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281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281A
KR20140052281A KR1020120118211A KR20120118211A KR20140052281A KR 20140052281 A KR20140052281 A KR 20140052281A KR 1020120118211 A KR1020120118211 A KR 1020120118211A KR 20120118211 A KR20120118211 A KR 20120118211A KR 20140052281 A KR20140052281 A KR 20140052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ignal
application program
memory
strain gau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화
박기준
박수진
Original Assignee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8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2281A/ko
Publication of KR20140052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2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Abstract

본 발명은 왼손이든 오른손이든 휴대 단말기를 파지할 때 바디(B)의 좌측면(B1) 및 우측면(B2)에 부여되는 좌측센서(S1) 또는 우측센서(S2)에 가해지는 누름압력이 기준값 이상이 될 경우 제어부(70)로 하여금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바디(B)를 파지한 한 손의 악력만으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이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손으로 파지하면서 간단 신속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손으로 휴대하면서 무선 통신 및 인터넷 검색 등을 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를 일컫는다.
선행기술문헌 1(10-2008-0094884; 이동단말기) 도 1은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선행기술문헌 1은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100)를 소개하고 있다. 도 2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이동단말기(100)는 바디(210)와, 바디(210)의 측면부(212)를 따라 마련된 압력감지모듈(220)과, 압력감지모듈(220)을 감싸고 있는 보호커버(250)와, 바디(210)의 전면부(214)와 측면부(212)가 이루는 전면모서리부(215)를 따라 마련된 반응모듈(230)과, 반응모듈(230)을 제어하는 제어부(도 1의 180)를 포함하고, 바디(210)는 이동단말기(100)의 몸체를 구성한다. 선행기술문헌 1에 따라 바디(210)에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등이 배치된다. 바디(210)의 전면부(214)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 프론트케이스(도 3의 101)에 의하여 보호된다. 바디(210)의 측면에는 보호커버(250)에 의하여 보호되고 있는 압력감지모듈(220)이 마련된다. 보호커버(250)는 바디(210)의 측면을 띠 형태로 감싸고 있을 수 있다. 보호커버(250)는 압력감지모듈(220)을 보호하는 한편 압력이 압력감지모듈(22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압력감지모듈(220)은 바디(210)에 가해지는 파지력(Grip Force)을 포함하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한다. 압력감지모듈(220)은 바디(210)의 측면부(212)에 마련된다. 선행기술문헌 1은 측면부(212)에 압력감지모듈(220)을 위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동작을 취하지 않고 단순히 이동단말기(100)의 바디(210)를 파지하는 동작을 취하는 것만으로도 이동단말기(100)를 조작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I-I 방향 절단도이다. 압력감지모듈(220)은 측면부(212)에 연속적으로 마련된다. 압력감지모듈(220)은 복수개의 압력감지체(237)를 포함한다. 압력감지체(237)는 실질적으로 압력을 전달받아 압력신호로 변환하는 부분이다. 압력감지체(237)는 복수개가 측면부(212)에 마련될 수 있다. 압력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감지하기 위하여 압력감지체(237)는 터치센서 및 홀센서(Hall Senso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멀티터치 및 압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정전용량식 터치센서일 수 있다. 정전용량식 터치센서는 두 개 극판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를 이용하여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방식을 이용한 센서이다. 압력감지체인 홀센서(237)는 압력전달부(231)와, 센싱부(233)와, 압력전달부(231)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리턴스프링(235)을 포함한다. 압력전달부(231)는 보호커버(도 4의 250)를 통하여 전달받은 압력에 의하여 센싱부(233)에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압력전달부(231)에 대한 외력이 해제되면, 리턴스프링(235)의 탄성력에 의하여 압력전달부(231)가 최초의 위치로 복귀한다. 외력 및 탄성력에 의하여 압력전달부(231)와 센싱부(233) 간의 거리가 변화되면 전위차가 발생되며, 전위차는 센싱부(233)에 의하여 감지된다. 센싱부(233)에 의하여 감지되는 전위차는 압력전달부(231)와 센싱부(233) 간의 거리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변화된다. 따라서 전위차의 변화를 센싱함으로써 압력의 크기에 따라 변화되는 압력신호를 얻을 수 있다. 반응모듈(230)은 압력이 발생한 장소 및 압력의 크기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압력이 점점 커지는 경우에 반응모듈(230)의 반응도 점점 커지는 경우가 가능하다. 반응모듈(230)의 반응은 빛의 발광 또는 진동으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압력이 작은 경우에는 빛이 방출되는 정도가 작다가 압력이 커짐에 따라서 보다 강한 빛이 방출되도록 하는 경우가 가능하다. 또한 압력이 작은 경우에는 진동이 작다가 압력이 커짐에 따라서 보다 강하게 진동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예는, 빛의 점멸 정도, 진동의 지속 정도 등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다. 도 6은 선행기술문헌 1의 이동단말기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화상이 세로로 표시되도록 하는 포트레이트(Portrait) 방향으로 이동단말기(10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사용자는 이동단말기(100)가 포트레이트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파지하는 동작만으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화상이 포트레이트 방향으로 변화되도록 한다. 왼손으로 이동단말기(100)를 파지하는 경우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F1)은 이동단말기(100)의 왼쪽 측면인 제 1지점(S1)을 파지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또한, 검지손가락(F2)부터 소지손가락(F5)은 제 2 내지 5지점(S2 내지 S5)을 파지함이 일반적이다. 이동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이와 같은 통상적인 파지형태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단말기(100)를 파지하는 순간에 파지형태가 미리 저장된 상태와 일치하는가 여부를 판단한 후, 일치하면 그에 매칭되는 기능을 활성화/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매칭은 상호 구별되는 압력에 따른 압력신호 패턴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동단말기(100)의 특정 지점을 가압하게 되면 압력신호가 발생한다. 