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3716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3716A
KR20140053716A KR1020120119976A KR20120119976A KR20140053716A KR 20140053716 A KR20140053716 A KR 20140053716A KR 1020120119976 A KR1020120119976 A KR 1020120119976A KR 20120119976 A KR20120119976 A KR 20120119976A KR 20140053716 A KR20140053716 A KR 20140053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cover
shape memory
memory alloy
coupled
displa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0306B1 (ko
Inventor
성재현
김진수
이아름
송현철
박상돈
이명엽
권희원
이덕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9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306B1/ko
Priority to PCT/KR2013/009503 priority patent/WO2014065601A1/en
Priority to EP13848601.4A priority patent/EP2912650B1/en
Priority to CN201380055774.8A priority patent/CN104756176B/zh
Priority to US14/063,068 priority patent/US9746701B2/en
Publication of KR20140053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결합되는 백 커버; 상기 백 커버를 휘어지게 하는 밴딩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밴딩 어셈블리는, 상기 백 커버에 결합되는 형상 기억 합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전방을 향해 휘어져 사용자의 몰입감을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여러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입체 영상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컴퓨터 그래픽에서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환경 및 기술에서도 입체 영상 기술이 점점 더 보편화되고 실용화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결합되는 백 커버; 상기 백 커버를 휘어지게 하는 밴딩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밴딩 어셈블리는, 상기 백 커버에 결합되는 형상 기억 합금을 포함한다.
상기 형상 기억 합금은 와이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형상 기억 합금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백 커버의 전후 방향 중앙으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 쪽에 구비되고, 소정 온도 조건하에서 횡방향으로 수축 또는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상기 백 커버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백 커버의 내측에는 형상 기억 합금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형상 기억 합금은 상기 형상기억합금 수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백 커버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형상기억합금을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결합되며, 상기 형상 기억 합금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백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사이에 배치되는 미들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백 커버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형상 기억 합금은 소정 온도까지 온도 상승시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후 연장부와; 복수의 상기 전후 연장부에 결합되며 상하로 연장되는 상하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상하 연장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와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모듈화되어 상기 백 커버에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백 커버의 중앙 부분 전방과 상기 미들 커버의 중앙 부분 후방에 각각 결합되는 중앙 고정부와; 상기 백 커버의 좌우 가장자리 부분 전방에 결합되는 사이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백 커버는 중앙 부분이 후방으로 상대적으로 후퇴하고 좌우 양 단부가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휘어져 있으며, 상기 형상 기억 합금이 수축하면 상기 백 커버의 휘어진 곡률이 더 커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슬라이딩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백 커버 또는 미들 커버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바디와; 타측이 상기 백 커버 또는 상기 미들 커버 중 나머지 하나와 결합하며 상기 바디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 커버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상기 백 커버의 좌우 방향 중앙 부분과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소정 온도까지 온도 상승시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모터와 연결되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고정부가 회전가능하고, 상기 고정부는 회전하면서 상기 형상 기억합금을 그 외주면에 감거나 풀 수 있다.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복수개가 좌측에서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어 형성하는 좌측열과, 복수개가 우측에서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어 형성하는 우측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측열과 우측열의 길이변화 정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 커버의 후방에는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후방에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백 커버의 좌우 방향 중앙의 후방과 상기 브라켓의 전방을 결합시키는 제1 체결구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백 커버의 좌우 방향 중앙이 상기 브라켓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 커버의 후방에 결합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는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의 좌우 방향 가장자리의 후방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방은 제2 체결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 커버의 좌우 방향 가장자리의 후방과 상기 브라켓의 전방을 결합시키는 제3 체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체결구는, 상기 백 커버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1 부재와; 상기 브라켓의 전방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부재에 대해 회전 및 좌우 방향 이동이 가능한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짐으로써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형상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과 백 커버의 형상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7은 백 커버와 인쇄회로 기판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8a 및 도8b는 도7의 탄성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9는 제3 체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0은 제3 체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11a 및 도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13 내지 도1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16은 슬라이딩 부재가 적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17은 슬라이딩 부재를 따로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18 및 도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20a 및 도2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하는 각각의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을 통해 도시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는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진 형상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1)은 일정 곡률(R)을 가지는 곡면 형상으로 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1)의 곡면 형상은 사용자의 시청 위치(P)와 패널의 전면 사이의 거리들(d1, d2, d3)이 동일 또는 유사한 값을 가지도록 상기 곡률(R)이 정해질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1)은 상기 정해진 곡률(R)에 따라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시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3D 영상의 시청시 사용자의 몰입감이 상기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11)의 곡면 형상에 의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1)은 유기 발광 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를 이용한 OLED 패널이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기능성 박막 형태의 유기 발광층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로, 양극에서 정공이 주입되고 음극에서 전자가 주입되어 유기 발광층 내에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이 형성되고 이 엑시톤이 발광 재결합하면서 빛을 내는 소자이다.
