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9010A - 방송수신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수신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9010A
KR20140059010A KR1020120125582A KR20120125582A KR20140059010A KR 20140059010 A KR20140059010 A KR 20140059010A KR 1020120125582 A KR1020120125582 A KR 1020120125582A KR 20120125582 A KR20120125582 A KR 20120125582A KR 20140059010 A KR20140059010 A KR 20140059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unit
signal
setting information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난딘볼드
김석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5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9010A/ko
Publication of KR20140059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1/42209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non-command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e-mail, messages or a second televis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55Demodulation-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채널을 변경함에 따라 변경된 채널에 적합한 방송유형으로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방송수신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송수신기는 복수의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방송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 상기 처리된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제1인터페이스부; 상기 방송신호에 대한 프로그램 가이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방송신호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유형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설정정보가 상기 처리된 방송신호와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설정이 없이 디스플레이장치의 채널을 변경함에 따라 변경된 채널에 적합한 방송유형으로 자동으로 설정해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만족도 높은 품질의 시청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편의를 제공하는 방송수신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수신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BROADCAST RECEIVER,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FOR THE SAME}
본 발명은 방송수신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채널을 변경함에 따라 다른 채널을 시청하는 경우에 변경된 채널에 맞도록 자동으로 방송유형을 조정할 수 있는 방송수신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정에서 시청할 수 있는 방송 프로그램의 종류는 상당히 많아지고 있으며, 현재도 많은 수의 채널이 제공되고 있다.
방송신호가 디지털화되어 감에 따라, 케이블을 이용하여 방송을 시청하는 가정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가정에서 방송수신기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사용자는 방송수신기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원하는 채널로 이동하여 시청을 한다. 채널이동 시 그 방송유형이 달라질 수 있다. 이를테면, 영화전문채널을 시청하다가 스포츠 전문채널을 이용할 수 있다. 영화전문채널과 스포츠 전문채널은 그 방송유형이 다르며 방송유형에 따라 영상 및 사운드 품질을 다르게 하고 있다. 이를테면, 영화 방송유형, 스포츠 방송유형, 다큐멘터리 방송유형, 음악 방송유형, 기타 등등 같은 방송의 종류에 따라 영상 및 사운드 품질이 적합함에 따라 사용자는 그 만족도를 달리 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사용자들은 일반 방송유형을 선택해 놓은 상태에서 채널을 이동하고 그대로 일반 방송모드에서 시청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방송유형을 변경하려고 해도 방송수신기 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리모트 콘트롤러을 이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렇게 시청하는 채널의 방송유형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면 사용자에게 만족도 높은 품질과 편의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방송수신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방송을 시청을 함에 있어 채널을 변경함에 따라 변경된 채널에 적합한 방송유형으로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방송수신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방송수신기는, 복수의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방송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 상기 처리된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제1인터페이스부; 상기 방송신호에 대한 프로그램 가이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방송신호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유형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설정정보가 상기 처리된 방송신호와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수신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는 HDMI (High-Defintion Multimedia Interface)로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HDMI 의 CEC (Customer Electronic Control) 핀을 통하여 상기 설정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프로그램 가이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영상 및 음성의 유형이 조정되도록 상기 설정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채널의 방송신호 및 상기 방송신호에 관한 설정정보를 방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하는 제2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표시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수신되는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영상유형이 조정되도록 제어하는 영상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는 HDMI (High-Defintion Multimedia Interface)로 마련되며, 상기 영상제어부는, 상기 HDMI 의 CEC (Customer Electronic Control) 핀을 통하여 상기 설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제어부는, 상기 수신되는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영상 및 음성의 유형이 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방송수신기의 제어방법은, 복수의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방송신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방송신호에 대한 프로그램 가이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방송신호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유형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설정정보가 상기 처리된 방송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수신기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프로그램 가이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의 영상 및 음성의 유형이 조정되도록 상기 설정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복수의 채널의 방송신호 및 상기 방송신호에 관한 설정정보를 방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표시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영상유형이 조정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유형이 조정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되는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영상 및 음성의 유형이 조정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별도의 설정이 없이 디스플레이장치의 채널을 변경함에 따라 변경된 채널에 적합한 방송유형으로 자동으로 설정해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만족도 높은 품질의 시청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기의 구성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기의 구성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기와 디스플레이장치 간의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블럭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기와 디스플레이장치간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기의 제어흐름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기의 제어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흐름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기(1)의 구성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는 수신부(120), 신호처리부(110), 저장부(130), 제1인터페이스부(140),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송수신기(1)는 복수의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20),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110), 방송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130), 처리된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전송하기 위한 제1인터페이스부(140), 방송신호에 대한 프로그램 가이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가 상기 방송신호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유형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설정정보가 상기 처리된 방송신호와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20)는 케이블 사업자 등과 같은 방송신호 공급자가 제공하는 복수의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120)는 방송신호 공급자가 제공하는 인코딩되어 있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방송신호에는 방송신호 외에 방송 프로그램의 일정, 편성표 등의 정보를 가진 프로그램 가이드를 담은 신호도 함께 수신될 수 있다. 방송신호 즉, 영상 및 음성신호는 신호처리부(110)로 전달하고, 방송신호와 함께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관한 정보인 프로그램 가이드는 제어부(100)로 전달한다.
