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166A - 유체배출구조 - Google Patents

유체배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166A
KR20140055166A KR1020120121582A KR20120121582A KR20140055166A KR 20140055166 A KR20140055166 A KR 20140055166A KR 1020120121582 A KR1020120121582 A KR 1020120121582A KR 20120121582 A KR20120121582 A KR 20120121582A KR 20140055166 A KR20140055166 A KR 20140055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discharge
water
outlet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현석
정웅
노진환
이수윤
최환석
정희도
이영재
가진성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1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5166A/ko
Publication of KR20140055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5Safety means, e.g. over-pressure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74Safety or war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가 유출되는 토수구를 구비하는 유출부와, 상기 유출부에 연결되고, 일단에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토출부재와 회동본체부를 구비하는 회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의 회전으로 상기 토출부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토수구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어 연통되는 유체배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배출구조에 의하면,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토출부재를 구비하는 회동부를 배치함으로써, 회동부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유체를 받는 다양한 크기와 높이를 가지는 용기에 적용 가능하고, 토출부재와 용기의 바닥면과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온수 등이 사용자 등에게 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유체배출구조{FLUID OUTFLOW STRUCTURE}
본 발명은 유체배출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토출부재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전환하여 토출부재의 길이별로 다양한 제품에 적용이 가능한 유체배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화된 음용수를 효과적으로 얻기 위해, 가정을 비롯한 다양한 공간에서 정수기의 사용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지하수 등의 자연수(이하, 정수되기 전 상태의 물을 '원수'라 함)를 여과하기 위한 장치로서, 여러개의 필터를 통해 원수를 여과하여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유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음용수를 제공한다.
이러한, 정수기는 원수를 여과한 정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정수를 냉각시키거나 가열하여 냉수 혹은 온수도 함께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정수, 냉수 혹은 온수를 토출부재를 통하여 출수시킨다.
이러한 종래의 정수기는 토출부재의 길이가 일정하여, 정수기로 부터 물을 받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크기와 높이를 가지는 용기에 적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정수기는 토출부재가 너무 짧은 경우, 토출부재와 물을 받는 용기의 바닥면까지의 거리가 멀어지고,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온수가 튀게 되어 사용자의 화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토출부재가 너무 긴 경우는, 높이가 높은 냄비 등의 용기를 사용시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가능하다는 점에서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만, 이러한 종래의 정수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물을 받는 용기의 높이를 높여주는 트레이를 추가로 배치하여 온수가 사용자에게 튀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이 존재하나, 상이한 크기의 용기에 따라 여러 종류의 받침용 트레이를 추가적으로 구비해야하는 점에서 정수기 구성품의 보관공간의 증가 및 사용자가 용기의 높이 크기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트레이를 용기 하부에 선택하여 배치하여야하는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유체배출구조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점들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토출부재를 구비하는 회동부를 배치함으로써 유체를 받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크기와 높이를 가지는 용기에 적용 가능한 유체배출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토출부재의 길이를 조절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온수 등이 사용자 등에게 튀는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성까지 고려한 유체배출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다양한 크기와 높이를 가지는 용기에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구성품의 적재공간 및 보관공간이 최소화되고, 사용자의 편의성까지 고려한 유체배출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으로, 본 발명은, 유체가 유출되는 토수구를 구비하는 유출부와, 상기 유출부에 연결되고, 일단에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토출부재와 회동본체부를 구비하는 회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의 회전으로 상기 토출부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토수구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어 연통되는 유체배출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토출부재 중 하나 이상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토출부재는 소정의 각도로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동부는 회전을 규제하는 정지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유출부는 경사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출부와 회동부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유체배출구조는 각각의 토출부재마다 유출 유체량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제어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토출부재를 구비하는 회동부를 배치함으로써, 회동부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유체를 받는 다양한 크기와 높이를 가지는 용기에 적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토출부재의 길이를 조절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토출부재와 용기의 바닥면과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온수 등이 사용자 등에게 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토출부재를 가지는 회동부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용기에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구성품의 적재공간 및 보관공간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토출부재 중 하나 이상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유체를 받는 다양한 용기에 적용범위를 더욱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개의 토출부재는 회동부의 회전으로 상기 토출부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토수구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어 연통되는 경우 각각의 토출부재마다 자동으로 유출되는 유체량이 상이하고, 이를 별도로 설정이 가능한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수구조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수구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토수구조에 포함되는 회동부의 사시도.