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719A -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719A
KR20140052719A KR1020120119180A KR20120119180A KR20140052719A KR 20140052719 A KR20140052719 A KR 20140052719A KR 1020120119180 A KR1020120119180 A KR 1020120119180A KR 20120119180 A KR20120119180 A KR 20120119180A KR 20140052719 A KR20140052719 A KR 20140052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eiling
opening
light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6002B1 (ko
Inventor
신석호
최재을
지승호
Original Assignee
매인에너지아(주)
최재을
지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인에너지아(주), 최재을, 지승호 filed Critical 매인에너지아(주)
Priority to KR1020120119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002B1/ko
Publication of KR20140052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3Collecting solar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01G9/227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rolled up during non-u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6Conversion of thermal power into mechanical power, e.g. Rankine, Stirling or solar thermal eng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2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using renewable energies, e.g. solar water pump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햇빛을 차단하면서 태양 빛에 의해 전력을 발전시키고 시설 내에 음지식물의 이상적인 생장환경을 조성토록 자동으로 설정유지하여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를 효율적으로 도모함을 제공하도록, 사방이 개방된 구조로 설치되고 내부에 음지식물을 재배할 수 있게 재배공간을 구비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후 및 좌우 측면에 각각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음지식물을 재배가능한 환경을 조성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와 함께 음지식물의 재배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측에서 태양 빛의 투과량을 설정하여 채광을 조절하도록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천정부와; 상기 측벽부 및 상기 천정부를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각각 자동으로 개폐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동개폐부와; 상기 천정부의 상면에 설치되고 태양 빛을 수광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시키는 태양전지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 {Organic Growing Shade Plants Equipment having Solar Generation Uni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햇빛을 차단하면서 태양 빛에 의해 전력을 발전시키고 시설 내에 음지식물의 이상적인 생장환경을 조성토록 자동으로 설정유지하여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를 효율적으로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지식물의 대표적인 인삼은 오가피과의 다년생(多年生) 작물로서 뿌리의 모양이 사람과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예로부터 인삼은 원기를 보하고 신체허약이나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설사에 유효한 약효로 쓰이며 폐기능을 돕고 진액을 생성하며 안신작용 및 신기능을 높여 주는 등 뛰어난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아가 인삼은 약리작용으로 대뇌피질흥분과 억제, 평형, 항피로, 항노화, 면역증강, 신장수축, 성선촉진, 고혈당억제, 단백질 합성촉진, 항상성유지, 항암, 해독작용 등이 뛰어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효능 및 작용으로 인해 현재 인삼은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지명도 상승, 국제시장 대형화, 소비자 계층의 다양화로 계속해서 새로운 인삼가공제품의 다양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전체 건강기능성 식품의 판매품목별 여러 관련 식품중에서 단연 홍삼제품이 수위를 차지하고 있다. 여기서 홍삼은 수삼을 쪄서 말린 붉은 빛깔의 인삼으로 주요성분은 사포닌 계열의 물질들로 이미 많은 연구보고를 통해 기능성과 효능이 입증되었으며, 이처럼 인삼은 해당 분야의 경계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연구되어 폭 넓게 사용 및 응용되고 있다.
하지만 인삼은 볕이 잘 들지 아니하는 그늘진 곳에서 성장하는 음지성 작물로서 햇빛에 취약하며, 한 장소에서 오랜 기간 동안 재배되어 병충해 및 생리장해 등의 피해가 크므로 일정한 장소에서 인삼의 재배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인삼 재배시설을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삼 재배시설은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바 그 구조를 간단히 살펴보면, 토양에 복수의 지주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지주들의 상부에 수평하게 프레임이 설치되며, 햇빛을 차단하면서 빗물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프레임 상에 경사지게 차광막이 설치된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인삼 재배시설은 차광률을 조절하기 어려워 인삼재배에 최적인 광도조절이 어려우며, 여름철 폭우와 장마 비에는 차광막이 누수되어 토양과습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지구온난화에 대한 문제와 함께 고유가 등으로 인해 태양광 발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이러한 이유로 기업에서는 대규모의 농지를 구입하여 별도의 태양광 발전소를 설립하고 있는 예가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태양 발전설비를 경작가능한 농지에 설치하는 경우, 그만큼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농지로 사용할 수 없어 식량부족문제를 초래하고 설비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농지가 훼손되어 향후 농사를 지을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청의 공개특허공보 제123130호(2010.11.24.)