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185A - 스마트 매뉴얼 서비스를 위한 무선 태그 및 무선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매뉴얼 서비스를 위한 무선 태그 및 무선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185A
KR20140055185A KR1020120121619A KR20120121619A KR20140055185A KR 20140055185 A KR20140055185 A KR 20140055185A KR 1020120121619 A KR1020120121619 A KR 1020120121619A KR 20120121619 A KR20120121619 A KR 20120121619A KR 20140055185 A KR20140055185 A KR 20140055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device
product
wireless tag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선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1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5185A/ko
Publication of KR20140055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06K19/0776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the adhering arrangement being a layer of adhesive, so that the record carrier can function as a stic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태그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무선 태그에 있어서, 상기 제품에 부착 가능하도록 접착면이 형성되고, 내장된 무선 태그 칩 및 안테나를 보호하기 위한 무선 태그 인레이; 및 상기 무선 태그 인레이의 접착면에 대응되는 반대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품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인쇄면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태그 칩은 상기 무선 태그와 연결 가능한 단말 장치에 제공 가능한 상기 제품의 설명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매뉴얼 서비스를 위한 무선 태그 및 무선 단말 장치{A WIRELESS TAG AND A WIRELESS TERMINAL DEVICE}
스마트 매뉴얼 서비스를 위한 무선 태그 및 무선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태그(RFID, NFC 등의 무선 태그) 및 무선 단말 장치(RFID 리더, NFC가 탑재된 스마트 기기 등)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향상된 설명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 태그 및 무선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약, 가전, 화장품, 기기 등에 포함된 매뉴얼은 종이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이로 구성되는 매뉴얼의 경우 분실이 쉽고, 찢어지거나 습기에 노출되어 훼손되기 쉽다. 또한 노인분들의 경우 매뉴얼에 포함된 글씨의 크기의 한계로 인해 가독성이 떨어지고, 글을 잘 모르는 외국인의 경우에도 매뉴얼을 접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ATM 기기 등과 같은 공공으로 사용하는 기기에 대해서는 따로 매뉴얼이 존재하지 않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렌탈로 사용하거나 공공의 사무기기(프린터, 전화기 등)의 경우도 개별 매뉴얼을 배치하지 않아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의약품의 매뉴얼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약품의 매뉴얼의 경우, 도 1(A)와 같이 매뉴얼이 별도의 종이로 제품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거나, 도 1(B)와 같이 추가로 지면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제공되는 매뉴얼의 경우 사용법과 성분 등 많은 내용을 작은 지면에 나타내기 위해 내용이 작은 글씨로 적혀 있어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고, 제품과 분리되어 있어 분실의 가능성이 많을 수 있다.
도 2는 복잡한 제품에 대한 매뉴얼 제공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도 2(A)와 같이 복잡한 가전제품이나, 도 2(B)와 같은 ATM에 대한 매뉴얼은 방대한 분량으로 두꺼운 매뉴얼로 종이 형태 또는 CD 등과 같은 기록 매체의 형태 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하는 장비와 분리되어 있으며 별도로 보관을 하게 되므로 일반 사용자는 접근이 어려울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매뉴얼은 책자 형태 등의 종이 형태로 제품의 사양과 사용 방법, A/S 연락처 등의 많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매뉴얼은 의약품, 화장품과 같은 작은 제품의 경우, 해당 정보가 담긴 큰 종이를 접어서 각 제품의 박스 안에 넣거나, 제품과 함께 비닐로 포장하여 수축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세탁기, 냉장고 등 사용이 복잡하고 기능이 많은 제품 등에 대해서는 책자형태의 매뉴얼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의 제품이나 기기 등에 포함된 매뉴얼은 종이재질을 기본으로 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제품과 분리되어 존재하여 보관 및 취급주의로 손상되거나 분실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의약품이나 화장품과 같은 작은 제품의 경우에는 일정한 형태가 없이 종이를 여러 번 접어 겹쳐놓은 상태로 제품과 분리되어 있어 물품만 사용하고 매뉴얼을 보관하지 않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또한, 공공으로 사용하는 프린터, ATM 등등의 기기와 공장 등에서 사용하는 기기 등의 경우, 책자형태로 존재하는 매뉴얼이 1권 존재하므로 여러 사람의 공유가 어렵다. 