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9056A -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시스템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시스템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9056A
KR20040039056A KR1020020066678A KR20020066678A KR20040039056A KR 20040039056 A KR20040039056 A KR 20040039056A KR 1020020066678 A KR1020020066678 A KR 1020020066678A KR 20020066678 A KR20020066678 A KR 20020066678A KR 20040039056 A KR20040039056 A KR 20040039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control signal
top box
display dev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태
한지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6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9056A/ko
Publication of KR20040039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05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셋톱 박스와 영상 표시 장치가 분리되어 있는 분리형 영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 표시 장치 내부에 영상 표시 장치와 셋톱 박스에 대한 원격 제어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데이터 방송을 시청중에 원격 제어 장치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불편하게 셋톱 박스를 향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조작하여 원격 제어 신호를 발생하지 않아도 직관적으로 원격 제어 신호를 시청중이던 영상 표시 장치를 향해서 조작하면 상기 영상 표시 장치 내부의 원격 제어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하여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에서 셋톱 박스에 대한 원격 제어 신호를 구분하여 셋톱 박스에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셋톱 박스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들이 영상 표시 장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control system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for digital television and th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 방송의 시청이 가능한 영상 표시 장치에서 셋탑 박스에 대한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셋톱 박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텔레비젼이란 디지털로 전송하는 텔레비젼 방송의 총칭을 말한다. 미국에선 ATV(Advanced television)라 불리는 차세대 텔레비젼에 디지털 방식을 채택하기로 결정했으며, 유럽에서는 스웨덴 방송 등의 HD DIVINE, 영국의 SPECTRE, 프랑스 방송의 DIAMOND 등 많은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등 디지털 텔레비젼은 B-ISDN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와 연동한 차세대 텔레비젼 방식으로 각국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텔레비젼 방송의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디지털 방송에서 전송되는 스트림(stream)은 영상/음성 신호와 함께 데이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음성 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데이터 정보는 ATVEF(Advanced Television Enhancement Forum)의 HTML, DASE(Digital TV Application Software Environment)의 XDML과 같은 마크업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정보와, DASE의 Xlet과 같은 자바 기반의 데이터 정보 등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디지털 방송에서는 종래의 아날로그 텔레비젼에서 방송되었던 영상이나 음성 외에도 여러가지 형식의 데이터를 방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디지털 방송을 대비해서 많은 업체들이 디지털 방송과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텔레비젼이나 셋탑박스를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 상기 데이터 방송에서 문자 정보나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수신하고 브라우져를 조작하여 콘텐츠 내의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해서, 상하 좌우 버튼과 결정 버튼을 구비한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다.
사용자는 상하, 좌우 버튼을 이용하여 선택 아이템을 선택하고, 결정 버튼을 이용하여 해당 선택 아이템에 따른 데이터를 표시시킨다.
현재, 상기와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은 데이터 방송 수신부가 내장된 일체형 디지털 텔레비젼과 함께, 데이터 방송 수신부를 데이터 방송 전용 수신 장치인 셋톱 박스에 따로 두어 디스플레이 장치와 분리하는 분리형 디지털 텔레비젼이 공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셋톱 박스를 분리하면 여러가지 장점이 있다.
우선,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을 모두 각각의 셋톱 박스에 연결하면 언제든지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시청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방송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텔레비젼은 내장 소프트웨어를 빈번히 업그레이드를 해야 하기때문에 일체형 디지털 텔레비젼보다 셋톱 박스가 디스플레이 장치와 분리되어 있는 분리형 디지털 텔레비젼이 매우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즉, 데이터 방송을 수신함에 있어서 새로운 기능의 소프트웨어를 셋톱 박스에 쉽고 저렴하게 다운로드하여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향후, 분리형 디지털 텔레비젼이 디지털 텔레비젼의 표준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분리형 디지털 텔레비젼의 경우 사용자들은 리모콘으로 텔레비젼의 제어를 셋톱 박스를 향해 하지 않고 텔레비젼의 디스플레이쪽으로 하는 경향이 있다.
도 1은 종래 분리형 디지털 텔레비젼에서 사용자가 리모콘을 사용하여 직관적으로 디지털 텔레비젼 디스플레이 장치를 향해 제어를 하는 것을 도시한 일 실시예이다.