풀컬러(Full Color)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독립 발광 방식, 컬러 필터(Color Filter) 방식, 색변환 방식 등이 있다. 독립 발광 방식은 R, G, B 각각의 발광 재료를 정교하게 패턴이 되어있는 메탈 새도우 마스크를 사용하여 열증착을 함으로써 R, G, B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컬러 필터 방식은 백색 발광층을 형성하고 R, G, B 컬러 필터를 패터닝하여 R, G, B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색변환 방식은 청색 발광층을 형성하고 청색을 녹색과 적색으로 변화하는 색변환층을 사용하여 R, G, B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OLED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LCD 모듈, PDP 모듈, FED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인 것도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은 곡률이 0에 가까운 값을 가지는 평평한 형상의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11)일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11)은 백 커버(12)에 의해 휘어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곡률(R)을 가지는 곡면 형상으로 휘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1)은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11)이나,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1)의 후방에 배치되는 백 커버(12)가 휘어지며 디스플레이 모듈(11)에 힘을 가하여,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1)과 백 커버(12)가 함께 휘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중 디스플레이 모듈(11)과 백 커버(12)만을 도시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이외에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백 커버(12)는 디스플레이 모듈(11)의 후방에 결합되는 단일의 판상의 부재로서, 전방을 향해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DFRP(Carbon Fiber-reinforced Plastic)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백 커버(12)가 반드시 단일의 판상의 부재로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판상의 부재 또는 복수의 판상의 부재에 다른 구성이 결합된 어셈블리로 이해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면상에 상기 백 커버(12)가 대략 디스플레이 모듈(11)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더라도, 이는 상기 백 커버(12)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이 휘어지는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형상을 도시한 것일 뿐이며, 실제 상기 백 커버(12)는 디스플레이 모듈(11) 보다 상하 또는 좌우 폭이 짧을 수도 있고, 반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 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백 커버(12)의 형상 및 크기는 도면에 도시된 바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백 커버(12) 및 디스플레이 모듈(11)은 좌우 방향 중앙 부분이 고정되고, 중앙의 고정된 부분 이외의 다른 부분은 전후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구속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백 커버(12) 및 디스플레이 모듈(11)이 휘어질 때, 좌우 방향 가장자리가 전후로 움직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백 커버(12) 및 디스플레이 모듈(11)은, 좌우 양 단부의 전후방향 움직임이 제한되고, 좌우 방향의 중앙 부분이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백 커버(12) 및 디스플레이 모듈(11)의 휘어짐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10)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디스플레이부 (10)가 휘어지도록 하는 밴딩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밴딩 어셈블리는, 형상기억합금과,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길이 변화를 제어하는 밴딩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형상기억합금(SMA, shape memory alloy)은 오스테나이트,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하는 금속에서 나타나는 형상기억 및 초소성 성질을 이용하는 합금으로, 고온 상태인 오스테나이트에서 특정 형상을 기억시키면, 저온으로 냉각시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되면서 조직에 잔류 응력이 형성되고, 이를 변형을 시킨 후, 다시 오스테나이트 온도로 가열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구되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소정 온도에서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도록 설정된 형상기억합금에 전류가 흐르게 하면, 형상기억합금이 저항으로 작용하며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온도 상승에 따라 원래의 형상 및 크기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때,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상승된 소정 온도에서, 길이가 늘어나도록 설정될 수도 있으며, 길이가 줄어들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밴딩 제어부(미도시)는 형상기억합금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형상기억합금의 온도 변화를 조절함으로써, 형상기억함금의 길이 변화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밴딩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모듈(미도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미도시)은, 디스플레이부(10)의 구동을 위한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메인 제어부(미도시) 및 디스플레이 모듈(11)이 휘어지도록 전류를 제어하는 벤딩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3a 내지 도18b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들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체적인 각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이하, 도3a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3a 내지 도10은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휘어지는 구조 및 원리가 쉽게 이해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1)의 휘어짐과 관여되는 구성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도시된 구성이외에도 다양한 여러 구성을 함께 포함한다.
