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6342A - 복층 섬유여과기 - Google Patents

복층 섬유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6342A
KR20140046342A KR1020120112674A KR20120112674A KR20140046342A KR 20140046342 A KR20140046342 A KR 20140046342A KR 1020120112674 A KR1020120112674 A KR 1020120112674A KR 20120112674 A KR20120112674 A KR 20120112674A KR 20140046342 A KR20140046342 A KR 20140046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filter
fiber filter
filtration
tighten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6890B1 (ko
Inventor
박달준
Original Assignee
박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달준 filed Critical 박달준
Priority to KR1020120112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890B1/ko
Publication of KR20140046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7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B01D29/705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by compression of compressible filter medium, e.g.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의 여과층을 가지는 섬유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섬유 여과기의 여과부를 서로 다른 기능과 공극을 가지는 섬유여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여과층으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수질에도 성능 보장이 가능하며, 내부 스트레이너가 필요 없는 섬유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층 섬유여과기{MULTIPLE PORE CONTROL FIBER FILTER}
본 발명은 복층의 여과층을 가지는 섬유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섬유 여과기의 여과부를 서로 다른 기능과 공극을 가지는 섬유여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여과층으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수질에도 성능 보장이 가능하며 내부 스트레이너가 필요 없는 섬유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과기는 오염 원수를 필터로 여과하여 깨끗한 처리수를 배수하는 장치로서, 대형 하천의 여과나 공장폐수의 여과 등을 위하여 점차 대형화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사용되는 여과기로는 대표적으로 공극제어 섬유여과기(PCF Filter, 이하 "섬유여과기")를 예로들 수 있으며, 상기 섬유여과기는 미세한 필라멘트를 가진 섬유사를 다발로 묶고 이를 유수의 경로상에 배치하여 여과재료로 사용하는데, 이를 섬유여재라 한다. 상기 섬유여재는 물리적인 제어에 의하여 필라멘트가 형성하는 공극이 쉽게 조절되어 여과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세척이 쉬워 그 수명이 오래가는 장점이 있다.
특히, 입자크기별 제거효율, SS, BOD의 제거 효율 등이 여타 여과방식에 비하여 뛰어난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고 있다.
상기 섬유여과기의 형태로는 섬유여재를 스트레이너(strainer) 주변에 비틀어 감기게 하여 미세공극을 형성시키거나, 스트레이너 주변으로 균등하게 배치된 섬유여재를 상부로 당겨 스트레이너 측에 압착함으로서 미세공극을 형성시켜 여과하는 타입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섬유여과기는 섬유여재 내측에 스트레이너를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스트레이너 크기의 제한으로 인하여 대용량 처리가 어렵고 여과설비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되는 섬유여재의 종류 및 공극에 의하여 처리할 수 있는 유입 원수의 수질에도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섬유여과기의 여과공정시 섬유여재를 상부로 당겨 압착할 때, 상,하부 섬유 내통형성판과 조임용 링을 이용, 압착된 섬유여재 자체가 내통이 되게 함으로써 내부 스트레이너가 필요 없는 섬유여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섬유여과기의 여과층을 각기 다른 성능과 공극을 가지는 섬유여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여과층으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수질에도 안정적인 성능 보장이 가능한 섬유여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상측은 원수유입 파이프와 역세수 배수용 파이프와 연통되고 하측은 처리수 배수 파이프 및 공기 유입 파이프와 연통되는 원통형 여과통과; 상기 여과통 내부에 배치되며, 상부섬유 내통 형성판과 하부섬유 내통 형성판 사이에 상단의 내부 수축 조임링, 중단의 외부 팽창 조임링 및 하단의 내부 수축 조임링이 설치되고 이들 주위를 섬유여재가 둘러쌈으로써 형성되는 여과층을 복수개 구비하는 여과수단과; 상기 여과통의 외측 상부에서 지지대에 의해 고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며 당김 운동에 의하여 상기 섬유여재를 위로 당겨 압축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여과수단의 상부에서 상기 피스톤에 고정되어 피스톤의 당김 운동을 전달받으며, 상기 상부섬유 내통 형성판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 범위 내에서 중심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고정부가 마련된 상부여재 고정판; 및 상기 