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3063A -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auto―controlling simultaneously back―washing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auto―controlling simultaneously back―washing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3063A
KR20140053063A KR1020140034247A KR20140034247A KR20140053063A KR 20140053063 A KR20140053063 A KR 20140053063A KR 1020140034247 A KR1020140034247 A KR 1020140034247A KR 20140034247 A KR20140034247 A KR 20140034247A KR 20140053063 A KR20140053063 A KR 20140053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ballast water
filter
discharge pip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2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38593B1 (en
Inventor
이수태
표태성
이수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나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to KR1020140034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593B1/en
Publication of KR20140053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0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5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9/6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7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 B01D29/7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9/9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fil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age-type ballast water filtering device and method in which multiple filtering units are packaged and connected in a body for feeding and discharging ballast water. More specifically, the device includes a filter for filtering ballast water flowing in the body, and an automatic washing unit for backwashing foreign materials adhered on the filter. The device further includes a first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pressure inside the body and outside the filter, and a second pressure sensor that is installed on some of the filtering units so as to measure the pressure inside a filter of each filtering unit. If a difference between a value measured in the second pressure sensor and a value measured in the first pressure sensor exceeds a particular range, all automatic washing units in the filtering units are operated so that the foreign materials adhered on the filter are backwashed. Accordingly, the device has improved efficiency in removing foreign materials and can enhance economic feasibility.

Description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및 그 방법{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auto―controlling simultaneously back―washing and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밸러스트수가 유출입되는 바디 내에 다수의 여과유닛이 패키지화되어 연결된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바디 내부를 흐르는 밸러스트수를 여과시키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역세척하는 자동세척부를 포함하며, 상기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는 상기 필터의 외부 상기 바디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와 상기 다수의 여과유닛 중 일부의 여과유닛에 설치되어 각 여과유닛의 필터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압력센서에서 측정된 값과 상기 제1압력센서에서 측정된 값의 차이가 일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여과유닛의 자동세척부 모두를 구동시켜 상기 필터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역세척하여, 향상된 이물질 제거효율을 가지면서도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which a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are packaged and connected in a body through which ballast water flow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 Where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a pressure inside the body outside the filter, and a second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a pressure inside the body of the multi- And a second pressure sensor installed to measure a pressure inside the filter of each filtration unit, wherein a difference between a value measur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or and a value measured by the first pressure sensor exceeds a certain range The automatic cleaning unit of all the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is driven to remov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filter Will for improved debris can promote the removal efficiency of a number of multi-cage type ballast, yet economical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concurrent backwash with filtering apparatus and method.

밸러스트수(ballast water)란 선박이 짐을 싣지 않고 운항하는 경우에 선박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선박 내의 밸러스트 탱크에 채우는 해수를 의미한다. 국제교역량의 증가와 함께 해상운송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선박 수의 증가 및 대형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어 선박에서 사용하는 밸러스트수의 양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선박에서 사용하는 밸러스트수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외래 해양생물종들로 인한 토착 해양생태계의 피해 발생 사례 역시 증가하고 있는바, 이러한 국제적인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4년도에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선박의 밸러스트수와 침전물의 통제와 관리에 대한 국제협약'이 완성되어 2009년부터 신규 건조되는 선박에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의무적으로 설치되고 있다.Ballast water means seawater filled in the ballast tanks in order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ship when the ship is operated without luggage. With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trade volume, the marine transportation ratio is increasing, and as the number of vessels increases and the size of vessels increases rapidly, the volume of ballast water used by vessels is greatly increasing. As the amount of ballast water used in vessels increases, the number of cases of harms caused by marine ecosystems due to foreign marine species is also increasing. In order to solve thes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problems,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Ballast Water and Sediments of Ships has been completed, and a new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has been installed on ships newly constructed from 2009.

종래 밸러스트수를 처리하기 위한 방식으로는 밸러스트수를 해상에서 교환하거나 육상에서 처리하는 방식이 있었으나,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어 선박 내에 밸러스트수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시설을 설치하는 방식이 많이 활용되고 있고, 특히 밸러스트수 처리시설에 사용되는 처리방식으로 필터를 사용한 여과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는데, 선박이 대형화됨에 따라 큰 선박에서는 많은 양의 밸러스트수를 처리하여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므로, 그에 따라 대용량의 밸러스트수를 처리할 수 있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가 사용되고 있다.Conventionally, as a method for treating ballast water, there has been a method in which ballast water is exchanged at sea or treated on the land,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has a disadvantage of inefficiency and a method of installing a treatment facility for treating ballast water in a ship is widely used, In particular, a filtration method using a filter as a treatment method used in a ballast water treatment facility is mainly used. As a ship becomes larger, the need to treat a large amount of ballast water in a large ship is increased. Therefore,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device is used.

도 1은 종래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의 부분절단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종래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의 저면도인데,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종래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를 살펴보도록 한다.FIG. 1 is a partially cut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FIG. 2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nd FIG. 3 is a bottom view of a conventional multi- A conventional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종래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는 필터(71)의 외부, 바디(72)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73)와, 각 여과유닛(필터(71)와 자동세척부(74)로 이루어진 유닛을 의미)마다 설치되어 각 여과유닛의 필터(71)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75)를 포함하여, 필터(71)에 이물질이 부착된 경우 상기 필터(71) 내부의 압력이 증가할 것이라는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상기 바디(72) 내부의 압력과 일정 범위 이상의 차압이 발생하는 여과유닛별로 순차적으로 상기 자동세척부(74)를 구동시켜, 상기 필터(71)를 역세척하였다. 하지만, 특정 여과유닛의 필터(71)를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였음에도 상기 특정 여과유닛의 필터(71) 내부의 압력이 다시 급속하게 증가하여 타 필터(71)가 역세척되지 않고 상기 특정 유과유닛의 필터(71)가 계속적으로 역세척되는 문제가 있다.The conventional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device includes a first pressure sensor 73 for measuring the pressure inside the body 72 outside the filter 71, And a second pressure sensor 75 installed at each of the filter units 71 to measure the pressure inside the filter 71. When foreign substances are attached to the filter 71, The automatic washing unit 74 is sequentially driven for each filtering unit in which the pressure inside the body 72 and the pressure difference over a certain range are generat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at the pressure of the filter 71 will increase, And washed. However, even though the filter 71 of the specific filtration unit is cleaned to remove foreign matter, the pressure inside the filter 71 of the specific filtration unit rapidly increases again so that the other filter 71 is not backwash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lter 71 is continuously backwashed.

또한, 종래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는 이물질과 역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관(76)이 상기 바디(72) 내부에 용접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바디(72)의 내부와 배출관(76)의 부식을 방지하는 도료를 상기 배출관(76)을 상기 바디(72)에 설치한 후에 작업자가 상기 바디(72)의 내부에 들어가 도포할 수밖에 없어, 상기 바디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도장 작업이 어렵게 되어 장치의 설치 및 유지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the conventional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since a discharge pipe 76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nd backwash water are discharged is welded inside the body 72, corrosion of the inside of the body 72 and the discharge pipe 76 is prevented It is difficult for the worker to apply the paint to the inside of the body 72 after the discharge pipe 76 is installed on the body 72 and to perform the painting work for preventing corrosion of the inside of the bod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and maintain.