먼저, 도3a, 도3b, 도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1)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후방에 결합되는 백 커버(12)와, 상기 백 커버(12)를 휘어지게 하는 벤딩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밴딩 어셈블리는 형상기억합금(31)과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의 길이 변화를 제어하는 밴딩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백 커버(12)의 배면에 부착된다.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은 상하로 복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은 상온에서 일정 길이로 유지되다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되면, 그 길이가 신장된다.
이때 상기 온도의 상승은 전원의 공급에 의해 이루어지며, 전원의 공급은 밴딩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밴딩 제어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면, 형상기억합금(31)이 저항으로 작용하여 그 온도가 상승되며,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그 길이가 신장된다.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의 길이가 늘어나면, 백 커버(12)가 휘어져, 좌우 양 단부는 상대적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중앙은 오목하게 후퇴한 형상을 갖는다. 이때, 백 커버(12)가 휘어지는 각도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백 커버(12)가 휘어지면, 상기 백 커버(12)의 좌우 양 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 배면의 좌우 가장자리 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이 전방을 향해 오목하게 휘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몰입감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백 커버(12)의 후방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 형상의 형상기억합금(31) 수용부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형상기억합금(31)이 수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커버(12)의 전후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후방쪽에 매립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형상기억합금 수용부는 상기 백 커버(12) 내부의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이 위치하는 공간이다.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은 상기 백 커버(12)와 함께 인서트 사출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11) 및 백 커버(12)의 후방에는 인쇄회로기판(PCB)이 결합된다.
도7을 참조하면, 상기 백 커버(12)는 브라켓(17)을 이용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15)과 결합된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백 커버(12)의 후방에는 판상의 브라켓(17)이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17)의 후방에는 인쇄회로기판(15)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백 커버(12)와 상기 브라켓(17)은 제1 체결구(41)에 의해 중앙 부분이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17)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5)은 제2 체결구(42)에 의해 좌우 방향 가장자리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체결구(41)는 상기 백 커버(12)의 좌우 방향 정 중앙의 배면과 상기 브라켓(17)의 좌우 방향 정 중앙의 전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2 체결구(42)는 상기 브라켓(17)의 좌우 방향 가장자리의 배면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5)의 좌우 방향 가장자리의 전면에 각각 결합된다.
한편, 상기 백 커버(12)의 좌우 방향 가장자리 후방에는 탄성부(43)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3)는 상기 백 커버(12)가 전방으로 휘어졌다가 원래의 상태로 펴지는 경우, 펴지는 관성에 의해 후방으로 더 휘어져 브라켓과 접촉하더라도, 그 충격이 인쇄회로기판까지 전달되지 않도록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도8a 및 도8b는 상기 탄성부(43)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상기 탄성부(43)은 도8a 및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 커버(12)의 후방에 결합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전방 지지부(43a)와, 상기 전방 지지부(43a)에 후단이 지지되는 스프링(43c)과, 상기 스프링(43c)의 후단에 결합되는 헤드부(43b)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지지부(43a)는 후방을 향해 일부가 돌출되는 펨 너트(pem nut)이며, 상기 헤드부(43b)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스프링(43c)은 코일 스프링이다.
평상시 상기 탄성부(43)은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나, 상기 백 커버(12)가 플랫(flat) 상태에서 후방으로 더 휘어지는 경우,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43b)가 상기 브라켓(17)과 접촉하며 스프링(42c)이 압축되어, 두 부재 사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43)의 자리에는, 상기 탄성부를 대신하여,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3 체결구(45)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3 체결구(45)는 상기 백 커버(12)와 상기 브라켓(17) 사이에서 상기 백 커버(12)가 휘어짐을 흡수할 수 있는 체결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3 체결구(45)는 상기 백 커버(12)의 배면에 결합되는 제1 부재(45a)와, 상기 브라켓(17)의 전면에 결합되는 제2 부재(45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부재(45a)의 배면은 중앙이 볼록하게 돌출된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며, 그 중앙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개구부(45b)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부재(45c)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개구부(45b)에 삽입가능하다. 상기 제2 부재(45c)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장공(45d)이 형성된다. 상기 장공(45d)은 좌우 가장자리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는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부재(45c)의 후방에는 헤드(45e)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부재(45a)의 개구부(45b)에 상기 제2 부재(45c)가 삽입되면, 상기 장공(45d)에는 결합돌기(미도시)가 삽입되며, 상기 제2 부재(45c)는 결합돌기(미도시)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장공(45d)이 길이 만큼 좌우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백 커버(12)의 플랫(flat) 상태 뿐만 아니라 휘어진 상태에서도, 상기 백 커버(12)와 상기 브라켓(17)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 도11a 및 도1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11a 및 도11b는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휘어지는 구조 및 원리가 쉽게 이해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1)이 휘어지는데 관여되는 구성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도시된 구성이외에도 다양한 여러 구성을 함께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1)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후방에 결합되는 백 커버(12)와, 상기 백 커버(12)를 휘어지게 하는 벤딩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앞선 제1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형상기억합금(31)이 백 커버(12)의 좌측 단부에서부터 우측단부까지 연장되던 것에 반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백 커버(12)의 후방 중앙에 고정부(32)가 구비된다.