여과수단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섬유 내통 형성판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 범위 내에서 중심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고정부가 마련된 하부여재 고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층 섬유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층 섬유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은 제1 상부섬유 내통 형성판, 상단의 제1 내부 수축 조임링, 중단의 제1 외부 팽창 조임링, 하단의 제1 내부 수축 조임링, 제1 하부섬유 내통 형성판 및 이들 주위를 둘러싸는 제1 섬유여재로 이루어진 외측의 제1 여과층과; 제2 상부섬유 내통 형성판, 상단의 제2 내부 수축 조임링, 중단의 제2 외부 팽창 조임링, 하단의 제2 내부 수축 조임링, 제2 하부섬유 내통 형성판 및 이들 주위를 둘러싸는 제2 섬유여재로 이루어진 중간측의 제2 여과층과; 제3 상부섬유 내통 형성판, 상단의 제3 내부 수축 조임링, 중단의 제3 외부 팽창 조임링, 하단의 제3 내부 수축 조임링, 제3 하부섬유 내통 형성판 및 이들 주위를 둘러싸는 제3 섬유여재로 이루어진 가장 내측의 제3 여과층의 3개 여과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층 섬유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 수단은 외측의 제1 여과층 및 내측의 제2 여과층의 2개 여과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층 섬유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팽창 조임링의 직경은 내부 수축 조임링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층 섬유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섬유여재는 내부 수축 조임링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치되고 외부 팽창 조임링의 외주면을 따라서 배치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층 섬유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여과층을 형성하는 섬유여재는 각각 그 기능과 공극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층 섬유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 수축 조임링은 내주면에 미세 라운드형 굴곡이 형성되고 외부 팽창 조임링은 외주면에 미세 라운드형 굴곡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양상은 상기와 같은 구성의 섬유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여과층을 구성하는 각각의 섬유여재는 복수개의 섬유다발로 이루어지며, 가장 내측의 섬유다발은 좌대각선, 중간의 섬유다발은 우대각선, 외측의 섬유다발은 좌대각선 등으로 상하 연결되어 섬유여재를 상부로 당기면 회전기구 없이 섬유여재가 교차로 비틀리게 된다.
본 발명의 복층 섬유여과기에 따르면, 금속,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을 이용한 규격화된 상,하부 섬유 내통 형성판과 링(Ring)을 이용함으로서 내부 스트레이너가 필요없는 섬유여과기의 제작이 가능하므로,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층 섬유여과기에 따르면, 섬유여과기의 여과층을 각기 다른 성능과 공극을 가지는 섬유여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여과층으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수질에도 안정적인 성능 보장이 가능하며, 고탁도 원수를 2단 여과를 사용하지 않고도 2단 여과의 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층 섬유여과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층 섬유여과기에서 여과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여과수단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여과수단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각 여과층의 섬유여재가 하부섬유 내통형성판에 고정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복층 섬유여과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6에 따른 섬유여과기의 섬유여재 고정방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등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층 섬유여과기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여과수단의 절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따른 여과수단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섬유여과기는 크게 여과통(100)과 복수개의 여과층(A,B,C)을 포함하는 여과수단(200)과 실린더(310)와 피스톤(320)으로 형성되는 당김수단(300)과 상부여재 고정판(400)과 하부여재 고정판(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과통(100) 상단에는 원수 유입을 온 오프 제어하는 원수밸브(11)가 형성된 원수유입 파이프(10)와 역세수 배출을 온 오프 제어하는 역세수 배수밸브(21)가 형성된 역세배수 파이프(20)가 연결된다. 상기 원수유입 파이프(10)와 역세배수 파이프(20)는 상기 여과통(100)의 상측에 병렬로 독립 연결되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형 파이프로 하나의 경로로 연결되든 상관없으나, 다만 상기 원수밸브(11)와 역세수 배수밸브(21)에 의해 독립 제어되는 외부 경로를 가져야 한다.
즉, 상기 원수유입 파이프(10)와 역세수 배수용 파이프(20)는 동일하게 원수용 여과통(100)의 상측에 형성되나, 각각에 형성된 원수밸브(11)와 역세수 배수밸브(21)의 구동에 의하여 경로가 택일된다.
상기 여과통(100)의 하측은 공기유입파이프(40)와 연통되며, 하측의 공기유입파이프(40) 역시 공기공급밸브(41)의 구동에 의하여 온 오프 제어되어 진다.
