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1800A - 잔향성 증진용 유화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잔향성 증진용 유화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1800A
KR20140051800A KR1020130126161A KR20130126161A KR20140051800A KR 20140051800 A KR20140051800 A KR 20140051800A KR 1020130126161 A KR1020130126161 A KR 1020130126161A KR 20130126161 A KR20130126161 A KR 20130126161A KR 20140051800 A KR20140051800 A KR 20140051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arts
fragrance
weight
em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민
김후덕
김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40051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80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세정제의 향료 잔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유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잔향성 세정제 조성물, 및 이러한 고잔향성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폴리머,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폴리머를 추가로 첨가하여 유화를 통해 향을 미리 안정화시킨 본 발명의 유화 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인체에 향을 흡착시켜 향이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만족할 만한 잔향성을 수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잔향성 증진용 유화 향료 조성물{A Emulsified fragrance composition for increasing the remaining fragrance}
본 발명은 잔향성 증진용 유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체 세정제의 향료 잔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유화 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고잔향성 세정제 조성물 및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스널 케어 제품은 사용 부위에 따라 헤어케어 제품과 바디케어 제품으로 나눌 수 있으며, 헤어케어 제품에는 샴푸, 컨디셔너, 헤어 에센스 등이 있고, 바디케어 제품에는 비누, 바디클렌저, 바디로션 등이 있다.
퍼스널 케어 제품은 또한 사용 방법에 따라서 바르는 리브 온(leave-on) 제품과 사용 후 씻어내는 워시 오프(wash-off) 제품으로 나눌 수 있다.
워시 오프되는 인체 세정 제품에는 샴푸와 컨디셔너, 바디워시 등이 있는데, 이중 샴푸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의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폴리머, 비이온성 폴리머 등의 폴리머를 함유하여 모발 및 두피의 세정효과와 모발의 컨디셔닝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컨디셔너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실리콘 등을 함유하여 샴푸 후 모발에서 나타나는 음전하를 중화시켜 정전기를 줄이고, 모발에 보호막을 씌워 부드럽게 하여 들뜸과 빗질을 용이하게 한다. 바디워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과 양이온성 폴리머, 비이온성 폴리머 등을 함유하여 인체의 세정 효과 및 부드러움을 부여한다.
퍼스널 케어 제품에서의 향은 원료취와 세정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부 분비물 및 오염에 의해 발생하는 냄새를 마스킹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 시와 사용 후 향을 인지하여 즐거운 감정을 느끼게 하여 상품의 가치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리브 온 제품은 사용 시 향이 오래 유지되어 장시간 향을 느낄 수 있는 것에 비해, 워시 오프 제품은 사용 시 상당량의 향이 제품과 함께 물로 씻어져 나가므로 인체에 남는 향의 양이 매우 적기 때문에 제품 사용 후 잔향이 약하다.
따라서 워시 오프 제품의 잔향성을 높이기 위해서 사용하는 방법 중에는 부향률을 높이는 방법이 있다. 부향률을 높이면 제품 자체의 향부터 사용 중과 사용 후 잔향까지 모든 단계의 향이 강해져 잔향이 강해지는 효과를 줄 수 있지만 일정 함량 이상으로 부향률을 높이면 사용 중의 향이 너무 강하여 독하게 인지될 수 있으며, 제품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원재료비가 무리하게 상승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워시 오프 제품의 잔향성을 높이는 다른 방법으로는 끓는점이 250oC 이상인 원료와 용해도를 나타내는 clogP가 3 이상인 원료의 비율이 높은 향료를 사용하는 것이다(미국 특허 제6,086,903호). 향료가 휘발되어 느껴지는 것이 증기압에 의한 특징인데, 이러한 증기압(vapor pressure)은 물질의 끓는점(boiling point)과 반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향료의 끓는점이 높을수록 잔향이 증가되는 특성이 있다. clogP는 단일 향료를 옥탄올에 녹였을 때와 물에 녹였을 때 용해도의 비를 나타내는 값 P에 log를 취한 값으로, clogP 값이 클수록 친유성을 갖는 향료이므로 워시 오프 제품에서 세정 시 물과 함께 휩쓸려 내려가는 향의 양이 적어져 잔향이 많이 남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향료를 사용하면, 제품 사용 중의 향 발산이 약하며, 향취 계열에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
이처럼, 소비자의 감성품질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향이 인체 세정 제품에서는 세정과정에서 많은 양이 손실되므로 잔향 효과가 낮게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원하는 향취와 강도를 모두 얻기는 매우 어려워 현재 소비자의 감성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체 세정제의 잔향이 원하는 계열로 충분히 발현될 수 있도록 향료가 조성물 내에 안정화되어 잔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유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유화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고잔향성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향료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안정화된 것에 특징이 있는 잔향성 증진용 유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체 세정 제품의 제조 과정에서 향료를 다량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의 계면활성제 및 기타 첨가제와 함께 혼합할 경우 다량의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마이셀 내에 향료가 가용화되어 샴푸의 세정과정에서 향료가 계면활성제와 함께 손실될 가능성이 커져 