또한, 종래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는 상기 배출관(76)이 각각 상기 바디(72)에서 돌출되어 하나의 연결관(77)에 연통되므로, 상기 여과장치의 외부의 구성이 복잡하고 크기가 커져서 장치의 설치 및 보수가 어렵고, 특히 선박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는 이러한 여과장치가 설치되는 공간 역시 매우 협소(선박 고유의 목적을 위한 공간을 넓게 확보하기 위해 기계실과 같은 공간은 상대적으로 협소하게 설계됨)하기 때문에 여과장치의 외부공간이 매우 협소하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종래와 같이 여과장치의 외부에 구성들이 집중되는 구조에서는 더욱 장치의 설치 및 보수의 어려움이 증대될 수밖에 없는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작은 내부 면적을 차지하는 배출관(76)이 긴 길이를 가지고 절곡되므로 쉽게 이물질이 상기 배출관(76) 내부에 끼게 되어 이물질과 역세척수의 배출을 방해하는 큰 배압이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In the conventional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since the discharge pipe 76 protrudes from the body 72 and is connected to one connection pipe 77,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filtration device is complicated, It is difficult to install and repair the equipment. In particular, in a special environment such as a ship, space for installing such a filtration device is also very narrow (a space such as a machine room is designed to be relatively narrow in order to secure a space for a purpose specific to a ship)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outer space of the filtration apparatus is very narrow,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fficulty in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is increased even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s are concentrated outside the filtration apparatus as in the prior art. 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 pipe 76 occupying a relatively small internal area is bent with a long length, the foreign matter is easily caught in the discharge pipe 76, thereby forming a large back pressure which interferes with the discharge of the foreign matter and the backwash wat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다수의 필터를 동시에 역세척하여 필터의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imultaneous backwashing which can improve filtration efficiency of a filter by simultaneously backwashing a plurality of filters.

또한, 본 발명은 여과장치의 사용시 여과유닛의 필터 내부의 압력이 높은 순서대로 일정 개수의 여과여닛을 선택하여 선택된 여과유닛에만 제2압력센서 설치하고, 상기 제2압력센서에서 측정된 값과 제1압력센서에서 측정된 값의 차이가 일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다수의 여과유닛의 자동세척부 모두를 구동시켜 상기 필터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역세척하여, 향상된 이물질 제거효율을 가지면서도 제2압력센서의 사용량을 줄여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a filtration apparatus, a predetermined number of filtering knots are selected in the order of higher pressure inside the filter of the filtration unit, and a second pressure sensor is installed only in the selected filtration unit, 1,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values of the pressure sensors exceeds a predetermined range, all of the automatic cleaning units of the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are driven to backwash the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filt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cage-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that can automatically control backwashing which can reduce the amount of water used and improve the economical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자동세척부가 동시에 모두 작동하여 많은 양의 이물질과 역세척수가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더라도,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차지하는 역세후실에 이물질과 역세척수가 모아지므로, 상기 이물질과 역세척수의 이동을 방지하는 배압이 쉽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utomatic washing unit operates at the same time, the foreign matter and the backwash water accumulate in the backwash chamber, which occupies a relatively large area, even if large amounts of foreign matter and backwash water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that automatically controls backwashing simultaneously so that a back pressure that prevents the back pressure can not be easily formed.

또한, 본 발명은 배출관이 바디에 탈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바디의 내부 및 상기 배출관에 부식을 방지하는 도료를 각각 도포한 후 상기 배출관을 상기 바디 내부에 연결하여도 상기 도료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아, 상기 바디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도장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어 여과장치 제작에 소용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ipe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ody so that the paint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even if the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the interior of the body after coating the interior of the body and the discharge pipe to prevent corros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backwashing, which can redu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manufacturing a filtration apparatus by easily performing painting work for preventing corrosion inside the body It has its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배출관이 바디의 내부 하단에 형성된 역세후실에 연통되어 필터의 세척과정에서 형성된 이물질과 역세척수가 바디 내부의 역세후실에 모여진 후 상기 역세후실에 연통되는 역세척라인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이물질을 제거하여 배출하는 구성이 역세척라인을 제외하고는 바디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바디의 외부 구성이 간단하고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상기 여과장치의 설치, 유지가 용이하며 상기 여과장치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어 상기 여과장치가 설치되는 선박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pipe communicates with the backwash chamber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so that the foreign substances and the backwash water formed in the filter cleaning process are collected in the backwash chamber inside the body and then passed through the backwash line communicating with the backwash chamber, The structure for removing and discharging foreign matter is located inside the body except for the backwashing line, so that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body is simple and the size can be reduced, so that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filtration apparatus are easy,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cage-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backwashing so that the space occupied by the apparatus can be reduced and the space of a ship on which the filtration apparatus is installed can be efficiently operated.

또한, 본 발명은 배출관이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즉 짧게 형성되고 또한 절곡되지 않아 상기 배출관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상기 필터의 역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charge pipe is not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that is, it is formed to be short and is not ben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discharge pipe from being clogged by the foreign substance, A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nd a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는 밸러스트수가 유출입되는 유입부와 유출부를 가지는 바디 내에 다수의 여과유닛이 패키지화되어 연결된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유닛은 상기 바디 내부를 흐르는 밸러스트수를 여과시키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역세척하는 자동세척부를 포함하며, 상기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는 상기 필터의 외부 상기 바디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와, 상기 다수의 여과유닛 중 일부의 여과유닛에 설치되어 각 여과유닛의 필터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와, 상기 제2압력센서에서 측정된 값과 상기 제1압력센서에서 측정된 값의 차이가 일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여과유닛의 자동세척부 모두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backwa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including a multi- Th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ration unit includes a filter for filtering ballast water flowing in the body, and an automatic cleaner for backwashing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filter, wherein the multi- A first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a pressure inside the filter outside of the filter, a second pressure sensor installed in a filtration unit of a part of the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and measuring a pressure inside the filter of each filtration unit, 2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lue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and the value measured by the first pressure sensor exceeds a certain range And a control unit for driving both of the automatic cleaning units of the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압력센서는 여과장치의 사용시 여과유닛의 필터 내부의 압력이 높은 순서대로 일정 개수의 여과여닛을 선택하여 선택된 여과유닛에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imultaneous backwa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second pressure sensor is arranged in the order of high pressure inside the filter of the filtration unit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filtering knots are selected and installed only in the selected filtration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압력센서는 2 내지 3개의 여과유닛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imultaneous backwa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ressure sensor is installed in each of two to three filtration units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세척부는 상기 필터에서 제거된 이물질의 배출통로가 되는 배출관을 가지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바디의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imultaneous backwa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automatic washing unit includes a discharge unit having a discharge pipe serving as a discharge passage for foreign substances removed from the filter And the discharge pip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배출관의 하측과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제1격벽과, 상기 제1격벽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의 상측과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제2격벽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1격벽은 상기 배출관의 하측이 삽입되는 배출관수용공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관의 하측의 외면에 끼워져 상기 배출관을 에워싸며 상기 배출관수용공에 삽입되어 상기 배출관을 상기 제1격벽에 고정하며 상기 배출관의 외측면과 상기 배출관수용공의 내면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imultaneous backwa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body includes a first partition wall detachably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discharge pipe, And a second partition wall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and detachably coupled with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pipe, wherein the first partition wall includes a discharge pipe receiving hole into which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pipe is inserted, And a connecting member inserted in the discharge pipe receiving hole to fix the discharge pipe to the first partition and to seal the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receiving hole,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격벽은 상기 배출관수용공을 에워싸며 상기 제1격벽의 상면에 돌출되는 돌출턱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배출관의 외면과 상기 배출관수용공에 내면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관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상기 배출관수용공을 밀폐하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의 일측에 돌출되어 상기 돌출턱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imultaneous backwa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first partition wall surrounds the discharge pipe receiving hole and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rtition wall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n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and a sealing portion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receiving hole to seal the discharge pipe receiving hole not occupied by the discharge pipe, And a suppor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to support the connect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와 배출관 사이와, 상기 돌출턱과 지지부 사이에는 오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imultaneous backwa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n o-ring is provided between the sealing portion and the discharge pipe, and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supporting portion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배출관의 하측과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제1격벽과, 상기 제1격벽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의 상측과 탈칙식으로 결합하는 제2격벽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2격벽은 필터의 내부로 밸러스트수가 유입도록 하는 밸러스트수유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외측면 상측에서 돌출되는 돌출결합편을 포함하여, 상기 배출관의 상측이 상기 밸러스트수유입공에 수용되며 상기 돌출결합편이 상기 제2격벽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imultaneous backwa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body includes a first partition wall detachably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discharge pipe, And a second partition wall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and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pipe in a de-rusting manner, the second partition wall including ballast water inflow holes for allowing ballast water to flow into the filter, Wherein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pipe is received in the ballast water feeding hole and the projecting engagement piece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돌출결합편과 상기 제2격벽은 체결수단에 의해 탈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imultaneous backwa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ing engagement piece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are detachably connected by the fastening means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세척부는 상기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흡입부는 상기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봉이 연결되어 흡입봉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으로 작용하는 코어의 일측에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가 바디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코어의 하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흡입봉이 바디에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imultaneous backwa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automatic washing unit further comprises a suction unit for sucking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filter, Wherein the suction unit includes a stopper at one side of a core that is connected to a suction rod that sucks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filter and that serves as a rotation axis for rotating the suction rod and that when the stopper contacts the body, So that the suction ro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colliding with the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세척부는 상기 필터에서 제거된 이물질의 배출통로가 되는 배출관을 가지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배출관의 하측에 연결되는 제1격벽과, 상기 제1격벽과 상기 바디의 최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과 연통되어 상기 필터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역세후실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배출관의 길이가 짧고 절곡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어 상기 배출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imultaneous backwa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automatic washing unit includes a discharge unit having a discharge pipe serving as a discharge passage for foreign substances removed from the filter The body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and the lower surface forming the lowermost surface of the body, and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pipe to temporarily remove the foreign matter removed from the filter. The length of the discharge pipe is short an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ent so that the discharge pip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logg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는 상기 바디의 하부면에 연결되며 상기 역세후실에 연통되어 이물질을 상기 바디의 외부로 배출하는 역세척라인을 추가로 포함하여, 선박 내 공간효율성을 높이고 간단한 구조를 이룰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imultaneous backwa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ody and communicates with the backwash chamber, And a backwashing line for discharging the water from the ship, thereby improving space efficiency in the ship and achieving a simple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서의 동시 역세척 자동제어방법은 바디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여과처리된 밸러스트수가 저장된 바디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측정단계와; 상기 다수의 여과유닛 중 일부의 여과유닛에 설치되는 제2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2압력센서가 설치된 각 여과유닛의 필터 내부의 압력을 개별적으로 측정하는 제2압력측정단계와; 상기 제2압력측정단계에서 측정된 각 여과유닛의 필터 내부의 압력과 상기 제1압력측정단계에서 측정된 바디 내부의 압력을 비교하여 일정 범위를 초과하는 차압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여과유닛의 모든 자동세척부를 구동시키는 동시 역세척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필터의 역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imultaneous backwashing automatic control method 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ed ballast water is stored using the first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pressure inside the body A first pressure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a pressure inside the body; A second pressure measurement step of separately measuring pressures in the filters of the respective filtration units provided with the second pressure sensor using a second pressure sensor installed in a filtration unit of a part of the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Wherein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filter of each filtration unit measured in the second pressure measuring step and the pressure inside the body measured in the first pressure measuring step are compared and a differential pressure exceeding a certain range is generated, And a simultaneous backwashing step of driving all of the automatic washing units, thereby improving the backwashing efficiency of the filt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서의 동시 역세척 자동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압력센서는 여과장치의 사용시 여과유닛의 필터 내부의 압력이 높은 순서대로 일정 개수의 여과여닛을 선택하여 선택된 여과유닛에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imultaneous backwashing automatic control method 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ressure senso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filtration apparatus is used,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filtering knots are selected in order and installed only in the selected filtration unit.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stitution described below, the combination, and the use relationship.