따라서 밴딩 어셈블리는, 형상기억합금(31)과,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이 고정되는 고정부(32)와,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의 길이 변화를 제어하는 밴딩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은 와아어 형상을 가지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은 복수개가 상하로 나란히 연장되도록 상기 백 커버(12)의 후면에 부착되며, 고정부(32) 좌측에서 상하로 복수개가 나란히 구비되는 좌측열과, 상기 고정부 우측에서 상하로 복수개가 나란히 구비되는 우측열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에는 좌측열의 우측단부와, 우측열의 좌측 단부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 인해, 밴딩 제어부에 의해 형상기억합금(31)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와이어가 좌우 방향으로 신장되며, 백 커버(12)가 전방을 향해 중앙이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휘어지는데, 이때 좌측열에만 전원을 공급하여 좌측열이 부착된 부분만이 휘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우측열에만 전원을 공급하여 우측열이 부착된 부분만이 휘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좌측열과 우측열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을 다르게 하여 휘어지는 양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백 커버(12)가 휘어지면, 백 커버(12)의 좌우 양단이 디스플레이 모듈(11)의 좌우 양단부 근방을 전방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이 함께 휘어진다.
한편, 밴딩 제어부에 의해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형상기억합금(31)의 온도가 하강하면,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의 길이가 줄어들며, 디스플레이 모듈(11) 및 백 커버(12)는 소재가 갖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플랫 상태로 되돌아 오게 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이 좌측열과 우측열의 2개의 열로 구성되는 예만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은 3개의 열, 또는 그 이상의 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11a 및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이 백 커버(12)의 배면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도5 및 도6를 통해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이 백 커버(12)의 내측에 구비되는 형상기억합금 수용부에 수용될 수도 있다. 상기 형상기억합금 수용부는 앞선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형상기억합금(31)의 배면에 구비되는 내측(전방)을 향해 오목한 홈 형상을 가질수도 있으며,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이 상기 백 커버(12)의 내측에 매립되는 경우, 그 매립된 공간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이 상기 백 커버(12)의 내측에 매립되는 경우, 상기 백 커버(12)의 전후 방향 중앙으로부터 후방쪽에 위치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 설정된 소정 온도에서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의 길이가 신장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이 상기 형상기억합금(31) 수용부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중간 고정부도 상기 백 커버(12)의 후방에, 일부가 매립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인쇄회로기판과의 결합을 위해, 도7 내지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브라켓(17), 제1 체결구(41) 및 제 2 체결구(42)가 적용 가능하다.
또한,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체결구(43)가 적용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제3 실시예]
이하 도1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12는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휘어지는 구조 및 원리가 쉽게 이해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1)이 휘어지는데 관여되는 구성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도시된 구성이외에도 다양한 여러 구성을 함께 포함한다
도12에는, 백 커버(12)의 전후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도6에서와 대칭되는 위치에 형상기억합금(31)이 구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1)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후방에 결합되는 백 커버(12)와, 상기 백 커버(12)를 휘어지게 하는 벤딩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밴딩 어셈블리는 형상기억합금(31)과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의 길이 변화를 제어하는 밴딩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백 커버(12)의 전방쪽에 결합된다.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은 상온에서 일정 길이로 유지되다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되면, 그 길이가 줄어든다.
이때 온도의 상승은 전원의 공급에 의해 이루어지며, 전원의 공급은 밴딩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밴딩 제어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면, 형상기억합금(31)이 저항으로 작용하여 그 온도가 상승되며,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그 길이가 축소된다.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의 길이가 축소되면, 백 커버(12)가 휘어져, 좌우 양 단부가 상대적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중앙이 오목하게 후퇴한 형상을 갖는다. 이때, 백 커버(12)가 휘어지는 각도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백 커버(12)가 휘어지면, 상기 백 커버(12)의 전방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1)도 전방을 향해 오목하게 휘어지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몰입감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형상기억합금(31)이 백 커버(12)의 전방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앞선 실시예(도11a 및 도11b 참조)에서와 같이, 형상기억합금(31)을 좌측열과 우측열로 배치할 수 있으며, 3개 이상의 열고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열의 길이 변화를 달리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인쇄회로기판과의 결합을 위해, 도7 내지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브라켓(17), 제1 체결구(41) 및 제 2 체결구(42)가 적용 가능하다.
