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807A - 약포형 약제 불출 박스 - Google Patents

약포형 약제 불출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807A
KR20140055807A KR1020120123143A KR20120123143A KR20140055807A KR 20140055807 A KR20140055807 A KR 20140055807A KR 1020120123143 A KR1020120123143 A KR 1020120123143A KR 20120123143 A KR20120123143 A KR 20120123143A KR 20140055807 A KR20140055807 A KR 20140055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unit
medicine
light
ro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5545B1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120123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545B1/ko
Publication of KR20140055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4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and for cutting interconnected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1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automatically urged towards the dispensing aperture, e.g. spring-load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7Determining parameters from multiple pi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4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for managing processing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44Reading; Sc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65H2553/42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65H2553/45Scan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65H2553/46Illumination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포형 약제 불출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약포형 약제 불출 장치는 약포 패키지가 보관되는 보관부; 상기 보관된 약포 패키지를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구비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되는 약포 패키지를 촬영하는 스캔부; 상기 스캔부에 의하여 촬상된 약포 패키지의 연속 이미지로부터 절취선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된 절취선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약포 패키지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절취선을 절단하는 절단부; 및 상기 절단된 약포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 자동불출 장치의 일부 구성부로서 약포형 약제를 보관하였다가 불출시킬 수 있으며, 불출되는 약포 패키지의 영상을 광 노이즈 없이 촬상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약포형 약제 불출 박스{Dispensing box for a paper-bundle of medicine}
본 발명은 약포형 약제 불출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형 약제 불출 장치의 일부로 이용되는 장치 중 약포형 약제를 불출하는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에는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약제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약제 불출 박스로부터 1회 복용분의 약제가 불출되어 환자에게 전달되게 된다.
하나의 바스켓에 담기게 되는 다양한 약제는 각각의 약제가 담긴 박스로부터 환자의 처방전에 맞게 불출되어 하나의 바스켓에 수집되게 되며, 약제가 수집된 바스켓이 환자에게 전달되고 환자는 상기 바스켓에 수집된 약제를 복용하게 된다.
한편, 하나의 바스켓에 다양한 약제의 수집을 위해서 종래에는 약사 등의 의약 전문가가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수동으로 약을 선택하여 담는 과정이 필요하였으며, 이에 따라 약제 수집의 정확성을 재차 판단해야하는 확인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이는 투약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어려워 약화사고를 발생시킬 가능성을 항상 내포하게 된다. 또한, 약화사고 가능성뿐만 아니라 수집 과정 자체가 복잡하여 환자의 처방전에 맞게 약제를 수집하는 시간도 오래 걸리게 되어 작업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도 유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1회 복용분 씩 약제를 수집하는데 있어서, 정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켜 약사 등의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약화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방안 및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약제 자동불출 장치의 일부 구성부로서 약포형 약제를 보관하였다가 불출시킬 수 있는 구조 및 구성부들을 구비한 불출박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구비되는 약포형 약제의 절취선을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한 전제로서 불출되는 약포 패키지의 절취선의 연속 이미지를 광 노이즈 없이 촬영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포형 약제 불출 장치는 약포 패키지가 보관되는 보관부; 상기 보관된 약포 패키지를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구비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되는 약포 패키지를 촬영하는 스캔부; 상기 스캔부에 의하여 촬상된 약포 패키지의 연속 이미지로부터 절취선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된 절취선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약포 패키지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절취선을 절단하는 절단부; 및 상기 절단된 약포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캔부가 촬영에 필요한 조명을 제공하는 광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광원부는 상기 약포 패키지를 기준으로 상기 스캔부의 반대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부는 간접조명 방식으로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광원부와 상기 약포 패키지 사이에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광투과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투과 부재는 상기 통과되는 빛을 산란 또는 확산시켜 조도분포를 균일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부는 반사광을 이용하여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캔부에 