이때의 압력신호는 사용자의 그립에 따라서 특정 행동에 따라 가압하는 지점, 가압하는 힘 등이 상이하게 된다. 즉, 도 6의 S1 내지 S5 와 도 8의 S1 내지 S4는 그 위치와 각 위치별 압력이 상이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특정 그립에 따른 압력신호의 차이점을 파악하여, 상이한 압력신호에 상이한 기능을 매칭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매칭이 이루어지면, 단순히 그립을 하는 동작만으로도 특정기능이 수행되어 사용 편리성이 증대된다. 즉, 사용자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100)를 파지하면, 별도의 조작 없이도 제어부(도 1의 180)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화상을 포트레이트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압력은 이동단말기(100)의 측면에 마련된 압력감지모듈(도 3의 220)에 의하여 감지된다. 압력감지모듈(도 3의 220)은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부(도 1의 180)로 전달하고, 제어부(180)는 파지가 된 제 1 내지 5지점(S1 내지 S5)에 가장 근접한 곳에 위치한 발광체(234)들을 발광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파지를 정확히 하고 있는가 여부 및 실제로 파지된 장소를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해진다. 선행기술문헌 2(10-1997-0020261; 고하중 고압력 측정용 금속 박막 스트레인게이지) 스트레인게이지(Strain gauge)는 금속 또는 반도체의 저항체에 변형이 가해지면 그 저항값이 변화하는 압력저항 효과를 이용한 것으로, 용도로서는 하중, 압력, 토크(Torque계), 기타 실응력(實應力)의 측정에 각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초기의 금속 박막 스트레인게이지는 단순한 응력 측정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재료, 구조물의 응력, 힘, 변형, 압력, 변위 등 외력에 의한 변화를 측정할 뿐만 아니라, 공업 프로세스에서 제조 공정 자동화 기기에도 널리 응용되고 있으며,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각종 계측기도 수백 종류에 달하고 있다. 특히, 금속 박막 스트레인게이지는 소형이면서도 내구성과 정밀도가 우수하고 측정 범위가 넓어 고하중, 고압력 측정용 트랜스듀스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반도체 집접회로와 컴퓨터 기술의 진보에 힘입어 고감도, 초소형, 저가격의 스트레인게이지의 제작이 가능하게 되어 그 응용 범위가 전 산업뿐만 아니라 가전 분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고, 이에 따라 다종 다양한 스트레인게이지가 개발되고 있다. 도 7은 선행기술문헌 2에 소개된 스트레인게이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 2에 소개된 고하중 고압력 측정용 금속 박막 스트레인게이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표면이 경면처리된 스테인리스 다이어프램(10)과, 이 스테인리스 다이어프램(10)의 상면에 증착된 폴리이미드(14)와, 이 폴리이미드(14) 상면에 Cu-Ni의 조성을 갖고 일정형상의 패턴이 형성된 스트레인게이지(12)와, 이 스트레인게이지(12)에서 연장되어 일정형상을 갖고 양측으로 형성된 전극 접촉부(18)와, 보호막(20)으로 이루어진다. 도 8은 선행기술문헌 2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 2의 실시예에 따른 고하중 고압력 측정용 금속 박막 스트레인 게이지의 구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표면이 경면처리된 스테인리스 다이어프램(10)과, 이 스테인리스 다이어프램(10)의 상면에 스퍼터링에 의해 적층된 Cu-Ni 박막(2)과, 이 박막위에 적층된 절연체인 폴리이미드(14)와, 이 폴리이미드(14) 상면에 Cu-Ni의 조성을 갖고 일정형상의 패턴이 형성된 스트레인 게이지(12)와, 이 스트레인 게이지(12)에서 연장되어 일정형상을 갖고 양측으로 형성된 전극 접촉부(18)와, 보호막(20)으로 이루어진다. 본원 출원인은 휴대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되는 것이며, 선행기술문헌 1의 이동단말기의 구성 나아가 선행기술문헌 2의 스트레인게이지의 구조는 일반적인 소개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손으로 보다 간편 편리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좌측센서 또는 우측센서에 가해지는 누름압력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이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왼손이든 오른손이든 바디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부여되는 좌측센서 또는 우측센서에 가해지는 누름압력이 기준값 이상이 될 경우 제어부로 하여금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바디를 파지한 한 손의 악력만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좌측면, 우측면, 상측면 또는 하측면을 따라 스트레인게이지군이 복수 개로 부여되어 2 내지 3 군데의 파지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오동작 방지는 물론이거니와 사용 편이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손의 파지력으로 사용자가 숨기고 싶은 응용 프로그램을 신속하게 활성화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손의 파지력으로 Sleep/Wake 상태 또는 On/Off 상태로 신속하게 전환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손의 파지력으로 사용자가 즐겨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스크린의 디스플레이패널을 통해 신속하게 활성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손의 파지력으로 스크린의 디스플레이패널에 화상을 3D로 신속하게 구현토록 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손의 파지력으로 인터넷 검색 응용 프로그램을 신속하게 활성화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왼손 전용 또는 오른손 전용 키 맵 응용 프로그램을 터치시트에 구현되도록 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패널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디의 좌우회전에 연동되는 화상 수평 자동회전 응용 프로그램에 맞추어 좌측센서 및 우측센서의 조합 그리고 상측센서 및 하측센서의 조합 중 어느 한 조합에 의존되는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토록 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스트레인게이지를 상하방향으로 가압할(스크롤할)하여 메모리의 웹 페이지, 볼륨, 밝기 관련 Up/Down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Up & Down 기능이 신속하게 실현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손의 파지력의 크기에 따라 E-Book 페이지 수를 비례적으로 넘길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시트를 통해 선 또는 글자가 입력될 경우 스트레인게이지군의 누름압력의 크기에 따라 메모리의 선/글자 입력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디스플레이패널에 선 굵기 및 글자 굵기를 비례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시트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스트레인게이지군의 누름압력이 가해질 경우 그 크기에 따라 메모리의 줌인/줌아웃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디스플레이패널의 화면이 비례적으로 줌인 또는 줌아웃되도록 