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7903A - 여과필터 역세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오염수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여과필터 역세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오염수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7903A
KR20140057903A KR1020120124240A KR20120124240A KR20140057903A KR 20140057903 A KR20140057903 A KR 20140057903A KR 1020120124240 A KR1020120124240 A KR 1020120124240A KR 20120124240 A KR20120124240 A KR 20120124240A KR 20140057903 A KR20140057903 A KR 20140057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ration
module
water
fil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4389B1 (ko
Inventor
이소라
Original Assignee
이소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라 filed Critical 이소라
Priority to KR1020120124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389B1/ko
Publication of KR20140057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36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33/5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1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nozzles or suction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수질을 정화하는 여과필터의 일측에 상기 여과필터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여과필터를 세척하는 여과필터 역세모듈로서, 상기 여과필터의 하측에 부착되며 일정한 내부공간이 구비된 하우징과; 고압의 공기나 물을 상기 여과필터 측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공기나 물을 공급하는 컴프레셔와 연결되는 몸체부로 이루어지는 분사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필터 역세모듈을 제시함으로써, 우수나 오수의 정화에 사용되는 여과필터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여과필터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킴과 동시에 역세모듈을 모듈화하여 다양한 종류의 여과필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호환성을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여과필터 역세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오염수 정화장치{BACKWASHING MODUAL FOR FILTER AND PURIFYING DEVICE FOR POLLUTION WATER HAVING IT}
본 발명은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수나 우수의 정화에 사용되는 여과필터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여과필터 역세모듈을 구비한 오염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오염수는 생활하수, 공장폐수 등과 같은 점오염수과, 농지에 살포된 비료 및 농약, 대기오염수질의 강하물, 지표상의 퇴적 오염수 등이 주로 강우시에 강우 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 비점오염수로 구분할 수 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오염수 처리와 관련한 중앙 정부 차원에서의 관리 및 지원은 오염배출원이 명확한 사업장, 하수처리시설, 폐수처리시설, 축산폐수처리시설, 분뇨처리시설 등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4대강 물관리 종합대책과 수질오염 총량 관리제 등이 시행되면서, 정확한 유출 경로를 확인하기가 어렵고 또 오염수질의 유입이 비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도로, 주차장 등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수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도로면에는 대기 중에 부유중인 먼지나 이들 먼지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등이 낙하되어 퇴적되어 있고, 더욱이 자동차의 주행에 따른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미립자나, 자동차 운행에 따른 타이어 마모물, 아스팔트 마모물 등의 환경오염수질 역시 함께 쌓여 있다. 이들 환경오염수질은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 물질, 질소나 인 등의 부영양 화염류 등이 함유되어 있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에, 이러한 도로 등에서 비롯된 비점오염수질을 사전 처리하기 위한 여러가지 노면 배수 처리 장치가 제안되어 활용되고 있다. 이들 노면 배수 처리 장치는, 예컨대 차도와 보도 사이에 설치된 측면 또는 보도 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노면 배수에 함유되어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데에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노면 배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내부로 유입된 노면 배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여과필터를 사용하고 있는데, 여과 기능이 저하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기간동안 사용된 여과필터를 제거하고 새로운 여과필터로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한다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교체하지 않고 반복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여과필터의 경우에는 반복적인 여과 동작을 수행한 후에는 여과 기능을 초기 상태로 복구시키기 위하여 여과필터를 세척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세척 작업을 위해서는 노면 배수 처리 장치를 모두 분해한 후에 여과필터를 분리시켜 세척을 하게 되며 세척이 완료된 후에는 재결합해야 하므로 여과필터의 관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우수나 오수의 정화에 사용되는 여과필터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여과필터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킴과 동시에 역세모듈을 모듈화하여 다양한 종류의 여과필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호환성을 