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645A -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8645A
KR20140048645A KR1020120114851A KR20120114851A KR20140048645A KR 20140048645 A KR20140048645 A KR 20140048645A KR 1020120114851 A KR1020120114851 A KR 1020120114851A KR 20120114851 A KR20120114851 A KR 20120114851A KR 20140048645 A KR20140048645 A KR 20140048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subpixels
gain
green
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8287B1 (ko
Inventor
엄은철
정석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4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287B1/ko
Publication of KR20140048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7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2The addressing of the pixel, in a display other than an active matrix LCD, involving the control of two or more scan electrodes or two or more data electrodes, e.g. pixel voltage dependent on signals of two data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0 내지 제(n-1)열의 적 및 청 원시부화소의 원시 영상데이터와 제1이득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n-1)열의 적 및 청 부화소의 매핑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0 내지 제(n-1)열의 녹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 영상데이터와 제2이득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1)열의 녹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제n열의 상기 적 및 청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 영상데이터와 상기 제1이득과 상이한 제3이득을 이용하여 제n열의 상기 적 및 청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n열의 상기 녹 원시부화소와 상기 제2이득과 상이한 제4이득을 이용하여 상기 제n열의 상기 녹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매핑부와;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구동부와; 각각이 상기 적 및 녹 부화소 또는 상기 청 및 녹 부화소로 구성되는 m행n열의 상기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신호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 녹, 청 및 녹 부화소가 2개의 화소를 구성하는 RGBG 타입의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FPD) 중 하나인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표시장치는 높은 휘도와 낮은 동작 전압 특성을 갖는다.
그리고,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 발광형이기 때문에 대조비(contrast ratio)가 크고, 초박형 디스플레이의 구현이 가능하며, 응답시간이 수 마이크로초(㎲) 정도로 동화상 구현이 쉽고, 시야각의 제한이 없으며 저온에서도 안정적이고, 직류 5 내지 15V의 낮은 전압으로 구동하므로 구동회로의 제작 및 설계가 용이하다.
또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은 증착(deposition) 및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이 전부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매우 단순하다.
이러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적, 녹 및 청 부화소가 하나의 화소를 구성하는 스트라이프(stripe) 타입의 화소배열을 갖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스트라이프 타입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라이프 타입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제1방향으로는 적, 녹 및 청 부화소(R, G, B)가 순차반복적으로 배열되고,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는 동일한 색의 부화소가 일렬로 배열된다.
그리고, 적, 녹 및 청 부화소(R, G, B) 각각은 제1 및 제2방향으로 각각 a 및 b의 폭을 갖고, 적, 녹 및 청 부화소(R, G, B)가 구성하는 제1 내지 제4화소(P1, P2, P3, P4) 각각은 제1 및 제2방향으로 각각 3a 및 b의 폭을 갖는다.
최근 모바일 기기의 발전에 따라 소형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고해상도 소형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고해상도 소형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화소 및 부화소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한데, 발광물질층의 형성공정의 특성상 부화소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스트라이프 타입의 화소배열을 변형하여 적, 녹, 청 및 녹 부화소가 2개의 화소를 구성하는 RGBG 타입의 화소배열이 제안되었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RGBG 타입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RGBG 타입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제1방향으로는 적, 녹, 청 및 녹 부화소(R, G, B, G)가 순차반복적으로 배열되고,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는 적 및 청 부화소(R, B)가 반복적으로 배열되거나 녹 부화소(G)가 일렬로 배열되며, 적 및 청 부화소(R, B)가 반복되는 열과 녹 부화소(G)의 열은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그리고, 적 및 청 부화소(R, B) 각각은 제1 및 제2방향으로 각각 2a 및 b의 폭을 갖고, 녹 부화소(G)는 제1 및 제2방향으로 각각 a 및 b의 폭을 가지며, 적 및 녹 부화소(R, G) 또는 청 및 녹 부화소(B, G)가 구성하는 제1 내지 제4화소(P1, P2, P3, P4) 각각은 제1 및 제2방향으로 각각 3a 및 b의 폭을 가지며 배열된다.
