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8027A - 수세식 양변기 - Google Patents

수세식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8027A
KR20140058027A KR1020120124500A KR20120124500A KR20140058027A KR 20140058027 A KR20140058027 A KR 20140058027A KR 1020120124500 A KR1020120124500 A KR 1020120124500A KR 20120124500 A KR20120124500 A KR 20120124500A KR 20140058027 A KR20140058027 A KR 20140058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casing
odor
toilet bowl
toile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창원
Original Assignee
강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창원 filed Critical 강창원
Priority to KR1020120124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8027A/ko
Publication of KR20140058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0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7Seats with ventil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이용자가 변좌(便座)에 앉아 소변이나 대변을 보는 동안에 변기(便器)본체 내부의 공기 및 냄새를 자동적으로 빨아들인 후 변기본체의 내부 아랫쪽에 연결된 하수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배변(排便)시 발생되는 불쾌한 냄새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화장실 내부의 공기를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수세식 양변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변기본체와, 상기 변기본체의 상부 뒷부분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앞부분이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되게 설치되며 이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변좌(便座)와, 상기 변기본체의 뒷부분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채워지며, 용변 후 레버 또는 버튼조작에 따라 내부에 채워진 물을 변기본체의 공간부로 공급하는 저수탱크와, 상기 변기본체의 내측 공간부와 외부의 하수관 사이에서 대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저수탱크로부터 변기본체의 내측 공간부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하여 물과 변(便)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수세식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변기본체의 뒷부분에 장착되며, 전면과 저면에 개구공이 형성된 상자형태의 케이싱(Casing)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외부의 전원 또는 충전식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변좌의 저면내측을 따라 형성되어 변기본체의 상부 가장자리에 놓여진 상태에서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가 유입되도록 하는 악취유입통로와; 상기 케이싱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공과 변좌에 형성된 악취유입통로 사이에서 서로 연통되게 설치되는 흡기관과; 상기 케이싱의 저면에 형성된 개구공과 변기본체의 뒷쪽 저면부에 형성된 "∩"형 배출관 사이에서 서로 연통되게 설치되는 배기관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며, 전류의 인가에 따라 작동되면서 부압을 발생시켜 용변시 변기본체 내부의 악취를 변좌에 형성된 악취유입통로 및 흡기관을 통하여 케이싱 내부로 빨아들이는 흡기팬과; 상기 변좌의 상부면 내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변좌에 앉거나 앉았다가 일어서는 경우 그 무게의 변화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일 또는 다수개의 중량감지센서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중량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중량감지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흡기팬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상기 배기관상에 설치되어 흡기팬의 작동에 따라 케이싱내부로 흡입된 악취가 배출관쪽으로 배출되는 경우 개방되고, 흡기팬의 작동이 멈춰지면 배기관을 닫아주어 배출관쪽으로부터 케이싱쪽으로 악취가 역류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류차단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수세식 양변기{WATER CLOSET}
본 발명은 수세식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용자가 변좌(便座)에 앉아 소변이나 대변을 보는 동안에 변기(便器)본체 내부의 공기 및 냄새를 자동적으로 빨아들인 후 변기본체의 내부 아랫쪽에 연결된 하수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배변(排便)시 발생되는 불쾌한 냄새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화장실 내부의 공기를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수세식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이 윤택해지고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주거 형태 또한 서양식의 공동주택으로 바뀌었으며, 거의 대부분의 주택이나 사무용 빌딩에 적용되는 변기의 형태 또한 종래의 재래식에서 용변 후 물을 이용하여 배출하는 수세식 양변기 형태로 바뀌고 있다.
