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1747A - 고속 대용량 진공 펄스 발생이 가능한 진공 밸브 - Google Patents

고속 대용량 진공 펄스 발생이 가능한 진공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1747A
KR20140051747A KR1020120118391A KR20120118391A KR20140051747A KR 20140051747 A KR20140051747 A KR 20140051747A KR 1020120118391 A KR1020120118391 A KR 1020120118391A KR 20120118391 A KR20120118391 A KR 20120118391A KR 20140051747 A KR20140051747 A KR 20140051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port
seesaw
clos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철
Original Assignee
투케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투케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투케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8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1747A/ko
Publication of KR20140051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F16K51/02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igh-vacuum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의 차단/개방구를 크게 할 수 있고, 소음 발생을 줄이며, 진공 및 진공 해제가 고속 작동으로 매우 빠르고 완전하게 이루어져 작동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한 고속 대용량 진공 펄스 발생이 가능한 진공 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밸브는, 1개 이상의 상시열림 흡입구와 1개 이상의 개폐구를 갖고, 개폐구와 상시열림 흡입구 외에는 밀폐되어 있는 보디와; 상시열림 흡입구와 개폐구를 연결하는 공기 통로 내에 위치하여 시소 운동하는 시소식 개폐기구와; 보디의 내부에 시소식 개폐기구를 시소 운동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와; 시소식 개폐기구의 일단을 탄성력으로 누름 지지하여 일측의 개폐구를 닫고 타측의 개폐구를 여는 스프링수단; 및 보디에 설치되고 시소식 개폐기구를 작동시켜 일측 개폐구를 열고 타측 개폐구를 닫는 개폐기구 작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속 대용량 진공 펄스 발생이 가능한 진공 밸브{Vacuum valve for generating vacuum pulse of high speed large volume}
본 발명은 진공 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진공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밸브의 차단/개방구를 크게 할 수 있고, 소음 발생을 줄이며, 진공 개폐의 고속 작동으로 진공 펄스가 매우 빠르고 완전하게 이루어져 작동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한 진공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발생 측과 진공사용 측(시출 측)을 연결하는 관로를 개폐하기 위해 진공 개폐기로서 진공 밸브가 사용된다. 진공 밸브의 진공압 개폐(차단 및 해졔)를 반복하게 되면 진공 펄스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진공 펄스를 응용하여 의료용이나 미용(예로 피부 마사지)으로 활용할 수 있다.
종래에 진공 펄스를 발생시키는 밸브의 경우 차단/개방구의 적은 사이즈로 인해 도 12(가)와 같이 진공 펄스 발생 시 진공과 진공해제가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아 작동효율(펄스 마사지 효율 10∼15%)이 낮아질 수밖에 없었다. 또한, 진공 밸브의 몸체 및 개폐 접촉 부분이 금속 구조물로 이루어진 관계로 작동소음이 커서 펄스로 작동할 경우 소음이 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기술적인 한계 때문에 진공 펄스 작동시 펄스 주파수를 높게 작동하기 힘들어 피부 마사지의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기 어려웠다. 또한, 진공밸브의 늦은 응답 속도와 적은 공기유량으로 도 12(나),(다)와 같이 작동이 비효율적이며, 과도한 진공으로 도 8(라)와 같이 피부어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00080호로서, 피부 박피 공압 분사기가 제시되어 있다. 