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레인게이지군의 누름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터치시트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이동함에 따라 메모리의 줌인/줌아웃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디스플레이패널의 화면을 터치지점의 이동거리에 비례적으로 줌인 또는 줌아웃되도록 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악기연주에 따른 볼륨이 스트레인게이지군의 누름압력에 비례적으로 강약 조절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무선 송수신을 가능케 하는 무선 통신부와;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는 A/V 입력부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과;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시그널을 입력하는 시그널 입력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으로 구동되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무선 통신을 가능케 하고 상기 A/V 입력부의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받아들이며 상기 시그널 입력부의 시그널에 연동되어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상기 메모리의 운영체제 및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데이터를 불러들여 상기 스크린에 디스플레이시키면서 실행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 무선 통신부, A/V 입력부, 스크린, 메모리, 시그널 입력부 및 제어부를 수용하면서 좌측면, 우측면, 상측면 및 하측면을 지닌 바디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시그널 입력부의 구성이 되면서 터치로서 시그널을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는 터치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시그널 입력부는 상기 바디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배열되어 누름압력을 감지하는 좌측센서 또는 우측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측센서 또는 우측센서에 가해지는 누름압력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좌측센서 또는 우측센서에 가해지는 누름압력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이성을 크게 증진시킨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왼손이든 오른손이든 휴대 단말기를 파지할 때 바디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부여되는 좌측센서 또는 우측센서에 가해지는 누름압력이 기준값 이상이 될 경우 제어부로 하여금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바디를 파지한 한 손의 악력만으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좌측면, 우측면, 상측면 또는 하측면을 따라 스트레인게이지군이 복수 개로 부여되어 2 내지 3 군데의 파지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오동작 방지는 물론이거니와 사용 편이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한 손의 파지력으로 사용자가 숨기고 싶은 응용 프로그램을 신속하게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한 손의 파지력으로 Sleep/Wake 상태 또는 On/Off 상태로 신속하게 전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한 손의 파지력으로 사용자가 즐겨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스크린의 디스플레이패널을 통해 신속하게 활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한 손의 파지력으로 스크린의 디스플레이패널에 화상을 3D로 신속하게 구현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한 손의 파지력으로 인터넷 검색 응용 프로그램을 신속하게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왼손 전용 또는 오른손 전용 키 맵 응용 프로그램을 터치시트에 구현되도록 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패널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바디의 좌우회전에 연동되는 화상 수평 자동회전 응용 프로그램에 맞추어 좌측센서 및 우측센서의 조합 그리고 상측센서 및 하측센서의 조합 중 어느 한 조합에 의존되는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스트레인게이지를 상하방향으로 가압(스크롤)하여 메모리의 웹 페이지, 볼륨, 밝기 관련 Up/Down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Up & Down 기능이 신속하게 실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한 손의 파지력의 크기에 따라 E-Book 페이지 수를 비례적으로 넘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터치시트를 통해 선 또는 글자가 입력될 경우 스트레인게이지군의 누름압력의 크기에 따라 메모리의 선/글자 입력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디스플레이패널에 선 굵기 및 글자 굵기를 비례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터치시트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스트레인게이지군의 누름압력이 가해질 경우 그 크기에 따라 메모리의 줌인/줌아웃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디스플레이패널의 화면이 비례적으로 줌인 또는 줌아웃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트레인게이지군의 누름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터치시트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이동함에 따라 메모리의 줌인/줌아웃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디스플레이패널의 화면을 터치지점의 이동거리에 비례적으로 줌인 또는 줌아웃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악기연주에 따른 볼륨이 스트레인게이지군의 누름압력에 비례적으로 강약 조절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4의 I-I 방향 절단도.
도 6은 선행기술문헌 1의 이동단말기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 7은 선행기술문헌 2에 소개된 스트레인게이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선행기술문헌 2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스트레인게이지군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1은 스트레인게이지, 정전용량센서, FSR센서의 반응을 각각 나타내는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동작 사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동작 사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동작 사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동작 사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동작 사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동작 사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동작 사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동작 사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동작 사진.
