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826A -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7826A
KR20140047826A KR1020120114009A KR20120114009A KR20140047826A KR 20140047826 A KR20140047826 A KR 20140047826A KR 1020120114009 A KR1020120114009 A KR 1020120114009A KR 20120114009 A KR20120114009 A KR 20120114009A KR 20140047826 A KR20140047826 A KR 20140047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auxiliary electrode
rechargeable battery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0090B1 (ko
Inventor
이강민
Original Assignee
이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민 filed Critical 이강민
Priority to KR1020120114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090B1/ko
Publication of KR20140047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는 휴대단말기에서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 배터리로 교체 시, 휴대단말기의 전원이 끊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별도의 외장형 장치에 의존하지 않고도 휴대단말기 자체에 장착되는 배터리 커버를 이용하여 무정전 상태로 배터리 교체를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체에 형성되며 주 전극이 마련되는 배터리 수용부 및 배터리 수용부의 일 측에 마련되는 제1힌지 및 제2힌지와 힌지 결합하여 배터리 수용부를 향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터리 수용부에 삽입할 충전 배터리의 전원단자와 접촉하는 보조 전극을 구비하는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며, 배터리 커버는, 배터리 수용부에서 기 장착된 방전 배터리를 탈착하기 전, 보조 전극을 충전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시킨 상태로 배터리 수용부로 삽입되도록 회동함으로써, 방전 배터리를 교체 시, 전원 오프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Battery changable mobile device without power cu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에 장착된 방전 배터리를 충전된 충전 배터리로 교체 시, 휴대단말기에 전원이 중단되지 않고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rtal Assistant)와 같은 휴대단말기는 내장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하며, 내장된 배터리는 외부 충전기와 연결하는 연결잭을 이용하여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휴대단말기를 휴대한 상태에서 충전이 불가한 경우,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이 완료된 배터리로 교체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휴대단말기는 파워-오프 상태로 전환한 후, 배터리 교체가 이루어진다. 즉, 휴대단말기 사용자는 휴대단말기의 커버를 벗겨내고, 커버 내측에 위치하는 배터리 수용부에서 방전 배터리를 탈착한 후, 충전된 배터리를 배터리 수용부에 장착하고 휴대단말기를 재 구동함으로써 방전 배터리를 충전 배터리로 전환하게 된다. 그러나, 휴대단말기 사용자가 긴요한 통화를 하고 있거나, 타 휴대단말기와 실시간 문자 메시지를 주고 받거나, 또는 기타 중단하고 싶지 않은 작업을 하고 있는 경우, 배터리 교체는 휴대단말기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끼치게 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한국 공개번호 10-2005-0115501은 휴대폰에 둘 이상의 배터리를 장착하고, 둘 중 하나가 방전되면 나머지 충전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휴대폰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배터리를 갖는 휴대폰"이 제안된 바 있다. 한국 공개번호 10-2005-0115501은 휴대폰에 멀티 배터리를 장착하여 휴대폰 구동시간을 늘린다는 개념에서 접근한 것으로, 휴대폰에 둘 이상의 배터리를 장착하여야 하므로, 현재 최대한 슬림하고 작게 만들어지는 휴대폰의 추세를 볼 때, 실제 적용될 가능성이 미약하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배터리를 이용하되, 배터리 교체 시, 무정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휴대단말기가 항상 파워-온 상태로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지속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에 형성되며 제1전극이 마련되는 배터리 수용부, 및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일 측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배터리 수용부를 향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기 배터리 수용부를 향해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삽입할 충전 배터리의 전원단자와 접촉하는 제2전극을 구비하는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서 기 장착된 방전 배터리를 탈착하기 전, 상기 전극을 상기 충전 배터리에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배터리 수용부로 삽입되도록 회동함으로써, 상기 방전 배터리를 교체 시, 전원 오프 상태를 방지하는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에 형성되며 주 전극이 마련되는 배터리 수용부 및 상기 주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수용부와 독립적으로 충전 배터리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 전극을 구비하는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충전 배터리가 상기 보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주 전극으로 상기 충전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서 방전 배터리가 제거될 때 배터리 교체에 따른 전원 오프 상태를 방지하는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기에서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 배터리로 교체 시, 휴대단말기의 전원이 끊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별도의 외장형 장치에 의존하지 않고도 휴대단말기 자체에 장착되는 배터리 커버를 이용하여 무정전 상태로 배터리 교체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의 