노이즈 광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광차단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광차단부는 내측에 상기 스캔부를 구비하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약포 패키지 중 촬영 대상 부위의 영상이 상기 스캔부에 유입되는 스캔창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광차단부의 내측은 광의 반사를 최소화하는 광흡수층이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광흡수층은 무광택 검정색의 코팅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에 포함되는 롤러들의 외주면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롤러들의 외주면은 다공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부는 약포 패키지가 권취(rolled)되는 휠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한 이송 시 상기 약포 패키지는 상기 휠로부터 권출(unrolled)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약포 패키지의 최 전단 약포가 최초로 위치되어 상기 약포 패키지를 이송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한 쌍의 제1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롤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약포 패키지의 전단부를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는 한 쌍의 제2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한 쌍의 제1롤과 상기 한 쌍의 제2롤은 각각 독립된 구동 모터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롤과 상기 한 쌍의 제2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스텝모터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포 패키지가 이송되는 이송방향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약포 패키지의 전단측 약포를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는 배출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의 이송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이송되는 약포 패키지의 하단을 지지하는 이송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이송 플레이트에는 상기 스캔부의 촬상에 필요한 조명광을 투과시키는 광투과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약포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배출 약포의 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 자동불출 장치의 일부 구성부로서 약포형 약제를 보관하였다가 불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불출되는 약포 패키지의 영상을 광 노이즈 없이 촬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포형 약제 불출 박스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약포형 약제 불출 박스의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포형 약제 불출 박스를 일부 절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약포형 약제 불출박스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약포형 약제 불출박스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포형 약제 불출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포형 약제 불출박스의 또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차단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캔부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포 패키지의 절취선 감지와 관련된 구성부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약포 패키지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절취선 감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절취선 감지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약포형 약제 불출 박스는 패키지 형태로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약제를 불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포형 약제 불출 장치는 보관부, 이송부, 절단부, 광원부 및 스캔부 등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각 구성부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외형을 구성하는 하우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포형 약제 불출 박스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약포형 약제 불출 박스의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약포형 약제 불출 박스(10)의 외형을 구성하는 하우징은 하우징 본체(130), 전면부(110) 및 하우징 커버(120)를 포함한다. 하우징 본체(13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 본체(130)의 상단에는 하우징 커버(120)가 구비된다. 하우징 커버(120)는 회동가능하도록 일측이 고정되어 개폐가 가능하다. 전면부(110)에는 절단된 약포가 배출되는 배출구(112)가 형성된다. 배출구(112)는 전단부 커버(111)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배출구(112)에는 배출되는 약포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배출 약포의 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 수단 등을 구비함으로써 배출된 약포의 수를 집계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30)의 하단에는 레일 수용부(140)가구비된다. 레일 수용부(14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약포형 약제 불출박스가 수용되는 카트리지(미도시)에 형성된 레일을 수용하여 삽입 시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하우징의 전면부 및 절단부를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포형 약제 불출 박스를 일부 절개한 분해 사시도이다.
하우징의 전단부(110)는 전단부 본체(115) 및 전단부 커버(111)를 포함한다. 전단부 본체(115)에는 상술한 배출구(112)에 소통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약포 이동구(116)가 형성된다. 전단부 본체(115)는 내측에 절단부(200)를 구비한다. 절단부(200)는 제2 약포 이동구(210)가 형성되며, 제2 약포 이동구(210)를 통하여 이동하는 약포 패키지를 절단한다. 제2 약포 이동구(210)는 전단부 본체(115)의 제1 약포 이동구(116)와 전단부 커버(111)의 배출구(112)에 소통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이송부, 보관부 및 광원부를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약포형 약제 불출박스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약포형 약제 불출박스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 사시도이다.