제고할 수 있는 여과필터 역세모듈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오염수질을 정화하는 여과필터의 일측에 상기 여과필터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여과필터를 세척하는 여과필터 역세모듈로서, 상기 여과필터의 하측에 부착되며 일정한 내부공간이 구비된 하우징과; 고압의 공기나 물을 상기 여과필터 측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공기나 물을 공급하는 컴프레셔와 연결되는 몸체부로 이루어지는 분사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필터 역세모듈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여과필터의 저부면에 부착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은 개구 형성되고, 상기 여과필터와 체결되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는 체결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의 상면은 분사되는 공기나 혹은 물이 방사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복수의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 중 어느 하나는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고압의 물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오염수를 정화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오염수 정화장치로서, 외부의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오염수에 포함된 오염물을 1차적으로 걸러내는 전처리부와; 상기 전처리부에서 1차적으로 오염물이 제거된 후에 내부로 유입된 오염수를 여과시킬 수 있도록 여과필터 역세모듈이 각각 구비된 복수의 여과필터를 구비한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에 의하여 여과가 완료된 정화수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기 여과부의 일측에 구비된 유출관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필터 역세모듈을 구비한 정화수 처리장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처리부와 경계를 이루는 상기 여과부의 일측에는 격벽이 구비되고, 상기 역세모듈이 각각 구비된 상기 여과필터는 상기 저부면으로부터 상기 여과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에 삽입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필터의 내부에는 입자의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된 복수의 골재가 상기 여과필터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입자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작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골재가 충진된 여과필터의 상부에는 상기 여과필터 역세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여과필터를 역세척시에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여유공간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필터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여과필터에는 각각 입자의 크기가 상이한 골재가 수용되어 상측으로 갈수록 입자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상기 여과필터가 적층되며, 각각의 상기 여과필터의 하측에는 상기 여과필터 역세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우수나 오수의 정화에 사용되는 여과필터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여과필터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킴과 동시에 역세모듈을 모듈화하여 다양한 종류의 여과필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호환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필터 역세모듈이 여과필터에 부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필터 역세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필터 역세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필터에 여과필터 역세모듈이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필터 역세모듈이 구비된 오염수 정화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필터 역세모듈이 여과필터에 부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필터 역세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필터 역세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필터에 여과필터 역세모듈이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필터 역세모듈이 구비된 오염수 정화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여과필터 역세모듈은, 오염수질을 정화하는 여과필터(410)의 일측에 여과필터(410)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여과필터(410)를 세척하는 여과필터 역세모듈(100)로서, 여과필터(410)의 하측에 부착되며 일정한 내부공간(111)이 구비된 하우징(110)과, 고압의 공기나 물을 여과필터(410) 측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일측면을 향하도록 하우징(110)의 내부공간(111)에 설치된 헤드부(121)와, 헤드부(121)의 일측에서 하우징(110)의 외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공기나 물을 공급하는 컴프레셔(1)와 연결되는 몸체부(122)로 이루어지는 분사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10)은 일정한 내부공간(111)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상면은 여과필터(410)를 여과시킬 수 있도록 고압의 공기와 물이 유출될 수 있도록 개구형성되며, 하면은 폐쇄된 형태로 제작되어 있다.
하우징(110) 상부의 둘레면에는 하우징(110)을 여과필터(410)의 하면에 체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체결부재(112)가 형성되는데, 체결부재(112)는 하우징(11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직경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연장 형성된 링 형상의 부재이다.
하우징(110)의 내부공간(111)에는 여과필터(410)를 역세하기 위한 분사기(120)의 일부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분사기(120)는 헤드부(121)와 헤드부(121)에서 하우징(110)의 외부로 연장 형성되는 몸체부(122)로 구성된다.