에는 복수의 지주와, 상기 지주상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태양전지판과,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생성된 전기를 축전하는 축전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태양전지판에 의해 차광된 그늘에서 음지식물을 재배함과 동시에 상기 태양 전지판으로 발전을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지식물 재배용 햇빛 차단 구조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청의 등록특허공보 제1131571호(2012.03.22.)에는 투광창이 형성 되도록 솔라 셀이 배치된 솔라 셀 층; 및 적어도 일부 투광 영역을 포함하는 차광막을 포함하되, 상기 차광막이 투광 위치 및 차광 위치 간을 이동하여 투광량이 변경되는 태양 전지 모듈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 중 공개특허공보 제123130호는 태양전지판에 의해 상부를 완전히 폐쇄시켜 햇빛을 차단한 후 조명 빛에 의해 대신하는 구조로 자연채광을 차단하여 재배환경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등록특허공보 제1131571호는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123130호와 동일하게 차광막을 대신하여 태양전지모듈을 사용하므로 햇빛을 차단과 동시에 전력발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나아가 태양 빛이 부분적으로 유입가능하게 슬라이딩 작동하는 차단막을 구비하는바, 이는 채광을 조절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상의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공개특허공보 제123130호와 등록특허공보 제1131571호는 양자 모두 재배영역의 위쪽을 제외한 나머지 사방이 항상 개방된 상태로 노출되어 인삼을 포함한 음지식물을 생산하는 기간에 빗물의 누수나 폭설, 태풍, 가뭄, 침관수, 온도변화 등의 자연재해에 그대로 방치되므로 음지식물의 재배환경을 최적으로 조성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음지식물인 인삼은 주변의 자연환경적인 여건에 따라 성장조건이 매우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러한 이유로 인삼의 재배과정에서는 농약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다. 즉 인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각종 생리장애 및 병해를 막기 위해 각종 농약의 사용이 빈번하고, 이는 토질변화 및 토양고갈에 따른 문제로 인해 같은 장소에서 인삼을 연속적으로 재배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인삼의 뿌리뿐만 아니라 인삼잎 및 꽃봉오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인삼잎의 조사포닌 함량은 13~18%로 인삼의 뿌리보다 조사포닌의 양이 3~5배나 되고, 화학적 구조도 인삼근과 동일할 뿐만 아니라 인삼뿌리에는 존재하지 않는 다양한 성분들도 존재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인삼잎이 기능성 식품 및 의약적 자원으로서 경제적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배과정에서 살포한 농약에 따른 잔류농약의 문제로 인해 대부분 사료로 사용하거나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가공제품의 개발을 위해 인삼을 비롯한 유기농 음지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재배시설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조감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시설 내 재배공간에 직사광선의 차단 및 일조량에 따른 온도변화와 강우에 맞춰 실시간으로 가변하는 수단을 구축하므로 음지식물의 재배공간에 최적의 생장환경을 조성하는 동시에 일정하게 유지하여 음지식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유기농 음지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햇빛을 차단하는 구조로부터 시설을 구축한 장소에서 태양광에 의해 전력을 발전하는 수단을 구성하므로 간단한 구조를 이루고 음식식물 전용 유기농 상토가 마련된 장소에서 유기농 음지식물을 효율적으로 재배하며 시설의 자가발전을 도모함은 물론 잉여 전력을 전력회사에 판매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은 사방이 개방된 구조로 설치되고 내부에 음지식물을 재배할 수 있게 재배공간을 구비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후 및 좌우 측면에 각각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음지식물을 재배가능한 환경을 조성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와 함께 음지식물의 재배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측에서 태양 빛의 투과량을 설정하여 채광을 조절하도록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천정부와; 상기 측벽부 및 상기 천정부를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각각 자동으로 개폐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동개폐부와; 상기 천정부의 상면에 설치되고 태양 빛을 수광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시키는 태양전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측벽부는 내부 재배공간의 광량이나 온도를 조절하고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2중의 벽막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벽막부재는 한쪽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재배공간의 환기나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비닐막과, 상기 비닐막의 바깥쪽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재배공간의 환기나 광량을 조절가능하게 형성되는 차광막으로 구성한다.
상기 벽막부재에는 상기 비닐막 및 상기 차광막의 개폐시 상하 이동상태를 지지하는 동시에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천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를 폐쇄하고 상기 태양전지부를 지지하는 천정판과, 상기 천정판 상에 상호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고 태양 빛을 투광하여 채광가능하게 구비되는 투명채광창과, 상기 투명채광창을 통해 투광되는 태양 빛을 차단가능하게 상기 천정판의 내측에 설치되고 내부 재배공간의 채광량을 조절하는 채광조절수단으로 구성한다.
