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159A - 특정 장소에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바일 콘텐츠 신청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활용한 sns시스템 - Google Patents

특정 장소에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바일 콘텐츠 신청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활용한 sns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159A
KR20140052159A KR1020120116981A KR20120116981A KR20140052159A KR 20140052159 A KR20140052159 A KR 20140052159A KR 1020120116981 A KR1020120116981 A KR 1020120116981A KR 20120116981 A KR20120116981 A KR 20120116981A KR 20140052159 A KR20140052159 A KR 20140052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ents
user
mobile
re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탁
Original Assignee
이영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탁 filed Critical 이영탁
Priority to KR1020120116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2159A/ko
Publication of KR20140052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Abstract

(가)기술분야는 외부에 위치한 서버(130)에서 이용자가 위치한 장소로 요청받은 컨텐츠화일을 전송하여 재생하는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SNS이다.
(나)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용자가 위치한 곳에 이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재생하고 이를 함께 위치한 사람들과 공유하고자 할 때, 그 신청 시스템을 쉽게 구동시키고, 위치를 파악하며, 다양한 저장장치에 위치한 콘텐츠를 특정 위치에 구축된 재생시스템(140~145)에서 재생되게 하고, 이를 매개로 같이 위치한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다)해결수단은 NFC(110)를 이용하여 콘텐츠 요청시스템을 쉽게 구동하고, 근거리 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단말(120~123)과, 콘텐츠 재생시스템(140~145) 그리고 외부 콘텐츠 제공 서버(130)에 저장된 콘텐츠를 자유롭게 재생하는 것이다.
(라)효과는 좋은 음향장치가 있는 곳에 이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재생하고 다수의 사람들과 공유하므로 콘텐츠의 부가가치를 높여주고, 이용자의 음악적 지식을 공유할 수 있으며, 무명 음악가의 음악을 좀 더 쉽게 다수의 사람에게 전달할 수 있고, NFC를 이용하여 이러한 시스템을 쉽게 노출하고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특정 장소에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바일 콘텐츠 신청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활용한 SNS시스템 {mobile content ordering system for playing in particular place and SNS system using it}
본 발명은 특정 장소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감상하기 위해 자신의 모바일 기기에서 콘텐츠를 전송하거나 신청하고 재생하는 기술과, 이를 매개로 근거리에 있는 사람들끼리 소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방이나 술집에서의 신청곡 서비스
일부 다방이나 술집에서 손님이 신청한 음악이나 영화를 틀어주기도 하지만 단골이 아니면 신청하기가 부담스럽고 일개 매장이 보유한 음원에는 한계가 있다. 외부에 저장된 콘텐츠를 모바일로 신청하여 내가 위치한 매장에 재생되도록 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재생된 콘텐츠를 즐기는 사람들끼리 의사소통할 수 있는 SNS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양한 장소에 위치한 이용자로부터 콘텐츠 전송을 요청받아 해당 장소에 설치된 콘텐츠 재생장치로 콘텐츠를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받아 재생하는 콘텐츠 재상장치, 모바일 단말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나 콘텐츠 재생장치로 곡을 요청하고, 이용자간 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 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웹사이트, 매장위치와 사이트url, 구동할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NFC tag, 그리고 이들 구성요소들을 연동시켜주는 bluetooth, WIFI, LTE, WCDMA, LAN등의 유무선 통신망을 활용하고자 한다.
이용자는 자신이 소유한 모바일 단말에서 콘텐츠 전송 서버와 연동된 신청곡 요청 애플리케이션이나 웹사이트를 열어 원하는 콘텐츠를 신청할 수 있는데, 이용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매장 테이블등에 부착된 NFC tag에 단말기가 접근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이나 사이트를 자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나 웹사이트는 NFC tag로부터 매장정보를 얻어 재생되기 원하는 콘텐츠 정보, 그리고 이용자 정보와 함께 콘텐츠 제공서버로 보낸다. 만일 NFC tag로부터 매장정보를 얻지 못했거나, 재생을 원하는 콘텐츠가 자신의 모바일 기기나 콘텐츠 재생장치에 있는 경우, 매장에 wifi나 bluetooth같은 근거리 통신망이 구축돼 있으면 이를이용하여 콘텐츠 재생장치로 직접 요청한다.
콘텐츠 제공 서버는 이용자가 원하는 콘텐츠와 매장정보를 파악하고 해당 매장에 위치한 콘텐츠 재생장치에 콘텐츠를 디지털 파일 형태로 전송한다.
