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345A - 의료 디바이스에서의 응급 생체 데이터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 디바이스에서의 응급 생체 데이터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7345A
KR20140047345A KR1020120113497A KR20120113497A KR20140047345A KR 20140047345 A KR20140047345 A KR 20140047345A KR 1020120113497 A KR1020120113497 A KR 1020120113497A KR 20120113497 A KR20120113497 A KR 20120113497A KR 20140047345 A KR20140047345 A KR 20140047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data
emergency
data
policy
prio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숙
변철우
손연주
박숙지
안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113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7345A/ko
Publication of KR20140047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3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복수의 의료 디바이스로부터 응급 생체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의료 디바이스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의 응급 생체 데이터의 관리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의료 디바이스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생체 데이터가 정상 범위의 수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의료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생체 데이터가 정상 범위 수치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하면 해당 생체 데이터에 대응하는 응급 정책을 조회하는 단계; 조회된 응급 정책에 따라 상기 의료 디바이스에 관련된 설정을 변경하는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변경된 설정에 따라 상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디바이스의 응급 생체 데이터의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응급 상황을 즉각적으로 인지하고 응급 상황에 따라 응급 생체 데이터를 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의료 디바이스에서의 응급 생체 데이터 관리 방법{Management Methods for Emergency Biological Data of Health Devices}
본 발명은 퍼스널 헬스 디바이스(Personal Health Device; PHD)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PHD 디바이스로부터의 응급 생체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상에서 인간의 개입 없이 또는 최소한의 개입만으로 기기간 또는 사물간 통신에 의해 생체, 환경, 기기 등의 다양한 정보 수집 및 가공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는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게 되었다.
소위 M2M(machine to machie)이라 불리는 이 기술은 다양한 방면에 적용되고 있는데, 헬스케어(health care) 분야도 그 중의 중요한 한 분야이다.
현재, 헬스케어 분야의 M2M 기술의 적용 범위는 주로 환자 또는 피감시자의 생체 정보나 생활 환경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생체 정보 모니터링의 경우 환자의 위급 상태를 즉각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환자의 생체데이터를 소수의 의료진이 관리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고, 환자의 응급 상황을 인지하는 데 지연이 발생하거나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한계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의료 디바이스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환자의 응급 상황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응급 생체 데이터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생체 데이터의 측정 주기를 달리함으로써 환자의 응급 상황을 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응급 생체 데이터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의료 디바이스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의 응급 생체 데이터의 관리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의료 디바이스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생체 데이터가 정상 범위의 수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의료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생체 데이터가 정상 범위 수치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하면 해당 생체 데이터에 대응하는 응급 정책을 조회하는 단계; 조회된 응급 정책에 따라 상기 의료 디바이스에 관련된 설정을 변경하는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변경된 설정에 따라 상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디바이스의 응급 생체 데이터의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응급 정책은 상기 복수의 의료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 전송의 우선 순위를 기초로 규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응급 정책은 상기 우선 순위가 부여된 디바이스에 대한 배타적 접속을 보장하도록 규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전송 단계에서의 상기 메시지는 우선 순위가 부여되지 않은 디바이스의 생체 데이터를 해당 디바이스에 저장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응급 정책은 상기 복수의 의료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의 전송 주기를 기초로 규정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응급 정책은 상기 디바이스들에 대한 상대적 전송 순위를 규정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전송 단계에서의 상기 메시지는 정상 범위를 벗어난 생체 데이터를 전송한 디바이스에 대하여 보다 짧은 데이터 전송 주기를 갖도록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정상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한 생체 디바이스에 대하여 보다 긴 데이터 전송 주기를 갖도록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응급 정책은 상기 응급 생체 데이터의 종류 또는 속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응급 정책은 측정된 생체 데이터의 종류 및 생체 데이터값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전 설정된 응급 정책에 기초하여 각 디바이스의 응급 생체 데이터를 판별하고 이를 전송하게 함으로써, 복수의 디바이스가 공존하는 때에 특정 디바이스의 응급 데이터의 원활한 전송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응급 상황에 있는 환자의 특정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인접 디바이스의 설정을 제어함으로써 응급 데이터가 원활히 전송될 수 있도록 데이터 전송 환경을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응급 정책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응급 상황 판단 가능하게 되어, 응급 상황 발생시 응급 생체 데이터 