상기 채광조절수단은 상기 투명채광창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한쪽 끝단이 힌지축에 의해 고정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채광조절부재와, 상기 채광조절부재의 한쪽을 지지하고 상기 채광조절부재의 개폐각도를 안내하는 레일부재로 구성한다.
상기 자동개폐부는 상기 측벽부 및 천정부가 각각 개폐되도록 구동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지지프레임 내측의 재배공간에 대한 온도를 감지하여 측정하도록 설치되는 온도측정부와, 상기 지지프레임 외부의 강우 여부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강우감지부와, 일조량에 따른 전반적인 시간대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타이머와, 상기 온도측정부와 상기 강우감지부 및 상기 타이머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수단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온도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 온도 미만이면 상기 측벽부의 개폐수단에는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온도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 온도 이상이면 상기 측벽부의 개폐수단에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재배공간을 최적의 온도로 유지하게 형성한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강우감지부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온도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에 관계없이 상기 측벽부 및 상기 천정부의 개폐수단에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강우감지부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온도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에 따라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타이머로부터 감지되는 시간이 설정 시간이면 상기 측벽부 및 상기 천정부의 개폐수단에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함과 동시에 일정한 설정시간 동안을 개방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타이머로부터 감지되는 시간이 설정 시간을 지나면 상기 측벽부 및 상기 천정부의 개폐수단에는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재배공간에 최적의 채광상태로 유지하게 형성한다.
상기 태양전지부는 상기 천정부에 설치되고 태양 빛을 수광하여 발전을 행하는 태양전지판과,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생성된 전기를 충전하는 축전지로 구성한다.
상기 태양전지부의 태양전지판은 상기 천정부 상에 일체형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에 의하면, 시설 내 음지식물의 재배에 필요한 최적의 생장조건을 조성토록 비닐막 및 차광막의 개폐를 자동으로 가변하므로 음지식물재배에 농약사용이 근절된 유기농 음지식물을 재배하고, 음지식물의 효능이 향상된 고품질의 음지식물재배를 도모하며, 음지식물인 인삼의 뿌리는 물론 인삼잎 및 꽃봉오리 등 인삼의 전반적인 부분을 다양한 가공제품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은 음지식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농약사용을 근절하여 토질변화 및 토양의 고갈현상을 방지하고 자연친화적인 국토 및 수자원을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은 햇빛을 차단하는 동시에 차단된 햇빛을 통해 자체전력을 발전시키는 태양전지부를 구성하므로, 음지식물재배의 환경을 조성하는 동시에 태양발전에 따른 잉여전력의 생산을 도모하여 토지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고, 전원공급이 어려운 지역에도 간단한 시설 설비로 음지식물재배 및 태양발전이 가능하며, 음지식물의 재배장소에서 지하수 등을 관수하여 우수한 품질의 유기농 음지식물재배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은 시설의 천정에 태양전지판을 일체형으로 구성하므로, 간단한 구조로 설비가 용이하고 설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측벽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채광조절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본 발명은 사방이 개방된 구조로 설치되고 내부에 음지식물을 재배할 수 있게 재배공간을 구비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후 및 좌우 측면에 각각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음지식물을 재배가능한 환경을 조성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와 함께 음지식물의 재배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측에서 태양 빛의 투과량을 설정하여 채광을 조절하도록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천정부와; 상기 측벽부 및 상기 천정부를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각각 자동으로 개폐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동개폐부와; 상기 천정부의 상면에 설치되고 태양 빛을 수광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시키는 태양전지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는 내부 재배공간의 광량이나 온도를 조절하고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2중의 벽막부재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막부재는 한쪽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재배공간의 환기나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비닐막과, 상기 비닐막의 바깥쪽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재배공간의 환기나 광량을 조절가능하게 형성되는 차광막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막부재에는 상기 비닐막 및 상기 차광막의 개폐시 상하 이동상태를 지지하는 동시에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를 폐쇄하고 상기 태양전지부를 지지하는 천정판과, 상기 천정판 상에 상호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고 태양 빛을 투광하여 채광가능하게 구비되는 투명채광창과, 상기 투명채광창을 통해 투광되는 태양 빛을 차단가능하게 상기 천정판의 내측에 설치되고 내부 재배공간의 채광량을 조절하는 채광조절수단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채광조절수단은 상기 투명채광창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한쪽 