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0863A - 기판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기판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0863A
KR20140050863A KR1020120117224A KR20120117224A KR20140050863A KR 20140050863 A KR20140050863 A KR 20140050863A KR 1020120117224 A KR1020120117224 A KR 1020120117224A KR 20120117224 A KR20120117224 A KR 20120117224A KR 20140050863 A KR20140050863 A KR 20140050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ubstrate
buffer
modul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7921B1 (ko
Inventor
최희성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7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921B1/ko
Publication of KR20140050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상에 약액을 분사하여 기판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기판처리장치는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가지는 기판처리유닛, 상기 기판처리유닛의 일측에 위치되는 대기포트,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지지된 기판으로 제1유체를 공급하는 분사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분사유닛은 내부에 토출단, 제1유로, 그리고 제2유로가 형성된 몸체를 가지고 노즐, 상기 제1유로에 상기 제1유체를 공급하는 제1유체공급라인, 상기 제2유로에 상기 제2유체를 공급하는 제2유체공급라인, 그리고 상기 노즐을 상기 기판처리유닛과 대기포트 간에 이동시키는 노즐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포트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노즐이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가지는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로의 끝단과 상기 제2유로의 끝단은 상기 몸체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토출단과 통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제1유체는 기판을 처리하기 위한 약액이며, 상기 제2유체는 상기 노즐에 잔류된 제1유체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액이다. 이로 인해 노즐로부터 분사된 제2유체를 이용하여 노즐을 세정하므로, 노즐의 외측면에 세정액을 분사하지 않고, 노즐을 세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판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본 발명은 기판 상에 약액을 분사하여 기판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소자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조하기 위해서, 기판에 사진, 식각, 애싱, 이온주입, 박막 증착, 그리고 세정 등의 다양한 공정들이 수행된다. 이 중 사진, 애싱, 그리고 세정공정은 기판 상에 약액을 공급하여 기판을 처리하는 공정으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노즐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기판 상에 약액을 공급하는 공정은, 노즐이 공정위치와 대기위치 간을 이동하여 진행된다. 공정위치는 노즐이 기판 상에 약액을 분사하는 위치이고, 대기위치로 노즐을 세정하기 위한 위치이다. 대기위치에는 노즐의 외측면 및 토출단을 세정하기 위해 노즐에 세정액을 분사한다.
그러나 대기위치에서 분사된 세정액은 노즐의 외측면에 잔류된 세정액이 노즐을 역오염시킬 수 있다. 또한 잔류된 세정액은 노즐이 대기위치에서 공정위치로 이동되는 중에 드랍되어 주변 장치를 오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노즐이 역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에 잔류된 세정액이 주변장치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판 상에 약액을 분사하여 기판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기판처리장치는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가지는 기판처리유닛, 상기 기판처리유닛의 일측에 위치되는 대기포트,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지지된 기판으로 제1유체를 공급하는 분사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분사유닛은 내부에 토출단, 제1유로, 그리고 제2유로가 형성된 몸체를 가지고 노즐, 상기 제1유로에 상기 제1유체를 공급하는 제1유체공급라인, 상기 제2유로에 상기 제2유체를 공급하는 제2유체공급라인, 그리고 상기 노즐을 상기 기판처리유닛과 대기포트 간에 이동시키는 노즐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포트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노즐이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가지는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로의 끝단과 상기 제2유로의 끝단은 상기 몸체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토출단과 통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제1유체는 기판을 처리하기 위한 약액이며, 상기 제2유체는 상기 노즐에 잔류된 제1유체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액이다.
상기 제2유로는 상기 제1유로를 감싸는 링 형상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는 아래로 갈수록 상기 제1유로와 가까워지도록 하향 경사진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약액은 감광액이고, 상기 세정액은 신나일 수 있다.
기판처리방법은 노즐 내부의 제1유로를 통해 기판으로 약액을 공급하여 기판을 처리하고, 이후에 상기 노즐의 토출단을 세정하되, 상기 노즐의 토출단을 세정하는 것은 상기 제1유로와 상이한 상기 노즐 내부의 제2유로를 통해 상기 토출단으로 세정액을 공급한다.
상기 제2유로는 아래로 갈수록 상기 제1유로와 가까워지도록 하향 경사진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약액은 감광액이고, 상기 세정액은 신나일 수 있다. 상기 노즐의 토출단을 세정하는 것은 상기 노즐이 대기하는 대기포트에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노즐로부터 분사된 제2유체를 이용하여 노즐을 세정하므로, 노즐의 외측면에 세정액을 분사하지 않고, 노즐을 세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노즐의 외측면에 세정액이 잔류되지 않으므로, 노즐이 역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의 외측면에 세정액이 잔류되지 않으므로, 세정액이 드랍되어 주변장치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기판 처리 설비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설비를 A-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3은 도1의 설비를 B-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4는 도1의 설비를 C-C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처리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6은 도5의 분사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본 실시예의 설비는 반도체 웨이퍼 또는 평판 표시 패널과 같은 기판에 대해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설비는 노광장치에 연결되어 기판에 대해 도포 공정 및 현상 공정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아래에서는 기판으로 웨이퍼가 사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1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처리 설비(1)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은 기판 처리 설비(1)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설비(1)를 A-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설비(1)를 B-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설비(1)를 C-C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기판 처리 설비(1)는 로드 포트(100), 인덱스 모듈(200), 제 1 버퍼 모듈(300), 도포 및 현상 모듈(400), 제 2 버퍼 모듈(500), 노광 전후 처리 모듈(600), 그리고 인터페이스 모듈(700)을 포함한다. 로드 포트(100), 인덱스 모듈(200), 제 1 버퍼 모듈(300), 도포 및 현상 모듈(400), 제 2 버퍼 모듈(500), 노광 전후 처리 모듈(600), 그리고 인터페이스 모듈(700)은 순차적으로 일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다.
이하, 로드 포트(100), 인덱스 모듈(200), 제 1 버퍼 모듈(300), 도포 및 현상 모듈(400), 제 2 버퍼 모듈(500), 노광 전후 처리 모듈(600), 그리고 인터페이스 모듈(700)이 배치된 방향을 제 1 방향(12)이라 칭하고,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제 1 방향(12)과 수직한 방향을 제 2 방향(14)이라 칭하고, 제 1 방향(12) 및 제 2 방향(14)과 각각 수직한 방향을 제 3 방향(16)이라 칭한다.
