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251A -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7251A
KR20140047251A KR1020120113043A KR20120113043A KR20140047251A KR 20140047251 A KR20140047251 A KR 20140047251A KR 1020120113043 A KR1020120113043 A KR 1020120113043A KR 20120113043 A KR20120113043 A KR 20120113043A KR 20140047251 A KR20140047251 A KR 20140047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ultraviolet
components
protection component
sun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3585B1 (ko
Inventor
유현오
김종철
박동균
김재현
곽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닉
Priority to KR1020120113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585B1/ko
Publication of KR20140047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89Inverse chromatograph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2030/009Extra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2030/022Column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eparation mechanism
    • G01N2030/027Liquid chromatograph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테트라히드로퓨란, 메탄올 및 증류수를 포함하는 혼합 용매를 가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고정상으로서 역상 비극성 컬럼에 상기에서 추출된 자외선 차단 성분을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한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은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에 기초한 분석 방법으로써, 높은 분리도를 가지고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보다 경제적이면서 효과적으로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특히 화장료 조성물 중에 포함된 자외선 차단 성분들에 대한 품질 관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nscreen component}
본 발명은 화학적 성질이 다른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 내에 포함된 친수성 및 친유성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동시에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하는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오존층의 파괴 등으로 인하여 자외선에 의한 피부암과 광노화의 발생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인간의 피부를 자외선의 해로운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우수한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화학적인 자외선 차단 성분은 자외선을 흡수하거나 또는 반사하여 피부에 대한 자외선의 해로운 영향을 최소화하는 화합물들을 포함한다. 이들 중 특히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은 친유성 성질이 강하며 매우 유용한 UV-A 자외선에 대한 차단 성분으로 알려져 있고,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Methoxycinnamate, EMC),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 EHS),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Phenylbenzimidazole Sulfonic Acid) 등은 UV-B 자외선에 대한 차단 성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외선 차단 성분은 그 특성에 따라 친유성 성분과 친수성 성분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은 빈번하게 혼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종래에는 박층크로마토그래피(TLC),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 등이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친유성 성질이 강한 자외선 차단 성분들과 친수성 성질이 강한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동시에 분석하기에 부적절하였다.
이에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친유성 자외선 차단 성분 및 친수성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방법에 있다면, 관련 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친수성 및 친유성의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동시에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동시 분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테트라히드로퓨란, 메탄올 및 증류수를 포함하는 혼합 용매를 가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고정상으로서 역상 비극성 컬럼에 상기에서 추출된 친유성 및 친수성 자외선 차단 성분을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는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혼합 용매는 증류수의 부피 10을 기준으로 테트라히드로퓨란 및 메탄올이 9 : 1 내지 19 : 1의 부피비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상 비극성 컬럼의 길이는 7.5cm 초과 25c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은 친유성 자외선 차단 성분 및 친수성 자외선 차단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은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BM),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Methoxycinnamate, EMC),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 EHS) 및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Phenylbenzimidazole Sulfonic Acid, PSA)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로션, 고형 크림 및 파운데이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상 비극성 컬럼은 옥타데실실란(C18), 도데실실란(C12) 및 옥타실란(C8)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충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 용매는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25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석 방법은 파장을 300nm 내지 320nm의 범위로 조절한 검출기를 통해 분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은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에 기초한 분석 방법으로써, 높은 분리도를 가지고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보다 경제적이면서 효과적으로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특히 화장료 조성물 중에 포함된 자외선 차단 성분들에 대한 품질 관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4종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BM, EMC, EHS, 및 PSA)을 테트라히드로퓨란 : 메탄올 : 증류수 = 9 : 1 : 10(부피비)에 용해시켜 제조한 표준액의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각 자외선 차단 성분들의 농도와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검정 곡선을 작성한 것이다.
도 3은 유중수 형태의 크림 중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수중유 형태의 로션 중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유중수 형태의 로션 중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유중수 형태의 고형 크림 중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수중유 형태의 파운데이션 중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유중수 형태의 파운데이션 중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친수성 및 친유성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동시에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하는 동시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테트라히드로퓨란, 메탄올 및 증류수를 포함하는 혼합 용매를 가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고정상으로서 역상 비극성 컬럼에 상기에서 추출된 자외선 차단 성분을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는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분석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친수성 자외선 차단 성분 및 친유성 자외선 차단 성분과 같이 특성이 상이한 성분이 섞여 있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이 특히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테트라히드로퓨란, 메탄올 및 증류수를 포함하는 혼합 용매를 가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추출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용매는 분석 대상인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25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5 내지 7.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 용매가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2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자외선 차단 성분의 자외선 차단 기능이 불충분한 문제가 있으며, 상기 혼합 용매가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 당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자외선 차단 성분의 식약청 배합 한도를 고려할 때 비경적인 문제가 있다.
상기 혼합 용매는 증류수의 부피 10을 기준으로 테트라히드로퓨란 및 메탄올을 8 : 1 내지 25 : 1 의 부피비로 혼합한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1 내지 19:1의 부피비로 혼합한다.