보관부(300)는 휠 형상으로 형성되어 약포 패키지(2)가 권취된 상태로 보관된다. 보관부(300)는 권심(320)과 측면 케이스(310)를 포함한다. 약포 패키지(2)는 권심(320)에 권취되어 있다가 이송부(400)에 의하여 권출(unrolled)된다. 측면 케이스(310)는 ?심(320)에 약포 패키지(2)가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경우 측면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보관부(300)는 단순히 약포 패키지가 보관될 수 있는 공간부만으로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보관부 내에 휠 등의 구성부를 배제하고 단순한 공간으로 형성하고, 형성된 공간부에 약포 패키지를 단순히 접히도록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송부(400)는 한 쌍의 제1롤(410), 한 쌍의 제2롤(420) 및 배출롤(430)을 포함한다. 한 쌍의 제1롤(410)은 제1 상부롤(411)과 제1 하부롤(412)를 포함한다. 제1 상부롤(411)은 제1 하부롤(412)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1 하부롤(412)과 맞닿도록 구비된다. 제1 상부롤(411)과 제1 하부롤(412)의 외주면은 탄성재질, 특히 다공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부롤(411)과 제1 하부롤(412)의 외주면이 탄성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사이에 개재되는 약포 패키지 내의 약제들을 가압하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 하부롤(412)은 모터 바람직하게는 스텝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며, 제1 상부롤(411)은 제1 하부롤(412)의 회전방향에 따라 피동적으로 회전한다. 한 쌍의 제1롤(410)은 약포 패키지(2)의 최 전단부가 최초로 위치된 상태에서 약포 패키지(2)를 배출롤(430)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유도한다.
한 쌍의 제2롤(420)은 한 쌍의 제1롤(410)로부터 이송되는 약포 패키지(2)의 전단부를 배출롤(430) 측으로 이송시킨다. 한 쌍의 제2롤(420)은 제2 상부롤(421) 및 제2 하부롤(422)을 포함한다. 제2 상부롤(421)은 제2 하부롤(422)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2 하부롤(422)과 맞닿도록 구비된다. 제2 상부롤(421)과 제2 하붑롤(422)의 외주면은 탄성재질, 특히 다공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상부롤(421)과 제2 하부롤(422)의 외주면이 탄성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사이에 개재되는 약포 패키지 내의 약제들을 가압하는 힘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2 하부롤(422)은 모터 바람직하게는 스텝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며, 제2 상부롤(421)은 제2 하부롤(422)의 회전방향에 따라 피동적으로 회전한다. 한 쌍의 제2롤(420)은 약포 패키지(2)의 최전단부가 배출롤(430)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한편, 제1 하부롤(412)과 제2 하부롤(422)은 각각 독립된 구동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하부롤(412)과 제2 하부롤(422) 사이에 개재되는 약포 패키지(2)가 접히거나 느슨해 지는 경우 약포 패키지(2)의 절취선의 감지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하부롤(412)과 제2 하부롤(422) 중 어느 하나를 약포 패키지(2)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절취선의 감지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 때 스텝 모터를 이용하여 각 롤들을 구동함으로써 정확한 장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상부롤(411)과 제2 상부롤(421)은 상부에 탄성부재(403)로 연결된다. 제1 상부롤(411)과 제2 상부롤(421)은 탄성부재(403)로 고정됨으로써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작동 범위를 갖게 되어 약포 패키지(2)의 초기 세팅 시나 에러 발생시에 사용자에 의하여 들어 올려질 수 있으며, 약포 패키지(2)가 제1롤(410) 및 제2롤(420)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이송되는 경우에도 약패 패키지(2) 내측에 포함된 약제에 가하는 힘을 최소화 하게 된다.
