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432A - 분리형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7432A
KR20140047432A KR1020120113725A KR20120113725A KR20140047432A KR 20140047432 A KR20140047432 A KR 20140047432A KR 1020120113725 A KR1020120113725 A KR 1020120113725A KR 20120113725 A KR20120113725 A KR 20120113725A KR 20140047432 A KR20140047432 A KR 20140047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suction
connection terminal
electronic switch
module
suc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4775B1 (ko
Inventor
민환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강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강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강샘스
Priority to KR1020120113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775B1/ko
Publication of KR20140047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89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systems, e.g. for prevention of motor over-heating or for protection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분리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부하나 단락시에 회로를 보호할 수 있는 다용도 분리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진공청소기는 제어부와, 전원부와, 표시부와, 조작부와, 일면에 설치된 제1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진공흡입모듈과; 자외선 램프와, 브러시모터와, 일면에 상기 진공흡입모듈의 제1 접속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진공흡입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제2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침구청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흡입모듈이 상기 침구청소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흡입모듈은 제1 접속단자의 전방에 설치된 전자스위치와, 과전류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전류 감지센서의 과전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자스위치를 차단하여 침구청소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진공 청소기{SEPARABLE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다용도 분리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부하나 단락시에 회로를 보호할 수 있는 다용도 분리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침구류의 먼지를 청소하면서 동시에 침구류에 기생하는 집먼지 진드기 등과 같은 해충이나 병원균을 자외선으로 살균하기 위한 침구류 진공청소기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침구류를 전용 청소기는 자외선 램프와, 침구류를 타격하기 위한 타격수단, 및 진공 흡입수단을 구비한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29341호에는 분리형 진공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분리형 진공청소기는 자외선 램프등이 설치된 침구용 먼지흡입부(침구청소모듈)와, 침구용 먼지흡입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진공흡입부(진공흡입모듈)로 구성된다. 침구용 먼지흡입부에는 자외선 램프 이외에 타격부나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브러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침구용 먼지흡입부와 진공흡입부 각각 설치된 접속 단자를 통하여 진공흡입부로부터 침구용 먼지흡입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침구류를 청소하기 않을 경우에 진공흡입부를 침구용 먼지흡입부에서 분리하여 차량 등을 청소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분리형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안전 기능을 개선한 분리형 진공청소기에 대한 요구가 있다.
다용도 분리형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중요한 제어회로와 전원회로는 진공흡입모듈에 대부분 설치되어 있고, 침구청소모듈에는 자외선 램프와 브러시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침구청소모듈은 진공흡입모듈에 설치된 접속단자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고, 진공흡입모듈의 접속단자는 전압이 인가된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분리형 진공청소기의 사용중에 진공흡입모듈의 접속단자가 단락되어 과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원회로와 제어회로가 고장이 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침구청소모듈의 브러시에 이물질이 끼어서 브러시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에 과부하가 걸려서 고장이 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분리형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외부로 노출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통하여 과전류가 흐를 경우, 이러한 과전류에 대한 보호 기능을 갖는 분리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진공청소기는 제어부와, 전원부와, 표시부와, 조작부와, 일면에 설치된 제1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진공흡입모듈과; 자외선 램프와, 브러시모터와, 일면에 상기 진공흡입모듈의 제1 접속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진공흡입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제2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침구청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흡입모듈이 