잔향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는 점을 발견하고, 이와 달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폴리머로 향을 유화하여 미리 안정화한 유화 향료를 사용하여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면 향이 효과적으로 흡착되어 향을 전달하는 능력이 향상됨으로써 만족할 만한 잔향성을 수득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향료의 잔향성 증진용 유화 향료 조성물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폴리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향료,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폴리머,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향료를 안정화한 잔향성 증진용 유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향료의 잔향성 증진용 유화 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모발이나 피부에 흡착 및 침투 작용을 하여 유화된 향료의 잔향성을 높여줄 수 있다. 이러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비교적 약한 친수성기로, 작용기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가용화 효과를 크게 나타내는 부가적인 특징을 보유하고 있는 계면활성제로서 유화, 분산, 가용화, 증점, 침투성 등이 뛰어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유화 향료 조성물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투입하게 되면 다른 첨가물과의 상용성 증가로 인하여 상안정성이 좋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의 잔향성 증진용 유화 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유화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0 중량부 미만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 향료의 잔향성 효과를 수득하기 어려우며, 50 중량부 초과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오히려 다른 첨가물과의 상용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통상적으로 당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 가능하며, 폴리에틸렌글리콜-40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라우릴산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야자유 알킬디메닐아민옥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향료의 잔향성 증진용 유화 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비이온성 폴리머는 인체 및 모발에 얇은 막을 형성할 수 있어서 유화된 향료의 잔향성을 높일 수 있으며, 유화물질의 크리밍 현상 및 침강현상을 막을 수 있는 원료로서, 유화물질의 안정성 향상에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향료의 잔향성 증진용 유화 향료 조성물에서 비이온성 폴리머는 유화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폴리머가 0.01 중량부 미만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 향료의 잔향성 증가 효과를 수득하기 어려우며, 10 중량부 초과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오히려 유화물질의 침강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폴리머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피롤리돈과 초산비닐의 공중합체, 폴록사머 등의 이온성을 갖지 않은 폴리머를 들 수 있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의 잔향성 증진용 유화 향료 조성물에 추가로 포함되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피부 및 모발에 친화력이 강하며 향료를 포함한 다른 비수용성 컨디셔닝 물질의 흡착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어 잔향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유화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향료의 잔향성 증진용 유화 향료 조성물 내에서 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 향료의 흡착성이 미비할 수 있으며, 30 중량부 이상으로 사용할 경우 침전 및 상 안정성 저해 우려가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세트리모니움클로라이드,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및 디세틸디메틸암모니움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의 잔향성 증진용 유화 향료 조성물은 양이온성 폴리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양이온성 폴리머는 인체에 흡착되어 컨디셔닝 감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유화 향료 조성물에서 사용 시 향이 인체에 흡착되는 것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는 향료의 잔향성 증진용 유화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를 0.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 코아세르베이트의 생성이 저조하여 향의 흡착이 적어져 잔향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할 수 있으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코아세르베이트의 과도한 생성으로 세정 성능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양이온성 폴리머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구아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시프로필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또는 4급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quaternizedhydroxyethyl cellulose) 등의 천연 양이온성 폴리머와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폴리머, 아크릴아미드디메틸이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코폴리머, 폴리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등의 합성 양이온성 폴리머를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향료의 잔향성 증진용 유화 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향료는 유화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의 잔향성 증진용 유화 향료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폴리머, 바람직하게는 여기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폴리머를 추가로 첨가하여 유화를 통해 향료를 미리 조성물 내에 안정화시킨 것이다. 