또한,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체결구(43)가 적용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제4 실시예]
이하 도13 내지 도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13 내지 도17은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휘어지는 구조 및 원리가 쉽게 이해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1)이 휘어지는데에 관여하는 구성만을 일부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도시된 구성이외에도 다양한 여러 구성을 함께 포함한다.
도13은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 커버(12) 및 밴딩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14은 백 커버(12)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15a 및 도15b는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1)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배면에 양면 테이프(14)를 통해 부착되는 얇은 판상의 미들 커버(13)와, 상기 미들 커버(13) 의 후방에 결합되는 백 커버(12)와, 상기 백 커버(12)를 휘어지게 하는 벤딩 어셈블리(미도시)한다.
여기서 상기 밴딩 어셈블리는, 형상기억합금(31)과,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을 상기 백 커버(12)의 후방에 고정시키는 고정부(33)와,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의 길이 변화를 제어하는 밴딩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33)는 상기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백 커버(12)의 각 모서리 근방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4개의 전후 연장부(33a)와, 상하로 2개의 전후 연장부(33a)를 연결하며 백 커버(12)의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 근방에 각각 구비되는 상하 연장부(33b)를 포함한다.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은 2개의 상하 연장부(33b)에 결쳐 연장된다.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은 상하로 복수개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은 상기 백 커버(12)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백 커버(12)의 전면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즉,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의 좌측 단부는 좌측의 상하 연장부(33b)에 결합되며, 우측 단부는 우측의 상하 연장부(33b)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33)와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은 하나의 모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33)와 상기 형상기억합금(31)으로 이루어지는 모듈을 제조한 다음, 이를 백 커버(12)의 전면에 결합시키는 경우,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은 상온에서 일정 길이로 유지되다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되면, 그 길이가 줄어든다.
이때 상기 온도의 상승은 전원의 공급에 의해 이루어지며, 전원의 공급은 밴딩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밴딩 제어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면, 형상기억합금(31)이 저항으로 작용하여 그 온도가 상승되며,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그 길이가 줄어든다.
도15a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15b에 도시된 상태로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의 길이가 축소되면, 백 커버(12)가 휘어져, 좌우 양 단부가 상대적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중앙이 상대적으로 오목하게 후퇴한 형상을 갖는다. 이때, 백 커버(12)가 휘어지는 각도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백 커버(12)가 휘어지면, 상기 백 커버(12)의 전방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1)도 전방을 향해 오목하게 휘어지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몰입감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밴딩 제어부에 의해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형상기억합금(31)의 온도가 하강하면,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의 길이가 다시 늘어나며, 디스플레이 모듈(11) 및 백 커버(12)는 소재가 갖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플랫 상태로 되돌아 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 도16 및 도17 도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딩 부재(37)를 추가로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도15a 및 도15b에 도시된 구성에서, 상하 연장부(33b)의 전단은 상기 미들 커버(13)의 배면과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미들 커버(13)와 상기 백 커버(12)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37)에 의해 결합된다.
이하, 도16 및 도17을 참조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37)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37)는 미들 커버(13)에 고정되는 바디(37a)와, 백 커버(12)에 고정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37d)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37a)는, 좌우로 연장되는 판상의 부재이며, 중앙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 영역(37b)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바디(37a)의 전면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된 고정부(37c)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37c)는 직접 상기 미들 커버(13)의 배면과 접촉하여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37c)의 길이만큼 바디(37a)와 상기 미들 커버(13)가 이격 된다.
상기 이동 부재(37d)는 상기 슬라이딩 영역(37b) 내부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평평한 전면이 상기 백 커버(12)의 배면과 결합된다.
따라서, 전술한 밴딩 어셈블리에 의해 백 커버(12)의 좌우 방향 단부가 상대적으로 전방쪽으로 돌출되며 미들 커버(13)의 배면을 가압하는 경우, 백 커버(12)가 직접 상기 미들 커버(13)와 접촉하지 않고 슬라이딩 부재(37)를 통해 접촉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11)의 휘어짐이 보다 효율적으로 발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도7 내지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브라켓(41), 제1 체결구(41) 및 제2 체결구(42)가 적용 가능하다.
