)의 개구부(131)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반사부재(19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반사부재(191)는 상기 LED(122)로부터 조사된 빛을 상기 제1 히트싱크(110) 측으로 반사시킬 수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반사부재(191)는 상기 제1 히트싱크(110) 측에서 제2 히트싱크(170) 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 히트싱크(170), 구체적으로 장착부재(171)와 멀어지도록 경사진 반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부재(191)는 전술한 측벽(172)의 반사면(172a)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조명장치(100)는 상기 발광유닛(120)의 LED(122)가 노출되도록 상기 기판(121)을 둘러싸는 제2 반사부재(19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반사부재(192)는 상기 LED(122)를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홀(193)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반사부재(192)는 제1 반사부재(19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반사부재(191)는 인접하는 2개의 측벽(17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반사부재(191)는 인접하는 2개의 측벽(172)에 각각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반사부재(191)와 측벽(172)은 상기 LED(122)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제1 히트싱크(110) 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단일의 반사부재로 기능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반사부재(191)와 측벽(172)은 상기 벌브(130)의 개구부(131)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통신모듈(2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통신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통신 모듈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통신 모듈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통신 모듈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신모듈(200)은 조명장치(100)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기 위한 하우징(201)과 상기 하우징(201) 내부에 배치된 회로기판(202)과 상기 회로기판(202)에 마련되며, 상기 조명장치(100)에 대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조명장치의 작동상태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240)와 상기 하우징(201)에 마련되며, 작동상태를 표시하고, 초기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작동상태 표시부(220) 및 상기 무선 통신부(240)와 상기 작동상태 표시부(2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202)에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회로부가 실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초기화를 위한 초기화 회로부(223)와 메모리부(25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장부(180)의 커넥터(181)에 삽입되기 위하여 상기 회로기판(202)의 일부영역은 상기 하우징(201) 외부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202)의 일부영역에는 상기 커넥터(18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접지되거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핀이 마련될 수 있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작동상태 표시부(210)는 상기 회로기판(202)에 실장되는 광원(221, 예를 들어, LED)과 상기 하우징(201)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부(225)를 가지고, 상기 광원(221)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상기 버튼부(225)로 안내하기 위한 광 가이드 부재(224) 및 상기 광 가이드 부재(224)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2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광 가이드 부재(224) 및 상기 버튼부(225)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광원(221)이 작동하면, 상기 광원(221)으로부터 조사된 빛은 광 가이드부재(224) 및 버튼부(225)를 따라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광원(221)이 깜빡거리는 주기로 상기 통신모듈(2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미리 결정된 규칙으로 상기 광원(221)이 깜빡거리는 것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상기 통신모듈(200)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200)의 작동상태는 초기화 상태, 데이터 수신상태 또는 정상 작동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 가이드 부재(224)는 상기 스위치(226)를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201)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부(225)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광 가이드 부재(224)는 상기 스위치(226)를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광 가이드 부재(224)가 상기 스위치(226)를 누르는 시간을 판단함으로써 상기 통신모듈(200)의 초기화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모듈(200)의 초기화라 함은 상기 통신모듈(200)의 제어부(230)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초기화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202)에는 초기화 회로부(223)가 마련되며, 사용자는 직접 버튼부(225)를 조작하여 상기 통신모듈(200)의 초기화를 진행할 수도 있고, 단말기(300)를 통하여 상기 통신모듈(200)의 초기화를 진행할 수도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광 가이드 부재(224)가 상기 스위치(226)를 누르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모듈(200)의 작동모드를 변경시키거나 상기 통신모듈(200)의 초기화를 진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 가이드 부재(224)가 상기 스위치(226)를 누르는 시간이 1초 이하인 경우 통신모듈(200)의 작동모드를 변경시킬 수도 있고, 상기 광 가이드 부재(224)가 상기 스위치(226)를 누르는 시간이 3초 이상인 경우 상기 통신모듈(200)의 초기화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모듈(200)의 작동모드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또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PWM 또는 UART 통신을 통해 조명장치(100)의 온/오프, 디밍 제어, 또는 색온도 변환이 가능하다.
상기 무선 통신부(240)는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Z-웨이브(Wavw)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통신부(240)를 통해 상기 통신모듈(200)은 상기 조명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300)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는 추가적인 배선작업이 없이 무선으로 개별/그룹 제어가 용이한 조명 제어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는 별도의 무선 통신모듈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무선으로 점등(on)/소등(off), 조도(dimming) 또는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명장치는 방열성능을 높일 수 있고,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하며,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조명장치(100)는 제1 히트싱크(110)와 상기 제1 히트싱크(110)에 장착되는 기판(121) 및 상기 기판(121)에 실장되는 LED를 포함하는 발광유닛(120)과 상기 발광유닛(120)을 둘러싸며 개구부를 갖는 벌브(130)와 상기 제1 히트싱크(110)로부터 상기 벌브(130)의 개구부(131)를 향하여 연장된 제2 히트싱크(170)과 상기 제1 히트싱크(110)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발광유닛(120)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장부(180)와 상기 전장부(180)를 둘러싸며 상기 제1 히트싱크(110) 내부로 삽입되는 케이스(140)와 상기 전장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140)에 장착되는 전원소켓(150) 및 상기 개구부(131)와 상기 발광유닛(12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발광유닛(120)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제1 히트싱크(110) 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제1 반사부재(19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히트싱크(110)에는 복수의 유동홀(112)이 마련되며, 외부 공기(A)는 상기 벌브(130)의 개구부(131)를 통하여 상기 벌브(130) 및 제2 히트싱크(170) 사이의 공간과 제1 히트싱크(110)의 유동홀(112)로 유동된다.
100: 조명장치
110: 제1 히트싱크
120: 발광유닛
130: 벌브
140: 케이스
150: 전원소켓
170: 제2 히트싱크
191: 제1 반사부재
192: 제2 반사부재
200: 통신모듈