이송방향의 말단부에는 배출롤(430)을 구비할 수 있다. 배출롤(430)은 한 쌍의 제2롤(420)로부터 이송되는 약포 패키지(2)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배출롤(430)은 제2 상부롤(421)과 타이밍 벨트 등을 이용하여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부롤(412)과 제2 하부롤(422)을 경유하여 이송되는 약포 패키지를 지지하는 지지부(150)를 포함한다. 약포 패키지는 지지부(150)의 상단에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송 플레이트(151)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로 이송된다. 이 때 제1 하부롤(412)과 제2 하부롤(422)은 이송 플레이트(151) 상으로 노출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송 플레이트(151)의 중앙부에는 광투과 부재(152)가 구비된다. 광투과 부재(152)는 광투과 부재(152)의 하부에 구비되는 광원부(500)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킨다. 광원부(500)는 발광소자(510)를 이용하여 빛을 발광한다. 광원부(500)로부터 발광되는 빛은 후술할 스캔부에 의하여 약포 패키지를 촬영 시에 조명으로 이용된다. 한편, 광원부(500)는 간접조명 방식으로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간접조명 방식으로 광투과 부재(152)를 이용한다. 광투과 부재(152)는 광원부(500)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산란 또는 확산시켜 조도분포를 균일화하고 빛이 기타 구성부들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광원부(500)는 본 실시예와는 달리 발광소자(510)가 아래로 향하도록 구비하여 반사광이 상부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광원부(500)는 약포 패키지르 기준으로 후술할 스캔부의 반대측에 구비된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스캔부 및 광차단부를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포형 약제 불출박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포형 약제 불출박스의 또 다른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차단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9 및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캔부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차단부(160)를 포함한다. 광차단부(1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차단부 상부케이스(160a) 및 광차단부 하부케이스(160b)를 포함한다. 광차단부(160)의 상부케이스(160a)와 하부 케이스(160b)는 내부에 스캔부를 구비할 수 있는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한다. 광차단부 하부케이스(160b)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창(161)이 형성된다. 후술할 스캔부는 스캔창(161)을 통하여 스캔창(161) 하부의 약포 패키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 때 광차단부(160)는 약포 패키지의 영상 이외에 기타 광 노이즈가 해당 영상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광차단부(160)의 내측은 광의 반사를 최소화하는 광흡수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광흡수층으로는 무광택의 검정색 코팅층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광차단부 하부 케이스(160b)으로는 제1 상부롤 등 이송부(400)의 상부 구성부들이 노출된다.
스캔부(600)는 광투과 부재(152)의 상부에 위치하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부(300)로부터 권출되어 광투과 부재(152) 상으로 이송되는 약포 패키지(2)의 연속 이미지를 촬영한다. 이 때 스캔부(600)는 약포 패키지(2) 중 약포 패키지(2)의 밀봉 시에 형성되는 융착부를 중심으로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약포 패키지의 절취선 감지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포 패키지의 절취선 감지와 관련된 구성부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2는 약포 패키지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절취선 감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절취선 감지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캔부(600)는 조명부(500)가 제공하는 조명을 이용하여 이송되는 약포 패키지(2)의 연속 이미지를 촬영한다. 이 때 감지부(700)는 스캔부(600)로부터 촬영된 연속 이미지를 전달받아 절취선을 감지한다. 이하에서는 스캔부(600) 및 감지부(700)에 의하여 약포 패키지(2)의 절취선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약포 패키지(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한 장의 시트를 반으로 접은 후 열 융착에 의하여 열융착부(A1)를 형성한 후 절취선(L1)을 형성함으로써 제작된다. 열융착부(A1)에 의하여 각각 약포들은 내측에 약제가 수용되는 약제 수용부(A2)가 구비된다. 이 때 열융착부(A1)는 횡방향 열융착부(A1a)와 종방향 열융착부(A1b)로 구분될 수 있다. 횡방향 열융착부(A1a)는 약포 패키지(2)의 입구를 밀봉하는 기능을 하며, 종방향 열융착부(A1b)는 각각의 약포 간에 형성되는 약제 수용부(A2)를 구획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횡방향 열융착부(A1a)와 종방향 열융착부(A1b)의 교차부(A2)와 횡방향 열융착부(A1a)와 종방향 열융착부(A1b)의 내측 교차점(P1a, P1b)의 용어를 사용한다. 횡방향 열융착부(A1a)와 종방향 열융착부(A1b)의 교차부(A2)는 횡방향 열융착부(A1a)와 종방향 열융착부(A1b)가 만나 교차하는 부분을 의미하며, 횡방향 열융착부(A1a)와 종방향 열융착부(A1b)의 내측 교차점(P1a, P1b)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부(A2) 중 가장 내측의 교차지점을 의미한다. 또한 약포 패키지가 일정한 방향(D1)으로 이송되는 경우 스캔부에 의하여 촬영되는 순서에 따라 제1 내측 교차점(P1a)과 제2 내측 교차점(P1b)로 구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약포 패키지 절취선 감지 방법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획득 단계(S10), 영상 처리 단계(S20), 절취선 감지 단계(S30)를 포함한다. 영상 획득 단계(S10)에서는 약포 패키지 중 횡방향으로 형성된 열융착부와 종방향으로 형성된 열융착부의 교차부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하고, 영상 처리 단계(S20)에서는 획득된 이미지를 절취선을 감지하기 위한 사전 단계로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한다. 절취선 감지 단계(S30)에서는 영상 처리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약포 패키지의 절취선을 감지한다.
