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428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428B1
KR101663428B1 KR1020150106871A KR20150106871A KR101663428B1 KR 101663428 B1 KR101663428 B1 KR 101663428B1 KR 1020150106871 A KR1020150106871 A KR 1020150106871A KR 20150106871 A KR20150106871 A KR 20150106871A KR 101663428 B1 KR101663428 B1 KR 101663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back cover
cover
fixing bar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2066A (ko
Inventor
윤승현
박충석
류인근
성재현
이재기
남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6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428B1/ko
Publication of KR20150092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04N13/0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곡면 형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을 따라 휘어진 형상을 가지는 백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백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미들 커버; 및 상기 백커버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어진 면을 따라 놓이는 고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가 다수의 절곡되는 면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고정바는 적어도 2회 절곡되는 종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바의 절곡선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백커버는, 일부분이 후방으로 돌출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등 여러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입체 영상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컴퓨터 그래픽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환경 및 기술에서도 입체 영상 기술이 점점 더 보편화되고 실용화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 문헌>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6-023676호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곡면 형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을 따라 휘어진 형상을 가지는 백커버; 및 상기 백커버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어진 면을 따라 놓이는 고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가 다수의 절곡되는 면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고정바가 다수의 절곡되는 면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고정바는 "ㄷ"자종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바의 절곡선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백커버는, 일부분이 후방으로 돌출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곡면 형상의 백 커버를 이용해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이 일정 곡률을 가지도록 휘어지게 함으로써, 3D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의 시청시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형상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의 형상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6은 고정 바아가 다른 형태로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고정 바아가 또 다른 형태로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고정 바아가 또 다른 형태로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실시예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실시예의 기술적 범위를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1)과 백 커버(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1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이하,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1)과 백 커버(12)에 대해 설명한 뒤, 도3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고정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1)의 형상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은 유기 발광 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를 이용한 OLED 패널로서, 일정 곡률(R)을 가지는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1)의 곡면 형상은 사용자의 시청 위치(P)와 패널의 전면 사이의 거리들(d1, d2, d3)이 동일 또는 유사한 값을 가지도록 상기 곡률(R)이 정해질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1)은 상기 정해진 곡률(R)에 따라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시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3D 영상의 시청시 사용자의 몰입감이 상기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11)의 곡면 형상에 의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기능성 박막 형태의 유기 발광층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로, 양극에서 정공이 주입되고 음극에서 전자가 주입되어 유기 발광층 내에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이 형성되고 이 엑시톤이 발광 재결합하면서 빛을 내는 소자이다.
풀컬러(Full Color)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독립 발광 방식, 컬러 필터(Color Filter) 방식, 색변환 방식 등이 있다. 독립 발광 방식은 R, G, B 각각의 발광 재료를 정교하게 패턴이 되어있는 메탈 새도우 마스크를 사용하여 열증착을 함으로써 R, G, B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컬러 필터 방식은 백색 발광층을 형성하고 R, G, B 컬러 필터를 패터닝하여 R, G, B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색변환 방식은 청색 발광층을 형성하고 청색을 녹색과 적색으로 변화하는 색변환층을 사용하여 R, G, B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1)은 곡률이 0에 가까운 값을 가지는 평평한 형상의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11)일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11)은 곡면 형상을 가지는 별도의 프레임에 의해 휘어져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일정 곡률(R)을 가지는 곡면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단면도로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1)은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11)이고,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1)의 후방에 배치되는 백 커버(12)가 양 끝단이 전방으로 돌출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의 (c)를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곡면 형상을 가지는 백 커버(12)가 디스플레이 모듈(11)의 후방에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1)은 상기 백 커버(12)의 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휘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중 디스플레이 모듈(11)과 백 커버(12)를 중심으로 도시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이외에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백 커버(12)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곡면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백 커버(12)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백 커버(12)의 곡면 형상이 유지됨에 따라 전방의 디스플레이 모듈(11)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일정 곡률(R)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백 커버(12)는 디스플레이 모듈(11)의 후방에 결합되는 단일의 판상의 부재로서, 전방을 향해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CFRP(Carbon Fiber-reinforced Plastic)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백 커버(12)가 반드시 단일의 판상의 부재로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판상의 부재 또는 복수의 판상의 부재에 다른 구성이 결합된 어셈블리로 이해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백 커버(12)의 곡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고정부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다.