헤드부(121)는 몸체부(122)를 통하여 전달될 고압의 공기나 혹은 물이 실질적으로 외부로 분출되도록 하는 부재로서 헤드부(121)의 상단면에는 다수의 분출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헤드부(121)는 여과부재(410)의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골재에 골고루 물을 분출할 수 있도록 물을 방사 방향으로 분출하기 위하여 그 상면을 반구 형상으로 형성하고,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상면에 다수의 분출공이 관통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헤드부(121)는 하우징(110) 단면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도록 하고 최대한 여과부재(410)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여과부재(410)의 효율적인 역세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몸체부(122)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개로 구비되어 고압의 공기나 혹은 물 중에서 어느 하나만 분출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몸체부(122a)와 제2몸체부(122b)로 구비하여 제1몸체부(122a)에서는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고 제2몸체부(122b)에서는 고압의 물이 유입되어 공기와 물이 동시에 헤드부(121)를 통하여 외부로 분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몸체부(122)가 제1몸체부(122a)와 제2몸체부(122b)로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에 제1몸체부(122a)와 제2몸체부(122b)는 수평을 이루도록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헤드부(121)는 제1몸체부(122a)와 제2몸체부(12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에 배치되어 헤드부(121)를 통하여 공기와 물이 균일하게 헤드부(121)의 외부로 균일하게 분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몸체부(122)가 제1몸체부(122a)와 제2몸체부(122b)로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에도 헤드부(121)의 상면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방사 방향을 따라 공기와 물을 분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0)의 외부로 연장 형성된 이러한 몸체부(122)의 일단부에는 컴프레셔(1)가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나 혹은 물 또는 공기와 물이 동시에 분사기(120)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여과필터 역세모듈(10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필터(410)의 내부에 수용된 입자의 크기가 상이한 골재마다 각각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여과필터(410)가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여과필터(410)에는 각각 입자의 크기가 상이한 골재가 수용되어 상측으로 갈수록 입자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복수의 여과필터(410)가 적층된다.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여과필터(410)의 하측에는 여과필터 역세모듈(100)이 구비됨으로써 분사기(120)에서 분출되는 물이나 공기에 의하여 여과필터(410) 내부의 골재가 섞이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입자의 크기가 상이하며 상측으로 갈수록 입자의 크기가 작은 골재가 배치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처럼 골재가 상호 섞이면서 세척이 이루어진 후에 원래 상태대로 재배열되야 할 필요가 없으므로 여과필터(410)를 세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여과필터 역세모듈을 구비한 정화수 처리장치는, 오염수를 정화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오염수 정화장치로서, 외부의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관(200)과, 유입관(200)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오염수에 포함된 오염물을 1차적으로 걸러내는 전처리부(300)와, 전처리부(300)에서 1차적으로 오염물이 제거된 후에 내부로 유입된 오염수를 여과시킬 수 있도록 여과필터 역세모듈(100)이 각각 구비된 복수의 여과필터(410)를 구비한 여과부(400)와, 여과부(400)에 의하여 여과가 완료된 정화수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여과부(400)의 일측에 구비된 유출관(5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유입관(200)은 외부의 오염수나 혹은 우천시에 우수가 전처리부(3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관상의 부재로서 전처리부(300)의 일측과 연통되게 설치되는데, 전처리부(300)의 용량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천저리부(300) 일측면의 상측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처리부(300)는 1차적으로 오염수에 포함된 크기가 큰 오염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하여 유입관(200)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오염수가 수용되는 수용부재(310)와, 수용부재(310)의 일측면이나 혹은 양측면에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오염수에 포함된 오염물을 걸러내는 필터부재(32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처리부(300)는 여과부(400)의 저부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여과부(400)의 격벽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공간부(330)를 형성함으로써 전처리부(300)에서 1차적으로 여과가 이루어진 오염수가 공간부(300)를 통하여 여과부(40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올라오면서 여과부(4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여과부(400)는 복수의 여과필터(410)가 저부면에 고정 결합되며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하여 1차적으로 전처리부(300)에서 여과가 이루어진 오염수가 내부로 유입되어 2차적으로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재이다.
