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6123A -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6123A
KR20140046123A KR1020120112158A KR20120112158A KR20140046123A KR 20140046123 A KR20140046123 A KR 20140046123A KR 1020120112158 A KR1020120112158 A KR 1020120112158A KR 20120112158 A KR20120112158 A KR 20120112158A KR 20140046123 A KR20140046123 A KR 20140046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palatal
overdenture
cuff
t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2042B1 (ko
Inventor
박광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to KR1020120112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042B1/ko
Priority to PCT/KR2013/007304 priority patent/WO2014058149A1/ko
Priority to ES13844937.6T priority patent/ES2637140T3/es
Priority to EP13844937.6A priority patent/EP2907473B1/en
Priority to US14/429,730 priority patent/US20150216631A1/en
Priority to TW102129640A priority patent/TWI598078B/zh
Publication of KR20140046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4Self-screwing with self-boring cutt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35Magnetic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5Sliding or snap attachments
    • A61C13/2656Snap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3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5Total denture impl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는, 오버덴쳐(overdenture) 시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부의 작용에 의해 미리 결정된 팔라탈(palatal)의 식립위치에 식립되는 임플란트 식립바디; 및 임플란트 식립바디의 상부에 연결되는 커프(cuff)를 구비하며, 식립위치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헤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Palatal implant for overdenture}
본 발명은,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버덴쳐(over denture)를 위한 일반적인 임플란트의 식립 시술이 용이하지 않은 다양한 이상 상황 하에서 팔라탈에 식립되어 오버덴쳐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치아가 상실된 경우, 치과에서는 임플란트 보철물을 사용하여 상실된 치아를 대신한다.
치과 치료 시의 임플란트 보철물은 고정성 보철물과 가철성 보철물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전자인 고정성 보철물은 우리가 흔히 임플란트라 말하는 것으로서, 형태가 기능적인 면에서 자신의 치아와 가장 유사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치아가 상실된 자리에 픽스츄어를 식립하여 추후에 치아 형태의 보철물을 완성하기 때문에 자신의 치아와 가장 유사하게 시술할 수 있다.
하지만, 치아 하나당 한 개씩의 임플란트가 요구되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치아가 상실된 경우에는 많은 수의 임플란트, 예컨대 상악에서는 10개 이상, 하악에서는 8개 이상의 임플란트가 필요함은 물론 여러 번의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고 비용이 고가이다.
뿐만 아니라 고정성 보철물의 경우, 치아들이 너무 길어 보일 수도 있고, 가끔 입술을 지지하지 못하는 등의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반해, 임플란트 틀니 혹은 오버덴쳐(over denture)라고도 불리는 가철성 보철물은 잇몸의 형태를 자연스럽게 재현할 수 있어서 입술 지지에 유리하며, 고정성 보철물에 비해 경제적인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어떠한 경우에서는 가철성 보철물(임플란트 틀니)이 더 좋은 결과를 보일 수도 있다.
상악과 하악에서 틀니의 제작 방식은 조금 다를 수 있는데, 보통 하악은 최소 2개 이상의 임플란트를, 상악은 최소 4개 이상의 임플란트를 필요로 하며, 이들을 해당하는 식립위치에 식립한 후에,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틀니를 결합시키게 된다.
일반적인 틀니의 제작과 달리 임플란트를 이용한 틀니, 특히 상악 틀니의 경우, 훨씬 많은 노력과 시간, 그리고 비용이 요구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악 틀니의 시술을 위해서는 우선, 상악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해야 한다.
이러한 임플란트 식립 시술 시 상악의 릿지(Ridge) 부위에 골량이 충분한 정상적인 상황이라면 큰 문제가 없다.