측정주기 단축 및 디바이스 우선순위 설정을 통해 생체 데이터 취득에 있어서 고정확성 및 고신뢰성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 디바이스를 착용한 응급 환자(부정맥, 고혈압, 저혈당증 등)를 원격으로 모니터링 가능하게 되고, 의료 기관은 측정된 데이터를 토대로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 디바이스의 측정 우선 순위 및/또는 측정 주기를 시의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통신망의 대역폭 제한과 무관하게 즉각적인 응급 생체 데이터의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급 관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우선 순위 해제시의 복귀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게이트웨이에 저장되는 우선 순위 정보 테이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우선 순위 정보 테이블의 다른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생체 데이터 측정 정책의 적용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절차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복수의 의료 디바이스들(110, 120), 게이트웨이(200), 응급 관리 서버(400) 및 PHR(Personal Health Record; 500)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의료 디바이스들(110, 120)은 각각 사용자 또는 환자의 신체에 매우 근접한 위치에 있거나 착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의료 디바이스들은 신체에 삽입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의료디바이스들은 각각 혈당, 혈압,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EEG), 산소포화도(SpO2) 등과 같은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의료 디바이스들(110, 120)은 통신 링크를 통해 게이트웨이(200)와 접속한다. 상기 통신 링크는 바람직하게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5.x, Zigbee,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ROLL(Routing Over Low power and Lossy networks), ISA(International Society of Automation) 100.11a 등과 같은 개인 통신망(Personal Area Network, PAN), 또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M-BUS(Meter-BUS), 무선 M-BUS, KNX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의료 디바이스들은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300)에 접속된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300)는 xDSL(Digital Subscriber Line), HFC(Hybrid Fiber Coaxial),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위성, GERAN(GSM EDGE Radio Access Network),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CDMA/WCDMA 또는 GSM/GPRS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상기 의료 디바이스들이 게이트웨이를 경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개시한 내용 중 최소한 일부는 상기 의료 디바이스들이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직접 상기 응급 관리 서버(400)로 접속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200)에는 상기 복수의 의료 디바이스들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고, 응급 상황을 관리하는 응급 관리 서버(Emergency Management Server; EMS; 400)가 접속된다. 상기 의료 디바이스들로부터의 생체 정보는 퍼스널 헬스 레코드(Personal Health Record; PHR) 서버와 같은 외부 서버에 전송되어 의료 데이터로 관리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응급 관리 서버(400)는 전송된 생체 정보 또는 생체 데이터를 분석하여 환자의 생체 데이터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200) 및/또는 상기 의료 디바이스(110, 120)의 생체 데이터 전송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측정 디바이스(110)는 검출부(111), 디스플레이(112), 입력부(113), 통신부(114) 및 메모리(1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111)는 환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한다. 상기 검출부(111)는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데, 예시적으로 상기 검출부는 체온, 혈압, 혈당, 심전도(ECG), 뇌전도(EEG) 또는 산소포화도(SpO2) 등의 생체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한 일련의 콤포넌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12)는 측정된 생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3)는 디바이스의 구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입력부(113)는 구동 스위치 및 복수의 키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입력부(113)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디바이스의 측정 주기를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통신부(114)는 측정된 생체 정보를 게이트웨이로 전달한다. 상기 통신부(114)는 블루투스, 지그비(Zigbee)와 같은 통신을 지원하여 퍼스널 에어리어 네트워크(Personal Area Network; PAN) 또는 바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ody Area Network)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본 발명에서 상기 통신부(114)가 이동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음을 당업자라면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통신부(114)는 디바이스와 디바이스간 통신에 필요한 통신 채널을 연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모리(115)는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115)는 상기 검출부의 검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디바이스(110)는 각 구성 부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6)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116)는 검출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검출부(111)의 검출 주기를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116)를 포함한 측정 디바이스의 일부 구성은 생체 정보의 검출, 전송 및 디스플레이에 적합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급 관리 서버(EMS; 4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급 관리 서버(400)는 일련의 기능 모듈과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응급 관리 서버(400)는 측정 데이터 해석부(410), 디바이스 설정부(420) 및 응급 정책 관리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정 데이터 해석부(410)는 의료 디바이스(110, 120)로부터 수신된 생체 데이터를 해석한다. 상기 측정 데이터 해석부(410)는 생체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그 측정치가 소정의 정상 구간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해석한다.
