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0215A - Apparatus for detecting ice cub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etecting ice cub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0215A
KR20140050215A KR1020120116198A KR20120116198A KR20140050215A KR 20140050215 A KR20140050215 A KR 20140050215A KR 1020120116198 A KR1020120116198 A KR 1020120116198A KR 20120116198 A KR20120116198 A KR 20120116198A KR 20140050215 A KR20140050215 A KR 20140050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detection signal
amount
discharg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1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47999B1 (en
Inventor
정진규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6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999B1/en
Publication of KR20140050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2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9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cting the amount of discharged ice, a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amount of discharged ice and an ice maker having the same. The apparatus for detecting the amount of discharged 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which emits ice-detecting signals and which measures reflected ice-detecting signals in order to sense ice discharged through an ice discharging outlet; and a determining unit which calculate the amount of ice discharged through the ice discharging outlet using a reception rate which is a rate of reflected ice detecting signals to emitted ice-detecting signals. [Reference numerals] (10) Sensor unit; (20) Determining unit

Description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얼음정수기 {Apparatus for detecting ice cub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Apparatus for detecting ice cub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얼음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추출되는 얼음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원하는 얼음량만큼의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얼음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extraction amount detecting device and an ice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ce extraction amount detecting device and an ice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amount of ice by accurately measuring the amount of extracted ice. will be.

일반적으로 얼음 정수기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필터로 여과하여 생성한 정수와, 상기 정수를 냉각하여 생성한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얼음정수기는 통상적으로 원수를 정수하는 필터부,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 얼음을 만드는 얼음생성부 및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저장부를 구비하며, 정수를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탱크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Generally, an ice water purifier is a device capable of providing purified water produced by filtering raw water such as tap water with a filter and ice produced by cooling the purified water. The ice water purifier generally has a filter unit for purifying the raw water, a water tank for storing purified water, an ice producing unit for making ice, and an ice storage unit for storing ice, and a hot water tank for heating and storing purified water may be further provided have.

얼음정수기는 일반적으로 얼음저장부에 구비된 회전 스크류를 회전시켜 얼음을 토출한다. 즉, 회전 스크류의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하는 얼음은 회전 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얼음토출구로 이송되며, 상기 얼음토출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이때, 회전 스크류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토출되는 얼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Generally, an ice water purifier rotates a rotary screw provided in an ice storage unit to discharge ice. That is, the ice located between the blades of the rotating screw is transferred to the ice discharge port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crew, it can be supplied to the user through the ice discharge port.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ice discharg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ng screw.

다만, 이 경우, 회전 스크류의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하는 얼음의 양은 일정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의 얼음이 정확하게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얼음이 뭉쳐 있는 경우에는 갑자기 많은 양의 얼음이 한번에 제공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amount of ice positioned between the blades of the rotating screw is not constant, the ice may not be provided exactly as much as the user wants. In addition, when ice is concentrated, a problem such as suddenly providing a large amount of ice may occur.

본 발명은 추출되는 얼음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원하는 양만큼의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 extraction amount detection device that can accurately measure the amount of ice to be extracted to provide as much ice as desired.

또한, 본 발명은 추출되는 얼음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원하는 얼음량만큼의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얼음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 water purifier that can accurately measure the amount of ice to be extracted to provide as much ice as the desired amount of 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는, 얼음감지신호를 발신하고,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측정하여 얼음토출구로 토출되는 얼음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반사된 얼음감지신호가 상기 센서부로 되돌아오는 비율인 수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얼음토출구로 토출된 얼음의 양을 계산하는 판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Ice extraction amount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for transmitting the ice detection signal, by measuring the ice detection signal reflected back and the sensor discharged to the ice discharge port; And a determination unit for calculating an amount of ice discharged to the ice discharge port by using a reception ratio that is a ratio at which the reflected ice detection signal is returned to the sensor unit.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기 설정된 입사각으로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발신부; 및 상기 입사각에 대응하는 반사각으로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transmitter for outputting the ice detection signal at a predetermined incident angle; And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the ice detection signal at a reflec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ident angle.

여기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이 한계수신율 이하이면, 얼음이 토출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Here, the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at the ice is discharged when the reception rate of the ice detection signal sensed by the sensor is less than the threshold reception rate.

여기서 상기 판별부는, 기준시간 이상 상기 한계수신율을 초과하는 얼음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얼음의 토출이 없는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기준시간 이상 상기 한계수신율 이하의 얼음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얼음의 토출이 있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at there is no discharge of ice when an ice detection signal exceeding the threshold reception rate for a reference time or more is detected, and when there is an ice detection signal below the threshold reception rate for the reference time or mor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discharge of ice. Can be determined.

여기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얼음을 상기 얼음토출구로 이송하는 회전스크류의 회전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기준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Here, the determination unit may set the reference tim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screw for transferring the ice to the ice discharge port.