신호처리부(11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전달받은 복수의 방송신호를 신호처리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출력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10)는 방송신호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디코딩(Decording)하는 디코더(Decorder)일 수 있다. 신호처리부(110)는 방송신호를 조정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로직을 포함할 수 있거나 방송신호 외에 설정정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10)는 신호를 디지털 부호로 코드화해서 기억하거나 전송할 때 코드화된 신호를 원래 형태로 되돌리는 것으로 코드화되어 수신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디코딩하는 과정에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을 원래의 형태로 되돌리는 것과 함께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프로그램 로직을 적용하여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200)의 방송유형을 제어할 수 있는 설정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이를테면, 신호처리부(11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영화채널로 채널변경에 따른 영화 영상유형으로 영상유형을 조정하도록 하는 명령제어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케이블을 통하여 수신된 방송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수신부(120)에서 수신하는 복수의 채널의 방송신호를 다운로드하여 임시로 방송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30)는 방송신호에 관한 정보 즉, 현재 및 향후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프로그램 또는 일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가이드를 저장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 가이드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와 IPG(Iinteractive program guide)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가이드는 영상유형별 분류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제1인터페이스부(140)는 신호처리부(110)에서 처리된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전송하기 위한 비압축 방식의 디지털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제1인터페이스부(140)는 후술할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제2인터페이스부(220)와 케이블로 연결된다. 제1인터페이스부(140)는 HDMI (High-Defintion Multimedia Interface)로 마련되는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HDMI는 개인용 컴퓨터와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인터페이스 표준규격인 DVI(Digital Visual Interface)를 디스플레이장치(200)와 같은 AV전자제품용으로 변경한 것으로, 영상, 음성을 압축하지 않고 방송수신기(1)등과 같은 플레이어에서 텔레비전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디코더나 소프트웨어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영상, 음성, 제어신호가 HDMI케이블 하나로 전송되기 때문에 배선을 간단히 할 수 있으며, 제어신호도 보낼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장치(200)와 같은 AV기기를 유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HDMI의 13번핀은 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로 디스플에이장치의 제어계 접속을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방송신호에 관한 정보 즉, 프로그램 가이드를 수신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방송 선택에 따라 방송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된 방송신호에 관한 정보 즉, 프로그램 가이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0)가 방송신호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유형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설정정보가 처리된 방송신호와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방송 채널을 선택함에 따라 이를 감지하여 신호처리부(110)를 제어하여 선택된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방송 채널 선택에 따라 해당의 채널 및 영상유형을 판별하고, 해당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유형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정보를 생성하여 신호처리부(110)에서 처리된 해당 방송신호와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방송수신기(1)의 리모트 콘트롤러를 사용하여 채널을 변경하고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영상유형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기(1)의 구성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기(1)는 도 1의 방송수신기(1)를 포함하는 것으로, 수신부(120), 신호처리부(110), 저장부(130), 제1인터페이스부(140), 사용자입력수신부(150), 제1디스플레이부(160), 전원부(170) 및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수신부(120), 신호처리부(110), 저장부(130), 제1인터페이스부(140), 제어부(100)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며, 동일한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수신부(120), 신호처리부(110), 저장부(130), 제1인터페이스부(140), 제어부(100)의 구성에 대하여 필요한 추가적인 설명과 전원부(170), 사용자입력수신부(150), 제1디스플레이부(160)의 설명을 하도록 한다.