콘텐츠 재생장치는 디지털 화일을 아날로그 신호로 컨버팅하여 재생한다.
매장에 위치한 사람들은 콘텐츠 요청 애플리케이션이나 웹사이트를 통하여 콘텐츠 요청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으로 구동되고 위치를 파악하는 특정 장소에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콘텐츠 신청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활용한 SNS시스템은 이용자가 간편하게 원하는 콘텐츠를 찾아 신청할 수 있게 하고, 이를 즐기는 사람들끼리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해 더 많은 사람과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source에서 음원을 취함으로써 고객의 선택 범위를 넓혀준다.
더하여, 해당 기능이 있는 애플리케이션 및 web을 nfc, WIFI, 그리고 blue tooth를 통하여 자동 구동함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알리고 이용을 유도하기가 용이하다.
마지막으로 동일 공간에서 음악을 신청한 사람과 메시지를 주고 받게 함으로 기존에 sns가 제공하지 못했던 off line 인맥도 확장할 수 있다.
제1도는 특정 장소에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신청곡 시스템과 이를 활용한 SNS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별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모바일단말 및 그에 탑재될 애플리케이션과 웹브라우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콘텐츠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콘텐츠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특정장소에서 콘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특정 장소에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콘텐츠 신청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활용한 SNS시스템의 구성요소와 각 구성요소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이 적용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콘텐츠 신청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활용한 SNS시스템은 콘텐츠 요청 애플리케이션이나 웹브라우저를 구동할 수 있는 모바일단말(120~123), 구동할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브라우저 정보와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NFC tag(110), 콘텐츠제공 서버(130), 그리고 이와 인터넷 망으로 연결된 콘텐츠재생장치(140~145)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모바일단말(120~123)과 nfc tag(110) 및 콘텐츠재생장치(140~145)는 블루투스,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UWB(ultra-wide band)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탑재하여,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nfc tag(110) 및 콘텐츠재생장치(140~145)는 카페, 술집, 레스토랑 같은 매장 공간에 설치된다.
NFC tag(110)는 모바일단말(120~123)이 접근했을 경우 자신이 위치한 매장정보와 구동할 애플리케이션정보 또는 접속할 site url을 모바일단말(120~123)로 전송하고 모바일 단말은 이중 매장정보를 콘텐츠제공서버(130)에 전송한다.
모바일단말(120~123)은 nfc tag(110)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정보 또는 site url을 받아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거나 사이트에 접속한 다음,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띄운다. 이때 모바일단말(120~123)에서 이용자가 직접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거나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으며, 매장정보 또한 이용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해 콘텐츠재생장치(140~145)로부터 받을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나 사이트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이나 사이트가 구동되고 있는 모바일단말(120~123)이나 자기가 위치하고 있는 매장의 콘텐츠재생장치(140~145), 콘텐츠제공 서버(130)에 저장되거나, 자기가 위치한 매장이나 다른 매장의 콘텐츠 재생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정보에는 해당 콘텐츠 요청자의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으며 콘텐츠화일이나 콘텐츠에 대한 추가정보를 해당 콘텐츠 요청자에게 텍스트나 멀티미디어 형태로 요청할 수 있다. 해당 요청은 콘텐츠제공 서버(130)나 콘텐츠 재생장치(140~145)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된다.
노출된 콘텐츠 중 모바일단말(120~123)에 저장된 콘텐츠 선택시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해 콘텐츠재생장치(140~145)로 전송하고, 콘텐츠재생장치(140~145) 혹은 콘텐츠제공 서버(130)에 저장된 콘텐츠 선택시 해당 콘텐츠 식별자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해 콘텐츠재생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콘텐츠재생장치(140~145)는 갖고 있지 않은 콘텐츠 재생을 요청받았을 경우 이를 콘텐츠제공 서버(130)에 요청해 받는다. 모바일단말(120~123)과 콘텐츠재생장치(140~145) 간 근거리 통신망이 갖춰지지 않았을 경우, 모바일단말(120~123)은 직접 콘텐츠제공 서버(130)에 원하는 콘텐츠가 있으면 콘텐츠식별자를, 없으면 콘텐츠파일을 매장정보와 함께 전송하여 재생을 요청하고 콘텐츠제공서버(130)는 해당 매장에 위치한 콘텐츠재생장치(140~145)에 콘텐츠식별자나 콘텐츠파일을 전송하여 재생요청한다.