책자 매뉴얼을 잃어버린 경우, 웹에 존재하는 매뉴얼을 찾아보기 위해서는 정확한 제품명과 제조사 등의 정보를 알아야 하는 어려움도 공존하다. 매뉴얼의 부재로 제품을 수리 받거나 제품에 대한 문의를 하기 위한 연락처를 찾기 위해 오랜 시간을 허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현 매뉴얼 형태보다 사용자의 보관과 사용에 유리한 형태의 매뉴얼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문서의 형태는 기존의 종이문서에서 전자문서의 형태로 변환되고 있다. 매뉴얼을 책자가 아닌 CD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도 증가되고 있으며, 종종 매뉴얼이 따로 존재하지 않고 웹을 활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CD 형태의 경우, CD가 훼손되기 쉽고, PC와 연결을 통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한계점이 있다. 웹을 활용해야 하는 매뉴얼의 경우 사용자가 제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제품명 등)를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매뉴얼을 찾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관과 사용이 편리하고 인터랙티브한 디지털 매뉴얼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 태그 및 무선 단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태그 및 무선 단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무선 단말 장치에서 제품에 대한 다양한 설명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실시간 업데이트가 가능한 무선 태그 및 무선 단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태그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무선 태그에 있어서, 상기 제품에 부착 가능하도록 접착면이 형성되고, 내장된 무선 태그 칩 및 안테나를 보호하기 위한 무선 태그 인레이; 및 상기 무선 태그 인레이의 접착면에 대응되는 반대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품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태그 칩은 상기 무선 태그와 연결 가능한 단말 장치에 제공 가능한 상기 제품의 설명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네트워크에 연결하거나, 주변에 위치한 제품에 부착된 무선 태그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태그로부터 수신되는 설명 정보에 기초하여 설명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생성된 설명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명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품에 대한 설명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태그를 이용한 설명 정보를 설명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어, 보관과 사용이 편리하고 인터랙티브한 매뉴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글을 잘 모르는 사람이나, 작은 글씨를 읽기 어려운 사람들에게도 영상으로 된 매뉴얼을 제공함으로써 직관적인 매뉴얼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매뉴얼과 함께 A/S 관리, 드라이버 다운로드, 업데이트 등의 추가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설명 정보를 제공하는 설명 인터페이스의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설명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연결에 따른 SNS 접속 등의 다양한 설명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의약품의 매뉴얼을 나타낸다.
도 2는 복잡한 제품에 대한 일반적인 매뉴얼 제공 방식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태그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태그와 무선 단말 장치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태그의 활용 예를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 단말 장치가 설명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태그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태그(100)는 무선 태그 칩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태그 인레이(130), 제품 정보를 나타내는 인쇄층(또는 인쇄면)(110), 제1 접착층(또는 접착면)(121), 제2 접착층(또는 접착면)(122), 접착 방지 층(150) 및 라이너(140)를 포함한다.
먼저, 무선 태그(100)는 인쇄층(110)을 통해 제품 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며, 접착 방지층(150)과 라이너(140)의 결합에 의해, 무선 태그(100)는 라이너(140)위에 부착된 접착 가능한 스티커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태그(100)는 제품의 특정 위치에 부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명 정보가 필요한 장소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품의 사용자는 무선 단말 장치를 소지한 채 제품 또는 제품 주변에 접근하기만 하여도 무선 단말 장치를 통해 설명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라이너(140)상에서 부착된 무선 태그(100)는 복수로 부착되어 롤 형태의 라벨 용지상에 제작될 수 있고, 라이너(140)에 부착되는 무선 태그(100)에는 무선 칩마다 무선 리더 또는 무선 프린터를 이용하여 인코딩된 제품 정보와 설명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공정에 따라 제품에 무선 태그(100)를 부착한 이후에 설명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라이너(150)에 부착된 무선 태그(100)는 오토라벨러 등을 이용하여 제품에 부착 가능한 형태로 가공될 수도 있다.
