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856A -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856A
KR20140052856A KR1020130125353A KR20130125353A KR20140052856A KR 20140052856 A KR20140052856 A KR 20140052856A KR 1020130125353 A KR1020130125353 A KR 1020130125353A KR 20130125353 A KR20130125353 A KR 20130125353A KR 20140052856 A KR20140052856 A KR 20140052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user
terminal
databas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5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기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워드에스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워드에스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워드에스앤에스
Priority to PCT/KR2013/00943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65569A2/ko
Publication of KR20140052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은 광고 및 목표 대상자들에 관한 속성 정보를 저장하는 광고 데이터베이스와 인구통계 데이터를 각각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파일들을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단말기는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광고를 표시하기에 적합한 응용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서버는 광고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신분을 식별하기 위해 접속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이 속성 정보와 부합하는 경우 단말기가 광고를 표시하도록 응용 소프트웨어를 경유하여 광고 데이터베이스와 단말기 사이에 통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및 방법{Targeted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 accessing user to an advertisement}
본 발명은 타겟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키워드 광고에서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키워드 광고에서 웹브라우저로부터 또는 단말기상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키워드를 입력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하고, 등록 광고주에 의해 미리 설정된 목표 대상자들에 관한 속성 정보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키워드 입력에 응답하여 광고를 단말기 또는 웹서버에 제공하는 타겟 광고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광고주들과 광고 담당자들의 주된 관심사는 자신들이 광고하는 광고가 소비자들의 관심을 유도하여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광고를 보게 하는 것과 광고에 지출되는 비용에 비해 광고 효과가 얼마나 높은가 하는 것, 그리고 광고 비용의 최소화이다.
온라인 광고는 해마다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다양한 온라인 광고 기법들이 속속들이 등장하고 있다. 온라인 광고 기법 중의 하나가 키워드 광고(keyword advertising)인데 이는 검색 상자(search box)에 입력된 특정 단어(키워드)에 표적이 맞추어진 검색 광고를 표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광고주가 '컴퓨터'라는 검색어와 연관하여 자신의 광고를 인터넷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등록한 경우, 사용자가 인터넷 검색 서버에 접속하여 '컴퓨터'라는 검색어를 입력하면 검색어와 관련된 광고를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 표시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키워드 광고의 경우, 키워드 검색에 따른 결과 표시되는 광고는 검색 사용자의 관심사와는 무관한 것일 수 있으며 또한 광고주와 검색 사용자 사이에는 상호 이익을 최대화할 수 있는 아무런 연관이 없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특히 광고주가 특정 광고 시청자들을 겨냥한 타겟 광고의 경우 키워드 광고가 검색 사용자의 일정한 신분까지를 확인해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검색 결과 표시되는 광고를 시청하는 사용자(소비자)는 광고주가 원하는 목표 대상자(target audience)가 아닐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클릭에 따른 광고비만 지출될 뿐 광고주가 원하는 타겟 광고의 목적은 달성할 수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웹 서버에서 이루어지는 키워드-타겟 광고 뿐만 아니라 특정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한 키워드-타겟 광고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광고주의 입장에서는 불필요한 클릭으로 인한 광고 비용 지출을 방지하면서 타겟 광고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들의 무분별한 접속에 따른 광고비 발생을 방지하면서도 타겟 광고 효과를 최대한 높일 수 있는 타겟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고에 접속하는 사용자들의 신분을 광고에 접속하기 전에 미리 확인, 식별함으로써 원하지 않는 사용자들이 광고에 접속하는 것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타겟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키워드 광고와 사용자들의 신분을 식별할 수 있는 타겟 광고를 결합할 경우 키워드를 이용하는 검색 사용자와 광고주가 원하는 목표 대상자 사이에 발생하는 불일치를 제거함으로써 정밀한 타겟 광고를 달성할 수 있는 타겟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버나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통해서 광고에 접속하는 사용자들의 신분을 식별함으로써 원하거나 원하지 않는 사용자가 광고에 접속하는 것을 파악하여 광고 노출 여부를 결정하는 타겟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응용 소프트웨어가 서버에서 구동되는 경우에는 서버에 의해 사용자들의 신분이 식별되며 단말기들에서 구동되는 경우에는 서버와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제어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고를 시청하는 사용자들에게 적절한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들의 신분 식별에 따른 거부감 등의 부작용을 방지하고 사용자들의 참여를 높이는 타겟 광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은 광고 및 목표 대상자들에 관한 속성 정보를 저장하는 광고 데이터베이스, 및 인구통계 데이터를 각각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파일들을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단말기에는 응용 소프트웨어가 설치되는데 이 응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단말기는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광고를 표시하게 된다. 서버는 상기 응용 소프트웨어를 경유하여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단말기 사이에 통신을 제공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광고를 표시하게 되는데, 이런 통신 제공은 상기 광고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신분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접속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이 상기 속성 정보와 부합하는 경우에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방법은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에 연결되는 서버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응용 소프트웨어를 복수의 단말기들에 배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을 통해 회원들을 모집하여 모집된 회원들 각각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광고 및 목표 대상자들에 관한 속성 정보를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들에 배포된 상기 응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상기 광고에 접근하는 접속 사용자들의 사용자 프로파일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접속 사용자들의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들이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속성 정보와 부합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사용자들의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들 중에서 상기 속성 정보와 부합하는 사용자 프로파일들을 전송한 단말기들에만 상기 광고를 전송하는 단계.