상기 응급 정책 관리부(430)는 상기 정상 구간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생체 데이터에 대한 응급 정책을 관리한다.
본 발명에서 응급 정책 관리부(430)에서 관리되는 응급 정책으로는 디바이스의 측정 우선순위 정책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급 정책 관리부(430)는 디바이스의 측정주기 등을 포함하는 측정정책을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급 정책 관리부(430)는 우선순위 정책 관리부(432)와 측정 정책 관리부(4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응급 정책의 관리를 위해, 상기 응급 관리 서버(400)는 그 구성의 일부로써 또는 이와 별도로 응급 정책 데이터베이스(Policy Data Base; PDB; 4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응급 정책 데이터베이스(450)는 생체 데이터에 대응하여 응급 정책이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응급 정책 데이터베이스(450)는 다음의 사항을 관리할 수 있다.
- 생체 데이터의 종류
- 생체 데이터별 전송되는 데이터량의 크기, 측정 주기 등을 포함하는 측정 데이터 속성
- 생체 데이터별 임계치를 포함하는 정상 구간
- 생체 데이터별 임계치를 벗어나는 생체 데이터에 대한 응급 정책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응급 정책 데이터베이스(450)의 응급 정책은 다음의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응급 정책은 정상구간을 벗어나는 데이터값에 대한 우선 순위 설정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선 순위의 설정은 해당 디바이스의 측정 데이터를 다른 측정 데이터에 비해 우선적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응급 정책은 상기 생체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우선 순위의 설정 여부를 달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높은 트래픽을 유발하는 생체 데이터 즉 ECG, EEG, SpO2 데이터 등의 경우에는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낮은 트래픽을 유발하는 생체 데이터 즉 혈압, 혈당 데이터 등의 경우에는 우선 순위를 부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응급 정책은 디바이스에 대한 측정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정 정책은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의 측정 주기의 제어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측정 정책은 수신된 생체 데이터의 값에 따라 측정 주기를 변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측정 정책은 수신된 생체 데이터가 임계값에 가까워지면 짧은 측정 주기로 설정하게 하고, 생체 데이터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보다 짧은 측정 주기로 설정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 정책은 임계값에 근접 또는 초과한 생체 데이터의 측정 주기를 변경하는 경우 해당 디바이스가 속한 게이트웨이의 다른 디바이스의 측정 주기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측정 정책은 하나의 디바이스 측정 주기를 단축하는 경우 다른 디바이스의 측정 주기를 연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 대한 측정 주기의 변경은 해당 디바이스의 생체 데이터의 종류 및 속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응급 정책 관리부(430)는 상술한 응급 정책 데이터베이스(PDB)를 참조하여 응급 정책을 관리한다. 도면에서, 상기 응급 정책 관리부(430)는 우선순위정책 관리부(432)와 측정정책 관리부(434)로 나뉘어져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 구성은 통합될 수도 있다. 또한, 우선순위 변경 및 측정 주기 제어에 관련된 상기 응급 정책은 통합되어 운영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응급 정책은 특정 디바이스의 측정치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이에 근접하는 경우 해당 디바이스에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디바이스의 측정 주기를 짧게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이 경우 상기 응급 정책은 다른 디바이스의 낮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측정 주기를 길게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급 정책 관리부(430)는 상기 응급 정책 데이터베이스(450)의 응급 정책을 조회하여 이를 디바이스 설정부(420)로 전달한다. 상기 디바이스 설정부(420)는 상기 의료 디바이스(110, 120) 및/또는 게이트웨이(200)가 해당 디바이스의 설정값을 변경하도록 디바이스 설정값을 작성하고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로 게이트웨이(200)의 우선순위 설정 테이블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게이트웨이(200)는 디바이스 설정값을 저장하고, 디바이스 설정값에 따른 측정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게이트웨이(200)는 적절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 상기 게이트웨이(200)는 모바일 폰, PDA 등의 모바일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200)의 메모리에는 도 4의 설정 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200)는 저장된 설정값을 기초로 복수의 의료 디바이스(110, 120)와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생체 데이터를 전송 받는다.