기판(W)은 카세트(20) 내에 수납된 상태로 이동된다. 이때 카세트(20)는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예컨대, 카세트(20)로는 전방에 도어를 가지는 전면 개방 일체식 포드(Front Open Unified Pod; FOUP)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로드 포트(100), 인덱스 모듈(200), 제 1 버퍼 모듈(300), 도포 및 현상 모듈(400), 제 2 버퍼 모듈(500), 노광 전후 처리 모듈(600), 그리고 인터페이스 모듈(7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로드 포트(100)는 기판들(W)이 수납된 카세트(20)가 놓여지는 재치대(120)를 가진다. 재치대(120)는 복수개가 제공되며, 재치대들(200)은 제 2 방향(14)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다. 도 1에서는 4개의 재치대(120)가 제공되었다.
인덱스 모듈(200)은 로드 포트(100)의 재치대(120)에 놓인 카세트(20)와 제 1 버퍼 모듈(300) 간에 기판(W)을 이송한다. 인덱스 모듈(200)은 프레임(210), 인덱스 로봇(220), 그리고 가이드 레일(230)을 가진다. 프레임(210)은 대체로 내부가 빈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제공되며, 로드 포트(100)와 제 1 버퍼 모듈(300) 사이에 배치된다. 인덱스 모듈(200)의 프레임(210)은 후술하는 제 1 버퍼 모듈(300)의 프레임(310)보다 낮은 높이로 제공될 수 있다. 인덱스 로봇(220)과 가이드 레일(230)은 프레임(210) 내에 배치된다. 인덱스 로봇(220)은 기판(W)을 직접 핸들링하는 핸드(221)가 제 1 방향(12), 제 2 방향(14), 제 3 방향(16)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될 수 있도록 4축 구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인덱스 로봇(220)은 핸드(221), 아암(222), 지지대(223), 그리고 받침대(224)를 가진다. 핸드(221)는 아암(222)에 고정 설치된다. 아암(222)은 신축 가능한 구조 및 회전 가능한 구조로 제공된다. 지지대(223)는 그 길이 방향이 제 3 방향(16)을 따라 배치된다. 아암(222)은 지지대(223)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대(223)에 결합된다. 지지대(223)는 받침대(224)에 고정결합된다. 가이드 레일(230)은 그 길이 방향이 제 2 방향(14)을 따라 배치되도록 제공된다. 받침대(224)는 가이드 레일(230)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 레일(230)에 결합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프레임(210)에는 카세트(20)의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오프너가 더 제공된다.
제 1 버퍼 모듈(300)은 프레임(310), 제 1 버퍼(320), 제 2 버퍼(330), 냉각 챔버(350), 그리고 제 1 버퍼 로봇(360)을 가진다. 프레임(310)은 내부가 빈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제공되며, 인덱스 모듈(200)과 도포 및 현상 모듈(400)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버퍼(320), 제 2 버퍼(330), 냉각 챔버(350), 그리고 제 1 버퍼 로봇(360)은 프레임(310) 내에 위치된다. 냉각 챔버(350), 제 2 버퍼(330), 그리고 제 1 버퍼(320)는 순차적으로 아래에서부터 제 3 방향(16)을 따라 배치된다. 제 1 버퍼(320)는 후술하는 도포 및 현상 모듈(400)의 도포 모듈(401)과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고, 제 2 버퍼(330)와 냉각 챔버(350)는 후술하는 도포 및 현상 모듈(400)의 현상 모듈(402)과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된다. 제 1 버퍼 로봇(360)은 제 2 버퍼(330), 냉각 챔버(350), 그리고 제 1 버퍼(320)와 제 2 방향(14)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된다.
제 1 버퍼(320)와 제 2 버퍼(330)는 각각 복수의 기판들(W)을 일시적으로 보관한다. 제 2 버퍼(330)는 하우징(331)과 복수의 지지대들(332)을 가진다. 지지대들(332)은 하우징(331) 내에 배치되며, 서로 간에 제 3 방향(16)을 따라 이격되게 제공된다. 각각의 지지대(332)에는 하나의 기판(W)이 놓인다. 하우징(331)은 인덱스 로봇(220), 제 1 버퍼 로봇(360), 그리고 후술하는 현상 모듈(402)의 현상부 로봇(482)이 하우징(331) 내 지지대(332)에 기판(W)을 반입 또는 반출할 수 있도록 인덱스 로봇(220)이 제공된 방향, 제 1 버퍼 로봇(360)이 제공된 방향, 그리고 현상부 로봇(482)이 제공된 방향에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가진다. 제 1 버퍼(320)는 제 2 버퍼(330)와 대체로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다만, 제 1 버퍼(320)의 하우징(321)에는 제 1 버퍼 로봇(360)이 제공된 방향 및 후술하는 도포 모듈(401)에 위치된 도포부 로봇(432)이 제공된 방향에 개구를 가진다. 제 1 버퍼(320)에 제공된 지지대(322)의 수와 제 2 버퍼(330)에 제공된 지지대(332)의 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 2 버퍼(330)에 제공된 지지대(332)의 수는 제 1 버퍼(320)에 제공된 지지대(322)의 수보다 많을 수 있다.
제 1 버퍼 로봇(360)은 제 1 버퍼(320)와 제 2 버퍼(330) 간에 기판(W)을 이송시킨다. 제 1 버퍼 로봇(360)은 핸드(361), 아암(362), 그리고 지지대(363)를 가진다. 핸드(361)는 아암(362)에 고정 설치된다. 아암(362)은 신축 가능한 구조로 제공되어, 핸드(361)가 제 2 방향(14)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아암(362)은 지지대(363)를 따라 제 3 방향(16)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대(363)에 결합된다. 지지대(363)는 제 2 버퍼(330)에 대응되는 위치부터 제 1 버퍼(320)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연장된 길이를 가진다. 지지대(363)는 이보다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더 길게 제공될 수 있다. 제 1 버퍼 로봇(360)은 단순히 핸드(361)가 제 2 방향(14) 및 제 3 방향(16)을 따른 2축 구동만 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냉각 챔버(350)는 각각 기판(W)을 냉각한다. 냉각 챔버(350)는 하우징(351)과 냉각 플레이트(352)를 가진다. 냉각 플레이트(352)는 기판(W)이 놓이는 상면 및 기판(W)을 냉각하는 냉각 수단(353)을 가진다. 냉각 수단(353)으로는 냉각수에 의한 냉각이나 열전 소자를 이용한 냉각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냉각 챔버(350)에는 기판(W)을 냉각 플레이트(352) 상에 위치시키는 리프트 핀 어셈블리(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351)은 인덱스 로봇(220) 및 후술하는 현상 모듈(402)에 제공된 현상부 로봇(482)이 냉각 플레이트(352)에 기판(W)을 반입 또는 반출할 수 있도록 인덱스 로봇(220)이 제공된 방향 및 현상부 로봇(482)이 제공된 방향에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가진다. 또한, 냉각 챔버(350)에는 상술한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들(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될 수 있다.