콘텐츠제공 서버(130)는 매장 1, 2, 3과 같이 각기 다른 매장에 위치한 복수의 모바일단말(120~123)로부터 콘텐츠와 이용자 식별자, 그리고 매장정보를 받아 해당 콘텐츠파일이나 콘텐츠 식별자를 이용자 식별자와 함께 해당 매장 콘텐츠재생장치(140~145)에 순차로 전송한다. 이때 콘텐츠파일은 정보보존을 위해 디지털파일형태로 전송된다.
콘텐츠재생장치(140~145)는 콘텐츠제공 서버(130)나 모바일단말(120~123)로부터 디지털형태의 콘텐츠파일이나 자체 저장 콘텐츠의 식별자를 받아 순차적으로 재생한다. 재생된 파일은 디지털형태로 DAC부(460)(digital analogue converter)로 전송되며 DAC부(460)는 이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형하여 증폭 및 출력부(470)로 전송한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단말(120~123)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단말(120~123)은 통신인터페이스부(210), 입력부(220), 콘텐츠 요청 및 전송부(230), 재생정보 수신 및 노출부(240), 데이터베이스(250),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이중 입력부(220), 콘텐츠 요청 및 전송부(230), 재생정보 수신 및 노출부(240)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웹브라우저 형태로 제공된다.
통신인터페이스부(210)는 이동통신망, wifi, NFC,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콘텐츠제공서버(130)와 콘텐츠재생장치(140~145)와 통신한다. 이중 NFC는 NFC tag에 입력된 매장정보를 받아 wifi나 이동통신망을 통해 콘텐츠제공서버(130)에 전달하여 모바일단말(120~123)이 요청한 콘텐츠를 해당 매장에 전달토록 한다.
입력부(220)는 콘텐츠제공서버(130)나 콘텐츠재생장치(140~145)에 요청할 콘텐츠 제목이나 다른 이용자에게 전달할 텍스트 및 멀티미디어를 입력하는 화면 및 입력기이다.
콘텐츠 요청 및 전송부는 입력부(220)나 데이터베이스(250)에서 재생할 콘텐츠를 입력하거나 찾아, 요청하거나 콘텐츠화일을 전송한다.
재생정보 수신 및 노출부(240)는 해당 매장 및 타 매장에서 과거, 현재, 미래 시점의 콘텐츠 재생리스트를 컨턴츠제공서버(130)과 콘텐츠재생장치(140~145)로부터 수신하여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정렬하여 노출한다.
데이터베이스(250)는 콘텐츠, 주고받은 메시지, 단말기 및 이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260)는 모바일단말(120~123)의 동작을 제어하며, 입력부(220), 콘텐츠 요청 및 전송부(230), 재생정보 수신 및 노출부(240)의 소프트웨어 영역에서의 동작을 요청에 맞게 애플리케이션이나 웹브라우져를 구동하여 실행한다. 또한 콘텐츠제공서버(130)나 콘텐츠재생장치(140~145)와 같은, 각각의 신청곡 시스템에 저장된 콘텐츠중, 이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제공서버(1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제공서버(130)는 모바일단말(120)과 콘텐츠재생장치(140)와의 유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부(310), 이용자 식별부(320), 매장 정보 수신부(330), 콘텐츠 리스트 제공부(340), 콘텐츠 요청 및 텍스트 수신부(350), 데이터베이스부(360), 콘텐츠 및 텍스트 전송부(370), 제어부(380)를 포함한다.
통신인터페이스부(310)는 모바일단말(120)과 콘텐츠재생장치(140)와 통신하고, 요청받은 콘텐츠나 텍스트를 수발신한다.
이용자식별부(320)는 모바일단말(120)이나 콘텐츠재생장치(140)로부터 받은 이용자식별자와 IP등을 검증하여 기 정의된 권한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매장 정보 수신부(330)는 모바일단말(120)로부터 매장정보를 받아 해당 매장에 설치된 콘텐츠재생장치(140)의 IP를 수신자 정보로 정의하여 콘텐츠전송부(370)와 통신인터페이스부(310)에 전달한다.
콘텐츠리스트제공부(340)는 데이터베이스(360), 모바일단말(120), 콘텐츠재생장치(140)에 저장된 재생가능한 콘텐츠를 기 정의된 순서에 맞게 정렬하여 모바일단말(120)과 콘텐츠재생장치(140)에 전송한다.
콘텐츠요청 및 텍스트 수신부(350)는 모바일단말(120)이나 콘텐츠재생장치(140)로부터 전송할 콘텐츠 식별자나 전달할 텍스트를 받고, 콘텐츠 식별자는 데이터베이스부(360)로 보내 해당 콘텐츠가 있는지 찾고, 텍스트일 경우 콘텐츠 및 텍스트 전송부(370)로 보낸다.