도 4의 상측 도면은 우선 순위 설정 전의 우선순위 설정 테이블을 예시하고 있다. 우선순위 설정 테이블은 대응 기기에 대하여 우선순위 항목이 부여되어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 우선순위 항목의 값은 우선순위의 설정 여부를 나타낸다. “null”로 표시된 값은 우선순위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를 예시한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200)는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에 응답하여 해당 데이터를 응급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디바이스별 우선 순위는 고려되지 않는다.
도 4의 하측 도면은 우선 순위 결정 후의 우선순위 설정 테이블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특정 디바이스(예컨대 디바이스 ID “IPxxx1”)의 우선 순위가 “1”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우선순위 항목의 값 “1”은 다른 디바이스에 대한 최우선의 연결을 나타낸다. 이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200)는 IPxxx1 이외의 다른 디바이스와는 통신 채널이 연결되지 않도록 동작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게이트웨이(200)가 복수의 데이터 통신 채널의 연결이 가능한 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200)는 최소한 하나의 데이터 채널을 상기 IPxxx1에 할당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상 도 4는 우선순위 설정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고, 상기 우선순위 테이블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우선순위 테이블의 우선순위 항목의 값은 여러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레벨은 상대적인 순위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게이트웨이(200)는 이에 근거하여 최우선 우선의 디바이스, 차선 순위의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전송이 순차적으로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우선순위 설정 테이블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IPxxx1 이외에 IPxxx3에도 우선순위 항목의 값 “1”이 할당되어 있다. 이 경우 IPxxx2 및 IPxxx2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은 배제될 수 있고, 전송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IPxxx1과 상기 IPxxx3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디바이스에 대한 우선순위의 설정 및 복귀 절차를 설명한다.
먼저, 도 6은 의료 디바이스의 전송 데이터로부터 디바이스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예컨대 두 개의 의료 디바이스(D1, D2)로부터 각각 생체 데이터(1) 및 생체 데이터(2)가 전송된다(S102, S104). 게이트웨이(GW)는 전송된 생체 데이터를 응급 관리 서버(EMS)로 전달한다(S106, S108).
응급 관리 서버(EMS)는 전송된 생체 데이터를 PHR로 전송(S110)하는 한편, 각각의 생체 데이터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분석한다(S112). 분석 결과, 어떤 디바이스의 생체 데이터 예컨대 생체 데이터(1)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응급 관리 서버(EMS)는 우선순위 정책을 조회한다(S114). 조회 결과, 디바이스의 우선순위 설정이 필요한 경우, 상기 응급 관리 서버(EMS)는 상기 게이트웨이(GW)에 우선순위 설정 변경 요청을 전송한다(S116).
우선순위 설정 변경 요청이 전송되면, 상기 게이트웨이(GW)는 해당 디바이스(D1)의 우선순위를 변경된 값으로 설정한다(S118). 이어서, 상기 게이트웨이(GW)는 상기 게이트웨이(GW)에 등록된 디바이스에 디바이스 우선순위가 설정되었음을 알린다(S120, S122).
전술한 우선순위 설정 통보(S122)는 다른 디바이스(D2)에 대해서는 측정된 생체 데이터의 전송을 유보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우선순위 설정 통보를 받은 다른 디바이스(D2)는 설정된 측정 주기에 따라 생체 정보를 측정하되 측정된 데이터를 자신의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S124).
우선순위 설정 통보 후 게이트웨이(GW)는 디바이스(D1)에 대한 배타적인 접속을 허용하여 디바이스(D1)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한다(S126). 물론, 이와 달리, 상기 게이트웨이(GW)의 우선 순위는 디바이스들간의 상대적인 접속 순위를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어서, 게이트웨이(GW)는 전송된 생체 데이터를 응급 관리 서버(EMS)로 전송하고(S128), 응급 관리 서버는 전송된 데이터를 다시 PHR로 전송할 수 있다(S130).