도포 및 현상 모듈(400)은 노광 공정 전에 기판(W) 상에 포토 레지스트를 도포하는 공정 및 노광 공정 후에 기판(W)을 현상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도포 및 현상 모듈(400)은 대체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진다. 도포 및 현상 모듈(400)은 도포 모듈(401)과 현상 모듈(402)을 가진다. 도포 모듈(401)과 현상 모듈(402)은 서로 간에 층으로 구획되도록 배치된다. 일 예에 의하면, 도포 모듈(401)은 현상 모듈(402)의 상부에 위치된다.
도포 모듈(401)은 기판(W)에 대해 포토레지스트와 같은 감광액을 도포하는 공정 및 레지스트 도포 공정 전후에 기판(W)에 대해 가열 및 냉각과 같은 열처리 공정을 포함한다. 도포 모듈(401)은 레지스트 도포 챔버(410), 베이크 챔버(420), 그리고 반송 챔버(430)를 가진다. 레지스트 도포 챔버(410), 베이크 챔버(420), 그리고 반송 챔버(430)는 제 2 방향(14)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레지스트 도포 챔버(410)와 베이크 챔버(420)는 반송 챔버(430)를 사이에 두고 제 2 방향(14)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레지스트 도포 챔버(410)는 복수 개가 제공되며, 제 1 방향(12) 및 제 3 방향(16)으로 각각 복수 개씩 제공된다. 도면에서는 6개의 레지스트 도포 챔버(410)가 제공된 예가 도시되었다. 베이크 챔버(420)는 제 1 방향(12) 및 제 3 방향(16)으로 각각 복수 개씩 제공된다. 도면에서는 6개의 베이크 챔버(420)가 제공된 예가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베이크 챔버(420)는 더 많은 수로 제공될 수 있다.
반송 챔버(430)는 제 1 버퍼 모듈(300)의 제 1 버퍼(320)와 제 1 방향(12)으로 나란하게 위치된다. 반송 챔버(430) 내에는 도포부 로봇(432)과 가이드 레일(433)이 위치된다. 반송 챔버(430)는 대체로 직사각의 형상을 가진다. 도포부 로봇(432)은 베이크 챔버들(420), 레지스트 도포 챔버들(400), 제 1 버퍼 모듈(300)의 제 1 버퍼(320), 그리고 후술하는 제 2 버퍼 모듈(500)의 제 1 냉각 챔버(520) 간에 기판(W)을 이송한다. 가이드 레일(433)은 그 길이 방향이 제 1 방향(12)과 나란하도록 배치된다. 가이드 레일(433)은 도포부 로봇(432)이 제 1 방향(12)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도포부 로봇(432)은 핸드(434), 아암(435), 지지대(436), 그리고 받침대(437)를 가진다. 핸드(434)는 아암(435)에 고정 설치된다. 아암(435)은 신축 가능한 구조로 제공되어 핸드(434)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지지대(436)는 그 길이 방향이 제 3 방향(16)을 따라 배치되도록 제공된다. 아암(435)은 지지대(436)를 따라 제 3 방향(16)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대(436)에 결합된다. 지지대(436)는 받침대(437)에 고정 결합되고, 받침대(437)는 가이드 레일(433)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 레일(433)에 결합된다.
레지스트 도포 챔버들(410)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다만, 각각의 레지스트 도포 챔버(410)에서 사용되는 포토 레지스트의 종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포토 레지스트로는 화학 증폭형 레지스트(chemical amplification resist)가 사용될 수 있다. 레지스트 도포 챔버(410)는 기판(W) 상에 포토 레지스트를 도포하는 기판처리장치로 제공된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처리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기판처리장치는 기판처리유닛, 분사유닛(1000), 그리고 대기포트(419)을 포함한다. 기판처리유닛에는 기판 상에 약액을 도포하는 도포공정이 수행된다. 기판처리유닛은 하우징(411) 및 지지유닛(412,416)을 포함한다.
하우징(411)은 공정 진행 중에 발생된 공정부산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하우징(411)은 대체로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진다. 하우징(411)의 하부벽에는 배기홀(411a)이 형성되고, 배기홀(411a)에는 배기부재(418)가 연결된다. 배기부재(418)는 하우징(411)의 내부에 음압을 제공하여 하우징(411) 내부에 발생된 공정부산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예컨대, 배기부재(418)는 펌프일 수 있다.
지지유닛(412,416)은 하우징(411) 내에서 기판(W)을 지지한다. 지지유닛(412,416)은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지지유닛(412,416)은 원형의 상부면을 가지는 지지플레이트(412)를 가지며, 지지판의 상면에는 기판(W)을 지지하는 핀 부재들(416)이 설치된다.