끝단이 힌지축에 의해 고정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채광조절부재와, 상기 채광조절부재의 한쪽을 지지하고 상기 채광조절부재의 개폐각도를 안내하는 레일부재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개폐부는 상기 측벽부 및 천정부가 각각 개폐되도록 구동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지지프레임 내측의 재배공간에 대한 온도를 감지하여 측정하도록 설치되는 온도측정부와, 상기 지지프레임 외부의 강우 여부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강우감지부와, 일조량에 따른 전반적인 시간대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타이머와, 상기 온도측정부와 상기 강우감지부 및 상기 타이머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수단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온도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 온도 미만이면 상기 측벽부의 개폐수단에는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온도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 온도 이상이면 상기 측벽부의 개폐수단에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재배공간을 최적의 온도로 유지하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강우감지부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온도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에 관계없이 상기 측벽부 및 상기 천정부의 개폐수단에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강우감지부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온도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에 따라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타이머로부터 감지되는 시간이 설정 시간이면 상기 측벽부 및 상기 천정부의 개폐수단에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함과 동시에 일정한 설정시간 동안을 개방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타이머로부터 감지되는 시간이 설정 시간을 지나면 상기 측벽부 및 상기 천정부의 개폐수단에는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재배공간에 최적의 채광상태로 유지하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부는 상기 천정부에 설치되고 태양 빛을 수광하여 발전을 행하는 태양전지판과,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생성된 전기를 충전하는 축전지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부의 태양전지판은 상기 천정부 상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의 일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과, 측벽부(20)와, 천정부(30)와, 자동개폐부(40)와, 태양전지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설의 전반적인 골조를 이루는 것으로, 내부에 음지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의 재배공간(15)을 구비토록 상호 연결 결합한 구조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음지식물은 내음성이 강하고 음지에서 생육할 수 있는 생장조건을 갖는 인삼을 비롯한 다양한 음지식물을 포함하여 통칭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지면 상에 고정 설치되고, 사방이 개방된 구조 즉 전후 및 좌우의 측면과 상측의 천정면이 모두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본 발명이 재배시설에 전반적인 뼈대를 이루는 것으로서, 지구의 위도와 경도에 따른 태양의 경로에 따라 변화되는 채광조건을 감안하여 설계한다. 즉 해는 동쪽에서부터 남쪽을 거쳐 서쪽으로 지나가는 특성상 정오에 위치하는 햇빛의 각도를 감안하여 남면이 낮고 북면이 높게 설계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지지프레임(10)에 의해 재배시설의 남면보다 북면의 높이를 높게 구성하게 되면, 햇빛의 경로에 따라 북쪽에 생기는 그늘 때문에 북쪽에 위치한 식물에 간접 광이 다른 면보다 더 많이 들어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재배시설을 복수로 설비하는 경우 동서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며 남면을 향하는 면이 정남향에서 남서방향으로 30°까지 향하도록 재배시설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내부 재배공간(15)에는 유기농 음지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음지식물전용 유기농 상토를 구비한다.
상기에서 음지식물 재배시 전용으로 사용되는 유기농 상토는 피트모스(peatmoss), 펄라이트(perl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돌로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0) 내부의 재배공간(15)에는 지면인 바닥뿐만 아니라 선반(S) 등을 이용하여 유기농 상토를 적재하고 재배공간(15)을 전반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재배공간(15) 내에 선반(S)을 구성하게 되면, 음지식물에 대해 대량생산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측벽부(20) 및 상기 천정부(30)는 모두 환기나 광량, 온도 등을 조절하여 재배환경 즉 재배공간(15)에 심겨진 음지식물을 재배가능한 최적의 환경으로 조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벽부(2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측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측벽부(20)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개방된 상태인 전후 및 좌우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폐쇄상태를 설정하도록 위치하되 개폐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측벽부(20)는 내부 재배공간(15)의 광량이나 온도를 조절하고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벽막부재(21)를 구성한다.
상기 벽막부재(2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측벽부(20)의 위치에서 2중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비닐막(21a)과 차광막(21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비닐막(21a)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내의 재배공간(15)을 개폐가능하게 한쪽에 설치된다.