본 발명은 다수의 필터를 동시에 역세척하여 필터의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the filter by simultaneously backwashing a plurality of filters.

또한, 본 발명은 여과장치의 사용시 여과유닛의 필터 내부의 압력이 높은 순서대로 일정 개수의 여과여닛을 선택하여 선택된 여과유닛에만 제2압력센서 설치하고, 상기 제2압력센서에서 측정된 값과 제1압력센서에서 측정된 값의 차이가 일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다수의 여과유닛의 자동세척부 모두를 구동시켜 상기 필터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역세척하여, 향상된 이물질 제거효율을 가지면서도 제2압력센서의 사용량을 줄여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a filtration apparatus, a predetermined number of filtering knots are selected in the order of higher pressure inside the filter of the filtration unit, and a second pressure sensor is installed only in the selected filtration unit, 1,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values of the pressure sensors exceeds a predetermined range, all of the automatic cleaning units of the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are driven to backwash the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filt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use of the apparatus and to achieve economical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자동세척부가 동시에 모두 작동하여 많은 양의 이물질과 역세척수가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더라도,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차지하는 역세후실에 이물질과 역세척수가 모아지므로, 상기 이물질과 역세척수의 이동을 방지하는 배압이 쉽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utomatic washing unit operates at the same time, the foreign matter and the backwash water accumulate in the backwash chamber, which occupies a relatively large area, even if large amounts of foreign matter and backwash water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ack pressure for preventing the back pressure can not be easily formed.

또한, 본 발명은 배출관이 바디에 탈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바디의 내부 및 상기 배출관에 부식을 방지하는 도료를 각각 도포한 후 상기 배출관을 상기 바디 내부에 연결하여도 상기 도료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아, 상기 바디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도장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어 여과장치 제작에 소용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ipe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ody so that the paint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even if the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the interior of the body after coating the interior of the body and the discharge pipe to prevent corrosion,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painting work for preventing corrosion of the inside of the body, thereby saving time and cost, which are useful for manufacturing a filtration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과 역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바디의 내부 하단에 설치된 역세후실에 연통되어 필터의 세척과정에서 형성된 이물질과 역세척수가 바디 내부의 역세후실에 모여진 후 바디를 연통하는 역세척라인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이물질을 제거하여 배출하는 구성이 역세척라인을 제외하고는 바디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바디의 외부 구성이 간단하고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상기 여과장치의 설치, 유지가 용이하며 상기 여과장치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어 상기 여과장치가 설치되는 선박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discharge pipe through which a foreign matter and backwash water are discharged, the backwash being communicated with a backwash chamber provided at an inner bottom of the body,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body is simplified and the size of the body is reduced, so that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filtration device can be simplifi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rea occupied by the filtration device, and thu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operate the space of the ship on which the filtration device is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은 배출관이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즉 짧게 형성되고 또한 절곡되지 않아 상기 배출관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상기 필터의 역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revent the discharge pipe from being clogged by foreign matter because the discharge pipe is not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that is, it is formed short and is not bent, thereby improving the back washing efficiency of the filter .

도 1은 종래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의 부분절단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의 평면도.
도 3은 종래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의 부분절단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의 저면도.
도 8은 도 5의 A부분의 확대도.
도 9는 도 5의 B부분의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사용되는 배출부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를 이용한 동시 역세척 자동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1 is a partially cut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2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3 is a bottom view of a conventional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device.
4 is a partially cut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of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view of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5;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charge unit used i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backwashing using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imultaneous backwa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if conflict with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herein, It follows the definition used in the specification.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의 부분절단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A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9는 도 5의 B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사용되는 배출관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를 이용한 동시 역세척 자동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4 is a partially cut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ectional view of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view of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charge pipe used i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pipe used in the multi-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backwashing using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를 도 4 내지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는 밸러스트수가 유출입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필터(20)와 자동세척부(30)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여과유닛과; 상기 바디(10)에 연결되어 이물질과 역세척수가 이동하는 역세척라인(40)과; 상기 바디(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50)와; 상기 필터(2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60)와; 상기 여과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여과유닛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부호를 표기하지는 않았으나, 이는 필터(20) 및 자동세척부(30)로 이루어진 유닛을 의미한다.
4 to 10,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includes a body 10 through which ballast water flows in and out, and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installed inside the body 10 and comprising a filter 20 and an automatic cleaning unit 30; A backwash line (40) connected to the body (10) to move foreign matter and backwash water; A first pressure sensor 50 for measuring a pressure inside the body 10; A second pressure sensor (60) for measuring a pressure inside the filter (20);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ltration device; And the like. The filtration unit is not denoted by a separate reference numeral but means a unit consisting of the filter 20 and the automatic washing unit 30. [