상기 고정부는, 디스플레이부(10)의 후방에 구비되는 플레이트(61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세워진 채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부에서 지지하는 스탠드(620)와, 상기 스탠드(620)와 상기 플레이트(610)를 연결하는 스탠드 서포터(640)와, 상기 플레이트(610)의 후방에 결합되는 고정 바아(630)를 포함한다.
이들 각각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플레이트(61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백 커버(12)의 배면에 부착된다.
상기 스탠드(6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스탠드(620)는 중앙 부분이 후방으로 후퇴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스탠드(62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0) 또는 상기 플레이트(610) 사이의 거리는, 중앙 부분에서 더 멀고, 좌우 방향 단부에서 더 가깝다.
예컨대, 상기 스탠드(620)는 좌우 양단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중앙 부분은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후퇴한 것과 같은 형상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탠드(620)가 휘어진 정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휘어진 정도에 비해 더 클 수 있다. 즉, 상기 스탠드(620)의 곡률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곡률보다 더 클 수 있다.
스탠드(620)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 인해, 상기 스탠드(620)는, 좌우 방향 끝단 부근의 일 지점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좌우 방향 끝단 부근의 일 지점과 결합되며, 중앙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후방으로 이격된다.
한편, 상기 스탠드(620)는 전체적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탠드(620)는 합성 수지를 사출하여 만들 수 있다.
스탠드 서포터(640)는 상기 스탠드(620)와 상기 플레이트(61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0) 및 상기 플레이트(610)가 휘어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휘어진 상기 플레이트(610)의 중앙 부분이 전방을 향해 이동하여 휘어진 디스플레이부(10)가 플랫(flat) 상태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61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탠드 서포터(640)는, 대략 상하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플레이트 결합부(641)와, 상기 플레이트(610) 결합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스탠드 결합부(642)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641)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상하로 복수개 구비된다. 이 관통공은 상기 플레이트(610)와의 결합을 위해 볼트가 통과하는 구멍이 된다.
따라서, 상기 스탠드 서포터(640)는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641)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610)와 면접촉 하며, 상기 플레이트(610) 중앙 부분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641)는 상기 백 커버(12)의 배면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스탠드 결합부(642)의 하단에는 후방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642a)가 구비되며, 이 수평 연장부(642a)에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642b)이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된다. 이 관통공(642b)은 상기 스탠드 서포터(640)와 상기 스탠드(620)의 결합을 위해 볼트가 통과하는 구멍이 된다.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641)와 상기 스탠드 결합부(642)는 일체로 형성되며, 탄성 변형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고 강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 서포터(640)는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가 정열되며,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스탠드 서포터(640)에 비해 좌우 방향 가장자리쪽에 가깝게 위치하는 스탠드 서포터(640)의 전후 방향 길이가 더 짧아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탠드 서포터(640)는 좌우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중앙 쪽에 2개, 사이드 쪽에 2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중앙 쪽에 배치되는 스탠드 서포터(640)에 비해 사이드 쪽에 구비되는 스탠드 서포터(640)의 전후 방향 길이가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스탠드 결합부(642)의 길이를 더 짧게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스탠드 결합부(642)의 경사를 보다 수직에 가깝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610)의 상단 부근 후방에는 고정 바아(630)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 바아(63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 강성을 갖는 부재로서, 플레이트(610)가 휘어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 바아(630)는 예를 들면, 티타늄 또는 탄소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 바아(630)는, 상기 플레이트(610) 및 디스플레이부(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휘어진 형상을 갖는다. 즉, 좌우 방향 단부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상대적으로 돌출되고, 중앙 부분이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후퇴한 것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고정 바아(630)는 전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전면만이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휘어지고 후면은 휘어짐이 없는, 전체적으로는 직선 형태을 갖는 바아 일 수도 있다.