데이터베이스부(370)는 콘텐츠와 이용자정보, 그리고 매장정보와 그곳에 위치한 콘텐츠재생장치(140)의 IP를 저장하고 각 부에서 요청이 들어오면 제공한다.
콘텐츠 및 텍스트 전송부(350)는 데이터베이스부(360)로부터 콘텐츠를, 콘텐츠요청 및 텍스트 수신부(350)으로부터 텍스트를 받아 통신인터페이스부(310)로 보낸다.
제어부(380)는 콘텐츠제공서버(130)의 동작을 제어하며, 요청받은 콘텐츠나 텍스트가 요청자가 위치한 콘텐츠재생장치(140)나 요청자가 지정한 모바일단말(121)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장치(14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재생장치(140~145)는 통신인터페이스부(410), 이용자식별부(420), 콘텐츠수신부(430), 데이터베이스부(440),재생부(450), DAC부(460), 증폭 및 출력부(470), 제어부(480)를 포함한다.
통신인터페이스부(410)는 모바일단말(120~123)과 콘텐츠제공서버(130)와 통신하여 콘텐츠나 이용자정보, 그리고 매장정보를 주고받는다.
이용자식별부(420)은 모바일단말(120~123)이 콘텐츠재생장치(140~145)로 직접 접속할 경우 해당 단말이나 이용자의 정보를 콘텐츠제공서버(130)로 보내 해당 단말이나 이용자의 권한과 신청 콘텐츠 히스토리, 그리고 전송 요청한 텍스트 히스토리를 받는다.
콘텐츠수신부(430)는 모바일단말(120~123)이나 콘텐츠제공서버(130)로부터 재생할 콘텐츠를 수신받는다.
데이터베이스부(440)는 콘텐츠를 저장하고 저장된 콘텐츠 리스트를 매장에 위치한 모바일 단말에 노출시켜 재생 요청이 들어올 경우 재생 및 재생정보 제공부(450)로 보낸다.
재생 및 재생정보 제공부(450)는 데이터베이스(440)으로부터 받은 콘텐츠화일을 순차적으로 재생하고 재생한 디지털신호를 DAC부(460)으로 전송하고, 과거, 현재, 미래 시점의 재생 콘텐츠 리스트를 모바일단말(120~123)에 전송한다.
DAC-digital analog converter-부(460)는 재생부(450)로부터 받은 디지털 콘텐츠 화일을 analog신호로 바꿔 증폭 및 출력부(470)으로 보낸다.
증폭 및 출력부(470)는 DAC부(460)으로부터 받은 아날로그 콘텐츠 신호를 amplifier로 증폭하고 스피커나 디스플레이로 사람이 듣거나 볼 수 있도록 출력한다.
제어부(480)는 모바일단말(120~123)과 콘텐츠제공서버(130)로부터 재생 요청된 콘텐츠가 순차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콘텐츠재생장치(140~145)를 제어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특정구역 신청곡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NFC module을 내장한 모바일단말(120~123)이 테이블위에 부착된 NFC tag(110)에 접근하면 NFC module이 활성화되고 NFC tag에 저장된 site url과 매장정보를 받아 web browser를 구동시켜 해당 site에 접속한다.(s401)
이용자는 해당 site에서 신청곡을 선택하거나 입력하고 콘텐츠제공서버에 해당 신청곡을 자신이 위치한 매장에 재생요청한다.(s402)
콘텐츠 제공 서버(130)는 해당 모바일 단말(120~123)이 위치한 매장의 콘텐츠 재생장치(140~145)에 해당 신청곡을 전송한다.(s403)
콘텐츠 재생장치(140~145)는 해당 신청곡을 포함하여 요청들어온 순서대로 재생 스케쥴을 정하고,(s404) 이 스케쥴을 콘텐츠제공서버(130)에 전달한다.(s405)
콘텐츠 제공서버(130)는 해당 스케쥴을 해당 매장에 위치한 모바일단말(120~123)에 전달한다.(s406)
110: NFC tag 120~123: 모바일단말
130: 콘텐츠 제공 서버 140~145: 콘텐츠 재생 장치
210: 통신인터페이스부 220: 입력부
230: 콘텐츠 요청 및 전송부 240: 재생정보 수신 및 노출부
250: 데이터베이스부 260: 제어부
310: 통신인터페이스부 320: 이용자식별부
330: 매장정보수신부 340: 콘텐츠리스트제공부
350: 콘텐츠요청 및 텍스트수신부 360: 데이터베이스부
370: 콘텐츠 및 텍스트 전송부 380: 제어부
410: 통신인터페이스부 420: 이용자식별부
430: 콘텐츠수신부 440: 데이터베이스부
450: 재생 및 재생정보 제공부 460: DAC부
470: 증폭 및 출력부 480: 제어부

Claims (8)

  1. 이용자가 특정 구역에 특정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요청했을 때 이를 수신하여 해당 구역에 요청받은 콘텐츠를 제공하여 재생되도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120~123)에서 콘텐츠 신청 애플리케이션이나 웹브라우저를 호출하는 단계;
    이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재생할 콘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콘텐츠 제공 서버(130)에 전송하는 단계;
    콘텐츠 제공 서버는 이를 받아 이용자가 위치한 장소에 설치된 콘텐츠 재생장치(140~145)에 콘텐츠를 전달하는 단계;