상기 수세식 양변기는 일반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설계에 따라 정해진 체적의 공간부가 형성된 변기본체와, 상기 변기본체의 상부에서 상하 회동되게 설치되어 이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변좌(便座)와, 상기 변기본체의 뒷부분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채워지며, 용변 후 레버 또는 버튼조작에 따라 내부에 채워진 물을 변기본체의 공간부로 공급하는 저수탱크와, 상기 변기본체의 내측 공간부와 외부의 하수관 사이에서 대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저수탱크로부터 변기본체의 내측 공간부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하여 물과 변(便)을 외부의 하수관으로 배출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세식 양변기에는 이용자가 변좌에 앉아 용변을 볼 때 발생되는 악취를 배출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는 것은 물론, 화장실 또한 밀폐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좁은 이용시 매우 불결한 느낌을 갖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용자가 변좌(便座)에 앉아 소변이나 대변을 보는 동안에 변기(便器)본체 내부의 공기 및 냄새를 자동적으로 빨아들인 후 변기본체의 내부 아랫쪽에 연결된 하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여 배변(排便)시 발생되는 불쾌한 냄새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수세식 양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변시 발생되는 불쾌한 냄새를 신속하게 배출시킴으로써 화장실 내부의 공기를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수세식 양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변기본체와, 상기 변기본체의 상부 뒷부분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앞부분이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되게 설치되며 이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변좌(便座)와, 상기 변기본체의 뒷부분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채워지며, 용변 후 레버 또는 버튼조작에 따라 내부에 채워진 물을 변기본체의 공간부로 공급하는 저수탱크와, 상기 변기본체의 내측 공간부와 외부의 하수관 사이에서 대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저수탱크로부터 변기본체의 내측 공간부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하여 물과 변(便)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수세식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변기본체의 뒷부분에 장착되며, 전면과 저면에 개구공이 형성된 상자형태의 케이싱(Casing)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외부의 전원 또는 충전식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변좌의 저면내측을 따라 형성되어 변기본체의 상부 가장자리에 놓여진 상태에서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가 유입되도록 하는 악취유입통로와; 상기 케이싱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공과 변좌에 형성된 악취유입통로 사이에서 서로 연통되게 설치되는 흡기관과; 상기 케이싱의 저면에 형성된 개구공과 변기본체의 뒷쪽 저면부에 형성된 "∩"형 배출관 사이에서 서로 연통되게 설치되는 배기관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며, 전류의 인가에 따라 작동되면서 부압을 발생시켜 용변시 변기본체 내부의 악취를 변좌에 형성된 악취유입통로 및 흡기관을 통하여 케이싱 내부로 빨아들이는 흡기팬과; 상기 변좌의 상부면 내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변좌에 앉거나 앉았다가 일어서는 경우 그 무게의 변화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일 또는 다수개의 중량감지센서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중량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중량감지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흡기팬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상기 배기관상에 설치되어 흡기팬의 작동에 따라 케이싱내부로 흡입된 악취가 배출관쪽으로 배출되는 경우 개방되고, 흡기팬의 작동이 멈춰지면 배기관을 닫아주어 배출관쪽으로부터 냄새가 역류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류차단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이용자가 변좌(便座)에 앉아 소변이나 대변을 보는 동안에 발생된 변기(便器)본체 내부의 공기 및 냄새가 자동적으로 변기본체의 내부 아랫쪽에 연결된 하수관을 통하여 배출되기 때문에 배변(排便)시 발생되는 불쾌한 냄새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용변시 발생되는 불쾌한 냄새가 신속하게 배출됨에 따라 화장실 내부의 공기가 항상 쾌적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 양변기에서 변좌가 내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 양변기에서 변좌가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 양변기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 양변기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 양변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 양변기(10)에서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12)가 형성된 변기본체(14)가 마련된다.