이와 같은 RGBG 타입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서는, 동일한 해상도를 갖는 스트라이프 타입의 유기발광표시장치에 비하여 적 및 청 부화소(R, B)가 더 크게 형성되므로, 발광물질층의 형성공정의 제약을 극복하여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의 눈이 가장 민감한 녹색을 모든 화소에 배치함으로써, 스트라이프 타입과 유사한 색감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RGBG 타입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마지막 열의 그리니쉬(greenish) 현상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RGBG 타입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서는, 스트라이프 타입의 유기발광표시장치에 비하여 적 및 청 부화소(R, B)의 수가 적으므로, 스트라이프 타입의 화소에 대응되는 원시 영상데이터를 RGBG 타입의 화소에 대응되는 매핑(mapping) 영상데이터로 변조하여 영상 표시에 사용한다.
예를 들어, RGBG 타입의 제2화소(P2)의 적 및 청 부화소(R, B)의 매핑 영상데이터는, 스트라이프 타입의 제1 및 제2화소(P1, P2)의 적 및 청 부화소(R, B)의 원시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하고, RGBG 타입의 제2화소(P2)의 녹 부화소(G)의 매핑 영상데이터는, 스트라이프 타입의 제2화소(P2)의 녹 부화소(G)의 원시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그런데, 유기발광표시장치의 마지막 열의 화소, 예를 들어 가장 오른쪽 열에 배치되는 화소의 경우, 스트라이프 타입의 녹 부화소(G)의 원시 영상데이터는 RGBG 타입의 녹 부화소(G)의 매핑 영상데이터에 반영되는 반면, 스트라이프 타입의 적 및 청 부화소(R, B)의 원시 영상데이터는 RGBG 타입의 적 및 청 부화소(G)의 매핑 영상데이터 중 하나에만 반영된다.
따라서, 마지막 열의 화소의 원시 영상데이터가 적, 녹 및 청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화이트(white)에 대응될 경우, 적 및 청 부화소(R, B)의 원시 영상데이터 중 하나는 영상 표시에 사용되지 못하고 손실되며, 그 결과 녹 부화소(G)의 원시 영상데이터가 강조되어 마지막 열이 녹색을 띄게 되어 표시품질이 저하된다.
이러한 그리니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지막 열의 화소에 샤프닝(sharpening) 기술을 적용하는 방안이 제시되었으나, 샤프닝 기술을 적용한 경우에도 특정 계조에 대하여 마지막 열의 화소에서의 그리니쉬 현상이 완전히 제거되지는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샤프닝 기술은 인접 화소의 영상데이터에 영향을 미치므로, 마지막에서 두 번째 열의 화소에서 적 및 청 부화소(R, B) 원시 영상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하고, 그 결과 마지막에서 두 번째 열의 화소에서 그리니쉬 현상이 발생하는 부작용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마지막 열의 화소의 매핑 영상데이터를 나머지 열의 화소와 상이한 방법으로 생성하고, 마지막 열의 화소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폭/길이 비(W/L ratio)를 나머지 열의 화소와 상이한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그리니쉬 현상이 방지되고 색특성 및 휘도가 개선되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2개의 화소를 적, 녹, 청 및 녹 부화소로 구성함으로써, 데이터배선의 개수 및 이에 따른 구동집적회로가 감소되어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제0 내지 제(n-1)열의 적 및 청 원시부화소의 원시 영상데이터와 제1이득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n-1)열의 적 및 청 부화소의 매핑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0 내지 제(n-1)열의 녹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 영상데이터와 제2이득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1)열의 녹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제n열의 상기 적 및 청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 영상데이터와 상기 제1이득과 상이한 제3이득을 이용하여 제n열의 상기 적 및 청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n열의 상기 녹 원시부화소와 상기 제2이득과 상이한 제4이득을 이용하여 상기 제n열의 상기 녹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매핑부와;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구동부와; 각각이 상기 적 및 녹 부화소 또는 상기 청 및 녹 부화소로 구성되는 m행n열의 상기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신호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m행n열의 상기 화소의 상기 적, 녹 및 청 부화소 각각은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1)열의 상기 적, 녹 및 청 부화소의 상기 박막트랜지터의 폭/길이 비는 상기 제n열의 상기 적, 녹 및 청 부화소의 상기 박막트랜지터의 폭/길이 비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n-1)열의 상기 적 및 청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는, 각각 상기 제0 내지 제(n-1)열의 인접한 2개의 상기 적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영상데이터의 합 및 상기 제0 내지 제(n-1)열의 인접한 2개의 상기 청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영상데이터의 합에 상기 제1이득을 곱하여 산출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1)열의 상기 녹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는, 상기 제0 내지 제(n-1)열의 상기 녹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 영상데이터에 상기 제2이득을 곱하여 산출하고, 상기 제n열의 상기 