이는 피부와 두피에 사용하는 물과 압축공기를 이용한 필링 마사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피부공압분사기는 몸체 내부를 형성함에 있어 압축기가 설치되어 있고 압축기로부터 연결된 압력공기의 통로가 되는 호스에 전자 솔 밸브를 설치해 전자신호시 펄스파장처럼 압축기로부터 발생된 압축공기를 제어할 수 있는 에어 발생부; 상기 피부공압분사기 몸체 내부로 오존 형광등을 설치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물이 이동하는 호스에 빛을 비춰 살균하는 조명살균부; 상기 피부공압분사기 몸체 외부로 시험관 형태의 유리관이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며 유리관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패널부착형 고정 실리콘 캡 연결부를 가지고 소량의 물이 흐를 수 있도록 되어있는 물의 통로와 앰플 병 고정 홀더가 있는 유리관 부; 상기 피부공압분사기 손잡이 끝 스프레이헤드 분사구 부분으로 지름이 0.5 ∼ 1.0mm의 공기구멍과 물의 통로가 되는 0.2 ∼ 1.0mm 금속 노즐을 공기구멍 안에 물의 노즐이 관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교차시켜 설치되어 있는 스프레이 분사구가 있는 손잡이 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배경기술은 압축된 공기를 소량의 물과 함께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시켜 그 압력으로 피부 면의 각질이나 노폐물을 제거하는 기술로서, 피부 마사지 효과를 얻기가 어렵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84836호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특1999-004922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밸브의 차단/개방구를 크게 할 수 있고, 소음 발생을 줄이며, 진공 및 진공 해제가 고속 작동으로 매우 빠르고 완전하게 이루어져 작동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한 고속 대용량 진공 펄스 발생이 가능한 진공 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밸브는,
1개 이상의 상시열림 흡입구와 1개 이상의 개폐구를 갖고, 개폐구와 상시열림 흡입구 외에는 밀폐되어 있는 보디와;
상시열림 흡입구와 개폐구를 연결하는 공기 연결 통로내에 위치하여 시소 운동하는 시소식 개폐기구와;
보디의 내부에 시소식 개폐기구를 시소 운동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와;
시소식 개폐기구의 일단을 탄성력으로 누름 지지하여 일측의 개폐구를 닫고 타측의 개폐구를 여는 스프링수단; 및
보디에 설치되고 시소식 개폐기구를 작동시켜 일측 개폐구를 열고 타측 개폐구를 닫는 개폐기구 작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밸브는,
1개 이상의 상시열림 흡입구와 1개 이상의 개폐구를 갖고, 개폐구와 상시열림 흡입구 외에는 밀폐되어 있는 보디;
상시열림 흡입구와 개폐구를 연결하는 공기 연결 통로내에 위치하여 일단이 보디 측에 힌지로 연결되어 스윙 운동하는 스윙식 개폐기구와;
스윙식 개폐기구의 일단을 탄성력으로 누름 지지하여 일측의 개폐구를 닫고 타측의 개폐구를 여는 스프링수단; 및
보디에 설치되고 스윙식 개폐기구를 작동시켜 일측 개폐구를 열고 타측 개폐구를 닫는 개폐기구 작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스프링수단은 시소식 개폐기구 또는 스윙식 개폐기구에 지지핀을 매개로 스프링 누름력을 인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개폐구와 시소식 및 스윙식 개폐기구 중 어느 일측에 탄력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개폐구 밀폐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개폐기구 작동장치는 전자석 액추에이터, 전기식 엑추에이터 및 공압식 엑추에이터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보디는 금속이나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진공밸브는 그의 용도가 피부미용 또는 의료기기 제작용이 될 수 있다.
또한, 시소식 개폐기구 또는 스윙식 개폐기구가 수평적 개폐를 위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구가 시소식 개폐기구 또는 스윙식 개폐기구의 작동 회전각과 일치하게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구는 시소 지지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구는 일직선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개폐구 밀폐수단이 수평적 개폐를 위해 어느 일측으로 기울여져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속 대용량 진공 펄스 발생이 가능한 진공 밸브에 따르면, 개폐기구가 날갯짓을 하거나 시소식으로 동작하여 개폐구를 차단 및 개방시킴으로써 진공 밸브의 차단/개방구를 크게 할 수 있고, 대용량 진공 펄스를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의 개폐기구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을 매개로 개폐구에 완충 접촉되어 작동 중 소음 발생이 많이 줄어든다.