본 발명의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들이 광고에 접속하기 전에 미리 사용자들 각각의 신분을 확인,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한 타겟 광고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광고비의 효율적 사용과 함께 불필요한 광고비 지출의 방지로 이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타겟 광고 시스템을 키워드 광고와 결합할 경우 키워드를 이용하는 검색 사용자와 광고주가 원하는 목표 대상자 사이에 발생하는 불일치를 제거함으로써 정밀한 타겟 광고를 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자연스럽게 원하지 않는 검색 사용자들의 클릭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광고 비용을 차단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타겟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보상을 더 제공함으로써 광고 시청전 신분 확인에 따른 불쾌감이나 거부감 등을 방지하는 한편 광고에의 참여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2는 도1의 시스템에서 단말기에 설치된 응용 소프트웨어를 보여주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 윈도(window)로서 이를 통해 사용자는 광고 서버와 통신하게 된다.
도3a∼3b는 도2에서 가입하기를 선택한 경우 나타나는 화면을 보여주는 GUI 윈도이다.
도4는 도2에서 로그인하거나 도3에서 신규 가입한 사용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등록광고 분류 목록에 대한 GUI 윈도이다.
도5는 사용자가 도4의 등록광고 분류 목록에서 하나의 항목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광고 영상의 예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이 어떻게 실행되는가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으로서 여기서는 단말기에 응용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지 않고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들과 광고 서버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타겟 광고 시스템은 단말기(100)와 광고 서버(200)를 포함하며, 광고 서버(200)는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220) 및 광고(212)와 속성 정보(214)와 등록광고 분류 목록(216)을 가지는 광고 데이터베이스(210)를 포함한다. 광고 서버(200)는 광고를 시청한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보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보상 데이터베이스(230)를 더 포함한다. 단말기(100)와 광고 서버(200)는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도시 않음)에 의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서로 연결이 되며, 단말기(100)는 광고 서버(200)와 데이터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입력 수단, 디스플레이 화면, 및 메인 메모리와 CPU와 같은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말기의 예로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tablets)과 같은 모바일 장치(mobile devices)를 열거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기(100)는 광고 서버(200)에 사용자 프로파일(user profile) 정보를 송신하며 광고 서버(200)는 광고 정보를 단말기(100)에 송신한다. 광고 정보는 후술하는 광고(212)와 보상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기(100)는 광고 서버(200)로부터 내려받기하여(download) 설치된 응용 소프트웨어(application software)(110)을 통해 광고 서버(200)와 통신한다.
광고 데이터베이스(210)에는 광고주들로부터 제공된 광고와 관련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데, 광고(212)는 각 광고주들이 사용자들(소비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광고문구, 사진, 그림, 또는 동영상 등(즉 광고 내용)을 포함한다. 속성 정보(attribute information)(214)는 광고주들이 각자의 광고를 노출시킬 목표 대상자들(target audiences)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어떤 광고주가 자신의 광고를 시청할 목표 대상자들과 관련하여 성별, 연령, 또는 지역 등을 지정하고자 원할 경우 그 광고주는 여성이고 20∼30대이며 인천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목표 대상자들로 지정하여 광고 서버(200)에 제시하게 된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20)는 사용자들의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user profile)은 사용자들 각각의 개인 정보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 및 이메일과 함께 인구통계 데이터(demographic data)를 포함한다. 이 가운데 사용자 이름이나 비밀번호 또는 이메일은 광고 서버(200)에 로그인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정보이며, 인구통계 데이터로는 성별, 연령, 지역, 교육, 직업, 소득, 기호, 또는 결혼여부 등을 열거할 수 있을 것이다.
도1과 함께 도2를 참조하면, 도2는 도1의 시스템에서 단말기에 설치된 응용 소프트웨어를 보여주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 윈도(window)로서 이 응용 소프트웨어(110)를 통해 사용자는 광고 서버(200)와 통신하게 된다. 응용 소프트웨어(110)는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웹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소프트웨어(110)를 실행시켜 광고 서버(200)에 접속하게 되는데 윈도(250)는 사용자가 응용 소프트웨어(110)를 실행시켰을 때 처음으로 마주치게 되는 화면이다. 왼쪽 끝에 있는 상자(box)(252)는 광고 영상이나 공지 사항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회원인 경우 문자 상자(254)에는 사용자 이름을, 문자 상자(256)에는 비밀번호를 입력한 다음 로그인 버튼(258)을 누름으로써 광고 서버(200)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서핑(surfing)할 수 있는 준비를 마치게 된다. 사용자가 비회원인 경우에는 가입하기 버튼(260)을 눌러 회원가입 절차가 진행되게 된다. 사용자가 비회원인 경우에는 검색 상자(262)에 검색어를 입력하더라도 다음 단계로 화면이 넘어가지 않거나 제한된 범위의 정보 내지는 웹 문서만이 단말기(100)에 표시되도록 응용 소프트웨어(110)를 프로그램밍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도3은 도2에서 가입하기를 선택한 경우 나타나는 GUI 윈도이다. 윈도(300)에서 문자 상자들(301 내지 305)에 입력되는 정보들은 개인의 신분을 식별하기 위한 기초적이고도 중요한 정보이며, 이들 정보들은 차후에 광고 서버(200)를 이용하거나 광고 서버(200)로부터 각종 공지 사항을 통지 받거나 경품 등의 각종 행사에 따른 선물 등을 받을 때 필요한 정보들이다. 생일 항목(305)은 기념일 축하를 위한 것이다.