적 및 청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는, 각각 상기 제(n-1) 및 제n열의 상기 적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영상데이터의 합 및 상기 제(n-1) 및 제n열의 상기 청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영상데이터의 합에 상기 제3이득을 곱하여 산출하고, 상기 제n열의 상기 녹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는, 상기 제n열의 상기 녹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 영상데이터에 상기 제4이득을 곱하여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이득은 상기 제1이득 보다 크고, 상기 제4이득은 상기 제2이득 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득은 0.5이고, 상기 제2이득은 1.0이고, 상기 제3이득은 1.0 이상 2.0 이하 이고, 상기 제4이득은 0.5이상 1.0 이하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n열의 상기 적 및 청 부화소의 상기 박막트랜지터의 폭/길이 비는 상기 제1 내지 제(n-1)열의 상기 적 및 청 부화소의 상기 박막트랜지터의 폭/길이 비 보다 크거나, 상기 제n열의 상기 녹 부화소의 상기 박막트랜지터의 폭/길이 비는 상기 제1 내지 제(n-1)열의 상기 녹 부화소의 상기 박막트랜지터의 폭/길이 비 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0 내지 제(n-1)열의 적 및 청 원시부화소의 원시 영상데이터와 제1이득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n-1)열의 적 및 청 부화소의 매핑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0 내지 제(n-1)열의 녹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 영상데이터와 제2이득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1)열의 녹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제n열의 상기 적 및 청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 영상데이터와 상기 제1이득과 상이한 제3이득을 이용하여 제n열의 상기 적 및 청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n열의 상기 녹 원시부화소와 상기 제2이득과 상이한 제4이득을 이용하여 상기 제n열의 상기 녹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신호를 각각이 상기 적 및 녹 부화소 또는 상기 청 및 녹 부화소로 구성되는 m행n열의 상기 화소에 공급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m행n열의 상기 화소의 상기 적, 녹 및 청 부화소 각각은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1)열의 상기 적, 녹 및 청 부화소의 상기 박막트랜지터의 폭/길이 비는 상기 제n열의 상기 적, 녹 및 청 부화소의 상기 박막트랜지터의 폭/길이 비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0 내지 제(n-1)열의 인접한 2개의 상기 적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영상데이터의 합 및 상기 제0 내지 제(n-1)열의 인접한 2개의 상기 청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영상데이터의 합에 상기 제1이득을 곱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1)열의 상기 적 및 청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0 내지 제(n-1)열의 상기 녹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 영상데이터에 상기 제2이득을 곱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1)열의 상기 녹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n-1) 및 제n열의 상기 적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영상데이터의 합 및 상기 제(n-1) 및 제n열의 상기 청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영상데이터의 합에 상기 제3이득을 곱하여 상기 제n열의 상기 적 및 청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n열의 상기 녹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 영상데이터에 상기 제4이득을 곱하여 상기 제n열의 상기 녹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이득은 상기 제1이득 보다 크고, 상기 제4이득은 상기 제2이득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마지막 열의 화소의 매핑 영상데이터를 나머지 열의 화소와 상이한 방법으로 생성하고, 마지막 열의 화소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폭/길이 비(W/L ratio)를 나머지 열의 화소와 상이한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그리니쉬 현상이 방지되고 색특성 및 휘도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2개의 화소를 적, 녹, 청 및 녹 부화소로 구성함으로써, 데이터배선의 개수 및 이에 따른 구동집적회로가 감소되어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트라이프 타입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화소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RGBG 타입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화소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원시 영상데이터 및 매핑 영상 데이터의 스트림(stream)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마지막 열의 화소의 색좌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설명하는데,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110)는, 매핑부(120), 타이밍제어부(130), 게이트구동부(140), 데이터구동부(150) 및 표시패널(160)을 포함한다.