무선 태그 인레이(130)는 무선 태그 칩(미도시) 및 안테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태그 인레이(130)에 포함된 무선 태그 칩은 안테나와 연결되어 무선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전파 신호를 복조하며, 복조된 신호에 따라서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품 데이터나 외부에 연결된 센서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무선 태그 인레이(130)에 포함되는 무선 태그 칩은 상기 무선 태그와 연결 가능한 단말 장치에 제공 가능한 상기 제품의 설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설명 정보는 단말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설명 어플리케이션 또는 설명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설명 정보는 단말 장치가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설명 인터페이스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명 정보는 제품에 대한 사용방법 정보, 명칭 정보, 주의사항 정보, 제품 보증 정보, 제품 특징 정보뿐만 아니라, 무선 태그가 부착된 제품에 대응되는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품에 필요한 애프터 서비스(After Service, AS)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설명 인터페이스는 단말 장치가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제품의 판매처를 조회하기 위한 판매처 조회 메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는 이와 같은 판매처 조회 메뉴가 선택된 경우,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와 가장 가까운 상기 제품의 판매처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하여 상기 단말 장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설명 인터페이스는 단말 장치에서 제공 가능한 제품에 대한 동영상 정보를 포함하거나, 단말 장치가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품에 대한 동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설명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태그 칩은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방식을 사용한 NFC 또는 RFID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RFID 또는 NFC 칩일 수 있다. 즉, 무선 태그 칩은 무선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태그 칩은 수신한 신호의 복조를 위한 복조수단과, 상기 데이터나 정보를 리더기로 전송하기 위한 변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조된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 한 제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태그(100)는 수동형 또는 능동형 태그일 수 있으며, 수동형 무선 태그인 경우에서는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의 전원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무선 태그 칩은 리더기가 전송한 전파로부터 무선 태그 칩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생성하기 위한 발진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태그 칩과 연결된 안테나는 특정한 안테나 패턴으로 특정 기재 위에 형성한 금속층을 제거가공(sputtering)하거나, 금속을 프린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태그 인레이(13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무선 태그 칩과 안테나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커버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무선 태그 인레이(130)는 무선 태그 칩과 안테나가 연결된 형태가 내부에 고정되고, 보호될 수 있도록 적절한 유연성 및 복원성을 가질 수 있는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태그와 무선 단말 장치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태그(100)는 무선 단말 장치(200)로 설명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무선 단말 장치(200)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무선 태그(100)로부터 수신된 설명 정보에 기초하여 설명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무선 단말 장치(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무선 단말 장치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이 아닌 고정 단말 장치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무선 태그(100)가 부착되는 제품은 전자제품, 산업용 기기 및 장비, 자동차, 의약, 화장품, 렌탈용 장비 등 매뉴얼이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제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품에 대한 설명 정보는 기존의 설명서에서 보여주는 텍스트와 단편적인 이미지를 넘어 동영상 및 설명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해를 도울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AS, SNS 서비스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설명 정보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관리를 필요로 하는 제품 사용자의 편의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태그의 활용 예를 나타낸다.
무선 태그(100)는 부착 대상에 따라 서로 다른 다양한 설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태그(100)는 의약품의 포장지에 부착될 수 있다. 의약품의 경우 무선 태그(100)는 무선 태그(100)가 부착될 의약품에 대한 설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의약품에 대한 설명 정보는, 예를 들어 제품 특징 정보, 효능 정보, 효과 정보, 용법 및 용량 정보, 저장방법 정보, 유효기간 정보, 판매처 조회 정보 및 SNS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태그(100)는 가전 제품에 부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전 제품의 경우 무선 태그(100)는 무선 태그(100)가 부착될 가전 제품에 대한 설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전 제품에 대한 설명 정보는, 예를 들어 제품 특징 정보, 안전 주의사항 정보, 청소 및 관리 방법 정보, 각부 명칭 정보, 제품 보증 정보, 사용 방법 정보, 설치 방법 정보, 매뉴얼 검색 정보, SNS 연결 정보 및 AS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태그(100)는 ATM 기기 등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태그(100)는 가전 제품과 같은 설명 정보 이외에도, 금융 관련 서비스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금융 관련 서비스 정보는 무선 단말 장치(200)의 금융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 장치(200)가 무선 태그(100)가 부착된 ATM기기에 접근하는 경우, 무선 단말 장치(200)는 무선 태그(100)로부터 ATM기기와 관련된 금융 관련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금융 어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받거나 실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태그(100)는 프린터 등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무선 태그(100)는 상술한 가전 제품과 같은 설명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린터 특성에 따른 토너 교체 요청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프린터에 부착된 무선 태그(100)와 통신하는 무선 단말 장치(200)를 이용하여 복잡한 토너교체 요청 과정 없이도 토너 교체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 등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 단말 장치가 설명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 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단말 장치(200)는 무선 태그(100)로부터 수신한 설명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설명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무선 태그(100)가 부착된 제품에 대한 설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무선 단말 장치(200)는 설명 정보와 설명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품에 대한 설명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설명 화면은 제품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매뉴얼 화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단말 장치(200)에서 제공 가능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 예를 들어 제품의 제품 특징, 사용 방법 및 주의 사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명 동영상, 텍스트 정보 또는 