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556A -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556A
KR20140055556A KR1020120122597A KR20120122597A KR20140055556A KR 20140055556 A KR20140055556 A KR 20140055556A KR 1020120122597 A KR1020120122597 A KR 1020120122597A KR 20120122597 A KR20120122597 A KR 20120122597A KR 20140055556 A KR20140055556 A KR 20140055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ing
polygon
point
ap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2720B1 (ko
Inventor
박영몽
권기읍
정성문
Original Assignee
(주)휴빌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빌론 filed Critical (주)휴빌론
Priority to KR1020120122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720B1/ko
Publication of KR20140055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45Transmission from base station to mobile station
    • G01S5/0063Transmission from base station to mobile station of measured values, i.e. measurement on base station and position calculation on mob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2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8Position of single direction-finder fixed by determining direction of a plurality of spaced sources of known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파이 시스템에서의 액세스 포인트(AP)를 이용하여 건물 내에 위치한 무선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단말의 측위를 위해 최초로 설정한 복수의 AP가 이루는 다각형 외부에서 1개 이상의 추가 측위를 수행하여 최종 측위점을 선택함으로써 정확한 측위가 수행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WIFI-BASED INDOOR POSITIONING}
본 발명은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파이 시스템에서의 액세스 포인트(AP)를 이용하여 건물 내에 위치한 무선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무선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특정 셀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기지국을 이용하는 삼각측량의 방법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방법에 의한 실내 측위의 경우, 측위오차가 수십 내지 수백 미터에 달하여, 정밀한 측위가 되지 못하여 왔다. 한편, 실내 측위에 이용하는 WIFI 측위 기술의 경우에도 측위 오차는 10미터 내외를 나타내어, 정밀도를 요하는 실내 내비게이션 등에 사용하기에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와이파이 측위에 대하여, 가중 중점 알고리즘(weighted centroid algorithm)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 방법을 사용할 경우, 측위점은 복수의 AP가 형성하는 다각형 내부에만 형성되며, 측위시 사용되는 신호세기의 왜곡과 AP 위치에 따라서 오류를 내포한 측위가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무선단말의 측위를 위해 최초로 설정한 복수의 AP가 이루는 다각형 외부에서 1개 이상의 추가 측위를 수행하여 최종 측위점을 선택함으로써 정확한 측위가 수행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시스템이, 실내측위를 수행하는 방법은, (a) 측위 대상 단말(이하 '측위 단말'이라 한다)에 대한 측위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각 액세스포인트(이하, '측위 AP'라 한다)로부터, 해당 측위 AP에서 상기 측위 단말까지의 신호세기 측정값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신호세기 측정값으로부터, 상기 측위 단말에 대한 측위점이 상기 측위 AP들이 이루는 다각형(이하 '제1 다각형'이라 한다) 내부에 있는지 또는 외부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측위점이 상기 제1 다각형 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다각형 외부의 일 지점에 가상의 측위 AP를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측위 AP들을 이용하여 상기 측위 단말에 대한 측위점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b)는, (b1) 상기 신호세기 측정값으로부터 해당 측위 AP에서 상기 측위 단말까지의 신호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b2) 상기 각 신호거리 산출값 중 하나 이상이 상기 모든 측위 AP 간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측위점이 상기 제1 다각형 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모든 신호거리 산출값이 상기 각 측위 AP 간 거리보다 작은 경우 상기 측위점이 상기 제1 다각형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d)에서 