도 23a 및 도 23b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동작 사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동작 사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동작 사진.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0)와; 무선 송수신을 가능케 하는 무선 통신부(20)와;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는 A/V 입력부(30)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40)과;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50)와; 시그널을 입력하는 시그널 입력부(60)와; 전원 공급부(10)의 전원으로 구동되며 무선 통신부(20)를 통해 무선 통신을 가능케 하고 A/V 입력부(30)의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받아들이며 시그널 입력부(60)의 시그널에 연동되어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메모리(50)의 운영체제 및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데이터를 불러들여 스크린(40)에 디스플레이시키면서 실행시키는 제어부(70)를 포함하며, 이들 구성요소들은 선행기술문헌 1의 공보에 이미 소개되어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기능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하고, 나아가 구성요소의 일부 가감은 휴대 단말기 사용상의 필요에 따라 균등의 범위에서 가능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이때, 전원 공급부(10), 무선 통신부(20), A/V 입력부(30), 스크린(40), 메모리(50), 시그널 입력부(60) 및 제어부(70)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B)에 수용되며, 바디(B)는 좌측면(B1), 우측면(B2), 상측면(B3) 및 하측면(B4)을 지닌다.
한편, 스크린(40)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패널(D)과, 시그널 입력부(60)의 구성이 되면서 터치로서 시그널을 제어부(70)에 입력하는 터치시트(T)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패널(D)은 통상적으로 액정으로 제작될 수 있고, 터치시트(T)는 좌표를 인식하는 정전용량시트로서 디스플레이패널(D)의 하면, 상면 또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시그널 입력부(60)는 바디(B)의 좌측면(B1) 또는 우측면(B2)에 배열되어 누름압력을 감지하는 좌측센서(S1) 또는 우측센서(S2)를 더 구비하고, 제어부(70)는 좌측센서(S1) 또는 우측센서(S2)에 가해지는 누름압력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것을 본 발명의 핵심 특징으로 한다.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미 도시된 돔 스위치를 지닌 키 패드의 누름압력 또는 터치시트(T)의 터치로서 시그널을 제어부(70)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거나 바디(B)의 일 측면에 형성된 미 도시된 키 블록을 가압하여 시그널을 제어부(70)에 입력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런데, 미 도시된 돔 스위치를 지닌 키 패드는 갈수록 스마트화되고 있는 휴대 단말기의 트랜드상 사장되어 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고, 터치시트(T)의 터치에 의한 시그널 입력은 디스플레이패널(D)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와 더불어 양손 사용이[한쪽 손 휴대 단말기 파지와 더블어 다른쪽 손 터치]라는 한계가 있고, 바디(B)의 일 측면에 형성된 미 도시된 키 블록은 이미 일반화된 기술로서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왼손이든 오른손이든 휴대 단말기를 파지할 때 바디(B)의 좌측면(B1) 또는 우측면(B2)에 부여되는 좌측센서(S1) 또는 우측센서(S2)에 가해지는 누름압력이 기준값 이상이 될 경우 제어부(70)로 하여금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바디(B)를 파지한 한 손의 악력만으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이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시그널 입력부(60)의 시그널을 통한 제어부(70)의 펑크션 시그널은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메뉴 선택, 채널 이동, 볼륨 조절 등과 같은 것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한 손의 악력에 의한 좌측센서(S1) 또는 우측센서(S2)의 가해지는 누름압력이 기준값 이상일 때 제어부(70)에서 출력되는 다른 펑크션 시그널은 후술하는 바와 같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스트레인게이지군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센서(S1) 또는 우측센서(S2)는 누름압력을 전기적인 저항값(Ω)으로 선형 변형시키는 스트레인게이지군(群; Sg)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트레인게이지군(Sg)은 복수 개의 스트레인게이지(S)로 이루어지고, 이들 스트레인게이지(S)는 누름압력에 의해 휘어지면서 저항값을 가변하게 되며, 제어부(70)에서는 스트레인게이지(S)의 저항값의 변화를 읽어들여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도 11은 스트레인게이지, 정전용량센서, FSR센서의 반응을 각각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용량센서는 터치 또는 미 터치에 따른 반응이 On/Off로 나타나고, FSR(Force Sensitive Resistor) 센서는 누르는 압력에 대하여 저항 변화가 반비례 반응으로 나타나는 반면, 스트레인게이지(S)는 누름압력에 대하여 저항변화가 선형(Liner)으로 반응이 나타난다.