하지만, 예컨대 고령으로 인하여 치조골이 없는 상황, 임플란트 주변 골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 골이식 등의 추가적 시술이 되지 않을 상황, 일반적인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이 낮다고 판단되는 상황, 임플란트 사용이 불가능한 환자의 상황 등처럼 정상적이지 못한 다양한 이상 상황 하에서는 일반적인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시술하는 행위가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대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5-0041585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오버덴쳐(over denture)를 위한 일반적인 임플란트의 식립 시술이 용이하지 않은 다양한 이상 상황 하에서 팔라탈에 식립되어 오버덴쳐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오버덴쳐(overdenture) 시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부의 작용에 의해 미리 결정된 팔라탈(palatal)의 식립위치에 식립되는 임플란트 식립바디; 및 상기 임플란트 식립바디의 상부에 연결되는 커프(cuff)를 구비하며, 상기 식립위치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 식립바디가 드릴링(drilling) 작업 없이 셀프 태핑(self tapping)에 의해 상기 식립위치에 식립될 수 있도록 상기 임플란트 식립바디의 하단부는 셀프 태핑용 첨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나사부는 상기 임플란트 식립바디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셀프 태핑용 첨예부에서 상기 커프까지 연속적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부의 외면을 연결하는 가상의 라인은, 상기 셀프 태핑용 첨예부에서 상기 임플란트 식립바디의 중앙 영역까지 형성되는 곡선형 라인부; 및 상기 곡선형 라인부가 끝나는 영역에서 상기 커프까지 형성되는 직선형 라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부는, 상기 나사부의 선단부를 형성하는 직선부; 및 상기 임플란트 식립바디의 외표면에서 상기 나사부의 직선부까지 곡선형으로 연결되는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선부는 상기 직선부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 식립바디는 상기 팔라탈과의 빠른 골융합을 위해 칼슘 이온(ca ion) 표면처리될 수 있다.
상기 헤드는, 부속물과의 연결을 위해 상기 커프에 마련되는 부속물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속물 연결부 내에는 상기 부속물과의 억지끼워맞춤되는 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속물 연결부는 상기 부속물과의 자력 결합을 위해 마그네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속물 연결부의 모서리 영역은 라운딩 가공될 수 있다.
상기 부속물 연결부는 돌출형이거나 그루브형일 수 있다.
상기 커프와 상기 부속물 연결부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헤드는 질화지르코늄(ZrN) 표면처리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 식립바디의 길이는 4 내지 6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상기 식립위치는 중앙 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소구치 쪽으로 4 내지 6 밀리미터(mm) 지점에 식립될 수 있다.
상기 팔라탈의 골량이 적은 경우, 상기 식립위치에서 대각 방향으로 식립될 수 있다.
상기 커프는 종류별로 길이가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인 임플란트 시술이 어려운 다양한 이상 상황 하에서 팔라탈에 식립되어 임플란트 시술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의 이미지이다.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의 식립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의 다양한 변형예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의 사시도로서 부속물이 분리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부속물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은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의 사시도로서 부속물이 분리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부속물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의 이미지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의 이미지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의 식립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의 다양한 변형예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100)는 일반적인 임플란트 시술이 어려운 다양한 이상 상황 하에서 팔라탈(palatal, 구개골)에 식립되어 임플란트 시술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100)는, 나사부(120)가 외면에 형성되며, 나사부(120)의 작용에 의해 미리 결정된 팔라탈의 식립위치(P, 도 3 참조)에 식립되는 임플란트 식립바디(110)와, 임플란트 식립바디(110)의 상부에 연결되며 식립위치(P)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헤드(150)를 포함한다.
헤드(150)는 임플란트 식립바디(110)의 상부에 연결되는 커프(130, cuff)와, 부속물(미도시)과의 연결을 위해 커프(130)에 마련되는 부속물 연결부(140)를 포함한다.
우선, 임플란트 식립바디(110)는 도 1 및 도 2에서 커프(130)와 부속물 연결부(14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가리킨다.
이러한 임플란트 식립바디(110)는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부(120)의 작용에 의해 미리 결정된 팔라탈의 식립위치(P, 도 3 참조)에 식립된다.