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부의 동작개략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토수구조에 포함되는 유출부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토수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토수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회동부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토수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유출부의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토수구조의 실링부에 대한 사시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유체배출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따라서, 별도의 한정이 없는 한 동일한 도면부호의 구성은 동일 내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도1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5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실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배출구조(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배출구조(100)는 유출부(200), 회동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300)의 회전으로 상기 토출부재(32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토수구(21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어 연통되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실링부(400), 제어부(500)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1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체배출구조(100)에 구비되는 유출부(200)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2 및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유출부(200)는 정수기에서 수처리 된 정수, 온수, 냉수 등의 유체가 유출되는 토수구(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경사부(220)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출부(200)는 정수기의 토수구(210)가 설치된 면에 접하여 형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정수기에 삽입되어 유출부(200)의 하면과 토수구(210) 설치면이 동일한 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수구(210)는 상기 유출부(200)의 내부에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22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 되는 회동부(300)가 결합되는 면이다. 상기와 같이 경사부(220)의 배치에 의해 하기되는 복수의 토출부재(320)의 유출구는 상호 이격이 가능해 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체배출구조(100)에 구비되는 회동부(300)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2 및 도3를 참조하면, 상기 회동부(300)는 복수개의 토출부재(320)와 회동본체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레일(330) 또는 정지부(340)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부(300)는 상기 유출부(200)에 연결되고, 유체는 회동부(300)의 회전에 의해 유출부(200)와 연통되어 회동부(300)의 토출부재(320)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유출될 수 있다.
즉, 회동부(300)의 회전에 따라서, 토수구(210)와 연결되는 토출부재(320)가 변경되며, 그에 따라서 유로가 전환된다.
예를 들어, 상기 회동부(30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초기위치(341)에서 제1토출부재(321)가 유출부(200)를 관통하는 토수구(210)와 연통된 상태이고, 회동부(300)가 120°회전하면 토수구(210)는 제2토출부재(322)와 연통되어 제2초기위치(342)에 이르게 되고, 회동부(300)가 240° 회전하면 제3토출부재(323)와 연통되어 제3초기위치(343)에 이르게 되며, 회동부(300)가 360°회전하면 다시 제1토출부재(321)와 연통되어 제1초기위치(341)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복수의 토출부재(320)는 일단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에 유출구가 형성된 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수기의 토수구(210)를 통과한 유체는 상기 유로를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배출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토출부재(320) 중 하나 이상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부재(320)는 슬라이드되는 외측관과 내측관을 포함하는 관상의 구조일 수 있다. 토출부재(320)의 길이조절을 통해 유체를 받는 다양한 종류의 용기에 적용 가능한 유체배출구조(100)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토출부재(320)와 용기의 바닥면과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온수 등이 사용자 등에게 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토출부재(320)는 상기 회동부(300)의 회전으로 상기 토출토출부재(32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토수구(21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어 연통시 자동으로 유출되는 유체량이 상이할 수 있다. 물론, 회동부(300)의 회전은 버튼 등의 푸쉬에 의해 자동적으로 회전되거나 사용자의 손에 의해 수동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될 경우는 상기 토출부재(320)와 토수구(210)가 연통되는 즉시 유체가 배출되는 것은 아니고 연통된 후 수초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유체가 배출되어 사용자 등의 화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토출부재(320)는 소정의 각도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토출부재(320)가 3개인 경우는 바람직하게는 120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고, 4개의 경우는 9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토출부재(320)의 수에 따른 각각의 토출부재(320) 상호 간의 거리를 최대한 이격시켜서 배치하기 위함이다. 최대한 각각의 토출부재(320)를 이격하여 배치함으로써, 하나의 토출부재(320)를 사용하여 용기에 유체를 받을 경우, 다른 토출부재(320)에 의해 용기의 진입이 제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토출부재(32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부재(320) 상호 유출구 간의 거리를 최대한 이격시키는 방법으로 각각의 토출부재(320) 상호 유입구간의 거리보다 토출부재(320)의 상호 유출구간의 거리가 더 멀도록 안에서 밖으로 퍼지는 구조로 배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330)은 회동부본체(3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고 레일(330)을 통해 복수의 토출부재(320)가 부드럽게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정지부(340)는 회동부(300)의 회전에 의해 연통하는 토출부재(320)가 변경되는 경우, 회동부(300)는 도3(b)의 개별 초기위치까지만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지부(340)는 상기 토출부재와 상기 토수구(210)에 돌기부를 형성하는 방법에 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를 포함하고 있어 초기위치를 넘어서 회전이 불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체배출구조(100)에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실링부(400)에 대해서 살펴본다.
상기, 실링부(400)는 유출부(200)와 회동부(300) 사이에 구비되고, 유출부(200)와 회동부(300) 사이를 밀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실링돌기(410)를 구비하는 형태 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체배출구조(100)에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제어부(500)에 대해서 살펴본다.
상기 제어부(500)는 복수의 토출부재(320)마다 각각의 유출 유체량의 설정이 가능하도록하는 장치이다. 상기 제어부(500)는 각각의 토출부재(320)마다 유출되는 유체량을 설정가능하도록 유출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토출부재(320)는 상기 회동부(300)의 회전으로 상기 토출부재(32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토수구(21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어 연통시 설정된 양의 유체가 자동으로 유출되고, 각각의 토출부재(320)마다 자동으로 유출되는 유체량이 상이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유출되는 유체량의 변경의 필요성이 있을 경우 상기 제어부(500)를 조작하여 토출부재(320) 별로 유출되는 유체량을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는 유로 내부의 잔수를 제거하는 에어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공급부는 상기 회동부(300)의 유로내에 남아 있는 잔수를 공기로 밀어서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에어 공급부에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구조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유체배출구조 : 100 유출부 : 200
토수구 : 210 경사부 : 220
회동부 : 300 회동본체부 :310
토출부재 : 320 제 1, 2, 3 토출부재 : 321, 322, 323
레일 : 330 정지부 :340
제1, 2, 3초기위치 : 341, 342, 343
실링부 : 400 실링돌기 : 410
제어부 : 500