본 발명에서는 스트레인게이지(S)의 선형적인 저항변화 반응을 시그널 입력부(60)에 입력되는 시그널로 적극 활용코자 하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도 9b,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그널 입력부(60)는 바디(B)의 상측면(B3) 또는 하측면(B4)에 배열되어 누름압력을 감지하는 상측센서(S3) 또는 하측센서(S4)를 더 구비하고; 제어부(70)는 좌측센서(S1), 우측센서(S2), 상측센서(S3) 또는 하측센서(S4)에 가해지는 누름압력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며; 좌측센서(S1), 우측센서(S2), 상측센서(S3) 또는 하측센서(S4)는 누름압력을 전기적인 저항값(Ω)으로 선형 변형시키는 스트레인게이지군(Sg)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좌측면(B1), 우측면(B2), 상측면(B3) 또는 하측면(B4)에 좌측센서(S1), 우측센서(S2), 상측센서(S3) 또는 하측센서(S4)를 부여할 수 있는데, 좌측센서(S1), 우측센서(S2), 상측센서(S3) 또는 하측센서(S4)는 스트레인게이지군(Sg)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B)의 일 측면, 예를 들면 좌측면(B1)의 내측에 지지대(C)를 구비시키고, 이 지지대(C) 위에 탄성플레이트(P)를 위치시키며, 다시 탄성플레이트(P)의 위에 스트레인게이지(S)를 부착시킨 후 그 중앙에 측면 케이스(N)의 누름을 받는 액츄에이터(Actuator; A)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예를 들면 유연한 측면 케이스(N)를 가압하여 액츄에이터(A)가 반응토록 하여 스트레인게이지(S)와 더불어 탄성플레이트(P)가 지지대(C)에 지지되면서 휘어지도록 함으로써 그 휨에 따른 스트레인게이지(S)의 저항값의 변화를 출력하여 제어부(70)로 하여금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토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트레인게이지군(Sg)은 좌측면(B1), 우측면(B2), 상측면(B3) 또는 하측면(B4)을 따라 복수 개로 부여되어 파지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동작 사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도 9a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50)는 사용자가 숨기고 싶은 응용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제어부(70)는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메모리(50)의 응용 프로그램 중 사용자가 숨기고 싶은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스크린(40)의 디스플레이패널(D)을 통해 활성화되도록 한다.
통상의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는 인터넷 서핑이나 음성 통화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은 특별히 보안을 지키지 않고 일반적인 사용 메뉴에 따라 공공장소에서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보안을 유지해야만 하는 기밀서류라든지 사생활 보호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은 타인에게 노출되어서는 아니 되기에, 본 발명에서는 숨기고 싶은 응용 프로그램을 메모리(50)에 내장시키고, 한 손의 악력에 의한 좌측센서(S1), 우측센서(S2), 상측센서(S3) 또는 하측센서(S4)에 가해지는 누름압력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제어부(70)에서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메모리(50)의 숨기고 싶은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40)의 디스플레이패널(D)을 통해 활성화(이때, 보안을 위한 Lock이 있을 수 있음)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이성을 훨씬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동작 사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도 9a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50)는 Sleep/Wake 또는 On/Off 응용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제어부(70)는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메모리(50)의 응용 프로그램 중 Sleep/Wake 또는 On/Off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Sleep/Wake 상태 또는 On/Off 상태로 전환되도록 한다.
휴대 단말기는 한 손으로 파지된 상태에서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하여 다른 손으로 시그널을 입력하는 동작을 취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편이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바디(B)를 파지한 한 손의 악력에 의한 좌측센서(S1), 우측센서(S2), 상측센서(S3) 또는 하측센서(S4)에 가해지는 누름압력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제어부(70)에서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메모리(50)의 응용 프로그램 중 Sleep/Wake 또는 On/Off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를 Sleep/Wake 상태 또는 On/Off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동작 사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도 9a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50)는 사용자가 즐겨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제어부(70)는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메모리(50)의 응용 프로그램 중 사용자가 즐겨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우선 구동시키면서 스크린(40)의 디스플레이패널(D)을 통해 활성화되도록 한다.
휴대 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매일·매시간 즐겨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보유하고 있다.
예를 들어, 문자나 사진 등을 주고받는 카카오톡 또는 잠시의 여유시간에 즐기는 애니팡 등의 게임과 같이 수시로 사용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메모리(50)에 내장하고, 한 손의 악력에 의한 좌측센서(S1), 우측센서(S2), 상측센서(S3) 또는 하측센서(S4)에 가해지는 누름압력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제어부(70)에서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메모리(50)의 응용 프로그램 중 사용자가 즐겨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우선 구동시키면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40)의 디스플레이패널(D)을 통해 활성화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이성을 훨씬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동작 사진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도 9a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50)는 스크린(40)의 디스플레이패널(D)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을 3D로 구현토록 하는 3D 화상 구현 응용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제어부(70)는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메모리(50)의 응용 프로그램 중 3D 화상 구현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스크린(40)의 디스플레이패널(D)을 통해 3D 화상이 구현되도록 한다.
휴대 단말기의 화상은 디스플레이패널(D)을 통해 구현되는데, 평상시에는 시력을 보호하기 위하여 평면 화상 내지는 2D 화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다가, 특별히 입체적인 화면으로 보고자 하는 사진이나 영상물이 있을 경우, 한 손의 악력에 의한 좌측센서(S1), 우측센서(S2), 상측센서(S3) 또는 하측센서(S4)에 가해지는 누름압력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제어부(70)에서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메모리(50)의 응용 프로그램 중 3D 화상 구현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스크린(40)의 디스플레이패널(D)에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화상이 구현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이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동작 사진이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라 도 9a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50)는 무선 통신부(20)를 통한 인터넷 검색 응용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제어부(70)는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메모리(50)의 응용 프로그램 중 인터넷 검색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검색창이 스크린(40)의 디스플레이패널(D)을 통해 활성화되도록 한다.