여기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한계수신율 이하의 얼음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에 반비례하는 양만큼의 얼음이 상기 기준시간동안 토출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Here, when the ice detection signal below the threshold reception rate is detected, the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at ice is discharged during the reference time by an amount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reception rate of the ice detection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는, 공급받은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부; 상기 정수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생성부; 상기 얼음생성부가 생성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저장부; 상기 얼음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을 얼음토출구로 이송하는 이송수단; 얼음감지신호를 발신하고,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측정하여 상기 얼음토출구로 토출되는 얼음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가 감지하는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토출된 얼음의 양을 계산하는 판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unit for generating purified water by filtering the supplied raw water; Ice generating unit for producing ice by cooling the purified water; An ic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ce generated by the ice generator;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to an ice discharge port; A sensor unit which sends an ice detection signal and measures the ice detection signal reflected and returned to detect the ice discharged to the ice discharge port; And a determination unit calculating an amount of the discharged ice by using a reception ratio of the ice detection sig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여기서, 상기 얼음정수기는 상기 판별부가 계산한 토출된 얼음의 양이 기 설정된 얼음설정량에 해당하면, 상기 이송수단의 동작을 중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ice water purifi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means when the amount of discharged ice calculated by the determination unit corresponds to a preset ice set amount.

여기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얼음을 상기 얼음토출구로 이송하는 회전스크류; 및 상기 회전스크류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스크류의 블레이드 높이 이상 쌓인 얼음이 상기 회전스크류를 따라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얼음커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conveying means, a rotating screw for transferring the ice to the ice discharge port; And an ice curtain member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screw to prevent the ice stacked above the blade height of the rotating screw from being transferred along the rotating screw.

여기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회전스크류의 블레이드간격, 상기 회전스크류의 블레이드 높이 및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얼음토출구로 토출된 얼음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Here, the determination unit may calculate the amount of ice discharged to the ice discharge port by using the blade interval of the rotating screw, the blade height of the rotating screw and the reception rate of the ice detection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방법은, 얼음감지신호를 발신하고,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측정하여 얼음토출구로 토출되는 얼음을 감지하는 얼음감지단계; 및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얼음토출구로 토출되는 얼음의 양을 계산하는 얼음토출량판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ce extraction amount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detection signal for transmitting the ice detection signal, measuring the ice detection signal reflected back and the ice detection step for detecting the ice discharged to the ice discharge port; And an ice discharge amount determining step of calculating an amount of ice discharged to the ice discharge port by using the reception rate of the ice detection signal.

여기서 상기 얼음감지단계는, 기 설정된 입사각으로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입사각에 대응하는 반사각으로 입력되는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Here, the ice detection step may output the ice detection signal at a predetermined angle of incidence and receive the ice detection signal input at a reflec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angle of incidence.

여기서 상기 얼음토출량판별단계는, 기준시간 이상 상기 한계수신율을 초과하는 얼음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얼음의 토출이 없는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기준시간 이상 상기 한계수신율 이하의 얼음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얼음의 토출이 있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Here, the ice discharge amount discrimination step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no discharge of ice when an ice detection signal exceeding the threshold reception rate for a reference time or more is detected, and when the ice detection signal below the threshold reception rate for the reference time or more is detected, discharge of ice. Can be determined to be present.

여기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한계수신율 이하의 얼음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에 반비례하는 양만큼의 얼음이 상기 기준시간동안 토출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Here, when the ice detection signal below the threshold reception rate is detected, the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at ice is discharged during the reference time by an amount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reception rate of the ice detection signal.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re not all enumerat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ous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dvantages and effects thereof will be more fully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following specific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얼음정수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의 얼음을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많은 양의 얼음이 갑작스럽게 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ce extraction amount detecting apparatus and the ice purifier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provide as much ice as the user desires, and to prevent a large amount of ice from being suddenly provided.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의 센서부에 의한 얼음 감지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의 얼음 추출량 판별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ce extraction amount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ice detection by the sensor unit of the ice extraction amount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graph for explaining ice extraction amount determination of the ice extraction amount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cting ice extraction a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means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ce extraction amount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는 센서부(10) 및 판별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ice extraction amount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nsor unit 10 and a determination unit 20.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ice extraction amount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센서부(10)는, 얼음감지신호를 발신하고,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측정하여 얼음토출구로 토출되는 얼음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0)는, 이송수단(60), 예를들어 회전스크류를 따라 얼음토출구로 이송되는 얼음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얼음이 얼음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기 직전의 얼음을 감지하여, 판별부(20)가 상기 얼음토출구로 토출되는 얼음의 양을 계산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0 may transmit the ice detection signal and measure the ice detection signal reflected and returned to detect the ice discharged to the ice discharge port. The sensor unit 10 may detect the ice being conveyed to the ice outlet through the conveying means 60, for example, a rotating screw. In particular, by detecting the ice immediately before the ice is discharged through the ice discharge port, the determination unit 20 may calculate the amount of ice discharged to the ice discharge port.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부(10)는 발신부(11) 및 수신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얼음감지신호는 상기 얼음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활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적외선(infra red) 신호를 상기 얼음감지신호로 활용할 수 있다. In detail, the sensor unit 10 may include a transmitter 11 and a receiver 12. Here, the ice detection signal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ice, and preferably, an infrared signal may be used as the ice detection signal.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부(11)는 기 설정된 입사각으로 상기 얼음감지신호(a)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얼음감지신호(a)의 수신율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부(12)를 상기 입사각에 대응하는 반사각을 가지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얼음(1)이 없는 경우에는 반사된 얼음감지신호(a)는 대부분 상기 수신부(12)로 입력되며 이때 상기 수신부(12)의 수신율은 최대가 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A, the transmitter 11 may output the ice detection signal a at a predetermined angle of incidence, and in order to maximize the reception rate of the ice detection signal a, The receiver 12 may be positioned to have a reflec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ident angle. Therefore, when the ice 1 is absent, the reflected ice detection signal a is mostly input to the receiver 12, and the reception rate of the receiver 12 may be maximum.