상기 비닐막(21a)은 재배공간(15)을 환기하여 음지식물의 생육에 적절한 습도 및 온도를 유지하고, 빗물을 비롯한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비닐막(21a)은 한쪽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비닐막(21a)은 상기 차광막(21b)의 한쪽에 설치하되 재배공간(15)을 기준으로 상기 차광막(21b)보다 안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광막(21b)은 상기 비닐막(21a)의 바깥쪽에 소폭 거리를 두고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차광막(21b)은 상기 비닐막(21a)과 동일하게 개폐작동에 의해 환기하여 음지식물의 생육에 적절한 습도 및 온도를 유지하고 직사광선의 차단 및 일조량에 따른 광량을 조절가능하여 온도변화를 최적화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비닐막(21a) 및 상기 차광막(21b)은 재배공간(15) 내에 습도와 온도의 높고 낮음을 각각 개별적인 개폐에 의해 조절하여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비닐막(21a) 및 상기 차광막(21b)의 한쪽 끝단에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지지바(25)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지지바(25)를 구성하게 되면, 비닐막(21a)과 차광막(21b)의 개폐를 위한 이동시 안정감을 도모하고, 바람 등의 요소에 의해 휘날리는 현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벽막부재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비닐막(21a) 및 상기 차광막(21b)의 개폐시 상하 이동상태를 지지하는 동시에 안내하는 가이드부재(23)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부재(23)는 상기 비닐막(21a) 및 상기 차광막(21b)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측벽부(20)에 위치한 상기 벽막부재(21)와 동일하게 상하 종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가이드부재(23)는 상기 비닐막(21a) 및 상기 차광막(21b)의 양쪽 측단이 접하여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정부(30)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재배공간(15)에 태양 빛을 차단하는 반면 상측에서 태양 빛의 부분적인 투과량을 설정하여 재배공간(15)의 채광을 조절하도록 개폐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천정부(30)에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천정판(31)과, 상기 천정판(31) 상에 상호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투명채광창(33)을 구비한다.
상기 천정판(31)은 상면에 상기 태양전지부(5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기 투명채광창(33)은 상기 천정판(31) 상에 설치되고 상기 천정부(30)로부터 부분적으로 태양 빛을 투광하여 채광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투명채광창(33)에 사용되는 재질로는 강화유리나 플라스틱 등의 투명한 재질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정부(30)에는 내부 재배공간(15)의 채광량을 조절하는 채광조절수단(35)을 구성한다.
상기 채광조절수단(35)은 상기 투명채광창(33)에 대응하여 상기 천정판(31)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채광창(33)을 통해 투광되는 태양 빛을 차단가능하게 개폐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채광조절수단(35)은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투명채광창(3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채광조절부재(36)와, 상기 채광조절부재(36)의 한쪽에 지지가능하게 형성되는 레일부재(37)로 구성된다.
상기 채광조절부재(36)는 상기 천정판(31)에 한쪽 끝단이 힌지축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채광조절부재(36)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반대편을 개폐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레일부재(37)는 상기 채광조절부재(36)의 개폐되는 한쪽을 지지하여 상기 채광조절부재(36)의 개폐각도를 안내한다.
상기에서 레일부재(37)를 통한 상기 채광조절부재(36)의 개폐각도는 1~40°의 범위 내에서 개폐토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부재(37)에는 상기 채광조절부재(36)의 개폐가 단계별로 이루어질 수 있게 각도별로 끼움홈(38)을 구비하여 상기 채광조절부재(36)가 단계별로 끼워진 후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자동개폐부(40)는 상기 측벽부(20) 및 상기 천정부(30)를 자동으로 개폐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자동개폐부(40)는 상기 측벽부(20) 및 상기 천정부(30)를 각각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시킨다. 즉 상기 자동개폐부(40)는 재배공간(15)의 온도나 습도 및 채광 등의 자연환경의 조건에 따라 설정된 기준치로 재배공간(15)의 환경이 조성될 수 있게 상기 측벽부(20)의 비닐막(21a) 및 차광막(21b)을 비롯하여 상기 천정부(30)의 채광조절부재(36)를 자동으로 개폐시킨다.
상기 자동개폐부(4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수단(41)과, 온도측정부(45)와, 강우감지부(46)와, 타이머(47)와, 제어부(49)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수단(41)은 상기 측벽부(20) 및 상기 천정부(30)에 각각 구동토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개폐수단(41)은 상기 측벽부(20)를 이루는 상기 비닐막(21a) 및 상기 차광막(21b)이 각각 개폐될 수 있도록 구동시키고, 별도로 상기 천정부(30)의 채광조절수단(35)의 위치에도 구비되어 상기 채광조절부재(36)를 구동시킨다.