상기 침구청소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흡입모듈은 제1 접속단자의 전방에 설치된 전자스위치와, 과전류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전류 감지센서의 과전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자스위치를 차단하여 침구청소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진공청소기는 제1 접속단자가 단락이 된 경우에 진공흡입모듈의 전자 스위치를 차단하여 진공흡입모듈 내부의 전원부와 제어부를 보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청소기는 브러시에 이물질이 끼여서 침구청소모듈의 브러시 모터에 과부하가 걸린 경우 진공흡입모듈의 전자 스위치를 차단하여 진공흡입모듈의 전원부와 제어부를 보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진공청소기는 제어부가 차단된 전자스위치를 일정시간 경과 후(예를 들면, 3초, 5초 등)에 다시 연결되도록 하여 일시적인 이상인 경우에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진공청소기는, 제어부가 전자스위치의 차단 회수를 연산하여, 차단 회수가 일정 회수 이상인 경우에 차단된 전자 스위치를 연결하지 않고, 상기 조작부에서 리셋 입력 신호를 받은 경우에 한하여 차단된 전자 스위치를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진공청소기는, 상기 침구청소모듈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면에 제3 접속단자가 설치된 크래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진공흡입모듈에는 상기 크래들의 제3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제4 접속단자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접속단자와 제4 접속단자는 상기 침구청소모듈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진공청소기는, 진공흡입모듈에 전원부와 제어부를 보호하기 위한 전자 스위치와 과전류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과전류 센서 센서가 제1 접속단자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에서 과전류가 흐를 경우 전자스위치를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 중에 진공흡입모듈의 제1 접속 단자가 단락된 경우나 침구 청소모듈의 브러시 모터에 과부하가 걸린 경우에 전자스위치를 차단하여 전원부나 제어부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진공청소기는, 크래들을 더 포함하고, 진공흡입모듈이 장착된 침구청소모듈은 크래들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크래들은 진공흡입모듈의 전원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3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진공흡입모듈에는 제3 접속단자에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제4 접속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제3 전속단자와 제4 접속단자는 침구청소모듈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접속하도록 되어 있어서 컴팩트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진공청소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리형 진공청소기의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제어부에서 과전류를 차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진공청소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리형 진공청소기의 회로의 블록도이다. 분리형 진공청소기(100)는 크래들(10)과, 크래들(1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침구청소모듈(20)과, 침구청소모듈(2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이 가능한 진공흡입모듈(30)을 포함한다.
크래들(10)은 분리형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진공흡입모듈(30)에 전력을 충전하고, 진공흡입모듈(30)이 장착되는 침구청소모듈(20)을 보관하는 장소이다. 크래들(10)은 전원공급모듈(SMPS)과 플러그(41)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고, 크래들(10)의 상부에는 진공흡입모듈(30)에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3 접속 단자(11)가 설치되어 있다.
침구청소모듈(20)에는 브러시(미도시)를 구동하기 위한 제2 모터(22)와 살균을 위한 자외선 램프(23)가 설치되어 있고, 제3 접속단자가 통과되기 위한 관통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진공흡입모듈(30)이 장착되는 면에는 제2 접속단자(21)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접속단자는 진공흡입모듈(30)이 침구청소모듈에 장착된 상태에서 침구류를 청소할 경우 진공흡입모듈(30)의 내부에 장착된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이다. 브러시 구동모터(22)와 자외선 램프(23)는 제2 접속단자(11)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침구청소모듈(20)에는 관통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24)은 크래들(10)에 설치된 제3 접속단자(11)가 통과하여 진공흡입모듈(30)에 설치된 제4 전속단자(32)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진공흡입모듈(30)의 침구청소모듈(20)을 향하는 장착면에는 제1 접속단자(3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진공흡입모듈(30)의 내부에는, 진공 흡입을 위한 제1 모터(39)와, 청소모듈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5)와, 진공흡입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2)와, 진공흡입모듈(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 설치된 조작부(34)와, 밧데리를 포함하는 전원부(3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원부(33)는 자동차의 시거잭에 케이블로 연결되여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입력단자(38)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진공흡입모듈(30)의 장착면에는 제4 접속 단자(32)가 설치되어 있다. 제4 접속단자(32)는 크래들(10)의 제3 접속단자와 접촉하여 전원부에 충전할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이다.