측위점의 산출은, 상기 단계(b)에서 측위점이 상기 제1 다각형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다각형을 이루는 측위 AP들에 대하여 중점 알고리즘 또는 가중 중점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측위점이 상기 제1 다각형 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다각형을 이루는 측위 AP 중 일부와 상기 가상의 측위 AP에 대하여 중점 알고리즘 또는 가중 중점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 AP간 거리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각 AP의 위치정보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를 수행하는 시스템은,측위 대상 단말(이하 '측위 단말'이라 한다)에 대한 측위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각 액세스포인트(이하, '측위 AP'라 한다)로부터, 해당 측위 AP에서 상기 측위 단말까지의 신호세기 측정값을 수신하는 신호세기 측정값 수신모듈; 상기 신호세기 측정값으로부터, 상기 측위 단말에 대한 측위점이 상기 측위 AP들이 이루는 다각형(이하 '제1 다각형'이라 한다) 내부에 있는지 또는 외부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측위점 존재영역 판단모듈; 상기 측위점이 상기 제1 다각형 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다각형 외부의 일 지점에 가상의 측위 AP를 설정하는 가상 측위 AP 설정모듈; 상기 측위 AP들을 이용하여 상기 측위 단말에 대한 측위점을 산출하는 측위 수행모듈; AP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수행과 관련된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측위점 존재영역 판단모듈은, 상기 신호세기 측정값으로부터 해당 측위 AP에서 상기 측위 단말까지의 신호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각 신호거리 산출값 중 하나 이상이 상기 모든 측위 AP 간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측위점이 상기 제1 다각형 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모든 신호거리 산출값이 상기 각 측위 AP 간 거리보다 작은 경우 상기 측위점이 상기 제1 다각형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측위 수행모듈의 측위점 산출은, 상기 측위점 존재영역 판단모듈에 의해 측위점이 상기 제1 다각형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다각형을 이루는 측위 AP들에 대하여 중점 알고리즘 또는 가중 중점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상기 측위점이 상기 제1 다각형 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다각형을 이루는 측위 AP 중 일부와 상기 가상의 측위 AP에 대하여 중점 알고리즘 또는 가중 중점 알고리즘을 적용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AP 정보에는, 각 AP의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측위 AP간 거리는, 상기 각 AP의 위치정보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단말의 측위를 위해 최초로 설정한 복수의 AP가 이루는 다각형 외부에서 1개 이상의 추가 측위를 수행하여 최종 측위점을 선택함으로써 정확한 측위가 수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측위방법으로서, AP가 이루는 다각형 내부에서 측위점이 결정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위방법으로서, 최초 설정한 AP가 이루는 다각형 외부에서 측위점이 결정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측위를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최초 설정한 AP가 이루는 다각형 외부에서 측위점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위방법을 수행하는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기존의 측위방법으로서, AP(21,22,23)가 이루는 다각형 내부에서 측위점이 결정(30)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각의 원은 각 AP(21,22,23)에서 측위 대상 단말(이하 '측위 단말'이라 한다)(10)까지의 거리를 신호에 의해 측정한 거리(이하 '신호 거리'라 한다)와 동일한 거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AP와 상기 측위 단말(10) 사이의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이로부터 산출되는 거리를 신호거리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출된 신호거리 산출값을 이용하여 삼각측량으로 상기 측위 단말(10)의 위치를 측위 할 수도 있고, 신호의 세기를 고려하여 가중 중점 알고리즘(weighted centroid algorithm)을 이용하여 측위를 수행할 수도 있다.
가중 중점 알고리즘이란, 수학식 1과 같은 수식에 의해 측위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이다.
Figure pat00001
위 수학식 1에서
Figure pat00002
는 k번째 AP의 좌표,
Figure pat00003
는 측위 단말로부터 k번째 AP에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비례하여 부여되는 가중치, n은 측위를 수행하는 AP의 수,
Figure pat00004
는 산출된 측위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를 의미한다.