도면부호 307 내지 315로 지적된 항목들은 인구통계 데이터에 해당하는 항목들로서 이들 항목에 입력되는 정보를 기본으로 하여 광고 서버(200)가 사용자들에게 광고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되어 있는 광고(212)를 검색하고 시청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것인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는 점검 상자들(check box)(307,308)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자신의 성별을 입력한다. 연령 항목(309)은 점검 상자로 구성하거나 (도3에서 10대, 20대, 30대, 40대) 아니면 50대(310)와 같이 드롭다운 메뉴(drop-down menu) 등의 메뉴로부터 사용자가 자신의 정확한 나이를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지역·교육·직업·소득 항목들(311, 312, 313, 314) 각각은 사용자가 직접 문자나 숫자 등을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아니면 드롭다운 메뉴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선택하게 할 수도 있고 이 둘을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결혼여부 항목(315)은 점검 상자 중에서 하나에 표시함으로써 수행된다. 그 다음에 가입하기 버튼(316)을 누름으로써 가입하기 절차가 완료된다.
이와 같은 절차를 거쳐 사용자 프로파일이 생성되며 이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들은 사용자들이 광고 서버(200)에 접속하여 검색하거나 광고(212)를 시청하거나 각종 행사에의 참여 등과 관련하여 참여기회를 부여하거나 제한하는 자료로서 본 발명의 타겟 광고 시스템 및 방법에 사용된다. 즉, 광고주가 자신의 광고와 관련하여 광고 시청을 할 수 있는 사람들에 대해서 일정한 자격 요건을 광고 서버(200)에 요청한 경우 이러한 요청에 대해 광고 서버(200)는 속성 정보(214)로서 광고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한다. 광고주가 요청하는 속성 정보로는 성별, 연령, 지역, 교육, 직업, 소득, 기호, 또는 결혼여부 등을 열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하여 광고주는 자신이 원하는 목표 대상자들을 지정하게 된다.
이제 어떤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소프트웨어(110)를 통해 광고 서버(200)에 접속할 경우 광고 서버(200)는 그 사용자로 하여금 회원이면 로그인할 것을, 비회원이면 회원 가입할 것을 권고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광고 서버(200)로부터의 이런 권고를 무시한 경우에는 광고 서버(200)는 사용자에 대해 광고 서버(200)를 이용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함으로써(검색은 진행이 되나 원하는 광고(212)는 단말기(100)에 표시되지 않음 등) 사용자는 직간접적으로 로그인 내지는 회원 가입을 요청받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의 전부 내지는 일부가 광고 서버(200)에 의해 인지가 된다. 즉 기존 회원이면 로그인 정보를 통해서, 신규 회원인 경우 회원가입 절차를 통해서 사용자의 프로파일이 광고 서버(200)에 의해 확인이 되며 이렇게 신분 확인이 완료된 사용자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달성된다. 왜냐하면 사용자 프로파일은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기초 개인정보(즉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 이메일 주소 등)뿐만 아니라 인구통계 데이터(즉 사용자의 성별, 연령, 지역, 교육, 직업, 소득, 기호, 또는 결혼여부 등)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 프로파일에 담겨있는 인구통계 데이터는 광고주들이 자신의 광고와 관련한 목표 대상자들의 속성 정보와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일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어떤 사용자가 광고 서버(200)에 접속하여 광고(212)를 시청하고자 할 때 그 광고(212)에 광고주가 요청한 속성 정보(214)가 링크되어 있다면 광고 서버(200)는 그 속성 정보(214)를 참조하여 접속한 당해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로 연결되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20)를 검색하게 된다. 검색 결과 당해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담긴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속성 정보(214)와 일치하면 광고 서버(200)는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212)를 사용자의 단말기(100)에 표시하게 된다. 만약 일치하지 않는다면 당해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212)는 단말기(100)에 표시되지 않을 것이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속성 정보(214)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광고 서버(200)가 단말기에 표시하지 않는 정보는 광고(212)이지 반드시 다른 정보까지도 모두 차단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즉 일반적인 검색 결과까지도 제한 내지 차단을 하게 되면 사용자들의 참여 기회를 지나치게 제한하게 되고 이것은 사용자들의 무관심으로 이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속성 정보(214)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가 일치하지 않더라도 직접적인 광고(212) 시청이 아닌 일반적인 검색에 따른 결과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표시될 것이며, 특히 광고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광고 분류 목록(도4 참조)과 같은 검색을 위한 유용하고도 기본적인 정보는 사용자가 자신의 신분 확인 여부와 무관하게 자유로이 검색하여 열람할 수 있다. 