이 때 절취선 감지 단계(S30)에서 절취선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S40)에는 약포 패키지가 더 이송(S45)된 상태에서 영상 획득 단계(S10), 영상 처리 단계(S20), 절취선 감지 단계(S30)를 반복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획득 단계는 약포 패키지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영상 획득 제1 단계; 및 쵤영된 이미지 중 약포 패키지의 횡방향 열융착부와 종방향 열융착부의 교차부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잘라내는 영상 획득 제2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카메라를 이용하여 약포 패키지의 이미지를 촬영한 후 필요한 부분만 취하고 나머지는 버리는 식으로 절취선 감지 대상 이미지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약포 패키지는 투명 재질 또는 불투명 재질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형성되고 있으나, 열융착부의 경우 고열에 의하여 융착이 됨으로써 재질의 성격이 투명하게 변하게 된다. 따라서 조명부를 통하여 약포 패키지의 후면에서 조명을 제공한 후 스캔부가 해당 이미지를 촬영하면, 빛이 통과되는 열융착부의 경우 다른 부분과 이미상에서의 명암이 크게 차이가 나게 된다.
한편, 횡방향 열융착부와 종방향 열융착부의 교차부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스캔부의 위치를 해당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이 있고, 이미지를 촬영한 후 횡방향 열융착부와 종방향 열융착부의 내측 교차점을 검출하여 횡방향 열융착부와 종방향 열융착부의 교차부의 위치를 유추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영상처리 프로세스(S20)는 먼저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컬러 정보를 없에기 위하여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한다(S210). 한편,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하기 이전에 필요에 따라 미디언 필터를 이용하여 이미지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그레이 스켕일로 변환된 이미지를 이진화 처리하여 흰색과 검정만으로 표시되도록 변환한다(S220). 영상처리의 마지막 단계로서, 이진화된 이미지의 에지를 추출한다(S230). 에지 추출된 이미지 결과물은 흰색과 검정색의 경계가 검정색으로 표시되도록 변환된다. 더 나아가 상기 노이즈 제거는 미디언 필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절취선 감지 프로세스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포 패키지의 절취선은 에지가 추출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외곽선 추적 기법을 이용하거나, 패턴 인식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패턴 인식 방법의 경우 공지된 다양한 기법들을 이용하여 에지가 추출된 이미지 중의 검정색 픽셀들의 패턴을 파악하고, 해당 이미지 내에 이미지를 종단하는 직선형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패턴에 해당하는 픽셀들이 약포 패키지의 절취선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외곽선 추적 기법의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에지 추출된 이미지의 최 상단부에 위치하는 검정색 픽셀을 찾는다(S310). 최 상단부에 위치하는 검정색 픽셀을 찾은 경우 해당 픽셀을 기준 픽셀로 하여 주변의 검정색 픽셀을 검출한다(S320). 이 때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미지의 아래로 외곽선을 추적해가는 경우에는 3시방향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주변의 검정색 픽셀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주변에 검정색 픽셀이 존재하는 경우(S340) 해당 픽셀을 다시 기준 픽셀로 삼아 이동(S345)하여 주변의 검정색 픽셀을 같은 방법으로 검출한다. 이 때 이미지의 최하단에 이르기 전에 주위의 검정색 픽셀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절취선이 해당 이미지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S352), 주변의 검정색 픽셀들을 검출을 반복하여 기준 픽셀이 이미지의 최하단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해당 이미지에 절취선이 존재하고, 기준 픽셀의 이동경로가 절취선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상부로부터 하부에 이르는 단방향의 추적방법만을 이용하였으나, 다시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도록 추적을 계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기준 픽셀의 9시 방향의 픽셀부터 검정색 픽셀인지 여부를 검출하며, 해당 픽셀이 검정색 정보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며 주변의 픽셀을 검정색 정보를 갖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주변에 검정색 픽셀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픽셀을 기준 픽셀로 삼아 이동하여 다시 주변의 검정색 픽셀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외곽선을 추적하여 기준 픽셀의 이동 경로가 이미지의 상부로부터 하부에 이르기까지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해당 기준 픽셀의 이동 경로의 위치가 약포 패키지의 절취선의 위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에 이미지의 최 상단에 검정색 픽셀을 검출하여 해당 픽셀을 기준 픽셀로 한다. 다음으로 기준 픽셀의 3시 방향의 픽셀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주변의 검정색 픽셀을 검출한다. 이 경우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로 아래의 픽셀이 검정색 픽셀이므로 아래의 픽셀로 기준 픽셀을 이동하여 다시 주변의 검정색 픽셀을 3시 방향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추적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주변의 검정색 픽셀을 추적하면, 도 6c 내지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픽셀이 검정색 픽셀들의 오른쪽 외곽선을 따라 이미지의 하단부에 이르는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횡방향으로 돌출된 검정색 픽셀들이 이미지의 횡방향 단부에 이르거나 이미지의 하단부에 이르지 못하고 끊기는 경우에는 해당 픽셀들이 절취선이 아닌것으로 판단한다. 