매핑부(120)는, TV 시스템 또는 그래픽 카드와 같은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원시 영상데이터(rgb)를 입력 받고, 원시 영상데이터(rgb)를 변조하여 매핑 영상데이터(RGB)를 생성하고, 생성된 매핑 영상데이터(RGB)를 타이밍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원시 영상데이터(rgb)는, 적, 녹 및 청 부화소가 하나의 화소를 구성하는 스트라이프(stripe) 타입의 화소배열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로서 m행(n+1)열의 다수의 화소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매핑 영상데이터(RGB)는, 적, 녹, 청 및 녹 부화소가 2개의 화소를 구성하는 RGBG 타입의 화소배열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로서 m행n열의 다수의 화소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매핑부(120)는, 인접한 2개의 화소의 원시 영상데이터(rgb)를 이용하여 하나의 화소의 매핑 영상데이터(RGB)를 생성하는데, 원시 영상데이터(rgb)로부터 매핑 영상데이터(RGB)로의 변조방법은 도 4를 참조하여 뒤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서는 매핑부(120)가 타이밍제어부(130) 전단에 구성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매핑부(120)가 타이밍제어부(130) 및 데이터구동부(150) 사이에 구성될 수도 있고, 타이밍제어부(130) 또는 데이터구동부(150) 내에 내장될 수도 있다.
타이밍제어부(130)는, 매핑부(120)로부터 매핑 영상데이터(RGB)를 입력 받고,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다수의 타이밍신호(DE, HSY, VSY, CLK)를 입력 받아, 재배열된 매핑 영상데이터(RGB), 게이트제어신호(GCS) 및 데이터제어신호(DCS)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게이트구동부(140)는, 게이트제어신호(GCS)를 이용하여 게이트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게이트신호를 표시패널(160)로 공급하고, 데이터구동부(150)는, 매핑 영상데이터(RGB) 및 데이터제어신호(DCS)를 이용하여 데이터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신호를 표시패널(160)로 공급한다.
표시패널(160)은, 게이트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데, 이를 위하여 표시패널(160)은 제1 내지 제m게이트배선(GL1 내지 GLm), 제1 내지 제2n데이터배선(DL1 내지 DL2n) 및 제1 내지 제2n파워배선(PL1 내지 PL2n)을 포함한다.
그리고, 표시패널(160)은, m X n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화소(P11, P12, , P1n, P21, P22, , P2n, , Pm1, Pm2, , Pmn)를 포함하는데, 다수의 화소(P11, P12, , P1n, P21, P22, , P2n, , Pm1, Pm2, , Pmn)는 각각 적 및 녹 부화소(R, G) 또는 청 및 녹 부화소(B, G)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게이트배선에 평행한 제1방향으로는 적, 녹, 청 및 녹 부화소(R, G, B, G)가 순차반복적으로 배열되고,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는 적 및 청 부화소(R, B)가 반복적으로 배열되거나 녹 부화소(G)가 일렬로 배열되며, 적 및 청 부화소(R, B)가 반복되는 열과 녹 부화소(G)의 열은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1행1열의 화소(P11)는 1행1열의 적 부화소(R11) 및 1행1열의 녹 부화소(G11)로 구성되고, 1행2열의 화소(P12)는 1행2열의 청 부화소(B12) 및 1행2열의 녹 부화소(G12)로 구성되고, 1행n열의 화소(P1n)는 1행n열의 청 부화소(B1n) 및 1행n열의 녹 부화소(G1n)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적, 녹, 청 및 녹 부화소(R, G, B, G)는, 제1 내지 제m게이트배선(GL1 내지 GLm)과 제1 내지 제2n데이터배선(DL1 내지 DL2n) 및 제1 내지 제2n파워배선(PL1 내지 PL2n)의 교차에 의하여 구분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각각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 스토리지 커패시터(Cs) 및 발광 다이오드(De)를 포함한다.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는 게이트배선(GL1 내지 GLm)을 통하여 공급되는 게이트신호에 따라 데이터배선(DL1 내지 DL2n)을 통하여 공급되는 데이터신호를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에 공급하는 스위칭(switching) 소자 역할을 하고,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를 통하여 게이트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에 따라 파워배선(PL1 내지 PL2n)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발광 다이오드(De)에 공급하는 구동(driving) 소자 역할을 한다.