상기 개폐수단(41)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측벽부(20)의 위치에서 막대형상을 이루어 상기 비닐막(21a)이나 상기 차광막(21b)이 감길 수 있도록 제어바(42)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바(42)를 회전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43a)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41)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채광조절수단(35)의 위치에서 힌지축을 회동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43b)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구동수단(43a)(43b)은 모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터와 기어 등을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온도측정부(45)는 상기 지지프레임(10) 내측의 재배공간(15)에 대한 온도를 감지하여 측정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온도측정부(45)는 온도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며, 상기 제어부(49)로 측정신호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디지털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우감지부(46)는 상기 지지프레임(10)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강우 여부(비가 내리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강우감지부(46)는 강우량계나 강우감지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타이머(47)는 일조량에 따른 전반적인 시간대를 감지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타이머(47)는 매일 하루의 시간대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일조량이 과도한 때의 시간대를 감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49)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온도측정부(45)와 상기 강우감지부(46) 및 상기 타이머(47)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수단(41)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9)는 상기 개폐수단(41)을 작동하여 상기 측벽부(20)의 벽막부재(21)인 상기 비닐막(21a) 및 상기 차광막(21b) 또는 상기 천정부(30)의 채광조절부재(36)를 각각 개방하는 개방상태와, 상기 개폐수단(41)을 작동하여 상기 측벽부(20)의 벽막부재(21)인 상기 비닐막(21a) 및 상기 차광막(21b) 또는 상기 천정부(30)의 채광조절부재(36)를 각각 폐쇄하는 폐쇄상태를 상기 온도측정부(45)와 강우감지부(46) 및 타이머(47)로부터의 측정신호에 따라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49)에서는 상기 온도측정부(45)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 온도(예를 들면 10℃) 미만이면, 상기 측벽부(20)의 개폐수단(41)에는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또 상기 제어부(49)에서는 상기 온도측정부(45)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 온도(예를 들면 10℃) 이상이면 상기 측벽부(20)의 개폐수단(41)에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와 같은 측벽부(20)의 개폐수단(41)을 전환하도록 제어부(49)에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재배공간(15)을 최적의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제어부(49)에 의해 상기 비닐막(21a) 및 상기 차광막(21b)을 개폐함에는 완전개폐하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부분적인 개폐 즉 일정만큼만 부분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비닐막(21a) 및 상기 차광막(21b)의 개폐 정도를 차등적으로 이뤄지게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49)에서는 상기 강우감지부(46)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측벽부(20) 및 상기 천정부(30)의 개폐수단(41)을 각각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즉 비가 오는 날씨에서는 음지식물이 식재된 재배공간(15)으로의 빗물유입을 방지해야하므로, 상기 측벽부(20)의 벽막부재(21)인 상기 비닐막(21a) 및 상기 차광막(21b)을 폐쇄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천정부(30)의 채광조절부재(36)를 폐쇄상태로 변경한다.
상기에서 강우감지부(46)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온도측정부(45)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에 관계없이 상기 측벽부(20) 및 상기 천정부(30)의 개폐수단(41)에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강우감지부(46)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온도측정부(45)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에 따라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49)에서 강우감지부(46)의 측정신호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비가 올 경우 재배공간(15)에 빗물의 유입이 차단되어 비로 인한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49)에서는 상기 타이머(47)로부터 감지되는 시간이 설정 시간(예를 들면 8~11시)이면 상기 측벽부(20) 및 상기 천정부(30)의 개폐수단(41)에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함과 동시에 일정한 설정시간(예를 들면 3~5시간) 동안을 개방상태로 유지한다.
즉 하루 중 햇볕이 약한 시간대에서는 재배공간(15)에 일정한 채광이 가능하게 상기 제어부(49)로부터 상기 측벽부(20)의 벽막부재(21)인 상기 비닐막(21a) 및 상기 차광막(21b)이 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49)로부터 상기 천정부(30)의 채광조절부재(36)가 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타이머(47)로부터 감지되는 시간이 설정 시간을 지나면 상기 측벽부(20) 및 상기 천정부(30)의 개폐수단(41)에는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유지토록 한다.
상기와 같이 측벽부(20) 및 천정부(30)의 개폐수단(41)을 전환토록 제어부(49)에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재배공간(15)에 최적의 채광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태양전지부(50)는 태양 빛을 수광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 태양전지부(50)는 상기 천정부(30)에 설치되는 것으로, 태양전지판(51)과 축전지(53)로 구성된다.
상기 태양전지판(51)은 상기 천정부(30)의 상면에 설치되고 조사되는 태양 빛을 수광하여 발전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태양전지판(51)은 시설의 규모 즉 상기 천정부(30)의 면적에 따라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하거나 복수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부(50)의 태양전지판(51)은 상기 천정부(30)의 천정판(31) 상에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태양전지판(51)은 햇빛의 직사광선을 수광하는 동시에 재배공간(15)으로의 투과를 100%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축전지(53)는 상기 태양전지판(51)에서 생성된 전기를 충전한다.