가중 중점 알고리즘은 항상 AP가 형성하는 다각형 내부에 측위점이 형성된다. 따라서, 측위시 사용되는 신호세기의 왜곡과 AP 위치에 따라서 오류를 내포하는 측위를 수행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도 1의 경우는 실제 측위 단말(10)의 위치가 AP(21,22,23)에 의해 형성되는 다각형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로서, 이러한 경우에는 전술한 가중 중점 알고리즘에 의해 비교적 정확한 위치를 측위해 낼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는, 실제 측위 단말(10)의 위치가 AP(21,22,23)에 의해 형성되는 다각형 외부에 존재하는 경우로서, 이러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순한 가중 중점 알고리즘 만으로는 정확한 위치를 측위해 내기 어려우며,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더욱 정확한 위치를 측위해 낼 수 있고,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위방법으로서, 최초 설정한 AP가 이루는 다각형 외부에서 측위점이 결정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제 측위단말이 AP(21,22,23)에 의해 형성되는 다각형 외부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각 AP(21,22,23) 중 특정 AP에 의해서 형성되는 신호거리가 모든 AP 사이의 거리, 즉 AP1-AP2 간 거리, AP2-AP3 간 거리, AP3-AP1 간 거리보다 클 경우, 측위 단말은 AP(21,22,23)에 의해 형성되는 다각형 외부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도 2의 경우는 AP1에 의해 형성되는 신호 거리가 그와 같은 조건을 충족하므로 측위 단말(10)이 AP(21,22,23)에 의해 형성되는 다각형 외부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 경우는 위 다각형 외부에 가상의 AP를 설정(24)하여, AP(22,23,24)에 의해 형성되는 새로운 다각형을 설정하고, AP(22,23,24)에 가중 중점 알고리즘 또는 중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형성된 새로운 다각형 내부에서 측위단말의 위치를 측정해 내게 된다. 가상의 AP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에는,
1) 기존 AP(21,22,23)가 이루는 다각형(제1 다각형)을 특정 AP를 기준으로 회전 및 대칭시키는 방법으로서, 도 2에서 가상 AP(24)의 위치를 결정한 방식이다.
2) 신호거리 및 중첩거리를 이용하여 확장/축소시키는 방법
3) 내부 다각형의 가중 중점 측위점을 이용하여 확장/축소시키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가중 중점 알고리즘에 대하여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 있다.
한편, 중점 알고리즘이란, AP(22,23,24)의 신호세기를 고려하지 않고, AP(22,23,24)가 이루는 다각형의 무게중심을 측위점으로 측정해내는 것이다. 가상의 AP(24)가 포함된 AP(22,23,24)에 대하여, 신호세기를 고려하는 가중 중점 알고리즘을 적용하려면, 가상 AP(24)에 대하여 적절한 신호의 세기를 결정해 주어야 한다. 이때 기존 AP의 신호세기를 고려하여 결정하게 된다.
기존 AP(21,22,23) 이외에도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시스템(100)이 관리하는 AP가 존재할 경우에는 그 AP들 중에서 선택하여 추가측위 AP로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AP(21,22,23) 이외에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시스템(100)이 관리하는 AP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기존 다각형 외부의 특정 위치에 가상 AP를 측위 AP(24)로서 설정할 수 있다. 도 2에는 기존 AP(21,22,23)에 의해 측위된 측위 단말의 위치(40), 가상 AP(24)를 설정하여 측위된 측위 단말의 위치(50) 및 측위 단말의 실제 위치(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추가측위 AP(24)를 설정하여 측위된 측위 단말의 위치(50)가 측위 단말의 실제 위치(10)에 훨씬 더 근접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측위를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시스템(100)은, 특정 지역 또는 특정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AP(21,22,23)과 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그 AP들을 관리하며, 그러한 AP들을 이용하여 주변에 위치하는 특정 단말(10)의 위치를 측위해 낼 수 있다. 다만, 본 도면에서는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시스템(100)을 별도의 시스템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같이 네트워크에 연결된 별도의 시스템일 수도 있고, 또는 단말(10)에 설치된 실내측위 프로그램 동작에 의하여 단말(10)이 그러한 실내측위 시스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AP들을 이용한 측위방법의 원리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으며, 이하 도 4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수행하는 단계별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최초 설정한 AP가 이루는 다각형 외부에서 측위점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시스템(100)은, 측위 대상 단말(이하 '측위 단말'이라 한다)(10)에 대한 측위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각 액세스포인트(이하, '측위 AP'라 한다)로부터, 해당 측위 AP에서 상기 측위 단말까지의 신호세기 측정값을 수신한다(S410). 수신한 신호세기 측정값으로부터, 측위 단말(10)에 대한 측위점이 상기 측위 AP들이 이루는 다각형(이하 '제1 다각형'이라 한다) 내부에 있는지 또는 외부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먼저 수신한 신호세기 측정값으로부터 해당 측위 AP에서 측위 단말(10)까지의 신호거리를 산출한다(S420).
