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755A -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 Google Patents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8755A
KR20140048755A KR1020120115067A KR20120115067A KR20140048755A KR 20140048755 A KR20140048755 A KR 20140048755A KR 1020120115067 A KR1020120115067 A KR 1020120115067A KR 20120115067 A KR20120115067 A KR 20120115067A KR 20140048755 A KR20140048755 A KR 20140048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command
touch panel
input
profil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
Original Assignee
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 filed Critical 박철
Priority to KR1020120115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8755A/ko
Publication of KR20140048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7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에 의한 기능 실행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이 개시된다.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은,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에 의한 기능 실행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프로파일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프로파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프로파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에 의한 기능 실행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SETTING METHOD OF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에 의한 기능 실행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휴대단말기는 누구나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고 어느 곳에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개인휴대단말기는 무선의 음성 통신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점차 그 기능 영역이 다양화됨에 따라 기본적인 음성 통신 기능과 함께 게임, MP3 등과 같은 각종 부가적인 기능을 갖도록 개발되고 있다.
아울러, 최근 개인휴대단말기에는 공간활용성이 높고 사용이 편리함 이점으로 인해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와 같은 터치패널의 장착이 보편화되고 있다. 즉, 터치패널은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와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터치패널은 크게 정전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방식, 표면 초음파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을 통해 단말기의 각종 응용프로그램에 연관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터치패널에 표시되는 아이콘이나 메뉴바의 터치 조작을 통해 각종 응용프로그램에 연관된 각종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가 각종 응용프로그램에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기능 실행에 사용되는 아이콘이나 메뉴바의 사용 방법을 숙지해야 하고, 경우에 따라서 여러번의 반복된 터치 조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응용프로그램의 각종 기능을 실행시키기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간단한 터치 조작에 의해 응용프로그램에 연관된 각종 기능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 터치패널의 셋팅방법에 대한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각종 기능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으며,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에 의한 기능 실행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의 가치와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은,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에 의한 기능 실행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프로파일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프로파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프로파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에 의한 기능 실행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개인휴대단말기는 전화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회의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블로깅 어플리케이션, 사진(이미지) 관리 어플리케이션, 텍스트 뷰어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디지털 비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라 함은, 터치패널을 터치 조작함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파일로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에 의한 기능 실행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에 의한 기능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설정 변경 및 설정 변경을 위한 스위치 또는 버튼의 활성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에 의한 기능으로서는 전술한 기능 외에도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여타 다른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에 의해 터치패널을 터치 조작함에 따라 실행되는 모든 기능이 변경될 수도 있으나, 다르게는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에 의해 여러 기능 중 특정 기능만이 변경되거나 추가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개인 개발자들에 의해 개발되어 네트워크서버에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개인별 취향에 따라 네트워크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통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운받아 프로파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네트워크서버라 함은 단말기와 유무선으로 접속되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서버로 이해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서버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개인 개발자들에 의해 개발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앱스토어와 같은 온라인 마켓을 통해 공개될 수 있으며, 일반인들은 온라인 마켓에서 공개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선택하여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무료로 반포되거나 유료로 판매되는 것 모두 가능하며, 제조사가 직접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개발하여 판매 또는 반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는 사용자가 직접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개발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네트워크서버에는 복수개의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가 기능별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제공될 수 있다. 가령, 네트워크서버의 제공되는 복수개의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줌(확대/축소) 관련 기능 카테고리, 소리 관련 카테고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기능 관련 카테고리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별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각 카테고리 별로 동종에 카테고리에 속하는 다양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 중 특정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선택하여 다운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스타트 기호 및 스타트 기호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명령 기호를 정의한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널에서 스타트 기호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널에서 명령 기호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 기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시작 영역과 함께 정의되는 스타트 드로잉 및 스타트 드로잉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명령 드로잉을 정의한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미리 정의된 시작 영역에서 시작되는 스타트 드로잉을 감지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널에서 명령 드로잉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 드로잉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스타트 신호 및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명령 드로잉을 정의한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스타트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터치패널에서 명령 드로잉을 감지하는 단계, 및 명령 드로잉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스타트 신호 및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터치 궤적을 정의한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스타트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터치패널에서 터치 궤적을 감지하는 단계, 및 터치 궤적의 변위에 따라 기능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설정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터치패널과 연관된 디스플레이의 경계를 따라 정의된 가상 기준선을 정의하는 단계, 가상 기준선을 2회 이상 교차하는 요소를 갖는 시작 드로잉 및 시작 드로잉에 귀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행 기능을 저장하는 입력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터치패널을 통해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 드로잉과 저장된 시작 드로잉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입력 드로잉의 일치 여부에 따라 시작 드로잉에 정의된 실행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르게는,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복수개의 프로파일 데이터 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프로파일 데이터 그룹은, 스타트 기호 및 스타트 기호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명령 기호를 정의한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터치패널에서 스타트 기호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터치패널에서 명령 기호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명령 기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프로파일 데이터 그룹; 시작 영역과 함께 정의되는 스타트 드로잉 및 스타트 드로잉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명령 드로잉을 정의한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미리 정의된 시작 영역에서 시작되는 스타트 드로잉을 감지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터치패널에서 명령 드로잉을 감지하는 단계, 및 명령 드로잉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2프로파일 데이터 그룹; 스타트 신호 및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명령 드로잉을 정의한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스타트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터치패널에서 명령 드로잉을 감지하는 단계, 및 명령 드로잉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3프로파일 데이터 그룹; 스타트 신호 및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기능을 정의한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스타트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터치패널에서 터치 궤적을 감지하는 단계, 및 터치 궤적의 변위에 따라 기능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설정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4프로파일 데이터 그룹; 및 터치패널과 연관된 디스플레이의 경계를 따라 정의된 가상 기준선을 정의하는 단계, 가상 기준선을 2회 이상 교차하는 요소를 갖는 시작 드로잉 및 시작 드로잉에 귀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행 기능을 저장하는 입력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터치패널을 통해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 드로잉과 저장된 시작 드로잉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입력 드로잉의 일치 여부에 따라 시작 드로잉에 정의된 실행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5프로파일 데이터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의 셋팅방법에 의하면, 미리 정의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에 의한 기능 실행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기 일일이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에 의한 기능 실행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개발 및 제작할 필요없이, 미리 제작된 많은 종류의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간단하게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에 의한 기능 실행 설정을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기능을 좀 더 편리하게 최적화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에 정의된 터치조작이 입력됨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각종 기능이 실행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각종 기능을 보다 손쉽고 빠르게 실행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타트 기호(또는 스타트 드로잉,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만 명령 기호(또는 명령 드로잉)을 감지하면 되기 때문에 시스템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가령, 별도의 스타트 기호의 입력없이, 특정 명령 기호가 입력되면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는 많은 종류의 드로잉 또는 여타 다른 터치 조작이 미리 설정된 명령 기호에 해당되는지를 일일이 판별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에 부하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타트 기호가 감지되기 전에는 많은 종류의 드로잉 또는 여타 다른 터치 조작이 많은 종류의 명령 기호에 해당하는지를 일일이 판별할 필요없이, 단순히 스타트 기호의 입력만 감지하면 되기 때문에 시스템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손으로 간단히 터치패널을 터치 조작하여 각종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 복잡한 여러 단계의 조작을 거처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별도의 메뉴 아이콘을 활성화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터치패널에서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기능을 