따라서, 데이터신호에 대응되는 전류가 발광 다이오드(De)에 공급됨으로써 다양한 계조(gray)가 표시될 수 있다.
매핑부(120)에서의 영상데이터 변조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원시 영상데이터 및 매핑 영상 데이터의 스트림(stream)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원시 영상데이터 및 매핑 영상데이터의 적, 녹 및 청 부화소의 데이터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계조(gray level) 데이터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110)의 매핑부(120)는, 인접한 2개의 화소의 원시 영상데이터(rgb)를 이용하여 1개의 화소의 매핑 영상데이터(RGB)를 생성하는데, 이를 위하여 원시 영상데이터(rgb)의 스트림에는 0열의 화소의 데이터가 추가된다.
예를 들어, 1행의 원시 영상데이터(rgb)는 1행0열의 화소(P10) 내지 1행n열의 화소(P1n)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2행의 원시 영상데이터(rgb)는 2행0열의 화소(P20) 내지 2행n열의 화소(P2n)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1행0열의 화소(P10) 내지 1행n열의 화소(P1n)의 데이터와 2행0열의 화소(P20) 내지 2행n열의 화소(P2n)의 데이터는 각각 적, 녹 및 청 부화소(r, g, b)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한편, 1행의 매핑 영상데이터(RGB)는 1행1열의 화소(P11) 내지 1행n열의 화소(P1n)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2행의 매핑 영상데이터(RGB)는 2행1열의 화소(P21) 내지 2행n열의 화소(P2n)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영상 데이터의 변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매핑 영상데이터(RGB)의 1행1열의 적 부화소(R11)의 데이터는, 원시 영상데이터(rgb)의 1행0열의 적 부화소(r10)의 데이터와 1행1열의 적 부화소(r11)의 데이터의 합에 제1이득(GAIN1)을 곱하여 산출한다. (R11 = GAIN1*(r10+r11))
그리고, 매핑 영상데이터(RGB)의 1행2열의 청 부화소(B12)의 데이터는, 원시 영상데이터(rgb)의 1행1열의 청 부화소(b10)의 데이터와 1행2열의 청 부화소(b12)의 데이터의 합에 제1이득(GAIN1)을 곱하여 산출한다. (B12 = GAIN1*(b11+b12))
마찬가지로, 매핑 영상데이터(RGB)의 1행3열 내지 1행(n-1)열의 적 및 청 부화소(R13 내지 R1(n-1))의 데이터는, 각각 원시 영상데이터(rgb)의 인접한 2개의 적 부화소 또는 인접한 2개의 청 부화소의 데이터의 합에 제1이득(GAIN1)을 곱하여 산출한다. (R13 = GAIN1*(r12+r13), , R1(n-1) = GAIN1*(r1(n-2)+r1(n-1)))
한편, 매핑 영상데이터(RGB)의 1행1열 내지 1행(n-1)열의 녹 부화소(G11 내지 G1(n-1))의 데이터는, 각각 원시 영상데이터(rgb)의 1행1열 내지 1행(n-1)열의 녹 부화소(g11 내지 g1(n-1))의 데이터에 제2이득(GAIN2)을 곱하여 산출한다. (G11 = GAIN2*g11, G12 = GAIN2*g12, , G1(n-1) = GAIN2*g1(n-1))
이러한 변조방법은 매핑 영상데이터(RGB)의 모든 열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이득(GAIN1, GAIN2)은 각각 약 0.5 및 약 1.0 일 수 있다.