지속적으로 디지털 텔레비젼(100)을 시청중이던 사용자(102)는 채널을 돌리거나 음량을 조절하거나 리모콘을 사용하여 설정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시선을 돌려서 셋톱 박스(101)를 향해 리모콘(103)을 조작하기 보다는 무의식적으로 현재 자신이 보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쪽을 향하여 리모콘(103)을 조작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에 데이터 방송의 리모콘 신호 수신부는 셋톱 박스(101)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에 아무런 반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은 분리형 디지털 텔레비젼 시스템에서는 사용자(102)들이 무의식적으로 디지털 텔레비젼(100)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향해서 리모콘(103)을 조작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디지털 텔레비젼(10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데이터 방송 리모콘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데이터 방송 시청중에 채널을 돌리거나 음량을 조절하거나 설정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 텔레비젼을 시청하면서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셋톱 박스를 향해서 리모콘 조작을 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셋톱 박스가 사용자가 보내는 데이터 방송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외부에 노출된 곳에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보통 가정에서는 텔레비젼, 비디오, DVD, 스피커, 오디오 등과 같은 많은 외부 가전 제품들로 인해서 외부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한다는 것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으므로 셋톱 박스 설치 시에 공간상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셋톱 박스가 외부에 노출되어 설치될 경우에 어린 아이들의 장난이나 어른들의 실수로 고가의 셋톱 박스가 고장이 나거나 파손될 위험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셋톱 박스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분리되어 있는 분리형 영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채널 변경 또는 음량 조절 또는 설정 변경등을 이유로 원격 제어 장치를 조작하여 데이터 방송 시청을 위해 원격 제어 신호를 송신할 때, 영상 표시 장치에서 상기 데이터 방송 시청을 위한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데이터 방송을 시청함에 있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표시 장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분리형 디지털 텔레비젼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직관적으로 디지털 텔레비젼을 향해 제어를 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텔레비젼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텔레비젼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200 : 텔레비젼101, 206 : 셋톱 박스
102 : 사용자103 : 원격 제어 장치
201 : TV 방송 수신부202 : 메모리부
203 : 중앙 처리 장치204 :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
205 : 제 1 인터페이스부207 : 데이터 방송 수신부
208 : 스트림 처리부209 : 메모리부
210 : 제어부211 : 제 2 인터페이스부
212 : 원격 제어 신호 수신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시스템은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원격 제어 신호 수신부와,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수신부로부터 입력된 원격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와,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원격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셋톱 박스로 전송하는 제 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고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는 중앙 처리 장치를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 방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셋톱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는 입력된 원격 제어 신호를 영상 표시 장치와 셋톱 박스에 대한 원격 제어 신호로 구분하여 상기 셋톱 박스에 대한 원격 제어 신호를 셋톱 박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는 영상 표시 장치와 셋톱 박스에 대한 원격 제어 신호를 다른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영상 표시 장치에서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영상 표시 장치와 셋톱 박스에 대한 원격 제어 신호로 구분하는 단계와; 상기 셋톱 박스에 대한 원격 제어 신호를 상기 셋톱 박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셋톱 박스에 대한 원격 제어 신호를 상기 셋톱 박스로 전송하기 위해서 영상 표시 장치와 셋톱 박스에 각각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함으로써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텔레비젼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젼 제어 시스템은 디지털 텔레비젼(200)에 있어서 방송국으로부터 소정의 TV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TV 방송 수신부(201)와, 상기 수신된 TV 방송 신호의 프로그램 데이터와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02)와, 사용자가 텔레비젼을 향해 조작한 원격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원격 제어 신호 수신부(212)와,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수신부(212)로부터 입력받은 원격 제어 신호를 TV 방송 원격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방송 원격 제어 신호로 구분하여 각각에 신호를 전달하는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204)와, 상기 TV 방송 수신부(201)와 메모리부(202)와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204)와 셋톱 박스(206)로부터의 데이터를 제어하고 처리하는 중앙 처리장치(203)와,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204)와 중앙 처리 장치(203)와 연결되어 셋톱 박스(206)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 1 인터페이스부(20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셋톱 박스 제어 시스템은 상기 셋톱 박스(206)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국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부(207)와, 상기 데이터 방송 수신부(207)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음성 신호와 함께 데이터 방송 스트림을 처리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는 스트림 처리부(208)와, 상기 데이터 방송과 관련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와 기타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09)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205)와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 2 인터페이스부(211)와, 상기 데이터 방송 수신부(27)와 스트림 처리부(208)와 메모리부(209)와 제 2 인터페이스부(211)를 제어하는 제어부(21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중앙 처리 장치(203)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TV 방송 수신부(201)를 제어하여 해당 채널의 TV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모리부(202)에 프로그램 데이터 또는 설정 데이터를 입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204)로부터 구분된 TV 방송 원격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고, 셋톱 박스(206)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방송 신호를 제 1 인터페이스부(205)로부터 입력받아 처리한다.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205)는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204)로부터 수신받은 데이터 방송 원격 제어 신호를 셋톱 박스(206)로 전송하고 상기 셋톱 박스(206)로부터 데이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중앙 처리 장치(203)에 전달한다.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수신부(212)는 사용자가 텔레비젼(200)을 향해 원격 제어 신호를 발생하였을 때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204)는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수신부(212)로부터 입력된 원격 제어 신호를 TV 방송 원격 제어 신호와 데이터 방송 원격 제어 신호로 분리하게 된다.