그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명 화면은 제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단말 장치(200)는 텍스트 및 그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영상을 이용하여 상세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동영상을 이용하면 제품 사용시 용어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였던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애매하고 어려운 용어 없이도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편리하게 따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선 단말 장치(200)는 설명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와의 연결 없이 무선 태그로부터 수신한 설명 정보에 기초하여 제품의 기본 설명 화면을 오프라인으로 직접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메뉴 및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통해 제품의 부가 설명 화면, 판매처 검색 서비스, SNS 서비스 또는 AS 연결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메뉴는 서비스를 적절하게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무선 태그(100)가 부착되는 설명 대상 제품이 감기약인 경우 무선 단말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되는 설명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 장치(200)는 무선 태그(100)로부터 수신한 효과 빠른 감기약에 대한 설명 정보에 기초하여 설명 인터페이스(300)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단말 장치(200)는 설명 정보에 따라 설명 대상 제품의 카테고리가 의약품임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의약품에 대응되는 설명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의약품에 대응되는 설명 인터페이스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특징 메뉴, 효능 효과 메뉴, 용법 용량 메뉴, 저장방법 및 유효기간 메뉴, 가까운 판매처 조회 메뉴 및 SNS 연결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가까운 판매처 조회 및 SNS 연결 메뉴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메뉴일 수 있다.
특히, 설명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한 메뉴를 포함함으로써, 무선 단말 장치(200)는 실시간으로 회사와 고객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며, 무선 단말 장치(200)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
도 7은 무선 태그(100)가 부착되는 설명 대상 제품이 에어컨인 경우 무선 단말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되는 설명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 장치(200)는 무선 태그(100)로부터 수신한 에어컨에 대한 설명 정보에 기초하여 설명 인터페이스(300)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단말 장치(200)는 설명 정보에 포함된 제품의 종류 정보에 따라 설명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 인터페이스는 제품 종류가 에어컨인 경우 제품 보증서/고객카드 메뉴, 안전 주의사항 메뉴, 사용 전 확인 사항 메뉴, 청소 방법 메뉴 및 매뉴얼 검색 메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매뉴얼 검색 메뉴가 선택된 경우, 무선 단말 장치(200)는 색인을 이용하여 설명 정보에 포함된 설명 매뉴얼에 대한 키워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무선 태그(100)가 부착되는 설명 대상 제품이 세탁기인 경우와, 렌탈 사무용품인 경우에 무선 단말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되는 설명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무선 단말 장치(200)의 동작은 도 6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나, 도 8 및 도 9의 설명 인터페이스는 설명 대상 제품의 종류에 따라 추가적인 메뉴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추가적인 메뉴들은 토너교체 요청 메뉴, 각 부 명칭 메뉴 및 청소 및 관리 방법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뉴 선택에 따라 무선 단말 장치(200)는 인터랙티브한 설명 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외에도 제품 설명을 위한 더욱 다양한 메뉴들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설명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메뉴의 개수나 종류에 한정되는 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무선 태그(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NFC 방식의 태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NFC 방식의 무선 태그(100)를 이용하여 무선 단말 장치(200)에서 설명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NFC 방식의 무선 태그(100)를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제작한다. 무선 태그(100)는 스티커 형식으로 제품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라벨을 추가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제품정보 부착 라벨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NFC 방식의 무선 태그(100)에 제품의 설명 정보를 입력하고 제품에 부착한다. 이에 따라, NFC 방식의 무선 태그(100)가 부착된 제품이 물류를 거쳐 소비자에게 판매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태그(100)로부터 설명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무선 단말 장치(200)가 NFC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태그(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는 스마트기기 등의 무선 단말 장치(200)를 이용하여 무선 태그(100)와 연결되고, 제품의 설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무선 단말 장치(200)가 NFC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태그(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UHF(Ultra High Frequency)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수동 태그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별도의 프로그램 구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없이도, NFC가 탑재된 무선 단말 장치(200)를 NFC 태그와 같은 무선 태그(100)에 접촉시키는 것만으로 매뉴얼을 구동시킴으로써, 제품의 설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RFID 태그 인식을 하여 별도의 인식 프로그램 구동이 필요한 기존의 RFID 무선 태그 방식과는 달리, 별도의 프로그램 구동 없이도 NFC 태그 접촉만으로 정보 제공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후, 무선 단말 장치(200)는 동영상, 텍스트 및 그림 정보를 이용하여 설명 화면을 제공한다. 무선 단말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설명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문의 및 요청 사항 발생시 SNS연결이나 A/S 연결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 장치(200)는 무선 통신부(210), A/V(Audio/Video) 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싱부(240), 출력부(250), 메모리(260), 인터페이스부(270), 제어부(280) 및 전원 공급부(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무선 단말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210)는 무선 단말 장치(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무선 단말 장치(200)와 무선 단말 장치(2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10)는 방송 수신 모듈(211), 이동통신 모듈(212), 무선 인터넷 모듈(213), 근거리 통신 모듈(214) 및 위치정보 모듈(2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2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2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2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2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신호는 설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예를 들어 무선 단말 장치(200)에서 설명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 가능한 텍스트, 그림, SNS접속정보, AS접속정보, 가까운 판매처 접속정보 또는 동영상 등의 설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상술한 이동통신 모듈(212)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무선 단말 장치(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 장치(200)는 이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214)을 이용하여 무선 태그(100)와 통신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215)은 무선 단말 장치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2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221)와 마이크(2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통해 설명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명 인터페이스에서 메뉴 또는 각 항목이 선택될 수 있다.