빠르고 간단하게 실행시킬 수 있으며, 각종 기능 실행에 필요한 입력조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에 정의된 터치조작에 의해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기능 실행을 위한 입력조작시 단순히 입력작업을 수행하는 수준을 넘어 재미와 흥미를 느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품의 가치와 선호도를 향상시키고 제품의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으로서, 네트워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으로서, 스타트 기호 및 명령 기호를 이용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으로서, 시작 영역과 함께 정의되는 스타트 드로잉 및 명령드로잉을 이용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으로서, 스타트 신호 및 명령 드로잉을 이용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으로서, 터치궤적의 변위를 이용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으로서, 가상 기준선을 2회 이상 통과하는 시작 드로잉을 이용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으로서, 네트워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으로서, 스타트 기호 및 명령 기호를 이용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으로서, 시작 영역과 함께 정의되는 스타트 드로잉 및 명령드로잉을 이용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으로서, 스타트 신호 및 명령 드로잉을 이용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으로서, 터치궤적의 변위를 이용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0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으로서, 가상 기준선을 2회 이상 통과하는 시작 드로잉을 이용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은,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에 의한 기능 실행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프로파일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프로파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파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에 의한 기능 실행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선택하여 단말기에 적용함으로써,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에 의한 기능 실행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라 함은, 터치패널을 터치 조작함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파일로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에 의한 기능 실행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에 의한 기능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설정 변경 및 설정 변경을 위한 스위치 또는 버튼의 활성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에 의한 기능으로서는 전술한 기능 외에도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여타 다른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치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개인 개발자(또는 사용자)들에 의해 개발되어 네트워크서버에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개인별 취향에 따라 네트워크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통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운받아 프로파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네트워크서버라 함은 단말기와 유무선으로 접속되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서버로 이해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서버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개인 개발자들에 의해 개발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앱스토어와 같은 온라인 마켓을 통해 공개될 수 있으며, 일반인들은 온라인 마켓에서 공개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선택하여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무료로 반포되거나 유료로 판매되는 것 모두 가능하며, 제조사가 직접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개발하여 판매 또는 반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는 사용자가 직접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개발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네트워크서버에는 복수개의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가 기능별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제공될 수 있다. 가령, 네트워크서버의 제공되는 복수개의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줌(확대/축소) 관련 기능 카테고리, 소리 관련 카테고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기능 관련 카테고리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별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각 카테고리 별로 동종에 카테고리에 속하는 다양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 중 특정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선택하여 다운받을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터치패널(100)이라 함은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와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통상의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패널(100)의 종류 및 구동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개인휴대단말기는 전화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회의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블로깅 어플리케이션, 사진(이미지) 관리 어플리케이션, 텍스트 뷰어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디지털 비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로 ,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스타트 기호 및 스타트 기호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명령 기호를 정의한 사용자별 데이 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널에서 스타트 기호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널에서 명령 기호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 기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스타트 기호(10) 및 스타트 기호(10)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명령 기호(20)를 정의한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스타트 기호(10)라 함은,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 또는 대기화면 모드 상태에서, 화면을 명령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명령 기호(20)라 함은, 명령 대기 모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신호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스타트 기호(10) 및 명령 기호(2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타트 기호(10)는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명령 기호(20)는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이라 함은, 터치 패널의 터치 조작 움직임 또는 드로잉에 대응하여 선으로 형상화되는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타트 기호(10)에는 복수개의 명령 기호(20)가 귀속될 수 있는 바 , 스타트 기호(10)마다 각각 동일한 복수개의 명령 기호(20)가 귀속될 수 있다. 가령, 스타트 기호 "A"에는 명령기호 "B,C,D,E"가 귀속될 수 있고, 스타트 기호 "B"에는 명령기호 "B,C,D,E"가 귀속될 수 있다. 아울러, 스타트 기호 "A"에 귀속된 명령기호 "B"와, 스타트 기호 "B"에 귀속된 명령기호 "B"는 각각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신된 스타트 기호(10)를 판별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으며, 판별된 스타트 기호(10)에 따라 명령 기호(20)의 입력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가령, 동일한 명령기호 "B"가 입력되더라도 먼저 판별된 스타트 기호(10)의 종류에 따라 명령기호 "B"에 대응하는 기능이 변경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타트 기호마다 각각 동일한 복수개의 명령 기호가 귀속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스타트 기호마다 각각 다른 복수개의 명령 기호가 귀속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령, 스타트 기호 "A"에는 명령기호 "B,C,D,E"가 귀속될 수 있고, 스타트 기호 "B"에는 명령기호 "F,G,H,I"가 귀속될 수 있다.
다음, 상기와 스타트 기호(10) 및 명령 기호(20)를 정의하는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터치패널(100)에서 상기 스타트 기호(10)의 입력을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타트 기호(10)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 또는 대기화면 모드 상태에서, 화면을 명령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입력될 수 있다. 스타트 기호(10)의 입력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예를 들어, 스타일러스펜 )가 터치패널 (100)에 접촉 또는 근접될 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예로, 상기 스타트 기호(10)는 대략 가운데가 잘록한 모래시계(또는 절구)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조작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스타트 기호(10) 형상을 따라 이루어질 경우에는 스타트 기호(10)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르게는, 스타트 기호가 알파벳, 삼각형 또는 계단 형상 등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스타트 기호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 스타트 기호(10)의 입력에 대응하여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시킨다. 여기서, 명령 대기 모드라 함은 후술할 명령 기호(20)가 입력 또는 인식될 수 있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즉, 화면이 명령 대기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명령 기호(20)가 입력될 경우에만 명령 기호(20)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 명령 대기 모드가 아닌 상태에서는 명령 기호(20)가 입력되더라도 명령 기호(20)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명령 대기 모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명령 대기 모드는 스타트 기호(10)의 입력이 이루어진 후 터치 조작이 유지되는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가 터 치패널(100)에 접촉된 상태로 스타트 기호(10)를 입력한 후, 터치패널(10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명령 대기 모드가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상기 명령 대기 모드는 스타트 기호의 입력이 이루어진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가 터치패널에 접촉된 상태로 스타트 기호를 입력한 후, 터치패널로부터 분리되더라도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예를 들어, 2초) 동안 명령 대기 모드가 유지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터치패널(100)에서 명령 기호(20)의 입력을 수신한다. 명령 기호(20)의 입력은 스타트 기호(10)의 입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예를 들어, 스타일러스펜 )가 터치패널(100)에 접촉 또는 근접될 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일 예로, 상기 명령 기호(20)는 알파벳 W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조작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명령 기호(20) 형상을 따라 이루어질 경우에는 명령 기호(20)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명령 기호가 다른 알파벳, 숫자, 기호 또는 도형 형상 등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명령 기호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후, 상기 명령 기호(20)가 입력됨에 따라 명령 기호(20)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명령 기호(20)에 대응하는 기능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설정 변경을 위한 스위치 또는 버튼의 활성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일 예로, 모래시계(또는 절구) 형상의 스타트 기호(10)가 입력된 후, 상기 W 형상의 명령 기호(20)가 입력되면, 와이파이( Wi - Fi ) 기능을 온/오프( ON/OFF)할 수 있는 토글 스위치( toggle switch )(30)가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명령 기호의 입력에 대응하여 각종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슬라이드 스위치( slide switch )가 활성화되거나, 여타 다른 버튼 또는 키가 활성화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는 삼각형 형상의 스타트 기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W 형상의 명령 기호가 입력되면,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명령 기호에 대응하여 여타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 다.
아울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한 경우, 설정에서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스타트 기호와 명령기호를 선택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스타트 기호와 명령 기호를 미리 설정된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에서 선택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직접 특정 기호를 그려서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명령 기호(20)에 대응하는 기능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활성화된 응용프로그램에 대응하여 관련된 기능으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응용프로그램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가령, 사진(이미지) 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명령 기호에 대응하는 기능은 사진의 회전, 확대, 축소 및 편집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디지털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명령 기호에 대응하는 기능은 음악의 재생, 멈춤 및 스킵 ( skip )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전화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명령 기호에 대응하는 기능은 통화 음량의 조절, 전화번호부, 통화중녹음 , 메모작성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명령 기호에 대응하는 기능은 촬영설정, 환경설정, 플래시, 줌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이외에도, 명령 기호에 대응하는 기능은 저장, 삭제, 되살리기(이전 단계 이동), 다시 실행(다음 단계 이동), 보내기, 잘라내기, 관리, 검색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으 며, 특정 어플리케이션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기능일 수 있다.