즉 검색과 그 검색 결과, 등록광고 분류 목록과 같은 기본 정보는 속성 정보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의 부합 여부에 무관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 운영상의 필요에 따라 검색이나 기본 정보에 대한 접근은 신분 확인 없이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키워드 광고와 결합되었을 때 더욱 그 진가를 발휘하게 된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나 경험적으로나 검색 사용자들은 일정한 필요에 의해 소정의 키워드로 검색을 진행하게 되며, 따라서 검색 광고가 표시되었을 때 그 광고에 대한 관심도가 단순히 사이트나 서버에 방문하거나 서핑을 즐기는 사람들에 비해 높기 때문이다. 특히 어떤 웹 사이트나 서버에서 다루는 주제가 한 두개 정도에 집중되어 있을 경우에는 검색 사용자가 웹 페이지에 표시되는 광고에 집중하는 정도는 그만큼 증가하게 된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광고 서버(200)에서와 같이 광고 및 광고와 관련된 주제만을 전문으로 다루는 경우 사용자가 광고에 대해 보여주는 관심도는 매우 높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광고에 접속하는 사용자들로 하여금 광고 서버(200)에 접속 시 로그인하거나(기존 회원) 회원 가입할(신규 회원) 것을 요청하기 때문에 일단 광고 서버(200)에 접속한 사용자가 광고 내지는 광고와 관련한 사항들에 관심을 보이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들 사용자들은 처음부터 광고라는 특정 주제와 관련한 목적을 가지고 서버에 접근했기 때문이다. 나아가 현재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소프트웨어(110)를 통해 광고 서버(200)에 접속하는 경우 검색 사용자들의 광고에 대한 관심도는 관심을 넘어 일정한 목표 지향적이게 된다. 그러므로 광고주들이 광고 서버(200)에 게재하는 광고들에 대한 시청률은 높을 것이며, 특히 광고주가 자신이 원하는 목표 대상자들을 설정한 경우에 그 광고주는 자신의 제품에 대한 시청자들의 속성이나 특징까지를 반영할 수 있는 광고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런 경우 얻게 되는 광고 효과는 광고주에게는 매우 만족할 만한 것이 될 것이며 결과적으로 무분별한 광고에의 클릭으로 인한 비용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광고 서버(200)는 광고를 시청한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보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보상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광고 서버(200)에 접속하여 광고(212)를 시청하려면 상술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신분 확인 절차(로그인 또는 회원 가입)를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절차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면 광고 서버(200)에의 접속에 대한 거부감이나 불쾌감을 유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광고 시청자들에게 제공되는 보상은 이러한 성가신 신분 확인 절차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한편 광고 서버(200)와 광고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광고들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유도하는 촉매가 된다. 즉 보상은 사용자들의 목표 지향성을 높이는 수단이 되는 것이다.
보상은 광고(212)를 시청한 사용자들에게 일괄적으로 일정한 액수의 금전을 지급하거나 포인트를 적립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광고(212)의 시청 후에 일정한 과업(task)이 부과되어 광고를 시청한 사용자가 이 과업을 수행한 경우 보상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보상 자체는 일정한 액수의 금전을 일괄 지급하는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아니면 과업을 수행한 사용자들 중에서 추첨 등에 의해 한 명이나 그 이상의 우승자를 선정하여 현금이나 경품, 포인트 등의 상(prize)을 지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보상 정보는 보상 그 자체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보상을 지급하는 방식이나 절차에 관한 정보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과업은 온라인 쇼핑, 설문조사에의 참여, 또는 회원 소개 등을 열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도4를 참조하면, 도4는 도2에서 로그인하거나 도3에서 신규 가입한 사용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등록광고 분류 목록에 대한 GUI 윈도이다. 등록광고 분류 목록(216)은 광고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되어 있는 광고(212)가 많을 경우 사용자가 쉽게 자신이 원하는 광고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윈도(400)에서 풀다운 메뉴(pull-down menu)의 전체보기 항목(401)을 클릭하면 등록광고 분류 목록(216) 전체에 대한 윈도가 표시된다. 전체 목록 윈도(도시 않음)에서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면 그 하위 메뉴가 나타나게 되며 필요에 따라 하위 메뉴의 하위 메뉴가 나타나게 된다.(410 참조) 이와 같이 전체 메뉴는 계층 구조로 편성이 된다. 나머지 항목들(402 내지 409)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구성된다. 만약 사용자가 가전·컴퓨터·디지털 항목(407)을 선택하면 하위 메뉴를 나타내는 윈도(410)가 표시되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최종 항목을 선택하게 된다. 물론 등록광고 분류 목록을 구성하는 항목들은 선택에 의해 해당 광고(212)로 직접 연결이 되는 것 이외에도 광고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기타 사항들도 메뉴 항목으로 열거할 수 있다.