Claims (7)

  1. 유체가 유출되는 토수구를 구비하는 유출부;
    상기 유출부에 연결되고,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토출부재와 상기 토출부재가 연결되는 회동본체부를 구비하는 회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의 회전으로 상기 토출부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토수구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배출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토출부재 중 하나 이상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배출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토출부재는 소정의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배출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회전을 규제하는 정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배출구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배출구조.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와 상기 회동부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배출구조.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배출구조는 각각의 토출부재마다 유출되는 유체량을 설정가능하도록 유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배출구조.
KR1020120121582A 2012-10-30 2012-10-30 유체배출구조 KR20140055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582A KR20140055166A (ko) 2012-10-30 2012-10-30 유체배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582A KR20140055166A (ko) 2012-10-30 2012-10-30 유체배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166A true KR20140055166A (ko) 2014-05-09

Family

ID=50886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582A KR20140055166A (ko) 2012-10-30 2012-10-30 유체배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51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852A (ko) * 2017-11-21 2019-05-29 오비오주식회사 무빙 출수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852A (ko) * 2017-11-21 2019-05-29 오비오주식회사 무빙 출수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30298B2 (ja) 添加剤カートリッジ及び添加剤供給システム
CN101095597B (zh) 饮料制造机和在其煮制循环期间使流体转向的方法
US9675209B2 (en) Grill oiling apparatus
US9937446B1 (en) Mechanisms and systems for directing water flow in a fluid container
JP2012515073A5 (ko)
KR20150004669A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20091151A (ko) 물 처리 카트리지
US20170363216A1 (en) Fluid Valve With Multiple Inlets And Outlet
TW201127706A (en) Bottle for water treatment device
WO2011133772A2 (en) Fluid filter and filter cartridge
KR20180045758A (ko)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KR101988264B1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8528595B2 (en) Distributor with a rotatable U-shaped connection channel
KR20140055166A (ko) 유체배출구조
EP1453761B1 (en) Apparatus for offering and dispensing mineral water suitable for consumption
KR20180012632A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US20220024781A1 (en) Filter device for filtering drinking water
WO2017140618A1 (de) Getränkebereiter, insbesondere kaffeemaschine, für festwasseranschluss sowie festwasserkit
WO2016096440A1 (de) Getränkezubereitungsvorrichtung zum einbau in eine bordküche sowie verfahren zu deren betrieb
KR102186845B1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490719B1 (ko) 온도 조절이 가능한 유로 밸브 및 이를 이용한 냉온 정수장치
CN207111994U (zh) 多通道流体管路切换装置
KR101675744B1 (ko) 물배출콕크
JP2015209216A (ja) 携帯飲料容器
KR20130109825A (ko)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