한편, 매핑 영상데이터(RGB)의 마지막 열인 1행n열의 청 부화소(B1n)의 데이터 및 2행n열의 적 부화소(R2n)의 데이터는, 각각 원시 영상데이터(rgb)의 1행n열의 청 부화소(b1n)의 데이터 및 2행n열의 적 부화소(r2n)의 데이터에 제3이득(GAIN3)을 곱하여 산출한다. (B1n = GAIN3*b1n, R2n = GAIN3*r2n)
그리고, 매핑 영상데이터(RGB)의 마지막 열인 1행n열의 녹 부화소(G1n)의 데이터 및 2행n열의 녹 부화소(G2n)의 데이터는, 각각 원시 영상데이터(rgb)의 1행n열의 녹 부화소(g1n)의 데이터 및 2행n열의 녹 부화소(g2n)의 데이터에 제4이득(GAIN4)을 곱하여 산출한다. (G1n = GAIN4*g1n, G2n = GAIN4*g2n)
여기서, 마지막 열의 그리니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 및 청 부화소에 적용되는 제3이득(GAIN)은 제1이득(GAIN1)보다 크고, 녹 부화소에 적용되는 제4이득(GAIN4)은 제2이득(GAIN2)보다 작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제3이득(GAIN)은 약 1.0 이상 약 2.0 이하 일 수 있고, 제4이득(GAIN4)은 약 0.5 이상 약 1.0 이하 일 수 있다.
즉, 매핑 영상데이터(RGB)의 마지막 열에서는, 원시 영상데이터(rgb)의 적 및 청 부화소(r, b)의 데이터의 기여분을 증가시키고, 녹 부화소(g)의 데이터의 기여분을 감소시킴으로써, 그리니쉬 현상을 방지하고 색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마지막 열의 적 및 청 부화소(R2n, B1n, )의 제3이득(GAIN)을 나머지 열의 적 및 청 부화소(R11, B12, )의 제1이득(GAIN1)보다 크도록 설정하고, 마지막 열의 녹 부화소(G1n, G2n, )의 제4이득(GAIN4)을 나머지 열의 녹 부화소(G11, G12, )의 제2이득(GAIN2)보다 작도록 설정할 경우, 마지막 열의 화소(P1n, P2n, )의 휘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마지막 열의 화소(P1n, P2n, )의 휘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마지막 열의 화소(P1n, P2n, )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채널의 폭/길이비(W/L ratio)를 나머지 열의 화소(P11, P12, )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채널의 폭/길이 비(W/L ratio)과 상이하도록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마지막 열의 적 및 청 부화소(R2n, B1n, )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채널의 폭/길이 비가 나머지 열의 적 및 청 부화소(R11, B12, )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채널의 폭/길이 비 보다 크도록 설정하거나, 마지막 열의 녹 부화소(G1n, G2n, )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채널의 폭/길이 비가 나머지 열의 녹 부화소(G11, G12, )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채널의 폭/길이 비 보다 작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지막 열의 화소(P1n, P2n, )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마지막 열의 화소의 색특성 개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마지막 열의 화소의 색좌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마지막 열의 화소(P1n, P2n, )에는, 적 및 청 부화소(b1n, r2n)의 원시 영상데이터(rgb)의 기여분은 증가되고 녹 부화소(g1n, g2n)의 원시 영상데이터(rgb)의 기여분은 감소된 매핑 영상데이터(RGB)가 입력되고, 그 결과 색좌표가 종래의 A지점으로부터 B지점으로 이동하여 목표값인 C지점에 근접하게 된다.
즉, 제3 및 제4이득(GAIN3, GAIN4)을 각각 1.3 및 0.8로 설정한 경우, 색좌표가 A지점(0.251, 0.536)으로부터 B지점(0.286, 0.382)로 이동하여 목표값인 C지점(0.299, 0.323)에 근접하게 되어 마지막 열의 화소(P1n, P2n, )의 색특성이 개선된다.