한편,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타트 기호가 입력된 후, 단 한번의 명령 기호의 입력에 의해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 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스타트 기호가 입력된 후 명령 기호를 2번 이상 입력함으로써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도 4를 참조하면, 스타트 기호(10)가 입력된 후, P 형상의 명령 기호(20)가 입력되면, 전화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바 , P 형상의 명령 기호(20)가 입력된 이후 연속적으로 숫자 3 형상의 추가 명령 기호(20')가 입력되면 단축키 3번에 해당되는 전화가 걸려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추가 명령 기호(20')는 전술한 스타트 기호 및 명령 기호와 같이,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추가 명령 기호(20')는 설정에서 미리 지정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직접 특정 기호를 그려서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일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스타트 기호(10)가 입력된 후, P 형상의 명령 기호(20)가 입력되면, 전화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바 , P 형상의 명령 기호(20)가 입력된 상태에서, 숫자 0 형상의 중간 기호(12)가 입력된 후, 연속적으로 숫자 3 형상의 추가 명령 기호(20')가 입력되면 단축키 3번에 해당되는 전화가 걸려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중간 기호(12)는 명령 기호(20) 및 추가 명령 기호(20')를 보다 정확하 게 구분하기 위해, 상기 명령 기호(20)가 입력된 후 추가 명령 기호(20')가 입력되기 전에 입력될 수 있으며,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중간기호(12)는 설정에서 미리 지정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직접 특정 기호를 그려서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시작 영역과 함께 정의되는 스타트 드로잉 및 스타트 드로잉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명령 드로잉을 정의한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미리 정의된 시작 영역에서 시작되는 스타트 드로잉을 감지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널에서 명령 드로잉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 드로잉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시작 영역과 함께 정의되는 스타트 드로잉(10), 및 스타트 드로잉(10)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명령 드로잉(20)을 정의한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스타트 드로잉(10)이라 함은,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 또는 대기화면 모드 상태에서, 화면을 명령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일종의 전환 신호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명령 드로잉(20)라 함은, 명령 대기 모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신호로 이해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타트 드로잉(10)은 미리 정의된 시작 영역에서 시작되는 경우에만 정상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즉, 미리 정의된 시작 영역에서 스타트 드로잉(10)이 시작될 경우에만 스타트 드로잉(10)의 입력이 정상적으로 감지될 수 있고, 미리 정의되지 않은 영역에서 스타트 드로잉이 시작될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스타트 드로잉 조작이 이루어지더라도 스타트 드로잉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다.
상기 시작 영역의 위치 조건은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시작 영역은 터치패널(100) 영역 내부의 특정 위치에서 특정 경계 내측에 정의된 영역(또는, 터치패널에서 특정 좌표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 내에서 정해진 좌표의 그룹 내측에 정의된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시작 영역은 터치패널(100) 상에 단 하나만 정의될 수 있으나, 다르게는 복수개의 시작 영역이 정의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시작 영역은 터치패널(100)의 경계에 인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패널(100)의 경계라 함은, 터치패널(100)의 외곽 경계를 이루는 터치패널(100)의 모서리 및 변(side)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시작 영역이 터치패널 영역 내부의 중앙부 영역에 정의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터치패널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십자가 또는 여타 다른 형태로 시작 영역을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스타트 드로잉(10) 및 명령 드로잉(20)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타트 드로잉(10)은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명령 드로잉(20)은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이라 함은, 터치 패널의 터치 조작 움직임 또는 드로잉에 대응하여 선으로 형상화되는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타트 드로잉(10)에는 복수개의 명령 드로잉(20)이 귀속될 수 있는 바, 스타트 드로잉(10)마다 각각 동일한 복수개의 명령 드로잉(20)이 귀속될 수 있다. 가령, 스타트 드로잉 "A"에는 명령기호 "B,C,D,E"가 귀속될 수 있고, 스타트 드로잉 "B"에는 명령기호 "B,C,D,E"가 귀속될 수 있다. 아울러, 스타트 드로잉 "A"에 귀속된 명령기호 "B"와, 스타트 드로잉 "B"에 귀속된 명령기호 "B"는 각각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신된 스타트 드로잉(10)을 판별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으며, 판별된 스타트 드로잉(10)에 따라 명령 드로잉(20)의 입력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가령, 동일한 명령기호 "B"가 입력되더라도 먼저 판별된 스타트 드로잉(10)의 종류에 따라 명령기호 "B"에 대응하는 기능이 변경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타트 드로잉마다 각각 동일한 복수개의 명령 드로잉이 귀속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스타트 드로잉마다 각각 다른 복수개의 명령 드로잉이 귀속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령, 스타트 드로잉 "A"에는 명령기호 "B,C,D,E"가 귀속될 수 있고, 스타트 드로잉 "B"에는 명령기호 "F,G,H,I"가 귀속될 수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이 스타트 드로잉(10) 및 명령 드로잉(20)을 정의하는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터치패널(100)에서 상기 스타트 드로잉(10)의 입력을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타트 드로잉(10)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 또는 대기화면 모드 상태에서, 화면을 명령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입력될 수 있다. 스타트 드로잉(10)의 입력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예를 들어, 스타일러스펜)가 터치패널(100)에 접촉 또는 근접될 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예로, 상기 스타트 드로잉(10)은 대략 직선 형태로 정의될 수 있으며, 시작 영역은 터치패널(100)의 좌측 하단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조작 움직임이 터치패널(100)의 좌측 하단 모서리에 인접한 시작 영역에서 시작되어 미리 설정된 스타트 드로잉 형상을 따라 그려질 경우에는 스타트 드로잉(10)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르게는, 스타트 드로잉이 곡선, 알파벳, 삼각형 또는 "L" 형상 등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스타트 드로잉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시작 영역은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 환경에 따라 터치 패널의 상부변, 우측변, 다른 모서리 등에 인접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다음, 스타트 드로잉(10)의 입력에 대응하여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시킨다. 여기서, 명령 대기 모드라 함은 후술할 명령 드로잉(20)이 입력 또는 인식될 수 있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즉, 화면이 명령 대기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명령 드로잉(20)이 입력될 경우에만 명령 드로잉(20)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 명령 대기 모드가 아닌 상태에서는 명령 드로잉(20)이 입력되더라도 명령 드로잉(20)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명령 대기 모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명령 대기 모드는 스타트 드로잉(10)의 입력이 이루어진 후 터치 조작이 유지되는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가 터치패널(100)에 접촉된 상태로 스타트 드로잉(10)을 입력한 후, 터치패널(10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명령 대기 모드가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명령 대기 모드는 스타트 드로잉의 입력이 이루어진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가 터치패널에 접촉된 상태로 스타트 드로잉을 입력한 후, 터치패널로부터 분리되더라도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예를 들어, 2초) 동안 명령 대기 모드가 유지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터치패널(100)에서 명령 드로잉(20)의 입력을 수신한다. 