도5는 사용자가 도4의 등록광고 분류 목록에서 하나의 항목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광고 영상의 예로서 사용자가 등록광고 분류 목록(216)에서 컴퓨터(412) 관련 항목을 선택한 경우의 광고 영상을 보여주고 있다.
도6을 참조하면,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처리절차는 단계(601)에서 시작되어 단계(603)에서 응용 소프트웨어(110)를 단말기들(100)에 배포한다. 배포를 위해 웹 사이트에 배너 광고를 게재하거나 이메일 발송, 이메일 잡지(e-mail magazine) 등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단계(605)에서 단말기들(100)에 배포된 응용 소프트웨어(110)를 통해 광고 서버(200)의 회원을 모집하여 사용자 프로파일들을 생성한다. 사용자 프로파일은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 및 이메일 주소와 같은 기초적인 정보 이외에 성별, 연령, 지역, 교육, 직업, 소득, 기호, 또는 결혼여부 등의 인구통계 데이터로 구성된다. 생성된 사용자 프로파일들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다.
그 다음에 단계(607)에서 광고주들로부터 광고(212) 및 목표 대상자들에 관한 속성 정보(214)를 수집한다. 속성 정보(214)는 광고주가 자신의 광고를 시청할 대상자들의 범위를 일정하게 제한하기 위한 변수들로서 통상적으로 성별, 연령, 지역, 교육, 직업, 소득, 기호, 또는 결혼여부 등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속성 정보와 사용자 프로파일을 구성하는 인구통계 데이터는 서로 연관이 되어 있다. 생성된 광고(212) 및 속성 정보(214)는 광고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다.
단계(609)에서 단말기들(100)에 배포된 응용 소프트웨어(110)를 통해 광고 데이터베이스(210)의 광고(212)에 접속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하여 접속하는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한다.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는 기존 회원인 경우에는 로그인 정보를 통해서, 비회원인 경우에는 신규가입 절차를 통해서 확보하게 된다.
그 다음 단계(611)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212)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615)로 이동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가 목표 대상자들의 속성 정보(214)와 부합하는가에 대해 연속하여 판단한다. 부합하는 경우 그 다음 단계(619)로 이동하여 그 광고(212)에 보상이 제공되는가에 대하여 판단한다. 대답이 YES이면 단계(623)으로 이동하여 단말기(100)로 광고(212)와 함께 보상 정보를 제공한다. 이제 사용자는 광고(212) 시청뿐만 아니라 보상 정보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필요한 경우 일정한 과업을 수행하게 된다.
만약 단계(611)에서 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212)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613)으로 이동하여 시청하고자 하는 광고가 없음을 사용자 단말기(100)에 통지한다. 그리고 단계(615)에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가 속성 정보(214)와 부합하지 않을 때에는 단계(617)로 진행하여 시청하고자 하는 광고에 제한이 있음을 사용자 단말기(100)에 통지한다. 광고에 보상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619)에서 단계(621)로 이동하여 단말기(100)에 광고(212)만을 제공한다. 이렇게 하여 처리절차가 종료된다(단계 625).
지금까지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을 도7에 나타낸 실례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이 어떻게 실행되는가를 보여주기 위한 표이다.
도7을 참조하면, 로그인 정보(710)에서 사용자 이름(user name 또는 ID) (711)은 편의상 방문객1 (713), 방문객2 (715) 등으로 표기하며, 비밀번호(712)도 편의상 비번1 (714), 비번2 (716) 등으로 표기한다. 먼저 어떤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소프트웨어(110)을 실행시키게 되면 그 사용자는 도2에 도시한 것과 같은 GUI 윈도(250)와 마주치게 된다. 당해 사용자가 회원인 경우에는 로그인 정보(710)로서 사용자 이름(도2의 254, 도6의 711)에는 방문객1 (713)을 비밀번호(도2의 256, 도6의 712)에는 비번1 (714)을 입력하며, 비회원인 경우에는 가입하기(도2의 260)를 눌러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한다(도3). 이렇게 하여 당해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720)가 광고 서버(200)에 의해 인지된다. 즉 광고 서버(200)는 방문객1이 회원인 경우에는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20)를 검색함으로써 신분 확인을 실행하며, 신규가입 회원인 경우에는 가입과 동시에 신분확인이 이루어지며 개인 정보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20)에 사용자 프로파일로서 저장된다. 신분 확인이 이루어진 방문객1은 광고 서버(200)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볼 수 있게 된다.
이제 방문객1이 단말기(100)의 검색 상자(262)에 예를 들어 '컴퓨터'를 검색어로 입력한 경우 광고 서버(200)는 광고 데이터베이스(210)를 검색하여 '컴퓨터'에 관계된 광고들을 찾는다. 광고 서버(200)는 검색된 광고들이 목표 대상자들에 관한 속성 정보(214)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계속해서 광고 데이터베이스(210)를 검사한다.