반면에,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1)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신부(11)가 출력한 얼음감지신호(a)가 상기 얼음의 표면에서 난반사할 수 있다. 따라서,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얼음감지신호(a)는 대부분이 상기 수신부(12)로 입력되지 못하게 되며 이때의 수신율은 상기 얼음(1)이 없을 때와 비교할 때 현저히 낮아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ce 1 is located as shown in Figure 2 (b), the ice detection signal (a) output from the transmitter 11 may be diffusely reflected on the surface of the ice. Therefore, as shown in FIG. 2 (b), most of the ice detection signals a are not input to the receiver 12, and the reception rate at this tim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when the ice 1 is absent. You lose.

구체적으로, 도2에서는 상기 얼음감지신호(a)가 하나의 직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상기 발신부(11)가 출력하는 얼음감지신호(a)의 입시각에 오차가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발신부(11)는 출력하는 얼음감지신호(a)는 원뿔형일 수 있으며, 상기 원뿔형의 얼음감지신호 중 일부는 상기 얼음(1)의 표면에서 난반사되어 상기 수신부(12)로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얼음(1)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상기 수신부(12)는 상기 얼음감지신호(a)를 일부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얼음(1)의 개수가 많아질 수록 상기 반사된 얼음감지신호(a)가 상기 수신부(12)로 입력될 수 있는 가능성은 점차 낮아지게 된다. 즉, 상기 수신부(12)의 얼음감지신호(a) 수신율과 상기 얼음(1)의 개수는 반비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얼음감지신호(a)의 수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얼음의 양을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detail, in FIG. 2, the ice detection signal a is represented by one straight line, but in practice, there may be an error in the entrance time of the ice detection signal a output by the transmitter 11. That is, the ice detection signal (a) output by the transmitter 11 may be conical, and some of the cone ice detection signals are diffusely reflected on the surface of the ice 1 to be input to the receiver 12. Can be. Therefore, even when the ice 1 is present, the receiver 12 may receive a portion of the ice detection signal a. However, as the number of ice 1 increases, the probability that the reflected ice detection signal a may be input to the receiver 12 is gradually lowered. That is, the reception rate of the ice detection signal (a) of the receiving unit 12 and the number of the ice (1) may be inversely proportiona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amount of ice using the reception rate of the ice detection signal a.

판별부(20)는,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얼음토출구로 토출된 얼음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앞서 살핀바와 같이,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은 얼음의 양에 반비례하므로, 상기 판별부(20)는 상기 수신율과 얼음의 양에 대한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토출되는 얼음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unit 20 may calculate the amount of ice discharged to the ice discharge port by using the reception rate of the ice detection signal.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ception rate of the ice detection signal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ice, the determination unit 20 may calculate the amount of the discharged ice us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reception rate and the amount of ice.

구체적으로 상기 판별부(20)는, 상기 센서부(10)가 감지한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이 한계수신율 이하이면 얼음이 토출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10)가 측정한 수신율의 크기에 대응하는 얼음의 토출량을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 예를들어, 수신율이 90% 이상이면 얼음이 없는 것으로 판별하고, 수신율이 50% 미만이면 1개의 얼음, 수신율이 10% 미만이면 2개의 얼음이 있는 것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계수신율은 90%로 설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etermination unit 20 may determine that the ice is discharged when the reception rate of the ice detection sig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1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reception rate, and the reception rate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0 may be determined. The discharge amount of ice corresponding to the size can be set in advance. For example, if the reception rate is 90% or mor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ice, and if the reception rate is less than 50%, one ice may be set, and if the reception rate is less than 10%, two ices may be set in advance. Here, the threshold reception rate may be set to 90%.