또한, 밸브의 개폐기구가 전기적으로 열림 동작하고 스프링 누름력으로 닫힘 동작하므로 진공 및 진공 해제가 고속 작동으로 매우 빠르고 완전하게 이루어져 작동 효율성이 향상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항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진공 밸브를 도시한 것으로,
도 1 및 도 2는 전자석 액추에이터로 구성된 개폐기구 작동장치를 갖는 시소식 진공밸브의 전기적 온(on)/오프(off)에 따른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 및 도 4는 전기석 액추에이터로 구성된 개폐기구 작동장치를 갖는 시소식 진공밸브의 전기적 온(on)/오프(off)에 따른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 및 도 6는 전자석 액추에이터로 구성된 개폐기구 작동장치를 갖는 스윙식 진공밸브의 전기적 온(on)/오프(off)에 따른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 및 도 8은 전기석 액추에이터로 구성된 개폐기구 작동장치를 갖는 스윙식 진공밸브의 전기적 온(on)/오프(off)에 따른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밸브의 또 다른 다양한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진공 밸브에 의한 진공 펄스 발생시 시술부에서 나타나는 피부의 마사지 움직임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2는 종래의 진공 밸브를 사용하여 피부 마사지를 수행할 때 시술부에서 나타나는 효율성 및 다양한 마사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진공 밸브는 상시열림 흡입구를 진공원(진공펌프)과 대기압을 번갈아가면서 연결되도록 반복 동작하여 진공 펄스를 발생시킨다. 진공 밸브의 내부에는 진공원과 대기압을 반복적으로 선택시켜 주는 밸브 개폐기구가 설치된다. 밸브 개폐기구는 중간에 지지점을 두고 시소 운동하는 시소식 방식과 일단에 힌지 연결되어 날갯짓을 하듯이 동작하는 스윙식 방식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공 밸브가 시소식과 스윙식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실시 예>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는 시소식 진공밸브로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전자식 엑추에이터로 구성된 개폐기구 작동장치를 갖는 진공밸브의 전기적 온(on)/오프(off)에 따른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 및 도 4는 전기석 액추에이터로 구성된 개폐기구 작동장치를 갖는 시소식 진공밸브의 전기적 온(on)/오프(off)에 따른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시소식 진공밸브(10)는 1개 이상의 상시열림 흡입구(12a)와 1개 이상의 개폐구(12a,12c)를 갖고, 개폐구(12b,12c)와 상시열림 흡입구(12a) 외에는 밀폐되어 있는 보디(12)가 구비된다. 개폐구(12b,12c)는 시소 지지부(161,16)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구성된다. 이때 개폐구(12b,12c)는 보디(12)의 크기 제한을 받지 않고 대구경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시열림 흡입구(12a)와 개폐구(12b,12c)는 보디(12) 내부의 연결통로(121)와 연동 되어져 있다. 상시열림 흡입구(12a)는 양쪽 개폐구(12b,12c)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개폐구(12b,12c)는 후술할 시소식 개폐기구(14A)의 작동 회전각과 일치하게 일정각도로 기울여져 구성될 수 있다.
보디(12)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다. 보디(12)는 작동 소음을 줄이기 위해 합성수지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보디(12)는 2개의 몸체로 분할되어 제작될 수 있으며, 이때 분할 면에는 고무링(13)이 설치될 수 있다.
상시열림 흡입구(12a)와 개폐구(12b,12c)를 연결하는 연결통로(121) 내에 위치하여 시소 운동하는 시소식 개폐기구(14A)가 설치된다. 시소식 개폐기구(14A)는 보디(12)의 내부 중앙에 설치된 시소 지지부(16,16)를 통해 시소 운동이 일어나도록 지지되어 있다. 즉 시소식 개폐기구(14A)는 시소 지지부(16,16)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 각운동을 반복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시소 지지부(16는 보디(12)에서 연결통로(121) 측으로 돌출된 시소 지지부(16,16)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 시소 지지부(16,16)를 시소식 개폐기구(14A)에 일체화시키고 보디(12) 측에서 지지시켜 시소 운동이 일어나도록 할수도 있다. 이때 시소식 개폐기구(14A)는 개폐구(12b,12c) 안쪽 단면 방향에 따라 일정 각도로 기울여져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폐구(12b,12c)의 닫힘 밀폐력을 높이기 위해 시소식 개폐기구(14A) 또는 개폐구(12b,12c) 중 어느 일측에 탄력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개폐구 밀폐수단(142)이 구비될 수 있다. 개폐구 밀폐수단(142)은 고무판 또는 실리콘 판이 되거나 고무 또는 실리콘이 일정 두께로 도포된 도포층이 될 수도 있다.