명령 드로잉(20)의 입력은 스타트 드로잉(10)의 입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예를 들어, 스타일러스펜)가 터치패널(100)에 접촉 또는 근접될 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일 예로, 상기 명령 드로잉(20)은 알파벳 W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조작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명령 드로잉(20) 형상을 따라 이루어질 경우에는 명령 드로잉(20)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르게는, 명령 드로잉이 다른 알파벳, 숫자, 기호 또는 도형 형상 등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명령 드로잉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후, 상기 명령 드로잉(20)이 입력됨에 따라 명령 드로잉(20)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명령 드로잉(20)에 대응하는 기능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설정 변경을 위한 스위치 또는 버튼의 활성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일 예로, 터치패널(100)의 좌측 모서리에 인접한 시작 영역에서부터 시작되는 직선 형태의 스타트 드로잉(10)이 입력된 후, 상기 W 형상의 명령 드로잉(20)이 입력되면, 와이파이(Wi-Fi) 기능을 온/오프(ON/OFF)할 수 있는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30)가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명령 드로잉의 입력에 대응하여 각종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슬라이드 스위치(slide switch)가 활성화되거나, 여타 다른 버튼 또는 키가 활성화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는 터치패널의 우측 상단 모서리에 인접한 시작 영역에서부터 시작하는 직선 형태의 스타트 드로잉이 입력된 상태에서, W 형상의 명령 드로잉이 입력되면,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명령 드로잉에 대응하여 여타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한 경우, 설정에서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스타트 드로잉와 명령기호를 선택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스타트 드로잉와 명령 드로잉을 미리 설정된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에서 선택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직접 특정 기호를 그려서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명령 드로잉(20)에 대응하는 기능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활성화된 응용프로그램에 대응하여 관련된 기능으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응용프로그램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가령, 사진(이미지) 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명령 드로잉에 대응하는 기능은 사진의 회전, 확대, 축소 및 편집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디지털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명령 드로잉에 대응하는 기능은 음악의 재생, 멈춤 및 스킵(skip)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전화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명령 드로잉에 대응하는 기능은 통화 음량의 조절, 전화번호부, 통화중녹음, 메모작성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명령 드로잉에 대응하는 기능은 촬영설정, 환경설정, 플래시, 줌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이외에도, 명령 드로잉(20)에 대응하는 기능은 저장, 삭제, 되살리기(이전 단계 이동), 다시 실행(다음 단계 이동), 보내기, 잘라내기, 관리, 검색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으며, 특정 어플리케이션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기능일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타트 드로잉이 입력된 후, 단 한번의 명령 드로잉의 입력에 의해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스타트 드로잉이 입력된 후 명령 드로잉을 2번 이상 입력함으로써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도 7을 참조하면, 직선 형태의 스타트 드로잉(10)이 입력된 후, P 형상의 명령 드로잉(20)이 입력되면, 전화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바, P 형상의 명령 드로잉(20)이 입력된 이후 연속적으로 숫자 3 형상의 추가 명령 드로잉(20')이 입력되면 단축키 3번에 해당되는 전화가 걸려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추가 명령 드로잉(20')은 전술한 스타트 드로잉 및 명령 드로잉와 같이,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추가 명령 드로잉(20')은 설정에서 미리 정의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직접 특정 기호를 그려서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일 예로, 도 8을 참조하면, 스타트 드로잉(10)이 입력된 후, P 형상의 명령 드로잉(20)이 입력되면, 전화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바, P 형상의 명령 드로잉(20)이 입력된 상태에서, 숫자 0 형상의 중간 기호(12)가 입력된 후, 연속적으로 숫자 3 형상의 추가 명령 드로잉(20')이 입력되면 단축키 3번에 해당되는 전화가 걸려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중간 기호(12)는 명령 드로잉(20) 및 추가 명령 드로잉(20')을 보다 정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상기 명령 드로잉(20)이 입력된 후 추가 명령 드로잉(20')이 입력되기 전에 입력될 수 있으며,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중간기호(12)는 설정에서 미리 정의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직접 특정 기호를 그려서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타트 드로잉이 미리 정의된 시작 영역(터치패널의 내측 영역)에서 시작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터치패널의 외측 영역(또는 터치패널의 화면 외부 영역)에서 시작되어 터치패널의 내측 영역(또는 터치패널의 화면 내부 영역)으로 진입되는 스타트 드로잉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타트 드로잉(10")을 입력하기 위한 최초 시작이 터치패널(100)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외측 영역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터치패널(100)의 화면 외측 영역에서부터 시작된 스타트 드로잉(10")이 터치패널(100)의 화면 내측 영역으로 진입되어 미리 정의된 형상으로 그려질 경우에도 스타트 드로잉(10")이 입력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터치패널(100)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외측 영역에는 스타트 드로잉(10")의 최초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40)(또는 버튼)이 제공될 수 있으며, 센서(40)가 배치되는 부위가 스타트 드로잉(10")이 최초 시작되는 시작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센서(40)로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센서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터치패널(100)의 터치 기능 영역은 통상적으로 화면 외부영역에도 터치센서 라인이 확장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기능 영역이라 함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스타트 신호 및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명령 드로잉을 정의한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스타트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터치패널에서 명령 드로잉을 감지하는 단계, 및 명령 드로잉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스타트 신호, 및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명령 드로잉(20)을 정의한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스타트 신호라 함은,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 또는 대기화면 모드 상태에서, 화면을 명령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일종의 전환 신호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명령 드로잉(20)라 함은, 명령 대기 모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신호로 이해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타트 신호는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으며, 스타트 신호의 입력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타트 신호가 터치패널 (100) 영역 내부 또는 외부에 제공되는 버튼 또는 키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터치패널 (100) 영역 내부에 제공되는 버튼 또는 키라 함은, 터치패널 (100) 영역 내부에 형성되어 터치 조작 가능한 버튼 또는 키로 이해될 수 있고, 터치패널 (100) 영역 외부에 제공되는 버튼 또는 키라 함은, 터치패널 (100) 영역 외부에 누름, 슬라이드 또는 회전 조작 가능하게 제공되어 사용자의 물리적인 조작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버튼 또는 키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0을 참조하면, 터치패널 (100) 영역 외부에 해당되는 단말기의 측면에는 누름 조작 가능하게 조작 버튼(102)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 버튼( 102)의 누름 조작에 의한 입력 신호가 감지될 시,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타트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버튼(102)이 단말기의 측면에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조작 버튼이 단말기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되거나, 측면 다른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스타트 신호를 입력 가능한 복수개의 조작 버튼이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조작 버튼에는 각각 복수개의 명령 드로잉(20)이 귀속될 수 있다. 가령, "A" 조작 버튼에 의한 스타트 신호 "A"에는 명령 드로잉 "B,C,D,E"가 귀속될 수 있고, "B" 조작 버튼에 의한 스타트 신호 "B"에는 명령 드로잉 "B,C,D,E"가 귀속될 수 있다. 아울러, 스타트 신호 "A"에 귀속된 명령 드로잉 "B"와, 스타트 신호 "B"에 귀속된 명령 드로잉 "B"는 각각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된 스타트 신호를 판별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으며, 판별된 스타트 신호에 따라 명령 드로잉의 입력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가령, 동일한 명령 드로잉 "B"가 입력되더라도 먼저 판별된 스타트 신호의 종류에 따라 명령 드로잉 "B"에 대응하는 기능이 변경될 수 있다. 다르게는, 스타트 신호마다 각각 다른 복수개의 명령 드로잉이 귀속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령, 스타트 신호 "A"에는 명령 드로잉 "B,C,D,E"가 귀속될 수 있고, 스타트 신호 "B"에는 명령 드로잉 "F,G,H,I"가 귀속될 수 있다.