최근 들어 휴대 단말기는 통화 수단으로서의 기능보다는 걸어다니는 컴퓨터로서의 기능, 예를 들면 인터넷 웹사이트 검색 및 웹 서핑 등이 오히려 주기능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부(20)를 통한 인터넷 검색 응용 프로그램을 메모리(50)에 내장시키고, 한 손의 악력에 의한 좌측센서(S1), 우측센서(S2), 상측센서(S3) 또는 하측센서(S4)에 가해지는 누름압력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제어부(70)에서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메모리(50)의 응용 프로그램 중 인터넷 검색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창이 활성화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이성을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동작 사진이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라 도 9a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50)는 왼손 전용 또는 오른손 전용 키 맵 응용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제어부(70)는 좌측센서(S1) 및 우측센서(S2)를 통해 왼손 또는 오른손으로 바디(B)가 파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메모리(50)의 응용 프로그램 중 왼손 전용 또는 오른손 전용 키 맵 응용 프로그램을 터치시트(T)에 구현되도록 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패널(D)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휴대 단말기를 한 손으로 사용할 경우 주로 엄지를 통한 터치시트(T)의 터치가 편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왼손일 경우 터치시트(T)에 키 맵(Key Map or Touch Map)이 왼쪽으로 쏠리도록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오른손일 경우 터치시트(T)에 키 맵이 오른쪽에 쏠리도록 배치시키는 것이 시그널 입력을 훨씬 용이하게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외손 전용 또는 오른손 전용 키 맵 응용 프로그램을 메모리(50)에 내장하고, 제어부(70)에서 좌측센서(S1) 및 우측센서(S2)를 통해 왼손 또는 오른손으로 바디(B)가 파지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후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메모리(50)의 응용 프로그램 중 왼손 전용 또는 오른손 전용 키 맵 응용 프로그램을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시트(T)에 구현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D)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이성을 더욱 크게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70)는 좌측센서(S1)의 스트레인게이지군(Sg) 중 1 또는 2 지점(엄지 또는 손바닥 안쪽)의 스트레인게이지(S)에서 누름압력이 감지되고 우측센서(S2)의 스트레인게이지군(Sg) 중 3 또는 4 지점(검지, 중지, 약지, 새끼 중의 3 또는 4)의 스트레인게이지(S)에서 누름압력이 감지될 경우 바디(B)를 왼손으로 파지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우측센서(S2)의 스트레인게이지군(Sg) 중 1 또는 2 지점의 스트레인게이지(S)에서 누름압력이 감지되고 좌측센서(S1)의 스트레인게이지군(Sg) 중 3 또는 4 지점의 스트레인게이지(S)에서 누름압력이 감지될 경우 바디(B)를 오른손으로 파지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동작 사진이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라 도 9a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50)는 바디(B)의 좌우회전에 따른 화상 수평 자동회전 응용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제어부(70)는 바디(B)의 좌우회전에 연동되는 화상 수평 자동회전 응용 프로그램에 맞추어 좌측센서(S1) 및 우측센서(S2)의 조합 그리고 상측센서(S3) 및 하측센서(S4)의 조합 중 어느 한 조합에 의존되는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토록 한다.
휴대 단말기의 사용시 바디(B)를 좌우회전하게 되면 디스플레이패널(D)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화상 수평 자동회전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러할 경우 좌측센서(S1), 우측센서(S2), 상측센서(S3) 및 하측센서(S4) 역시 사용자의 편이를 위하여 화면의 수평상태에 맞추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센서(S1) 및 우측센서(S2)의 조합 그리고 상측센서(S3) 및 하측센서(S4)의 조합 중 어느 한 조합에 의존되는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토록 함으로써 한 손 사용에 따른 핸디캡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동작 사진이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라 도 9a, 도 10, 도 13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센서(S1) 또는 우측센서(S2)의 스트레인게이지군(Sg)은 바디(B)의 좌측면(B1) 또는 우측면(B2)을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스트레인게이지(S)로 이루어지고, 메모리(50)는 웹 페이지, 볼륨, 밝기 관련 Up/Down 응용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제어부(70)는 좌측센서(S1)의 스트레인게이지군(Sg)인 복수 개의 스트레인게이지(S) 또는 우측센서(S2)의 스트레인게이지군(Sg)인 복수 개의 스트레인게이지(S)를 상하방향으로 가압할(스크롤할) 경우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메모리(50)의 웹 페이지, 볼륨, 밝기 관련 Up/Down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Up & Down 기능이 실현되도록 한다.
휴대 단말기의 한 손 사용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좌측센서(S1) 또는 우측센서(S2)의 스트레인게이지군(Sg)의 구성이 되는 복수 개의 스트레인게이지(S)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가압할 경우 제어부(70)에서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메모리(50)의 웹 페이지, 볼륨, 밝기 관련 Up/Down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p & Down 기능이 실현되도록 함으로써 웹 페이지 업다운, 볼륨조절, 밝기조절 등을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동작 사진이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라 도 9a, 도 10, 도 13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50)는 E-Book 페이지 넘김 응용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제어부(70)는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스트레인게이지군(Sg)의 누름압력의 크기에 따라 메모리(50)의 E-Book 페이지 넘김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E-Book 페이지 수를 비례적으로 넘기도록 한다.