상기 변기본체(14)의 상부 뒷부분에는 용변시 이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변좌(便座:16)가 상하 회동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변기본체(14)의 뒷부분 상부에는 용변 후 버튼이나 레버(18a)의 조작에 따라 내부에 채워진 물을 변기본체(14)의 공간부(12)로 공급하는 저수탱크(18)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변기본체(14)의 내측 공간부(12)와 외부의 하수관(20) 사이에 해당되는 변기본체(14)의 뒷쪽 저면부에는 상기 저수탱크(18)로부터 변기본체(14)의 내측 공간부(12)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하여 물과 변(便)을 하수관(20)으로 배출하는 "∩"형상의 배출관(22)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저수탱크(18)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변기본체(14)의 뒷부분에는 전면과 저면에 개구공(24)(24')이 형성된 상자형태의 케이싱(26)이 장착되며, 상기 케이싱(26)의 내부에는 외부의 전원 또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28)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변좌(16)의 저면 내측에는 변기본체(14)의 상부 가장자리에 놓여진 상태에서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가 유입되도록 하는 악취유입통로(30)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26)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공(24)과 변좌(16)에 형성된 악취유입통로(30)사이에는 흡기관(32)이 상호 연통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케이싱(26)의 저면에 형성된 개구공(24')과 변기본체(14)의 뒷쪽 저면부에 형성된 "∩"형 배출관(22) 사이에는 배기관(34)이 상호 연통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케이싱(26)의 내부에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작동되면서 부압을 발생시켜 용변시 변기본체(14)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변좌(16)에 형성된 악취유입통로(30) 및 흡기관(32)을 통하여 케이싱(26) 내부로 빨아들이는 흡기팬(36)이 인쇄회로기판(2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좌(16)의 상부면 내측에는 사용자가 변좌(16)에 앉거나 앉았다가 일어서는 경우 그 무게의 변화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일 또는 다수개의 중량감지센서(38)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26)의 내부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28)상에는 상기 중량감지센서(3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중량감지센서(38)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흡기팬(36)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콘트롤러(40)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기관(34)의 내부에는 흡기팬(36)의 작동에 따라 케이싱(26)내부로 흡입된 악취가 배출관(22)쪽으로 배출되는 경우 개방되고, 흡기팬(36)의 작동이 멈춰지면 배기관(34)을 닫아주어 배출관(22)쪽으로부터 케이싱(26)쪽으로 악취가 역류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류차단판(42)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이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하여 변좌(16)를 내려 변기본체(14)의 상부 가장자리에 얹혀지도록 한 상태에서 변좌(16)에 앉으면, 상기 변좌(16)의 상부면 내측에 설치된 중량감지센서(38)가 이용자의 체중에 따른하중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중량감지센서(38)로부터 발생된 전기적인 신호는 케이싱(26)의 내부에 장착된 인쇄회로기판(28)상의 콘트롤러(40)로 인가되고, 상기 콘트롤러(40)는 흡기팬(36)을 작동시킨다.
상기 흡기팬(36)이 작동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26)의 내부에서 부압이 발생되면서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가 변좌(16)의 저면부에 형성된 악취유입통로(30) 및 흡기관(32)을 통하여 케이싱(26)의 내부로 유입된 후 케이싱(26)의 저면부에 설치된 배기관(34)를 통하여 변기본체(14)의 아랫쪽 뒷부분에 형성된 배출관(22)으로 유입된 후 하수관(2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배기관(34)의 내부에 설치된 역류차단판(42)은 흡기팬(36)의 작동에 따라 케이싱(26)내부로 흡입된 악취가 배출관(22)쪽으로 배출되는 경우 개방되고, 흡기팬(36)의 작동이 멈춰지면 배기관(34)을 닫아주어 배출관(22)쪽으로부터 케이싱(26)쪽으로 악취가 역류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용자가 용변의 완료에 따라 변좌(16)에서 일어서면 중량감지센서(38)에서는 무게의 변화값을 센싱하여 그에 상응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여 콘트롤러(40)에 인가하고, 콘트롤러(40)는 중량감지센서(38)로부터 인가된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흡기팬(36)의 작동이 멈춰지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 양변기(10)에서는 이용자가 변좌(16)에 앉아 용변을 보는 경우에는 항상 흡기팬(36)이 작동되면서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가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14 : 변기본체 16 : 변좌(便座)
18 : 저수탱크 20 : 하수관
22 : 배출관 24,24' : 개구공
26 : 케이싱(Casing) 28 : 인쇄회로기판
30 : 악취유입통로 32 : 흡기관
34 : 배기관 36 : 흡기팬
38 : 중량감지센서 40 : 콘트롤러
42 : 역류차단판.

