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299A - 시설원예용 led광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시설원예용 led광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299A
KR20140052299A KR1020120118264A KR20120118264A KR20140052299A KR 20140052299 A KR20140052299 A KR 20140052299A KR 1020120118264 A KR1020120118264 A KR 1020120118264A KR 20120118264 A KR20120118264 A KR 20120118264A KR 20140052299 A KR20140052299 A KR 20140052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ed light
greenhouse
illuminance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종식
서영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레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레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레웍스
Priority to KR1020120118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2299A/ko
Publication of KR20140052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00Plant husbandry
    • Y10S47/06Plant growth regulation by control of light there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원예에서 LED광원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날짜 및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재배작물별 최적의 생장 환경 정보와,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조도를 최적 생장환경에 데이터와 비교하여 최대한 비슷한 광량으로 자동 조절해주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설원예용 LED광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LED light source control of greenhouse}
본 발명은 시설원예에서 LED광원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날짜 및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재배작물별 최적의 생장 환경 정보와,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조도를 최적 생장환경에 데이터와 비교하여 최대한 비슷한 광량으로 자동 조절해주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확량을 늘리고 제철이 아닌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온실을 이용하고 있다.
특히, 인공광원을 활용하여 재배작물의 광합성 작용을 촉진함으로써 수확량을 늘리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이러한 인공광원은 나트륨등, 형광등, LED 등이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에너지 절감효과가 큰 LED광원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 LED광원은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에 따라서 단순 On, Off 기능만을 수행 하였으며, 작물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최적 시간을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날짜 및 시간별로 재배작물의 최적의 생장환경 정보를 구축하고,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온실의 조도정보를 비교하여 최적의 조도로 자동 조절해 주는 장치 및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LED광원제어 장치는; LED ON, OFF 제어와 밝기 제어를 위한 제어부, 실시간 조도를 측정하기 위한 조도센서, 작물별 최적 제어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조명 상태를 보기위한 디스플레이부, 외부에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외부인터페이스로 구성된다.
최초에 실시간으로 측정된 조도정보는 데이터베이스와 저장된 값과 비교되어 필요한 조도값을 결정하고 그 값에 따라서 LED밝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도측정 방법은 조도센서를 제어부와 직접 연결하여 측정하는 방법과 센서네트워크 방법을 활용하여 게이트웨이가 무선으로 센서노드로 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제어부로 정보를 전송하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작물별로 날짜, 시간별 최적 조도값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조도값을 바탕으로 LED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에서는 조명의 상태와 조도값 정보등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부인터페이스는 외부에서 LED제어 및 상태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상황에 따라 인터페이스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재배작물별 최적생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온실 내의 생장환경을 계절별, 날짜별, 시간별로 최적의 상태를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광원의 밝기 조절을 통해 불필요한 에너지를 줄임으로써, 에너지 효율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 재배지에서 최적 LED광원제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설 재배지에서 최적 LED광원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 재배지에서 최적 LED광원제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최적 LED광원제어 시스템은 온실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도를 측정하는 센서부(20)와 LED 조명 장치(30), 제어부(10), 데이터베이스(40), 디스플레이(50), 외부인터페이스(60)를 포함한다.
센서부는 온실 내부에서 광량을 측정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부로 전송한다. 무선통신은 경우에 따라서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센서부로 부터 받은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의 조도값을 비교하여 LED조명 장치를 제어한다. 태양광으로 인하여 충분한 조도가 발생되는 상황에서는 LED밝기 조절을 통해 에너지를 절약한다.
데이터베이스는 재배작물별 날짜, 시간대별 최적 광량 정보를 포함하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시로 업데이트가 가능하게 한다.
외부인터페이스는 외부에서 LED제어 및 상태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외부에서 본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10: 제어부
20: 센서부
30: LED광원장치
40: 데이터베이스
50: 디스플레이
60: 외부인터페이스

Claims (2)

  1. 온실 내부에서 광량을 측정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부로 전송하는 센서부와, 센서부로 부터 받은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의 조도값을 비교하여 LED조명 장치를 제어 하는 제어부, 재배작물별 날짜, 시간대별 최적 광량 정보를 포함하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시로 업데이트가 가능한 데이터베이스, 외부에서 LED제어 및 상태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외부에서 본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LED광원제어 시스템.
  2. 온실 내부에서 실시간으로 조도를 측정하고, 저장된 최적 조도정보와 비교하여 LED ON, OFF 및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20118264A 2012-10-24 2012-10-24 시설원예용 led광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522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264A KR20140052299A (ko) 2012-10-24 2012-10-24 시설원예용 led광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264A KR20140052299A (ko) 2012-10-24 2012-10-24 시설원예용 led광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299A true KR20140052299A (ko) 2014-05-07

Family

ID=50885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264A KR20140052299A (ko) 2012-10-24 2012-10-24 시설원예용 led광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22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4259C2 (ru) Динамическая рецептура света для растениеводства
US922645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in plant factory
US10750586B2 (en) Horticultural luminaire, horticultural light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rticultural lighting arrangement
ES2702956T3 (es) Un método para controlar un sistema de cultivo de plantas con luz artificial
CN203950191U (zh) 一种基于移动设备的植物监控装置
WO2013027198A1 (en) Light signaling system for plant behavior manipulation
KR101518212B1 (ko) Usn 기반 식물공장 에너지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092861A (ja) 作物育成システム
CN115135139A (zh) 基于光测量信息估计植物部分的收获时间
KR101102279B1 (ko) 주변광을 이용한 엘이디 식물 생장 시스템
CN204442784U (zh) 补光参数可调式红蓝led植物补光系统
KR20130009294A (ko) 날씨정보를 이용한 식물재배 시스템
EP3994975A1 (en) Environmental parameters for growing crops under high intensity lighting
KR101368781B1 (ko) 온실 최적 조명시스템
KR20170041380A (ko) 작물별 필요 광량을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식물재배용 조명 제어장치
KR20140052299A (ko) 시설원예용 led광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823496A (zh) 一种环境自动调节系统
KR20180072018A (ko) 식물공장용 led광원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3027822U (zh) 一体化智能式节能光伏大棚
KR20170062784A (ko) 맞춤형 led 식물 재배장치
CN205191345U (zh) 一种新型led植物灯组
US20210329850A1 (en) Adaptive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par) sensor with daylight integral (dli) control system incorporating lumen maintenance
KR20220040635A (ko) 식물공장형육묘시스템 생육 스케쥴링에 따른 일괄 제어방법
KR102446011B1 (ko) 식물 성장 촉진 및 성장 관리가 가능한 led 조명 시스템
KR102650923B1 (ko) 다육식물 재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