본 실시예의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100)에 대한 식립위치(P)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라인(C/L)을 기준으로 하여 소구치 쪽으로 대략 4 내지 6 밀리미터(mm) 지점, 바람직하게는 5 밀리미터(mm) 지점에 식립될 수 있다.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100)가 수직되게 식립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만약 팔라탈의 골량이 적은 경우라면 식위치(P)에서 대각 방향으로 식립될 수 있다.
임플란트 식립바디(110)는 커팅 에지(cutting edge)가 없는 날렵한 형태의 나사로 제작된다.
특히, 임플란트 식립바디(110)가 드릴링(drilling) 작업 없이 식립위치(P, 도 3 참조)에 식립될 수 있도록 임플란트 식립바디(110)의 하단부는 셀프 태핑(self tapping)이 가능하게 셀프 태핑용 첨예부(111)를 형성한다.
이처럼 임플란트 식립바디(110)의 하단부는 셀프 태핑용 첨예부(111)가 형성되기 때문에 셀프 태핑용 첨예부(111)를 식립위치(P)에 대고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100)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별도의 드릴 작업 없이도 본 실시예의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100)를 식립할 수 있어 편리하다. 특히, 식립 작업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임플란트 식립바디(110)의 외면에는 임플란트 식립바디(110)가 식립위치(P)에 식립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나사부(120)가 형성된다.
나사부(120)는 임플란트 식립바디(110)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셀프 태핑용 첨예부(111)에서 커프(130)까지 연속적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나사부(120)는 골 밀도(bone density)에 저항감 없이 샤프(sharp)하게 식립될 수 있도록 나이프 에지 스레드(knife edge thread)로 형성된다. 즉 나사부(120)를 형성하는 단부 자체가 칼날과 같은 형상을 이룬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나사부(120)에 대해 좀 더 살펴본다. 본 실시예의 경우, 나사부(120)의 외면을 연결하는 가상의 라인은, 셀프 태핑용 첨예부(111)에서 임플란트 식립바디(110)의 대략 중앙 영역까지 형성되는 곡선형 라인부(L1)와, 곡선형 라인부(L1)가 끝나는 영역에서 커프(130)까지 형성되는 직선형 라인부(L2)를 포함한다.
곡선형 라인부(L1)가 식립위치(P)를 잘 파고 들어가면 그 후에 직선형 라인부(L2)가 강한 고정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나사부(120)의 경우, 도 2에 확대된 바와 같이, 마치 사각나사와 같은 형태를 이룬다. 물론, 완전한 사각나사는 아니며 사각나사와 사다리꼴나사가 접목되어 변형된 형태를 이룬다.
살펴보면, 나사부(120)는 나사부(120)의 선단부를 형성하는 직선부(121)와, 임플란트 식립바디(110)의 외표면에서 나사부(120)의 직선부(121)까지 곡선형으로 연결되는 곡선부(122)를 포함한다.
이때, 곡선부(122)는 직선부(121)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대칭되게 배치된다. 나사부(120)가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짐으로써 통상적인 임플란트보다 강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나사부(120)를 비롯한 임플란트 식립바디(110)는 팔라탈과의 빠른 골융합을 위해 칼슘 이온(ca ion) 표면처리된다. 이와 같은 표면처리가 적용됨으로써 최적의 표면거칠기를 유도할 수 있고, 치유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임플란트 식립바디(110)의 길이(length)는 4 내지 6 밀리미터(mm), 예컨대 5 밀리미터(mm)일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커프(130)는 임플란트 식립바디(110)의 상부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커프(130)는 도 4처럼 다양한 마진(margin)에 대처하기 위해 종류별로 그 길이가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좌측의 4개와 우측의 4개는 각각 임플란트 식립바디(110)의 직경이 2.0 밀리미터(mm)와, 2.5 밀리미터(mm)인 경우인데, 임플란트 식립바디(110)의 직경이 동일한 상태에서도 커프(130)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처럼 커프(130)의 길이가 서로 달리 제작되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 적용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 시 다양한 마진에 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부속물 연결부(140)는 커프(130)의 상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이다. 이러한 부속물 연결부(140)는 임플란트 커버(implant cover), 어버트먼트(abutment) 혹은 틀니의 고정을 위한 여러 부속 장치들과 같은 도시 않은 부속물(미도시)과의 연결을 위해 커프(130)에 마련되는 부분인데,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돌출형으로 적용되고 있다.