세정제 제조 시 본 발명에 따라 향료를 안정화시킨 후 순차적으로 세정 성분과 혼합함으로써, 일반의 향료를 세정 성분과 혼합하는 경우에 비해 우수한 잔향 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유화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고잔향성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잔향성 세정제 조성물은 상기 유화 향료 조성물을 세정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잔향성 세정제 조성물은 상기한 향료의 잔향성 증진용 유화 향료 조성물과 함께 세정 성분으로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세정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라우릴황산마그네슘,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또는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암모늄 등을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세정 작용 및 부드러움을 부여하는 작용을 할 수 있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세정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베타인, 아미도 프로필 베타인, 코코암포카르복시글리시네이트, 사코시네이트 등을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고잔향성 세정제 조성물은 상기 언급한 구성성분 외에도 세정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부제, 점증제, 점도조정제, pH조정제, 염료, 컨디셔닝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정제는 향료가 투입되는 세정제로서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샴푸, 컨디셔너, 바디워시, 또는 비누 등의 워시 오프 타입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잔향성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향료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폴리머를 첨가하여 향료를 유화시킨 유화 향료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유화 향료를 세정 성분과 혼합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잔향성 세정제 조성물은 잔량의 물을 포함하여 상기 성분들을 용해 또는 분산시키며, 물은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폴리머,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폴리머를 추가로 첨가하여 향료를 미리 유화시켜 제조된 유화 향료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향료를 조성물 내에 효과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반의 향료를 세정 성분과 혼합한 세정제에서는 기대할 수 없는 우수한 잔향성 증진 효과를 가지는 세정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및 시험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시험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시험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제조예 1 - 7] 유화 향료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 유화 향료 조성물(유화 향료 1)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유화 향료의 총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유화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배합조에 향료 50 중량부를 투입한 후 60도로 사전 가온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30 중량부를 투입하여 20분간 1차 교반을 실시하였다. 정제수에 비이온성 폴리머 0.1 중량부를 녹인 혼합물을 배합조에 투입하여 10분간 2차 교반한 후 제조액이 균일하게 분산되었을 때 균질기(homogenizer)로 20분간 균질화시켰다. 상기 비이온성 폴리머로는 Poloxamer 407 (입수처: BASF Wyandotte Corp.)를 사용하였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HCO-40(PEG-40 Hydrogenated Caster Oil, 입수처: Nikko Chemicals. Co., Ltd.)을 사용하였다.
<제조예 2> 유화 향료 조성물(유화 향료 2)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유화 향료를 제조하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의 범위에서 벗어나도록 5 중량부를 첨가하고 비이온성 폴리머를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하기 <제조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화 향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유화 향료 조성물(유화 향료 3)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유화 향료를 제조하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의 범위에서 벗어나도록 5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하기 <제조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화 향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유화 향료 조성물(유화 향료 4)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유화 향료를 제조하되, 비이온성 폴리머를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하기 <제조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화 향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유화 향료 조성물(유화 향료 5)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유화 향료의 총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유화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배합조에 향료 50 중량부를 투입한 후 60도로 사전 가온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30 중량부를 투입하여 20분간 1차 교반을 실시하였다. 정제수에 비이온성 폴리머 0.1 중량부 및 양이온성 폴리머 0.1 중량부를 녹인 혼합물을 배합조에 투입하여 10분간 2차 교반한 후 제조액이 균일하게 분산되었을 때 균질기(homogenizer)로 20분간 균질화시켰다. 상기 비이온성 폴리머로는 Poloxamer 407 (입수처: BASF Wyandotte Corp.)를 사용하였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HCO-40(PEG-40 Hydrogenated Caster Oil, 입수처: Nikko Chemicals. Co., Ltd.)을 사용하였으며, 양이온성 폴리머로는 Polyquaternium-10(입수처: KCI Limited)를 사용하였다.