다만, 상기 센서부(10)가 측정하는 얼음감지신호는, 상기 얼음(10 이외에도 상기 얼음을 이송하는 이송수단(60) 예를들어, 회전스크류에 의하여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상기 얼음 이외에 상기 회전스크류에 의하여 상기 얼음감지신호가 난반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판별부(20)의 얼음 양 계산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회전스크류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므로, 상기 회전스크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차는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속도에 따라 주기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상기 회전스크류가 1회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이상 연속적으로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을 측정한 후, 상기 측정되는 수신율이 기준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수신율에 해당하는 얼음의 양을 판별할 수 있다. 즉,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이 기준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기준시간 이상 유지되는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얼음의 양을 판별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기준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는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은 상기 얼음의 양을 판별할 때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However, the ice detection signal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0 may be affected by, for example, a rotating screw for transferring the ice in addition to the ice 10, for example, a rotating screw. In addition, since the ice detection signal may be diffusely reflected by the rotating screw, an error may occur in calculating the amount of ice of the determination unit 20. However, since the rotating screw rotates at a constant speed, the rotation may occur. The error caused by the screw may appear periodically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screw, and thus, after measuring the reception rate of the ice detection signal at least continuously for at least one time required for the rotating screw to rotate, the measurement If the received rate is maintained for more than a reference time, the amount of ic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rate may be determined, that is, the number of ice detection signals. If the rate is maintained for more than a reference time, the amount of ice can be determined using the reception rate of the ice detection signal maintained for more than the reference time, while the reception rate of the ice detection signal that is not maintained for the reference time is determined by the ice. It may not be taken into account when determining the amount of.

또한, 상기 얼음이 회전 스크류에 의하여 토출되는 경우, 상기 회전 스크류의 블레이드(61) 사이에 얼음이 위치하게 되며, 센서부(10)는 상기 블레이드(61) 사이에 위치하는 얼음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판별부(20)가 상기 얼음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는 얼음의 양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 스크류의 주기에 따라 얼음의 개수를 판별한 후, 상기 얼음의 개수를 적산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판별부(20)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토출되는 얼음의 개수를 판별한 후, 상기 토출된 얼음의 개수를 적산하여 전체 토출된 얼음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ice is discharged by the rotating screw, the ice is located between the blade 61 of the rotating screw, the sensor unit 10 can detect the ice located between the blade 61. . Therefore, in order to calculate the amount of ice discharged through the ice discharge port, the determination unit 20 needs to determine the number of ices according to the cycle of the rotating screw, and then accumulate the number of ices. That is, the determination unit 20 may determine the number of ice discharg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en calculate the total amount of ice discharged by integrating the number of discharged ice.

여기서, 상기 회전스크류의 블레이드(61) 사이에 위치하는 얼음의 개수는, 상기 회전스크류의 블레이드(61) 사이의 간격, 상기 블레이드(61)의 높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블레이드(61) 사이에 위치하는 얼음의 개수를 제한하기 위해서는 미리 상기 블레이드(61) 사이의 간격, 상기 블레이드(61)의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블레이드(61) 사이에 2개의 얼음이 위치하도록 상기 블레이드(61) 사이의 간격 및 상기 블레이드(61)의 높이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판별부(20)는 보다 용이하게 얼음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측정되는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을 이용하여 구별해야하는 경우의 수가 3가지(얼음이 없는 경우, 1개인 경우, 2개인 경우)로 한정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얼음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Here, the number of ice located between the blades 61 of the rotating screw may vary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blades 61 of the rotating screw, the height of the blade 61. That is, in order to limit the number of ice located between the blades 61, the distance between the blades 61 and the height of the blades 61 may be set in advance.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blades 61 and the height of the blades 61 may be set such that two ices are positioned between the blades 61, and 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unit 20 may be easier. Can detect ice. That is, since the number of cases to be distinguished using the reception rate of the measured ice detection signal is limited to three (if there is no ice, if there is one, if there are two), it is possible to detect ice more easily.