본 발명의 상기 여과수단(200)은 여과통(100) 내부에 배치되며, 상부섬유 내통 형성판(210)과 하부섬유 내통 형성판(250) 사이에 상단의 내부 수축 조임링(220), 중단의 외부 팽창 조임링(230) 및 하단의 내부 수축 조임링(240)이 설치되고 이들 주위를 섬유여재(260)가 둘러쌈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섬유여재(260)는 내부 수축 조임링(220, 240)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치되고 또한 외부 팽창 조임링(230)의 외주면을 따라서 배치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식으로 배치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섬유여재(260)를 상부로 당겨 압착하면 섬유여재(260) 자체가 내통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섬유여과기의 내부 스트레이너가 필요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층 섬유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200)은 제1 상부섬유 내통 형성판(210a), 상단의 제1 내부 수축 조임링(220a), 중단의 제1 외부 팽창 조임링(230a), 하단의 제1 내부 수축 조임링(240a), 제1 하부섬유 내통 형성판(250a) 및 이들 주위를 둘러싸는 제1 섬유여재(260a)로 이루어진 외측의 제1 여과층(A)과; 제2 상부섬유 내통 형성판(210b), 상단의 제2 내부 수축 조임링(220b), 중단의 제2 외부 팽창 조임링(230b), 하단의 제2 내부 수축 조임링(240b), 제2 하부섬유 내통 형성판(250b) 및 이들 주위를 둘러싸는 제2 섬유여재(260b)로 이루어진 중간측의 제2 여과층(B)과; 제3 상부섬유 내통 형성판(210c), 상단의 제3 내부 수축 조임링(220c), 중단의 제3 외부 팽창 조임링(230c), 하단의 제3 내부 수축 조임링(240c), 제3 하부섬유 내통 형성판(250c) 및 이들 주위를 둘러싸는 제3 섬유여재(260c)로 이루어진 가장 내측의 제3 여과층(C)의 3개 여과층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층 섬유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 수단(200)은 외측의 제1 여과층(A) 및 내측의 제2 여과층(B)의 2개 여과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여과층(A, B, C)을 형성하는 각각의 섬유여재(260a, 260b, 260c)는 각기 다른 재질 및 공극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섬유여재(260a)는 부유 고형물질(SS)을 제거하기 위하여 PP 섬유로 이루어지며, 제2 섬유여재(260b)는 경도(hardness), 질산성 질소 등의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전도성 탄소섬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도성 탄소섬유를 여재로 이용할 경우, 수중의 이온성 물질과 결합할 수 있는 최적의 전하를 가하는 장치를 구비하여 전하를 가할시는 흡착, 전하 부하를 중단할시(역세시)는 탈착이 가능하게 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섬유여과기는 다양한 수질에도 안정적인 성능 보장이 가능하며, 고탁도 원수를 2단 여과를 사용하지 않고도 2단 여과의 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각 여과층(A, B, C)의 섬유여재(260 a,b,c)가 하부여재 고정판(500 a,b,c)에 고정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섬유여재(260a)는 제1 하부여재 고정판(500a)에 고정되며, 제2 섬유여재(260b)는 제2 하부여재 고정판(500b)에 고정되고, 제3 섬유여재(260c)는 제3 하부여재 고정판(500c)에 고정된다. 각 여과층(A, B, C) 섬유여재(260 a,b,c)의 상부도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부여재 고정판(400 a,b,c)에 각각 고정된다. 이에 의하여 복수의 여과층(A,B,C)은 각각 독립된 여과층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각 여과층(A, B, C)의 섬유여재(260 a,b,c)는 다시 복수의 섬유다발층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각 여과층(A, B, C)이 타이트하게 밀폐되어 섬유여과기의 내부 스트레이너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외부 팽창 조임링(230 a,b,c) 각각의 직경은 대응하는 내부 수축 조임링(220 a,b,c, 240 a,b,c)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하부섬유 내통 형성판(250 a,b,c) 각각은 중앙 부분이 홀(hole)로 형성되어 처리수 파이프(30)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 수축 조임링(220 a,b,c, 240 a,b,c) 각각의 내주면 및 외부 팽창 조임링(230 a,b,c) 외주면의 섬유여재(260 a,b,c) 접촉 부분에는 미세 라운드형 굴곡을 형성함으로써 여과시 섬유 쏠림 현상을 방지하고 약품 주입시 섬유 