<제조예 6> 유화 향료 조성물(유화 향료 6)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유화 향료의 총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유화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배합조에 향료 50 중량부를 투입한 후 60도로 사전 가온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30 중량부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5 중량부를 투입하여 20분간 1차 교반을 실시하였다. 정제수에 비이온성 폴리머 0.1 중량부를 녹인 혼합물을 배합조에 투입하여 10분간 2차 교반한 후 제조액이 균일하게 분산되었을 때 균질기(homogenizer)로 20분간 균질화시켰다. 상기 비이온성 폴리머로는 Poloxamer 407 (입수처: BASF Wyandotte Corp.)를 사용하였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HCO-40(PEG-40 Hydrogenated Caster Oil, 입수처: Nikko Chemicals. Co., Ltd.)을 사용하였으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CATC CATC (cetyltrimethylammonium chloride, 입수처:태동씨앤에스)를 사용하였다.
<제조예 7> 유화 향료 조성물(유화 향료 7)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유화 향료의 총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유화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배합조에 향료 50 중량부를 투입한 후 60도로 사전 가온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30 중량부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5 중량부를 투입하여 20분간 1차 교반을 실시하였다. 정제수에 비이온성 폴리머 0.1 중량부 및 양이온성 폴리머 0.1 중량부를 녹인 혼합물을 배합조에 투입하여 10분간 2차 교반한 후 제조액이 균일하게 분산되었을 때 균질기(homogenizer)로 20분간 균질화시켰다.
상기 비이온성 폴리머로는 Poloxamer 407 (입수처: BASF Wyandotte Corp.)를 사용하였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HCO-40(PEG-40 Hydrogenated Caster Oil, 입수처: Nikko Chemicals. Co., Ltd.)을 사용하였으며, 양이온성 폴리머로는 Polyquaternium-10(입수처: KCI Limited)를 사용하였고,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CATC (cetyltrimethylammonium chloride, 입수처: 태동씨앤에스)를 사용하였다.
성분 유화
향료1
유화
향료2
유화
향료3
유화
향료4
유화
향료5
유화
향료6
유화
향료7
향료 50 50 50 50 50 50 50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HCO-40 30 5 5 30 30 30 30
비이온성
폴리머
Poloxamer 407 0.1 - 0.1 - 0.1 0.1 0.1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CATC - 25 25 5 - 5 5
양이온성
폴리머
Polyquaternium-10 - 0.1 0.1 0.1 0.1 - 0.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 비교예 1 및 실시예 1 - 7] 향료 또는 유화 향료 조성물을 포함한 샴푸의 제조
<비교예 1> 향료를 포함하는 샴푸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에 따라, 유화 향료가 아닌 통상의 향료를 사용하여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에서 샴푸의 조성은 총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였다.
<실시예 1> 유화 향료 1을 포함하는 샴푸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에 따라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유화 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에서 샴푸의 조성은 총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였다.