배면을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전 배터리를 충전 배터리로 교체하는 방식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B 방향에서 바라본 주 전극, 보조 전극 및 배터리 커버의 접속 관계에 대한 참조 도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E 방향에서 바라본 보조 전극의 단자의 일 예에 대한 참조 도면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방전 배터리는 휴대단말기에 장착되었던 배터리로서 전원이 거의 방전되어 교체가 요구되는 배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방전 배터리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수용부에서 탈착되어야 할 배터리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충전 배터리는 가용한 상태로 충전된 것으로서, 전술한 방전 배터리를 대신하여 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야 하는 배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휴대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edia Player), 노트북, 팜탑, 게임기(예컨대 닌텐도 시리즈), 및 기타 배터리 교체나 충전을 요구하는 형태의 휴대형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언급된 장치 이외에도, 전원 충전이나 교체를 필요로 하는 어떠한 휴대형 단말기라도,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휴대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의 배면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는 케이스(101), 배터리 수용부(102) 및 배터리 커버(10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01)는 휴대단말기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플라스틱, 금속, 탄소 섬유 및 합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배터리를 장착 및 탈착 가능한 배터리 분리형 케이스에 해당한다. 도 1은 케이스(101)에서 후면 케이스를 탈착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후면 케이스를 탈착 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수용부(102)가 노출된다. 배터리 수용부(102)에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주 전극(103)이 마련되며, 배터리 커버(105) 측에는 보조 전극(108)이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 수용부(102) 내에는 힌지 홈(106, 107)이 마련되며, 힌지 홈과 힌지 결합하는 배터리 커버(105)가 충전 배터리(미도시)를 수납하고, 충전 배터리의 단자가 보조 전극(108)과 접촉되면 보조 전극(108)은 충전 배터리의 전원을 주 전극(103)으로 제공하게 되고, 주 전극(103)에 방전 배터리가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더라도 휴대단말기(100)는 보조 전극(108)을 통해 인가되는 충전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구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수용부(102)에 장착되어있던 방전 배터리를 탈착한다 하더라도, 휴대단말기(100)의 전원은 무정전 상태로 바뀌지 않으며, 배터리 커버(105)에 장착되는 충전 배터리는 배터리 수용부(102)로 회동하여 충전된 새 배터리를 배터리 수용부(102)에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주 전극(103)과 보조 전극(108)은 내부적으로 전기적인 결선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주 전극(103)과 보조 전극(108)은 플렉시블 케이블(12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 상태를 갖는다. 예컨대, 주 전극(103)이 + 단자, - 단자 및 한 쌍의 제어 단자로 구성된다고 가정할 때, 보조 전극(108) 또한, + 단자, - 단자, 및 한 쌍의 제어 단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주 전극(103)의 + 단자, - 단자, 및 제어 단자는 각각 보조 전극(108)의 + 단자, - 단자 및 제어 단자와 전기적으로 결선된다.
도 1에서 주 전극(103)은 + 단자, - 단자, 및 한 쌍의 제어 단자를 위해 제1단자(103a) 내지 제4단자(103d)를 구비하며, 주 전극(103)과 대칭되도록 보조 전극(108) 또한 4개의 단자(108a 내지 108d)를 구비한다. 보조 전극(108)은 배터리 커버(105)가 A 방향으로 회동할 때, 배터리 수용부(102)와 이웃하게 형성되는 커버 수납홈(104)을 향하며, 커버 수납홈(104)은 보조 전극(108)이 충분히 수납 가능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보조 전극(108)이 커버 수납홈(104)에 삽입될 때, 제1단자(108a) 내지 제4단자(108d)가 각각 주 전극(103)의 제1단자(103a) 내지 제4단자(103d)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전극(108)이 커버 수납홈(104)에 삽입되면, 보조 전극(108), 주 전극(103) 및 배터리(미도시)의 단자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의 + 단자와 주 전극(103)의 + 단자 및 보조 전극(108)의 +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배터리의 - 단자, 주 전극(103)의 - 단자와 보조 전극(108)의 - 단자가 함께 전기적으로 연결 상태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배터리의 제어 단자와 주 전극(103) 및 보조 전극(108)의 제어 단자도 동일한 기능의 단자끼리는 전기적으로 연결상태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배터리 커버(105)에는 배터리 받침대(105c)가 마련되어 충전 배터리를 배터리 커버(105)에 장착할 때, 배터리 커버(105)에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배터리 받침대(105c)는 배터리 커버(105)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용접, 접합, 접착, 리벳 결합 및 나사 결합을 통해 배터리 커버(105)와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배터리 커버(105)는 힌지(106)와 힌지 결합하는 제1 폴(pole)(105a), 힌지(107)와 힌지 결합하는 제2 폴(pole)(105b) 및 제1 폴(105a)과 제2 폴(105b)을 연결하는 연결대(105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 커버(105)가 A 방향으로 회동하여 배터리 수용부(102)에 포개질 때, 제1 폴(105a)에서 배터리 수용부(102)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보조 전극(108)은 커버 수납홈(104)에 안착될 수 있다. 커버 수납홈(104)에 보조 전극(108)이 수납될 때, 보조 전극(108)과 주 전극(103)은 이격 상태를 가지며, 전기적으로 도통되지 않는다.