상기 축전지(53)는 상기 태양전지판(51)에서 발전되는 전기를 충전하였다가 상기 제어부(49), 개폐수단(41) 등에 전원으로 공급하되 그 외의 지하수시설이 등에도 전원을 공급하고 남은 잉여전력은 전력회사에 공급하도록 연결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에 의하면, 시설 내 음지식물의 재배에 필요한 최적의 생장조건을 조성토록 비닐막 및 차광막의 개폐를 자동으로 가변하므로 음지식물 재배에 농약사용이 근절된 유기농 음지식물을 재배하고, 음지식물의 효능이 향상된 고품질의 음지식물 재배를 도모하며, 음지식물인 인삼의 뿌리는 물론 인삼잎 및 꽃봉오리 등 인삼의 전반적인 부분을 다양한 가공제품의 원료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음지식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농약사용을 근절하여 토질변화 및 토양의 고갈현상을 방지하고 자연친화적인 국토 및 수자원을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햇빛을 차단하는 동시에 차단된 햇빛을 통해 자체전력을 발전시키는 태양전지부를 구성하므로, 음지식물 재배의 환경을 조성하는 동시에 태양발전에 따른 잉여전력의 생산을 도모하여 토지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고, 전원공급이 어려운 지역에도 간단한 시설 설비로 음지식물 재배 및 태양발전이 가능하며, 음지식물의 재배장소에서 지하수 등을 관수하여 우수한 품질의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시설의 천정에 태양전지판을 일체형으로 구성하므로, 간단한 구조로 설비가 용이하고 설비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지지프레임 15 : 재배공간 20 : 측벽부
21 : 벽막부재 21a : 비닐막 21b : 차광막
23 : 가이드부재 25 : 지지바 30 : 천정부
31 : 천정판 33 : 투명채광판 35 : 채광조절수단
36 : 채광조절부재 37 : 레일부재 38 : 끼움홈
40 : 자동개폐부 41 : 개폐수단 42 : 제어바
43a,43b : 구동수단 45 : 온도측정부 46 : 강우감지부
47 : 타이머 49 : 제어부 50 : 태양전지부
51 : 태양전지판 53 : 축전지 S : 선반

Claims (12)

  1. 사방이 개방된 구조로 설치되고 내부에 음지식물을 재배할 수 있게 재배공간을 구비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후 및 좌우 측면에 각각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음지식물을 재배가능한 환경을 조성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와 함께 음지식물의 재배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측에서 태양 빛의 투과량을 설정하여 채광을 조절하도록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천정부와;
    상기 측벽부 및 상기 천정부를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각각 자동으로 개폐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동개폐부와;
    상기 천정부의 상면에 설치되고 태양 빛을 수광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시키는 태양전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내부 재배공간의 광량이나 온도를 조절하고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2중의 벽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벽막부재는, 한쪽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재배공간의 환기나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비닐막과, 상기 비닐막의 바깥쪽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재배공간의 환기나 광량을 조절가능하게 형성되는 차광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벽막부재에는 상기 비닐막 및 상기 차광막의 개폐시 상하 이동상태를 지지하는 동시에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를 폐쇄하고 상기 태양전지부를 지지하는 천정판과, 상기 천정판 상에 상호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고 태양 빛을 투광하여 채광가능하게 구비되는 투명채광창과, 상기 투명채광창을 통해 투광되는 태양 빛을 차단가능하게 상기 천정판의 내측에 설치되고 내부 재배공간의 채광량을 조절하는 채광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채광조절수단은, 상기 투명채광창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한쪽 끝단이 힌지축에 의해 고정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채광조절부재와, 상기 채광조절부재의 한쪽을 지지하고 상기 채광조절부재의 개폐각도를 안내하는 레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개폐부는, 상기 측벽부 및 천정부가 각각 개폐되도록 구동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지지프레임 내측의 재배공간에 대한 온도를 감지하여 측정하도록 설치되는 온도측정부와, 상기 지지프레임 외부의 강우 여부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강우감지부와, 일조량에 따른 전반적인 시간대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타이머와, 상기 온도측정부와 상기 강우감지부 및 상기 타이머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수단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온도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 온도 미만이면 상기 측벽부의 개폐수단에는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온도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 온도 이상이면 상기 측벽부의 개폐수단에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재배공간을 최적의 온도로 유지하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강우감지부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온도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에 관계없이 상기 측벽부 및 상기 천정부의 