상기 명령 드로잉(20)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명령 드로잉(20)은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이라 함은, 터치 패널의 터치 조작 움직임 또는 드로잉에 대응하여 선으로 형상화되는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 상기와 같이 스타트 신호 및 명령 드로잉(20)을 정의하는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터치패널(100)에서 상기 스타트 신호의 입력을 감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타트 신호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 또는 대기화면 모드 상태에서, 화면을 명령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입력될 수 있다. 스타트 신호의 입력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예를 들어, 스타일러스펜 )가 미리 설정된 조작 버튼(도 10의 102) 또는 키를 물리적으로 조작하거나 터치 조작함에 따라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다음, 스타트 신호의 입력에 대응하여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시킨다. 여기서, 명령 대기 모드라 함은 후술할 명령 드로잉(20)이 입력 또는 인식될 수 있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즉, 화면이 명령 대기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명령 드로잉(20)이 입력될 경우에만 명령 드로잉(20)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 명령 대기 모드가 아닌 상태에서는 명령 드로잉(20)이 입력되더라도 명령 드로잉(20)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명령 대기 모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명령 대기 모드는 스타트 신호의 입력이 이루어진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로 미리 설정된 버튼을 누름 또는 터치 조작하여 스타트 신호를 입력한 후, 버튼 조작이 완료되더라도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예를 들어, 2초) 동안 명령 대기 모드가 유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명령 대기 모드는 스타트 신호의 입력이 이루어진 후 입력 조작(예를 들어, 조작 버튼의 누름 조작)이 유지되는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로 미리 설정된 버튼을 조작하여 스타트 신호를 입력한 후, 버튼으로부터 신체 또는 입력도구가 분리되지 않고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명령 대기 모드가 유지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터치패널(100)에서 명령 드로잉(20)의 입력을 수신한다. 명령 드로잉(20)의 입력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예를 들어, 스타일러스펜 )가 터치패널(100)에 접촉 또는 근접될 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일 예로,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명령 드로잉(20)은 알파벳 W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조작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명령 드로잉(20) 형상을 따라 이루어질 경우에는 명령 드로잉(20)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르게는, 명령 드로잉이 다른 알파벳, 숫자, 기호 또는 도형 형상 등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명령 드로잉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후, 상기 명령 드로잉(20)이 입력됨에 따라 명령 드로잉(20)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명령 드로잉(20)에 대응하는 기능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설정 변경을 위한 스위치 또는 버튼의 활성화( activating )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예로, 단말기의 좌측면에 제공된 조작 버튼(102)을 통해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후, 상기 W 형상의 명령 드로잉(20)이 입력되면, 와이파 이( Wi - Fi ) 기능을 온/ 오프(ON/OFF)할 수 있는 토글 스위치( toggle switch )(30)가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명령 드로잉의 입력에 대응하여 각종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슬라이드 스위치( slide switch )가 활성화되거나, 여타 다른 버튼 또는 키가 활성화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스타트 기호가 입력되면 터치패널에는 명령 드로잉을 입력하기 위한 명령 드로잉 입력창( 미도시 )이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명령 드로잉 입력창을 통해 명령 드로잉이 입력될 경우, 명령 드로잉에 대응하는 기 능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명령 드로잉 입력창의 위치 및 형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명령 드로잉의 입력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한 경우, 설정에서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명령 드로잉을 선택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명령 드로잉을 미리 설정된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에서 선택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직접 특정 기호를 그려서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명령 드로잉(20)에 대응하는 기능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활성화된 응용프로그램에 대응하여 관련된 기능으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응용프로그램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가령, 사진(이미지) 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명령 드로잉에 대응하는 기능은 사진의 회전, 확대, 축소 및 편집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디지털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명령 드로잉에 대응하는 기능은 음악의 재생, 멈춤 및 스킵 ( skip )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전화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명령 드로잉에 대응하는 기능은 통화 음량의 조절, 전화번호부, 통화중녹음 , 메모작성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명령 드로잉에 대응하는 기능은 촬영설정, 환경설정, 플래시, 줌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이외에도, 명령 드로잉에 대응하는 기능은 저장, 삭제, 되살리기(이전 단계 이동), 다시 실행(다음 단계 이동), 보내기, 잘라내기, 관리, 검색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으며, 특정 어플리케이션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 모드 로 전환하기 위한 기능일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계적으로 누름 조작 가능하게 터치패널 외부에 제공되는 조작 버튼에 의해 스타트 신호가 입력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터치패널 내부에 제공되는 버튼을 이용하여 스타트 신호가 입력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터치패널 (100) 영역의 상단부를 아래로 드래그하는 터치 조작에 대응하여 터치패널(100)의 상단부에는 패널 화면(101)이 활성화될 수 있고, 패널 화면(101)에 제공되는 기능아이콘(102')을 조작하여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후, P 형상의 명령 드로잉(20)이 입력되면, 전화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바 , P 형상의 명령 드로잉(20)이 입력된 상태에서, 숫자 0 형상의 중간 기호(12)가 입력된 후, 연속적으로 숫자 3 형상의 추가 명령 드로잉(20')이 입력되면 단축키 3번에 해당되는 전화가 걸려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르게는 별도의 중간 기호 없이 명령 드로잉이 입력된 후 추가 명령 드로잉이 입력되는 방식도 가능하다.
상기 중간 기호(12)는 명령 드로잉(20) 및 추가 명령 드로잉(20')을 보다 정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상기 명령 드로잉(20)이 입력된 후 추가 명령 드로잉(20')이 입력되기 전에 입력될 수 있으며,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중간기호(12)는 설정에서 미리 정의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직접 특정 기호를 그려서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2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스타트 신호 및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터치 궤적을 정의한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스타트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터치패널에서 터치 궤적을 감지하는 단계, 및 터치 궤적의 변위에 따라 기능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설정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스타트 신호, 및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터치 궤적(20)을 정의한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스타트 신호라 함은,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 또는 대기화면 모드 상태에서, 화면을 명령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일종의 전환 신호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스타트 신호는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으며, 스타트 신호의 입력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미리 정의된 시작 영역에서 스타트 드로잉(10)이 시작되는 경우 스타트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스타트 드로잉(10)은 미리 정의된 시작 영역에서 시작되는 경우에만 정상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즉, 미리 정의된 시작 영역에서 스타트 드로잉(10)이 시작될 경우에만 스타트 드로잉(10)의 입력이 정상적으로 감지될 수 있고, 미리 정의되지 않은 영역에서 스타트 드로잉(10)이 시작될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스타트 드로잉(10) 조작이 이루어지더라도 스타트 드로잉(10)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다.
상기 시작 영역의 위치 조건은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시작 영역은 터치패널(100) 영역 내부, 외부 및 경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정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시작 영역이 터치패널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역 내부, 외부 및 경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시작 영역은 터치패널(100) 영역 내부의 특정 위치에서 특정 경계 내측에 정의된 영역(또는, 터치패널(100)에서 특정 좌표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 내에서 정해진 좌표의 그룹 내측에 정의된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시작 영역은 터치패널(100) 상에 단 하나만 정의될 수 있으나, 다르게는 복수개의 시작 영역이 정의될 수도 있다.
상기 시작 영역은 터치패널(100)의 경계에 인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패널(100)의 경계라 함은, 터치패널(100)의 외곽 경계를 이루는 터치패널(100)의 모서리 및 변(side)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시작 영역이 터치패널 영역 내부의 중앙부 영역에 정의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터치패널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십자가 또는 여타 다른 형태로 시작 영역을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스타트 드로잉(10)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타트 드로잉(10)은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이라 함은, 터치 패널의 터치 조작 움직임 또는 드로잉에 대응하여 선으로 형상화되는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타트 드로잉(10)에는 복수개의 터치 궤적(20)이 귀속될 수 있는 바, 스타트 드로잉(10)마다 각각 동일한 복수개의 터치 궤적(20)이 귀속될 수 있다. 가령, 스타트 드로잉(10) "A"에는 터치 궤적 "B,C,D,E"가 귀속될 수 있고, 스타트 드로잉(10) "B"에는 터치 궤적 "B,C,D,E"가 귀속될 수 있다. 아울러, 스타트 드로잉(10) "A"에 귀속된 터치 궤적 "B"와, 스타트 드로잉(10) "B"에 귀속된 터치 궤적 "B"는 각각 서로 다른 기능의 설정을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신된 스타트 드로잉(10)을 판별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으며, 판별된 스타트 드로잉(10)에 따라 터치 궤적(20)의 입력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기능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가령, 동일한 터치 궤적 "B"가 입력되더라도 먼저 판별된 스타트 드로잉(10)의 종류에 따라 터치 궤적 "B"에 대응하는 기능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타트 드로잉마다 각각 동일한 복수개의 터치 궤적이 귀속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스타트 드로잉마다 각각 다른 복수개의 터치 궤적이 귀속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령, 스타트 드로잉 "A"에는 터치 궤적 "B,C,D,E"가 귀속될 수 있고, 스타트 드로잉 "B"에는 터치 궤적 "F,G,H,I"가 귀속될 수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이 스타트 신호 및 터치 궤적(20)을 정의하는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가 유지되는 동안, 미리 설정된 시작 영역에서 시작되는 스타트 드로잉(10)의 입력을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타트 드로잉(10)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 또는 대기화면 모드 상태에서, 화면을 명령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입력될 수 있다. 스타트 드로잉(10)의 입력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예를 들어, 스타일러스펜)가 터치패널(100)에 접촉 또는 근접될 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예로, 상기 스타트 드로잉(10)은 대략 직선 형태로 정의될 수 있으며, 시작 영역은 터치패널(100)의 우측 하단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조작 움직임이 터치패널(100)의 우측 하단 모서리에 인접한 시작 영역에서 시작되어 미리 설정된 스타트 드로잉(10) 형상을 따라 그려질 경우에는 스타트 드로잉(10)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르게는, 스타트 드로잉이 곡선, 알파벳, 삼각형 또는 "L" 형상 등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스타트 드로잉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시작 영역은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 환경에 따라 터치 패널의 상/하부변, 좌/우측변, 다른 모서리 등에 인접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다음, 스타트 신호의 입력에 대응하여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시킨다. 