부속물 연결부(140) 내에는 홈(141)이 형성되어 부속물이 억지끼워맞춤될 수 있다. 하지만, 부속물 연결부(140) 상단부 혹은 부속물 연결부(140) 그 자체가 마그네트로 되어 부속물과 자기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부속물 연결부(140)의 모서리 영역은 라운딩 가공처리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적인 특징에 의해 부속물의 연결 작업이 더욱 쉬워진다. 즉 본 실시예의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100)를 비스듬히 식립한 경우에도 부속물 연결부(140)에 부속물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커프(130)와 부속물 연결부(140)는 일체로 제작되어 헤드(150)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때의 헤드(150)는 전술한 임플란트 식립바디(110)와 달리 질화지르코늄(ZrN) 표면처리될 수 있다.
참고로, 질화지르코늄(ZrN) 표면처리되는 커프(130)와 부속물 연결부(140) 영역은 표면처리 전보다 전류밀도가 감소될 수 있고 내식성과 경도는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크래치 등의 결함이 제거되면서 금색의 색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100)의 시술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상악에 릿지(ridge)가 부족하여 팔라탈 쪽에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100)를 식립해야 하는지를 확인한다.
팔라탈 쪽에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100)를 식립해야 하는 경우, 우선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100)에 대한 식립위치(P, 도 3 참조)를 설정한다.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100)에 대한 식립위치(P)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라인(C/L)을 기준으로 하여 소구치 쪽으로 대략 4 내지 6 밀리미터(mm) 지점, 바람직하게는 5 밀리미터(mm) 지점에 식립될 수 있다.
만약, 소구치 위치를 모를 경우 구개 끝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개란 구강의 윗부분을 가리킨다.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100)가 수직되게 식립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만약 팔라탈의 골량이 적은 경우라면 식위치(P)에서 대각 방향으로 식립될 수 있다.
식립위치(P)가 설정되면 전용 드라이버에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100)를 끼우고, 임플란트 식립바디(110)의 셀프 태핑용 첨예부(111)를 식립위치(P)에 대면시킨 후에 드라이버를 돌리면서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100)를 식립한다.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100)의 식립 과정이 완료되면, 페인트 등을 이용하여 그 위치를 표시한 후, 나중에 하우징(housing)을 장착함으로써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의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100)에 의하면, 일반적인 임플란트 시술이 어려운 다양한 이상 상황 하에서 팔라탈에 식립되어 임플란트 시술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의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100)에 의하면, 예컨대 고령으로 인하여 치조골이 없는 상황, 임플란트 주변 골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 골이식 등의 추가적 시술이 되지 않을 상황, 일반적인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이 낮다고 판단되는 상황, 임플란트 사용이 불가능한 환자의 상황 등처럼 정상적이지 못한 다양한 이상 상황 하에서 팔라탈에 식립되어 임플란트 시술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특히, 팔라탈이라는 구개부에 식립되어 임플란트를 진행할 수 있어 치과 치료의 다양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별도의 드릴 없이 손으로만 식립할 수 있어 작업이 매우 수월하다.