전처리부(300)와 경계를 이루는 여과부(400)의 일측에는 격벽이 구비되고, 역세모듈(100)이 각각 구비된 여과필터(410)는 저부면으로부터 여과부(4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420)에 삽입되게 구비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420)와 저부면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하는 공간은 전처리부(300)의 공간부(330)와 연통되어 전처리부(300)에 의하여 1차적으로 여과가 이루어진 오염수가 상기 공간을 통하여 여과부(400) 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여과부(400)의 일측은 유출관(500)과 연통되어 여과부(400)에서 2차적으로 여과가 이루어진 정화수는 유출관(500)을 통하여 여과부(400)의 외부로 유출되는데, 유출관(500)은 여과부(400) 일측면과 상부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른, 여과부(400)의 여과필터(410)를 통하여 2차적으로 여과가 이루어진 정화수가 여과부(400)의 내부에서 일정시간 머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머무는 시간동안 정화수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미세한 이물질이 침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과필터(410)는 여과필터 역세모듈(100)과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중공에는 입자의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된 복수의 골재가 여과필터(410)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입자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작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골재의 크기는 여과필터(410)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입자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작게 배치됨으로써 여과필터(410)의 내부에 유입된 오염수가 여과필터(4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오염수의 내부에 포함된 오염물 중에서 크기가 큰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여과필터(410) 내부의 골재의 크기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크게 배치된 경우에는 여과필터(410)가 용이하게 막히게 되므로 여과필터(410)의 수명이 짧아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입자의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골재가 충진된 여과필터(410)의 상부에는 여과필터 역세모듈(100)을 이용하여 여과필터(410)를 역 세척시에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여유공간부(411)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여과필터(410)를 역 세척하기 위하여 여과필터 역세모듈(100)에 의하여 고압의 공기나 혹은 물이 여과필터(410)의 내부로 분출되면 여과필터(410) 내부의 골재가 순간적으로 여과필터(410)에 형성된 여유공간부(411) 측으로 분산되면서 골재 사이 사이에 끼여있는 오염물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필터 역세모듈을 구비한 오염수 정화장치가 동작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우수나 혹은 오염수가 유입관(200)을 통하여 전처리부(300)로 유입되면 전처리부(300)의 수용부재(310)의 일측이나 혹은 양측에 형성된 여과부재(320)를 통과하여 수용부재(310)의 외부로 유출되면서 유입된 오염수에 대한 1차적인 여과가 이루어진다.
전처리부(300)의 외부로 유출된 오염수는 공간부(330)를 통하여 여과부(400)로 이동하게 되고, 1차적인 여과가 지속적으로 진행되면서 여과부(400)로 이동하 오염수의 수위가 점진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점진적으로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오염수는 여과부(400)의 지지플레이트(420)에 결합된 여과필터(4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여과필터(410)를 통과하면서 2차적인 여과가 이루어진다.
여과필터(410)를 통과하면서 여과가 완료된 정화수는 여과부(400)에 채워진 후에 일정한 수위를 형성하게 되면 일측과 연통된 유출관(500)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됨으로써 여과동작이 완료된다.
이러한 여과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여과필터(410)의 기능이 저하되면 여과필터 역세모듈(100)을 이용하여 여과필터(410)를 세척하게 된다.
여과필터(410)의 세척을 위하여 몸체부(110)와 연결된 컴프레셔(1)를 이용하여 고압의 물이나 혹은 공기를 몸체부(110) 측으로 유입시키면 몸체부(110)와 연결된 헤드부(121)를 통하여 고압의 물이나 혹은 공기가 여과필터(410)의 내부로 분출된다.
이러한 고압의 물이나 혹은 공기의 분출에 의하여 여과필터(410) 내부에 충진된 골재가 여유공간부(411) 측으로 분산되면서 골재와 골재 사이나 혹은 골재의 외면에 흡착된 오염물이 분리되면서 여과필터(410)의 외부로 이탈되므로써 세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여과필터(410)의 내부로 분사되는 고압의 물이나 혹은 공기는 지속적으로 분사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주기로 분사되므로 분사시에 여유공간부(411)로 분산된 골재는 중력에 의하여 여과필터(410)의 저부면에 안착시에 입자의 크기가 큰 골재부터 입자의 크기가 작은 골재 순서로 순차적으로 안착이 이루어지므로 여과필터(410) 내부의 골재가 초기 상태로 배열되므로 재사용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컴프레셔 100 : 여과필터 역세모듈
110 : 하우징 120 : 분사기
121 : 헤드부 122 : 몸체부
122a : 제1몸체부 122b : 제2몸체부
200 : 유입관 300 : 전처리부
310 : 수용부재 320 : 여과부재
330 : 공간부 400 : 여과부
410 : 여과필터 411 : 여유공간부
420 : 지지플레이트 500 : 유출관

Claims (9)

  1. 오염수질을 정화하는 여과필터의 일측에 상기 여과필터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여과필터를 세척하는 여과필터 역세모듈로서,
    상기 여과필터의 하측에 부착되며 일정한 내부공간이 구비된 하우징과;
    고압의 공기나 물을 상기 여과필터 측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공기나 물을 공급하는 컴프레셔와 연결되는 몸체부로 이루어지는 분사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필터 역세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의 저부면에 부착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은 개구 형성되고, 상기 여과필터와 체결되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는 체결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필터 역세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상면은 분사되는 공기나 혹은 물이 방사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필터 역세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복수의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 중 어느 하나는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고압의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필터 역세모듈.