여기서, 명령 대기 모드라 함은 터치 궤적(20)이 입력 또는 감지될 수 있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즉, 화면이 명령 대기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터치 궤적(20)이 감지될 경우에만 터치 궤적(20)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의 설정이 조절될 수 있고, 명령 대기 모드가 아닌 상태에서는 터치 궤적이 감지되더라도 특정 기능의 설정이 변경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명령 대기 모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명령 대기 모드는 스타트 드로잉의 입력이 이루어진 후 터치 조작이 유지되는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가 터치패널에 접촉된 상태로 스타트 드로잉을 입력한 후, 터치패널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명령 대기 모드가 유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명령 대기 모드는 스타트 드로잉의 입력이 이루어진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가 터치패널에 접촉된 상태로 스타트 드로잉을 입력한 후, 터치패널로부터 분리되더라도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예를 들어, 2초) 동안 명령 대기 모드가 유지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터치패널(100)에서 터치 궤적(20)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 궤적(20)의 입력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예를 들어, 스타일러스펜)가 터치패널(100)에 접촉 또는 근접될 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면, 일 예로, 상기 터치 궤적(20)은 대략 직선 형태로 정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조작 움직임이 스타트 드로잉(10)이 완료된 지점(또는 터치 궤적이 최초 시작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대략 2시 방향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터치 궤적(20)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르게는, 터치 궤적이 알파벳, 숫자, 기호 또는 도형 형상 등으로 정의되는 것도 가능하며, 터치 궤적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후, 상기 터치 궤적(20)의 변위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능에 대한 개인휴대단말기의 설정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기능이라 함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활성화된 응용프로그램에 관련된 기능 또는 여타 다른 설정 기능일 수 있으며,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기능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터치 궤적의 변위에 따라 기능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설정을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터치 궤적의 변위에 따라 서로 상반되는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가령, 사진(이미지) 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기능은 사진의 확대/축소, 시계 방향/반시계 방향 회전 등의 설정 조절에 관련된 기능일 수 있다. 디지털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기능은 음악의 재생, 멈춤 및 스킵(skip) 등의 설정 조절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전화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기능은 통화 음량의 조절, 음소거 ON/OFF 등의 설정 조절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기능은 줌, 플래시 ON/OFF 등의 설정 조절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이외에도,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기능은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터치 궤적(20)의 변위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터치 궤적(20)의 변위는, 터치 궤적(20)의 최초 시작 부위를 기준으로 터치 궤적(20)의 방향 및 각도 변화를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2를 참조하면, 지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터치패널(100)의 우측 하단 모서리에 인접한 시작 영역에서부터 시작되는 직선 형태의 스타트 드로잉(10)이 입력된 후, 터치 궤적(20)의 변위에 따라 확대 및 축소에 관련된 기능이 연속적으로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대략 8시 방향을 향해 직선 형태의 터치 궤적(20a)이 감지되면, 축소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 터치조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다시 대략 2시 방향을 향해 직선 형태의 터치 궤적(20b)이 입력되면, 확대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으며, 터치조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다시, 대략 8시 방향을 향해 직선 형태의 터치 궤적(20c)이 입력되면, 축소에 관련된 기능이 연속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터치 궤적(20)의 거리(또는 구간)가 터치 궤적(20)의 최초 시작 부위로부터 증가할수록 확대에 관련된 기능의 실행 정도(확대 배율 또는 속도)가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도 13과 같이, 상기 터치패널(100a)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100)의 외부에 정의된 시작 영역에서부터 시작하는 직선 형태의 스타트 드로잉(10)이 입력된 상태에서, 대략 2시 방향을 향해 직선 형태의 터치 궤적이 입력되면, 확대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 대략 8시 방향을 향해 직선 형태의 터치 궤적이 입력되면, 축소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터치 궤적에 변위에 따라 각종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 또는 슬라이드 스위치(slide switch)가 활성화되거나, 여타 다른 버튼 또는 키가 활성화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상기 터치패널(100)의 터치 기능 영역은 통상적으로 화면(도 13의 100a) 외부영역에도 터치센서 라인이 확장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기능 영역이라 함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홈키의 상부 영역에는 수직 연결 패턴을 통해 세로로 연결된 수직 노드 패턴, 및 수평 연결 패턴을 통해 가로로 연결된 수평 노드 패턴으로 이루어진 제1터치센서 라인이 제공될 수 있으며, 홈키 주변 영역에는 빗살 형태로 형성되는 제1노드패턴, 및 빗살 형태로 형성되며 제1노드패턴과 빗살 부분이 상호 교대로 배치되는 제2노드패턴을 포함하는 제2터치센서 라인이 제공될 수 있으며, 터치패널(100a)의 화면(100) 외부 영역에서 시작되는 스타트 드로잉(10)의 감지는 제2터치센서 라인을 통해 감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4와 같이, 상기 터치패널(100)의 우측 하단 모서리에 인접한 시작 영역에서부터 시작하는 직선 형태의 스타트 드로잉(10)이 입력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을 따라 원호 형상의 터치 궤적(20)이 감지되면, 확대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반시계 방향을 따라 원호 형상의 터치 궤적(20)이 감지되면, 축소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스타트 기호가 입력되면 터치패널(100)에는 터치 궤적을 입력하기 위한 터치 궤적 입력창(미도시)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터치 궤적 입력창을 통해 터치 궤적이 입력될 경우, 터치 궤적의 변위에 따라 대응하는 기능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에서는 터치패널(100)에 복수개의 가이드 경계라인(40)이 활성화될 수 있고, 상기 터치 궤적(20)이 가이드 경계라인(40)을 따라 감지되는 경우, 가이드 경계라인(40)별 터치 궤적(20)의 변위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 경계라인의 갯수, 형태 및 위치는 전술한 스타트 드로잉의 길이(구간) 또는 특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에서는, 대략 원호 형상을 갖는 제1가이드 경계라인 내지 제3가이드 경계라인(41~43)이 서로 이격되며 무지개 형태를 이루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가이드 경계라인 내지 제3가이드 경계라인(41~43)을 따라 터치 궤적(20)이 감지될 경우, 볼륨, 스킵(skip) 및 재생/멈춤에 대한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일 예로, 최하단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 경계라인(41)의 대략 중앙부를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터치 궤적(20)이 감지될 경우에는 볼륨 확대 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좌측 방향으로 터치 궤적(20)이 감지될 경우에는 볼륨 축소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가운데 배치되는 제2가이드 경계라인(42)의 대략 중앙부를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터치 궤적(20)이 감지될 경우에는 앞으로 넘김(skip) 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좌측 방향으로 터치 궤적(20)이 감지될 경우에는 뒤로 넘김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최상단에 배치되는 제3가이드 경계라인(43)의 대략 중앙부를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터치 궤적(20)이 감지될 경우에는 재생 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좌측 방향으로 터치 궤적(20)이 감지될 경우에는 멈춤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가이드 경계라인(40)을 따라 터치 궤적(20)이 감지될 시에만 터치 궤적(20)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될 수 있기 때문에, 터치 궤적(20)을 보다 정확하게 구분 및 감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경계라인이 무지개 형태로 배열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가이드 경계라인이 직선 또는 여타 다른 형태로 형성 및 배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 경계라인의 형상 및 배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패널(100)에는 복수개의 거점아이콘(50)이 활성화될 수 있고, 상기 스타트 신호가 거점아이콘(50)을 통과하는 경우, 거점아이콘(50)별 터치 궤적(20)의 변위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기능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패널(100)에는 제1 및 제2거점아이콘(51,52)이 활성화될 수 있고, 스타트 드로잉(10)이 제1거점아이콘(51)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터치 궤적(20)의 변위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 기능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고, 스타트 드로잉(10)이 제2거점아이콘(52)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터치 궤적(20)의 변위에 따라 상부 스크롤 또는 하부 스크롤 기능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미리 정의된 시작 영역에서 스타트 드로잉이 시작되는 경우 스타트 신호가 입력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로 특정 시작 영역을 정의하지 않고 터치패널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스타트 드로잉이 감지됨에 따라 스타트 신호가 입력되거나, 터치패널 영역 내부 또는 외부에 제공되는 버튼 또는 키의 조작이 감지됨에 따라 스타트 신호가 입력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는 터치 궤적(20)이 귀속되는 스타트 드로잉(1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타트 신호는 터치패널(100)에서 미리 정의된 스타트 드로잉(10')을 감지함에 따라 입력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타트 드로잉(10')은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타트 드로잉(10')은 대략 가운데가 잘록한 모래시계(또는 절구)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조작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스타트 드로잉(10') 형상을 따라 이루어질 경우에는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르게는, 스타트 드로잉이 알파벳, 삼각형 또는 계단 형상 등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스타트 드로잉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터치패널(100)에 스타트 드로잉(10')이 입력된 후에는 전술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터치 궤적(20)이 감지될 시, 터치 궤적(20)의 변위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스타트 신호는 터치패널(100) 영역 내부 또는 외부에 제공되는 버튼 또는 키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터치패널(100) 영역 내부에 제공되는 버튼 또는 키라 함은, 터치패널(100) 영역 내부에 형성되어 터치 조작 가능한 버튼 또는 키로 이해될 수 있고, 터치패널(100) 영역 외부에 제공되는 버튼 또는 키라 함은, 터치패널(100) 영역 외부에 누름, 슬라이드 또는 회전 조작 가능하게 제공되어 사용자의 물리적인 조작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버튼 또는 키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8을 참조하면, 터치패널(100) 영역 외부에 해당되는 단말기의 측면에는 누름 조작 가능하게 조작 버튼(102)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 버튼(102)의 누름 조작에 의한 입력 신호가 감지될 시,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타트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버튼(102)이 단말기의 측면에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조작 버튼이 단말기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되거나, 측면 다른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스타트 신호를 입력 가능한 복수개의 조작 버튼이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조작 버튼에는 각각 복수개의 터치 궤적이 귀속될 수 있다.
