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0179A -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0179A
KR20140060179A KR1020120126955A KR20120126955A KR20140060179A KR 20140060179 A KR20140060179 A KR 20140060179A KR 1020120126955 A KR1020120126955 A KR 1020120126955A KR 20120126955 A KR20120126955 A KR 20120126955A KR 20140060179 A KR20140060179 A KR 20140060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power receiving
receiving apparatus
status information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6625B1 (ko
Inventor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6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625B1/ko
Publication of KR20140060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방향의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수신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사용하는 시간 구간을 확인하는 시간 구간 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확인된 시간 구간에 따라 상기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사용하지 않는 시간 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수신 방법{WIRELESS POWER RECEIVER AND POWER RECE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전력 전송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이용하여 단방향 통신이 가능한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무선으로 전기 에너지를 원하는 기기로 전달하는 무선전력전송 기술(wireless power transmission 또는 wireless energy transfer)은 이미 1800년대에 전자기유도 원리를 이용한 전기 모터나 변압기가 사용되기 시작했고, 그 후로는 라디오파나 레이저와 같은 전자파를 방사해서 전기에너지를 전송하는 방법도 시도 되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전동칫솔이나 일부 무선면도기도 실상은 전자기유도 원리로 충전된다. 전자기 유도는 도체의 주변에서 자기장을 변화시켰을 때 전압이 유도되어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한다. 전자기 유도 방식은 소형 기기를 중심으로 상용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나, 전력의 전송 거리가 짧은 문제가 있다.
현재까지 무선 방식에 의한 에너지 전달 방식은 전자기 유도 이외에 공진 및 단파장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원거리 송신 기술 등이 있다.
무선전력 전송 기술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는 2개 이상의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인식하기 위해 양방향 통신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양방향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양방향 통신을 위해 필요한 모듈로 인해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의 가격 상승이 상승되고, 통신 프로토콜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무선전력 송신장치가 양방향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정보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전력으로 인해 무선전력 송신장치와 무선전력 수신장치 간 전력 전송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전력 전송 과정에서 단방향 통신 및 양방향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의 가격을 절감시키고, 통신 프로토콜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통해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의 가격을 절감시키고, 통신 프로토콜을 간소화시키며, 무선전력 송신장치와 무선전력 수신장치 간 전력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방향의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수신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사용하는 시간 구간을 확인하는 시간 구간 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확인된 시간 구간에 따라 상기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사용하지 않는 시간 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방향의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전력 수신 방법은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사용하는 시간 구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시간 구간에 따라 상기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사용하지 않는 시간 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방향의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와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은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사용하는 시간 구간을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시간 구간에 따라 상기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사용하지 않는 시간 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와 통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상기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전력 전송 과정에서 단방향 통신 및 양방향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의 가격을 절감시키고, 통신 프로토콜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통해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의 가격을 절감시키고, 통신 프로토콜을 간소화시키며, 무선전력 송신장치와 무선전력 수신장치 간 전력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유도 코일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와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전력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시간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10)은 전력 공급 장치(100),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무선전력 수신장치(300), 부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공급 장치(10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포함될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송신 유도 코일(210) 및 송신 공진 코일(22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수신 공진 코일(310), 수신 유도 코일(320), 정류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100)의 양단은 송신 유도 코일(210)의 양단과 연결된다.
송신 공진 코일(220)은 송신 유도 코일(210)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수신 공진 코일(310)은 수신 유도 코일(320)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수신 유도 코일(320)의 양단은 정류부(330)의 양단과 연결되고, 부하(400)는 정류부(330)의 양단에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부하(40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포함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100)에서 생성된 전력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 전달되고,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 전달된 전력은 공진 현상에 의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공진을 이루는 즉, 공진 주파수 값이 동일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로 전달된다.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전력전송 과정을 설명한다.
전력 공급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를 갖는 교류 전력을 생성하여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전달한다.
송신 유도 코일(210)과 송신 공진 코일(220)은 유도 결합되어 있다. 즉, 송신 유도 코일(210)는 전력 공급 장치(100)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에 의해 교류 전류가 흐르면, 전자기 유도에 의해 물리적으로 이격 되어 있는 송신 공진 코일(220)에도 교류 전류가 유도된다.