상기 바디(10)는 상기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의 외부 골격을 이루는 부분으로, 상기 바디(10)의 유입부(11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밸러스트수는 상기 바디(10) 내에 위치하는 여과유닛을 거치면서 이물질 등이 여과되어 처리된 후 상기 바디(10)의 유출부(120)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상기 바디(10)의 유출부(120)는 유입부(110) 보다는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바디(10)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부(1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바디(10)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1격벽(140)과 상기 제1격벽(140)에 상측에 형성되는 제2격벽(150)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된 여과처리 전 밸러스트수가 일시 저장되는 여과전실(S1)과, 상기 유출부(1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격벽(150)과 상기 바디(10)의 최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면(130)에 의해 형성되어 필터(20) 및 상기 필터(20)를 통과하여 여과처리된 밸러스트수가 저장되는 여과후실(S2)과, 상기 제1격벽(140)과 상기 바디(10)의 최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면(160)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필터(20)의 역세척 과정에서 배출되는 이물질과 역세척수가 저장되는 역세후실(S3)이 형성된다.The body 10 constitutes the outer skeleton of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The ballast water introduced into the body 10 through the inlet 110 of the body 10 is located in the body 10 A foreign matter or the like is filtered and processed through the filtration unit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outflow part 120 of the body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let part 120 of the body 10 is positioned above the inlet part 110 and the outlet part 120 of the body 10 is positioned inside the body 10 with the inlet part 11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ballast water before filtration which is formed by the first partition wall 140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150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partition wall 140 through the inlet 110, And a top surface 130 forming the top surface of the body 10 and the second partition 150 between the outlet 120 and the filter 20, And a bottom surface 160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artition wall 140 and the body 10, and a bottom surface 160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 And a backwash chamber S3 for storing the foreign matter discharged in the backwashing process of the filter 20 and the backwash water is formed.

상기 상부면(130)에는 상기 바디(10) 내부에 상기 필터(20)가 진입될 수 있도록 필터인입공(131)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필터(20)가 설치된 이후에는 상기 필터인입공(131)에 결합하여 이를 폐쇄하는 상부덮개판(170)이 결합하게 된다.The upper surface 130 is formed with a hole 131 through which the filter 20 can enter into the body 10. After the filter 20 is installed, And the upper cover plate 170 that closes the upper cover plate 170 is engaged.

상기 제1격벽(140)에는 후술할 배출관(331)이 탈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배출관수용공(141)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배출관수용공(141)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1격벽(14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후술할 제2연결부재(333)와 접하는 돌출턱(142)이 형성된다.A discharge pipe receiving hole 141 is formed in the first partition wall 140 so that a discharge pipe 331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and removed and a discharge pipe receiving hole 141 is formed to surround the discharge pipe receiving hole 141, A protruding protrusion 142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and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333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상기 제2격벽(150)에는 상기 여과전실(S1)에 일시 저장된 밸러스트수가 상기 필터(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밸러스트수유입공(151)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밸러스트수유입공(151)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터(20)의 하측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후술할 돌출결합편(3311)과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돌출연결편(152)이 형성된다.The ballast water inflow hole 151 is formed in the second partition wall 150 so that the ballast water temporarily stored in the pre-filtration chamber S1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lter 20, A protruding connection piece 152 is formed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protruding engagement piece 3311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20 can be stably fixed.

상기 돌출연결편(152)은 상기 제2격벽(150)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밸러스트수유입공(151)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필터(20)의 하측에 끼워져 상기 필터(20)를 고정지지하는 필터고정부(1521)와, 상기 필터고정부(1521)의 내측에서 돌출되며 상면이 상기 돌출결합편(3311)의 하면과 접하여 상기 배출관(331)을 지지하는 결합편지지부(1522)를 포함한다.
The protruding connection piece 15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150 and surround the ballast water feeding hole 151. The protruding connection piece 152 is fit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20, A filter fixing portion 1521 and an engaging portion 1522 projecting from the inside of the filter fixing portion 1521 and having an upp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rojecting engagement piece 3311 to support the discharge pipe 331 .

상기 필터(20)는 상기 바디(10) 내부에 유입된 밸러스트수를 여과처리하여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구성으로, 상기 필터인입공(131)을 통해 바디(10) 내에 삽입되어 상기 여과후실(S2)에 설치되는데, 필터(20)의 하측은 상기 제2격벽(150)에, 상측은 상기 상부면(130)에 각각 고정되게 된다. 상기 필터(20)가 설치되게 되면, 상기 유입부(110)를 통해 여과전실(S1)에 일시 저장된 밸러스트수는 상기 밸러스트수유입공(151)을 통해 필터(2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필터(20)를 거쳐 여과후실(S2)로 이동하면서 이물질 등이 상기 필터(20)의 내주면에 걸러지면서 여과처리되게 된다. 상기 필터(20)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20)에 밸러스트수가 여과되는 과정에서 생물 및 입자 등의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이러한 여과가 계속 진행되는 경우 상기 필터(20)의 내주면에 이물질 등이 쌓여 여과기능이 저하되므로 후술하는 자동세척부(30)에 의해 필터(20) 내주면의 이물질 제거작업이 진행되게 된다.
The filter 20 is configured to filter the ballast water flowing into the body 1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the like. The filter 20 is inserted into the body 10 through the inlet 131,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20 is fixed to the second partition 150 and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2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130. When the filter 20 is installed, the ballast water temporarily stored in the pre-filtration chamber S1 through the inlet 110 flows into the filter 20 through the ballast water feeding hole 151, So that foreign matter is filter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20 and filtered. The filter 2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organisms and particles may be filtered during filtering the ballast water into the filter 20. When the filtration continues, foreign substances or the like accumulat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20 to degrade the filtering function, so that the automatic cleaning unit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roceeds to remove foreign matter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20.

상기 자동세척부(30)는 상기 필터(20)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역세척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기 자동세척부(30)는 제어부(미도시)의 신호에 의해 자동세척부(3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310)와, 상기 구동부(310)에 연결되어 움직이면서 상기 필터(20)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320)와, 상기 흡입부(320)에서 흡입된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배출부(330) 등을 포함한다.The automatic washing unit 30 is configured to backwash the foreign substance adhered to the filter 20. To this end, the automatic washing unit 30 may be operated by the signal of the control unit (not shown) A suction unit 320 for sucking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filter 2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310 and a discharge unit 320 for discharging the foreign substance sucked in the suction unit 320, (330), and the like.

상기 구동부(310)는 상기 자동세척부(30)가 작동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고, 이러한 동력을 이용하여 후술할 흡입부(320)를 회전 및/또는 상하이동시키는 부분으로, 일반적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11)와,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311)에 연결되어 구동모터(311)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 및/또는 상하이동하면서 그 타단에 연결되는 후술할 흡입부(320)의 코어(322)를 연동하여 회전 및/또는 상하이동시키는 구동축(312)을 포함한다.
The driving unit 310 is a part that provides power for operating the automatic washing unit 30 and uses the power to rotate and / or move the suction unit 3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311 and is rotated and / or vertically moved by being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driving motor 311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unit 320. [ And a drive shaft 312 that rotates and / or moves up and down in conjunction with the drive shaft 322.

상기 흡입부(320)는 상기 구동부(310)에 연결되어 움직이면서 상기 필터(20)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부분으로, 상기 필터(20)에 부착된 이물질 등을 흡입하는 흡입봉(321)과, 상기 흡입봉(321)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결되며 그 일단은 상기 구동부(310)의 구동축(312)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312)의 회전 및/또는 상하이동에 연동하여 회전 및/또는 상하이동하면서 상기 흡입봉(321)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으로 작용하는 코어(3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unit 32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310 and sucks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filter 20 while moving. The suction unit 320 includes a suction rod 321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filter 20, The suction rod 321 is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310 of the driving unit 3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312 of the driving unit 310 to rotate And a core 322 acting as a rotation axis for rotating the suction rod 321 while moving up and down.