테트라히드로퓨란 및 메탄올이 증류수를 기준으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거나 또는 증류수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비극성이 강해지므로 피크의 겹침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으며, 테트라히드로퓨란 및 메탄올이 증류수를 기준으로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거나 또는 증류수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 분석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지므로 분석 효율이 떨어져서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한편, 테트라히드로퓨란 및 메탄올의 혼합 비율과 관련하여 테트라히드로퓨란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거나 메탄올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비극성이 강해지므로 피크의 겹침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고, 테트라히드로퓨란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거나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분석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지므로 분석 효율이 떨어져서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추출이 완료되면, 이로부터 추출된 자외선 차단 성분을 역상 비극성 컬럼에 투입한다.
본 발명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분석에 사용되는 역상 비극성 컬럼은 옥타데실실란(C18), 도데실실란(C12) 및 옥타실란(C8)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충진된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옥타데실실란(C18)이 충진된 컬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옥타데실실란(C18) 컬럼은 컬럼 내부에 비극성인 탄소 18개의 체인이 충진되어 있는 것으로, 극성 성분은 비극성의 컬럼 작용기와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빠르게 용출되고, 비극성 성분은 비극성의 작용기와 결합하여 천천히 용출된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 성분들의 극성 차이에 의해 혼합물 중에서 특성이 상이한 각 성분들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역상 비극성 컬럼에 추출된 자외선 차단 성분을 투입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는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분석한다.
즉, 본 발명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분석에 사용되는 이동상은 상술한 혼합 용매와 동일한 조성인 것이 바람직하며, 친유성 및 친수성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극성의 차가 있는 테트라히드로퓨란, 메탄올 및 증류수의 혼합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분석 방법에 이용되는 상기 역상 비극성 컬럼의 길이는 분석 시간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써, 7.5cm 초과 25c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cm 내지 20 cm 인 것이며, 15 c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고정상인 컬럼의 길이가 7.5cm 이하인 경우에는 피크가 겹쳐지는 문제가 있으며, 25cm 이상인 경우에는 분석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져서 분석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길이의 경우, 특히 약 15cm의 C18컬럼을 사용하는 경우 가장 적합한 분리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분석 대상이 되는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은 친유성 자외선 차단 성분 및 친수성 자외선 차단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경우 다른 방법에 의해 분리가 용이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분석 방법에 의하면 이러한 경우에도 각각의 자외선 차단 성분을 명확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자외선 차단 성분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하기의 구조를 갖는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BM),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Methoxycinnamate, EMC),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 EHS) 및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Phenylbenzimidazole Sulfonic Acid, PSA)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1
상기와 같은 자외선 차단 성분의 경우에는 식약청의 배합 한도가 0.5 내지 10중량%으로 배합 한도가 한정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 상기 언급된 구체적인 자외선 차단 성분과 관련하여 한정된 함량의 범위는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0.5~5.0 중량 %,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0.5~7.5 중량 %,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0.5~5 중량 % 및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0.5~4 중량 %이다.
본 발명의 분석 방법은 특히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존재하는 자외선 차단 성분을 효과적으로 정확히 검출하는 데 이용될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 중에 포함된 자외선 차단 성분들의 품질 관리에 널리 응용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로션, 고형 크림 및 파운데이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 널리 적용되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은 검출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 때 파장을 300nm 내지 320nm의 범위로 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석 방법은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우수한 감도, 재현성, 정확성 등을 가지며, 분석 시간의 단축이 가능하고, 나아가 저비용 및 간편성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관련 분야, 특히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자외선 차단 성분들에 대한 품질 관리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널리 응용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최적의 컬럼 선정을 위한 실험
본 발명에 사용된 액체크로마토그래피는 고정상으로써 역상 비극성 컬럼인 C18을 이용하였으며, 본 실험에서는 분리 대상으로써 자외선 차단 성분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BM),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MC),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EHS) 및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PSA)의 혼합물을 이용하였다.
이 때 상기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BM),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MC), 및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EHS)는 비극성 성질을 가진 친유성 화합물로써 물이 포함되지 않은 역상 조건에서만 분리가 되나, 극성 성질을 갖는 친수성의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PSA)는 이러한 조건에서 고정상의 비극성 작용기와 결합 능력이 작기 때문에 빠르게 용출되어 시료 중의 다른 극성 성분들과 간섭 현상을 일으키게 되고 결과적으로 낮은 분리도로 인해 정확한 분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4종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은 화학적 성질 차이가 크기 때문에 적합한 머무름 시간과 매트릭스(matrix)의 간섭 현상이 없는 분석 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성분들을 분리시켜주는 고정상인 C18 컬럼의 길이를 25cm, 15cm 및 7.5cm로 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 중 15cm의 C18컬럼을 사용하는 경우 가장 적합한 분리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분리도 향상을 위한 이동상 조건의 설정 실험
(1) 실험 준비
액체크로마토그래피는 고정상인 컬럼, 이동상 및 분석 대상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해 각 성분들을 극성의 차이에 따라 분리한다. 따라서, 컬럼에 충진되어 있는 물질의 종류뿐만 아니라, 이동상의 극성도가 분석 조건을 설정하는 매우 주요한 인자가 된다. 예를 들어, 비극성 컬럼을 사용하는 경우, 극성이 큰 이동상은 성분들을 빨리 용출시키고, 비극성인 이동상은 성분들은 천천히 용출시키므로 이동상의 극성차이를 이용하면 혼합물 중의 성분들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친유성의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BM),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MC) 및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EHS)를 친수성의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PSA)과 동시에 분석하기 위해 메탄올, 아세토나이트릴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이동상으로 하여 실험하였었다.