검색된 광고들 중 전부 또는 일부가 속성 정보(214)를 포함하고 있으면 광고 서버(200)는 속성 정보(214)를 가지고 있는 광고와 관련하여 당해 광고를 검색한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20)에서 추가적으로 검사한다. 이 속성 정보(214)는 광고주가 자신의 광고를 시청하기 원하는 대상자들에 관한 특징을 표현한 것이므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가 속성 정보와 부합해야 광고를 검색한 사용자는 당해 광고를 시청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앞서 로그인이나 회원가입을 통해서 방문객1의 기초적인 개인정보(사용자 이름이나 비밀번호 등)는 파악이 되었지만 도7의 첫 번째 예가 보여주듯이 광고주들이 원하는 속성 정보(214)는 기초적인 개인정보와는 일치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광고 서버(20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20)를 추가적으로 검색함으로써 방문객1의 인구통계 데이터에 해당하는 남자이고 22세이며 서울에 거주한다는 추가적인 신분 확인이 이루어진다. 물론 방문객1에 관한 다른 인구통계 데이터도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20)에 존재하지만 여기서는 광고주가 제시하는 목표 대상자 정보(730)에 맞추어 설명의 편의상 3가지 데이터만 열거하였다.
도7의 첫 번째 예에서 목표 대상자 정보 즉 속성정보(730)는 남자이고 20∼30세이며 서울에 거주하는 사람에 대해 정하고 있다. 한편 방문객1은 남자 - 22세 - 서울이라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방문객1은 광고주가 요구하는 목표 대상자에 해당하므로 광고 서버(200)는 해당 광고를 방문객1의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표시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회원인 다른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100)를 통해 로그인 정보(710)로서 방문객2 (715)를 사용자 이름(711)으로 입력하고, 비번2 (716)를 비밀번호(712)로 입력하여 광고 서버(200)에 접속하게 되면 광고 서버(200)는 그 로그인 정보로부터 기초적인 사용자 신분을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이제 방문객2는 광고 서버(200)에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시청하고 각종 행사 등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방문객2가 '화장품'을 검색어로 검색하여 검색된 광고(212)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만약 해당 광고가 광고주가 정하는 목표 대상자들에 관한 정보 즉 속성 정보(214)와 연결되어 있다면, 광고 서버(200)는 광고 데이터베이스(210)를 검색하여 속성 정보(214)를 구성하고 있는 항목들을 확인한다. 그리고 광고 서버(200)는 계속해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20)를 검색하여 방문객2에 관한 사용자 프로파일을 추가적으로 검색하여 속성 정보(214)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가 서로 부합하는지에 대해 비교한다.
두 번째 예에서 광고주가 제시한 목표 대상자들에 관한 정보 즉 속성 정보(214)는 여 - 10∼20세 - 인천에 대해 정하고 있으며, 한편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는 여 - 30세 - 인천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여기서 속성 정보(214)와 방문객2의 프로파일은 연령에서 서로 부합하지 않으며 따라서 방문객2는 해당 광고를 시청할 수 없게 된다.
도7에서 예시한 두 가지 예들은 논리곱(logical product)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을 진행하였다. 즉 속성 정보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가 서로 완전히 일치하는 경우에만 사용자가 광고를 시청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 설명을 하였다. 이와는 달리 논리합(logical sum)을 적용시킬 경우에는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참일 때는 참이 되므로 속성 정보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가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광고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즉 논리합을 적용시키게 되면 도7의 두 번째 경우에도 방문객2는 광고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제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앞의 실시예와는 달리 단말기에 응용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지 않고 단말기들은 통신망을 통해 광고 서버와 직접적으로 통신을 실행하게 된다. 상세한 것은 위에서 설명했으므로 여기서는 특히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800)은 광고 서버(820), 단말기들(860, 862, 864), 및 이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인터넷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870, 872, 874)를 포함한다. 광고 서버(820)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되는 단말기들(860, 862, 864)에 광고 서버(820)에 저장되어 있는 광고(832) 및 광고와 관련된 웹 페이지를 전달한다. 광고 서버(820)는 광고 데이터베이스(830), 사용자 데이터베이스(840), 및 보상 데이터베이스(850)를 포함하며, 광고 데이터베이스(830)은 광고(832), 속성 정보(834), 및 등록광고 분류 목록(836)을 포함한다.
단말기들(860, 862, 864)로는 개인용 컴퓨터나 데스크탑 컴퓨터(860, 862), 노트북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장치(864)를 열거할 수 있을 것이다.
광고 데이터베이스(830)에는 광고주들로부터 제공된 광고(832)가 저장되어 있는데 광고주들이 사용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광고문구, 사진, 그림, 또는 동영상 등(즉 광고 내용)을 포함한다. 속성 정보(attribute information) (834)는 광고주들이 각자의 광고를 노출시킬 목표 대상자들(target audiences)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속성 정보(834)로는 성별, 연령, 지역, 교육, 직업, 소득, 기호, 또는 결혼여부 등을 열거할 수 있을 것이다. 등록광고 분류 목록(836)은 광고 데이터베이스(830)에 저장되어 있는 광고들(832)에 대해 사용자들이 GUI 윈도를 통해 메뉴 가운데 특정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쉽게 자신들이 원하는 광고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840)는 사용자들의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user profile)은 사용자들 각각의 개인 정보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 및 이메일과 함께 인구통계 데이터(demographic data)를 포함한다. 이 가운데 사용자 이름이나 비밀번호 또는 이메일은 광고 서버(820)에 로그인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정보이며, 인구통계 데이터로는 성별, 연령, 지역, 교육, 직업, 소득, 기호, 또는 결혼여부 등을 열거할 수 있을 것이다.