상기 흡입봉(321)은 그 일단이 상기 필터(20)의 내주면에 접촉 또는 아주 근접하게 되면서 그 중앙에 관통형성된 흡입구(3211)를 통해 필터(20)의 내주면에 부착된 이물질과 역세척수(흡입구(3211)에서의 흡입압력에 의해 필터(20) 외부의 여과된 밸러스트수가 다시 필터(20)의 외부에서 내부로 통과하면서 필터(20) 내부에 부착된 이물질과 함께 흡입되는데 이를 '역세척수'라 한다) 등을 흡입하여 상기 코어(322)로 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코어(322)에서는 각 흡입봉(321)에서 흡입된 이물질과 역세척수 등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관로를 통해 후술할 배출부(330)로 이동시켜 배출될 수 있게 한다.One end of the suction rod 321 comes into contact with or is very clos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20 and passes through the suction port 321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uction rod 321 and th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20, The filtered ballast water outside the filter 20 is sucked together with th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inside of the filter 20 through the inside of the filter 20 from the outside of the filter 20 due to the suction pressure in the filter 3211, The core 322 sucks the foreign substances sucked from the respective suction rods 321 and the backwash water through a duc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ischarges the air to be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port 330 To be discharged.

상기 코어(322)는 일단이 구동축(312)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술할 배출관(331)에 연통되어 상기 흡입봉(321)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과 역세척수를 상기 배출관(331)에 배출한다. 상기 코어(32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즉, 코어(322)에 부착된 가장 아래쪽의 흡입봉(321)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스토퍼(3221)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3221)가 후술할 제1연결부재(332)에 부딪히는 경우 상기 코어(322)의 하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One end of the core 322 is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312 and the other end of the core 322 communicates with a discharge pipe 331 to be described later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and backwash water flowing through the suction pipe 321 to the discharge pipe 331. 8, the core 322 includes a stopper 3221 formed at one side, that is,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lowermost suction rod 321 attached to the core 322, The movement of the core 322 to the lower side is restricted when the first linking member 332 collides with the first linking member 332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배출부(330)는 상기 흡입부(320)에서 흡입된 이물질 등이 이동하는 부분으로, 배출관(331), 제1연결부재(332), 제2연결부재(333)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The discharge unit 330 includes a discharge pipe 331, a first connection member 332, a second connection member 333, and the like, which is a part where the foreign substances sucked by the suction unit 320 move. .

상기 배출관(331)은 상단이 상기 코어(322)와 연통되고 하단이 상기 역세후실(S3)에 연통되어 상기 코어(322)로부터 이물질 등을 상기 역세후실(S3)에 배출하는 구성으로, 상기 바디(10)에 탈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배출관(331)의 상측은 상기 밸러스트수유입공(151)에 삽입되어 제2격벽(150)에 탈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331)의 하측은 상기 배출관수용공(141)에 삽입되어 상기 제1격벽(140)에 탈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배출관(331)은 상기 배출관(331)의 외면에서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331)을 상기 제2격벽(150)에 연결시 하면이 상기 결합편지지부(1522)의 상면에 접하는 돌출결합편(3311)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관(331)의 돌출결합편(3311)을 상기 제2격벽(150)의 결합편지지부(1522)에 안착시킨 후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a)을 사용하여 상기 돌출결합편(3311)과 결합편지지부(1522)를 결합시켜 상기 배출관(331)을 상기 제2격벽(150)에 탈착식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The discharge pipe 331 has an upp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core 322 and a low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backwash chamber S3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or the like from the core 322 into the backwash chamber S3. (10).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pipe 331 is inserted into the ballast water feeding hole 151 a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cond bank 150.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pipe 331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ipe receiving hole 141, 1 barrier ribs 140 as shown in FIG. The discharge pipe 331 is radially protrud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331. When the discharge pipe 331 is connected to the second partition wall 150, And includes a projecting engagement piece 3311. 8, after the protruding engaging piece 3311 of the discharge pipe 331 is seated in the engaging portion 1522 of the second partition 150, The ejection pipe 331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cond partition 150 by engaging the protruding engagement piece 3311 with the engaging letterage portion 1522.

상기 제1연결부재(332)은 상기 배출관(331)의 내면과 상기 코어(322)의 외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관(331)과 코어(322)의 틈 사이로 여과 전의 밸러스트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332)은 코어(32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토(3221)와 접하여 상기 코어(322)의 하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며, 비금속재질 특히, 자기윤활성 플라스틱, 폴리프로필렌(PP), 나일론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잦은 접촉과 부딪힘에도 상기 스토퍼(3221)나 제1연결부재(33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member 332 is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33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322 to prevent the ballast water before filtration from flowing into the gap between the discharge pipe 331 and the core 322 . The first connection member 332 contacts the stalk 3221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ore 322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core 322 to the lower side and may be made of a nonmetal material, (PP), nylon,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opper 3221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332 from being damaged even in frequent contact and collision.

상기 제2연결부재(333)는 상기 배출관(331)의 하측의 외측면을 끼워져 상기 배출관(331)을 에워싸며, 상기 배출관수용공(141)에 삽입되어 상기 배출관(331)을 상기 제1격벽(140)에 고정하며 상기 배출관(331)의 외측면과 상기 배출관수용공(141) 내면 사이의 틈을 밀폐하여 상기 여과전실(S1)에 저장된 밸러서트수가 상기 역세후실(S3)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연결부재(333)는 일정 소재로 제조되나 바람직하게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33 surrounds the discharge pipe 331 with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331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33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ipe receiving hole 141, And the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33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receiving hole 141 is sealed so that the ballast water stored in the pre-filtering chamber S1 flows into the backwash chamber S3 ≪ / RTI > The second linking member 333 may be made of a certain material, but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상기 제2연결부재(333)는 상기 배출관(331)의 하측의 외측면과 상기 돌출턱(142)의 측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관수용공(141)을 밀폐시키는 밀폐부(3331)와, 상기 밀폐부(3331)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돌출턱(142)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제2연결부재(333)가 지지도록 하는 지지부(3332)를 포함한다. 상기 밀폐부(3331)의 측면에는 오링(b)이 삽입되어 밀폐부(3331)와 배출관(331) 사이를 수밀하며, 상기 지지부(3332)의 하면에는 오링(b)이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3322)와 돌출턱(142) 사이를 수밀한다.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33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331 and the side surface of the protrusion 142 to seal the discharge pipe receiving hole 141, And a support portion 3332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3331 and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rotuberance 142 to support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33. An O-ring b is inserted into the side surface of the closed portion 3331 to tightly seal between the closed portion 3331 and the discharge pipe 331. An O-ring b is inserted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3332, And the protruding jaws 142 are watertight.

앞서 본 바와 같이, 상기 돌출결합편(3311)을 상기 제2격벽(150)의 결합편지지부(1522)에 안착시킨 다음 체결수단(a)을 사용하여 상기 배출관(331)의 상측을 상기 제2격벽(150)에 탈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2연결부재(333)를 사용하여 상기 배출관(331)의 하측을 상기 제1격벽(140)에 수밀가능하게 탈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기 배출관(331)을 상기 바디(10)에 설치, 교체 및 해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331)을 상기 바디(10)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종래와 달리 용접하는 과정이 필요치 않아, 상기 바디(10)의 내부 및 상기 배출관(331)에 부식을 방지하는 도료를 각각 도포한 후 상기 배출관(331)을 상기 바디(10) 내부에 연결하여도 상기 도료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아, 상기 바디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도장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어 여과장치에 제작에 소용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The protruding engagement piece 3311 is seated on the engaging portion 1522 of the second partition 150 and then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pipe 331 is fastened to the second It is possible to detachably connec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331 to the first partition wall 140 by using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33 in a watertight manner, ,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installation, replacement and disassembly of the discharge pipe 331 in the body 10.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discharge pipe 331 to the body 10,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a welding process unlike the prior art. Thus, the paint for preventing corrosion is a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body 10 and the discharge pipe 331 Even if the discharge pipe 331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body 10, the paint is not damaged and the painting operation for preventing the corrosion of the inside of the body can be easily performed. Time and money can be saved.