(2) 소결
그 결과, 메탄올을 사용한 경우 머무름 시간이 너무 느려져 분석 시간이 과도하게 길었고, 피크 모양에서 비대칭의 꼬리끌림 현상도 관찰되어 정확한 분석 결과를 도출하기 어려웠다. 메탄올보다 다소 덜 비극성인 아세토나이트릴을 유기 용매로 사용한 경우에도 메탄올을 사용한 경우와 동일하게 피크의 꼬리끌림 현상이 관찰되어 부적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메탄올과 아세토나이트릴보다 더욱 비극성인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유기 용매로 사용한 경우에는 10 분 이내에 상기 4종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빠르게 분석할 수는 있었지만, 성분들의 겸침이 발생하고 성분들이 과도하게 빨리 용출되는 문제점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하기 표 1과 같은 이동상 조건을 설정하여 상기 4종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테트라히드로퓨란과 메탄올 그리고 증류수를 9 : 1 : 10로 혼합한 용액으로 추출한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 시키고, C18(길이: 15.0 cm, 내경 : 4.6 mm, 입자 3.5 ㎛) 컬럼으로 분리한 후, 이동상으로는 상기 추출 용매와 조성을 동일하게 하였다.
컬럼 Phenomenex C18 (4.0mm ?150 mm, 3.5um)
이동상 테트라히드로퓨란 : 메탄올 : 증류수 = 9 : 1 : 10
유속 1.3mL/min
온도 실온
주입량 10ul
검출파장 315nm
이때 이동상의 유속은 1.3 mL/분이었고, 시료 주입량은 10 ㎕이었으며, 실온에서 분석을 행하였고, 그 결과를UV 검출기를 이용하여 315 nm에서 검출하였다. 이하 모든 실험은 상기 표 1의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3. 본 발명에 의한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의 검증
본 발명에 의한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상기 4종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BM, EMC, EHS 및 PSA)을 대상으로 한 분석을 특이성(Specificity), 직선성(Linearity), 반복성(Repeatability), 실험실 내 정밀성(Intermediate precision), 시스템 안정성(System stability) 및 정확성(Accuracy)의 관점에서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1) 특이성( Specificity )
공존이 예측되는 불순물, 분해물, 배합 성분 등의 존재 하에서 분석 대상물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공시험액과 표준액을 비교 분석하여 두 크로마토그램에서 간섭 현상이 없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표준액은 총 4종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BM, EMC, EHS, 및 PSA)을 테트라히드로퓨란: 메탄올 : 증류수 = 9 : 1 : 10(부피비)에 용해시켜 제조하였다.
공시험액은 O/W(oil in water) 로션 제형과 O/W 크림 제형에서 자외선 차단 성분을 제외하고 하기 표 2 및 표 3 의 조성으로 제조된 로션과 크림을 테트라히드로퓨란 : 메탄올 : 증류수 = 9 : 1 : 10(부피비)에 용해시켜 제조하였다.
공시험액과 관련한 본 실험은 화장품 제형에 적용했을 때 다른 피크가 발생하지 않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실험으로써, 분석 값을 통해서 겹치는 피크가 발생하는지 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표준액으로 분석한 피크보다 높을 경우 다른 겹치는 피크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며, 표준액보다 작은 피크의 경우 추출 단계에서 성분의 손실이 있거나 기타 다른 방해 성분에 의해 함량보다 적게 나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 로션 제형
수상과 유상을 각각 80℃로 가온 용해 후 수상에 유상을 서서히 투입하며,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5,000RPM에서 5분간 유화하고 냉각하여 수중유의 형태의 로션을 만들었다.
구분 성분 함량(중량%)
수상 정제수 to 100
트리에탄올아민 2.1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80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0.90
폴리소르베이트60 1.2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50
세테아릴알코올 0.80
글리세린 8.00
부틸렌클라이콜 5.00
메칠파라벤 0.20
페녹시에탄올 0.15
유상 C12-15알킬벤조에이트 5.00
헥실라우레이트 3.0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3.00
향료 0.10
2) 크림 제형
수상과 유상을 각각 80℃로 가온 용해 후 수상에 유상을 서서히 투입하며,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5,000RPM에서 5분간 유화하고 냉각하여 수중유 형태의 크림을 만들었다.