도3은 센서부(10)의 얼음감지신호에 대한 수신율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상기 그래프는 이상적인 상황을 가정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신율이 100% 이면 얼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을 의미하고, 수신율이 50%이면 얼음이 1개, 수신율이 0%이면 얼음이 2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0 ~ t1 시간 동안에는 수신율이 100% 이므로 회전스크류를 통하여 이송되는 얼음은 0개이고, t1 ~ t2 시간동안에는 수신율이 50%이므로 1개의 얼음이 이송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t2 ~ t4 시간동안에는 수신율이 0%이므로 2개의 얼음이 이송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t4 ~ t5의 경우도 동일한 방법으로 토출되는 얼음의 양을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판별부(20)는 상기 각각의 시간구간에서 토출된 얼음의 양을 적산하여, 전체 0 ~ t5 동안 토출되는 얼음의 양을 6개로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3 is a graph showing the reception rate of the ic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10, which assumes an ideal situation. Here, if the reception rate is 100%, it means that there is no ice. If the reception rate is 50%, it means that there is one ice, and if the reception rate is 0%, it means that there are two ice. Since the reception rate is 100% during 0 to t1 hours, there are 0 ices that are transferred through the rotating screw, and during t1 to t2 time, one ice is transported because the reception rate is 50%. In addition, since the reception rate is 0% during t2 to t4 time, it can be determined that two ices are transported. Also in the case of t4 to t5, the amount of ice discharged can be determined in the same manner. Accordingly, the determination unit 20 may accumulate the amount of ice discharged in each of the time intervals, and determine the amount of ice discharged for a total of 0 to t5 as six pieces.

추가적으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커튼부재(6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얼음커튼부재(62)는 상기 회전스크류가 이송하는 얼음의 양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예를들어, 상기 얼음커튼부재(62)에 의하여 상기 회전스크류의 블레이드(61) 사이에 포함되는 얼음의 최대 개수가 2개로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판별부(20)가 감지하는 얼음의 양에 대한 정확도가 보다 높아질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an ice curtain member 62 may be provided. The ice curtain member 62 is to limit the amount of ice conveyed by the rotating screw, for example, the maximum of the ice contained between the blade 61 of the rotating screw by the ice curtain member 62 The number may be limited to two. In this case, the accuracy of the amount of ice detected by the determination unit 20 may be higher.

도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는 센서부(10), 판별부(20), 필터부(30), 얼음생성부(40), 얼음저장부(50), 이송수단(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3,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10, the determination unit 20, the filter unit 30, the ice producing unit 40, the ice storage unit 50, transport Means 60 and control unit 70 may be included.

이하,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얼음정수기는 외부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유입된 원수는 유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유로를 따라 이동한 원수는 필터부(30)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부(30)는 상기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오염물질 등을 여과하여 깨끗한 정수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부(30)는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 프리카본 필터(pre-carbon filter),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reverse omosis membrane filter), 포스트 카본 필터(post-carbon filter) 및 나노필터(nano filter)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필터부(30)에 구비되는 필터의 종류, 개수 및 순서는 얼음정수기의 여과방식 또는 얼음정수기에 요구되는 여과성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The ice water purifier may be supplied with raw water from the outside, and the introduced raw water may move along the flow path. The raw water moved along the flow path may be supplied to the filter unit 30, and the filter unit 30 may generate clean water by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or contaminants included in the raw water. Specifically, the filter unit 30 may include a sediment filter, a pre-carbon filter, a reverse omosis membrane filter, a post-carbon filter, and nanoparticles. Various types of filters may be included, including nano filters. However, the type, number and order of the filters provided in the filter unit 30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filtration method of the ice purifier or the filtration performance required for the ice purifier.

상기 필터부(30)에서 여과된 정수는 정수탱크(w)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정수탱크(w)는 공급되는 정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정수탱크에 저장된 정수는, 정냉유로를 따라 얼음생성부(40)로 공급되거나, 정수밸브의 개방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상기 얼음정수기는 별도의 정수탱크를 구비하지 않는 직수식 정수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부(30)에서 여과된 정수는 상기 정수밸브의 개방에 의하여 직접 사용자에게 공급되거나, 필터부(30)에서 직접 얼음생성부(40)로 공급될 수 있다. The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30 may be supplied to the purified water tank w, and the purified water tank w may store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purified water tank may be supplied to the ice making unit 40 along the cooling channel, or may be provided to the user by opening the purified water valve. However, the ice water purifier may be a direct type water purifier that does not have a separate water purification tank. In this case, the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30 may be directly supplied to the user by opening the water purification valve, or may be directly supplied to the ice making unit 40 from the filter unit 30.

얼음생성부(40)는, 상기 정냉유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정수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이스 트레이에 상기 정수를 공급받은 후,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냉각기를 침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침지된 냉각기를 냉각하여 상기 냉각기 표면에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얼음이 생성되면, 상기 냉각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탈빙히터를 동작시켜 얼음을 상기 얼음저장부(50)로 낙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회전시켜 상기 얼음의 낙하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ice generator 40 may generate ice by cooling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hrough the purified cooling passage. Specifically, after the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ice tray, the cooler may be immersed in the ice tray, and the immersed cooler may be cooled to generate ice on the surface of the cooler. When the ice is generated, the ice may be dropped into the ice storage unit 50 by operating a defrosting heater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oler. At this time, the ice tray may be rotated so that the fall of the ice is not disturbed by the ice tray.