그 후, 송신 공진 코일(220)로 전달된 전력은 공진에 의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공진 회로를 이루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로 전달된다.
임피던스가 매칭된 2개의 LC 회로 사이는 공진에 의해 전력이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진에 의한 전력 전송은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 전송보다 더 먼 거리까지 더 높은 효율로 전력 전달이 가능하게 한다.
수신 공진 코일(310)은 송신 공진 코일(220)로부터 공진에 의해 전력을 수신한다. 수신된 전력으로 인해 수신 공진 코일(310)에는 교류 전류가 흐른다. 수신 공진 코일(310)로 전달된 전력은 전자기 유도에 의해 수신 공진 코일(310)과 유도 결합된 수신 유도 코일(320)로 전달된다. 수신 유도 코일(320)로 전달된 전력은 정류부(330)를 통해 정류되어 부하(400)로 전달된다.
일 실시 예에서 송신 유도 코일(210), 송신 공진 코일(220), 수신 공진 코일(310), 수신 유도 코일(320)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송신 공진 코일(220)은 자기장을 통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수신 공진 코일(310)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 공진 코일(220)과 수신 공진 코일(310)은 공진 주파수에서 동작하도록 공진 결합되어 있다.
송신 공진 코일(220)과 수신 공진 코일(310)의 공진 결합으로 인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간 전력 전송 효율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에서 품질 지수(Quality Factor)와 결합계수(Coupling Coefficient)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즉, 전력 전송 효율은 품질 지수 및 결합계수가 큰 값을 가질수록 향상될 수 있다.
품질 지수(Quality Factor)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또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 부근에 축척할 수 있는 에너지의 지표를 의미할 수 있다.
품질 지수(Quality Factor)는 동작 주파수(w), 코일의 형상, 치수, 소재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품질 지수는 수식으로 Q=w*L/R 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L은 코일의 인덕턴스이고, R은 코일자체에서 발생하는 전력손실량에 해당하는 저항을 의미한다.
품질 지수(Quality Factor)는 0에서 무한대의 값을 가질 수 있고, 품질지수가 클수록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간 전력 전송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결합계수(Coupling Coefficient)는 송신 측 코일과 수신 측 코일 간 자기적 결합의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0에서 1의 범위를 갖는다.
결합계수(Coupling Coefficient)는 송신 측 코일과 수신 측 코일의 상대적인 위치나 거리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유도 코일(210)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유도 코일(210)은 인덕터(L1)와 캐패시터(C1)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에 의해 적절한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 값을 갖는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송신 유도 코일(210)은 인덕터(L1)의 양단이 캐패시터(C1)의 양단에 연결된 등가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송신 유도 코일(210)은 인턱터(L1)와 캐패시터(C1)가 병렬로 연결된 등가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캐패시터(C1)는 가변 캐패시터일 수 있으며, 캐패시터(C1)의 캐패시턴스가 조절됨에 따라 임피던스 매칭이 수행될 수 있다. 송신 공진 코일(220), 수신 공진 코일(310), 수신 유도 코일(320)의 등가 회로도 또한,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100)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유도 코일(210)과 송신 공진 코일(220)은 각각 소정 인덕턴스 값과 캐패시턴스 값을 갖는 인덕터(L1, L2)와 캐패시터(C1, C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공진 코일(310)과 수신 유도 코일(320)은 각각 소정 인덕턴스 값과 캐패시턴스 값을 갖는 인덕터(L3, L4)와 캐패시터(C3, C4)로 구성될 수 있다.
정류부(330)는 수신 유도 코일(320)로부터 전달받은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을 변환하여 변환된 직류 전력을 부하(400)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류부(330)는 정류기와 평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류기는 실리콘 정류기가 사용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오드(D1)로 등가화 될 수 있다.
정류기는 수신 유도 코일(320)로부터 전달받은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을 변환할 수 있다.