  5. 오염수를 정화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오염수 정화장치로서,
    외부의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오염수에 포함된 오염물을 1차적으로 걸러내는 전처리부와;
    상기 전처리부에서 1차적으로 오염물이 제거된 후에 내부로 유입된 오염수를 여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여과필터 역세모듈이 각각 구비된 복수의 여과필터를 구비한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에 의하여 여과가 완료된 정화수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기 여과부의 일측에 구비된 유출관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필터 역세모듈을 구비한 오염수 정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와 경계를 이루는 상기 여과부의 일측에는 격벽이 구비되고, 상기 역세모듈이 각각 구비된 상기 여과필터는 상기 저부면으로부터 상기 여과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에 삽입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필터 역세모듈을 구비한 오염수 정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의 내부에는 입자의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된 복수의 골재가 상기 여과필터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입자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작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필터 역세모듈을 구비한 오염수 정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골재가 충진된 여과필터의 상부에는 상기 여과필터 역세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여과필터를 역세척시에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여유공간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필터 역세모듈을 구비한 오염수 정화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여과필터에는 각각 입자의 크기가 상이한 골재가 수용되어 상측으로 갈수록 입자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상기 여과필터가 적층되며, 각각의 상기 여과필터의 하측에는 상기 여과필터 역세모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필터 역세모듈을 구비한 오염수 정화장치.
KR1020120124240A 2012-11-05 2012-11-05 여과필터 역세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오염수 정화장치 KR101544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240A KR101544389B1 (ko) 2012-11-05 2012-11-05 여과필터 역세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오염수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240A KR101544389B1 (ko) 2012-11-05 2012-11-05 여과필터 역세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오염수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903A true KR20140057903A (ko) 2014-05-14
KR101544389B1 KR101544389B1 (ko) 2015-08-13

Family

ID=50888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240A KR101544389B1 (ko) 2012-11-05 2012-11-05 여과필터 역세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오염수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3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9057A (zh) * 2015-02-02 2015-05-13 汪涛 一种带水质检测和温度检测的污水处理罐及其清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627Y1 (ko) 2006-02-13 2006-06-13 홍경창 공기를 이용한 샤워폐수 여과장치
KR101151908B1 (ko) 2012-04-03 2012-05-31 이손이엔엘 (주) 초기우수와 오염하천수를 동시에 처리 가능한 시설 및 그 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9057A (zh) * 2015-02-02 2015-05-13 汪涛 一种带水质检测和温度检测的污水处理罐及其清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4389B1 (ko)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275B1 (ko)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US7291262B2 (en) Road surface waste water treatment device and tubular water treatment unit
KR101555257B1 (ko) 부상성 입상여재를 이용한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300070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601488B1 (ko)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436281B1 (ko) 우수 처리 장치
KR100984676B1 (ko) 배수 처리용 초기우수 처리 장치
KR100570957B1 (ko) 도로 배수 시설의 오염물질 처리 장치
KR101743712B1 (ko) 역세척 기능이 구비된 비점오염 저감시설장치
KR101736743B1 (ko) 자동 역세척 및 정체수 처리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자동 역세척장치
KR101565593B1 (ko) 비점오염 처리장치
KR101181863B1 (ko) 무인 자동 제어가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725047B1 (ko) 비점오염원 처리 장치
KR101653780B1 (ko) 역세척자동화시스템이 구비된 비점오염저감시설장치
KR100848011B1 (ko) 상향류형 여과조를 이용한 우수 내 오염물질 제거장치
KR20190083289A (ko)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의 부유물질 제거를 위한 여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661997B1 (ko) 역세척이 가능한 여과시설 및 그를 이용한 배수제어시스템
KR101113989B1 (ko)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KR100951098B1 (ko) 카트리지필터를 이용한 비점 오염원 여과처리장치
KR20170090377A (ko) 유수통공이 형성된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KR101544389B1 (ko) 여과필터 역세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오염수 정화장치
KR20170048747A (ko)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384490B1 (ko) 자동 우수 처리 장치
CN209188314U (zh) 一种环保渣土车清洗系统
KR101846252B1 (ko) 설비구조 및 여과기능을 개선시킨 비점오염원 단계별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