이때 밀폐수단(142)은 어느 일측으로 개폐구의 기울기와 동일하게 기울여져 구성될 수 있다.
시소식 개폐기구(14A)의 일단을 탄성력으로 누름 지지하여 일측의 개폐구(12c)를 닫고 타측의 개폐구(12b)를 여는 스프링수단(18)이 구비된다. 스프링 수단(18)은 시소식 개폐기구(14A)의 일단을 누름한다. 따라서 스프링수단(18)은 시소식 개폐기구(14A)의 일단을 탄성력으로 누름하면 족하므로 예시된 압축스프링 이외에 다른 형태의 스프링이 될 수 있다.
스프링수단(18)은 시소식 개폐기구(14A)에 지지핀(17)을 매개로 스프링 누름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핀(17)의 선단은 시소식 개폐기구(14A)에 미끄럼면 접촉하도록 구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소식 개폐기구(14A)를 작동시키는 개폐기구 작동장치(20)가 보디(12)에 설치된다. 개폐기구 작동장치(20)는 시소식 개폐기구(14A)를 작동시켜 일측 개폐구(12c)를 열고 타측 개폐구(12b)를 닫는다.
개폐기구 작동장치(20)는 선형 작동기로서 예로 전자석 엑추에이터, 전기식 엑추에이터 및 공압식 엑추에이터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식 엑추에이터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갖동전원전극(23)을 통해 솔레노이드 코일(21)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자석(22)을 만들고 전자석(22)의 흡인력으로 직접 시소식 개폐기구(14A)를 당기도록 한 것이고, 전기식 엑추에이터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철심에 감아진 솔레노이드 코일(21)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가동 플런저(22)를 잡아 당기고, 가동 플런저(22)를 매개로 시소식 개폐기구(14A)를 당기도록 한 것이다.
공압식 엑추에이터는 압축 공기 또는 압축가스를 사용하여 실린더 등의 장치를 통하여 시소식 개폐기구(14A)를 작동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 예의 작동 상태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개폐기구 작동장치(20)의 솔레노이드 코일(21)에 전기가 인가되지 않은 오프(off) 상태이며, 스프링수단(18)의 누름력에 의해 시소식 개폐기구(14A)는 시소 지지부(16,16)를 지점으로 하여 안쪽으로 기울어져 일측의 개폐구(12c)를 닫는다. 이때 상시열림 흡입구(12a)와 타측의 개폐구(12b)는 연결통로(121)를 매개로 연결된다.
이후 개폐기구 작동장치(20)의 솔레노이드 코일(21)가 전기가 인가되어 온(on) 상테이며, 전자석(22)이 자화되어 스프링수단(18)의 누름력을 이기고 시소식 개폐기구(14A)에 흡착된다. 따라서 시소식 개폐기구(14A)가 도 2와 같이 시소 지지부(16)를 지점으로 다른 한쪽으로 기울어져 타측의 개폐구(12b)를 닫는다. 따라서 상시열림 흡입구(12a)와 일측의 개폐구(12c)는 연결통로(121)를 매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진공밸브(10)는 개폐기구 작동장치(20)의 솔레노이드 코일(21)에 인가되는 전기적 온/오프 신호에 의해 개폐기구(14A)가 시소 지지부(16,16)를 지점으로 하여 시소 운동(각회전 왕복 운동)을 반복하게 되어 공기통로의 경로 방향으로 바꾸게 된다.
따라서 일측의 개폐구(12b)에 도시안된 진공펌프를 연결하고 타측의 개폐구(12c)를 대기압에 연결하면 상시열림 흡입구(12a) 측에 진공 부압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진공 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진공밸브(10)는 상시열림 흡입구(12a) 측에 시술도구(예로, 핸드피스)를 연결하며 피부 마사지나 의료용에 적용될 수 있다.