사용자입력수신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채널을 변경하도록 마련된 입력부이다. 또한, 사용자입력수신부(150)는 사용자의 입력 수단에 의해 채널, 영상 및 음성 등의 변경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00)로 전달한다. 이를테면, 사용자입력수신부(150)는 사용자의 리모트 콘트롤러(미도시)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채널변경, 영상조정, 음량조정 등의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부(160)는 사용자입력수신부(150)에서 수신한 정보에 의해 제어부(100)의 제어로 채널변경, 음량변경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디스플레이부(160)는 방송수신기(1) 부팅 전에는 대기모드 단계로 현시간을 표시할 수 있으며, 방송수신기(1) 부팅 시 부팅되는 단계를 표시할 수도 있다. 제1디스플레이부(160)는 현재의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하이라이트 되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전원부(170)는 방송수신기(1) 내의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에는 제어부(100)로만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어부(100)는 물론이고 모든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을 할 수 잇도록 할 수 있다. 전원부(170)는 사용자 전원 on/off 입력에 따른 제어부(100)의 제어 따라 방송수신기(1)의 디바이스에 공급하는 전원을 on/off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 가이드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영상 및 음성의 유형이 조정되도록 설정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설정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200)의 방송 영상유형을 자동으로 설정해줄 수 있는 제어신호이다. 일예로, 사용자의 채널변경에 의해 다른 유형의 방송이 디스플레이장치(200)에 표시되는데, 사용자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방송의 영상유형을 메뉴버튼을 눌러 선택한 해당 채널에 맞는 영상유형을 선택함으로써 최적의 영상 품질을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설정정보는 이러한 번거로움 없이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제어를 하여 자동으로 해당 채널에 맞는 최적의 영상유형으로 자동설정을 해주는 제어신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기(1)와 디스플레이장치(200) 간의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제1인터페이스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HDMI의 타입A커넥터 핀 배열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13번 핀인 CEC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을 보이기 위함이다. 도 3은 일예로 여러 종류 중 하나를 예시한 것이며, 기기에 따라 그 규격을 달 리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00)의 구성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00)는 복수의 채널의 방송신호 및 방송신호에 관한 설정정보를 방송수신기(1)로부터 수신하는 제2인터페이스부(220),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표시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영상처리부(230), 처리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부(240), 수신되는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영상유형이 조정되도록 제어하는 영상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인터페이스부(220)는 방송수신기(1)의 제1인터페이스부(140)에서 전송된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비압축 방식의 디지털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제2인터페이스부(220)는 방송수신기(1)의 제1인터페이스부(140)와 케이블로 연결된다. 제2인터페이스부(220)는 HDMI 케이블의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도록 대응하여 마련된다. 이로써, 제2인터페이스부(220)는 방송신호 즉, 영상신호와 음성신호 그리고, 제어신호인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방송신호 즉,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는 영상처리부(230)로, 제어신호인 설정정보는 영상제어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230)는 수신되는 영상/음성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한다. 영상처리부(230)는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된 영상/음성신호를 제2디스플레이부(240)/스피커(미도시)에 출력함으로써, 제2디스플레이부(240)/스피커에 해당 영상/음성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음성이 출력되게 한다.
영상처리부(230)는 영상/음성신호의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예를 들면 영상데이터에 자막데이터를 오버레이/믹싱, 음성과 영상 믹싱하는 역할을 믹서(mixer), 소정 신호를 각 특성별 신호로 분배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을 수행하는 디멀티플렉서, 영상신호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하는 디코더,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을 수행하는 디인터레이서,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하는 스케일러,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시키는 노이즈버스터, 영상을 섬세하게 하는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를 디테일러, 최종의 제2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하기 적합한 형태로 데이터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면 영상데이터의 프레임율을 변환하여 빠른 동작을 표현하는 프레임율변환(FRC, Frame Rate Conversion), 2D/3D 변환, 무트(mute)조절 등을 수행하는 영상조정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230)는 입력 영상신호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칩셋(미도시), 메모리(미도시), 전자부품(미도시), 배선(미도시) 등의 회로 구성이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상에 실장된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된다.