보조 전극(108)은 제1 폴(105a)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제1 폴(105a)과 접합 및 용접되어 부착될 수 있다. 다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제2 폴(105b)에는 배터리 받침대(105c)가 마련된다. 배터리 받침대(105c)는 충전 배터리가 장착될 때, 충전 배터리가 제2 폴(105b)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배터리 받침대(105c)에서 충전 배터리를 받쳐주고, 배터리 받침대(105c)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조 전극(108)의 단자가 충전 배터리의 단자를 압박하면 충전 배터리는 배터리 커버(105)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배터리 커버(105)가 A 방향으로 회동하여 충전 배터리를 배터리 수납부(102)에 안착시킬 수 있다.
보조 전극(108)에 마련되는 4개의 단자(108a 내지 108d)는 배터리 받침대(105c)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충전 배터리가 배터리 커버(105)에 장착되는 경우, 배터리 받침대(105c)와 함께 충전 배터리를 배터리 커버(105) 내에 견고히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보조 전극(108)은 충전 배터리 측 단자와는 전기적인 접촉을 이룬다.
플랙시블 케이블(Flexible cable)(120)은 보조 전극(108)에 마련되는 각 단자(108a 내지 108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배터리 수용부(102)에 마련되는 주 전극(103)과 보조 전극(108)에서 동일 기능을 갖는 단자들끼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120)은 배터리 커버(105)의 표면 일 측면을 따라 도전체가 매설되는 형태이거나, 또는 배터리 커버(105)의 표면 일 측에 부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후, 플렉시블 케이블(120)에 대해 중복되는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며, 주 전극(103), 보조 전극(108), 방전 배터리 및 충전 배터리의 연결 관계에 집중하여 도시 및 설명하도록 한다.
힌지(106, 107)는 배터리 수용부(102)에서의 돌출이 최소화되도록 배터리 수용부(102)의 내측 면 중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힌지(106, 107)가 배터리 수용부(102)의 우측 면에 형성되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한 것일 뿐, 힌지(106, 107)는 도 1을 기준으로 배터리 수용부(102)의 상측, 하측, 및 좌측 면 어디에든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배터리 수용부(102)에 장착되는 배터리의 형태나 단자 방향에 따르거나, 제조사에서 휴대단말기를 제조 시, 제조사의 편의에 따라 그 위치가 방향은 다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힌지(106, 107)가 형성되는 방향을 도 1을 기준으로 우측 면에 형성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나, 본 발명에서 힌지(106, 107)의 배치 방향이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전 배터리를 충전 배터리로 교체하는 방식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납부(102)에 방전 배터리(110)가 장착되어 있을 때, 사용자는 휴대단말기(100)의 후면 케이스를 탈착하여 방전 배터리를 노출시켜야 한다. 이때, 휴대단말기(100) 사용자는 방전 배터리(110)를 탈착하기 전, 배터리 커버(105)에 충전되어 있는 충전 배터리를 먼저 장착해 두어야 한다. 충전 배터리를 배터리 커버(105)에 장착하는 방식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배터리 교체 과정은, 휴대단말기(100) 사용자가 충전 배터리(109)를 배터리 커버(105)에 장착하고, 충전 배터리(109)가 배터리 커버(105)에 장착되면, 배터리 커버(105) 측에 마련되는 보조 단자(108)와 충전 배터리(109)의 단자(109a)가 전기적으로 연결상태를 이룬다. 이때, 충전 배터리(109)의 단자(109a)는 플랙시블 케이블(120)을 통해 주 전극(103)에 전기적으로 연결 상태를 갖는다.