<제2 실시 예>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는 스윙식으로 동작하는 진공밸브로서,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전자석 액추에이터로 구성된 개폐기구 작동장치를 갖는 스윙식 진공밸브의 전기적 온(on)/오프(off)에 따른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 및 도 8은 전기석 액추에이터로 구성된 개폐기구 작동장치를 갖는 스윙식 진공밸브의 전기적 온(on)/오프(off)에 따른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에서 제1 실시 예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을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스윙식 진공밸브는 1개 이상의 상시열림 흡입구(12a)와 1개 이상의 개폐구(12b,12c)를 갖고, 개폐구(12b,12c)와 상시열림 흡입구(12a) 외에는 밀폐되어 있는 보디(12)와; 상시열림 흡입구(12a)와 개폐구(12b.12c)를 연결하는 공기 통로 내에 위치하여 일단이 보디(12) 측에 힌지(141)로 연결되어 회전 운동하는 스윙식 개폐기구(14B)와; 스윙식 개폐기구(14B)의 일단을 탄성력으로 누름 지지하여 일측의 개폐구(12b)를 닫고 타측의 개폐구(12c)를 여는 스프링수단(18); 보디(12)에 설치되고 스윙식 개폐기구(14B)를 작동시켜 일측 개폐구(12b)를 열고 타측 개폐구(12c)를 닫는 개폐기구 작동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개폐구(12b,12c)는 일직선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스윙식 개폐기구(14B)는 힌지를 중심으로 날갯짓을 하듯이 회전 각운동을 반복하면서 2개의 개폐구(12b,12c)를 개폐시킨다.
제2 실시 예에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은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 예의 경우에도 일측의 개폐구(12c)에 도시안된 진공펌프를 연결하고 타측의 개폐구(12b)를 대기압에 연결하면 상시열림 흡입구(12a 측에 부압으로 인한 진공 펄스가 반복적으로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진공밸브를 온/오프 작동 제어하게 되면, 도 11의 (가)와 같이 펄스 마사지 효율을 90%까지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진공밸브의 빠른 속도와 대구경의 공기유량으로 도 11(나),(다)와 같이 효율적인 작동을 얻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진공밸브는 피부 마사지용이나 의료 기기 제작용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9와 같이 시소식 진공밸브 또는 도 10과 같이 스윙식 진공밸브로 구성하되 개폐기구 작동장치(20)에 스프링수단(18)을 포함시켜 전기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세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2: 보디
12a: 상시열림 흡입구
12b, 12c: 개폐구
14A: 시소식 개폐기구
14B: 스윙식 개폐기구
16: 시소 지지부
18: 스프링 수단
20: 개폐기구 작동장치

Claims (6)

1개 이상의 상시열림 흡입구(12a)와 1개 이상의 개폐구(12b,12c)를 갖고, 개폐구(12b,12c)와 상시열림 흡입구(12a) 외에는 밀폐되어 있는 보디(12)와;
상시열림 흡입구(12a)와 개폐구(12b.12c)를 연결하는 공기 연결 통로(121)내에 위치하여 시소 운동하는 시소식 개폐기구(14A)와;
보디(12)의 내부에 시소식 개폐기구(14A)를 시소 운동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16,16)와;
시소식 개폐기구(14A)의 일단을 탄성력으로 누름 지지하여 일측의 개폐구(12c)를 닫고 타측의 개폐구(12b)를 여는 스프링수단(18); 및
보디(12)에 설치되고 시소식 개폐기구(14A)를 작동시켜 일측 개폐구(12c)를 열고 타측 개폐구(12b)를 닫는 개폐기구 작동장치(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대용량 진공 펄스 발생이 가능한 진공 밸브.