상기 각 신호거리 산출값 중 특정 AP(하나 또는 그 이상의 AP)의 신호 거리 산출값이 상기 모든 측위 AP 간 거리(AP1-AP2 간 거리, AP2-AP3 간 거리, AP3-AP1 간 거리, 도 2 참조)보다 큰 경우에는, 측위 단말(10)의 측위점이 기존 측위 AP(21,22,23)가 이루는 다각형 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측위 AP들이 이루는 제1 다각형 외부의 일 지점에 가상의 AP를 설정(24)한 후(S441), 상기 AP들 중 일부(도 2의 경우 AP2,AP3)와 가상 AP(24)를 이용하여 상기 측위 단말에 대한 측위점을 산출한다(S442). 상기 각 AP간 거리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각 AP의 위치정보로부터 산출된다. 상기 제1 다각형을 이루는 측위 AP 중 일부와 상기 가상의 측위 AP에 대하여 중점 알고리즘 또는 가중 중점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가중 중점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경우, 각 측위 AP의 신호세기를 고려하여야 하므로, 가상 AP(24)의 신호세기를 적절한 방법으로 결정한 후에 가중 중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모든 AP(21,22,23)에 의한 신호거리 산출값이 상기 각 측위 AP 간 거리보다 작은 경우, 측위 단말(10)의 측위점이 기존 측위 AP(21,22,23)가 이루는 다각형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측위 AP들(21,22,23)만을 이용하여 상기 측위 단말(10)에 대한 측위점을 산출한다(S451). 이때 측위점의 산출은, 제1 다각형을 이루는 측위 AP들에 대하여 신호세기를 고려한 가중 중점 알고리즘을 적용하거나, 또는 중점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위방법을 수행하는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자세한 측위원리 및 그 방법에 대하여는 이미 전술한 바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시스템(100)의 각 구성모듈별 기능을 중심으로 간략히 정리하여 서술한다.
제어부(110)는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수행과 관련된 일련의 처리를 수행한다.
신호세기 측정값 수신모듈(120)은 측위 대상 단말(이하 '측위 단말'이라 한다)에 대한 측위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각 액세스포인트(이하, '측위 AP'라 한다)로부터, 해당 측위 AP에서 상기 측위 단말까지의 신호세기 측정값을 수신한다.
측위점 존재영역 판단모듈(130)은 상기 신호세기 측정값으로부터, 상기 측위 단말에 대한 측위점이 상기 측위 AP들이 이루는 다각형(이하 '제1 다각형'이라 한다) 내부에 있는지 또는 외부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신호세기 측정값으로부터 해당 측위 AP에서 상기 측위 단말까지의 신호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각 신호거리 산출값 중 하나 이상이 상기 모든 측위 AP 간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측위점이 상기 제1 다각형 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모든 신호거리 산출값이 상기 각 측위 AP 간 거리보다 작은 경우 상기 측위점이 상기 제1 다각형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각 측위 AP간 거리는,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되어 있는 각 AP의 위치정보로부터 산출한다.
가상 측위 AP 설정모듈(140)은 상기 측위점이 상기 제1 다각형 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다각형 외부의 일 지점에 가상의 측위 AP를 설정한다.