구분 성분 함량(중량%)
수상 정제수 to 100
트리에탄올아민 2.1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80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0.90
폴리소르베이트60 1.2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50
세테아릴알코올 3.50
글리세린 8.00
부틸렌클라이콜 5.00
메칠파라벤 0.20
페녹시에탄올 0.15
유상 C12-15알킬벤조에이트 5.00
헥실라우레이트 11.0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3.00
향료 0.10
상기 4개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의 피크들의 머무름 위치를 표준액으로부터 확인하고, 이들 성분들이 서로 겹침이 없음을 확인함과 동시에, O/W 로션과 O/W 크림 제형 중에서 다른 기타 화장료 성분들이 상기 4개 자외선 차단 성분들과 겹쳐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형의 매트릭스가 영향이 있는지를 관찰하였으며, 상기 4종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의 피크 유지 시간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PSA BM EMC EHS
피크유지시간
(분)
0.833 10.000 11.358 13.775
상기 표준액과 공시험액의 크로마토그램을 비교한 결과 상기 4종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의 위치에 다른 특이할 만한 피크가 없음을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4종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의 피크는 겹침 없이 분리되므로 이들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직선성( Linearity )
상기 4종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의 함량 실험 시 정량 농도 범위의 직선성을 알아보기 위해 표준액(테트라히드로퓨란 : 메탄올 : 증류수 = 9 : 1 : 10(부피비))을 하기 표 5와 같이 제조하고 자외선 차단 성분들 각각의 농도와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검정곡선을 작성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플라스크 ID
(표준액)
농도(mg/L) 플라스크
크기(mL)
From
Flask*
부피
(mL)
PSA BM EMC EHS
A 400 500 750 500 100
B 200 250 375 250 50 A 25
C 100 125 187.5 125 50 B 25
D 50 62.5 93.75 62.5 50 C 25
E 25 31.25 46.875 31.25 50 D 25
* From Flask 는 해당 열에 기재된 표준액에서 25ml를 분취하여 플라스크 50ml에 넣은 것을 의미함.
상기 4종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은 시험 농도범위에서 R2가 0.999 이상으로 직선성 항목에 적합하였다. R2는 1에 가까울수록 좋은 값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0.995 이상이면 신뢰성을 가지는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3) 반복성( Repeatability )
상기 표 5에 따라 제조한 표준액을 이용하여 연속으로 6회 측정하여 피크 면적과 머무름 시간의 표준 편차와 상대 표준 편차를 계산하였다. 각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반복성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PSA BM EMS EHS
주입횟수 피크면적
(Area)
머무름
시간(분)
피크면적
(Area)
머무름
시간(분)
피크면적
(Area)
머무름
시간(분)
피크면적
(Area)
머무름
시간(분)
1 1662482.866 0.833 718736.578 10.000 3678914.922 11.358 405410.000 13.775
2 1671641.129 0.833 720467.944 10.000 3703298.806 11.358 405723.000 13.767
3 1683200.286 0.833 729860.140 10.000 3731870.860 11.358 410418.000 13.767
4 1693189.690 0.825 732876.251 9.992 3755558.249 11.350 411748.750 13.758
5 1675973.176 0.833 725390.743 10.000 3714729.757 11.358 406674.750 13.767
6 1679339.935 0.825 727510.694 9.992 3740992.306 11.358 410343.500 13.767
평균 1677637.847 0.830 725807.058 9.997 3720894.150 11.357 408386.333 13.767
표준편차 10431.710 0.0041 5440.119 0.0041 27697.925 0.0033 2762.080 0.0054
상대표준
편차(≤1%)
0.622 0.498 0.750 0.041 0.744 0.029 0.676 0.039
상기 표준액을 6회 주입하여 반복성을 측정한 결과, 피크 면적과 머무름 시간에 대한 상대 표준편차 결과는 1 %미만으로 기준에 적합하였다.
대한 상대 표준편차 결과는 1 %미만으로 기준에 적합하였다.
(4) 실험실 내 정밀성( Intermediate precision )
시험일 및 시험자를 달리하여 동일한 시료에 대해 자외선 차단 성분들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각 자외선 차단 성분에 대한 실험실 내 정밀성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측정날짜 시험자 함량(%)
시료 # 1 시료 # 2 시료 # 3
PSA
2012.07.26 KJH 1.793 1.794 1.832
2012.07.27 PDK 1.799 1.771 1.748
통계
평균 1.789
표준편차 0.028
상대 표준편차(≤2%) 1.572
BM
2012.07.26 KJH 2.189 2.188 2.214
2012.07.27 PDK 2.195 2.141 2.113
통계
평균 2.173
표준편차 0.038
상대 표준편차(≤2%) 1.747
EMS
2012.07.26 KJH 3.812 3.795 3.874
2012.07.27 PDK 3.831 3.757 3.706
통계
평균 3.796
표준편차 0.058
상대 표준편차(≤2%) 1.539
EHS
2012.07.26 KJH 4.090 4.060 4.169
2012.07.27 PDK 4.117 4.037 3.977
통계
평균 4.075
표준편차 0.067
상대 표준편차(≤2%) 1.633
* KJH 및 PDK는 실험자의 이니셜임
동일한 시료 내 자외선 차단 성분들의 함량에 대한 상대 표준편차 결과는 2 % 미만으로 기준에 적합하였다.