상기 역세척라인(40)은 상기 역세후실(S3)에 연통되도록 상기 바디(10)의 하면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기 역세후실(S3)에 저장된 이물질과 역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이다. 상기 역세척라인(40)의 일측에는 이그조스트밸브(미도시)가 연결되는데, 상기 이그조스트밸브는 상기 필터(20) 내에 부착된 이물질의 흡입/배출을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즉, 상기 이그조스트밸브가 열리는 경우에는 상기 역세척라인(40), 역세후실(S3), 배출관(331), 코어(322) 및 흡입봉(321) 내부는 상기 여과후실(S2) 내부 또는 필터(20) 내부의 높은 기압에 비해 낮은 기압이 형성되므로 상기 여과후실(S2) 내부의 밸러스트수가 기압이 낮은 상기 흡입봉(321) 내부로 흡입되면서 이때 필터(20) 내주면에 부착된 이물질 등도 함께 흡입되게 되며(이때, 흡입되는 여과후실(S2)의 밸러스트수가 역세척수로서 기능하게 됨), 상기 이그조스트밸브가 닫히는 경우에는 역세척수 및 이물질 등의 흡입이 중단되게 된다.The backwash line 40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ackwash chamber S3 and discharges the foreign matter and backwash water stored in the backwash chamber S3 to the outside. (Not shown)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ckwash line 40. The backwash valve 40 is a part for providing a suction force for sucking / discharging the foreign substance attached to the filter 20, . That is, when the suction valve is opened, the inside of the backwash line 40, the backwash chamber S3, the discharge pipe 331, the core 322, A low air pressure is formed as compared with a high air pressure inside the filter 20 so that the ballast water in the filtration post S2 is sucked into the suction bar 321 having a low air pressure and foreign matters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20 (At this time, the ballast water in the post-filtration chamber S2 to be sucked functions as the backwash water). When the suction valve is closed, the suction of the backwash water and the foreign matter is stopped.

상기 멀티케이지 타입의 밸러스트수 여과장치는 이물질과 역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관(331)이 바디(10)의 내부 하단에 형성된 역세후실(S3)에 연통되어 필터(20)의 세척과정에서 형성된 이물질과 역세척수가 바디 내부의 역세후실(S3)에 모여진 후 상기 역세후실(S3)에 연통되는 역세척라인(40)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이물질을 제거하여 배출하는 구성이 역세척라인을 제외하고는 바디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바디의 외부 구성이 간단하고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상기 여과장치의 설치, 유지가 용이하며 상기 여과장치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어 상기 여과장치가 설치되는 선박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여과장치에서 상기 배출관(331)은 상기 바디(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즉 짧게 형성되고 또한 절곡되지 않아 상기 배출관(331)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상기 필터(20)의 역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 discharge pipe 331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nd backwash water are discharged communicates with a backwash chamber S3 formed at an inner lower end of the body 10, The backwash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ackwashing line 40 communicated with the backwash chamber S3 after the backwash water is collected in the backwash chamber S3 inside the body,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body is simple and the size of the body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filtration device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area occupied by the filtration device can be reduced, Can be operated efficiently. In addition, in the filtration apparatus, the discharge pipe 331 is not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 that is, it is formed to be short and is not bent so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discharge pipe 331 from being clogged by foreign substance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ackwashing efficiency of the washing machine 20.

상기 제1압력센서(50)는 상기 필터(20)의 외부, 상기 바디(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이며, 상기 제2압력센서(60)는 상기 필터(20)의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로, 상기 제1, 2압력센서(50, 60)에서 측정된 값은 상기 제어부에 전송되며 상기 제1, 2압력센서(50, 60)로는 압력을 측정하는 트랜스미터나 압력센서, 차압스위치 등이 활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여과장치와 달리 상기 제2압력센서(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의 일부 여과유닛에 설치되어(여과유닛의 개수보다 적게 제2압력센서가 설치됨), 일부의 여과유닛의 필터(2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한다. 상기 제2압력센서(60)는 일부의 여과유닛을 선정하여 설치되는데, 상기 여과장치의 사용시 여과유닛의 필터 내부의 압력이 높은 순서대로 일정 개수의 여과여닛을 선택하여 선택된 여과유닛에만 제2압력센서 설치하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개의 여과유닛에만 제2압력센서가 설치된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개의 여과유닛이 존재하는 여과장치를 일정기간 동안 사용하여 밸러스트수를 여과시킨 후, 상기 여과유닛 각각의 필터(2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고, 압력이 높은 순서대로 여과유닛을 3개를 선정한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여과장치들을 제작하는 경우 위 여과유닛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선택된 여과유닛과 동일한 위치의 여과유닛에만 제2압력센서(60)를 설치한다.
The first pressure sensor 50 is a sensor for measuring a pressure inside the body 10 on the outside of the filter 20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60 measures a pressure inside the filter 20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ors 50 and 60 are connected to a transmitter or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pressure,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ors 50 and 60, Switches and the like can be utilized. Unlike the filtration apparatu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the second pressure sensor 60 is installed in a specific filtration unit as shown in Fig. 6 (in which a second pressure sensor is installed less than the number of filtration units) , The pressure inside the filter 20 of some of the filtration units is measured. The second pressure sensor 60 is installed by selecting a part of the filtration units. When the filtration unit is used, a predetermined number of filtration openings are selected in the order of high pressure inside the filtration unit of the filtration unit, And a second pressure sensor is preferably installed in only two to three filtration unit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after the ballast water is filtered by using the filtration apparatus having 11 filtration units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 pressure inside the filter 20 of each of the filtration units is measured, Three filtration units are selected in order. 6, the second pressure sensor 60 is installed only in the filtration unit at the same position as the filtration unit selected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upper filtration unit.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여과장치의 전기적 및 기계적 작동을 제어하며, 특히 제1압력센서(50)와 제2압력센서(60)에서 출력된 값을 비교하여 제1압력센서(50)와 제2압력센서(60)에서 측정된 값의 차이가 일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다수의 여과유닛의 자동세척부(30) 모두를 동시에 구동시켜 상기 필터(20)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역세척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the electrical and mechanical operation of the filtration apparatus.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values output from the first pressure sensor 50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60,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values of the second pressure sensor 60 exceeds a predetermined range, all of the automatic washing units 30 of the plurality of filtering units are simultaneously driven to backwash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filter 20 .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6 및 도 11을 참조하여 위와 같이 제1, 2압력센서(50, 60)가 설치된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서의 동시 역세척 자동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밸러스트수가 유출입되는 유입부(110)와 유출부(120)를 갖는 바디(10) 내에 다수의 여과유닛이 패키지화되어 연결된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서의 여과과정 중에, 바디(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50)를 이용하여 여과처리된 밸러스트수가 저장된 바디(10) 내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과후실(S2)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측정단계(S1); 여과장치의 사용시 여과유닛의 필터 내부의 압력이 높은 순서대로 일정 개수의 여과여닛을 선택하여 선택된 여과유닛에만 설치되는 제2압력센서(60)를 이용하여 제2압력센서(60)가 설치된 여과유닛의 필터(20) 내부의 압력을 개별적으로 측정하는 제2압력측정단계(S2); 제어부(미도시)의 제어하에 제1압력센서(50)와 제2압력센서(60)에서 출력된 값을 비교하여 제1압력센서(50)와 제2압력센서(60)에서 측정된 값의 차이가 일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다수의 여과유닛의 자동세척부(30) 모두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동시 역세척단계(S3); 순으로 이루어지게 된다.Hereinafter, a simultaneous backwashing automatic control method 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ors 50 and 60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and Fig. 11.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are packaged in a body 10 having an inlet portion 110 and an outlet portion 120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measure the pressure inside the body 10 A first pressure measuring step (S1) for measuring the pressure inside the body (10) storing the filtered ballast water using the first pressure sensor (50), more specifically, inside the post-filtering chamber (S2); When a filtration unit is used, a certain number of filtration openings are selected in the order of high pressure inside the filtration unit of the filtration unit, and the second filtration unit is installed only in the selected filtration unit, A second pressure measuring step (S2) for separately measuring the pressure inside the filter (20) of the filter (20); The first pressure sensor 50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60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unit (not shown) to compare the values output from the first pressure sensor 50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60 Simultaneous backwashing (S3) simultaneously driving all the automatic washing units (30) of the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when the difference exceeds a certain range; .