측위 수행모듈(150)은 상기 측위 AP들을 이용하여 상기 측위 단말에 대한 측위점을 산출한다. 이때 상기 측위점 존재영역 판단모듈에 의해 측위점이 상기 제1 다각형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다각형을 이루는 측위 AP들에 대하여 가중 중점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상기 측위점이 상기 제1 다각형 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다각형을 이루는 측위 AP 중 일부와 상기 가상의 측위 AP에 대하여 중점 알고리즘 또는 가중 중점 알고리즘을 적용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60)는 AP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되어 있는 AP 정보에는, 각 AP의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10: 측위 단말
21,22,23: 측위 AP 24: 추가측위 AP
30,40: 기존 AP가 이루는 다각형 내부의 측위점
50: 추가측위 AP가 포함된 외부 다각형 내부의 측위점
100: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시스템

Claims (8)

  1.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시스템이, 실내측위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측위 대상 단말(이하 '측위 단말'이라 한다)에 대한 측위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각 액세스포인트(이하, '측위 AP'라 한다)로부터, 해당 측위 AP에서 상기 측위 단말까지의 신호세기 측정값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신호세기 측정값으로부터, 상기 측위 단말에 대한 측위점이 상기 측위 AP들이 이루는 다각형(이하 '제1 다각형'이라 한다) 내부에 있는지 또는 외부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측위점이 상기 제1 다각형 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다각형 외부의 일 지점에 가상의 측위 AP를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측위 AP들을 이용하여 상기 측위 단말에 대한 측위점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b1) 상기 신호세기 측정값으로부터 해당 측위 AP에서 상기 측위 단말까지의 신호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b2) 상기 각 신호거리 산출값 중 하나 이상이 상기 모든 측위 AP 간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측위점이 상기 제1 다각형 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모든 신호거리 산출값이 상기 각 측위 AP 간 거리보다 작은 경우 상기 측위점이 상기 제1 다각형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d)에서 측위점의 산출은,
    상기 단계(b)에서 측위점이 상기 제1 다각형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다각형을 이루는 측위 AP들에 대하여 중점 알고리즘 또는 가중 중점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측위점이 상기 제1 다각형 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다각형을 이루는 측위 AP 중 일부와 상기 가상의 측위 AP에 대하여 중점 알고리즘 또는 가중 중점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AP간 거리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각 AP의 위치정보로부터 산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방법.
  5.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를 수행하는 시스템으로서,
    측위 대상 단말(이하 '측위 단말'이라 한다)에 대한 측위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각 액세스포인트(이하, '측위 AP'라 한다)로부터, 해당 측위 AP에서 상기 측위 단말까지의 신호세기 측정값을 수신하는 신호세기 측정값 수신모듈;
    상기 신호세기 측정값으로부터, 상기 측위 단말에 대한 측위점이 상기 측위 AP들이 이루는 다각형(이하 '제1 다각형'이라 한다) 내부에 있는지 또는 외부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측위점 존재영역 판단모듈;
    상기 측위점이 상기 제1 다각형 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다각형 외부의 일 지점에 가상의 측위 AP를 설정하는 가상 측위 AP 설정모듈;
    상기 측위 AP들을 이용하여 상기 측위 단말에 대한 측위점을 산출하는 측위 수행모듈;
    AP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수행과 관련된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측위점 존재영역 판단모듈은,
    상기 신호세기 측정값으로부터 해당 측위 AP에서 상기 측위 단말까지의 신호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각 신호거리 산출값 중 하나 이상이 상기 모든 측위 AP 간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측위점이 상기 제1 다각형 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모든 신호거리 산출값이 상기 각 측위 AP 간 거리보다 작은 경우 상기 측위점이 상기 제1 다각형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측위 수행모듈의 측위점 산출은,
    상기 측위점 존재영역 판단모듈에 의해 측위점이 상기 제1 다각형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다각형을 이루는 측위 AP들에 대하여 중점 알고리즘 또는 가중 중점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상기 측위점이 상기 제1 다각형 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다각형을 이루는 측위 AP 중 일부와 상기 가상의 측위 AP에 대하여 중점 알고리즘 또는 가중 중점 알고리즘을 적용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AP 정보에는,
    각 AP의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측위 AP간 거리는,
    상기 각 AP의 위치정보로부터 산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시스템.