(5) 시스템 안정성( system stability )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의 안정성과 표준액이 일정한 시간 내에서 안정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표 4에서 제조한 표준액을 일정한 주기 즉, 제조 시, 24 시간 경과 후, 48시간 경과 후에 각각 측정하였다. 각 자외선 차단 성분들의 시스템 안정성 결과를 하기 표 8 나타내었다.
PSA BM EMS EHS
주입시간 피크면적
(Area)
머무름
시간(분)
피크면적
(Area)
머무름
시간(분)
피크면적
(Area)
머무름
시간(분)
피크면적
(Area)
머무름
시간(분)
제조시 1662482.866 0.833 718736.578 10 3678914.922 11.358 405410 13.775
24시간 1668491.938 0.833 719082.869 10 3694786.631 11.358 405770 13.767
48시간 1669496.592 0.833 717132.153 10 3700854.097 11.367 405576 13.775
평균 1666823.799 0.833 718317.200 10.000 3691518.550 11.361 405585.333 13.772
표준편차 3792.770 0.000 1040.784 0.000 11328.818 0.005 180.181 0.005
상대표준
편차(≤2%)
0.228 0.000 0.145 0.000 0.307 0.046 0.044 0.034
표준액을 각각 제조 시, 24시간 경과 후, 48시간 경과 후 주입했을 때 피크 면적과 머무름 시간에 대한 상대 표준편차 결과가 2 % 미만으로써 기준에 적합하여 표준액과 분석 방법에 대한 시스템 안정성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6) 정확성( Accuracy )
하기 표 9의 구성 성분 및 함량으로 통상적인 크림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크림 제형을 제조하여 제조 시 포함된 자외선 차단 성분들의 함량과, 분석을 통해 계산된 함량을 이용하여 회수율을 구하였다.
구분 성분 함량(중량%)
수상 정제수 to 100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3.50
트리에탄올아민 2.1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80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0.90
폴리소르베이트60 1.2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50
세테아릴알코올 3.50
글리세린 8.00
부틸렌클라이콜 5.00
메칠파라벤 0.20
페녹시에탄올 0.15
유상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3.00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0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4.50
C12-15알킬벤조에이트 5.00
헥실라우레이트 11.0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3.00
향료 0.10
각 자외선 차단 성분들에 대한 정확성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분석항목 시료 시료량(g) 농도 피크면적(AREA) 측정농도
(mg/L)
회수율
(mg/L) 주입 1 주입 2 주입 3 (%)
PSA 1 1.0051 348.22 5725978.714 5892510.078 5743478.941 356.46 102.37
2 0.9973 350.95 5754136.000 5655168.554 5541878.012 350.75 99.94
3 0.9994 350.21 5846926.824 5516529.250 5587392.482 350.01 99.94
BM 1 1.0051 301.14 1887340.250 1933039.750 1844079.500 300.47 99.78
2 0.9973 298.18 1871782.500 1861685.250 1820785.250 296.93 99.58
3 0.9994 300.81 1931255.000 1818357.000 1849360.500 298.69 99.29
EMS 1 1.0051 702.67 13205312.000 13518288.750 12905381.500 704.89 100.32
2 0.9973 695.76 13101443.500 13040423.500 12752001.250 697.23 100.21
3 0.9994 701.90 13523330.750 12703317.000 12881447.000 699.59 99.67
EHS 1 1.0051 451.72 1280015.250 1304509.000 1245229.500 454.38 100.59
2 0.9973 447.27 1264431.250 1258586.500 1231784.500 448.97 100.38
3 0.9994 451.22 1302101.500 1222967.500 1241368.000 449.42 99.60
4. 본 발명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1) 분석기기( HPLC ) 조건
본 발명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을 위해 자스코(Jasco)사의 Jasco HPLC 2000 Series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UV-2075/2070 유브이 검출기가 연결된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이 때 컬럼은 Phenomenex 사의 Bondclone 10u C18 컬럼(3.9 mm x 15.0 cm)을 사용하였고, 데이터 처리는 자스코(Jasco)사의 Browin Software Operation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2) 자외선 차단 성분
본 발명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을 위해 하기 표 11에 기재된 바와 같은 4종의 자외선 차단 성분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성분명 상품명 INCI 약어 제조사
친유성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Parsol 1789 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BM DSM Nutritional Products Ltd.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Parsol MCX Ethylhexyl
Methoxy
Cinnamate,
EMC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Parsol EHS Ethyl
Hexyl
Salicylate,
EHS
친수성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Parsol HS Phenyl
Benzimidazole
Sulfonic Acid
PSA
(3)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실험
실시예 1: 유중수 형태의 크림에서의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유중수 형태의 크림에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을 확인을 위해 하기 표 12의 조성으로 로션을 제조하였으며, 유상과 수상을 각각 80℃로 가온 용해 후 유상에 수상을 서서히 투입하며,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5,000RPM에서 5분간 유화 하고 냉각하여 유중수 형태의 크림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함량(중량%)
유상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3.00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0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4.50
C12-15알킬벤조에이트 5.00
헥실라우레이트 5.00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3.5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3.00
향료 0.10
수상 정제수 to 100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3.50
트리에탄올아민 2.10
부틸렌클라이콜 5.00
글리세린 8.00
메칠파라벤 0.20
페녹시에탄올 0.15
상기 제조된 유중수 형태의 크림 1.003 g을 정밀하게 달아 이동상 50ml 넣어 분산시킨 다음, 추가로 이동상을 넣어 100ml로 만든 후 여과하여 검액으로 사용하였다.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BM) 30.1mg,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Methoxycinnamate, EMC) 70mg,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 EHS) 44.9mg,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Phenylbenzimidazole Sulfonic Acid, PSA) 34.8mg을 각각 달아 50ml의 이동상을 넣어 분산시킨 다음, 추가로 이동상을 넣어 100ml로 만든 후 여과하여 표준액으로 사용하였다.