제1 접속단자(31)는 전원부(33)에 연결되어 있고, 침구청소모듈(20)에 장착된 경우 제2 접속단자(21)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원부(33)와 제1 접속단자 사이에는 전자 스위치(36)와 과전류 감지 센서(37)가 설치되어 있다. 과전류 감지센서(37)는 전원부에서 제1 접속단자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한다. 전자 스위치(36)는 전력제어용 FET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32)에서 명령으로 차단과 연결의 제어가 가능한 스위치 소자는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제1 접속단자(31)는 침구청소모듈(20)로 전력을 공급하는 단자이다. 진공흡입모듈(30)을 침구청소모듈(20)에서 분리하여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제2 접속단자에는 전압이 인가된 상태로 외부로 노출된다. 외부로 노출된 제1 접속단자(31)가 단락된 경우 과전류가 흘러서 내부의 제어회로와 전원회로가 손상될 염려가 있다. 본 실시예의 진공흡입모듈(30)은 과전류 감지 센서(37)와 전자 스위치(36)가 전원부(33)와 제1 접속 단자(31)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서, 제1 접속단자(31)가 단락되어 과전류가 흐를 경우에 제어부(32)에서 전자스위치(36)를 차단하여 내부의 회로를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진공흡입모듈(30)을 침구청소모듈(20)에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 침구청소모듈(20)의 브러시에 이물질이 끼인 경우 브러시를 구동하기 위한 제2 모터(22)에 과부하가 걸려서 모터(22)가 손상되거나 전원부(33) 또는 제어부(32)가 손상될 염려가 있다. 모터(22)에 과부하가 걸려서 과전류가 흐를 경우, 제어부(32)에서 전자스위치(36)를 차단하여 모터(22)와 진공흡입모듈(30) 내부의 회로를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제1 접속 단자(31)로 과전류가 흐를 경우 제어부에서 과전류를 차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진공흡입모듈이 작동되면, 과전류 감지센서(37)는 제1 접속단자(31)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감지한다(S100). 과전류 감지센서(37)에서 과전류 신호를 감지하면(S110), 제어부(32)는 과전류 보호를 위한 전자스위치(36)를 차단한다. 만약 전자스위치를 차단한 회수가 3회 미만이면(S140), 5초가 경과한 후에(S150), 전자스위치를 다시 연결한다(S160). 진공청소기가 일시적인 장애로 과전류가 흐르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될 경우이다. 그러나 전자 스위치를 차단한 회수가 3회 이상이면, 조작부(34)의 리렛 버튼(미도시)이 눌려질 때까지 전자 스위치를 오프한 상태로 작동을 정지하고 대기한다. 사용자가 진공청소기의 상태를 점검하고(예를 들면 제1 접속단자의 단락 상태를 제거하거나, 브러시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여 모터의 과부하를 없에는 조치를 한 경우), 리셋 버튼을 누르면(S170), 과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전자 스위치(36)를 온 상태로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진공청소기는, 진공흡입모듈에 전원부와 제어부를 보호하기 위한 전자 스위치와 과전류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과전류 센서 센서가 제1 접속단자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에서 과전류가 흐를 경우 전자스위치를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 중에 진공흡입모듈의 제1 접속 단자가 단락된 경우나 침구 청소모듈의 브러시 모터에 과부하가 걸린 경우에 전자스위치를 차단하여 전원부나 제어부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진공청소기는, 크래들을 더 포함하고, 진공흡입모듈이 장착된 침구청소모듈은 크래들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크래들은 진공흡입모듈의 전원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3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진공흡입모듈에는 제3 접속단자에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제4 접속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제3 전속단자와 제4 접속단자는 침구청소모듈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접속하도록 되어 있어서 컴팩트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10 크래들
11 제3 접속단자
20 침구청소모듈
21 제2 접속단자
22 제2 모터
23 자외선 램프
30 진공흡입모듈
31 제1 접속단자
32 제4 접속단자
40 SMPS
41 플러그

Claims (5)

  1. 제어부와, 전원부와, 표시부와, 조작부와, 일면에 설치된 제1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진공흡입모듈과; 자외선 램프와, 브러시 구동 모터와, 일면에 상기 진공흡입모듈의 제1 접속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진공흡입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제2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침구청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흡입모듈이 상기 침구청소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분리형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입모듈은 제1 접속단자의 전방에 설치된 전자스위치와, 과전류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전류 감지센서의 과전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자스위치를 차단하여 침구청소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시간 경과 후에 상기 차단된 전자스위치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진공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자스위치의 차단 회수를 연산하여, 차단 회수가 일정 회수 이상인 경우에 차단된 전자 스위치를 연결하지 않고, 상기 조작부에서 리셋 입력 신호를 받은 경우에 차단된 전자 스위치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진공청소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구청소모듈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면에 제3 접속단자가 설치된 크래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진공흡입모듈에는 상기 크래들의 제3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제4 접속단자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진공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침구청소모듈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접속단자와 제4 접속단자는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서로 접촉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진공청소기.