KR1020120122597A 2012-10-31 2012-10-31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방법 및 시스템 KR101422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597A KR101422720B1 (ko) 2012-10-31 2012-10-31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597A KR101422720B1 (ko) 2012-10-31 2012-10-31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556A true KR20140055556A (ko) 2014-05-09
KR101422720B1 KR101422720B1 (ko) 2014-07-24

Family

ID=50887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597A KR101422720B1 (ko) 2012-10-31 2012-10-31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7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879B1 (ko) * 2014-12-26 2016-06-29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60079742A (ko) * 2016-06-22 2016-07-06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9007658T5 (de) 2019-09-24 2022-06-30 Lg Electronics Inc. Objektpositionsmessvorrichtung, -verfahren u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4537A (ja) * 1999-12-21 2001-06-29 Hitachi Ltd 無線端末位置測定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端末装置
KR100868498B1 (ko) * 2007-06-11 2008-11-12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측위용 기지국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위 방법
KR100994840B1 (ko) 2009-11-27 2010-11-16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신호 세기 기반의 실내 측위 방법 및 시스템
KR20120102277A (ko) * 2011-03-08 2012-09-18 (주)휴빌론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기지국 위치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판단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879B1 (ko) * 2014-12-26 2016-06-29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2016126002A (ja) * 2014-12-26 2016-07-11 ネイバー ビジネス プラットフォーム コーポレーション ビーコンを利用した無線測位サービス方法および装置
US10064008B2 (en) 2014-12-26 2018-08-28 Naver Business Platform Corp. Methods, apparatuse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viding wireless location service using at least one beacon
US10448207B2 (en) 2014-12-26 2019-10-15 Naver Business Platform Corp. Methods, apparatuse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viding wireless location service using at least one beacon
KR20160079742A (ko) * 2016-06-22 2016-07-06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2720B1 (ko)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877B1 (ko)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보정 방법 및 시스템
US93636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location of user
US8954267B2 (en) Mobile device positioning
KR101436031B1 (ko) 하향링크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추정장치 및 위치추정방법
KR101676571B1 (ko) 실내 측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6796110B (zh) 网络元件和用户设备在室内环境中的位置确定
KR101686477B1 (ko) 개선된 삼변 측량 처리
US201501956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indoor location using received signal strength intensity map
US20150264536A1 (en) Mobile device locating using limited access points
CN106658701B (zh) 一种定位方法及装置
CN106792459B (zh) 无线设备高精度定位的方法以及系统
KR101422720B1 (ko)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방법 및 시스템
KR101436400B1 (ko) 전자지도를 적용한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29463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유지 보수 과정의 추적
CN111050275A (zh) 一种基于rssi特征值的蓝牙定位方法
KR101465012B1 (ko) 다양한 가중치를 적용한 맞춤형 실내 길안내 경로탐색 장치 및 방법
KR100930002B1 (ko) 가상 pCell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 서버 및시스템
KR101452373B1 (ko) WPS(WIFI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PDR(pedestrian dead reckoning) 보폭 추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89263A (ko) WPS(WI-FI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PDR(pedestrian dead reckoning) 측위 보정방법 및 시스템
CN114979955B (zh) 楼层定位方法、装置及电子设备、存储介质
EP3293483B1 (en) Improved floor detection based on determined floor detection parameters
US201403167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osition of light
US20210321219A1 (en) Concept of deploying wireless access points for rtt based positioning
US110859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terminal device
KR101629449B1 (ko) 간섭의 변화를 고려한 보정 기반의 거리 측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