    콘텐츠 재생장치(140~145)가 콘텐츠를 받아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콘텐츠를 즐기는 사람들 간에 콘텐츠를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특정장소에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바일 콘텐츠 신청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활용한 SNS시스템의 동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120~123)에서 콘텐츠 신청 시스템을 호출하는 방법은
    상기 단말(120~123)에 NFC 리더가 내장되어있고, 단말이 특정 구역의 NFC태그(110)에 접촉했을 때, 단말에서 자동으로 콘텐츠 신청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콘텐츠 신청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NFC태그(110)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용자가 직접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게 되는 특정장소에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바일 콘텐츠 신청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활용한 SNS시스템의 동작 방법
  3. 청구항 1에서 시스템이 이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는
    nfc태그(110)에 위치정보가 입력되어 단말(120~123)이 접촉했을 때 해당정보를 보내거나,
    단말(120~123)이 매장의 콘텐츠 재생장치(140~145)와 근거리 통신하게 되면 콘텐츠 재생장치(140~145)가 단말(120)이나 이용자 식별자를 콘텐츠 제공 서버(130)에 보내서 콘텐츠 제공 서버(130)가 콘텐츠 재생장치(140~145)가 위치한 장소에 이용자와 단말(120~123)이 있다고 인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두 가지 방법에 해당하지 않으면 모바일 단말(120~123)이 직접 LBS시스템에 접속하여 위치를 파악하고 이용자에게 추천하여 선택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정장소에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바일 콘텐츠 신청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활용한 SNS시스템이 동작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서 재생할 콘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전송하는 단계는
    이용자에게 자신의 단말(120~123) 또는 콘텐츠 재생장치(140~145), 그리고 콘텐츠 제공 서버(130)에 저장된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게 하며
    자신의 단말(120~123)에 저장된 콘텐츠를 선택했을 경우, 해당 콘텐츠파일을 와이 파이나 블루투스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매장 콘텐츠 재생장치(140~145)에 전송하고 매장 콘텐츠 재생장치(140~145)는 이를 재생하는 단계
    매장 콘텐츠 재생장치(140~145)에 저장된 콘텐츠를 선택했을 경우, 해당 콘텐츠의 식별자를 매장 콘텐츠 재생장치(140~145)에 전달하고, 매장 콘텐츠 재생장치(140~145)는 전달받은 식별자에 해당하는 자체 보유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그리고 외부 콘텐츠 제공 서버(130)에 저장된 콘텐츠를 선택했을 경우, 해당 요청은 콘텐츠 제공 서버(130)에 전달되며 콘텐츠 제공 서버(130)는 단말(120~123)이 위치한 매장의 콘텐츠 재생장치(140~145)에 전송하며, 매장 콘텐츠 재생장치(140~145)는 이를 받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정장소에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바일 콘텐츠 신청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활용한 SNS시스템의 동작 방법
  5. 청구항 4에서 이용자의 단말(120~123)이 매장 콘텐츠 재생장치(140~145)에 콘텐츠나 콘텐츠의 식별자를 전달하는데 필요한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 부(410)를 갖춘 매장 콘텐츠 재생장치(140~145)를 포함하는 특정장소에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바일 콘텐츠 신청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활용한 SNS시스템.
  6. 청구항4에서 매장 콘텐츠 재생장치(140~145)가 재생할 콘텐츠를 전달받을 경우, 해당 콘텐츠는 디지털형태로 전달되며 이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460)를 포함하는 특정장소에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바일 콘텐츠 신청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활용한 SNS시스템.