센싱부(240)는 무선 단말 장치(200)의 개폐 상태, 무선 단말 장치(2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무선 단말 장치의 방위, 무선 단말 장치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무선 단말 장치(2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무선 단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 장치(2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2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2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240)는 근접 센서(2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 모듈(252), 알람부(253), 및 햅틱 모듈(2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무선 단말 장치(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51)를 통해 설명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2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단말 장치(2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 장치(2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2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2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를 통해 보다 직관적이고 조작이 용이한 설명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2)은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2)은 무선 단말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2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253)는 무선 단말 장치(2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알람부(2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51)나 음성 출력 모듈(2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251,252)은 알람부(2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2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2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2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메모리(260)는 제어부(2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2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70)는 무선 단말 장치(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2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무선 단말 장치(2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무선 단말 장치(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2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무선 단말 장치(2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무선 단말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무선 단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무선 태그(100)와의 통신, 설명 인터페이스 생성, 설명 화면 제공,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2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2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281)은 제어부(2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2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패턴 인식 처리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설명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무선 단말 장치(200)는 무선 태그(100)의 정보를 무선 단말 장치(200)로 인식하여 다양한 설명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 된다. 설명 화면은 각 제품마다 형태와 구성 및 응용방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제품의 특징과 사용시 주의사항, 사용법 등을 지원하고 또한, A/S를 버튼 하나를 이용하여 신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무선 단말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설명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하고,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상기 설명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설명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도 있어, 설명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NFC 등의 무선 태그 기술의 장점을 살리면서 소비자가 활용할 수 있는 제품의 설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별도의 검색이나 장비 없이 예를 들어, NFC가 탑재되어 있는 스마트기기 등을 이용하여 한번에 설명 인터페이스에 접속이 가능하며, 기존의 텍스트 매뉴얼에서 벗어나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설명 화면을 제공할 수 있어 소비자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매뉴얼의 분실을 막을 수 있으며, SNS 등과 연결하여 스마트기기의 장점을 활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무선 태그 110: 인쇄층
121: 제1 접착층 122: 제2 접착층
130: 무선 태그 인레이 140: 라이터
150: 접착 방지층

Claims (14)

  1. 제품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무선 태그에 있어서,
    상기 제품에 부착 가능하도록 접착면이 형성되고, 내장된 무선 태그 칩 및 안테나를 보호하기 위한 무선 태그 인레이; 및
    상기 무선 태그 인레이의 접착면에 대응되는 반대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품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태그 칩은 상기 무선 태그와 연결되는 단말 장치에서, 상기 제품의 설명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설명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태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실행 가능한 설명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단말 장치가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기 위한 수신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태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 정보는
    상기 제품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접속 가능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태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 정보는
    상기 제품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접속 가능한 애프터 서비스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태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 정보는
    상기 제품의 사용방법 정보, 명칭 정보, 주의사항 정보, 제품 보증 정보, 제품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태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 인터페이스는
    상기 단말 장치가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품의 판매처를 조회하기 위한 판매처 조회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처 조회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와 가장 가까운 상기 제품의 판매처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하여 상기 단말 장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무선 태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에서 제공 가능한 상기 제품에 대한 동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태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품에 대한 동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태그.