다음 도 7은 응급 상황 해제시 설정된 우선순위를 해제하고 복귀하는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응급 관리 서버(EMS)는 우선순위가 설정된 디바이스(D1)로부터 전송된 생체 데이터가 여전히 임계치를 초과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52). 만약, 생체 데이터가 정상 데이터 범위로 복귀한 것으로 판단되면(S156), 응급 관리 서버(EMS)는 우선 순위 정책을 조회한다(S156). 조회 결과, 우선순위 설정이 원래 상태로 복귀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응급 관리 서버(EMS)는 상기 게이트웨이(GW)로 우선순위 변경 요청을 전송한다(S158). 상기 우선순위 변경 요청은 전술한 우선순위 테이블의 우선순위 항목 값을 디폴트(즉 “null”)로 변경하는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게이트웨이(GW)는 디바이스에 대한 우선순위 설정값을 변경한다(S162). 상기 게이트웨이(GW)는 디바이스 우선순위 설정값을 변경하는 동시 또는 그 후속 절차로 접속이 제한되었던 디바이스(D2)에 대해 생체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S164). 전송 요청을 수신한 디바이스(D2)는 자산의 메모리에 저장된 생체 데이터를 상기 게이트웨이(GW)에 전송할 수 있다(S166).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게이트웨이(GW)는 우선순위 설정값의 복귀 사실을 각 디바이스에 통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 디바이스는 자신의 원래 측정 주기에 따라 생체 데이터를 상기 게이트웨이(GW)에 전송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측정 정책의 변경 절차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디바이스(D1)으로부터의 생체 데이터가 게이트웨이(GW)를 통해 전송되고(S202, S204), 전송된 데이터는 PHR 서버에 저장된다(S206).
응급 관리 서버(EMS)는 해당 생체 데이터가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8).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응급 관리 서버(EMS)는 측정 정책을 조회한다(S210). 응급 정책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된 측정 정책이 해당 디바이스의 측정 주기를 변경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응급 관리 서버(EMS)는 측정 정책 조회 결과로서 디바이스의 측정 주기에 대한 설정을 변경할 것을 요청한다(S212). 상기 측정 주기 설정 변경 요청에는 설정되어야 할 측정 주기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된다.
게이트웨이(GW)는 상기 응급 관리 서버(EMS)로부터 측정 주기 변경 요청을 받아, 이를 디바이스(D1)로 전송한다(S214).
상기 디바이스(D1)는 상기 측정 주기 변경 요청에 따라 디바이스의 측정 주기를 변경한다(S216). 측정 주기 변경이 완료되면, 상기 디바이스는 변경된 측정 주기에 따라 생체 데이터를 전송한다(S218, S220). 전송된 생체 데이터는 PHR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S224).
이상 설명한 측정 주기 변경 절차는 생체 데이터가 임계값을 초과한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한 것이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측정 주기 변경 절차는 다른 디바이스들 예컨대 해당 디바이스와 게이트웨이를 공유하는 다른 디바이스에 전송될 수 있다. 이들 다른 디바이스들은 보다 긴 측정 주기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요청이 응급 관리 서버(EMS)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 주기가 변경된 후 변경된 측정 주기에 따른 생체 데이터의 측정이 진행되는데, 상기 응급 관리 서버(EMS)는 전송된 생체 데이터에 대해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6). 이 때, 생체 데이터가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측정 주기는 원래 값으로 복귀하여야 한다. 물론, 이 때에도 복귀와 관련한 디바이스의 설정값은 본 발명의 응급 정책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될 수 있다. 상기 응급 관리 서버(EMS)는 측정 주기의 변경을 디바이스로 요청하고(S228, S230), 변경 요청을 접수한 디바이스(D1)는 전송된 값에 따라 디바이스의 설정을 변경한다(S232).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당업자가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포함된다.