광고 서버(820)는 광고(832)를 시청한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보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보상 데이터베이스(850)를 더 포함한다. 보상은 사용자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서버(820)에서 제공하는 광고들에 대한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수단이다.
사용자들은 단말기들(860, 862, 864)을 통해 광고 서버(820)에 접속하게 되는데 사용자들은 자신들의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웹 브라우저나 웹 사이트를 이용하여 광고 서버(820)에 접속하게 된다. 즉 사용자들은 웹 사이트를 방문하여 웹 브라우저의 검색 상자에 검색어를 입력하게 되면 키워드 광고 방식에 의해 광고 서버(820)로 연결이 된다.(물론 이는 광고 서버(820)가 해당 웹 사이트에 키워드 광고를 등록한 상태임을 가정한 것이다.) 아니면 사용자들은 자신들의 단말기에 설치된 브라우저에 광고 서버(820)의 URL을 입력함으로써 광고 서버(820)에 연결이 된다.
이렇게 광고 서버(820)에 접속이 된 사용자들은 현재 자신들이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에 표시된 광고 서버(820)의 웹 페이지를 통해 원하는 광고(832)나 등록광고 목록(836)이나 다른 항목들을 검색하고 시청하고 행사 등에 참여하게 된다. 도1 내지 도7과 관련하여 위에서 상술한 것처럼 광고 서버(820)는 접속한 사용자들이 광고 서버(820)의 웹 페이지들을 이용하기 전에 로그인할 것을 요청하게 되며 사용자들이 로그인할 때 얻어지는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신분이 확인이 되고 따라서 그 사용자는 광고 서버(820)를 이용할 참여 기회를 얻게 된다. 만약 접속한 사용자가 비회원인 경우에는 회원가입을 요청받게 되고, 회원가입 절차를 통해 신분 확인이 이루어져 광고 서버(820)를 이용하게 되며 가입 시 획득된 사용자 프로파일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840)에 저장된다.
참여 기회를 얻은 사용자가 검색에 의해서(키워드 광고인 경우) 또는 검색에 의하지 않고 광고 서버(820)가 제공하는 광고(832)를 시청하고자 할 때, 만약 당해 광고가 광고주가 정한 목표 대상자들에 대한 속성 정보(834)에 대한 링크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광고 서버(820)는 광고 데이터베이스(830)를 검색하여 속성 정보(834)를 확인한다. 즉 광고주가 목표 대상자들의 속성과 관련하여 성별, 연령, 지역, 또는 직업 등의 항목과 관련하여 어떤 제한을 두고 있는지 확인한다. 계속해서 광고 서버(82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840)을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에서 사용자의 기초 개인 정보 이외에 인구통계 데이터를 점검한다. 그런 다음 광고 서버(820)는 속성 정보(834)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비교하여 양자가 서로 부합하는지 여부를 점검하여 부합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가 광고(832)를 시청할 수 있게 한다. 만약 합치하지 않는 때에는 시청하고자 하는 광고에 제한이 있음을 해당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광고(832) 시청을 제한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100: 단말기 200: 광고서버
110: 응용 소프트웨어 210: 광고 데이터베이스
220: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230: 보상 데이터베이스
820: 광고서버 830: 광고 데이터베이스
840: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

Claims (34)

  1. 광고 및 목표 대상자들에 관한 속성 정보를 저장하는 광고 데이터베이스;
    인구통계 데이터를 각각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파일들을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광고를 표시하기에 적합한 응용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단말기; 및
    상기 광고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신분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접속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이 상기 속성 정보와 부합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광고를 표시하도록 상기 응용 소프트웨어를 경유하여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단말기 사이에 통신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키워드에 의해 연결되어 표시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에 접속하는 상기 접속 사용자의 신분이 상기 응용 소프트웨어에 로그인할 때 획득되는 로그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접속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연결되어 식별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정보는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포함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광고에 접속하는 상기 접속 사용자의 신분을 식별하기 위한 성별, 연령, 지역, 직업, 소득,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구통계 데이터는 성별, 연령, 지역, 직업, 소득,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는 등록광고 분류 목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속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과 상기 속성 정보와의 부합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등록광고 분류 목록을 상기 단말기에 표시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광고 분류 목록은 하위 메뉴를 포함하는 계층구조로 이루어진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메뉴의 메뉴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메뉴 항목에 해당하는 정보를 상기 단말기가 표시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인터넷 접속 가능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을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를 포함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웹 서버를 포함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버는 상기 광고를 시청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보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보상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정보는 과업과 상을 포함하며, 상기 광고에 접속한 사용자가 상기 과업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보상 정보에서 정하는 절차에 따라 상기 상을 제공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과업은 온라인 쇼핑, 설문조사에의 참여, 또는 회원소개를 포함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14.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에 연결되는 서버를 이용하여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방법으로서,
    응용 소프트웨어를 복수의 단말기들에 배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을 통해 회원들을 모집하여 모집된 회원들 각각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광고 및 목표 대상자들에 관한 속성 정보를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들에 배포된 상기 응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상기 광고에 접근하는 접속 사용자들의 사용자 프로파일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접속 사용자들의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들이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속성 정보와 부합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사용자들의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들 중에서 상기 속성 정보와 부합하는 사용자 프로파일들을 전송한 단말기들에만 상기 광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키워드에 의해 연결되어 표시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에 접속하는 상기 접속 사용자의 신분이 상기 응용 소프트웨어에 로그인할 때 획득되는 로그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접속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연결되어 식별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정보는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포함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광고에 접속하는 상기 접속 사용자의 신분을 식별하기 위한 성별, 연령, 지역, 직업, 소득,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들 각각은 인구통계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인구통계 데이터는 성별, 연령, 지역, 직업, 소득,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인터넷 접속 가능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을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를 포함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는 등록광고 분류 목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속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과 상기 속성 정보와의 부합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등록광고 분류 목록을 상기 단말기에 표시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광고 분류 목록은 하위 메뉴를 포함하는 계층구조로 이루어진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메뉴의 메뉴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메뉴 항목에 해당하는 정보를 상기 단말기가 표시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방법.