검액 및 표준액 10ul씩을 취하여 상기 표1의 조건으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하여 자외선 성분들의 피크면적 AT 및 AS를 측정하였다. 상기 검액은 화장품 제형을 이동상에 희석하여 제조한 것을 의미하며, 표준액은 4종의 자외선 차단 성분을 이동상에 희석한 것을 의미한다.
[계산식]
=자외선 차단 성분 표준품의 양(mg) × Ar/As
상기 분석법을 이용하여 유중수 형태의 크림 중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을 도 3에 도시하였으며,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성분명 분석량(%) 제품 중 함량(%) 분석량 대비 함량(%)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3.48 3.52 101.0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3.01 3.00 99.5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7.00 6.99 99.9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4.49 4.48 99.8
상기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크림 제형 중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의 함량은 분석량 대비 100 ± 2 % 이내에서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수중유 형태의 로션에서의 자외선 차단 성분의 동시분석
수중유의 로션에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 표 14의 조성으로 로션을 제조하였으며, 수상과 유상을 각각 80℃로 가온 용해 후 수상에 유상을 서서히 투입하며,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5,000RPM에서 5분간 유화하고 냉각하여 수중유의 형태의 로션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함량(중량%)
유상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3.00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0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4.50
C12-15알킬벤조에이트 6.00
헥실라우레이트 15.00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3.5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3.00
향료 0.10
수상 정제수 to 100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3.50
트리에탄올아민 2.10
부틸렌클라이콜 5.00
글리세린 8.00
메칠파라벤 0.20
페녹시에탄올 0.15
상기 제조된 수중유 형태의 로션 0.9939g을 정밀하게 달아 이동상 50ml 넣어 분산시킨 다음, 추가로 이동상을 넣어 100ml로 만든 후 여과하여 검액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준액을 제조하고,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하여 자외선 성분들의 피크면적 AT 및 AS를 측정하였다.
상기 분석법을 이용하여 수중유의 로션 중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을 도 4에 도시하였으며,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5에 나타내었다.
성분명 분석량(%) 제품 중 함량(%) 분석량 대비 함량(%)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3.48 3.52 101.1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3.01 3.00 99.6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7.00 7.00 100.0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4.49 4.48 99.7
상기 표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중유 형태의 로션 제형 중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의 함량은 분석량 대비 100 ± 2 % 이내에서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유중수 형태의 로션에서의 자외선 차단 성분의 동시분석
유중수 형태의 로션에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 표 16의 조성으로 로션을 제조하였으며, 유상과 수상을 각각 80℃로 가온 용해 후 유상에 수상을 서서히 투입하며,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5,000RPM에서 5분간 유화 하고 냉각하여 유중수의 형태의 로션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함량(중량%)
유상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3.00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0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4.50
C12-15알킬벤조에이트 6.00
헥실라우레이트 15.00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3.5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3.00
향료 0.10
수상 정제수 to 100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3.50
트리에탄올아민 2.10
부틸렌클라이콜 5.00
글리세린 8.00
메칠파라벤 0.20
페녹시에탄올 0.15
상기 제조된 유중수 형태의 로션 1.0132 g을 정밀하게 달아 이동상 50ml 넣어 분산시킨 다음, 추가로 이동상을 넣어 100ml로 만든 후 여과하여 검액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준액을 제조하고,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하여 자외선 성분들의 피크면적 AT 및 AS를 측정하였다.
상기 분석법을 이용하여 유중수 형태의 로션 중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을 도 5에 도시하였으며,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7에 나타내었다.