또한, 마지막 열의 적 및 청 부화소(R2n, B1n, )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채널의 폭/길이 비가 나머지 열의 적 및 청 부화소(R11, B12, )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채널의 폭/길이 비 보다 크도록 설정하거나, 마지막 열의 녹 부화소(G1n, G2n, )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채널의 폭/길이 비가 나머지 열의 녹 부화소(G11, G12, )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채널의 폭/길이 비 보다 작도록 설정함으로써, 마지막 열의 화소(P1n, P2n, )의 휘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서는, 마지막 열의 화소의 매핑 영상데이터의 제3 및 제4 이득(GAIN3, GAIN4)을 나머지 열의 화소의 매핑 영상데이터의 제1 및 제2이득(GAIN1, GAIN2)과 상이한 값으로 설정하여 색특성을 개선하고, 마지막 열의 화소의 박막트랜지스터의 폭/길이 비를 나머지 열의 화소의 박막트랜지스터의 폭/길이 비와 상이한 값으로 설정하여 휘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RGBG 타입의 화소배열을 갖는 다양한 표시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120: 매핑부
130: 타이밍제어부 140: 게이트구동부
150: 데이터구동부 160: 표시패널

Claims (10)

  1. 제0 내지 제(n-1)열의 적 및 청 원시부화소의 원시 영상데이터와 제1이득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n-1)열의 적 및 청 부화소의 매핑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0 내지 제(n-1)열의 녹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 영상데이터와 제2이득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1)열의 녹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제n열의 상기 적 및 청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 영상데이터와 상기 제1이득과 상이한 제3이득을 이용하여 제n열의 상기 적 및 청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n열의 상기 녹 원시부화소와 상기 제2이득과 상이한 제4이득을 이용하여 상기 제n열의 상기 녹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매핑부와;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구동부와;
    각각이 상기 적 및 녹 부화소 또는 상기 청 및 녹 부화소로 구성되는 m행n열의 상기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신호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행n열의 상기 화소의 상기 적, 녹 및 청 부화소 각각은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1)열의 상기 적, 녹 및 청 부화소의 상기 박막트랜지터의 폭/길이 비는 상기 제n열의 상기 적, 녹 및 청 부화소의 상기 박막트랜지터의 폭/길이 비와 상이한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1)열의 상기 적 및 청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는, 각각 상기 제0 내지 제(n-1)열의 인접한 2개의 상기 적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영상데이터의 합 및 상기 제0 내지 제(n-1)열의 인접한 2개의 상기 청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영상데이터의 합에 상기 제1이득을 곱하여 산출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1)열의 상기 녹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는, 상기 제0 내지 제(n-1)열의 상기 녹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 영상데이터에 상기 제2이득을 곱하여 산출하고,
    상기 제n열의 상기 적 및 청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는, 각각 상기 제(n-1) 및 제n열의 상기 적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영상데이터의 합 및 상기 제(n-1) 및 제n열의 상기 청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영상데이터의 합에 상기 제3이득을 곱하여 산출하고,
    상기 제n열의 상기 녹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는, 상기 제n열의 상기 녹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 영상데이터에 상기 제4이득을 곱하여 산출하는 표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이득은 상기 제1이득 보다 크고, 상기 제4이득은 상기 제2이득 보다 작은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득은 0.5이고, 상기 제2이득은 1.0이고, 상기 제3이득은 1.0 이상 2.0 이하 이고, 상기 제4이득은 0.5이상 1.0 이하인 표시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n열의 상기 적 및 청 부화소의 상기 박막트랜지터의 폭/길이 비는 상기 제1 내지 제(n-1)열의 상기 적 및 청 부화소의 상기 박막트랜지터의 폭/길이 비 보다 크거나,
    상기 제n열의 상기 녹 부화소의 상기 박막트랜지터의 폭/길이 비는 상기 제1 내지 제(n-1)열의 상기 녹 부화소의 상기 박막트랜지터의 폭/길이 비 보다 작은 표시장치.