벌어짐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부 수축 조임링(220, 240)과 외부 팽창 조임링(230)은 볼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하여 축(270)에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내부 수축 조임링(220, 240)과 외부 팽창 조임링(230)의 추가 설치가 가능하여 여과수단(200)을 복수의 단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하여 멀티 타입 없이 직경과 단수로 처리용량을 조절함으로써 대용량 처리가 용이하고 직경별, 단수별 규격화(여과기, 배관 등)가 가능하여 배관 포함한 1식 판매로 매출 및 부가가치를 제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섬유여과기의 여과수단(20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여과수단(200)에 있어서 섬유여재(260)를 체결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각각의 여과층(A, B, C)의 각각의 섬유여재(260 a,b,c)는 예를 들어 가장 안쪽의 섬유사다발은 좌대각선, 중간의 섬유사다발은 우대각선, 바깥쪽의 섬유사다발은 좌대각선 등으로 상하 연결함으로써 섬유여재(260 a,b,c)를 상부로 당기면 회전기구 없이 섬유여재(260 a,b,c)가 교차로 비틀리게 된다. 즉 가장 안쪽의 섬유사다발은 1-6, 2-7, 3-8 등의 순서로 상,하에서 고정시키고, 중간의 섬유사다발은 1'-8', 2'-7', 3'-5'등의 순서로 상,하에서 고정시키며, 바깥쪽의 섬유사다발은 다시 1''-6'', 2''-7'', 3''-8'' 등의 순서로 상,하 방향으로 고정시킴으로써, 각각의 여과층(A, B, C)의 각각의 섬유여재(260 a,b,c)는 교차로 비틀리게 되어 한쪽 방향으로 여층이 구성된 섬유여과기보다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약품 주입이나 기타 사유로 발생하는 섬유 벌어짐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당김수단(300)은 실린더(310)와 피스톤(32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실린더(310)는 상기 여과통(100) 외측 상부에 지지대(330)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실린더(310)에 의한 피스톤(320)의 운동은 단순한 직선운동을 하는 것 또는 직선운동과 회전이 같이 되는 회전 실린더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부여재 고정판(400)은 상기 여과통(100) 내부에서 상기 여과수단(200)의 상단 외측으로 상기 피스톤(320)에 고정되어 상기 피스톤(320)의 당김 운동을 전달받는 부분이며, 상기 하부여재 고정판(500)은 상기 여과통(100) 내부에서 상기 여과수단(200)의 저부 외측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상부여재 고정판(400)와 하부여재 고정판(50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섬유여재(260) 상단과 하단이 고정되어 피스톤(320)을 위로 당기면 상기 섬유여재(260) 자체가 내통 역할을 하면서 여과공극을 형성시킨다. 한편, 상기 섬유여재(26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 하부여재의 고정판(400, 500)에는 나선 방사형 고정부(410, 510)가 형성된다. 각각의 상부여재 고정판(400 a,b,c)에는 이에 상응하는 각각의 상부섬유 내통 형성판(210 a,b,c)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 범위 내에 나선 방향의 고정부(410 a,b,c)가 마련되며, 각각의 하부여재 고정판(500 a,b,c)에는 이에 상응하는 각각의 하부섬유 내통 형성판(250 a,b,c)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 범위 내에 나선 방향의 고정부(510 a,b,c)가 마련된다. 이에 의하여 피스톤(310)이 상부여재 고정판(400 a,b,c)을 위로 당기게 되면 섬유여재(260 a,b,c)가 안쪽으로 인장력을 받으면서 압착되어 내통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여재 고정판(500)의 하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입파이프(4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섬유여재(260)에 분산 배분시키는 공기 분배판(42)을 형성시킨다. 상기 공기 분배판(42)은 분출되는 공기를 상기 섬유여재(260)로 균등 분산 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격판이 형성된 것,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원판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섬유여과기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원수밸브(11)를 개방하고 역세수 배수밸브(21)와 공기공급밸브(41)를 폐쇄하여, 원수유입 파이프(10), 여과수단(200), 처리수 배수파이프(40)로 이루어지는 여과경로를 형성시키면, 상기 여과통(100) 내부로 원수가 유입된다.