분사유닛(1000)은 제1유체 및 제2유체를 분사한다. 도6은 도5의 분사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분사유닛(1000)은 노즐(1110), 유체공급라인(1300), 유체저장부, 노즐이동부재를 포함한다. 제1유체는 기판(W)을 처리하기 위한 약액이고, 제2유체는 노즐(1110)의 토출단(1116)에 잔류된 제1유체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액일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2유체는 경화된 제1유체를 희석하는 세정액일 수 있다. 약액은 감광액이고, 세정액은 신나일 수 있다. 노즐(1110)은 몸체(1110)를 가진다. 몸체(1110)의 내부에는 제1유로(1112) 및 제2유로(1114)가 형성된다. 제1유로(1112)는 제1유체가 흐르는 통로로 제공되고, 제2유로(1114)는 제2유체가 흐르는 통로로 제공된다. 몸체(1110)의 저면에는 토출단(1116)이 형성된다. 제1유로(1112)와 제2유로(1114) 각각은 토출단(1116)과 통하도록 제공된다. 제1유체와 제2유체 각각은 토출단(1116)을 통해 분사된다. 제1유로(1112)는 그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제공된다. 예컨대, 제1유로(1112)는 몸체의 중심축과 동일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유로(1114)는 제1유로(1112)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제공되며, 그 하부영역이 경사지게 제공된다. 제2유로(1114)는 그 하부영역이 제1유로(1112)에 가까워지도록 하향 경사지게 제공된다. 유체공급라인(1300)은 노즐(1110)의 몸체에 제1유체 및 제2유체를 공급한다. 유체공급라인(1300)은 제1유체공급라인(1300a) 및 제2유체공급라인(1300b)을 포함한다. 제1유체공급라인(1300a)은 제1유로(1112)와 제1유체저장부(1330a)를 각각 연결한다. 제1유체저장부(1330a)에 저장된 제1유체는 제1유체공급라인(1300a)을 통해 제1유로에 제공된다. 제1유체공급라인(1300a)에는 석션밸브(1310)가 설치된다. 석션밸브(1310)는 제1유체공급라인(1300a)을 통해 제1유로를 석션가능하다. 제2유체공급라인(1300b)은 제2유로와 제2유체저장부(1330b)를 각각 연결한다. 제2유체저장부(1330b)에 저장된 제2유체는 제2유체공급라인(1300b)을 통해 제2유로(1114)에 제공된다.
다시 도5를 참조하면, 노즐이동부재는 노즐(1110)을 공정위치와 대기위치 간에 이동시킨다. 공정위치는 노즐(1110)이 지지유닛(412,416)의 상부에 배치되는 위치이고, 대기위치는 노즐(1110)이 대기포트(419)에 배치되는 위치이다. 노즐이동부재는 가이드레일(413), 지지암(415) 그리고 구동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지지암(415)은 노즐(1110)을 지지한다. 지지암(415)은 그 길이방향이 수평방향을 향하는 바 형상을 가진다. 지지암(415)의 일단에는 노즐(1110)이 결합되고, 타단은 가이드레일(413)에 결합된다. 가이드레일(413)은 지지암(415)의 이동방향을 안내하고, 구동부재(미도시)는 지지암(415)이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가이드레일(413)은 그 길이방향이 지지암(415)과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제공된다. 가이드레일(413)은 지지암(415)이 지지유닛(412,416)과 대기포트(419) 간에 이동가능하도록 지지암(415)의 이동방향을 안내한다.
대기포트(419)는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 노즐(1110)이 대기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대기포트(419)의 공간에는 노즐(1110)을 세정하는 공정이 진행된다. 일 예에 의하면, 노즐(1110)을 세정하는 공정은 노즐(1110)의 토출단에 잔류된 제1유체를 제거하는 공정일 수 있다. 대기포트(419)는 용기(419)를 가지도록 제공된다. 용기(419)는 하우징(411)의 일측 위치된다. 용기(419)는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진다. 용기(419)의 내부에는 노즐(1110)이 수용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용기(419)의 하부벽에는 배출홀(411a)이 형성되고, 노즐(1110)의 세정처리에 사용된 유체들은 배출홀(411a)을 통해 드레인된다.
다음은 기판처리장치를 이용하여 기판(W)을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지지플레이트(412)에 제1기판이 놓여지면, 노즐(1110)은 대기위치에서 공정위치로 이동된다. 지지플레이트(412)가 회전되면, 노즐(1110)은 제1기판 상에 제1유체를 도포한다. 제1유체의 도포가 완료되면, 노즐(1110)은 대기위치로 이동된다. 노즐(1110)이 용기(419)의 내부에 수용되면, 제2유체를 분사하여 노즐(1110)의 토출단에 잔류된 제1유체를 세정한다. 일정시간이 지나면, 제2유체의 분사를 중지하고, 가스공급부는 노즐(1110)의 토출단(1116)에 가스를 퍼지하여 노즐(1110)을 건조한다. 노즐(1110)의 건조가 완료되면, 노즐(1110)은 제2기판이 지지플레이트(412)에 놓여질 때까지 대기위치에서 대기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2유체는 노즐(1110)의 외부로부터 분사되지 않고, 그 내부로부터 분사되므로 노즐(1110)의 토출단(1116)을 보다 효율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노즐(1110)의 토출단(1116)을 세정하기 위해 노즐(1110)의 외부에서 제2유체를 분사 시 노즐(1110)의 외측면에는 제2유체가 잔류될 수 있다. 이 경우, 노즐(1110)의 외측면에 잔류된 제2유체는 노즐(1110)을 역오염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유체를 분사하기 위해 별도의 장치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노즐(1110)의 토출단(1116)을 세정하기 위한 장치를 보다 간소화할 수 있다.
베이크 챔버(420)는 웨이퍼(W)를 열처리한다. 예컨대, 베이크 챔버들(420)은 포토 레지스트를 도포하기 전에 웨이퍼(W)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웨이퍼(W) 표면의 유기물이나 수분을 제거하는 프리 베이크(prebake) 공정이나 포토레지스트를 웨이퍼(W) 상에 도포한 후에 행하는 소프트 베이크(soft bake) 공정 등을 수행하고, 각각의 가열 공정 이후에 웨이퍼(W)를 냉각하는 냉각 공정 등을 수행한다. 베이크 챔버(420)는 냉각 플레이트(421) 또는 가열 플레이트(422)를 가진다. 냉각 플레이트(421)에는 냉각수 또는 열전 소자와 같은 냉각 수단(423)이 제공된다. 또한 가열 플레이트(422)에는 열선 또는 열전 소자와 같은 가열 수단(424)이 제공된다. 냉각 플레이트(421)와 가열 플레이트(422)는 하나의 베이크 챔버(420) 내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베이크 챔버(420)들 중 일부는 냉각 플레이트(421)만을 구비하고, 다른 일부는 가열 플레이트(422)만을 구비할 수 있다.