제2디스플레이부(240)는 영상처리부(230)로부터 출력되는 방송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제2디스플레이부(24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디스플레이부(24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디스플레이부(240)가 액정 방식인 경우, 제2디스플레이부(24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컬러필터(미도시), 편광판(미도시),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제어부(210)는 수신되는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영상유형이 조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영상제어부(210)는 예를 들면 CPU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2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영상제어부(210)는 영상처리부(230)가 처리하는 영상처리과정의 진행, 제2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한 신호/정보/데이터의 송수신 동작, 사용자입력부(150)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대응 제어동작, 제2디스플레이부(240)의 제어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영상제어부(210)는 제2인터페이스부(220)로 수신되는 방송수신기(1)에서의 설정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설정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영상유형이 조정되도록 영상처리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00)의 구성블럭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제2인터페이스부(220), 영상처리부(230), 제2디스플레이부(240), 사용자입력부(250), 전원공급부(260) 및 영상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제2인터페이스부(220), 영상처리부(230), 제2디스플레이부(240), 영상제어부(210)를 설명하였으며, 도 5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2인터페이스부(220), 영상처리부(230), 제2디스플레이부(240), 영상제어부(210)의 구성에 대하여 필요한 추가적인 설명과 사용자입력부(250), 전원공급부(260)의 설명을 하도록 한다.
사용자입력부(250)는 사용자에 의해 채널을 변경하도록 마련된 입력부이다. 또한, 사용자입력부(250)는 사용자의 입력 수단에 의해 영상 및 음성 등의 변경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제어부(210)로 전달한다. 이를테면, 사용자입력부(250)는 사용자의 리모트 콘트롤러(미도시)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채널변경, 영상조정, 음량조정 등의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디스플레이장치(200) 내의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5에는 영상제어부(210), 제2디스플레이부(240)로만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영상제어부(210), 제2디스플레이부(240)는 물론이고 모든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사용자 전원 on/off 입력에 따른 영상제어부(210)의 제어 따라 방송수신기(1)의 디바이스에 공급하는 전원을 on/off 할 수 있다.
제2인터페이스부(220)는 HDMI (High-Defintion Multimedia Interface)로 마련되며, 상기 영상제어부(210)는, HDMI 의 CEC (Customer Electronic Control) 핀을 통하여 설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제어부(210)는 방송수신기(1)로부터 수신되는 설정정보에 따라 제2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영상 및 음성의 유형이 조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기(1)와 디스플레이장치(200)간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방송수신기(1)는 EPG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방송수신기(1)의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EPG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준다. 사용자에 의해 채널 변경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면, EPG데이터를 검색하여 변경입력의 해당 채널의 영상유형을 파악하여 설정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설정정보는 방송신호와 함께 HDMI케이블의 CEC핀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영상제어부(210)로 전송한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영상제어부(210)는 영상설정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영상유형이 조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을 실제의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방송수신기(1)의 전원을 켜면 방송신호 공급자로부터 프로그램 가이드가 포함되어 있는 방송 스트림이 입력된다. 본 발명에서, 프로그램 가이드라는 용어는 EPG 컨텐츠에 포함되는 정보와 EPG 컨텐츠로부터 얻는 정보를 모두 언급한다.
방송 스트림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가이드는 여러 형태의 스포츠 프로그램(예를 들어, 야구, 미식 축구, 축구 등), 영화 프로그램(예를 들어, 공포, 액션, 공상과학, 멜로, 전쟁, 가정 등), 뮤직 프로그램(예를 들어, 락, 클래식, 댄스 등),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뉴스 등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램 가이드는 저장부(130)에 저장된다. 그리고, 방송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최근의 프로그램 가이드로 업데이트 된다. 이후, 사용자는 채널을 선택하게 되며, 방송수신기(1)의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장치(200)와 연결되어 있는 HDMI케이블의 CEC를 통하여 채널변경을 감지한다. 이에 제어부(100)는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가이드를 검색한다.
프로그램 가이드는 제목, 간단한 설명, 날짜, 시간, 채널 번호, 상세한 설명, 시청률 지표(rating indicators), 재방송 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유형별, 채널별, 시간별, 지역별 등으로 리스트가 정리되어 있을 수 있다. 프로그램 가이드는 시청자가 볼 수 있는 여러 형태의 프로그램(예를 들어, 야구, 전쟁영화, 뮤직 프로그램, 다큐멘터리, 뉴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프로그램을 결정하기 위하여 파싱(parsing)될 수 있다. 현재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채널을 업데이트된 최근의 프로그램 가이드에서 날짜, 시간, 채널 등의 현재의 조건으로 변경된 채널의 현재 방송 프로그램을 찾아내고 현재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그 방송유형을 파악한다. 변경된 채널인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파악된 방송유형이 영화 프로그램 중 전쟁영화라면, 제어부(100)는 전쟁영화에 맞는 설정정보를 생성한다.