휴대 단말기로서 E-Book을 열람하고자 할 때, 페이지 넘김을 한 손으로 하기 위하여 E-Book 페이지 넘김 응용 프로그램을 메모리(50)에 내장시키고, 한 손의 악력에 의한 좌측센서(S1), 우측센서(S2), 상측센서(S3) 또는 하측센서(S4)에 가해지는 누름압력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제어부(70)에서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메모리(50)의 응용 프로그램 중 E-Book 페이지 넘김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E-Book 페이지 수를 누름압력의 합의 크기에 비례적으로 넘길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이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23a 및 도 23b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동작 사진이다.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라 도 9a, 도 10, 도 13,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50)는 터치시트(T)를 통해 선(線) 또는 글자의 입력을 가능케 하는 선/글자 입력 응용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제어부(70)는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터치시트(T)를 통해 선 또는 글자가 입력될 경우 스트레인게이지군(Sg)의 누름압력의 크기에 따라 메모리(50)의 선/글자 입력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디스플레이패널(D)에 선 굵기 및 글자 굵기를 비례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즉, 터치시트(T)를 통해 선을 긋거나 글자를 입력할 때 그 누름압력에 관계없이 스트레인게이지군(Sg)의 누름압력의 크기에 따라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굵거나 얇게 선 처리가 될 수 있도록 하여, 터치시트(T)에 입력되는 선긋기가 도 23b의 좌 도면과 같이 입력되더라도 스트레인게이지군(Sg)의 누름압력의 크기에 따라 도 23b의 우 도면과 같이 굵고 얇은 선이 디스플레이패널(D)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이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동작 사진이다.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라 도 9a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50)는 디스플레이패널(D)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줌인 또는 줌아웃시키는 줌인/줌아웃 응용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제어부(70)는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터치시트(T)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스트레인게이지군(Sg)의 누름압력이 가해질 경우 그 크기에 따라 메모리(50)의 줌인/줌아웃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디스플레이패널(D)의 화면이 비례적으로 줌인 또는 줌아웃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는 터치시트(T)에 터치되는 두 지점을 벌리거나 좁혀 줌인 또는 줌아웃을 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터치패털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스트레인게이지군(Sg)의 누름압력이 가해질 경우 그 크기에 따라 메모리(50)의 줌인/줌아웃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디스플레이패널(D)의 화면이 비례적으로 줌인 또는 줌아웃되도록 하여 터지 지점의 움직임에 따른 종래의 스크린(40)의 디스플레이패널(D)의 오염 등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터치시트(T)의 터치 지점을 이동할 경우 그 이동 지점을 따라 디스플레이패널(D)의 화면이 스트레인게이지군(Sg)의 누름압력에 비례하여 줌인 또는 줌아웃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라 도 9a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50)는 디스플레이패널(D)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줌인 또는 줌아웃시키는 줌인/줌아웃 응용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제어부(70)는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스트레인게이지군(Sg)의 누름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터치시트(T)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이동함에 따라 메모리(50)의 줌인/줌아웃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디스플레이패널(D)의 화면을 터치지점의 이동거리에 비례적으로 줌인 또는 줌아웃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동작 사진이다.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라 도 9a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50)는 터치시트(T)의 터치에 의해 디스플레이패널(D)에 악기연주 화상을 디스플레이시키는 악기연주 응용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제어부(70)는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터치시트(T)의 터치에 의해 악기연주가 실현되도록 메모리(50)의 악기연주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그 악기연주에 따른 볼륨이 스트레인게이지군(Sg)의 누름압력에 비례적으로 강약 조절되도록 한다.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악기를 연주할 때 한 손으로는 악기의 종류에 맞추어 연주를 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바디(B)에 가해지는 악력, 즉 스트레인게이지군(Sg)에 가해지는 누름압력에 비례적으로 볼륨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연주와 음량 조절을 실시간으로 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웹 서핑, 인터넷 검색 등을 실현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10 : 전원 공급부 20 : 무선 통신부
30 : A/V 입력부 40 : 스크린
50 : 메모리 60 : 시그널 입력부
70 : 제어부 D : 디스플레이패널
T : 터치시트 B : 바디
B1 : 좌측면 B2 : 우측면
B3 : 상측면 B4 : 하측면
S1 : 좌측센서 S2 : 우측센서
S3 : 상측센서 S4 : 하측센서
Sg : 스트레인게이지군 S : 스트레인게이지
C : 지지대 P : 탄성플레이트
A : 액츄에이터 N : 측면 케이스

Claims (10)

  1.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0)와; 무선 송수신을 가능케 하는 무선 통신부(20)와;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는 A/V 입력부(30)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40)과;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50)와; 시그널을 입력하는 시그널 입력부(60)와; 상기 전원 공급부(10)의 전원으로 구동되며 상기 무선 통신부(20)를 통해 무선 통신을 가능케 하고 상기 A/V 입력부(30)의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받아들이며 상기 시그널 입력부(60)의 시그널에 연동되어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상기 메모리(50)의 운영체제 및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데이터를 불러들여 상기 스크린(40)에 디스플레이시키면서 실행시키는 제어부(70)와; 상기 전원 공급부(10), 무선 통신부(20), A/V 입력부(30), 스크린(40), 메모리(50), 시그널 입력부(60) 및 제어부(70)를 수용하면서 좌측면(B1), 우측면(B2), 상측면(B3) 및 하측면(B4)을 지닌 바디(B)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40)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패널(D)과, 상기 시그널 입력부(60)의 구성이 되면서 터치로서 시그널을 상기 제어부(70)에 입력하는 터치시트(T)를 구비하고,