평활 회로는 정류기에서 변환된 직류 전력에 포함된 교류 성분을 제거하여 매끄러운 직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평활 회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 캐패시터(C5)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부하(400)는 직류 전력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충전지 또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하(400)는 배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휴대폰, 노트북, 마우스 등 전력이 필요한 전자기기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 공진 코일(310) 및 수신 유도 코일(320)은 전자기기의 형태에 맞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와 인밴드(In band) 또는 아웃 오브 밴드(out of band)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인밴드(In band) 통신은 무선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간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통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서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하거나,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을 검출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포함된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저항과 스위치를 이용해 저항에서 흡수하는 전력량을 변화시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변경시킬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상기 소모되는 전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스위치와 저항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상태 정보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현재 충전량, 충전량 추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위치가 개방되면, 저항이 흡수하는 전력은 0이 되고,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서 소모되는 전력도 감소한다.
스위치가 단락되면, 저항이 흡수하는 전력은 0보다 크게 되고,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서 소모되는 전력은 증가한다. 무선전력 수신장치에서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검출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와 디지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위와 같은 동작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적합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측에 저항과 스위치를 구비하여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상태 정보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전송할 수 있는 최대공급 전력량,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전력을 제공하고 있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개수 및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가용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아웃 오브 밴드 통신에 대해 설명한다.
아웃 오브 밴드 통신은 공진 주파수 대역이 아닌 별도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전력 전송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을 말한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아웃 오브 밴드 통신 모듈을 장착하여 전력 전송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아웃 오브 밴드 통신 모듈은 전력 공급 장치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아웃 오브 밴드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지그비, 무선랜,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수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20)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 및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 및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에 전자기 유도 또는 공진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단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 및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나, 정보를 전송할 수는 없다. 즉,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 및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으나, 전력 전송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는 없고,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의 상태 정보 및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의 상태 정보만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 및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자기 유도 또는 공진을 이용하여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 및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공진을 이용해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 및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는 도 4에 도시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 및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자기 유도를 이용해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 및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는 도 4에 도시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구성 중 수신 공진 코일(31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 및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 및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는 외부로부터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양방향 통신은 인밴드 또는 아웃 오브 밴드 통신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와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는 양방향 통신을 통해 서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와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을 뿐, 정보를 송신할 수는 없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는 정보 수신부(610), 시간 구간 확인부(620), 시간 구간 결정부(630), 정보 송신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장치(600)는 이외에도 도 4에서 설명한 수신 공진 코일(310), 수신 유도 코일(320), 정류부(3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정보 수신부(610)는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로부터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의 상태 정보는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의 식별자 정보,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정상적인 전력 전송이 수행됨을 알려주는 전력 전송 상태 확인 정보,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주는 충전 완료 정보,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가 현재 필요로 하는 요구 전력량 정보 및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자신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시간 구간에 대한 전송 시간 구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610)는 인밴드 또는 아웃 오브 밴드 통신을 통해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로부터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시간 구간 확인부(620)는 수신한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자신의 상태 정보를 어느 시간 구간에 전송하는지에 대한 전송 시간 구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시간 구간 확인부(620)는 수신한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의 상태 정보 중 전송 시간 구간 정보를 통해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자신의 상태 정보를 어느 시간 구간에 전송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7 및 도 8에서 후술한다.
시간 구간 결정부(630)는 확인된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의 상태 정보 전송 시간 구간에 따라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의 상태 정보를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전송할 시간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시간 구간 결정부(630)는 전체 시간 구간 중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가 자신의 상태정보를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전송하는 시간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정보 송신부(640)는 결정된 시간 구간을 이용하여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의 상태 정보를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송신부(640)는 인밴드 또는 아웃 오브 밴드 통신을 통해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의 상태 정보를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전력 수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전력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시간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의 정보 수신부(610)는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로부터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S101).