1개 이상의 상시열림 흡입구(12a)와 1개 이상의 개폐구(12b,12c)를 갖고, 개폐구(12b,12c)와 상시열림 흡입구(12a) 외에는 밀폐되어 있는 보디(12)와;
상시열림 흡입구(12a)와 개폐구(12b.12c)를 연결하는 공기 연결 통로(121)내에 위치하여 일단이 보디(12) 측에 힌지로 연결되어 스윙 운동하는 스윙식 개폐기구(14B)와;
스윙식 개폐기구(14B)의 일단을 탄성력으로 누름 지지하여 일측의 개폐구(12b)를 닫고 타측의 개폐구(12c)를 여는 스프링수단(18); 및
보디(12)에 설치되고 스윙식 개폐기구(14B)를 작동시켜 일측 개폐구(12b)를 열고 타측 개폐구(12c)를 닫는 개폐기구 작동장치(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대용량 진공 펄스 발생이 가능한 진공 밸브.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스프링수단(18)은 시소식 개폐기구(14A) 또는 스윙식 개폐기구(14B)에 지지핀(17)을 매개로 스프링 누름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대용량 진공 펄스 발생이 가능한 진공 밸브.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개폐구(12b,12c)와 시소식 및 스윙식 개폐기구(14A,14B) 중 어느 일측에 탄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개폐구 밀폐수단(14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대용량 진공 펄스 발생이 가능한 진공 밸브.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시소식 개폐기구(14A) 또는 스윙식 개폐기구(14B)가 수평적 개폐를 위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대용량 진공 펄스 발생이 가능한 진공 밸브.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개폐구(12b,12c)가 시소식 개폐기구(14A) 또는 스윙식 개폐기구(14B)의 작동 회전각과 일치하게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대용량 진공 펄스 발생이 가능한 진공 밸브.
KR1020120118391A 2012-10-23 2012-10-23 고속 대용량 진공 펄스 발생이 가능한 진공 밸브 KR20140051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391A KR20140051747A (ko) 2012-10-23 2012-10-23 고속 대용량 진공 펄스 발생이 가능한 진공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391A KR20140051747A (ko) 2012-10-23 2012-10-23 고속 대용량 진공 펄스 발생이 가능한 진공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747A true KR20140051747A (ko) 2014-05-02

Family

ID=50885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391A KR20140051747A (ko) 2012-10-23 2012-10-23 고속 대용량 진공 펄스 발생이 가능한 진공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17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69718A (zh) * 2021-07-30 2023-02-03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脉动式真空预冷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69718A (zh) * 2021-07-30 2023-02-03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脉动式真空预冷系统
CN115669718B (zh) * 2021-07-30 2024-04-05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脉动式真空预冷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944B1 (ko) 진공 펄스 장치
JP5241628B2 (ja) マッサージヘッド、及び該マッサージヘッドを利用したマッサージ装置
CN109862862A (zh) 用于压力波按摩的按摩装置
CN106176220B (zh) 一种无菌配药系统
US20100312157A1 (en) Rotary massage device
JP2011045610A (ja) 生体刺激装置
JPH1119145A (ja) 圧縮空気分配弁及び分配装置
CN102518859B (zh) 电磁阀和电磁阀系统
KR20140051747A (ko) 고속 대용량 진공 펄스 발생이 가능한 진공 밸브
CN208726545U (zh) 可增强吸收的便携式负离子雾化美容仪
CN201586609U (zh) 超声波雾化装置
KR20140045727A (ko) 진공펄스를 이용한 고효율 피부마사지 시스템
KR20140039494A (ko) 고속 대용량 진공 펄스 발생이 가능한 진공 밸브
WO2022068893A1 (zh) 医用胶喷涂装置
CN103764995B (zh) 阀组件和喷射阀
JP2018515719A (ja) 薄型小型電磁比例弁
KR101822979B1 (ko) 수압의 스위칭 작동에 의해 물의 이온에너지를 상승시키는 장치
CN216703166U (zh) 护肤系统以及护肤仪器和导液件
CN208799628U (zh) 一种补水仪
CN208436035U (zh) 冲击波治疗仪
WO1996003105A1 (fr) Appareil portatif de massage
KR200382201Y1 (ko) 펌프 일체형 분무기
CN204500942U (zh) 带有吸烟结构的双极电凝镊
CN214969888U (zh) 一种自消毒的吸奶器
RU7012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невмомассаж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312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6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1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