성분명 분석량(%) 제품 중 함량(%) 분석량 대비 함량(%)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3.48 3.47 99.6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3.01 3.05 101.2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7.00 7.06 100.8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4.49 4.58 101.9
상기 표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중수 형태의 로션 제형 중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의 함량은 분석량 대비 100 ± 2 % 이내에서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유중수 형태의 고형크림에서의 자외선 차단 성분의 동시분석
유중수 형태의 고형 크림에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 표 18의 조성으로 크림을 제조하였으며, 유상과 수상을 각각 80℃로 가온 용해 후 유상에 수상을 서서히 투입하며,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5,000RPM에서 5분간 유화하고 냉각하여 유중수의 형태의 고형 크림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함량(중량%)
유상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3.00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0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4.50
C12-15알킬벤조에이트 6.00
오조케라이트 10.00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3.5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8.00
향료 0.10
수상 정제수 to 100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3.50
트리에탄올아민 2.10
부틸렌클라이콜 5.00
글리세린 8.00
메칠파라벤 0.20
페녹시에탄올 0.15
상기 제조된 유중수 형태의 고형 크림 1.0101 g을 정밀하게 달아 이동상 50ml을 넣어 분산시킨 다음, 추가로 이동상을 넣어 100ml로 만든 후 여과하여 검액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준액을 제조하고,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하여 자외선 성분들의 피크면적 AT 및 AS를 측정하였다.
상기 분석법을 이용하여 유중수 형태의 고형 크림 중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을 도 6에 도시하였으며,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9에 나타내었다.
성분명 분석량 (%) 제품 중 함량(%) 분석량 대비 함량(%)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3.48 3.50 100.7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3.01 3.06 101.5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7.00 7.10 101.4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4.49 4.57 101.8
상기 표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중수 형태의 고형 크림 제형 중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의 함량은 분석량 대비 100 ± 2% 이내에서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수중유 형태의 파운데이션에서의 자외선 차단 성분의 동시분석
수중유 형태의 파운데이션에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 표 20의 조성으로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으며, 수상과 유상을 각각 80℃로 가온 용해 후 수상에 유상을 서서히 투입하며,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5,000RPM에서 5분간 유화 하고 냉각하여 수중유의 형태의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함량(중량%)
수상 정제수 to 100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3.50
트리에탄올아민 2.1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80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0.90
폴리소르베이트60 1.2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50
세테아릴알코올 3.50
글리세린 8.00
부틸렌클라이콜 5.00
티타늄디옥사이드 8.00
적색산화철 0.30
황색산화철 0.80
흑색산화철 0.10
메칠파라벤 0.20
페녹시에탄올 0.15
유상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3.00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0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4.50
C12-15알킬벤조에이트 5.00
헥실라우레이트 9.0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3.00
향료 0.10
상기 제조된 수중유 형태의 파운데이션 1.0191 g을 정밀하게 달아 이동상 50ml 넣어 분산시킨 다음, 추가로 이동상을 넣어 100ml로 만든 후 여과하여 검액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준액을 제조하고,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하여 자외선 성분들의 피크면적 AT 및 AS를 측정하였다.
상기 분석법을 이용하여 수중유 형태의 파운데이션 중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을 도 7에 도시하였으며, 함량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1에 나타내었다.
성분명 분석량(%) 제품 중 함량(%) 분석량 대비 함량(%)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3.48 3.50 100.7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3.01 3.06 101.5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7.00 7.10 101.4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4.49 4.57 101.8
상기 표 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중유 형태의 파운데이션 제형 중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의 함량은 분석량 대비 100 ± 2 % 이내에서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유중수 형태의 파운데이션 의 자외선 차단 성분의 동시분석
유중수 형태의 파운데이션에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법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 표 22의 조성으로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으며, 유상과 수상을 각각 80℃로 가온 용해 후 유상에 수상을 서서히 투입하며,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5,000RPM에서 5분간 유화 하고 냉각하여 유중수의 형태의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함량(중량%)
유상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3.00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0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4.50
C12-15알킬벤조에이트 5.00
헥실라우레이트 5.00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3.5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3.00
티타늄디옥사이드 8.00
적색산화철 0.30
황색산화철 0.80
흑색산화철 0.10
향료 0.10
수상 정제수 to 100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3.50
트리에탄올아민 2.10
부틸렌클라이콜 5.00
글리세린 8.00
메칠파라벤 0.20
페녹시에탄올 0.15
상기 제조된 유중수 형태의 파운데이션 1.0098g 정밀하게 달아 이동상 50ml 넣어 분산시킨다음, 추가로 이동상을 넣어 100ml로 만든 후 여과하여 검액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준액을 제조하고,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하여 자외선 성분들의 피크면적 AT 및 AS를 측정하였다.
상기 분석법을 이용하여 유중수 형태의 파운데이션 중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을 도 8에 도시하였으며,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23에 나타내었다.