이 때, 상기 TV 방송 원격 제어 신호와 데이터 방송 원격 제어 신호를 구분하는 하나의 방안으로 원격 제어 신호의 주파수를 달리함으로써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204)는 입력받은 원격 제어 신호를 TV 방송 원격 제어 신호와 데이터 방송 원격 제어 신호를 구분하여 TV 방송 원격 제어 신호일 경우에는 텔레비젼(200)의 중앙 처리 장치(203)로 전송하고, 데이터 방송 원격 제어 신호일 경우에는 셋톱 박스(206)로 전송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셋톱 박스(206)의 제어부(210)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데이터 방송 수신부(207)를 제어하여 해당 데이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방송 수신하여 스트림 처리한 데이터 방송을 스트림 처리부(208)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 방송을 제 2 인터페이스부(211)를 통해 텔레비젼(200)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부(211)로부터 데이터 방송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한다.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부(211)는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204)에서 구분되어 처리된 데이터 방송 원격 제어 신호가 제 1 인터페이스부(205)를 통해 전송되어 상기 제어부(210)로 입력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텔레비젼(200)에서 셋톱 박스(206)로 데이터 방송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205)와 제 2 인터페이스부(211)를 연결하는 단자가 필요하며, 이는 A/V 연결선, 단일 연결단자, 랜(LAN), 시리얼(SERIAL)등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격 제어 장치 사용자가 시청중에 직관적으로 텔레비젼(200)을 향해서 원격 제어 신호를 발생하게 되면 텔레비젼(200)의 원격 제어 신호 수신부(212)에서는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감지하고 수신한다.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수신부(212)에서 수신한 원격 제어 신호는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에서 TV 방송 원격 제어 신호와 데이터 방송 원격 제어 신호로 구분되어져 각각 텔레비젼(200)의 중앙 처리 장치(203) 또는 셋톱 박스(206)로 입력된다.
이 때, 데이터 방송 원격 제어 신호는 텔레비젼(200)의 제 1 인터페이스부(205)를 통해 셋톱 박스(206)의 제 2 인터페이스부(211)로 전송되며 제어부(210)로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210)에서는 상기 데이터 방송 원격 제어 신호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며 채널 변경 또는 음량 조절 또는 기타 설정 변경 내지는 데이터 방송 전반에 걸쳐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10)에 의해 제어된 데이터는 다시 제 2 인터페이스부(211)를 통해 텔레비젼(200)의 제 1 인터페이스부(212)로 전송되어 중앙 처리 장치(203)로입력된다.
상기 중앙 처리 장치(203)에서는 셋톱 박스(206)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해당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사용자는 데이터 방송 시청중에 직관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를 텔레비젼(200)을 향해 조작하여도 셋톱 박스(206)의 제어가 가능하며 편리하게 데이터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은 여러 가지 영상 표시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 대신에 PDP, LCD 등도 본 발명에서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텔레비젼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텔레비젼을 향해 원격 제어 장치를 조작하여 원격 제어 신호를 발생하면 원격 제어 신호 수신부에서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S100).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에서 TV 방송 원격 제어 신호와 데이터 방송 원격 제어 신호로 구분한다(S101).
상기에서 원격 제어 신호가 데이터 방송 원격 제어 신호이면 셋톱 박스로 전송한다(S102).
이 때, 상기 텔레비젼과 셋톱 박스에는 인터페이스부를 두어 상호간에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예컨데, 상기 셋톱 박스는 데이터 방송용 셋톱 박스뿐 아니라 케이블용 셋톱 박스, 위성 방송용 셋톱 박스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 외에도 PDP, LCD 등의 영상 표시 장치도 본 발명에 대해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영상 표시 장치 내부에 TV 방송 원격 제어 신호와 데이터 방송 원격 제어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데이터 방송을 시청중에 원격 제어 장치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불편하게 셋톱 박스를 향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조작하여 데이터 방송 원격 제어 신호를 발생하지 않고 직관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를 시청중이던 텔레비젼을 향해서 조작하여도 셋톱 박스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셋톱 박스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분리되어 있는 분리형 영상 표시 시스템의 장점과 함께 상기 셋톱 박스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일체인 일체형 영상 표시 시스템과 같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셋톱 박스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셋톱 박스로 데이터 방송 원격 제어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므로 셋톱 박스를 꼭 노출되는 장소가 아닌 곳에도 보관이 가능하므로 많은 외부 장치들로 인한 부족한 공간에 대해서 효율적으로 공간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고가품인 셋톱 박스가 아이들의 장난 또는 어른들의 실수로 인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셋톱 박스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원격 제어 신호 수신부와,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수신부로부터 입력된 원격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와,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원격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셋톱 박스로 전송하는 제 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고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는 중앙 처리 장치를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 방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셋톱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는 입력된 원격 제어 신호를 영상 표시 장치와 셋톱 박스에 대한 원격 제어 신호로 구분하여 상기 셋톱 박스에 대한 원격 제어 신호를 셋톱 박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시스템.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처리부는 영상 표시 장치와 셋톱 박스에 대한 원격 제어 신호를 다른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시스템.