상기 고정 바아(630)는 스크류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플레이트(61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면 부호 650은 플레이트(620)의 후방에 결합되는 리어 커버(650)로서, 상기 스탠드 서포터(640)의 플레이트 결합부(641)는 상기 리어 커버(650)의 배면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620)의 배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백 커버(12)의 배면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 인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0)는 고정부에 의해 휘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몰입감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 바아(630)는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6 내지 도8은 고정 바아가(630)가 각각 다른 형태로 다른 위치에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6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 바아(63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백 커버(12)의 배면 상단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바아(630)의 개수는 복수개일 수도 있으며, 복수개의 고정 바아(630)가 서로 평행하게 상하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고정 바아(630)는 서로 교차하는 2개의 대각선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0)의 배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어느 하나의 고정 바아(630)는 디스플레이부(10)의 배면에서 좌측 상단부터 우측 하단까지 연장되며, 다른 하나의 고정 바아는 디스플레이부(10)의 배면에서 우측 상단부터 좌측 하단까지 연장된다.
도8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 바아(630)는 복수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배면에 결합되며, 그 중 일부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나머지 일부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9 내지 도12는 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9 내지 도12를 참조하면, 고정부는 고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미들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9는 미들 커버(710)가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단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미들 커버(710)는, 디스플레이 모듈(11)과 백 커버(12)의 사이에 일부가 위치하도록 결합되며, 티타늄 또는 탄소강등의 강도가 높은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 및 백 커버(12)가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미들 커버(710)는 전체적으로 좌우 양단이 상대적으로 전방쪽으로 돌출되고 중앙 부분이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휘어진 형상을 갖는다.
상기 미들 커버(710)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과 백 커버(12)의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711)와, 상기 삽입부(711)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부(711)의 연장 방향과 대략 수직하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 커버부(712)를 포함한다.
상기 단부 커버부(712)의 외측면은 디스플레이부(10)의 외측 단부를 감싸는 부분으로, 미려환 외관을 위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면은 삽입부(711)를 기준으로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가장자리에는 전후 방향 중앙 부분에 상기 삽입부(711)가 삽입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0)의 가장자리에서 전후 방향 중앙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홈은, 백 커버(12)의 가장자리에서 전후 방향 폭이 좁게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백 커버(12)의 전면이 단차지게 형성되며, 단차진 부분이 상기 삽입부(711)가 삽입되기 위한 홈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들 커버(71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상측 단부에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하 좌우 방향 단부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상기 미들 커버(710)가 디스플레이부(10)의 상단 및 하단에 구비되는 경우 전방을 향해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좌우 양단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휘어짐 없이 직선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미들 커버(710)는 디스플레이부(10)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부(10)의 단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기능도 함께 갖고 있기 때문에, 휘어짐 없이 좌우 양단에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미들 커버는 도10 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변형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도10은 미들 커버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이다.
도10을 참조하면, 상기 미들 커버(7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에 삽입되는 삽입부(721)와, 상기 삽입부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부의 연장방향과 대략 수직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 커버부(722)와, 상기 단부 커버부(722)의 전단에서 내측을 향해 상기 삽입부(721)와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연장부(723)를 포함한다.
도9에 도시된 예와 비교할 때, 전방 연장부(723)가 구비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방 연장부(723)가 구비됨으로 인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휘어진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는 더욱 큰 힘을 얻을 수 있게 되며, 디스플레이부(10)의 단부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게 된다.
도11은 미들 커버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이다.
도11을 참조하면, 상기 미들 커버(730)는, 상기 미들 커버(73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에 삽입되는 삽입부(731)와, 상기 삽입부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부의 연장방향과 대략 수직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 커버부(732)와, 상기 단부 커버부(732)의 후단에서 내측을 향해 상기 삽입부(721)와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연장부(733)를 포함한다.