설정정보는 오디오 앰프(미도시)의 음향조절 믹서기(미도시)와 같은 일종의 영상 및 음성에 대한 효과를 최적으로 내기 위한 조절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포츠 채널의 축구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초록의 잔디 위에 축구선수들이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영상에 담을 것이다. 이를 사용자에게 사실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영상의 조건과 음성의 조건이 필요하다.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제2디스플레이부(240)의 휘도를 조절하여 최적의 영상을 만들 수도 있고, 제2디스플레이부(240)의 명암을 조절하여 최적의 영상을 만들 수도 있다. 또한, 음성의 조절 또한, 마찬가지로 음향의 최적 조건 중 목소리 위주, 서라운드 효과 등 축구 프로그램에 맞는 것으로 음성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사용자로 하여금 실감나는 축구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디스플레이장치(200)에는 이러한 방송유형별 영상 및 음성을 조절할 수 있는 메뉴가 마련되어 있다. 방송수신기(1)에서 생성된 설정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전송되어 영상제어부(210)에서 사용자가 직접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방송유형을 변경하지 않고 자동으로 해당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에 맞는 방송유형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200)는 방송유형별로 영상 및 음성에 대한 설정이 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 설정을 수동으로 자신이 선호하는 영상 및 음성의 조건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미도시) 및 앰프(미도시)의 이퀄라이져는 음악의 쟝르별로 그 유형에 대한 설정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를테면, 락, 클래식, 팝, 댄스 등으로 유형이 나뉘어 있으며, 락 유형이 선택되면, 기설정된 락 유형에 대한 음향효과 즉, 저음역대를 높히고 중음역대를 낮추며 고음역대별는 높이는 등으로 음역대별로 음의 크기를 달리하여 락 유형을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락 음악을 선호하는 청취자는 일반유형에서 듣는 것보다 훨씬 만족도 높은 락 음악을 즐길 수 있다. 여기서는 오디오 및 앰프의 이퀄라이져를 예로 들었지만, 이것은 일예로 본 발명의 방송유형을 조정하는 것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상술한 일 실시예만에 국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이, 최근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사용자가 시청하는 중 채널을 변경하여도 변경된 해당 채널에 대한 방송유형으로 디스플레이장치(200)의 방송유형을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일반유형이 아닌 해당 방송 프로그램에 맞는 방송유형으로 실감나는 시청을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기(1)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7를 통하여 본 발명의 방송수신기(1)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방송수신기(1)가 전원 온이 된다. 수신부(120)는 복수의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한다(S10). 신호처리부(110)는 방송신호를 처리한다(S12). 수신되는 방송신호와 함께 방송신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00)로 전달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한다(S14).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로 채널을 변경한다. 제어부(100)는 방송신호에 대한 프로그램 가이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0)가 방송신호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유형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정보를 생성한다(S16). 제어부(100)는 생성된 설정정보가 처리된 방송신호와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한다(S18).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기(1)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8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기(1)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방송수신기(1)가 전원 온이 된다. 수신부(120)는 복수의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한다(S20). 신호처리부(110)는 방송신호를 처리한다(S22). 수신되는 방송신호와 함께 방송신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00)로 전달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한다(S24).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로 채널을 변경한다. 제어부(10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 가이드를 검색하여 해당 채널의 영상유형을 파악한다. 제어부(100)는 방송신호에 대한 프로그램 가이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0)가 방송신호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 및 음성의 유형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정보를 생성한다(S26). 제어부(100)는 생성된 설정정보가 처리된 방송신호와 함께 제1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전송되도록 제어한다(S28).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9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200)가 온 된다. 별도의 조작없이 방송수신기(1)가 온 되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장치(200)가 온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복수의 채널의 방송신호 및 상기 방송신호에 관한 설정정보를 방송수신기(1)로부터 제2인터페이스부(220)는 수신한다(S30). 제2인터페이스부(220)는 수신된 방송신호는 영상처리부(230)로 전달하고, 설정정보는 영상제어부(210)로 전달한다. 영상처리부(230)는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표시 가능하도록 처리한다(S32). 제어부(100)는 수신되는 설정정보에 따라 제2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영상유형이 조정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34).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10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200)가 온 된다. 별도의 조작없이 방송수신기(1)가 온 되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장치(200)가 온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복수의 채널의 방송신호 및 상기 방송신호에 관한 설정정보를 방송수신기(1)로부터 제2인터페이스부(220)는 수신한다(S40). 제2인터페이스부(220)는 수신된 영상 및 음성신호는 영상처리부(230)로 전달하고, 설정정보는 영상제어부(210)로 전달한다. 영상처리부(230)는 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를 표시 가능하도록 처리한다(S42). 영상제어부(210)는 수신되는 설정정보에 따라 제2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영상 및 음성의 유형이 조정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44).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설정이 없이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채널을 변경함에 따라 변경된 채널에 적합한 방송유형으로 자동으로 설정해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만족도 높은 품질의 시청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 : 방송수신기 100: 제어부
110 : 신호처리부 120 : 수신부
130 : 저장부 140 : 제1인터페이스부