또한,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3 체결구(43)가 적용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제5 실시예]
도18 및 도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18 및 도19는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휘어지는 구조 및 원리가 쉽게 이해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1)이 휘어지는데에 관여하는 구성만을 일부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도시된 구성 이외에도 다양한 여러 구성을 함께 포함한다.
도18은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11), 백 커버(12) 및 미들 커버(13)의 중앙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19는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11), 백 커버(12) 및 미들 커버(13)의 일측 끝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1)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후방에 위치하는 미들 커버(13)와, 상기 미들 커버(13)의 후방에 위치하는 백 커버(12)와, 밴딩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미들 커버(13)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배면에 양면 테이프(14)를 이용하여 부착된다.
상기 백 커버(12)는 좌우측 단부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중앙 부분이 후퇴하여 전체적으로 휘어진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백 커버(12)의 중앙 부분은 상기 미들 커버(13)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며, 상기 백 커버(12)의 좌우측 단부는 상기 미들 커버(13)의 좌우측 가장자리 배면과 접촉한다. 이때, 백 커버(12)와 디스플레이 모듈(11)의 좌우측 단부 사이에는 약간의 이격된 공간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밴딩 어셈블리는, 형상기억합금(31)과,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을 상기 백 커버(12)의 후방에 고정시키는 고정부(35a, 35b)와,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의 길이 변화를 제어하는 밴딩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35a, 35b)는 상기 백 커버(12)의 좌우방향 중앙에서,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중앙 고정부(35a)와, 상기 백 커버(12)의 좌우 양 단부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사이드 고정부(35b)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고정부(35a)의 전단은 상기 미들 커버(13)의 좌우 방향 중앙의 후방에 결합되며, 후단은 백 커버(12)의 좌우 방향 중앙의 전방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중앙 고정부(35a)는 상기 백 커버(12)와 상기 미들 커버(13) 사이가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스페이서의 기능도 함께 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고정부(35a)는 좌우 양 측면에 각각 형상기억합금(31)을 결합시킬 수도 있으며, 하나의 형상기억합금(31)이 관통하여 통과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사이드 고정부(35b)에는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의 단부가 고정된다.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백 커버(12)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은 상온에서 일정 길이로 유지되다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되면, 그 길이가 줄어든다.
이때 상기 온도의 상승은 전원의 공급에 의해 이루어지며, 전원의 공급은 밴딩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밴딩 제어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면, 형상기억합금(31)이 저항으로 작용하여 그 온도가 상승되며,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그 길이가 줄어든다.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의 길이가 축소되면, 백 커버(12)의 양단부가 중앙쪽으로 당겨지며 더욱 큰 곡률로 휘어진다. 이때, 백 커버(12)가 휘어지는 각도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에 의해 백 커버(12)의 좌우 방향 중앙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좌우 방향 중앙 사이는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백 커버(12)가 휘어지면, 백 커버(12)의 좌우 양단이 디스플레이 모듈(11)의 좌우 양단부 근방을 전방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이 함께 휘어진다.
따라서, 사용자의 몰입감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밴딩 제어부에 의해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형상기억합금(31)의 온도가 하강하면,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의 길이가 늘어나며, 디스플레이 모듈(11) 및 백 커버(12)는 소재가 갖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플랫 상태로 되돌아 오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미들 커버(13)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과 대략 동일한 좌우 폭을 갖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미들 커버(13)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 및 상기 백 커버(12)의 중앙 일부만을 커버할 수 있도록 좌우 폭이 좁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미들 커버(13)와 백 커버(12) 사이에 도16 및 도17에 도시된 슬라이딩 부재(37)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백 커버(12)의 후방에는, 도7 내지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인쇄회로기판(15)이 결합될 수 있으며,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제6 실시예]
이하 도 20a 및 도20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20a는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휘어지기 이전의 플랫(flat)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20b는 디스플레이부가 휘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20a 및 도20b에 도시된 구성이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부는 아니며, 도면상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1)의 휘어짐과 관련된 일부 구성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기타 다른 구성은 생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1)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후방에 백 커버(12)와, 밴딩 어셈블리와, 상기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는 하부 프레인(5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프레인(50)는 그 내부에 제어 모듈을 비롯한 여러 부품을 수용할 수 있으며, 상부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1), 백 커버(12) 등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인(50)의 상부에는 스토퍼(51)가 구비되는데, 상기 스토퍼(51)는 상기 백 커버(12)의 좌우 양단의 후방에서 상기 백 커버(12)의 배면과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밴딩 어셈블리는, 형상기억합금(31)과,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을 상기 백 커버(12)의 후방에 구비되는 고정부(39)와, 상기 고정부(39)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모터(52)와,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의 길이 변화를 제어하는 밴딩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39)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백 커버(12)의 정중앙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형태로 제공되며, 전단이 상기 백 커버(2)의 배면에서 좌우 방향 정 중앙에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된다.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은 복수개가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9)의 하부에는 모터(52)가 결합되며, 모터(5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부(39)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밴딩 제어부(미도시)는 하부 프레인(50) 내측에 구비되는 제어 모듈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형상기억합금(31)에 인가되는 전류 및 모터(52)의 회전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밴딩 제어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면, 형상기억합금(31)이 저항으로 작용하여 그 온도가 상승되며,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그 길이가 줄어든다.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의 길이가 축소되면, 백 커버(12)의 좌우 양 단부는 스토퍼(51)에 의해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중앙 부분만이 후방으로 후퇴하므로, 전체적으로 전방을 향해 중앙이 오목하게 휘어진 형상을 갖게 된다.