도9에 도시된 예와 비교할 때, 후방 연장부(733)가 구비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후방 연장부(733)가 구비됨으로 인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휘어진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는 더욱 큰 힘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12는 미들 커버(710)의 후방에 결합되는 백 커버(12)에 리브(12a)가 구비된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2를 참조하면, 상기 백 커버(12)의 가장자리에는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리브(12a)가 구비되며, 상기 리브(12a)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리브(12a)는 백 커버(12)가 리브(12a)의 연장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부(10)의 휘어진 상태가 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더욱 큰 힘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12에 도시된 예에서, 리브(12a)를 제외한 다른 모든 구성은 도9를 통해 설명한 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였으나, 도 3 내지 도 12는 디스플레이부(10)의 휘어진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의 구성을 중심으로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3 내지 도12에 도시된 구성 이외에도 여러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곡면 형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을 따라 휘어진 형상을 가지는 백커버; 및
    상기 백커버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어진 면을 따라 놓이는 고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가 다수의 절곡되는 면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고정바는 "ㄷ"자종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바의 절곡선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백커버는,
    일부분이 후방으로 돌출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백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미들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들 커버는,
    일측 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백커버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타측 단부에서 상기 삽입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 쪽으로 연장되는 단부 커버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후면에는 상기 백커버의 가장자리 부분이 안착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타측 단부의 외주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단부 커버부의 외주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커버는,
    상기 단부 커버부의 연장 단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심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 가장자리 부분을 덮는 전방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커버는,
    상기 단부 커버부의 후단에서 상기 백커버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백커버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덮는 후방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의 전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삽입부가 안착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백커버의 일부분이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다수 회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의 후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배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후방에 결합되는 리어 커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설치면에 놓여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와 상기 리어 커버를 연결하는 스탠드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06871A 2015-07-28 2015-07-28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63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871A KR101663428B1 (ko) 2015-07-28 2015-07-28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871A KR101663428B1 (ko) 2015-07-28 2015-07-28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217A Division KR101552000B1 (ko) 2011-12-19 2012-11-19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066A KR20150092066A (ko) 2015-08-12
KR101663428B1 true KR101663428B1 (ko) 2016-10-06

Family

ID=54056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871A KR101663428B1 (ko) 2015-07-28 2015-07-28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4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834B1 (ko) * 2015-08-31 2022-01-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2417207B1 (ko) * 2015-11-03 2022-07-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385679B2 (en) 2017-06-30 2022-07-12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560666B1 (ko) * 2018-07-23 2023-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13522B1 (ko) 2019-02-18 2023-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베젤 처짐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102304817B1 (ko) * 2020-01-06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81367A1 (en) 2010-07-12 2012-11-08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Non-Flat Panel Display Module and Back Frame Support Structure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81367A1 (en) 2010-07-12 2012-11-08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Non-Flat Panel Display Module and Back Frame Support Structur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066A (ko) 201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42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608231B2 (en) Display apparatus
US8827472B2 (en) Display apparatus, optical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member
KR101976132B1 (ko) 표시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EP2682839A2 (en) Display apparatus
CN104238173B (zh) 平板显示器装置
US20180027671A1 (en) Display device
KR102557654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55200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69186A (ko) 백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2317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411185B2 (en) Splicing backplane for backlight module and backlight module employing same
KR102547734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W201305637A (zh) 發光模組及顯示裝置
JP2013069544A (ja) コネクタ及び一体成形品
KR10267160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13104B1 (ko) 전광판용 프레임 조립체
EP3264400A1 (en) Display device, and back plate used in display device
CN103730063B (zh) 支架以及具有该支架的显示装置
US11385679B2 (en) Display device
KR102412108B1 (ko) 표시장치
CN104294212A (zh) 掩膜板组件
KR101484612B1 (ko) 간판채널 고정용 프레임
KR2014009429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95316A (ko)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