상기 제1압력측정단계(S1)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의 상측에 설치된 제1압력센서(50)(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1압력센서(50)가 바디(10)의 유출부(120) 입구에 설치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를 이용하여 여과처리된 밸러스트수가 저장된 바디(10) 내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과후실(S2)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그 측정값을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함으로써, 제어부(미도시)에서 항상 바디(10) 내부의 압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게 한다.6, in the first pressure measuring step S1, a first pressure sensor 5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10 (if necessary, the first pressure sensor 50 is connected to the body 10 The pressure inside the body 10, more specifically the post-filtration chamber S2, in which the filtered ballast water is stored is measured by using the pressure sensor (Not shown) so that the pressure inside the body 10 can be always managed by the control unit (not shown).

상기 제2압력측정단계(S2)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2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배치된 복수 개(여과유닛의 개수보다 적음)의 제2압력센서(60)를 이용하여 상기 제2압력센서(60)가 설치된 각 여과유닛별로 그 필터(2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그 측정값을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함으로써, 제어부(미도시)에서 필터(20) 내부의 압력을 수시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second pressure measuring step S2, 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second pressure sensors 60 (less than the number of filtering units) arranged to measure the pressure inside the filter 20, (Not shown) by measuring the pressure inside the filter 20 for each filtration unit provided with the second pressure sensor 60 and transmitting the measured value to a control unit ) Check the internal pressure from time to time.

상기 동시 역세척단계(S3)에서는 제어부가 위 제1압력측정단계(S1)에서 전송된 바디(10) 내부의 압력값과, 제2압력측정단계(S2)에서 전송된 여과유닛별 필터(20) 내부의 압력값을 대비하여, 그 차압이 일정범위를 넘어서면 모든 여과유닛에 대하여 동시에 자동세척부(30)를 구동시켜 필터(20)에 부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역세척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종래의 여과장치에 발생하는 특정 여과유닛의 필터(20)만 반복하여 역세척하는 오작동을 방지하여 역세척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장치는 상기 제2압력센서(60)을 사용량을 줄여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장치는 상기 자동세척부(5)가 동시에 모두 작동하여 많은 양의 이물질과 역세척수가 배출관(333)을 통해 배출되더라도,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차지하는 역세후실(S3)에 이물질과 역세척수가 모아지므로, 상기 이물질과 역세척수의 이동을 방지하는 배압이 쉽게 형성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In the simultaneous backwashing step S3,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pressure value inside the body 10 transmitted in the first pressure measuring step S1 with the pressure value of the filter 20 in the filtering unit 20 sent in the second pressure measuring step S2 The backwashing operation of simultaneously driving the automatic washing unit 30 to all the filtration units to remov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filter 20 can be perform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lfunction of repeatedly backwashing only the filter 20 of the specific filtration unit occurring in the conventional filtration apparatus,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backwashing. Further, the filtration apparatus can reduce the amount of use of the second pressure sensor 60, thereby achieving economical efficiency. Even if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and backwash water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333 due to the simultaneous operation of the automatic washing unit 5 in the filtration unit, foreign matter and reverse osmosis in the backwash chamber S3, which occupies a relatively large area, There is a feature that the back pressure for preventing movement of the foreign matter and the backwash water is not easily formed.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to the scope.

10: 바디 110: 유입부 120: 유출부 130: 상부면
140: 제1격벽 150: 제2격벽 160: 하부면 170: 상부덮개판
131: 필터인입공 141: 배출관수용공 142: 돌출턱 151: 밸러스트수유입공
152: 돌출연결편 1521: 필터고정부 1522: 결합편지지부 20: 필터
30: 자동세척부 310: 구동부 320: 흡입부 330: 배출부
311: 구동모터 312: 구동축 321: 흡입봉 322: 코어
331: 배출관 332: 제1연결부재 333: 제2연결부재 3211: 흡입구
3221: 스토퍼 3311: 돌출결합편 3331: 밀폐부 3332: 지지부
40: 역세척라인 50: 제1압력센서 60: 제2압력센서
S1:여과전실 S2: 여과후실 S3: 역세후실 a: 체결수단
b: 오링
10: body 110: inlet 120: outlet 130: upper surface
140: first partition 150: second partition 160: lower surface 170: upper cover plate
131: filter inlet 141: discharge pipe receiving hole 142: protruding jaw 151: ballast water feeding hole
152: protruding connection piece 1521: filter fixing portion 1522: engaging letter portion 20: filter
30: Automatic cleaning unit 310: Driving unit 320: Suction unit 330:
311: drive motor 312: drive shaft 321: suction rod 322: core
331: discharge pipe 332: first connecting member 333: second connecting member 3211:
3221: stopper 3311: protruding coupling piece 3331: sealing portion 3332:
40: backwash line 50: first pressure sensor 60: second pressure sensor
S1: pre-filtration chamber S2: filtration chamber S3: backwash chamber a: tightening means
b: O ring

Claims (14)