도 16a 내지 도 16f의 경우에는 이미지를 종단하는 검정색 픽셀들이 존재하므로 절취선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 16f 내지 도 16k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외곽선을 더 추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기준 픽셀의 9시의 픽셀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검정색 픽셀을 추적한다. 그 결과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이미지를 추적하는 경우에는 검정색 픽셀들의 왼쪽 외곽선을 추적학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들의 외곽선을 추적하여 기준 픽셀의 이동 경로가 이미지를 종단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절취선의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약포형 약제 불출 박스로 구현될 수 있다.
10: 약포형 약제 불출박스 140: 레일 수용부
110: 전면부 160: 광차단부
161: 스캔창 200: 절단부
300: 보관부 400: 이송부
500: 광원부 600: 스캔부
700: 감지부

Claims (22)

  1. 약포 패키지가 보관되는 보관부;
    상기 보관된 약포 패키지를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구비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되는 약포 패키지를 촬영하는 스캔부;
    상기 스캔부에 의하여 촬상된 약포 패키지의 연속 이미지로부터 절취선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된 절취선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약포 패키지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절취선을 절단하는 절단부; 및
    상기 절단된 약포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약포형 약제 불출 장치.
  2. 상기 스캔부가 촬영에 필요한 조명을 제공하는 광원부를 더 포함하는 약포형 약제 불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약포 패키지를 기준으로 상기 스캔부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약포형 약제 불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간접조명 방식으로 조명을 제공하는 약포형 약제 불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와 상기 약포 패키지 사이에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광투과 부재가 구비되는 약포형 약제 불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 부재는 상기 통과되는 빛을 산란 또는 확산시켜 조도분포를 균일화 하는 약포형 약제 불출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반사광을 이용하여 조명을 제공하는 약포형 약제 불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부에 노이즈 광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광차단부를 더 구비하는 약포형 약제 불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부는 내측에 상기 스캔부를 구비하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약포 패키지 중 촬영 대상 부위의 영상이 상기 스캔부에 유입되는 스캔창이 형성되는 약포형 약제 불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부의 내측은 광의 반사를 최소화하는 광흡수층이 형성되는 약포형 약제 불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무광택 검정색의 코팅층으로 형성되는 약포형 약제 불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에 포함되는 롤러들의 외주면은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복약 관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들의 외주면은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 복약 관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는 약포 패키지가 권취(rolled)되는 휠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한 이송 시 상기 약포 패키지는 상기 휠로부터 권출(unrolled)되는 복약 관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약포 패키지의 최 전단 약포가 최초로 위치되어 상기 약포 패키지를 이송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한 쌍의 제1롤을 포함하는 약포형 약제 불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롤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약포 패키지의 전단부를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는 한 쌍의 제2롤을 포함하는 약포형 약제 불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롤과 상기 한 쌍의 제2롤은 각각 독립된 구동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약포형 약제 불출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롤과 상기 한 쌍의 제2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스텝모터로 구동되는 약포형 약제 불출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포 패키지가 이송되는 이송방향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약포 패키지의 전단측 약포를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는 배출롤을 구비하는 약포형 약제 불출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이송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이송되는 약포 패키지의 하단을 지지하는 이송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약포형 약제 불출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레이트에는 상기 스캔부의 촬상에 필요한 조명광을 투과시키는 광투과부재가 형성되는 약포형 약제 불출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약포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배출 약포의 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 수단을 더 포함하는 약포형 약제 불출 장치.