이때, 백 커버(12)가 휘어지는 각도는 상기 형상기억합금(31)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52)의 회전에 의해 보조적인 밴딩이 가능하다.
모터(52)가 회전 하면, 원기둥 형상의 고정부(37)가 회전하며, 그 외주면에 형상기억합금(31)을 감아, 백 커버(12)의 중앙 부분을 더욱 후퇴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모터(52)를 사용하면, 형상기억합금(31)의 길이를 조금 더 짧게 하더라도, 충분한 밴딩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어,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 방향 폭을 축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형상기억합금(31)의 길이 축소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는 경우에도,모터백 커버(12) 및 디스플레이 모듈(11)의 휘어짐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37)가 회전하면서, 그 외주면에 형상기억합금(31)을 감아, 백 커버(12)의 중앙 부분을 후퇴시킨다.
상기와 같이 백 커버(12)가 휘어지면, 백 커버(12)의 좌우 방향 중앙이양단후퇴하며, 결합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좌우 방향 중앙 부분을 뒤로 끌어당기게 되며,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모듈(11)이 휘어진다.
따라서, 사용자의 몰입감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밴딩 제어부에 의해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형상기억합금(31)의 온도가 하강하면, 상기 형상기억합금(31)의 길이가 늘어나며, 디스플레이 모듈(11) 및 백 커버(12)는 소재가 갖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플랫 상태로 되돌아 오게 된다. 이 경우, 모터를 회전시켜 고정부에 와이어 형상의 형상기억합금(31)을 감아 놓았던 경우라면, 고정부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감겼던 형상기억합금(31)을 풀어주어 디스플레이 모듈(11)이 플랫 상태로 되돌아 가게 된다.
10: 디스플레이부 11: 디스플레이 모듈
12: 백 커버 13: 미들 커버
14: 양면 테이프 15: 인쇄회로기판
17: 브라켓
31: 와이어 32, 33, 37, 39: 고정부
33a: 전후 연장부 33b: 상하 연장부
35a: 중앙 고정부 35b: 사이드 고정부
37: 슬라이딩 부재 37a: 바디
37b: 슬라이딩 영역 37c: 고정부
37d: 이동 부재 39: 고정부
41: 제1 체결구 42: 제2 체결구
43: 탄성부 43a: 전방 지지부
43b: 후방 지지부 43c: 스프링
45: 제3 체결구 45a: 제1 부재
45b: 개구부 45c: 제2 부재
45d: 장공 45e: 헤드
50: 하부 프레임 51: 스토퍼
52: 모터

Claims (19)

  1.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결합되는 백 커버;
    상기 백 커버를 휘어지게 하는 밴딩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밴딩 어셈블리는,
    상기 백 커버에 결합되는 형상 기억 합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기억 합금은 와이어 형상으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기억 합금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백 커버의 전후 방향 중앙으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 쪽에 구비되고,
    소정 온도 조건하에서 횡방향으로 수축 또는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상기 백 커버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의 내측에는 형상 기억 합금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형상 기억 합금은 상기 형상기억합금 수용부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형상기억합금을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결합되며,
    상기 형상 기억 합금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사이에 배치되는 미들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백 커버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형상 기억 합금은 소정 온도까지 온도 상승시 길이가 줄어드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후 연장부와;
    복수의 상기 전후 연장부에 결합되며 상하로 연장되는 상하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상하 연장부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모듈화되어 상기 백 커버에 결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백 커버의 중앙 부분 전방과 상기 미들 커버의 중앙 부분 후방에 각각 결합되는 중앙 고정부와;
    상기 백 커버의 좌우 가장자리 부분 전방에 결합되는 사이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백 커버는 중앙 부분이 후방으로 상대적으로 후퇴하고 좌우 양 단부가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휘어져 있으며,
    상기 형상 기억 합금이 수축하면 상기 백 커버의 휘어진 곡률이 더 커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지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백 커버 또는 미들 커버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바디와;
    타측이 상기 백 커버 또는 상기 미들 커버 중 나머지 하나와 결합하며 상기 바디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상기 백 커버의 좌우 방향 중앙 부분과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소정 온도까지 온도 상승시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길이가 줄어드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모터와 연결되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고정부가 회전가능하고,
    상기 고정부는 회전하면서 상기 형상 기억합금을 그 외주면에 감거나 풀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복수개가 좌측에서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어 형성하는 좌측열과,
    복수개가 우측에서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어 형성하는 우측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열과 우측열의 길이변화 정도를 다르게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의 후방에는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후방에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백 커버의 좌우 방향 중앙의 후방과 상기 브라켓의 전방을 결합시키는 제1 체결구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백 커버의 좌우 방향 중앙이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의 후방에 결합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는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좌우 방향 가장자리의 후방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방은 제2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의 좌우 방향 가장자리의 후방과 상기 브라켓의 전방을 결합시키는 제3 체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체결구는,