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버는 상기 광고를 시청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보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보상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정보는 과업과 상을 포함하며, 상기 광고에 접속한 사용자가 상기 과업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보상 정보에서 정하는 절차에 따라 상기 상을 제공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방법.
  25.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에 연결되는 서버를 이용하여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으로서,
    광고 및 목표 대상자들에 관한 속성 정보를 저장하는 광고 데이터베이스;
    인구통계 데이터를 각각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파일들을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광고에 접근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신분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접속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이 상기 광고 정보의 상기 속성 정보와 부합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가 상기 광고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단말기 사이에 통신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웹 서버인,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키워드에 의해 연결되어 표시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에 접속하는 상기 접속 사용자의 신분이 상기 서버에 로그인할 때 획득되는 로그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접속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연결되어 식별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광고에 접속하는 상기 접속 사용자의 신분을 식별하기 위한 성별, 연령, 지역, 직업, 소득,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인구통계 데이터는 성별, 연령, 지역, 직업, 소득,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3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는 등록광고 분류 목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속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과 상기 속성 정보와의 부합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등록광고 분류 목록을 상기 단말기에 표시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광고 분류 목록은 하위 메뉴를 포함하는 계층구조로 이루어진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메뉴의 메뉴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메뉴 항목에 해당하는 정보를 상기 단말기가 표시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33.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버는 상기 광고를 시청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보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보상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정보는 과업과 상을 포함하며, 상기 광고에 접속한 사용자가 상기 과업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보상 정보에서 정하는 절차에 따라 상기 상을 제공하는,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KR1020130125353A 2012-10-24 2013-10-21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52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9433 WO2014065569A2 (ko) 2012-10-24 2013-10-22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8334 2012-10-24
KR1020120118334 2012-10-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856A true KR20140052856A (ko) 2014-05-07

Family

ID=50885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353A KR20140052856A (ko) 2012-10-24 2013-10-21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28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900B1 (ko) * 2018-11-27 2019-09-30 주식회사 나눔커뮤니케이션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모바일 타겟팅 광고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900B1 (ko) * 2018-11-27 2019-09-30 주식회사 나눔커뮤니케이션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모바일 타겟팅 광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486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nd delivering media content via the internet
US11321744B2 (en) Viral marketing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distributing advertisement costs for each marketer and filtering out abusing marketer by analyzing behavior of content receiver, and method therefor
JP5429498B2 (ja) 電子プロファイルの開発、格納、使用、およびそれらに基づいてアクション行うためのシステム
US8316020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reating a group profile based on user profile attributes and a rule
US10839424B1 (en) Voice user interface advertising control method
US201301851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social and loyalty platforms
US8725559B1 (en) Attribute based advertisement categorization
US201400400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rganizing and displaying social media content
CA2846353A1 (en) Targeting online ads based on political demographics
JP2011039909A (ja) 提示情報の最適化方法及びシステム
JP6756896B2 (ja) メディアプレーヤデバイスへのディープリンキング
US201502425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osed loop confirmation of user generated content
JP5636082B1 (ja) 広告情報共有システム
Trifts et al. Enhancing digital entertainment through personalization: The evolving role of product placements
JP2010146188A (ja) 音声広告配信装置、音声広告配信システムおよび音声広告配信方法
US10740359B1 (en) Automated persona feature selection
WO2007132753A1 (ja) 広告情報提供用サーバ及びこれを備えた広告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40052856A (ko)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ubicka Personalized information management by online stores in 4c model. Case study
KR20120105582A (ko) 무료쿠폰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04430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2020119485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446463B1 (ko) 짤막뉴스 제공 시스템 및 그의 뉴스 제공 방법
WO2014065569A2 (ko) 광고에의 접속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1437555B1 (ko) e북을 이용한 광고, 메모 및 SNS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