KR1020120113725A 2012-10-12 2012-10-12 분리형 진공 청소기 KR101424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725A KR101424775B1 (ko) 2012-10-12 2012-10-12 분리형 진공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725A KR101424775B1 (ko) 2012-10-12 2012-10-12 분리형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432A true KR20140047432A (ko) 2014-04-22
KR101424775B1 KR101424775B1 (ko) 2014-08-01

Family

ID=50654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725A KR101424775B1 (ko) 2012-10-12 2012-10-12 분리형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7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29435A (zh) * 2020-05-06 2021-11-09 杭州海康机器人技术有限公司 机器人充电座和清除导电组件表面水汽的方法
WO2022069871A1 (en) * 2020-09-30 2022-04-07 Dyson Technology Limited Self-cleaning vacuum cleaner
WO2022069872A1 (en) * 2020-09-30 2022-04-07 Dyson Technology Limited Self-cleaning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1959B2 (ja) * 1994-12-12 2002-11-0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20000013040U (ko) * 1998-12-23 2000-07-15 전주범 플래시 기능을 가지는 충전식 진공청소기
KR101129341B1 (ko) * 2011-07-07 2012-03-27 주식회사 텍포러스 분리형 진공청소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29435A (zh) * 2020-05-06 2021-11-09 杭州海康机器人技术有限公司 机器人充电座和清除导电组件表面水汽的方法
CN113629435B (zh) * 2020-05-06 2023-11-03 杭州海康机器人股份有限公司 机器人充电座和清除导电组件表面水汽的方法
WO2022069871A1 (en) * 2020-09-30 2022-04-07 Dyson Technology Limited Self-cleaning vacuum cleaner
WO2022069872A1 (en) * 2020-09-30 2022-04-07 Dyson Technology Limited Self-cleaning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4775B1 (ko) 2014-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230302A (ja) 電気掃除装置
EP2113182B1 (en) Vacuum cleaner control system
KR101424775B1 (ko) 분리형 진공 청소기
WO2014112399A1 (ja) 電池駆動式掃除機
JP6139725B2 (ja) 電気掃除装置
JP5251815B2 (ja) 歩行型作業機
CA2505332C (en) Thermal protection system for electrical appliance
ES2669222T3 (es) Procedimiento para el desarrollo de un seguro de transporte así como aparato eléctrico accionado por acumulador
ES2543723T3 (es) Dispositivo de tratamiento de aire y procedimiento para el funcionamiento del dispositivo de tratamiento de aire
WO2015025470A1 (ja) 電気掃除機
CN109640774B (zh) 电动吸尘器
ES2527593T3 (es) Módulos y dispositivos seccionadores interruptores fusibles controlados electrónicamente
WO2007039427A3 (de) Trennschaltervorrichtung zum trennen eines elektrischen stromkreises eines fahrzeugs von einer elektrischen stromquelle
JP2011092148A (ja) 歩行型作業機
DK2919634T3 (en) ENERGY SUPPLY DEVICE FOR A SUGAR AND SUGAR
JP2005160578A (ja) 電気掃除機
JP5961440B2 (ja) 電気機器
TW201825035A (zh) 電動吸塵器
US9337759B2 (en) Circuit for activating an electric motor in a hand guided work apparatus
JP2021023698A (ja) 電気掃除機
JP2007105275A (ja) 電気掃除機
JPH0731050A (ja) 感電防止装置
JP7056755B2 (ja) 電池パ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機器
JP2003204908A (ja) 電気掃除機
JP2003219997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