또한 기존 임플란트 대비 낮은 가격으로 제공될 수 있으면서도 고정력이 우수하며, 식립 후 실패(failure) 시에도 바로 시술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의 사시도로서 부속물이 분리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부속물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은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200) 역시, 나사부(120)가 외면에 형성되며, 나사부(120)의 작용에 의해 미리 결정된 팔라탈의 식립위치(P, 도 3 참조)에 식립되는 임플란트 식립바디(110)와, 임플란트 식립바디(110)의 상부에 연결되는 커프(130, cuff)와, 예컨대 임플란트 커버(implant cover)와 같은 부속물(250)과의 연결을 위해 커프(130)에 마련되는 부속물 연결부(240)를 포함한다.
임플란트 식립바디(110), 나사부(120) 및 커프(130)의 구조 및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임플란트 식립바디(110), 나사부(120) 및 커프(130)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200)에서 부속물 연결부(240)는 돌출형, 특히 나사식 돌출형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부속물(250)는 나사식 돌출형으로 마련되는 부속물 연결부(240)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때, 부속물(250)의 외면에는 렌치 결합부(251)가 형성된다. 렌치 결합부(251)는 렌치 드라이버가 끼워지는 자리를 형성한다.
부속물(250)는 추후, 별도의 유지장치(미도시)와의 결합을 위한 어버트먼트 용도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의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200)의 경우에도 일반적인 임플란트 시술이 어려운 다양한 이상 상황 하에서 팔라탈에 식립되어 임플란트 시술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의 사시도로서 부속물이 분리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부속물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300) 역시, 나사부(120)가 외면에 형성되며, 나사부(120)의 작용에 의해 미리 결정된 팔라탈의 식립위치(P, 도 3 참조)에 식립되는 임플란트 식립바디(110)와, 임플란트 식립바디(110)의 상부에 연결되는 커프(330, cuff)와, 부속물(350)과의 연결을 위해 커프(330)에 마련되는 부속물 연결부(3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부속물 연결부(340)는 그루브형으로 마련된다. 그루브형으로 마련되는 부속물 연결부(340)에 부속물(350)가 나사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부속물(350)에는 부속물 연결부(340)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나사 결합부(351)가 형성된다. 부속물(350)은 그 상면에 형성되는 드라이버 홈(353)에 의해 부속물 연결부(340)에 연결될 수 있다.
커프(330)의 외면에는 본 실시예의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300)의 식립을 위한 렌치 결합부(33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의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300)의 경우에도 일반적인 임플란트 시술이 어려운 다양한 이상 상황 하에서 팔라탈에 식립되어 임플란트 시술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인 임플란트 시술이 어려운 다양한 이상 상황 하에서 팔라탈에 식립되어 임플란트 시술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의 이미지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400) 역시, 나사부(420)가 외면에 형성되며, 나사부(420)의 작용에 의해 미리 결정된 팔라탈의 식립위치(P, 도 3 참조)에 식립되는 임플란트 식립바디(410)와, 임플란트 식립바디(410)의 상부에 연결되며 식립위치(P)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헤드(45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나사부(420)의 외면을 연결하는 가상의 라인은 임플란트 식립바디(410)의 셀프 태핑용 첨예부(411)에서 헤드(450)까지 연속적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형상적인 특징으로 인해 드릴 없이도 셀프 태핑에 의해 임플란트 식립바디(410)를 용이하게 식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110 : 임플란트 식립바디
111 : 셀프 태핑용 첨예부 120 : 나사부
121 : 직선부 122 : 곡선부
130 : 커프 140 : 부속물 연결부
150 : 헤드

Claims (17)

  1. 오버덴쳐(overdenture) 시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부의 작용에 의해 미리 결정된 팔라탈(palatal)의 식립위치에 식립되는 임플란트 식립바디; 및
    상기 임플란트 식립바디의 상부에 연결되는 커프(cuff)를 구비하며, 상기 식립위치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식립바디가 드릴링(drilling) 작업 없이 셀프 태핑(self tapping)에 의해 상기 식립위치에 식립될 수 있도록 상기 임플란트 식립바디의 하단부는 셀프 태핑용 첨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는 상기 임플란트 식립바디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셀프 태핑용 첨예부에서 상기 커프까지 연속적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의 외면을 연결하는 가상의 라인은,