    상기 백 커버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1 부재와;
    상기 브라켓의 전방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부재에 대해 회전 및 좌우 방향 이동이 가능한 제2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119976A 2012-10-25 2012-10-26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70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976A KR101970306B1 (ko) 2012-10-26 2012-10-26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13/009503 WO2014065601A1 (en) 2012-10-25 2013-10-24 Display device
EP13848601.4A EP2912650B1 (en) 2012-10-25 2013-10-24 Display device
CN201380055774.8A CN104756176B (zh) 2012-10-25 2013-10-24 显示装置
US14/063,068 US9746701B2 (en) 2012-10-25 2013-10-25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976A KR101970306B1 (ko) 2012-10-26 2012-10-26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716A true KR20140053716A (ko) 2014-05-08
KR101970306B1 KR101970306B1 (ko) 2019-04-18

Family

ID=50886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976A KR101970306B1 (ko) 2012-10-25 2012-10-26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30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548B1 (ko) * 2014-06-20 2015-10-02 김묘라 곡면 tv용 모듈 베이스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02556A (ko) * 2014-06-30 2016-01-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형상 기억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KR20160036154A (ko) * 2014-09-24 2016-04-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80027330A (ko) * 2016-09-05 2018-03-14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표시 장치
US10209434B2 (en) 2015-06-10 2019-02-19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408A (ko) * 2019-09-27 2021-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가변형 엑츄에이터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8353A (ja) * 2001-04-27 2002-11-15 Seiko Instruments Inc フィルム液晶装置の組立方法、電子機器の組立方法、フィルム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2518277A (ja) * 2009-02-13 2012-08-09 クォルコム・メムズ・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乾燥剤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8353A (ja) * 2001-04-27 2002-11-15 Seiko Instruments Inc フィルム液晶装置の組立方法、電子機器の組立方法、フィルム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2518277A (ja) * 2009-02-13 2012-08-09 クォルコム・メムズ・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乾燥剤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548B1 (ko) * 2014-06-20 2015-10-02 김묘라 곡면 tv용 모듈 베이스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02556A (ko) * 2014-06-30 2016-01-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형상 기억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KR20160036154A (ko) * 2014-09-24 2016-04-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0209434B2 (en) 2015-06-10 2019-02-19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80027330A (ko) * 2016-09-05 2018-03-14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306B1 (ko)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030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608231B2 (en) Display apparatus
EP2912650B1 (en) Display device
KR10197027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678080B2 (en) Display device
KR10140119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TW552720B (en)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controlled organic LED and pixel arrays and method of using and of manufacturing same
JP4857824B2 (ja) 表示装置
US11889638B2 (en) Electronic apparatus
US20140198465A1 (en) Display device
KR20130113784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146799A (ja)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アクチュエータモジュール製造方法
KR10166342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365554A1 (en) Display device
KR2014009584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2317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85801A (ko) 표시장치
CN103578370A (zh) 具有分离光源的显示器
KR101760191B1 (ko) 유동 핀전극 및 투명전극을 이용한 플라즈마 핀아트 전시물
KR2014006418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94297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212256770U (zh) 显示装置
CN106226938B (zh) 目标器件防震防高温装置及方法、背光模组、显示装置
KR100920358B1 (ko) 액정표시장치용 러빙 장치
JPH11224617A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