현상 모듈(402)은 기판(W) 상에 패턴을 얻기 위해 현상액을 공급하여 포토 레지스트의 일부를 제거하는 현상 공정, 및 현상 공정 전후에 기판(W)에 대해 수행되는 가열 및 냉각과 같은 열처리 공정을 포함한다. 현상모듈(402)은 현상 챔버(460), 베이크 챔버(470), 그리고 반송 챔버(480)를 가진다. 현상 챔버(460), 베이크 챔버(470), 그리고 반송 챔버(480)는 제 2 방향(14)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현상 챔버(460)와 베이크 챔버(470)는 반송 챔버(480)를 사이에 두고 제 2 방향(14)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현상 챔버(460)는 복수 개가 제공되며, 제 1 방향(12) 및 제 3 방향(16)으로 각각 복수 개씩 제공된다. 도면에서는 6개의 현상 챔버(460)가 제공된 예가 도시되었다. 베이크 챔버(470)는 제 1 방향(12) 및 제 3 방향(16)으로 각각 복수 개씩 제공된다. 도면에서는 6개의 베이크 챔버(470)가 제공된 예가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베이크 챔버(470)는 더 많은 수로 제공될 수 있다.
반송 챔버(480)는 제 1 버퍼 모듈(300)의 제 2 버퍼(330)와 제 1 방향(12)으로 나란하게 위치된다. 반송 챔버(480) 내에는 현상부 로봇(482)과 가이드 레일(483)이 위치된다. 반송 챔버(480)는 대체로 직사각의 형상을 가진다. 현상부 로봇(482)은 베이크 챔버들(470), 현상 챔버들(460), 제 1 버퍼 모듈(300)의 제 2 버퍼(330)와 냉각 챔버(350), 그리고 제 2 버퍼 모듈(500)의 제 2 냉각 챔버(540) 간에 기판(W)을 이송한다. 가이드 레일(483)은 그 길이 방향이 제 1 방향(12)과 나란하도록 배치된다. 가이드 레일(483)은 현상부 로봇(482)이 제 1 방향(12)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현상부 로봇(482)은 핸드(484), 아암(485), 지지대(486), 그리고 받침대(487)를 가진다. 핸드(484)는 아암(485)에 고정 설치된다. 아암(485)은 신축 가능한 구조로 제공되어 핸드(484)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지지대(486)는 그 길이 방향이 제 3 방향(16)을 따라 배치되도록 제공된다. 아암(485)은 지지대(486)를 따라 제 3 방향(16)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대(486)에 결합된다. 지지대(486)는 받침대(487)에 고정 결합된다. 받침대(487)는 가이드 레일(483)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 레일(483)에 결합된다.
현상 챔버들(460)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다만, 각각의 현상 챔버(460)에서 사용되는 현상액의 종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현상 챔버(460)는 기판(W) 상의 포토 레지스트 중 광이 조사된 영역을 제거한다. 이때, 보호막 중 광이 조사된 영역도 같이 제거된다.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포토 레지스트의 종류에 따라 포토 레지스트 및 보호막의 영역들 중 광이 조사되지 않은 영역만이 제거될 수 있다.
현상 챔버(460)는 하우징(461), 지지 플레이트(462), 그리고 노즐(463)을 가진다. 하우징(461)은 상부가 개방된 컵 형상을 가진다. 지지 플레이트(462)는 하우징(461) 내에 위치되며, 기판(W)을 지지한다. 지지 플레이트(462)는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노즐(463)은 지지 플레이트(462)에 놓인 기판(W) 상으로 현상액을 공급한다. 노즐(463)은 원형의 관 형상을 가지고, 기판(W)의 중심으로 현상액 공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노즐(463)은 기판(W)의 직경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노즐(463)의 토출구는 슬릿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현상 챔버(460)에는 추가적으로 현상액이 공급된 기판(W) 표면을 세정하기 위해 탈이온수와 같은 세정액을 공급하는 노즐(464)이 더 제공될 수 있다.
현상모듈(402)의 베이크 챔버(470)는 기판(W)을 열처리한다. 예컨대, 베이크 챔버들(470)은 현상 공정이 수행되기 전에 기판(W)을 가열하는 포스트 베이크 공정 및 현상 공정이 수행된 후에 기판(W)을 가열하는 하드 베이크 공정 및 각각의 베이크 공정 이후에 가열된 웨이퍼를 냉각하는 냉각 공정 등을 수행한다. 베이크 챔버(470)는 냉각 플레이트(471) 또는 가열 플레이트(472)를 가진다. 냉각 플레이트(471)에는 냉각수 또는 열전 소자와 같은 냉각 수단(473)이 제공된다. 또는 가열 플레이트(472)에는 열선 또는 열전 소자와 같은 가열 수단(474)이 제공된다. 냉각 플레이트(471)와 가열 플레이트(472)는 하나의 베이크 챔버(470) 내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베이크 챔버(470)들 중 일부는 냉각 플레이트(471)만을 구비하고, 다른 일부는 가열 플레이트(472)만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포 및 현상 모듈(400)에서 도포 모듈(401)과 현상 모듈(402)은 서로 간에 분리되도록 제공된다. 또한, 상부에서 바라볼 때 도포 모듈(401)과 현상 모듈(402)은 동일한 챔버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제 2 버퍼 모듈(500)은 도포 및 현상 모듈(400)과 노광 전후 처리 모듈(600) 사이에 기판(W)이 운반되는 통로로서 제공된다. 또한, 제 2 버퍼 모듈(500)은 기판(W)에 대해 냉각 공정이나 에지 노광 공정 등과 같은 소정의 공정을 수행한다. 제 2 버퍼 모듈(500)은 프레임(510), 버퍼(520), 제 1 냉각 챔버(530), 제 2 냉각 챔버(540), 에지 노광 챔버(550), 그리고 제 2 버퍼 로봇(560)을 가진다. 프레임(510)은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진다. 버퍼(520), 제 1 냉각 챔버(530), 제 2 냉각 챔버(540), 에지 노광 챔버(550), 그리고 제 2 버퍼 로봇(560)은 프레임(510) 내에 위치된다. 버퍼(520), 제 1 냉각 챔버(530), 그리고 에지 노광 챔버(550)는 도포 모듈(401)에 대응하는 높이에 배치된다. 제 2 냉각 챔버(540)는 현상 모듈(402)에 대응하는 높이에 배치된다. 버퍼(520), 제 1 냉각 챔버(530), 그리고 제 2 냉각 챔버(540)는 순차적으로 제 3 방향(16)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다. 