<실시예 2> 유화 향료 2를 포함하는 샴푸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에 따라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유화 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유화 향료 3을 포함하는 샴푸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에 따라 제조예 3에서 제조된 유화 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유화 향료 4를 포함하는 샴푸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에 따라 제조예 4에서 제조된 유화 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유화 향료 5를 포함하는 샴푸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에 따라 제조예 5에서 제조된 유화 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유화 향료 6을 포함하는 샴푸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에 따라 제조예 6에서 제조된 유화 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유화 향료 7을 포함하는 샴푸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에 따라 제조예 7에서 제조된 유화 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음이온 계면활성제 라우릴황산나트륨 30 30 30 30 30 30 30 30
양쪽성 계면활성제 코코베타인 20 20 20 20 20 20 20 20
양이온 폴리머 구아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1 1 1 1 1 1 1 1
향료 1
유화 향료 1 2
유화 향료 2 2
유화 향료 3 2
유화 향료 4 2
유화 향료 5 2
유화 향료 6 2
유화 향료 7 2
pH 조정제 함수구연산 0.1 0.1 0.1 0.1 0.1 0.1 0.1 0.1
점도 조정제 NaCl 0.5 0.5 0.5 0.5 0.5 0.5 0.5 0.5
방부제 Kathon CG 0.1 0.1 0.1 0.1 0.1 0.1 0.1 0.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 시험예 ]
본 발명에서는 실사용 시 잔향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에 따른 샴푸 사용 후 잔향에 대한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시험예 1> 샴푸 후 잔향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샴푸를 이용하여 머리카락 길이가 어깨 이상이 되는 25 내지 45세 여자 15명을 대상으로 샴푸 후 머리카락에서 나는 향취를 맡게 하였다. 후각에 의한 향의 강도 판정 척도는 하기 표 3과 같이 5점 평점법으로 실시하였다.
점수 만족도
1 매우 약하다
2 조금 약하다
3 보통이다
4 조금 강하다
5 매우 강하다
평가 시 사용 단계별 향 강도의 판정 결과를 각각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번호 나이 성별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1 27 2 3 2 3 3 3 4 4
2 31 2 3 1 3 2 4 3 4
3 28 1 2 2 2 3 3 4 5
4 37 2 3 2 3 2 4 3 4
5 32 2 3 2 2 3 3 4 4
6 42 1 3 2 3 3 4 5 5
7 27 2 4 3 2 2 3 4 4
8 29 1 3 1 2 2 4 3 4
9 35 2 3 2 4 3 3 4 3
10 34 1 2 2 2 3 4 3 4
11 31 2 3 2 3 2 4 3 3
12 28 2 4 1 2 3 3 4 4
13 26 2 3 2 2 3 4 4 3
14 38 2 3 1 2 2 3 3 4
15 26 2 4 2 2 4 3 4 4
평균 31 1.73 3.06 1.80 2.47 2.67 3.47 3.67 3.93
평가 결과, 상기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통상의 향료를 포함하는 경우(비교예 1)에 비하여, 유화 향료를 포함하는 경우 향료 잔향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제조예 1 및 제조예 5 내지 7의 유화 향료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5 내지 7의 샴푸의 잔향성은 다른 유화 향료를 포함한 샴푸에 비해서도 현저히 향료 잔향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양으로 첨가한 제조예 2 및 3에 따른 유화 향료 2 및 유화 향료 3을 사용한 실시예 2 및 3의 샴푸의 결과로부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반드시 5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여야 잔향성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이온성 폴리머를 첨가하지 않은 제조예 2 및 4에 따른 유화 향료 2 및 유화 향료 4를 사용한 실시예 2 및 4의 샴푸의 결과로부터 유화 향료 성분으로서 비이온성 폴리머를 필수적으로 첨가하여야만 잔향성 증진 효과를 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실시예 5 내지 7의 결과를 살펴보면, 필수 구성성분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폴리머 이외에 양이온성 폴리머를 추가로 첨가한 유화 향료 5를 사용한 실시예 5의 샴푸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첨가한 유화 향료 6을 사용한 실시예 6의 샴푸는 잔향성 효과가 보다 더 증진되었으며, 특히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폴리머를 모두 첨가한 유화 향료 7을 사용한 실시예 7의 샴푸의 경우 잔향성 증진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유화 향료의 적용은 샴푸의 잔향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에 대해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인체 세정제품 제조 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폴리머,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폴리머가 추가로 첨가된 유화액으로 향료를 미리 유화시켜 제조된 유화 향료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중요한 감성품질이지만 통상적인 인체 세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제품에서는 기대하기 어려운 잔향성의 증진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23)

  1. 향료,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잔향성 증진용 유화 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유화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폴리에틸렌글리콜-40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라우릴산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및 야자유 알킬디메닐아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폴리머가 유화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폴리머가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피롤리돈과초산비닐의 공중합체 및 폴록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가 유화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폴리머 또는 이들 모두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유화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향료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세트리모니움클로라이드,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및 디세틸디메틸암모니움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향료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가 유화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향료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가 구아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시프로필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폴리머, 아크릴아미드디메틸이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코폴리머, 폴리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및 4급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quaternizedhydroxyethyl 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향료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화 향료 조성물과 세정 성분을 포함하는 고잔향성 세정제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 향료 조성물이 세정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잔향성 세정제 조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성분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잔향성 세정제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세정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잔향성 세정제 조성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라우릴황산마그네슘,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및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암모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잔향성 세정제 조성물.