    상기 시그널 입력부(60)는 상기 바디(B)의 좌측면(B1) 또는 우측면(B2)에 배열되어 누름압력을 감지하는 좌측센서(S1) 또는 우측센서(S2)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좌측센서(S1) 또는 우측센서(S2)에 가해지는 누름압력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센서(S1) 또는 우측센서(S2)는 누름압력을 저항값으로 선형 변형시키는 스트레인게이지군(Sg)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 입력부(60)는 상기 바디(B)의 상측면(B3) 또는 하측면(B4)에 배열되어 누름압력을 감지하는 상측센서(S3) 또는 하측센서(S4)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좌측센서(S1), 우측센서(S2), 상측센서(S3) 또는 하측센서(S4)에 가해지는 누름압력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센서(S1), 우측센서(S2), 상측센서(S3) 또는 하측센서(S4)는 누름압력을 저항값으로 선형 변형시키는 스트레인게이지군(Sg)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50)는 사용자가 숨기고 싶은 응용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상기 메모리(50)의 응용 프로그램 중 사용자가 숨기고 싶은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상기 스크린(40)의 디스플레이패널(D)에 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센서(S1) 또는 우측센서(S2)의 스트레인게이지군(Sg)은 상기 바디(B)의 좌측면(B1) 또는 우측면(B2)을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스트레인게이지(S)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모리(50)는 웹 페이지, 볼륨, 밝기 관련 Up/Down 응용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좌측센서(S1)의 스트레인게이지군(Sg)인 복수 개의 스트레인게이지(S) 또는 상기 우측센서(S2)의 스트레인게이지군(Sg)인 복수 개의 스트레인게이지(S)를 상하방향으로 가압할(스크롤할) 경우 상기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상기 메모리(50)의 웹 페이지, 볼륨, 밝기 관련 Up/Down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Up & Down 기능이 실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50)는 상기 터치시트(T)를 통해 선(線) 또는 글자의 입력을 가능케 하는 선/글자 입력 응용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상기 터치시트(T)를 통해 선 또는 글자가 입력될 경우 상기 스트레인게이지군(Sg)의 누름압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메모리(50)의 선/글자 입력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D)에 선 굵기 및 글자 굵기를 비례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50)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D)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줌인 또는 줌아웃시키는 줌인/줌아웃 응용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하여 상기 스트레인게이지군(Sg)의 누름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터치시트(T)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이동함에 따라 상기 메모리(50)의 줌인/줌아웃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D)의 화면을 상기 터치지점의 이동거리에 비례적으로 줌인 또는 줌아웃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센서(S1)는
    상기 바디(B)의 좌측면(B1) 내측에 지지대(C)를 구비시키고,
    상기 지지대(C) 위에 탄성플레이트(P)를 위치시키며,
    상기 탄성플레이트(P)의 위에 스트레인게이지(S)를 부착시킨 후 그 중앙에 측면 케이스(N)의 누름을 받는 액츄에이터(A)를 배치시킨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센서(S1)는 상기 측면 케이스(N)를 가압하여 상기 액츄에이터(A)가 반응토록 하여 상기 스트레인게이지(S)와 더불어 상기 탄성플레이트(P)가 상기 지지대(C)에 지지되면서 휘어지도록 하면서 그 휨에 따른 상기 스트레인게이지(S)의 저항값의 변화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70)로 하여금 다른 펑크션 시그널을 출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20118211A 2012-10-24 2012-10-24 휴대 단말기 KR201400522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211A KR20140052281A (ko) 2012-10-24 2012-10-24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211A KR20140052281A (ko) 2012-10-24 2012-10-24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281A true KR20140052281A (ko) 2014-05-07

Family

ID=50885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211A KR20140052281A (ko) 2012-10-24 2012-10-24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228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662B1 (ko) * 2015-04-13 2016-08-0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 크랙을 이용한 변형률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조작 장치
US9959030B2 (en) 2015-03-05 2018-05-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515106B2 (en) 2018-08-24 2022-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key assembly comprising pressure sensor,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9030B2 (en) 2015-03-05 2018-05-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0209878B2 (en) 2015-03-05 2019-02-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0705716B2 (en) 2015-03-05 2020-07-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KR101646662B1 (ko) * 2015-04-13 2016-08-0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 크랙을 이용한 변형률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조작 장치
US11515106B2 (en) 2018-08-24 2022-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key assembly comprising pressure sensor,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8408B2 (en) Electronic device
US7800592B2 (en)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multiple touch sensing devices
US10795492B2 (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device
JP4447823B2 (ja) 携帯情報機器
US20100103115A1 (en) Display arrangement and electronic device
US10007386B2 (en) Input device and program
JP6246640B2 (ja) 電子機器
US10627947B2 (en) Electronic device
RU2008142904A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клавиша с прокруткой
WO2011043949A1 (en) User interface control with edge sensor for finger touch and motion sensing
GB2462579A (en) Touch screen display including proximity sensor
TW201205385A (en) Touch present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879019B1 (en) Dynamic hardware controls with haptic and visual feedback
Hoye et al. Touch screens: A pressing technology
US11360662B2 (en) Accommodative user interface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KR20140052281A (ko) 휴대 단말기
KR20090105864A (ko) 데이터입력장치 및 데이터입력방법
WO2015060279A1 (ja) 携帯端末用表示装置
JP2016012313A (ja) 操作装置
US10996712B2 (en) Electronic device
JP2014085754A (ja) 電子機器
JP2015106174A (ja) 電子機器
JP2016063366A (ja) 携帯表示端末
CN110286841A (zh) 电子设备及显示信息的控制方法
JP6062351B2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