밸러스트수가 유출입되는 유입부와 유출부를 가지는 바디 내에 다수의 여과유닛이 패키지화되어 연결된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유닛은 상기 바디 내부를 흐르는 밸러스트수를 여과시키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역세척하는 자동세척부를 포함하며,
상기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는 상기 필터의 외부 상기 바디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와, 상기 다수의 여과유닛 중 일부의 여과유닛에 설치되어 각 여과유닛의 필터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와, 상기 제2압력센서에서 측정된 값과 상기 제1압력센서에서 측정된 값의 차이가 일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여과유닛의 자동세척부 모두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are packaged and connected in a body having an inlet portion and an outlet portion through which ballast water flows in and out,
Wherein the filtration unit includes a filter for filtering the ballast water flowing in the body and an automatic cleaning unit for backwashing the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filter,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a pressure inside the body outside the filter, and a second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pressure inside the filt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And a control unit for driving both of the automatic cleaning units of the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when a difference between a value measur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or and a value measured by the first pressure sensor exceeds a certain range, Wherei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micro-cage-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력센서는
여과장치의 사용시 여과유닛의 필터 내부의 압력이 높은 순서대로 일정 개수의 여과여닛을 선택하여 선택된 여과유닛에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pressure sensor
Wherein a plurality of filtration knots are selected in the order of high pressure inside the filter of the filtration unit when the filtration unit is used and are installed only in the selected filtration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력센서는
2 내지 3개의 여과유닛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3, wherein the second pressure sensor
Wherein the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are installed in two to three filtration units,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세척부는
상기 필터에서 제거된 이물질의 배출통로가 되는 배출관을 가지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바디의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tomatic washing unit
And a discharge unit having a discharge pipe serving as a discharging passage for foreign matter removed from the filter, wherein the discharge pip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body.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배출관의 하측과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제1격벽과, 상기 제1격벽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의 상측과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제2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격벽은 상기 배출관의 하측이 삽입되는 배출관수용공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관의 하측의 외면에 끼워져 상기 배출관을 에워싸며 상기 배출관수용공에 삽입되어 상기 배출관을 상기 제1격벽에 고정하며 상기 배출관의 외측면과 상기 배출관수용공의 내면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ody includes a first partition wall detachably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discharge pipe, and a second partition wall formed above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pipe,
Wherein the first partition wall includes a discharge tube accommodating hole into which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tube is inserted and the discharge portion is fitt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tube to surround the discharge tube and inserted into the discharge tube accommodation hole,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which fixes the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receiving hole, and which automatically controls the simultaneous backwash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격벽은 상기 배출관수용공을 에워싸며 상기 제1격벽의 상면에 돌출되는 돌출턱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배출관의 외면과 상기 배출관수용공에 내면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관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상기 배출관수용공을 밀폐하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의 일측에 돌출되어 상기 돌출턱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제2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partition wall further includes a protruding protrusion that surrounds the discharge tube receiving hole and protrudes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rtition wall,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sealing portion that is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an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receiving hole to seal the discharge pipe receiving hole not occupied by the discharge pipe,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와 배출관 사이와, 상기 돌출턱과 지지부 사이에는 오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n o-ring is provided between the sealing portion and the discharge pipe, and between the protruding jaw and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backwashing simultaneousl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배출관의 하측과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제1격벽과, 상기 제1격벽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의 상측과 탈칙식으로 결합하는 제2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2격벽은 필터의 내부로 밸러스트수가 유입도록 하는 밸러스트수유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외측면 상측에서 돌출되는 돌출결합편을 포함하여, 상기 배출관의 상측이 상기 밸러스트수유입공에 수용되며 상기 돌출결합편이 상기 제2격벽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ody includes a first partition wall detachably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discharge pipe, and a second partition wall formed above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coupled with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pipe in a de-
Wherein the second partition wall includes a ballast water feeding hole for allowing ballast water to flow into the filter, and the discharge pipe includes a projecting engagement piece project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ide,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pipe is accommodated in the ballast- And the protruding engagement piece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imultaneous backwash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결합편과 상기 제2격벽은 체결수단에 의해 탈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protruding engagement piece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are detachably connected by a fastening means.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imultaneous backwash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세척부는 상기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흡입부는 상기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봉이 연결되어 흡입봉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으로 작용하는 코어의 일측에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가 바디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코어의 하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흡입봉이 바디에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으로 하는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utomatic clean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unit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filter. The suction unit is connected to a suction rod for sucking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filter, Wherein the stopper restricts movement of the core to the lower side when the stopper is in contact with the body, thereby preventing the suction rod from being damaged by being hitting against the body, there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backwashing of the multi- Filtr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세척부는 상기 필터에서 제거된 이물질의 배출통로가 되는 배출관을 가지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배출관의 하측에 연결되는 제1격벽과, 상기 제1격벽과 상기 바디의 최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과 연통되어 상기 필터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역세후실을 포함하여, 상기 배출관의 길이가 짧고 절곡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어 상기 배출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tomatic cleaning unit includes a discharge unit having a discharge pipe serving as a discharge passage for the foreign matter removed from the filter,
The body may include a first partition wall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discharge pipe and a second partition wall form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and a lower surface forming a lowermost surface of the body to temporarily receive foreign matter removed from the filter, Wherein the outlet pipe is formed to have a short length and is not bent so that the outlet pip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logged, including a backwash chamb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는
상기 바디의 하부면에 연결되며 상기 역세후실에 연통되어 이물질을 상기 바디의 외부로 배출하는 역세척라인을 추가로 포함하여, 선박 내 공간효율성을 높이고 간단한 구조를 이룰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12. Th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multi-
And a backwashing line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backwash chamber to discharge foreign matter to the outside of the body, thereby improving the space efficiency in the ship and achieving a simple structure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system for automatic control of washing.
밸러스트수가 유출입되는 유입부와 유출부를 가지는 바디 내에 다수의 여과유닛이 패키지화되어 연결된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서의 여과과정에 있어서,
바디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여과처리된 밸러스트수가 저장된 바디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측정단계와;
상기 다수의 여과유닛 중 일부의 여과유닛에 설치되는 제2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2압력센서가 설치된 각 여과유닛의 필터 내부의 압력을 개별적으로 측정하는 제2압력측정단계와;
상기 제2압력측정단계에서 측정된 각 여과유닛의 필터 내부의 압력과 상기 제1압력측정단계에서 측정된 바디 내부의 압력을 비교하여 일정 범위를 초과하는 차압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여과유닛의 모든 자동세척부를 구동시키는 동시 역세척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필터의 역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서의 동시 역세척 자동제어방법.
In a filtration process i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are packaged and connected in a body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ballast water flows in and out,
A first pressure measuring step of measuring a pressure inside the body of the stored ballast water filtered using a first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a pressure inside the body;
A second pressure measurement step of separately measuring pressures in the filters of the respective filtration units provided with the second pressure sensor using a second pressure sensor installed in a filtration unit of a part of the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Wherein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filter of each filtration unit measured in the second pressure measuring step and the pressure inside the body measured in the first pressure measuring step are compared and a differential pressure exceeding a certain range is generated, And a simultaneous backwashing step of driving all of the automatic washing units to improve the backwashing efficiency of the filt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력센서는
여과장치의 사용시 높은 필터 내부의 압력을 가지는 여과유닛순으로 일정 개의 여과유닛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여과유닛에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에서의 동시 역세척 자동제어방법.
14. The apparatus of claim 13, wherein the second pressure sensor
Wherein a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are selected in the order of filtration units having a pressure inside a high filter when the filtration apparatus is used, and are installed only in the selected filtration unit.
KR1020140034247A 2014-03-24 2014-03-24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auto―controlling simultaneously back―washing and method thereof KR1018385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247A KR101838593B1 (en) 2014-03-24 2014-03-24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auto―controlling simultaneously back―washing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247A KR101838593B1 (en) 2014-03-24 2014-03-24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auto―controlling simultaneously back―washing and method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933A Division KR101394227B1 (en) 2012-08-17 2012-08-17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auto―controlling simultaneously back―washing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063A true KR20140053063A (en) 2014-05-07
KR101838593B1 KR101838593B1 (en) 2018-04-27

Family

ID=50886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247A KR101838593B1 (en) 2014-03-24 2014-03-24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auto―controlling simultaneously back―washing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59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4014A1 (en) * 2014-10-22 2016-04-28 한라아이엠에스 주식회사 Electrolysis apparatus having chamber for washing
CN106823528A (en) * 2017-02-23 2017-06-13 天津大学 Using the filter method and device of soft fiber Shu Gaishan water qualit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9143B2 (en) * 2003-01-30 2009-08-05 株式会社いけうち Automatic filter clean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4014A1 (en) * 2014-10-22 2016-04-28 한라아이엠에스 주식회사 Electrolysis apparatus having chamber for washing
CN106823528A (en) * 2017-02-23 2017-06-13 天津大学 Using the filter method and device of soft fiber Shu Gaishan water qua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593B1 (en) 2018-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227B1 (en)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auto―controlling simultaneously back―washing and method thereof
KR101287122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auto-controlling successively back-washing and Method thereof
KR101287144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preventing a formation of back-pressure
JP5833243B2 (en) Compact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ration device that improves operability
KR101838593B1 (en)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auto―controlling simultaneously back―washing and method thereof
KR101335309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improving durability of back-washing line
KR101381892B1 (en)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having the space stored temporarily back-washing water
KR101394229B1 (en)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having discharge pipe which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KR101741153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compacted and superior in operating efficiency
KR101409968B1 (en) Smart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with function of controlling flow-quantity of back-flushing water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287116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improving back washing efficiency of filter
KR101741156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preventing a formation of back-pressure
KR101748741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auto-controlling successively back-washing
KR20140053062A (en)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having discharge pipe which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KR101748744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improving durability of back-washing line
KR101238774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having dual safety structure
KR101748751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having a filter airtight-improvement structure
KR101748736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improving back washing efficiency of filter
KR101748742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preventing a corrosion in body
KR101287080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preventing a corrosion in body
KR101287132B1 (en) A Multi-Cage Type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having a filter airtight-improvemen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