상부에서 바라볼 때 버퍼(520)은 도포 모듈(401)의 반송 챔버(430)와 제 1 방향(12)을 따라 배치된다. 에지 노광 챔버(550)는 버퍼(520) 또는 제 1 냉각 챔버(530)와 제 2 방향(14)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 2 버퍼 로봇(560)은 버퍼(520), 제 1 냉각 챔버(530), 그리고 에지 노광 챔버(550) 간에 기판(W)을 운반한다. 제 2 버퍼 로봇(560)은 에지 노광 챔버(550)와 버퍼(520) 사이에 위치된다. 제 2 버퍼 로봇(560)은 제 1 버퍼 로봇(360)과 유사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냉각 챔버(530)와 에지 노광 챔버(550)는 도포 모듈(401)에서 공정이 수행된 기판들(W)에 대해 후속 공정을 수행한다. 제 1 냉각 챔버(530)는 도포 모듈(401)에서 공정이 수행된 기판(W)을 냉각한다. 제 1 냉각 챔버(530)는 제 1 버퍼 모듈(300)의 냉각 챔버(35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에지 노광 챔버(550)는 제 1 냉각 챔버(530)에서 냉각 공정이 수행된 기판들(W)에 대해 그 가장자리를 노광한다. 버퍼(520)는 에지 노광 챔버(550)에서 공정이 수행된 기판(W)들이 후술하는 전처리 모듈(601)로 운반되기 전에 기판(W)을 일시적으로 보관한다. 제 2 냉각 챔버(540)는 후술하는 후처리 모듈(602)에서 공정이 수행된 기판들(W)이 현상 모듈(402)로 운반되기 전에 기판들(W)을 냉각한다. 제 2 버퍼 모듈(500)은 현상 모듈(402)와 대응되는 높이에 추가된 버퍼를 더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후처리 모듈(602)에서 공정이 수행된 기판들(W)은 추가된 버퍼에 일시적으로 보관된 후 현상 모듈(402)로 운반될 수 있다.
노광 전후 처리 모듈(600)은, 노광 장치(900)가 액침 노광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액침 노광시에 기판(W)에 도포된 포토레지스트 막을 보호하는 보호막을 도포하는 공정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노광 전후 처리 모듈(600)은 노광 이후에 기판(W)을 세정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학증폭형 레지스트를 사용하여 도포 공정이 수행된 경우, 노광 전후 처리 모듈(600)은 노광 후 베이크 공정을 처리할 수 있다.
노광 전후 처리 모듈(600)은 전처리 모듈(601)과 후처리 모듈(602)을 가진다. 전처리 모듈(601)은 노광 공정 수행 전에 기판(W)을 처리하는 공정을 수행하고, 후처리 모듈(602)은 노광 공정 이후에 기판(W)을 처리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전처리 모듈(601)과 후처리 모듈(602)은 서로 간에 층으로 구획되도록 배치된다. 일 예에 의하면, 전처리 모듈(601)은 후처리 모듈(602)의 상부에 위치된다. 전처리 모듈(601)은 도포 모듈(401)과 동일한 높이로 제공된다. 후처리 모듈(602)은 현상 모듈(402)과 동일한 높이로 제공된다. 전처리 모듈(601)은 보호막 도포 챔버(610), 베이크 챔버(620), 그리고 반송 챔버(630)를 가진다. 보호막 도포 챔버(610), 반송 챔버(630), 그리고 베이크 챔버(620)는 제 2 방향(14)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보호막 도포 챔버(610)와 베이크 챔버(620)는 반송 챔버(630)를 사이에 두고 제 2 방향(14)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보호막 도포 챔버(610)는 복수 개가 제공되며, 서로 층을 이루도록 제 3 방향(16)을 따라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보호막 도포 챔버(610)는 제 1 방향(12) 및 제 3 방향(16)으로 각각 복수 개씩 제공될 수 있다. 베이크 챔버(620)는 복수 개가 제공되며, 서로 층을 이루도록 제 3 방향(16)을 따라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베이크 챔버(620)는 제 1 방향(12) 및 제 3 방향(16)으로 각각 복수 개씩 제공될 수 있다.
반송 챔버(630)는 제 2 버퍼 모듈(500)의 제 1 냉각 챔버(530)와 제 1 방향(12)으로 나란하게 위치된다. 반송 챔버(630) 내에는 전처리 로봇(632)이 위치된다. 반송 챔버(630)는 대체로 정사각 또는 직사각의 형상을 가진다. 전처리 로봇(632)은 보호막 도포 챔버들(610), 베이크 챔버들(620), 제 2 버퍼 모듈(500)의 버퍼(520), 그리고 후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700)의 제 1 버퍼(720) 간에 기판(W)을 이송한다. 전처리 로봇(632)은 핸드(633), 아암(634), 그리고 지지대(635)를 가진다. 핸드(633)는 아암(634)에 고정 설치된다. 아암(634)은 신축 가능한 구조 및 회전 가능한 구조로 제공된다. 아암(634)은 지지대(635)를 따라 제 3 방향(16)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대(635)에 결합된다.
보호막 도포 챔버(610)는 액침 노광 시에 레지스트 막을 보호하는 보호막을 기판(W) 상에 도포한다. 보호막 도포 챔버(610)는 하우징(611), 지지 플레이트(612), 그리고 노즐(613)을 가진다. 하우징(611)은 상부가 개방된 컵 형상을 가진다. 지지 플레이트(612)는 하우징(611) 내에 위치되며, 기판(W)을 지지한다. 지지 플레이트(612)는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노즐(613)은 지지 플레이트(612)에 놓인 기판(W) 상으로 보호막 형성을 위한 보호액을 공급한다. 노즐(613)은 원형의 관 형상을 가지고, 기판(W)의 중심으로 보호액을 공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노즐(613)은 기판(W)의 직경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노즐(613)의 토출구는 슬릿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플레이트(612)는 고정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보호액은 발포성 재료를 포함한다. 보호액은 포토 레지스터 및 물과의 친화력이 낮은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보호액은 불소계의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막 도포 챔버(610)는 지지 플레이트(612)에 놓인 기판(W)을 회전시키면서 기판(W)의 중심 영역으로 보호액을 공급한다.