즉,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및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에 자신의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는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영역에 위치해야 상기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전력 전송 가능 영역에 위치하여,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의 상태 정보는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의 식별자 정보,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정상적인 전력 전송이 수행됨을 알려주는 전력 전송 상태 확인 정보,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주는 충전 완료 정보,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가 현재 필요로 하는 요구 전력량 정보 및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자신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시간 구간에 대한 전송 시간 구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의 시간 구간 확인부(620)는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자신의 상태 정보를 어느 시간 구간에 전송하는지에 대한 전송 시간 구간을 확인한다(S103).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에는 전체 시간 구간이 도시되어 있다. 전체 시간 구간의 한 주기는 140us이고, 한 주기는 20us 시간 구간으로 구분되어 있음을 가정한다. 이 경우, 전체 시간 구간은 7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140us 및 20us 마다 구분된 시간 구간은 예시에 불과하다.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는 0에서 20us까지의 A 시간 구간 동안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자신의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시간 구간 확인부(620)는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를 기초로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어느 시간 구간에 자신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즉, 시간 구간 확인부(620)는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가 A 시간 구간에 주기적으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자신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간 구간 확인부(620)는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의 상태 정보를 통해 전체 시간 구간 중 어느 시간 구간이 주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시간 구간 확인부(620)는 제1,2 무선전력 수신장치(500,600)가 아닌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A 시간 구간 이외의 다른 시간 구간을 사용하는 경우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설명하면,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의 시간 구간 결정부(630)는 확인된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의 상태 정보 전송 시간 구간에 따라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의 상태 정보를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전송할 시간 구간을 결정한다(S105). 즉, 시간 구간 결정부(630)는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가 자신의 상태 정보를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전송하는 시간 구간을 제외한 시간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시간 구간 결정부(630)는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가 사용하는 A 시간 구간을 제외한 D 시간 구간을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상태 정보를 전송할 시간 구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시간 구간 결정부(630)가 결정한 D 시간 구간은 예시에 불과하고, 전체 시간 구간 중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 및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시간 구간이면 어느 것이든 상관 없다.
다시 도 7을 설명하면,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의 정보 송신부(640)는 결정된 시간 구간에 자신의 상태 정보를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전송한다(S107).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의 상태 정보는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의 식별자 정보,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정상적인 전력 전송이 수행됨을 알려주는 전력 전송 상태 확인 정보,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주는 충전 완료 정보,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가 현재 필요로 하는 요구 전력량 정보 및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자신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시간 구간에 대한 전송 시간 구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단방향 통신만을 수행하고,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 및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함에 따라 양방향의 통신을 이용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경우보다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체 가격을 절감시킬 수 있고, 통신 프로토콜이 간소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는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가 정보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시간 구간 이외의 시간 구간을 이용하여 자신의 상태 정보를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전송함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이 복잡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양방향이 아닌 정보를 수신하기만 하는 단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를 사용함에 따라 정보 송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력 소모를 방지하여 전력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수신한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 및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태 정보 리스트를 생성한다(S109). 일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리스트는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 및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의 상태 정보에 포함된 각종 정보를 하나의 완성된 형태로 만든 리스트일 수 있다. 여기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 및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 이외의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태 정보도 수신하여 상태 정보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생성된 상태 정보 리스트에 기초하여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 및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에 전송할 전력을 결정한다(S111). 예를 들어, 상태 정보 리스트를 통해 파악된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의 요구 전력량이 100W이고,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의 요구 전력량이 200W인 경우, 이에 대응한 전력량을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500) 및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에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가 전력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는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의 상태 정보를 결정된 시간 구간에 주기적으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의 상태 정보로부터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의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가 충전이 완료되면,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에 전력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60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결정된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한다(S113).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전력 수신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력 공급 장치
200: 무선전력 송신장치
210: 송신 유도 코일
220: 송신 공진 코일
300: 무선전력 수신장치
310: 수신 공진 코일
320: 수신 유도 코일
330: 정류부
400: 부하
500: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
600: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
610: 정보 수신부
620: 시간 구간 확인부
630: 시간 구간 결정부
640: 정보 송신부

Claims (19)

  1. 단방향의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로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사용하는 시간 구간을 확인하는 시간 구간 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확인된 시간 구간에 따라 상기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사용하지 않는 시간 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태 정보를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확인된 시간 구간을 제외한 시간 구간을 결정하는 시간 구간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구간 확인부는,
    상기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자신의 상태 정보를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에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시간 구간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시간 구간을 통해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태 정보를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에 전송하는 정보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에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인밴드 통신 또는 아웃 오브 밴드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태 정보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식별자 정보,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정상적인 전력 전송이 수행됨을 알려주는 전력 전송 상태 확인 정보,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주는 충전 완료 정보,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현재 필요로 하는 요구 전력량 정보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에 자신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시간 구간에 대한 전송 시간 구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자기 유도 또는 공진을 이용하여 전력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10. 단방향의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전력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사용하는 시간 구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시간 구간에 따라 상기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사용하지 않는 시간 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전력 수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태 정보를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확인된 시간 구간을 제외한 시간 구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전력 수신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자신의 상태 정보를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에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시간 구간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전력 수신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시간 구간을 통해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태 정보를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전력 수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자기 유도 또는 공진을 이용하여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전력 수신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인밴드 또는 아웃 오브 밴드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전력 수신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태 정보를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인밴드 또는 아웃 오브 밴드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태 정보를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전력 수신 방법.