다음으로, 방전 배터리(110)를 배터리 수용부(102)에서 탈착한다. 배터리 수용부(102)에서 방전 배터리(110)을 탈착하면 방전 배터리(110)의 단자(111)가 주 전극(103)과 분리되어 방전 배터리(110)의 전원이 휴대단말기(100)로 제공되지 않는다. 그러나, 방전 배터리(110)를 탈착하기 전, 충전 배터리(109)가 배터리 커버(105)에 장착되어 플렉시블 케이블(120)을 통해 주 전극(103)으로 충전 배터리(109)의 전원을 제공하므로, 휴대단말기(100)는 무정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휴대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문서를 조회하거나, 일정 프로그램을 구동하거나, 전화통화를 하거나, 무선 인터넷을 하거나, 또는 게임을 구동할 때, 방전 배터리(110)의 탈착에 의해 프로그램 구동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충전 배터리(109)의 단자109a)가 보조 전극(108)에 접촉된 상태에서 배터리 커버(105)를 회동하여 배터리 수용부(102)와 포개지도록 하면 충전 배터리(109)는 배터리 수용부(102)로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100)의 후면 케이스가 재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100) 사용자는 휴대단말기(100)의 후면 케이스를 제거하고, 충전 배터리(109)를 장착하고, 다시 후면 케이스를 장착하는 과정에 의해 휴대단말기(100)에 기 장착된 방전 배터리(110)를 충전 배터리(109)로 교체할 수 있다. 충전 배터리(109)로 방전 배터리(110)를 교체하더라도 휴대단말기(100)의 무정전 상태는 유지되며, 휴대단말기(100) 사용자는 방전 배터리(110) 교체를 위해, 휴대단말기(100)를 파워-오프 하고, 방전 배터리(110)를 충전 배터리(109)로 교체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도 5는 도 4의 B 방향에서 바라본 주 전극, 보조 전극 및 배터리 커버의 접속 관계에 대한 참조 도면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배터리 커버(105)는 D 방향을 향해 회동 시, 충전 배터리(109)를 배터리 수용부(102)로 삽입하며, 보조 전극(108)의 단자(108a 내지 108d)는 각각 주 전극(103)의 단자(103a 내지 103d)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이때, 보조 전극(108)의 단자(108a 내지 108d)는 충전 배터리(109)의 단자의 접촉면 전체와 접촉하지 않고 도 5에서 빗금친 접촉 영역(U1 내지 U4)에서만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주 전극(103)의 단자(103a 내지 103d)는 충전 배터리의 단자의 접촉 면 중 빗금치지 않은 영역에 대해서만 전기적으로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접촉 방식에 따라 배터리 커버(105)가 커버 수용홈(104)에 수납되거나, 또는 수납상태에서 해제되더라도 주 전극(103)과 충전 배터리(109)의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 해제 상태를 유발하지 않는다.
도 6은 도 5의 E 방향에서 바라본 보조 전극의 단자의 일 예에 대한 참조 도면을 도시한다.
먼저, 도 6의 (a)는 보조 전극(108)의 제1실시예에 따른 측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6의 (a)를 참조하면, 보조 전극(108)은 비 전도성의 기판(108a3), 기판(108a3) 상에 형성되는 전도성의 전극 패드(108a1), 전극 패드(108a1) 중심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 전극(108a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극 패드(108a1)는 기판(108a3)의 일 측면을 따라 가설되는 도선에 의해 플랙시블 케이블(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108a3)에 가설되는 도선은 기판(108a3)에 홈을 형성하고, 형성된 홈에 도전성 물질을 충진하여 형성되거나, 플랙시블 케이블(120)과 동일한 재질의 도선이 기판(108a3)의 일 측면을 따라 부착되는 형태일 수 있다. 다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6의 (b)는 기판(108a3)의 일 영역에 돌출 영역(108a5)이 형성되고, 돌출 영역(108a5)의 일 면에는 도전성 재질이 코팅되어 보조 전극(108)의 단자를 형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의 (b)는 기판(108a3)이 돌출 영역(108a5)의 형성이 가능한 연성 재질일 필요가 있으며, 돌출 영역(108a5)의 일 측면에는 전도성 재질이 코팅되거나, 금속 박판이 부착되는 형태로 단자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의 (c)는 비 전도성 기판(108a3)상에 홀을 형성하고, 형성된 홀에 전도성 재질을 리벳 접합하여 단자를 형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리벳 접합된 단자(108a7)는 기판(108a3)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충전 배터리(109)의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단자로서 그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101 : 케이스 102 : 배터리 수용부
103 : 주 전극 105 : 배터리 커버
106, 107 : 폴 대의 종단 109 : 충전 배터리
109a : 충전 배터리 단자 110 : 방전 배터리
111 : 방전 배터리 단자

Claims (9)

  1. 본체에 형성되며 주 전극이 마련되는 배터리 수용부; 및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일 측에 마련되는 제1힌지 및 제2힌지와 힌지 결합하여 상기 배터리 수용부를 향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삽입할 충전 배터리의 전원단자와 접촉하는 보조 전극을 구비하는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서 기 장착된 방전 배터리를 탈착하기 전, 상기 보조 전극을 상기 충전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배터리 수용부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방전 배터리를 교체 시, 전원 오프 상태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배터리 및 상기 충전 배터리는 각각,
    상기 주 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전극과 상기 보조 전극의 단자는,
    각각 양(+) 단자 및 음(-) 단자를 구비하며, 동일 극성 단자끼리는 전기적으로 연결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용부는,
    상기 방전 배터가 수납되는 수납영역 내에 힌지 홈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는 상기 힌지 홈에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제1힌지와 힌지 결합하는 제1 폴(pole);