베이크 챔버(620)는 보호막이 도포된 기판(W)을 열처리한다. 베이크 챔버(620)는 냉각 플레이트(621) 또는 가열 플레이트(622)를 가진다. 냉각 플레이트(621)에는 냉각수 또는 열전 소자와 같은 냉각 수단(623)이 제공된다. 또는 가열 플레이트(622)에는 열선 또는 열전 소자와 같은 가열 수단(624)이 제공된다. 가열 플레이트(622)와 냉각 플레이트(621)는 하나의 베이크 챔버(620) 내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베이크 챔버들(620) 중 일부는 가열 플레이트(622) 만을 구비하고, 다른 일부는 냉각 플레이트(621) 만을 구비할 수 있다.
후처리 모듈(602)은 세정 챔버(660), 노광 후 베이크 챔버(670), 그리고 반송 챔버(680)를 가진다. 세정 챔버(660), 반송 챔버(680), 그리고 노광 후 베이크 챔버(670)는 제 2 방향(14)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세정 챔버(660)와 노광 후 베이크 챔버(670)는 반송 챔버(680)를 사이에 두고 제 2 방향(14)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세정 챔버(660)는 복수 개가 제공되며, 서로 층을 이루도록 제 3 방향(16)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세정 챔버(660)는 제 1 방향(12) 및 제 3 방향(16)으로 각각 복수 개씩 제공될 수 있다. 노광 후 베이크 챔버(670)는 복수 개가 제공되며, 서로 층을 이루도록 제 3 방향(16)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노광 후 베이크 챔버(670)는 제 1 방향(12) 및 제 3 방향(16)으로 각각 복수 개씩 제공될 수 있다.
반송 챔버(680)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제 2 버퍼 모듈(500)의 제 2 냉각 챔버(540)와 제 1 방향(12)으로 나란하게 위치된다. 반송 챔버(680)는 대체로 정사각 또는 직사각의 형상을 가진다. 반송 챔버(680) 내에는 후처리 로봇(682)이 위치된다. 후처리 로봇(682)은 세정 챔버들(660), 노광 후 베이크 챔버들(670), 제 2 버퍼 모듈(500)의 제 2 냉각 챔버(540), 그리고 후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700)의 제 2 버퍼(730) 간에 기판(W)을 운반한다. 후처리 모듈(602)에 제공된 후처리 로봇(682)은 전처리 모듈(601)에 제공된 전처리 로봇(632)과 동일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세정 챔버(660)는 노광 공정 이후에 기판(W)을 세정한다. 세정 챔버(660)는 하우징(661), 지지 플레이트(662), 그리고 노즐(663)을 가진다. 하우징(661)는 상부가 개방된 컵 형상을 가진다. 지지 플레이트(662)는 하우징(661) 내에 위치되며, 기판(W)을 지지한다. 지지 플레이트(662)는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노즐(663)은 지지 플레이트(662)에 놓인 기판(W) 상으로 세정액을 공급한다. 세정액으로는 탈이온수와 같은 물이 사용될 수 있다. 세정 챔버(660)는 지지 플레이트(662)에 놓인 기판(W)을 회전시키면서 기판(W)의 중심 영역으로 세정액을 공급한다. 선택적으로 기판(W)이 회전되는 동안 노즐(663)은 기판(W)의 중심 영역에서 가장자리 영역까지 직선 이동 또는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노광 후 베이크 챔버(670)는 원자외선을 이용하여 노광 공정이 수행된 기판(W)을 가열한다. 노광 후 베이크 공정은 기판(W)을 가열하여 노광에 의해 포토 레지스트에 생성된 산(acid)을 증폭시켜 포토 레지스트의 성질 변화를 완성시킨다. 노광 후 베이크 챔버(670)는 가열 플레이트(672)를 가진다. 가열 플레이트(672)에는 열선 또는 열전 소자와 같은 가열 수단(674)이 제공된다. 노광 후 베이크 챔버(670)는 그 내부에 냉각 플레이트(67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냉각 플레이트(671)에는 냉각수 또는 열전 소자와 같은 냉각 수단(673)이 제공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냉각 플레이트(671)만을 가진 베이크 챔버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노광 전후 처리 모듈(600)에서 전처리 모듈(601)과 후처리 모듈(602)은 서로 간에 완전히 분리되도록 제공된다. 또한, 전처리 모듈(601)의 반송 챔버(630)와 후처리 모듈(602)의 반송 챔버(680)는 동일한 크기로 제공되어, 상부에서 바라볼 때 서로 간에 완전히 중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보호막 도포 챔버(610)와 세정 챔버(660)는 서로 동일한 크기로 제공되어 상부에서 바라볼 때 서로 간에 완전히 중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베이크 챔버(620)와 노광 후 베이크 챔버(670)는 동일한 크기로 제공되어, 상부에서 바라볼 때 서로 간에 완전히 중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700)은 노광 전후 처리 모듈(600), 및 노광 장치(900) 간에 기판(W)을 이송한다. 인터페이스 모듈(700)은 프레임(710), 제 1 버퍼(720), 제 2 버퍼(730), 그리고 인터페이스 로봇(740)를 가진다. 제 1 버퍼(720), 제 2 버퍼(730), 그리고 인터페이스 로봇(740)은 프레임(710) 내에 위치된다. 제 1 버퍼(720)와 제 2 버퍼(730)는 서로 간에 일정거리 이격되며, 서로 적층되도록 배치된다. 제 1 버퍼(720)는 제 2 버퍼(730)보다 높게 배치된다. 제 1 버퍼(720)는 전처리 모듈(601)과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고, 제 2 버퍼(730)는 후처리 모듈(602)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된다.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제 1 버퍼(720)는 전처리 모듈(601)의 반송 챔버(630)와 제 1 방향(12)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제 2 버퍼(730)는 후처리 모듈(602)의 반송 챔버(630)와 제 1 방향(12)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게 위치된다.