얼음저장부(50)는 상기 얼음(1)을 저장할 수 있으며, 얼음의 추출이 요청되면 상기 이송수단(60)이 상기 저장된 얼음(1)을 상기 얼음토출구(b)로 이송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얼음의 추출이 요청되면 얼음도어(d)를 개방한 후, 상기 이송수단(60)이 얼음추출모터(63)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얼음을 얼음토출구(b)로 토출할 수 있다. 상기 회전스크류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얼음(1)은 상기 회전스크류의 블레이드(6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블레이드(6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얼음(1)의 토출량은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상기 회전스크류의 블레이드(62) 사이에 위치하는 얼음의 개수는 일정하지 않으므로,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수에 따라 토출하는 얼음의 양을 제어하면 정확하게 목표하는 양의 얼음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특히, 얼음의 뭉쳐있는 경우 등에는 갑자기 많은 양의 얼음이 토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The ice storage unit 50 may store the ice 1, and when the extraction of ice is requested, the transfer means 60 may transfer the stored ice 1 to the ice discharge port b. Here, when the extraction of the ice is requested, after opening the ice door (d), the conveying means 60 rotates the rotating screw using the ice extraction motor 63, the ice discharge port (b) Can be discharged. When the rotating screw is rotated, the ice 1 may be located between the blades 62 of the rotating screw to move along the blade 62. Therefore, the discharge amount of the ice 1 may vary depending on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ng screw. However, since the number of ice placed between the blades 62 of the rotating screw is not constant, controlling the amount of ice dischar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otation of the rotating screw may not provide a precise amount of ice. . In particular, when the ice is aggregated, a problem such as sudden discharge of a large amount of ice may occur.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는, 센서부(10) 및 판별부(20) 를 이용하여 상기 얼음정수기에서 토출되는 얼음의 양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된 얼음의 양이 토출하고자 하는 얼음설정량에 해당하면 제어부(70)를 이용하여 상기 얼음의 공급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얼음을 정확하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However,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sure the amount of ice discharged from the ice purifier using the sensor unit 10 and the determination unit 20, and the measured amount of ice If it corresponds to the ice set amount to be discharged, it can be controlled to stop the supply of the ice using the control unit 70. Thus,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provide the amount of ice desired by the user.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수단(60)에는 상기 얼음을 얼음토출구(b)로 이송하는 회전스크류와 함께, 얼음커튼부재(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얼음커튼부재(63)는 상기 회전 스크류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스크류의 블레이드(62) 높이 이상 쌓인 얼음이 상기 회전스크류를 따라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얼음커튼부재(63)에 의하면, 얼음이 뭉쳐있는 경우 등에도, 갑작스럽게 많은 양의 얼음이 한꺼번에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transfer means 60 may further include an ice curtain member 63, along with a rotating screw for transferring the ice to the ice discharge port (b). The ice curtain member 63 is located above the rotating screw, and may serve to prevent the ice accumulated above the height of the blade 62 of the rotating screw from being transferred along the rotating screw. Therefore, according to the ice curtain member 63, it is possible to prevent suddenly a large amount of ice is discharged all at once even in the case of ice agglomeration.

상기 센서부(10) 및 판별부(20)를 이용하여, 토출하는 얼음의 양을 계산하는 내용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content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ice to be discharged by using the sensor unit 10 and the determination unit 20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Figure 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cting ice extraction a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방법은 얼음감지단계(S10) 및 얼음토출량감지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4, the ice extraction amount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ce detection step (S10) and ice discharge amount detection step (S20).

이하,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추출량 감지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ice extraction amount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얼음감지단계(S10)는, 얼음감지신호를 발신하고,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측정하여 얼음토출구로 토출되는 얼음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얼음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얼음감지신호는 적외선 신호를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외선 센서의 발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발신한 후, 상기 적외선 센서의 수신부를 이용하여 반사된 얼음감지신호를 입력받는 방식으로 상기 얼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신부는 기 설정된 입사각으로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입사각에 대응하는 반사각으로 입력되는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얼음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얼음감지신호가 반사되어 상기 수신부로 대부분이 입력되지만, 상기 얼음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얼음감지신호가 얼음의 표면에서 난반사되어 상기 수신부로 입력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에 따라 상기 얼음의 유무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Ice detection step (S10), by sending an ice detection signal, by measuring the ice detection signal reflected back can detect the ice discharged to the ice discharge port. Here, the ice may be detected using an infrared sensor, and the ice detection signal may utilize an infrared signal. Specifically, the ice may be detected by transmitting the ice detection signal by using the transmitter of the infrared sensor and then receiving the reflected ice detection signal by using the receiver of the infrared sensor. In this case, the transmitter may output the ice detection signal at a predetermined incident angle, and the receiver may receive the ice detection signal input at a reflec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ident angle.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ice, most of the ice detection signal is reflected and input to the receiving unit. However, when there is ice, the ice detection signal is diffusely reflected on the surface of the ice and is not input to the receiving uni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ice according to the reception rate of the ice detection signal.