    상기 제2힌지와 힌지 결합하는 제2 폴 및
    상기 제1폴 및 상기 제2폴을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제1 폴에서 상기 배터리 수용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충전 배터리에 마련되는 단자와 동일 개수의 + 1단자, - 단자 및 제어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충전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커버에 안착될 때, 상기 충전 배터리의 + 단자, - 단자 및 제어 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에는,
    상기 보조 전극의 단자들을 상기 주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플렉시블 케이블이 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안착된 후, 상기 충전 배터리 단자의 일 영역은 상기 주 전극과 접촉하고,
    상기 단자의 타 영역은 상기 보조 전극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9. 본체에 형성되며 주 전극이 마련되는 배터리 수용부; 및
    상기 주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수용부와 독립적으로 충전 배터리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 전극을 구비하는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충전 배터리가 상기 보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주 전극으로 상기 충전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서 방전 배터리가 제거될 때 배터리 교체에 따른 전원 오프 상태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KR1020120114009A 2012-10-15 2012-10-15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KR101420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009A KR101420090B1 (ko) 2012-10-15 2012-10-15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009A KR101420090B1 (ko) 2012-10-15 2012-10-15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826A true KR20140047826A (ko) 2014-04-23
KR101420090B1 KR101420090B1 (ko) 2014-07-17

Family

ID=50654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009A KR101420090B1 (ko) 2012-10-15 2012-10-15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0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591A (ko) 2016-12-01 2018-06-11 신승민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90028868A (ko) * 2017-09-11 2019-03-20 신승민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986B1 (ko) 2015-11-17 2023-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시스템 및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8284A (ko) * 2005-05-16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너팩 배터리가 회동 결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00268A (ko) * 2005-06-27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개 배터리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의복수개 배터리 절환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591A (ko) 2016-12-01 2018-06-11 신승민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90028868A (ko) * 2017-09-11 2019-03-20 신승민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0090B1 (ko) 2014-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8247B2 (en) Removable and replaceable docking unit
US7728549B2 (en) Battery pack including an emergency back-up battery for use in mobile electronic devices
US10630102B2 (en) Battery device for uninterrupted power supply and electronic device with such a battery device
KR100685115B1 (ko) 배터리 팩
KR101437948B1 (ko)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
KR101420090B1 (ko)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CN101901888A (zh) 更换电池不断电的电子装置
JP2008112654A (ja) 二次電池装置および携帯型電子機器
CN105071507A (zh) 一种表带单元和包括表带单元的表带及具有表带的电子设备
US921937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pack
US20090051318A1 (en) Pass Around Electrical Contacts
CN101782184A (zh) 通过蓄电池单元或电池供电的设备和装备该设备的灯具
KR101290321B1 (ko) 유에스비 포트와 충전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KR20180062591A (ko)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JP2010140857A (ja) 電池パックユニット
JPH11155239A (ja) 二次電池の充電装置
KR20150073471A (ko) 보조배터리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101955772B1 (ko) 휴대폰과 연결 가능한 결합부재를 갖는 보조배터리
EP1885010B1 (en) Battery pack with nondirectional terminal
KR20150124522A (ko) 교체 전극을 이용하여 전원 강제 중단 없이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 및 그 방법
JP3112606U (ja) 取り外し可能タイプの電池モジュールを具えたブルートゥース(登録商標)通信イヤフォン
CN210093177U (zh) 具有双供电系统的太阳能电池盒
JP4234054B2 (ja) 充電器ホルダ
KR101631014B1 (ko) 가분형 축전장치
KR200393649Y1 (ko) 충전용 밧데리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