Claims (20)

  1. 제1 히트싱크;
    상기 제1 히트싱크에 장착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LED를 포함하는 발광유닛;
    상기 발광유닛을 둘러싸며 개구부를 갖는 벌브;
    상기 제1 히트싱크로부터 상기 벌브의 개구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2 히트싱크;
    상기 제1 히트싱크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발광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장부;
    상기 전장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1 히트싱크 내부로 삽입되는 케이스;
    상기 전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전원소켓;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2 히트싱크에 삽입되며 상기 전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외부 공기는 상기 벌브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벌브 및 제2 히트싱크 사이의 공간과 제1 히트싱크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히트싱크에는 복수의 유동홀이 마련되며,
    외부 공기는 상기 벌브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벌브 및 제2 히트싱크 사이의 공간과 제1 히트싱크의 유동홀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홀은 제1 히트싱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발광유닛은 상기 유동홀과 제2 히트싱크 사이 공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유닛과 상기 개구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반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반사부재는 상기 LED로부터 조사된 빛을 상기 제1 히트싱크 측으로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재는 상기 제1 히트싱크 측에서 제2 히트싱크 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 히트싱크와 멀어지도록 경사진 반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유닛의 LED가 노출되도록 상기 기판을 둘러싸는 제2 반사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부재는 제1 반사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제2 히트싱크는 통신 모듈이 삽입되는 장착부재와
    상기 제1 히트싱크로부터 상기 벌브 측으로 갈수록 상기 장착부와 멀어지도록 경사진 복수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은 상기 발광유닛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제1 히트싱크 측으로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1 반사부재는 인접하는 2개의 측벽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재는 인접하는 2개의 측벽에 각각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2 히트싱크의 장착부로 삽입되는 쉴드 부재가 마련되며,
    통신 모듈은 상기 쉴드 부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전장부 및 상기 쉴드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외부장치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가 마련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을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작동상태를 표시하고, 초기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작동상태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상태 표시부는,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광원;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부를 가지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상기 버튼부로 안내하기 위한 광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광 가이드 부재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7. 제1 히트싱크;
    상기 제1 히트싱크에 장착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LED를 포함하는 발광유닛;
    상기 발광유닛을 둘러싸며 개구부를 갖는 벌브;
    상기 제1 히트싱크로부터 상기 벌브의 개구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2 히트싱크;
    상기 제1 히트싱크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발광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장부;
    상기 전장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1 히트싱크 내부로 삽입되는 케이스;
    상기 전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전원소켓; 및
    상기 개구부와 상기 발광유닛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발광유닛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제1 히트싱크 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제1 반사부재를 포함하며,
    외부 공기는 상기 벌브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반사부재 및 제2 히트싱크 사이의 공간과 제1 히트싱크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히트싱크에는 복수의 유동홀이 마련되며,
    외부 공기는 상기 벌브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벌브 및 제2 히트싱크 사이의 공간과 제1 히트싱크의 유동홀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홀은 제1 히트싱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재는 상기 발광유닛 측에서 개구부 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 히트싱크와 멀어지도록 경사진 반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120127256A 2012-11-12 2012-11-12 조명장치 KR201400606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256A KR20140060676A (ko) 2012-11-12 2012-11-12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256A KR20140060676A (ko) 2012-11-12 2012-11-12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676A true KR20140060676A (ko) 2014-05-21

Family

ID=50889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256A KR20140060676A (ko) 2012-11-12 2012-11-12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06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911B1 (ko) 조명장치
JP3159179U (ja) Led照明装置
KR101253199B1 (ko) 조명 장치
KR101195745B1 (ko) 엘이디 램프
KR101227527B1 (ko) 조명 장치
JP2013536555A (ja) 照明装置のヒートシンク
JP3158694U (ja) モジュール化されたled灯器具の冷却装置
KR20130128623A (ko) 조명 장치
KR20130024450A (ko) 조명 장치
KR20100114789A (ko) 방열수단을 구비한 엘이디 조명장치
KR102047687B1 (ko) 통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KR100991465B1 (ko) 엘이디 조명 램프
KR101006400B1 (ko) 온도 유지부를 갖는 조명 장치
KR20140060676A (ko) 조명장치
KR20140132491A (ko) 통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KR101969356B1 (ko) 조명장치
KR101075881B1 (ko) 엘이디 조명장치
KR101167415B1 (ko) 조명장치
JP2009272146A (ja) 車両用ルームライト
KR20140076789A (ko) 모듈형 조명장치
KR101744114B1 (ko) 엘이디 조명기기
KR101969354B1 (ko) 조명장치
KR20140124529A (ko) 조명장치
KR101617296B1 (ko) 조명기기
KR20150138040A (ko)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