상기 조작 버튼(102)을 통해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후에는 전술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터치 궤적(20)이 감지될 시, 터치 궤적(20)의 변위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에 대응하여 터치패널(100)의 특정 부위에는 패널 화면(101)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상기 스타트 신호는 패널 화면(101)에 제공되는 기능아이콘(102')의 터치 조작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패널(100) 영역의 상단부를 아래로 드래그하는 터치 조작에 대응하여 터치패널(100)의 상단부에는 패널 화면(101)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패널 화면(101)에는 각종 설정 변경을 위한 복수개의 기능아이콘(102')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스타트 신호는 특정 기능아이콘(102')을 터치 조작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상기 기능아이콘(102')을 통해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후에는 전술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터치 궤적(20)의 변위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예를 들어, 상/하부 스크롤 기능)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터치패널 영역의 다른 부위 또는 다른 버튼을 터치 조작함으로써 스타트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위젯과 같은 아이콘을 이용하여 스타트 신호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20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터치패널과 연관된 디스플레이의 경계를 따라 정의된 가상 기준선을 정의하는 단계, 가상 기준선을 2회 이상 교차하는 요소를 갖는 시작 드로잉 및 시작 드로잉에 귀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행 기능을 저장하는 입력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터치패널을 통해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 드로잉과 저장된 시작 드로잉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입력 드로잉의 일치 여부에 따라 시작 드로잉에 정의된 실행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단말기의 전면 또는 다른 일면에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가 제공될 수 있는 바 , 터치패널은 디스플레이 경계 또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여서만 형성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경계(100)를 넘어서 아래의 홈 버튼 양측까지 연장될 수도 있고, 위로는 디스플레이 상부에 까지 연장될 수가 있다.
디스플레이 경계(100)의 주변으로 가상 기준선(103)이 정의될 수 있다. 가상 기준선(103)은 터치패널에 의해서 감지 가능한 영역으로서 터치패널의 기능에 따라 터치패널이 형성된 영역 내 또는 외부에서 정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가상 기준선(103)은 디스플레이 경계(100) 중 아래 변에 일치하도록 정의될 수 있으며, 가상 기준선(103)을 단말기 전면에 별도로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가상 기준선(103)이 정의되고,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에는 시작 드로잉 및 시작 드로잉에 대응하는 실행 기능이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 시작 드로잉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기준선(103)을 통과하여 디스플레이 안으로 진입하고 꺾어서 디스플레이 밖으로 이동하는 궤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손가락은 가상 기준선(103)을 2회 교차하게 되고, 아래에서 대략 홈( home )의 지붕 모양을 형상화함으로써 홈 버튼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참고로, 홈 버튼은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일 예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홈 화면으로의 복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탈출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드로잉은 가상 기준선을 지붕 모양으로 통과하는 터치 궤적이 될 수 있으며, 시작 드로잉은 터치패널로부터 감지되는 가상 기준선 위로의 삼각형 모양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입력 드로잉과 시작 드로잉 간의 상호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일치도가 있다고 판단되면,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정의된 실행 기능, 예를 들어 홈 버튼 입력 기능을 실행할 수가 있다.
참고로, 가상 기준선은 디스플레이의 경계를 따라 3변 또는 4변에 정의될 수 있다. 또한, 가상 기준선은 디스플레이의 경계와 거의 일치하도록 정의될 수 있으 며, 실질적으로 손가락 움직임이 디스플레이 경계를 통과하거나 그 경계에서 시작하여 종료하는 경우도 가상 기준선과 교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는, 가상 기준선은 디스플레이 경계와 이격된 위치에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기준선은 디스플레이의 하부 경계보다 아래에 위치한 경계 가이드선에 의해서 표시될 수 있으며, 단말기는 아래 경계 가이드선을 통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가상 기준선을 2회 이상 교차하여 통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터치패널에 의해서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은 디스플레이 경계를 넘어서 더 넓게 형성될 수가 있다. 이 경우 터치패널은 디스플레이의 상부 또는 하부 경계를 넘어 홈 버튼의 양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손가락이 홈 버튼의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 이미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경계의 외부에서부터 손가락 진입을 미리 예상할 수도 있으며, 그 위치가 어디인지에 따라 전혀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시작 영역을 감지하는 기능도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시작 드로잉은 집의 지붕 모양 외에도 복수개로 정의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지붕 모양의 시작드로잉이 정의되는 동시에(①), 가상 기준선을 통과하는 반시계 방향 회전을 실행 취소(②)로 정의할 수도 있다. 또한, 환경 설정이나 기타 추가 기능을 위해서 가상 기준선을 통과하는 V-자 터치를 정의할 수도 있다(③). 여기서 ①~③의 시작 드로잉은 각각 중앙, 우측 및 좌측에 대응하여 시작 영역이 한정될 수도 있지만, 시작 영역과 무관하게 지붕 모양에 대해 홈 버튼 기능, 반시계 방향 회전에 대해 실행 취소 기능, 그리고 V자 모양에 대해 환경설정 기능 등을 매칭시킬 수가 있다.
도 21의 (a)를 보면, 단말기 내부의 중력 센서에 의해서 아래 단변이 아래임을 알 수 있지만, 도 21의 (b)와 같이, 가로 보기에서는 아래 장변이 아래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단말기의 버튼은 디스플레이의 우측에 위치하지만, 중력 센서를 참고하여 상하 방향이 특정된다면, 단순히 디스플레이의 아래 변에서 각각 시작 드로잉을 그려 특정 실행 기능을 실행하게 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시작 드로잉을 모티브로 새로운 기능을 추가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 모양의 꺾임선을 가상 기준선을 통과하도록 2회 반복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상 기준선을 전부 4번 통과할 수 있으며, 제자리에서 꺾임선을 2회 형상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경우 홈 버튼의 더블 누름 또는 더블 클릭으로 정의할 수가 있다. 도 22의 (b)를 참조하면, 지붕 모양의 꺾임선은 제자리에서 두번 반복할 수도 있지만, 연속적으로 형상화하여 정의할 수도 있다. 참고로, (a) 및 (b)에서 거론된 시작 드로잉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3의 (a)를 참조하면, 가상 기준선은 디스플레이의 상단 경계에서도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의 상단 경계를 통과한 후, 3번 고리 모양을 형성한 후 다시 상단 경계를 통과하면서 시작 드로잉을 완료할 수 있다.