Claims (1)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12)가 형성된 변기본체(14)와; 상기 변기본체(14)의 상부 뒷부분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앞부분이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되게 설치되며 이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변좌(便座:16)와; 상기 변기본체(14)의 뒷부분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채워지며, 용변 후 버튼이나 레버(18a) 조작에 따라 내부에 채워진 물을 변기본체(14)의 공간부(12)로 공급하는 저수탱크(18)와; 상기 변기본체(14)의 내측 공간부(12)와 외부의 하수관(20) 사이에서 대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저수탱크(18)로부터 변기본체(14)의 내측 공간부(12)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하여 물과 변(便)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22)을 포함하는 수세식 양변기(10)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18)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변기본체(14)의 뒷부분에 장착되며, 전면과 저면에 개구공(24)(24')이 형성된 상자형태의 케이싱(Casing:26)과;
    상기 케이싱(26)의 내부에서 외부의 전원 또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28)과;
    상기 변좌(16)의 저면 내측을 따라 형성되어 변기본체(14)의 상부 가장자리에 놓여진 상태에서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가 유입되도록 하는 악취유입통로(30)와;
    상기 케이싱(26)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공(24)과 변좌(16)에 형성된 악취유입통(30)로 사이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흡기관(32)과;
    상기 케이싱(26)의 저면에 형성된 개구공(24')과 변기본체(14)의 뒷쪽 저면부에 형성된 "∩"형 배출관(22) 사이에 서로 연통되게 설치되는 배기관(34)과;
    상기 케이싱(26)의 내부에서 인쇄회로기판(2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며, 전류의 인가에 따라 작동되면서 부압을 발생시켜 용변시 변기본체(14) 내부의 악취를 변좌(16)에 형성된 악취유입통로(30) 및 흡기관(32)을 통하여 케이싱(26) 내부로 빨아들이는 흡기팬(36)과;
    상기 변좌(16)의 상부면 내측에 설치되어 이용자가 변좌(16)에 앉거나 앉았다가 일어서는 경우 그 무게의 변화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일 또는 다수개의 중량감지센서(38)와;
    상기 케이싱(26)의 내부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28)에 설치되며, 상기 중량감지센서(3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중량감지센서(38)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흡기팬(36)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콘트롤러(40)와;
    상기 배기관(34)상에 설치되어 흡기팬(36)의 작동에 따라 케이싱(26) 내부로 흡입된 악취가 배출관(22)쪽으로 배출되는 경우 개방되고, 흡기팬(36)의 작동이 멈춰지면 배기관(34)을 닫아주어 배출관(22)쪽으로부터 케이싱(26)쪽으로 악취가 역류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류차단판(4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양변기.
KR1020120124500A 2012-11-05 2012-11-05 수세식 양변기 KR201400580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500A KR20140058027A (ko) 2012-11-05 2012-11-05 수세식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500A KR20140058027A (ko) 2012-11-05 2012-11-05 수세식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027A true KR20140058027A (ko) 2014-05-14

Family

ID=50888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500A KR20140058027A (ko) 2012-11-05 2012-11-05 수세식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80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18911A (zh) * 2021-07-23 2021-11-30 佛山市法恩洁具有限公司 一种非接触式区分大小便的智能马桶及其控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18911A (zh) * 2021-07-23 2021-11-30 佛山市法恩洁具有限公司 一种非接触式区分大小便的智能马桶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133B1 (ko)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US20090307831A1 (en) Odor-free toilet
KR20070029001A (ko)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
CN202809786U (zh) 便器换气机构
KR100752932B1 (ko)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KR100491641B1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GB2474738A (en) Vented toilet
KR20140058027A (ko) 수세식 양변기
KR20100133675A (ko) 좌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KR20060088521A (ko) 좌변기의 냄새제거 장치
JP2015505345A (ja) 水槽がない超節水及び騒音低減型洋式便器
KR101327834B1 (ko) 자동 양변기
KR20070109962A (ko) 악취제거 및 위장음 발생기능을 겸비한 양변기
KR101478111B1 (ko) 전자식 양변기
KR200306436Y1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200438551Y1 (ko)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GB2444057A (en) Odourless toilet
CN112343143A (zh) 一种排臭蹲便器
JP6919821B2 (ja) 小便器装置
KR20190089256A (ko) 냄새흡입장치가 구성되는 악취 제거 변기
JP2013092029A (ja) 小便装置
KR200438550Y1 (ko)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KR100929793B1 (ko) 배터리의 충전효율을 높인 집광 충전식 소변 자동세척기
JP2018526554A (ja) 便器の悪臭除去装置
KR101250042B1 (ko) 악취제거 및 생리음 상쇄기능을 겸비한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