    상기 셀프 태핑용 첨예부에서 상기 임플란트 식립바디의 중앙 영역까지 형성되는 곡선형 라인부; 및
    상기 곡선형 라인부가 끝나는 영역에서 상기 커프까지 형성되는 직선형 라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는,
    상기 나사부의 선단부를 형성하는 직선부; 및
    상기 임플란트 식립바디의 외표면에서 상기 나사부의 직선부까지 곡선형으로 연결되는 곡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부는 상기 직선부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식립바디는 상기 팔라탈과의 빠른 골융합을 위해 칼슘 이온(ca ion) 표면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부속물과의 연결을 위해 상기 커프에 마련되는 부속물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물 연결부 내에는 상기 부속물과의 억지끼워맞춤되는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물 연결부는 상기 부속물과의 자력 결합을 위해 마그네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물 연결부의 모서리 영역은 라운딩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물 연결부는 돌출형이거나 그루브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프와 상기 부속물 연결부는 일체로 제작되며,
    상기 헤드는 질화지르코늄(ZrN) 표면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식립바디의 길이는 4 내지 6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립위치는 중앙 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소구치 쪽으로 4 내지 6 밀리미터(mm) 지점에 식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라탈의 골량이 적은 경우, 상기 식립위치에서 대각 방향으로 식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프는 종류별로 길이가 상이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KR1020120112158A 2012-10-10 2012-10-10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KR101462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158A KR101462042B1 (ko) 2012-10-10 2012-10-10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PCT/KR2013/007304 WO2014058149A1 (ko) 2012-10-10 2013-08-14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ES13844937.6T ES2637140T3 (es) 2012-10-10 2013-08-14 Implante palatino para prótesis superpuesta
EP13844937.6A EP2907473B1 (en) 2012-10-10 2013-08-14 Palatal implant for overdenture
US14/429,730 US20150216631A1 (en) 2012-10-10 2013-08-14 Palatal implant for overdenture
TW102129640A TWI598078B (zh) 2012-10-10 2013-08-19 用於覆蓋式假牙的齶植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158A KR101462042B1 (ko) 2012-10-10 2012-10-10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123A true KR20140046123A (ko) 2014-04-18
KR101462042B1 KR101462042B1 (ko) 2014-11-18

Family

ID=5047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158A KR101462042B1 (ko) 2012-10-10 2012-10-10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216631A1 (ko)
EP (1) EP2907473B1 (ko)
KR (1) KR101462042B1 (ko)
ES (1) ES2637140T3 (ko)
TW (1) TWI598078B (ko)
WO (1) WO20140581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71806B (zh) * 2014-05-27 2017-02-21 Metal Ind Res And Dev Centre Tooth body image joining method
PT108965A (pt) * 2015-11-18 2017-05-18 Miguel Dos Santos Roseiro Pedro Pilar de conexão autodirecionado com quatro retenções [pcad-qr], chave manual e chave de torque e soluções de fixação de nível intermédio
IL243523B (en) * 2016-01-10 2022-08-01 Cortex Dental Implants Ind Ltd Dental implant without the need for drilling