도 23의 (b)를 참조하면, 손가락 궤적은 디스플레이의 상단 경계를 통과한 후, 알파벳 ' S' 를 도시화할 수 있다. 가상 기준선을 통과한 후 손가락의 궤적에 따라서 입력 드로잉과 저장된 시작 드로잉을 비교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2회 가상 기준선을 통과한 것 외에도 손가락 궤적에 따른 시작 드로잉의 특징을 더욱 구체적으로 정의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간단하게 가상 기준선에서 일정 거리 직선 이동한 후, 다시 가상 기준선으로 복귀하는 직선 왕복 이동도 시작 드로잉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직선 왕복 이동인 경우나 다른 궤적인 경우 꺾이는 점 또는 경유 지점을 표시하기 위한 마크를 디스플레이 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3의 (c)를 참조하면, 위가 개방된 사각형 형상을 터치 동작으로 인식할 수가 있다. 같은 사각형이라도 가상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가 짧을 때 수행할 수 있는 기능과, 가상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가 다른 때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달리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가상 기준선은 디스플레이의 경계 전부에 대해, 변 전체로 정의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변 길이 전부가 아닌 디스플레이 아래 경계와 그 주변의 측면 경계 일부에 대해서만 정의될 수도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시작 드로잉은 가상 기준선에서 두 개의 이상의 경계를 교차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즉, 도 2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 경계를 통과하여 디스플레이 안으로 진입한 후, 우측 경계를 통하여 외부 경계로 탈출하는 과정에서 2번 고리를 형성하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도 24의 (b)를 참조하면, 시작 드로잉이 두 개의 경계를 통과하되, 우측 하단의 모서리로부터 어느 정도 거리가 떨어져 있는지에 따라서 서로 다른 기능을 정의할 수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전 실시예 중 도 23의 (c)에 대한 내용을 참조할 수가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가상 기준선은 좌측 경계를 기준으로 2회 이상 아래로 통과하도록 정의될 수 있으며, 대략 2회 이상의 가상 기준선을 통과하는 입력 드로잉 이후로, 대략 필기체 y자 형상의 명령 드로잉이 추가될 수 있다. 추가 기능은 유투브( Youtube)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나 홈페이지 북마크로서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와이파이 설정이나 블루투스 설정을 위한 설정을 위해서도 정의될 수 있고, 특정 그래픽 조합이나 버튼을 불러오기 위한 명령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시작 드로잉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터치패널

Claims (19)

  1.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에 의한 기능 실행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프로파일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상기 프로파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파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에 의한 기능 실행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개발자별로 정의되어 네트워크서버 저장되고,
    상기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를 상기 프로파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네트워크서버에 저장된 상기 복수개의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파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서버에 기능별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스타트 기호 및 상기 스타트 기호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명령 기호를 정의한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널에서 상기 스타트 기호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널에서 상기 명령 기호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 기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시작 영역과 함께 정의되는 스타트 드로잉, 및 상기 스타트 드로잉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명령 드로잉을 정의한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미리 정의된 상기 시작 영역에서 시작되는 상기 스타트 드로잉을 감지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널에서 상기 명령 드로잉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 드로잉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영역은 상기 터치패널 영역 내부, 외부 및 경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영역은 상기 터치패널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역 내부, 외부 및 경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스타트 신호 및 상기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명령 드로잉을 정의한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스타트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널에서 상기 명령 드로잉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 드로잉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신호는 상기 터치패널 영역 내부 또는 외부에 제공되는 버튼 또는 키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스타트 신호 및 상기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기능을 정의한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스타트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명령 대기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터치패널에서 터치 궤적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궤적의 변위에 따라 상기 기능에 따른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의 설정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궤적의 변위는,
    상기 터치 궤적의 최초 시작 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터치 궤적의 방향 및 각도 변화를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터치패널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경계라인이 활성화되고,
    상기 터치 궤적이 상기 가이드 경계라인을 따라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 경계라인별 상기 터치 궤적의 변위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에는 복수개의 거점아이콘이 활성화되고,
    상기 스타트 신호가 상기 거점아이콘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거점아이콘별 상기 터치 궤적의 변위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상기 터치패널과 연관된 디스플레이의 경계를 따라 정의된 가상 기준선을 정의하는 단계;
    상기 가상 기준선을 2회 이상 교차하는 요소를 갖는 시작 드로잉 및 상기 시작 드로잉에 귀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행 기능을 저장하는 입력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 드로잉과 저장된 상기 시작 드로잉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드로잉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시작 드로잉에 정의된 상기 실행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기준선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경계, 내측, 외측 또는 그 주변을 따라 정의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기준선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경계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경계 외측에서부터 사용자의 입력 드로잉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조작에 의한 기능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설정 변경 및 설정 변경을 위한 스위치 또는 버튼의 활성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조작 프로파일 데이터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복수개의 프로파일 데이터 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프로파일 데이터 그룹은,
    스타트 기호 및 상기 스타트 기호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명령 기호를 정의한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널에서 상기 스타트 기호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널에서 상기 명령 기호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 기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프로파일 데이터 그룹;
    시작 영역과 함께 정의되는 스타트 드로잉 및 상기 스타트 드로잉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명령 드로잉을 정의한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미리 정의된 상기 시작 영역에서 시작되는 상기 스타트 드로잉을 감지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널에서 상기 명령 드로잉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 드로잉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2프로파일 데이터 그룹;
    스타트 신호 및 상기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명령 드로잉을 정의한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스타트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널에서 상기 명령 드로잉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 드로잉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3프로파일 데이터 그룹;
    스타트 신호 및 상기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기능을 정의한 사용자별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스타트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명령 대기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터치패널에서 터치 궤적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궤적의 변위에 따라 상기 기능에 따른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의 설정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4프로파일 데이터 그룹; 및
    상기 터치패널과 연관된 디스플레이의 경계를 따라 정의된 가상 기준선을 정의하는 단계, 상기 가상 기준선을 2회 이상 교차하는 요소를 갖는 시작 드로잉 및 상기 시작 드로잉에 귀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행 기능을 저장하는 입력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 드로잉과 저장된 상기 시작 드로잉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드로잉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시작 드로잉에 정의된 상기 실행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5프로파일 데이터 그룹;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KR1020120115067A 2012-10-16 2012-10-16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KR201400487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067A KR20140048755A (ko) 2012-10-16 2012-10-16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067A KR20140048755A (ko) 2012-10-16 2012-10-16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755A true KR20140048755A (ko) 2014-04-24

Family

ID=50654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067A KR20140048755A (ko) 2012-10-16 2012-10-16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87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8992A (ko) * 2020-09-21 2022-03-29 주식회사 포스콤 엑스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8992A (ko) * 2020-09-21 2022-03-29 주식회사 포스콤 엑스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3570B1 (en) Thumb touch interface
KR100798301B1 (ko) 스크롤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19039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데이터 검색 방법.
KR101720849B1 (ko) 터치 스크린 호버 입력 핸들링
KR101224588B1 (ko) 멀티포인트 스트록을 감지하기 위한 ui 제공방법 및 이를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KR101372753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의 입력 방법 및 장치
US87759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Pad
KR101979666B1 (ko)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20080168401A1 (en)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ewing multiple application windows
KR20110085189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US20120297339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CN101424990A (zh) 信息处理设备和程序调用器起动控制方法
KR102138913B1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40033839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서 한 손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US20070024577A1 (en) Method of controlling software function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14157578A (ja) タッチパネル装置、タッチパネル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294392A (zh) 用于在移动装置中编辑内容视图的方法和设备
JP5173001B2 (ja) 情報処理装置、画面表示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9092198B2 (e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operation control program
US20120218207A1 (e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operation control program
KR20140048755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KR20090020157A (ko) 터치스크린에서 화면 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101229357B1 (ko) 방향입력용 터치패드와 터치패널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20140048756A (ko)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KR20120095155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