얼음토출량판별단계(S20)는,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얼음토출구로 토출되는 얼음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얼음감지단계(S10)에서 발신한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을 이용하여 얼음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으며, 상기 얼음의 양을 판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은 얼음의 개수에 반비례하므로,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얼음토출구로 토출되는 얼음의 양을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얼음토출량판별단계(S20)는 기준시간 이상 상기 한계수신율을 초과하는 얼음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얼음의 토출이 없는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기준시간 이상 상기 한계수신율 이하의 얼음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얼음의 토출이 있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얼음을 토출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회전스크류를 이용하여 얼음을 얼음토출구까지 이송한다. 이 경우, 상기 얼음감지신호는 상기 얼음뿐만아니라 회전스크류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스크류에 의하여 수신율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준시간 동안 일정한 수신율을 유지하는 얼음감지신호에 이용하여 상기 얼음의 양을 판별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ice discharge amount determining step (S20), the amount of ice discharged to the ice discharge port may be calculated using the reception rate of the ice detection signal.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ce or absence of ice may be determined using the reception rate of the ice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in the ice detection step S10, and the amount of ice may be determined. That is, since the reception rate of the ice detection signal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ice, the amount of ice discharged to the ice discharge port may be determined using the reception rate of the ice detection signal. Specifically, the ice discharge amount determining step (S20) determines that there is no discharge of ice when an ice detection signal exceeding the threshold reception rate is detected for more than a reference time, and the ice detection signal below the threshold reception rate for the reference time or more is detecte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is discharge of ice. When discharging the ice is generally used to rotate the ice to the ice discharge port using a rotating screw. In this case, since the ice detection signal may be affected by the rotating screw as well as the ice, the reception rate may be changed by the rotating screw. Therefore, the amount of ice may be determined using the ice detection signal maintaining a constant reception rate during the reference time.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센서부 20: 판별부
30: 필터부 40: 얼음생성부
50: 얼음저장부 60: 이송수단
61: 블레이드 62: 얼음커튼부재
63: 얼음추출모터 70: 제어부
a: 얼음감지신호 b: 얼음토출구
d: 얼음도어
S10: 얼음감지단계 S20: 얼음토출량판별단계
10: sensor unit 20: determination unit
30: filter unit 40: ice producing unit
50: ice storage unit 60: transfer means
61: blade 62: ice curtain member
63: ice extraction motor 70: control unit
a: ice detection signal b: ice discharge port
d: ice door
S10: ice detection stage S20: ice discharge determination stage

Claims (10)

얼음감지신호를 발신하고,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측정하여 얼음토출구로 토출되는 얼음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반사된 얼음감지신호가 상기 센서부로 되돌아오는 비율인 수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얼음토출구로 토출된 얼음의 양을 계산하는 판별부를 포함하는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A sensor unit which sends an ice detection signal and measures the ice detection signal reflected and returned to detect the ice discharged to the ice discharge port; And
And a determination unit for calculating an amount of ice discharged to the ice discharge port by using a reception ratio that is a ratio at which the reflected ice detection signal is returned to the senso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기 설정된 입사각으로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발신부; 및
상기 입사각에 대응하는 반사각으로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nsor unit
A transmitter for outputting the ice detection signal at a preset incident angle; And
Ice extracting amount sens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ice detection signal at a reflec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ident ang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이 한계수신율 이하이면, 얼음이 토출되는 것으로 판별하는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ermining unit
Ice extraction amount detecting device for determining that the ice is discharged, if the reception rate of the ice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unit is less than the threshold reception r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기준시간 이상 상기 한계수신율을 초과하는 얼음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얼음의 토출이 없는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기준시간 이상 상기 한계수신율 이하의 얼음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얼음의 토출이 있는 것으로 판별하는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etermining unit
Detects that there is no discharge of ice when an ice detection signal exceeding the threshold reception rate for a reference time or more is detected.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얼음을 상기 얼음토출구로 이송하는 회전스크류의 회전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기준시간을 설정하는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etermining unit
Ice extraction amount detecting device for setting the reference tim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screw for transferring the ice to the ice discharge po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한계수신율 이하의 얼음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에 반비례하는 양만큼의 얼음이 상기 기준시간동안 토출되는 것으로 판별하는 얼음추출량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etermining unit
And an ice extraction amount detecting device that detects that ice is discharged during the reference time by an amount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reception rate of the ice detection signal.
공급받은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부;
상기 정수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생성부;
상기 얼음생성부가 생성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저장부;
상기 얼음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을 얼음토출구로 이송하는 이송수단;
얼음감지신호를 발신하고,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얼음감지신호를 측정하여 상기 얼음토출구로 토출되는 얼음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가 감지하는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토출된 얼음의 양을 계산하는 판별부를 포함하는 얼음정수기.
A filter unit for generating purified water by filtering the supplied raw water;
Ice generating unit for producing ice by cooling the purified water;
An ic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ce generated by the ice generator;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to an ice discharge port;
A sensor unit which sends an ice detection signal and measures the ice detection signal reflected and returned to detect the ice discharged to the ice discharge port; And
And a determin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the discharged ice using the reception ratio of the ice detection sig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가 계산한 토출된 얼음의 양이 기 설정된 얼음설정량에 해당하면, 상기 이송수단의 동작을 중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얼음정수기.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controller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means if the amount of discharged ice calculated by the determination unit corresponds to a preset ice setting amou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얼음을 상기 얼음토출구로 이송하는 회전스크류; 및
상기 회전스크류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스크류의 블레이드 높이 이상 쌓인 얼음이 상기 회전스크류를 따라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얼음커튼부재를 더 포함하는 얼음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ransfer means
A rotating screw for transferring the ice to the ice discharge port; And
Located on top of the rotating screw, the ice water purifier further comprises an ice curtain member to prevent the ice stacked above the blade height of the rotating screw is transported along the rotating screw.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회전스크류의 블레이드간격, 상기 회전스크류의 블레이드 높이 및 상기 얼음감지신호의 수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얼음토출구로 토출된 얼음의 양을 계산하는 얼음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etermining unit
An ice water purifier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ice discharged to the ice discharge port using the blade interval of the rotating screw, the blade height of the rotating screw and the reception rate of the ice detection signal.
KR1020120116198A 2012-10-18 2012-10-18 Apparatus for detecting ice cub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1019479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198A KR101947999B1 (en) 2012-10-18 2012-10-18 Apparatus for detecting ice cub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198A KR101947999B1 (en) 2012-10-18 2012-10-18 Apparatus for detecting ice cub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215A true KR20140050215A (en) 2014-04-29
KR101947999B1 KR101947999B1 (en) 2019-02-14