인터페이스 로봇(740)은 제 1 버퍼(720) 및 제 2 버퍼(730)와 제 2 방향(14)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인터페이스 로봇(740)은 제 1 버퍼(720), 제 2 버퍼(730), 그리고 노광 장치(900) 간에 기판(W)을 운반한다. 인터페이스 로봇(740)은 제 2 버퍼 로봇(560)과 대체로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제 1 버퍼(720)는 전처리 모듈(601)에서 공정이 수행된 기판(W)들이 노광 장치(900)로 이동되기 전에 이들을 일시적으로 보관한다. 그리고 제 2 버퍼(730)는 노광 장치(900)에서 공정이 완료된 기판(W)들이 후처리 모듈(602)로 이동되기 전에 이들을 일시적으로 보관한다. 제 1 버퍼(720)는 하우징(721)과 복수의 지지대들(722)을 가진다. 지지대들(722)은 하우징(721) 내에 배치되며, 서로 간에 제 3 방향(16)을 따라 이격되게 제공된다. 각각의 지지대(722)에는 하나의 기판(W)이 놓인다. 하우징(721)은 인터페이스 로봇(740) 및 전처리 로봇(632)이 하우징(721) 내로 지지대(722)에 기판(W)을 반입 또는 반출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로봇(740)이 제공된 방향 및 전처리 로봇(632)이 제공된 방향에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가진다. 제 2 버퍼(730)는 제 1 버퍼(720)와 대체로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다만, 제 2 버퍼(730)의 하우징(4531)에는 인터페이스 로봇(740)이 제공된 방향 및 후처리 로봇(682)이 제공된 방향에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가진다. 인터페이스 모듈에는 웨이퍼에 대해 소정의 공정을 수행하는 챔버의 제공 없이 상술한 바와 같이 버퍼들 및 로봇만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기판처리장치는 레지스트 도포챔버(410)에 사용되는 분사유닛(1000)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현상챔버(460) 및 세정챔버(660) 등 약액을 분사하여 기판을 처리하는 공정이라면,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
412: 지지플레이트 413,415: 노즐이동부재
419: 대기포트 1000: 분사유닛
1100: 노즐 1110: 몸체
1112: 제1유로 1114: 제2유로
1116: 토출단

Claims (2)

  1.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가지는 기판처리유닛과;
    상기 기판처리유닛의 일측에 위치되는 대기포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지지된 기판으로 제1유체를 공급하는 분사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분사유닛은,
    내부에 토출단, 제1유로, 그리고 제2유로가 형성된 몸체를 가지고 노즐과;
    상기 제1유로에 상기 제1유체를 공급하는 제1유체공급라인과;
    상기 제2유로에 상기 제2유체를 공급하는 제2유체공급라인과;
    상기 노즐을 상기 기판처리유닛과 대기포트 간에 이동시키는 노즐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포트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노즐이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가지는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로의 끝단과 상기 제2유로의 끝단은 상기 몸체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토출단과 통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제1유체는 기판을 처리하기 위한 약액이며, 상기 제2유체는 상기 노즐에 잔류된 제1유체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액인 기판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는 상기 제1유로를 감싸는 링 형상을 가지도록 제공되는 기판처리장치.
KR1020120117224A 2012-10-22 2012-10-22 기판처리장치 및 방법 KR102037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224A KR102037921B1 (ko) 2012-10-22 2012-10-22 기판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224A KR102037921B1 (ko) 2012-10-22 2012-10-22 기판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863A true KR20140050863A (ko) 2014-04-30
KR102037921B1 KR102037921B1 (ko) 2019-11-26

Family

ID=50655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224A KR102037921B1 (ko) 2012-10-22 2012-10-22 기판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9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222A (ko) * 2014-05-28 2015-12-09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KR20160017721A (ko) * 2014-08-01 2016-02-17 세메스 주식회사 액 공급 유닛,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075B1 (ko) * 2007-12-27 2010-02-09 세메스 주식회사 처리액 공급 유닛과,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00028488A (ko) * 2008-09-04 2010-03-12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액 처리에 있어서의 노즐 세정, 처리액 건조 방지 방법 및 그 장치
KR20100128222A (ko) * 2009-05-27 2010-12-07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설비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방법
KR101023069B1 (ko) * 2008-11-18 2011-03-24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20103465A (ko) * 2011-03-09 2012-09-19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2 유체 노즐, 기판 액처리 장치, 기판 액처리 방법 및 기판 액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075B1 (ko) * 2007-12-27 2010-02-09 세메스 주식회사 처리액 공급 유닛과,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00028488A (ko) * 2008-09-04 2010-03-12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액 처리에 있어서의 노즐 세정, 처리액 건조 방지 방법 및 그 장치
KR101023069B1 (ko) * 2008-11-18 2011-03-24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00128222A (ko) * 2009-05-27 2010-12-07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설비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방법
KR20120103465A (ko) * 2011-03-09 2012-09-19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2 유체 노즐, 기판 액처리 장치, 기판 액처리 방법 및 기판 액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566274B1 (ko) * 2011-03-09 2015-11-05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2 유체 노즐, 기판 액처리 장치, 기판 액처리 방법 및 기판 액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222A (ko) * 2014-05-28 2015-12-09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KR20160017721A (ko) * 2014-08-01 2016-02-17 세메스 주식회사 액 공급 유닛,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921B1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699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60057036A (ko) 기판 처리 방법, 기판 처리 장치, 그리고 용기 세정 방법
KR101769440B1 (ko) 기판 처리 방법
KR20150076818A (ko) 기판처리장치
KR102299882B1 (ko) 홈포트,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및 정전기 제거 방법
KR102000023B1 (ko) 기판 처리 장치
KR101757814B1 (ko) 대기 포트 및 이를 가지는 기판 처리 장치
KR101884854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40050863A (ko) 기판처리장치
KR20160072545A (ko) 기판 처리 장치
KR102299881B1 (ko) 홈포트,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및 정전기 제거 방법
KR20150078629A (ko) 기판처리장치
KR101670455B1 (ko) 홈포트,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및 분위기 조성 방법
KR20170072390A (ko) 기판 처리 장치, 대기 유닛 및 노즐 세정 방법
KR101914482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101909184B1 (ko) 기판 처리 장치
KR101935943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장치 세정 방법
KR101721148B1 (ko) 노즐, 기판 처리 장치 및 처리액 공급 방법
KR101958637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102371453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정전기 제거 방법
KR20170061749A (ko) 대기 포트 및 이를 가지는 기판 처리 장치
KR102223764B1 (ko) 기판처리장치 및 방법
KR20130061245A (ko) 분사유닛
KR102156897B1 (ko) 기판처리장치 및 방법
KR20180061536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