유입된 원수는 섬유여재(260)에서 여과되어 처리수로 변하여 여과수단(200) 내부로 이동한 후, 여과수단(200) 저부의 처리수 배수파이프(30)를 통하여 배수된다. 이때 섬유여재(260)의 여과능은 상기 섬유여재(260)가 형성시키는 공극에 의하여 결정되며, 상기 공극은 섬유여재(260)의 인장장력에 의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섬유여재(260)의 인장장력은 상기 당김수단(300)의 피스톤(320)의 운동에 의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피스톤(320)이 상승하면 상기 피스톤(320)에 고정된 상부여재 고정판(400)이 섬유여재(260)를 당기게 되어 인장장력이 형성되며, 섬유여재(260)의 인장장력은 내부 공극을 축소하게 되어 여과공극을 형성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섬유여과기의 역세공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복층 섬유여과기의 원수밸브(11)를 닫고 역세수 배수밸브(21)를 개방하여 처리수 배수파이프(30), 여과수단(200), 역세수 배수용 파이프(20)로 이루어진 역세경로를 형성시킨다. 섬유여과기 내부에서는 상기 배수 파이프(30)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여과수단(200)을 통하여 섬유여재(260)로 분출되면서 섬유여재(260)를 세척하고, 섬유여재(260)를 세척한 물은 상기 역세수 배수용 파이프(20)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된다.
역세가 이루어질 때에는 상기 구동수단(300)의 피스톤(320)을 하강시켜 섬유여재(260)의 장력을 제거하며, 이에 의해 상기 섬유여재(260)가 여과수단(200)에서 분출되는 유수에 쉽게 털리고 진동되고 마찰되어 세척하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공기유입파이프(40)를 통하여 섬유여재(260)의 저부에서 공기가 분사되며(섬유여재에 공기를 균등 분사시키기 위하여 공기분배판(42)이 저부에 마련되어 있다) 역세가 같이 이루어지므로 효과적으로 역세가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섬유여과기에 있어서는, 내부에 스트레이너가 없기 때문에 섬유여재(260)의 자유활동이 증가함으로써 역세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위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구현예에서는 여과층이 3개층으로 예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그 이상의 여과층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100 : 여과통
200 : 여과수단
210 : 상부 섬유 내통 형성판
220 : 상단 내부 수축 조임링
230 : 외부 팽창 조임링
240 : 하단 내부 수축 조임링
250 : 하부 섬유 내통 형성판
260 : 축
300 : 당김수단
310 : 실린더
320 : 피스톤
400 : 상부여재 고정판
500 : 하부여재 고정판

Claims (8)

  1. 상측은 원수유입 파이프와 역세수 배수용 파이프와 연통되고 하측은 처리수 배수 파이프 및 공기 유입 파이프와 연통되는 원통형 여과통;
    상기 여과통 내부에 배치되며, 상부섬유 내통 형성판과 하부섬유 내통 형성판 사이에 상단의 내부 수축 조임링, 중단의 외부 팽창 조임링 및 하단의 내부 수축 조임링이 설치되고 이들 주위를 섬유여재가 둘러쌈으로써 형성되는 여과층을 복수개 구비하는 여과수단;
    상기 여과통의 외측 상부에서 지지대에 의해 고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며 당김 운동에 의하여 상기 섬유여재를 위로 당겨 압축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구동수단;
    상기 여과수단의 상부에서 상기 피스톤에 고정되어 피스톤의 당김 운동을 전달받으며, 상기 상부섬유 내통 형성판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 범위 내에서 중심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고정부가 마련된 상부여재 고정판; 및
    상기 여과수단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섬유 내통 형성판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 범위 내에서 중심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고정부가 마련된 하부여재 고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층 공극제어 섬유여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은 제1 상부섬유 내통 형성판, 상단의 제1 내부 수축 조임링, 중단의 제1 외부 팽창 조임링, 하단의 제1 내부 수축 조임링, 제1 하부섬유 내통 형성판 및 이들 주위를 둘러싸는 제1 섬유여재로 이루어진 외측의 제1 여과층; 및
    제2 상부섬유 내통 형성판, 상단의 제2 내부 수축 조임링, 중단의 제2 외부 팽창 조임링, 하단의 제2 내부 수축 조임링, 제2 하부섬유 내통 형성판 및 이들 주위를 둘러싸는 제2 섬유여재로 이루어진 내측의 제2 여과층을 포함하는 2개의 여과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공극제어 섬유여과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은 제3 상부섬유 내통 형성판, 상단의 제3 내부 수축 조임링, 중단의 제3 외부 팽창 조임링, 하단의 제3 내부 수축 조임링, 제3 하부섬유 내통 형성판 및 이들 주위를 둘러싸는 제3 섬유여재로 이루어진 가장 내측의 제3 여과층을 더욱 포함하는 3개의 여과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공극제어 섬유여과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팽창 조임링의 직경은 내부 수축 조임링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공극제어 섬유여과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여재는 내부 수축 조임링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치되고 외부 팽창 조임링의 외주면을 따라서 배치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공극제어 섬유여과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여과층을 형성하는 섬유여재는 각각 그 기능과 공극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공극제어 섬유여과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수축 조임링은 내주면에 미세 라운드형 굴곡이 형성되고 외부 팽창 조임링은 외주면에 미세 라운드형 굴곡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공극제어 섬유여과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여과층을 구성하는 각각의 섬유여재는 복수개의 섬유다발로 이루어지며, 가장 내측의 섬유다발은 좌대각선, 중간의 섬유다발은 우대각선, 외측의 섬유다발은 좌대각선 등으로 상하 연결되어 섬유여재를 상부로 당기면 회전기구 없이 섬유여재가 교차로 비틀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공극제어 섬유여과기.