Family

ID=50655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198A KR101947999B1 (en) 2012-10-18 2012-10-18 Apparatus for detecting ice cub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99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974B1 (en) * 2016-03-24 2016-09-01 구봉석 Ice discharge apparatus
KR20180121182A (en) * 2017-04-28 2018-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having an ice making function
KR102289170B1 (en) * 2021-02-15 2021-08-12 김진일 Sink faucet to drain ice and wat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1408B1 (en) 1996-07-18 1999-06-15 구자홍 Ice removing and extracting apparatus of ice dispenser
KR200243161Y1 (en) * 2000-12-29 2001-09-29 주식회사 에스 씨디 Automatic ice pieces take-out device used in apparatus for cleaning cold or hot water and making ice pieces
KR100577184B1 (en) 2003-05-28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irator
KR100565616B1 (en) 2003-09-17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ice-bank in the refrigera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974B1 (en) * 2016-03-24 2016-09-01 구봉석 Ice discharge apparatus
KR20180121182A (en) * 2017-04-28 2018-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having an ice making function
US10563898B2 (en) 2017-04-28 2020-02-18 Lg Electronics Inc. Artificial intelligence refrigerator having ice-making function
KR102289170B1 (en) * 2021-02-15 2021-08-12 김진일 Sink faucet to drain ice and 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999B1 (en) 2019-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572B1 (en) Apparatus for automatic fluid extracting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40050215A (en) Apparatus for detecting ice cub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101441240B1 (en) Automatic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supply water
KR101138579B1 (en) A portable device for water quality measurement and particle collection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KR20120034928A (en) A measuring and responding system about the water quality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CN105917239B (en) Automatic analysing apparatus
JP2005503916A (en) Household water purification pot
FR290361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TANGENTIAL FILTRATION DEVICE AND CORRESPONDING DEVICE
CN108623024A (en) Water purifier and water cleaning systems
NL2008489C2 (en) SENSOR UNIT AND METHOD FOR MEASURING A FLUID FLOW.
KR101977026B1 (en) Apparatus for automatic fluid extracting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256479B1 (en) A submersible motor pump system and method therefor
EP2940491B1 (en) Container sensing device and water-treatment apparatus having same
WO2009004634A2 (en) Regeneration of a fluid filter controlled by a pressure drop monitor
KR20180055511A (en) Amount of fluid extracting variable water purifier
JP7387651B2 (e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for filtration
KR100585496B1 (en) A device for throwing active carbon into water of a filtration plant
JP6954336B2 (en) Water sampling device for water quality measurement
WO2023242277A1 (en) Water recycling device for an autonomous solar beach shower
CN206069531U (en) A kind of new on-line monitoring water softener
KR20150029978A (en) Apparatus for ice extraction
JP6776101B2 (en) Solid-liquid separator
KR20130136878A (en) Apparatus for automatic fluid extracting and method for the same
JP2008128701A (en) Gas meter apparatus
JPH10185813A (en) Turbidity/chromaticity m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