  17. 제12항에 있어서,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잔향성 세정제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세정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잔향성 세정제 조성물.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베타인, 아미도 프로필 베타인, 코코암포카르복시글리시네이트 및 사코시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잔향성 세정제 조성물.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잔향성 세정제 조성물은 샴푸, 컨디셔너, 바디워시, 및 비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잔향성 세정제 조성물.
  21. 하기 단계를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잔향성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S1) 향료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폴리머를 첨가하여 향료를 유화시킨 유화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S2) 상기 제조된 유화 향료 조성물을 세정 성분과 혼합하는 단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1)에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폴리머 또는 이들 모두를 추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잔향성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1)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유화 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잔향성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30126161A 2012-10-23 2013-10-22 잔향성 증진용 유화 향료 조성물 KR201400518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8073 2012-10-23
KR1020120118073 2012-10-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239A Division KR101668358B1 (ko) 2012-10-23 2016-01-11 잔향성 증진용 유화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800A true KR20140051800A (ko) 2014-05-02

Family

ID=508853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161A KR20140051800A (ko) 2012-10-23 2013-10-22 잔향성 증진용 유화 향료 조성물
KR1020160003239A KR101668358B1 (ko) 2012-10-23 2016-01-11 잔향성 증진용 유화 향료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239A KR101668358B1 (ko) 2012-10-23 2016-01-11 잔향성 증진용 유화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40051800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4807B2 (en) * 2002-11-01 2009-04-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inse-off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anionic and/or nonionic perfume polymeric particles
JP5311842B2 (ja) * 2008-02-20 2013-10-09 株式会社マンダム クレンジング化粧料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10180284A (ja) * 2009-02-03 2010-08-19 Lion Corp 粒状洗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670660B2 (ja) * 2010-07-01 2015-02-18 花王株式会社 浴用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8358B1 (ko) 2016-10-21
KR20160010638A (ko)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9645B2 (ja) シャンプー組成物
DE202016008131U1 (de) Zusammensetzung zur Haarverfestigung und deren Anwendung zum Festigen der Haare
JP2007070469A (ja) 洗浄剤組成物
WO2007015481A1 (ja) 香料成分の選定方法及び調香方法、嗜好性向上剤
JP2014533684A (ja) 染色毛の色落ちを最小化した低刺激のサルフェートフリーシャンプー組成物
JP2005154360A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2005255627A (ja) 毛髪化粧料
KR101842405B1 (ko)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
KR100743813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1668358B1 (ko) 잔향성 증진용 유화 향료 조성물
KR101383779B1 (ko) 코아세르베이트 컨디셔너 조성물
KR101970233B1 (ko) 세정 조성물
JP5641595B2 (ja) シャンプー
KR102401483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1792776B1 (ko) 고함량의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
KR102183759B1 (ko) 피부보호 천연물질을 이용한 반려동물용 세정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세정제
JP4901166B2 (ja) 低粘度カチオン変性セルロース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20150146012A (ko) 모발 및 두피 세정용 조성물
WO2020070661A1 (en) Cleaning composition
KR101291693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2048373B1 (ko) 잔향성 증진용 지질 유화 향료 조성물
KR20170118021A (ko)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
JP3431737B2 (ja) 高分子配合乳化型頭髪処理剤
JP5814164B2 (ja) 頭皮処理剤、並びに該処理剤を用いた施術方法
KR20150111642A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078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211

Effective date: 2017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