개폐수단에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강우감지부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온도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에 따라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타이머로부터 감지되는 시간이 설정 시간이면 상기 측벽부 및 상기 천정부의 개폐수단에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함과 동시에 일정한 설정시간 동안을 개방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타이머로부터 감지되는 시간이 설정 시간을 지나면 상기 측벽부 및 상기 천정부의 개폐수단에는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재배공간에 최적의 채광상태로 유지하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부는, 상기 천정부에 설치되고 태양 빛을 수광하여 발전을 행하는 태양전지판과,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생성된 전기를 충전하는 축전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부의 태양전지판은 상기 천정부 상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
KR1020120119180A 2012-10-25 2012-10-25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 KR101406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180A KR101406002B1 (ko) 2012-10-25 2012-10-25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180A KR101406002B1 (ko) 2012-10-25 2012-10-25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719A true KR20140052719A (ko) 2014-05-07
KR101406002B1 KR101406002B1 (ko) 2014-06-11

Family

ID=50885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180A KR101406002B1 (ko) 2012-10-25 2012-10-25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00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303B1 (ko) * 2013-08-13 2015-06-19 주식회사 맥스포 개폐형 차양을 구비하는 온실 시스템
CN109430019A (zh) * 2018-12-20 2019-03-08 黄淮学院 一种家庭节能系统
KR20200008812A (ko) 2018-07-17 2020-01-29 이병진 농경지용 태양광 발전장치
KR20200016031A (ko) * 2018-08-06 2020-02-14 송유진 태양광을 이용한 어류 양식 및 버섯 재배설비
KR20200033051A (ko) 2018-09-19 2020-03-27 백영일 식물의 재배지에 설치가 가능한 태양광발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4601A (zh) * 2018-06-25 2018-12-07 安徽徽王农业有限公司 一种蓝莓种植用便于拆卸的温室大棚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969B1 (ko) 2005-11-09 2007-05-07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인삼 전용 육묘 온실
KR101202771B1 (ko) * 2010-03-30 2012-11-19 원대희 반음지성 식물 재배용 구조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303B1 (ko) * 2013-08-13 2015-06-19 주식회사 맥스포 개폐형 차양을 구비하는 온실 시스템
KR20200008812A (ko) 2018-07-17 2020-01-29 이병진 농경지용 태양광 발전장치
KR20200016031A (ko) * 2018-08-06 2020-02-14 송유진 태양광을 이용한 어류 양식 및 버섯 재배설비
KR20200033051A (ko) 2018-09-19 2020-03-27 백영일 식물의 재배지에 설치가 가능한 태양광발전장치
CN109430019A (zh) * 2018-12-20 2019-03-08 黄淮学院 一种家庭节能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6002B1 (ko)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002B1 (ko)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
Hahn Fuzzy controller decreases tomato cracking in greenhouses
KR101459007B1 (ko) 유기농 인삼 재배 하우스 및 이를 이용한 유기농 인삼 재배방법
JP2007306895A (ja) 植物水耕栽培装置
CN206791172U (zh) 一种可分区调整遮光的太阳能大棚
CN108024509A (zh) 附太阳光伏板土耕栽培系统
CN207476318U (zh) 一种全封闭保温环形轨道种植系统
CN203537994U (zh) 一种用沼气提高农作物产量的大棚
CN211861285U (zh) 一种农业养殖大棚用环保换气装置
Robson et al. The benefits of informed management of sunlight in production greenhouses and polytunnels
KR101518966B1 (ko) 저온에서 성장하는 채소를 고온기에 재배할 수 있는 하우스 시스템
KR20100123130A (ko) 태양전지를 구비한 음지식물 재배용 햇빛 차단 구조
CN208128997U (zh) 带防虫功能的霍山石斛种植的大棚
KR20150142156A (ko) 온실
KR200463629Y1 (ko) 인삼 재배용 비닐하우스
Castilla et al. Vegetable crop responses in improved low-cost plastic greenhouses
KR101900936B1 (ko) 냉풍을 이용하는 밀폐형 인삼 재배 하우스 및 이를 이용한 인삼 재배방법
Meyer et al. An investigation of reflective mulches for use over capillary mat systems for winter-time greenhouse strawberry production
CN210746435U (zh) 多层次立体种植养殖复合大棚
CN208754804U (zh) 一种利用太阳光照射墙体升温节能型日光温室
CN209234452U (zh) 一种番茄用育种育苗箱
CN208523566U (zh) 藤蔓式遮阳装置
CN208402664U (zh) 一种组合式大棚
CN1171190A (zh) 生态温室
CN111642286A (zh) 农业生态温室和新能源闭环式综合节能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