110 의료 디바이스 120 의료 디바이스
111 검출부 112 디스플레이
113 입력부 114 통신부
115 메모리 116 제어부
200 게이트웨이 300 통신 네트워크
400 응급 관리 서버
410 측정 데이터 해석부 420 디바이스 설정부
430 응급 정책 관리부 432 우선순위 정책 관리부
434 측정정책 관리부 450 응급 정책 데이터베이스

Claims (10)

  1. 복수의 의료 디바이스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의 응급 생체 데이터의 관리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의료 디바이스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생체 데이터가 정상 범위의 수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의료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생체 데이터가 정상 범위 수치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하면 해당 생체 데이터에 대응하는 응급 정책을 조회하는 단계;
    조회된 응급 정책에 따라 상기 의료 디바이스에 관련된 설정을 변경하는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변경된 설정에 따라 상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디바이스의 응급 생체 데이터의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정책은 상기 복수의 의료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 전송의 우선 순위를 기초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생체 데이터의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정책은 상기 우선 순위가 부여된 디바이스에 대한 배타적 접속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생체 데이터의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단계에서, 상기 메시지는 우선 순위가 부여되지 않은 디바이스의 생체 데이터를 해당 디바이스에 저장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생체 데이터의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정책은 상기 복수의 의료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의 전송 주기를 기초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생체 데이터의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정책은 상기 디바이스들에 대한 상대적 전송 순위를 규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생체 데이터의 관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단계에서, 상기 메시지는 정상 범위를 벗어난 생체 데이터를 전송한 디바이스에 대하여 보다 짧은 데이터 전송 주기를 갖도록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응급 생체 데이터의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정상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한 생체 디바이스에 대하여 보다 긴 데이터 전송 주기를 갖도록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생체 데이터의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정책은 상기 응급 생체 데이터의 종류 또는 속성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생체 데이터의 관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정책은 측정된 생체 데이터의 종류 및 생체 데이터값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생체 데이터의 관리 방법.
KR1020120113497A 2012-10-12 2012-10-12 의료 디바이스에서의 응급 생체 데이터 관리 방법 KR201400473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497A KR20140047345A (ko) 2012-10-12 2012-10-12 의료 디바이스에서의 응급 생체 데이터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497A KR20140047345A (ko) 2012-10-12 2012-10-12 의료 디바이스에서의 응급 생체 데이터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345A true KR20140047345A (ko) 2014-04-22

Family

ID=50653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497A KR20140047345A (ko) 2012-10-12 2012-10-12 의료 디바이스에서의 응급 생체 데이터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73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684A (ko) * 2014-07-31 2016-02-15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혈당 및 심전도 통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WO2021194083A1 (ko) * 2020-03-26 2021-09-30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환자의 이상 반응 예측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684A (ko) * 2014-07-31 2016-02-15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혈당 및 심전도 통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WO2021194083A1 (ko) * 2020-03-26 2021-09-30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환자의 이상 반응 예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hovska et al. Smart connectivity for internet of things (IoT) applications
US8873419B2 (en) Link assessment before terminating alternate connection during heterogeneous network handovers
EP2884887B1 (en) Coordinator switching method for medical body area networks
JP5841424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動的データ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4208044A (ja) ワイヤレスの医療監視装置
US10491409B2 (en) Operat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performing intelligence negotiation
JP2012142937A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動的データ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Selem et al. E-Health applications over 5G networks: challenges and state of the art
Adibi et al. LTE networking: extending the reach for sensors in mHealth applications
Karunanithy et al. Edge device based efficient data collection in smart health monitoring system using wireless body area network
JP2012142930A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動的データ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Pirmagomedov et al. Dynamic data packaging protocol for real-time medical applications of nanonetworks
Dhanvijay et al. Energy aware MAC protocol with mobility management in wireless body area network
KR20140047345A (ko) 의료 디바이스에서의 응급 생체 데이터 관리 방법
Santos et al. A standard-based and context-aware architecture for personal healthcare smart gateways
Kumar et al. Bringing healthcare to doorstep using VANETs
Nirmala et al. Wireless technology to monitor remote patients-a survey
Tahir et al. Fog-based healthcare architecture for wearable body area network
Phadat et al. Sensor network for patient monitoring
Raj et al. An queueing model with improved delay sensitive medical packet transmission scheduling system in e-health networks
Ouakasse et al. QoS in IoMT: Towards using TCP header to manage priorities
Verma et al. Modelling buffer-overflow in 6LoWPAN-based resource-constraint IoT-healthcare network
Varshney Enhancing wireless patient monitoring by integrating stored and live patient information
Kumari et al. Application offloading using data aggregation in mobile cloud computing environment
Algaet et al. A review on provisioning quality of service of wireless telemedicine for E-health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