150 : 사용자입력부 160 : 제1디스플레이부
170 : 전원부 200 : 디스플레이장치
210 : 영상제어부 220 : 제2인터페이스부
230 : 영상처리부 240 : 제2디스플레이부
250 : 사용자입력수신부 260 : 전원공급부

Claims (10)

  1. 방송수신기에 있어서,
    복수의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방송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
    상기 처리된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제1인터페이스부;
    상기 방송신호에 대한 프로그램 가이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방송신호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유형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설정정보가 상기 처리된 방송신호와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는 HDMI (High-Defintion Multimedia Interface)로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HDMI 의 CEC (Customer Electronic Control) 핀을 통하여 상기 설정정보를 전송하는 방송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프로그램 가이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영상 및 음성의 유형이 조정되도록 상기 설정정보를 전송하는 방송수신기.
  4.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채널의 방송신호 및 상기 방송신호에 관한 설정정보를 방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하는 제2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표시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수신되는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영상유형이 조정되도록 제어하는 영상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는 HDMI (High-Defintion Multimedia Interface)로 마련되며,
    상기 영상제어부는, 상기 HDMI 의 CEC (Customer Electronic Control) 핀을 통하여 상기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어부는, 상기 수신되는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영상 및 음성의 유형이 조정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방송수신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방송신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방송신호에 대한 프로그램 가이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방송신호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유형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설정정보가 상기 처리된 방송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수신기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프로그램 가이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의 영상 및 음성의 유형이 조정되도록 상기 설정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수신기의 제어방법.
  9.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채널의 방송신호 및 상기 방송신호에 관한 설정정보를 방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표시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영상유형이 조정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유형이 조정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되는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영상 및 음성의 유형이 조정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20125582A 2012-11-07 2012-11-07 방송수신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 KR201400590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582A KR20140059010A (ko) 2012-11-07 2012-11-07 방송수신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582A KR20140059010A (ko) 2012-11-07 2012-11-07 방송수신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010A true KR20140059010A (ko) 2014-05-15

Family

ID=50889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582A KR20140059010A (ko) 2012-11-07 2012-11-07 방송수신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90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147B1 (ko) 에이치디엠아이 신호로 방송 수신기의 듀얼 디스플레이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US20110157466A1 (en) Image Processor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20090102392A (ko) 영상 시스템 및 컨텐츠에 따라 영상기기를 설정하는 방법,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및 서버
CN102893626A (zh) 用于设置清晰度的方法和图像显示装置
US20080309822A1 (en) Method for setting configurations according to external av device or program information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8488058B2 (en) Method for setting frame rate conversion (FRC)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70171306A1 (en) Digital television system with rapid channel surfing
US20140267285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applying motion compensation to remove artifacts from images
US8522296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same according to configuration setting values received from outside
EP4040781A1 (en) Control method, program, and control device
KR20080012054A (ko) 영상처리장치 및 정보표시방법
US9219935B2 (en) Display apparatus, external peripheral device connectable thereto and image displaying method
US8169552B2 (en) Television receiver
JP200729320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140059010A (ko) 방송수신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
KR20150041910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80284913A1 (en) Audio-visual system, reproducing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JP2007074384A (ja) 映像出力装置及び映像出力システム
EP2600633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9945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정보저장방법
KR20040039056A (ko)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시스템및 제어 방법
KR100702237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5887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탐색 방법
US861300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80061456A (ko) 티브이 및 라디오 방송 수신기에서의 오디오 출력 제어장치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