  9.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네트워크에 연결하거나, 주변에 위치한 제품에 부착된 무선 태그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태그로부터 수신되는 설명 정보에 기초하여 설명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생성된 설명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명 정보와 상기 설명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제품에 대한 설명 화면을 표시하는
    무선 단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설명 인터페이스를 다운로드하는
    무선 단말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명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품에 대한 SNS에 연결되는
    무선 단말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 인터페이스는
    선택된 경우, 상기 네트워크와의 연결 없이 상기 무선 태그로부터 수신한 상기 설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설명 화면을 직접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메뉴 및 선택된 경우, 상기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통해 상기 제품의 설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메뉴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뉴는 상기 네트워크를 이용한 SNS 연결을 위한 메뉴, 상기 네트워크를 이용한 AS 연결을 위한 메뉴 및 상기 네트워크를 이용한 매뉴얼 검색을 위한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설명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하고,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상기 설명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설명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무선 단말 장치.
KR1020120121619A 2012-10-30 2012-10-30 스마트 매뉴얼 서비스를 위한 무선 태그 및 무선 단말 장치 KR20140055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619A KR20140055185A (ko) 2012-10-30 2012-10-30 스마트 매뉴얼 서비스를 위한 무선 태그 및 무선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619A KR20140055185A (ko) 2012-10-30 2012-10-30 스마트 매뉴얼 서비스를 위한 무선 태그 및 무선 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185A true KR20140055185A (ko) 2014-05-09

Family

ID=50886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619A KR20140055185A (ko) 2012-10-30 2012-10-30 스마트 매뉴얼 서비스를 위한 무선 태그 및 무선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51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2625A (zh) * 2018-12-19 2021-08-24 成均馆大学校产学协力团 用于防伪的nfc qr代码标签及nfc qr代码标签的制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2625A (zh) * 2018-12-19 2021-08-24 成均馆大学校产学协力团 用于防伪的nfc qr代码标签及nfc qr代码标签的制造方法
CN113302625B (zh) * 2018-12-19 2024-03-19 成均馆大学校产学协力团 用于防伪的nfc qr代码标签及nfc qr代码标签的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730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66049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1768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02348013B (zh) 移动终端以及控制移动终端的操作的方法
US9857968B2 (en) Wearable article with display
CN105549682A (zh) 便携式电子设备
KR10260547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2419687A (zh) 移动终端以及控制其的方法
KR201300315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587433A1 (en) Mobile terminal
KR20170026005A (ko) 스마트 컵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70024736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33044A (ko) 중계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이들의 동작 방법
KR20160023208A (ko)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4346034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140055185A (ko) 스마트 매뉴얼 서비스를 위한 무선 태그 및 무선 단말 장치
KR2013004391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US1000368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957190B1 (ko)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산업용 공장 자동화 장치, 이와 통신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들의 동작 방법
KR101532091B1 (ko) Rss 기능을 확장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CN117114762A (zh) 推广信息分发方法、相关装置及通信系统
KR102291886B1 (ko) 디지털 사이니지 및 그 제어방법
KR10192532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200090680A (ko)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KR20160107059A (ko) 디지털 사이니지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