  7. 제0 내지 제(n-1)열의 적 및 청 원시부화소의 원시 영상데이터와 제1이득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n-1)열의 적 및 청 부화소의 매핑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0 내지 제(n-1)열의 녹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 영상데이터와 제2이득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1)열의 녹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제n열의 상기 적 및 청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 영상데이터와 상기 제1이득과 상이한 제3이득을 이용하여 제n열의 상기 적 및 청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n열의 상기 녹 원시부화소와 상기 제2이득과 상이한 제4이득을 이용하여 상기 제n열의 상기 녹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신호를 각각이 상기 적 및 녹 부화소 또는 상기 청 및 녹 부화소로 구성되는 m행n열의 상기 화소에 공급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m행n열의 상기 화소의 상기 적, 녹 및 청 부화소 각각은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1)열의 상기 적, 녹 및 청 부화소의 상기 박막트랜지터의 폭/길이 비는 상기 제n열의 상기 적, 녹 및 청 부화소의 상기 박막트랜지터의 폭/길이 비와 상이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0 내지 제(n-1)열의 인접한 2개의 상기 적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영상데이터의 합 및 상기 제0 내지 제(n-1)열의 인접한 2개의 상기 청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영상데이터의 합에 상기 제1이득을 곱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1)열의 상기 적 및 청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0 내지 제(n-1)열의 상기 녹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 영상데이터에 상기 제2이득을 곱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1)열의 상기 녹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n-1) 및 제n열의 상기 적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영상데이터의 합 및 상기 제(n-1) 및 제n열의 상기 청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영상데이터의 합에 상기 제3이득을 곱하여 상기 제n열의 상기 적 및 청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n열의 상기 녹 원시부화소의 상기 원시 영상데이터에 상기 제4이득을 곱하여 상기 제n열의 상기 녹 부화소의 상기 매핑 영상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이득은 상기 제1이득 보다 크고, 상기 제4이득은 상기 제2이득 보다 작은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20114851A 2012-10-16 2012-10-16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958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851A KR101958287B1 (ko) 2012-10-16 2012-10-16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851A KR101958287B1 (ko) 2012-10-16 2012-10-16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645A true KR20140048645A (ko) 2014-04-24
KR101958287B1 KR101958287B1 (ko) 2019-03-14

Family

ID=50654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851A KR101958287B1 (ko) 2012-10-16 2012-10-16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2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9106A1 (en) * 2016-11-14 2018-05-17 Google Llc Low resolution rgb rendering for efficient transmission
US10262387B2 (en) 2016-11-14 2019-04-16 Google Llc Early sub-pixel rendering
US10564715B2 (en) 2016-11-14 2020-02-18 Google Llc Dual-path foveated graphics pipel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022A (ko) 2020-11-02 2022-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5116A (ja) * 1993-09-01 1995-03-17 Hitachi Ltd カラー映像信号の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伝送方法
KR20040083419A (ko) * 2002-01-07 2004-10-01 클레어보얀테 라보라토리즈, 인크. 컬러 평판 디스플레이 서브 픽셀 배열과, 증가된 변조전달함수로 서브 픽셀 렌더링하기 위한 레이아웃
JP2011034050A (ja) * 2009-07-29 2011-02-17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5116A (ja) * 1993-09-01 1995-03-17 Hitachi Ltd カラー映像信号の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伝送方法
KR20040083419A (ko) * 2002-01-07 2004-10-01 클레어보얀테 라보라토리즈, 인크. 컬러 평판 디스플레이 서브 픽셀 배열과, 증가된 변조전달함수로 서브 픽셀 렌더링하기 위한 레이아웃
JP2011034050A (ja) * 2009-07-29 2011-02-17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9106A1 (en) * 2016-11-14 2018-05-17 Google Llc Low resolution rgb rendering for efficient transmission
US10262387B2 (en) 2016-11-14 2019-04-16 Google Llc Early sub-pixel rendering
US10564715B2 (en) 2016-11-14 2020-02-18 Google Llc Dual-path foveated graphics pipel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287B1 (ko)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8541B2 (en) Display device
US9728116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5544387B2 (ja) デルタ構造のカラーディスプレイにカラー画像をレンダリングする方法及びデルタ構造のカラーディスプレイの駆動装置
US960104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a porch data during a porch period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2013120321A5 (ko)
US10971050B2 (en) Method for driving a display panel to display image, display apparatus thereof, and driver enabled to perform the method
KR101324553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14029424A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ならびに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US20200365070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WO2017059628A1 (zh) Amoled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102504235B1 (ko) 이형 표시장치
KR102513840B1 (ko) 표시패널
KR101958287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953262B1 (ko) 휘도 보정 데이터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338038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20109462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1982795B1 (ko)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302239B2 (e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KR20230089118A (ko) 전계 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50029362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40075352A (ko) 유기발광소자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99540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551582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70005238A (ko) 데이터 구동 회로,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1550837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