WO2023154979A1 (en) * 2022-02-18 2023-08-24 Maxoniq IP Pty Ltd Magnetically retained dental prosthesi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4858A (en) * 1969-04-14 1970-06-02 Ralph H Silverman Denture securing apparatus
DE3237174C2 (de) * 1981-11-14 1984-04-12 Feldmühle AG, 4000 Düsseldorf Befestigungssystem für eine schleimhautgetragene Prothese
CA2424736C (en) * 2000-10-04 2011-06-14 Bernard Weissman Implants and modular components for assembly of dentures and bridges
US7157096B2 (en) * 2001-10-12 2007-01-02 Inframat Corporation Coatings, coated art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JP2004113509A (ja) * 2002-09-26 2004-04-15 Aichi Steel Works Ltd 義歯アタッチメント用キーパ
EP1663051B1 (de) * 2003-09-16 2013-05-29 Bredent Dentalgeräte und Materialien Fach- und Organisationsberatung Peter Brehm Positionierschraube zur anfertigung von zahnersatz bei unbezahntem oder teilbezahntem kiefer
SE0400546D0 (sv) * 2004-03-05 2004-03-05 Dan Lundgren Rörformigt benförankringselement
WO2006031096A1 (en) * 2004-09-14 2006-03-23 Oratio B.V. Method of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a ceramic dental implant with an aesthetic implant abutment
JP2006271767A (ja) * 2005-03-30 2006-10-12 Gc Corp 歯科インプラント用磁性アタッチメント
KR20080110391A (ko) * 2007-06-15 2008-12-1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임플란트
KR100807150B1 (ko) * 2007-08-27 2008-02-27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오버덴쳐 시술용 임플란트
US9314318B2 (en) * 2008-08-26 2016-04-19 Zest Ip Holdings, Llc Dental anchor apparatus and method
IT1392605B1 (it) * 2008-12-31 2012-03-09 Hdc S R L Dispositivo di fissaggio per apparecchi ortodontici
KR100931210B1 (ko) * 2009-07-22 2009-12-10 윤우성 치과 교정용 나사 조립체
KR101131115B1 (ko) * 2010-03-31 2012-04-03 서정운 충격흡수가 용이한 임플란트용 픽스쳐
KR20120008672A (ko) * 2010-07-19 2012-02-01 공용표 인공치근 및 이를 이용한 의치구조
JP5100918B2 (ja) * 2011-03-28 2012-12-19 株式会社T・U・M 義歯システム、入れ歯の作成方法および補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16631A1 (en) 2015-08-06
TW201414458A (zh) 2014-04-16
ES2637140T3 (es) 2017-10-11
TWI598078B (zh) 2017-09-11
EP2907473A1 (en) 2015-08-19
EP2907473B1 (en) 2017-06-21
KR101462042B1 (ko) 2014-11-18
WO2014058149A1 (ko) 2014-04-17
EP2907473A4 (en) 201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82560A1 (en) Implant for teeth orthodontics
JP2009522038A (ja) フリーアングル型インプラントドライバー及びフリーアングルホール(孔)型インプラントアバットメント
JP5689855B2 (ja) インプラントと、インプラントに用いられるキーパ及びインプラント本体部
JP6006880B2 (ja) 有床義歯用アタッチメント
KR101462042B1 (ko) 오버덴쳐용 팔라탈 임플란트
JP6295041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フィクスチャーおよび歯科インプラント
US8029281B2 (en) Separating ring
US20170209235A1 (en) Drill guide assembly
KR101155702B1 (ko) 일체형 임플란트
KR200474677Y1 (ko) 경구개의 손상을 최소화한 치열 교정용 지지부재
KR101132495B1 (ko) 치과교정 앵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교정장치
WO2021157581A1 (ja) 歯移動器具
US20090162806A1 (en) Replacement tooth
JP2013141582A (ja) 歯列矯正用インプラント
KR101646905B1 (ko) 구개고정용장치
KR101993711B1 (ko) 치아교정용 스크류
KR100562581B1 (ko) 골격형 ⅱ급 부정교합 교정장치
KR101158726B1 (ko) 치열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열교정시스템
KR20170019709A (ko) 틀니의 착탈방법
CN111698963B (zh) 缺损牙齿补充型牙修复体
KR102080084B1 (ko) 스위볼스크류를 이용한 커브드 임프레션 코핑
KR20160139664A (ko) 클로징 스크류
KR20160027956A (ko) 어버트먼트
KR20020026989A (ko) 치과용 볼트
KR20140136859A (ko) 어버트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