  7. 특정구역에 위치한 사람들끼리 통신하여 콘텐츠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특정장소에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바일 콘텐츠 신청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활용한 SNS시스템으로서
    모바일 단말(120~123)에 해당 공간에 재생되는 콘텐츠 리스트와 콘텐츠를 주문한 사람의 식별자를 노출하는 노출부(240)
    해당 주문자의 단말(120~123)에 콘텐츠 공유를 요청하고 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컨텐츠 요청 및 전송부(230)를 포함하는 특정장소에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바일 콘텐츠 신청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활용한 SNS시스템.
  8. 청구항 7에서 요청받은 콘텐츠가 단말(120~123)에 저장되어있는 경우, 블루투스나 와이 파이 같은 단말(120~123) 간 근거리 통신망으로 상대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요청받은 콘텐츠가 매장콘텐츠 재생장치(140~145)에 저장되어 있을 경우, 요청받은 단말(120~123)은 해당 콘텐츠와 요청자의 식별자를 매장콘텐츠 재생장치(140~145)에 전달하고, 매장콘텐츠 재생장치(140~145)가 블루투스나 와이파이같은 근거리 통신망으로 요청자의 단말(120~123)에 콘텐츠를 전달하는 단계,
    그리고 요청받은 콘텐츠가 외부 콘텐츠 전달 서버(130)에 위치해 있을 경우, 요청받은 단말(120~123)은 해당 콘텐츠와 요청자의 식별자를 외부 콘텐츠 전달 서버(130)에 전달하고, 콘텐츠 전달 서버(130)는 요청자에게서 요청받은 콘텐츠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정장소에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바일 콘텐츠 신청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활용한 SNS시스템
KR1020120116981A 2012-10-20 2012-10-20 특정 장소에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바일 콘텐츠 신청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활용한 sns시스템 KR201400521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981A KR20140052159A (ko) 2012-10-20 2012-10-20 특정 장소에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바일 콘텐츠 신청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활용한 sns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981A KR20140052159A (ko) 2012-10-20 2012-10-20 특정 장소에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바일 콘텐츠 신청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활용한 sns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159A true KR20140052159A (ko) 2014-05-07

Family

ID=50885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981A KR20140052159A (ko) 2012-10-20 2012-10-20 특정 장소에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바일 콘텐츠 신청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활용한 sns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21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7213A (zh) * 2015-08-04 2015-11-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音乐系统及其播放方法
KR20190130219A (ko) * 2018-04-26 2019-11-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및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7213A (zh) * 2015-08-04 2015-11-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音乐系统及其播放方法
CN105047213B (zh) * 2015-08-04 2017-07-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音乐系统及其播放方法
KR20190130219A (ko) * 2018-04-26 2019-11-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및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64300B (zh) 云队列访问方法、计算设备和云队列访问控制方法
US9084089B2 (en) Media data exchange transfer or deliver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8831577B2 (en) Venue-oriented commerce vi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U2006335157B2 (en) Media data transfer
EP1536352B1 (en) System for accessing content items over a network
KR101894394B1 (ko)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컨텐츠 공유 단말
CN104520890A (zh) 用于包括远程添加到队列的联网音乐回放的系统和方法
KR20130005776A (ko) 씨아이디 콘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수신 단말기, 씨아이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JP5367845B2 (ja) リモートソースからのdlnaデータ配信
US20100179998A1 (en) Stateful server based social networking using mobile devices
JP2013021691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ユーザ端末の情報取得方法および装置
JP2019511798A (ja) 複数の電子機器が一つの電子機器と連動されるサービスを使用する方法及び装置
KR20140052159A (ko) 특정 장소에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바일 콘텐츠 신청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활용한 sns시스템
JP2015106230A (ja) デジタル聖火リレーシステム
JP2009541844A (ja) 予めプログラムされた好みに基づいて、人々をマッチングさせる方法及び装置
TWM494991U (zh) 雲端行動ktv點歌裝置
WO20130903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coding and/or encoding a text message or instant message sent by a wireless device and transmitting audio and/or video content to the recipient of the text message or instant message based on key words in the text message
US201602999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ersonalized Tones
KR101157538B1 (ko) 개인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컨텐츠 유통 방법 및 시스템
JP2022150877A (ja) オンラインカラオケシステム
JP2006106808A (ja) 見本提供システム
JP2006071714A (ja) カラオケルームサービスシステム
KR20150059193A (ko)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의사 표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