KR1020120112674A 2012-10-10 2012-10-10 복층 섬유여과기 KR101476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674A KR101476890B1 (ko) 2012-10-10 2012-10-10 복층 섬유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674A KR101476890B1 (ko) 2012-10-10 2012-10-10 복층 섬유여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342A true KR20140046342A (ko) 2014-04-18
KR101476890B1 KR101476890B1 (ko) 2014-12-26

Family

ID=50653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674A KR101476890B1 (ko) 2012-10-10 2012-10-10 복층 섬유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8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662B1 (ko) * 2015-05-07 2016-10-2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여과 및 역세척 성능이 향상된 섬유사 여재를 포함하는 섬유여과장치
EP3239107A4 (en) * 2014-12-26 2018-07-11 Petrov, Sergey Vasil'evich Mobile water purification sta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793B1 (ko) * 2002-07-27 2003-07-04 주식회사 나노엔텍 가변 유연성 섬유사 필터층을 이용한 여과장치
KR100538637B1 (ko) * 2003-05-07 2005-12-26 효림산업주식회사 밀도 조절형 섬유상 여과장치
KR100813114B1 (ko) * 2007-12-13 2008-03-17 (주)성신엔지니어링 당김형 공극제어 섬유여과기
KR100985300B1 (ko) * 2009-12-03 2010-10-04 김규태 가로봉 지지식 공극제어형 섬유여재 필터 및 가로봉 지지식 섬유여과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39107A4 (en) * 2014-12-26 2018-07-11 Petrov, Sergey Vasil'evich Mobile water purification station
KR101668662B1 (ko) * 2015-05-07 2016-10-2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여과 및 역세척 성능이 향상된 섬유사 여재를 포함하는 섬유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6890B1 (ko) 2014-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08721C (en) Lift type pore-controllable fiber filter
US5942113A (en) Solid-liquid separating filter medium for sewage, waste water, etc
EP2889070B1 (en) Hybrid type fiber filtering apparatus
CA1325176C (en) Column filter using bundles of long fibers
CN102665850B (zh) 过滤装置
US20020185430A1 (en) Variable pore micro filter having simple and compact structure capable of side stream filtration and cross flow filtration
KR101476890B1 (ko) 복층 섬유여과기
KR20030079862A (ko) 멀티형 공극제어 섬유여과기
KR101476888B1 (ko) 스트레이너가 없는 공극제어 섬유 여과기
KR101713869B1 (ko) 섬유여재 여과기
KR100893197B1 (ko) 섬유사 여과장치
KR20170137660A (ko) 섬유여과장치
KR20190050014A (ko) 당김과 비틀림을 동시 적용한 섬유여과장치
KR20140147330A (ko) 경사나선식 섬유여재 고정판 및 이를 이용하는 섬유여과기
KR101877142B1 (ko) 이온교환섬유를 이용한 하수의 필터링 방법
KR20190094610A (ko) 로프형 여재를 이용한 수처리 다단 여과방법 및 여과장치
CN112169445B (zh) 一种过滤网及污水处理装置、方法
CN216855766U (zh) 石英砂脱水罐
KR100571100B1 (ko)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
WO2023152939A1 (ja) 濾過材、濾過装置、及び濾過材の製造方法
JP4142395B2 (ja) ろ過装置及びろ過方法
KR20030076527A (ko) 여과와 역세가 동시에 진행되는 연속형 여과기
KR200425911Y1 (ko) 정수용 여과재
KR101668662B1 (ko) 여과 및 역세척 성능이 향상된 섬유사 여재를 포함하는 섬유여과장치
EP067831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a fl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