KR1020120123143A 2012-11-01 2012-11-01 약포형 약제 불출 박스 KR101985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143A KR101985545B1 (ko) 2012-11-01 2012-11-01 약포형 약제 불출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143A KR101985545B1 (ko) 2012-11-01 2012-11-01 약포형 약제 불출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807A true KR20140055807A (ko) 2014-05-09
KR101985545B1 KR101985545B1 (ko) 2019-06-03

Family

ID=50887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143A KR101985545B1 (ko) 2012-11-01 2012-11-01 약포형 약제 불출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5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3759A (zh) * 2018-01-30 2018-07-10 张运 一种平推式纸张更换装置
CN109324346A (zh) * 2017-08-01 2019-02-12 北京华兴长泰物联网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药盒传感器及药盒
CN109324351A (zh) * 2017-08-01 2019-02-12 北京华兴长泰物联网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光学药盒传感器及药盒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823B1 (ko) * 2019-12-30 2022-01-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진공 그리퍼를 이용해 파지 대상물을 파지하여 이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4062A (ja) * 2005-06-01 2006-12-14 Tosho Inc 錠剤計数監査装置
KR20070009271A (ko) * 2005-07-15 2007-01-18 (주)제이브이엠 약제다발 검사 및 절단장치
KR20120026285A (ko) * 2010-09-09 2012-03-19 (주)제이브이엠 처방약 자동 인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4062A (ja) * 2005-06-01 2006-12-14 Tosho Inc 錠剤計数監査装置
KR20070009271A (ko) * 2005-07-15 2007-01-18 (주)제이브이엠 약제다발 검사 및 절단장치
KR20120026285A (ko) * 2010-09-09 2012-03-19 (주)제이브이엠 처방약 자동 인출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4346A (zh) * 2017-08-01 2019-02-12 北京华兴长泰物联网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药盒传感器及药盒
CN109324351A (zh) * 2017-08-01 2019-02-12 北京华兴长泰物联网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光学药盒传感器及药盒
CN109324346B (zh) * 2017-08-01 2023-03-31 北京华兴长泰物联网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药盒传感器及药盒
CN108263759A (zh) * 2018-01-30 2018-07-10 张运 一种平推式纸张更换装置
CN108263759B (zh) * 2018-01-30 2019-10-08 盛佳 一种平推式纸张更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545B1 (ko) 201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4870B2 (ja) 薬剤鑑査支援装置
JP4439433B2 (ja) 錠剤計数監査装置
KR100650285B1 (ko) 약포 검사시스템
EP3315111B1 (en) Medicine dispensing device
JP7498411B2 (ja) 薬剤分包装置
JP6612243B2 (ja) 個包装される薬剤の用量を受容し照合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985545B1 (ko) 약포형 약제 불출 박스
JP6484666B2 (ja) 制御装置
KR20170028896A (ko) 약제 불출 장치
KR101985546B1 (ko) 약포 패키지 절취선 감지 방법
CN107531342B (zh) 用于生产筒泡罩包装的设备
JP7156304B2 (ja) 調剤支援システム
KR20180117932A (ko) 약제포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약제포장방법
JP2001058001A (ja) 収容体内の薬剤等の検査装置
JP2023053940A (ja) 分包薬剤の鑑査装置、鑑査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鑑査方法
JP2022000244A (ja) 薬剤搬送装置および薬剤仕分装置
JPWO2016047295A1 (ja) 薬剤鑑査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