  4. 영상 표시 장치에서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영상 표시 장치와 셋톱 박스에 대한 원격 제어 신호로 구분하는 단계와;
    상기 셋톱 박스에 대한 원격 제어 신호를 상기 셋톱 박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 박스에 대한 원격 제어 신호를 상기 셋톱 박스로 전송하기 위해서 영상 표시 장치와 셋톱 박스에 각각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함으로써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20066678A 2002-10-30 2002-10-30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시스템및 제어 방법 KR200400390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678A KR20040039056A (ko) 2002-10-30 2002-10-30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시스템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678A KR20040039056A (ko) 2002-10-30 2002-10-30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시스템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056A true KR20040039056A (ko) 2004-05-10

Family

ID=37336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678A KR20040039056A (ko) 2002-10-30 2002-10-30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시스템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905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539B1 (ko) * 2007-01-24 2008-10-27 주식회사 케이에스넷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110024272A (ko) * 2009-09-01 2011-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제어 신호의 처리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송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9262047B2 (en) 2009-09-01 2016-02-16 Lg Electronics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and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7278A (ja) * 1994-06-01 1995-12-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遠隔制御方式
KR19990059532A (ko) * 1997-12-30 1999-07-26 구자홍 가정 자동화 장치
KR100258474B1 (ko) * 1997-12-27 2000-06-01 윤종용 셋탑박스를 이용한 pc제어방법 및 장치
KR100724358B1 (ko) * 2001-06-16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셋톱박스의 인터페이스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7278A (ja) * 1994-06-01 1995-12-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遠隔制御方式
KR100258474B1 (ko) * 1997-12-27 2000-06-01 윤종용 셋탑박스를 이용한 pc제어방법 및 장치
KR19990059532A (ko) * 1997-12-30 1999-07-26 구자홍 가정 자동화 장치
KR100724358B1 (ko) * 2001-06-16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셋톱박스의 인터페이스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539B1 (ko) * 2007-01-24 2008-10-27 주식회사 케이에스넷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110024272A (ko) * 2009-09-01 2011-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제어 신호의 처리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송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9262047B2 (en) 2009-09-01 2016-02-16 Lg Electronics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and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thereof
US9930395B2 (en) 2009-09-01 2018-03-27 Lg Electronics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and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7202B2 (ja) Mpeg‐4に基づくマルチメディア・システム、そのシステムのためのサービス・プロバイダ、およびコンテンツに基づく遠隔通信装置
JP3525913B2 (ja) 音声自動選択機能を有する放送受信装置
US201002291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based customization
US20100315563A1 (en) Remote controller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JP2002223400A (ja) チャンネル情報のオンスクリーン表示機能を有する放送受信装置
KR100506524B1 (ko) 오픈 케이블에서 아웃-오브-밴드 채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US7511632B2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using structured data format
US200400987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ing
KR20040039056A (ko)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시스템및 제어 방법
KR20070032465A (ko) 신호처리장치 및 신호처리방법
US75355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ing
EP2312827A2 (en) Content outputting apparatus, method and system
US20090201422A1 (en) Automatic input change based on remote control mode change
JP2005524294A (ja) パレンタル・コントロール・チャンネルリストの追跡方法
KR100565788B1 (ko) 셋톱박스 및 셋톱박스에 의한 방송신호 제어방법
KR100771611B1 (ko) 무선텔레비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0481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채널 전환 방법
JP2002335465A (ja) メニュー項目表示機能を有する放送受信装置
JP2001223955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動作設定方法
KR100318611B1 (ko) 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하는 셋탑박스
KR20060136035A (ko) 무선텔레비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3108305U (ja) 分岐画像出力を備えるサーボテレビ装置
KR20050052748A (ko) 디지털 티브이의 모니터링 방법
KR20010019090A (ko) 오디오 모드 자동설정 기능을 갖는 티브이 수상기
KR20040045770A (ko) 시청제한이 가능한 방송신호 수신장치 및 시청제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