성분명 분석량(%) 제품 중 함량(%) 분석량 대비 함량(%)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3.48 3.51 100.7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3.01 3.06 101.8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7.00 7.11 101.6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4.49 4.58 101.9
상기 표 2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중수 형태의 파운데이션 제형 중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의 함량은 분석량 대비 100 ± 2 % 이내에서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9)

  1.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테트라히드로퓨란, 메탄올 및 증류수를 포함하는 혼합 용매를 가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고정상으로서 역상 비극성 컬럼에 상기에서 추출된 자외선 차단 성분을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는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용매는 증류수의 부피 10을 기준으로 테트라히드로퓨란 및 메탄올이 9 : 1 내지 19 : 1의 부피비로 혼합된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상 비극성 컬럼의 길이는 7.5cm 초과 25cm 미만인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은 친유성 자외선 차단 성분 및 친수성 자외선 차단 성분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 성분은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BM),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Methoxycinnamate, EMC),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 EHS) 및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Phenylbenzimidazole Sulfonic Acid, PSA)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로션, 고형 크림 및 파운데이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상 비극성 컬럼은 옥타데실실란(C18), 도데실실란(C12) 및 옥타실란(C8)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충진된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용매는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25 내지 10.0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되는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방법은 파장을 300nm 내지 320nm의 범위로 조절한 검출기를 통해 분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
KR1020120113043A 2012-10-11 2012-10-11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 KR101423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043A KR101423585B1 (ko) 2012-10-11 2012-10-11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043A KR101423585B1 (ko) 2012-10-11 2012-10-11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251A true KR20140047251A (ko) 2014-04-22
KR101423585B1 KR101423585B1 (ko) 2014-07-30

Family

ID=50653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043A KR101423585B1 (ko) 2012-10-11 2012-10-11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5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1338A (zh) * 2019-05-07 2019-07-09 吴刚 纺织品水杨酸酯类防紫外线整理剂的气质联用检测法
CN114252534A (zh) * 2021-12-16 2022-03-29 北京奶牛中心 一种EMR-Lipid前处理技术结合超高效液相测定干酪中山梨酸含量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3444B (zh) * 2016-11-03 2018-03-23 广州中科检测技术服务有限公司 土壤中2‑羟基‑4‑甲氧基二苯甲酮和丁基甲氧基二苯甲酰甲烷的检测方法
CN108508099B (zh) * 2017-02-23 2021-06-08 广东悠质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化妆品中3-亚苄基樟脑含量的测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519B1 (ko) * 2007-08-31 2009-05-15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차단 성분의 동시분석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1338A (zh) * 2019-05-07 2019-07-09 吴刚 纺织品水杨酸酯类防紫外线整理剂的气质联用检测法
CN114252534A (zh) * 2021-12-16 2022-03-29 北京奶牛中心 一种EMR-Lipid前处理技术结合超高效液相测定干酪中山梨酸含量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3585B1 (ko) 201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519B1 (ko) 자외선차단 성분의 동시분석법
Herrero et al. Pressurized liquid extracts from Spirulina platensis microalga: Determination of their antioxidant activity and preliminary analysis by micellar electrokinetic chromatography
KR101423585B1 (ko)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 방법
Khalikova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ultra-high performance 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nine sunscreens in cosmetic samples
Kim et al.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nine UV filters and four preservatives in suncare product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hisvert et al. A reliable and environmentally-friendly liquid-chromatographic method for multi-class determination of fat-soluble UV filters in cosmetic products
De Orsi et al. Simple extraction and HPLC determination of UV-A and UV-B filters in sunscreen products
KR100954681B1 (ko) 화장료 내 기능성 성분의 동시 분석방법
Geoffroy et al. Suitability of DPPH spiking for antioxidant screening in natural products: the example of galloyl derivatives from red maple bark extract
Ceresole et al. Drug-excipient compatibility studies in binary mixtures of avobenzone
Liu et al.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ome ultraviolet‐absorbing chemicals in sunscreen cosmetics using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
Nyeborg et al. Validation of HPLC method for the simultaneous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12 UV‐filters in cosmetics
Bosáková et al. Study of the stability of promethazine enantiomers by liquid chromatography using a vancomycin-bonded chiral stationary phase
CN106841415A (zh) 一种阿齐沙坦原料及其制剂中有关物质的分析方法
JP4275015B2 (ja) エラグ酸の検出・定量方法
Kharkar et al. A rapid and sensitive bio analytical RP-HPLC method for detection of docetaxel: development and validation
Vincent et al. Validation of an analytical procedure for the determination of oxidative hair dyes in cosmetic formulations
Babu et al. A sensitive, Stability indicating UPLC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orced degradation products for Drometrizole Trisiloxane through MSn studies
Londhe et al. Stability-indicating RP-HPLC method for analysis of telmisartan in the bulk drug and in formulations
KR20170141935A (ko) 자외선 차단 성분의 동시분석법
Nishizaki et al. HPLC determination of quercetin using relative molar sensitivity to methylparaben as a single reference
Lipka et al. Determination of fluoride impurities in Leuprolide. Comparison of analytical methods
Mehta et al. Determination of assay and uniformity of content of ramipril and telmisartan in their multiple dosage forms by a developed and validated 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ic technique
Subasranjan et al. An improved validated ultra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 for separation of tacrolimus impurities and its tautomers
Longo et al. Simple and fast determination of some phenethylamines in illicit tablets by base-deactivated reversed phase HPL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