  17. 단방향의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와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사용하는 시간 구간을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시간 구간에 따라 상기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사용하지 않는 시간 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와 통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상기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태 정보를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확인된 시간 구간을 제외한 시간 구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결정된 시간 구간을 통해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태 정보를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KR1020120126955A 2012-11-09 2012-11-09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수신 방법 KR101976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955A KR101976625B1 (ko) 2012-11-09 2012-11-09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수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955A KR101976625B1 (ko) 2012-11-09 2012-11-09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수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179A true KR20140060179A (ko) 2014-05-19
KR101976625B1 KR101976625B1 (ko) 2019-05-10

Family

ID=50889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955A KR101976625B1 (ko) 2012-11-09 2012-11-09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6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208A1 (ko) * 2015-05-12 2016-11-17 엘지이노텍(주) 무선 전력 송신 방법, 무선 전력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094933A (ko) * 2018-02-06 2019-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525A (ko)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중 통신 성능 안정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4382A (ko) * 2010-02-16 2011-08-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간 분할 방식을 이용한 다중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71626A (ko) * 2010-12-23 2012-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인 밴드 통신을 이용한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KR20120090220A (ko) * 2011-02-07 2012-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4382A (ko) * 2010-02-16 2011-08-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간 분할 방식을 이용한 다중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71626A (ko) * 2010-12-23 2012-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인 밴드 통신을 이용한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KR20120090220A (ko) * 2011-02-07 2012-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208A1 (ko) * 2015-05-12 2016-11-17 엘지이노텍(주) 무선 전력 송신 방법, 무선 전력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7636929A (zh) * 2015-05-12 2018-01-26 Lg伊诺特有限公司 无线电力传输方法、无线电力接收方法及其装置
EP3297123A4 (en) * 2015-05-12 2018-09-26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wireless power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20190094933A (ko) * 2018-02-06 2019-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625B1 (ko)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7736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of transmitting power thereof
US10008881B2 (en) Wireless power receiver with variable frequenc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338732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방법, 무선전력 수신 방법, 정보 전송 방법 및 정보 수신 방법
EP2761723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less power repeater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JP6084994B2 (ja) 無線電力受信装置、端末機、及び無線電力送信装置
CN102144239A (zh) 双向无线功率发射
JP2013188127A (ja) 無線電力送信装置、無線電力受信装置、及び電力受信方法
EP3032701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US9912194B2 (en) Wireless power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490732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방법, 무선전력 수신 방법, 정보 전송 방법 및 정보 수신 방법
US9979232B2 (en) Wireless power device having a first coil and a second coil
JP6535003B2 (ja) 無線電力受信装置
KR101976625B1 (ko)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수신 방법
US9762293B2 (en) Wireless power repeater and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20120116802A (ko) 중계기를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 전력 수신기
KR101749999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방법, 무선전력 수신 방법, 정보 전송 방법 및 정보 수신 방법
KR101700793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42020B1 (ko) 무선 전력 수신기
KR101601909B1 (ko)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수신 방법, 정보 전송 방법 및 정보 수신 방법
KR20170010870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24568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45043B1 (ko) 무선 전력 전송 기기 및 그 방법
KR101428181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전력 공급 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전원 공급 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KR20170072851A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방법, 무선전력 수신 방법, 정보 전송 방법 및 정보 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