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5835A - 메뉴 검색을 위한 터치 유저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메뉴 검색을 위한 터치 유저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5835A
KR20140045835A KR1020120112078A KR20120112078A KR20140045835A KR 20140045835 A KR20140045835 A KR 20140045835A KR 1020120112078 A KR1020120112078 A KR 1020120112078A KR 20120112078 A KR20120112078 A KR 20120112078A KR 20140045835 A KR20140045835 A KR 20140045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enu
touch
menu items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순
Original Assignee
최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순 filed Critical 최경순
Priority to KR1020120112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5835A/ko
Publication of KR20140045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TV나 스마트폰 같은 영상 장치에서 TV 채널, 콘텐츠, 앱, 웹 등 규모가 큰 메뉴를 한 번의 터치 이동 제스처로 검색하여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 유저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영상 장치에 구비된 터치 센서에서의 터치 정보에 따라 순차적으로 생성되는 이동 방향 코드에 대응하여 메뉴 아이템 이동은 물론 메뉴 아이템 블록 이동 또는 페이지 이동을 병행하게 함으로써 한 번의 터치 이동 제스처로 많은 수의 메뉴 아이템을 화면 내비게이션 방식으로 쉽고 빠르게 검색하여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메뉴 검색을 위한 터치 유저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Touch User Interface for searching menu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장치에서 메뉴를 검색하는 터치 유저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TV, 스마트폰, 터치패드 등 영상 장치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TV 채널, 콘텐츠, 웹, 앱 등 규모가 큰 메뉴를 검색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스마트TV의 경우 버튼 외에 터치 센서를 구비한 리모컨으로부터 터치 이동 신호를 본체에서 수신 처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리모컨을 이용하여 수백 개가 넘어가는 메뉴를 검색하기 위해서 메뉴 표시, 메뉴 아이템 이동, 페이지 이동 및 메뉴 아이템 선택 등을 위해 상이한 제스처를 여러 번 반복해야 하며 하나의 단순한 기능 실행을 위해 10회 이상 명령을 입력해야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사용자들은 한두 번의 간단한 제스처로 원하는 영상 장치의 기능을 선택하고 제어하지 못하면 사용의 불편함을 느끼며 종래의 단순했던 TV처럼 한두 번의 간단한 제스처로 영상 장치가 제공하는 많은 기능들을 사용하기 원한다.
리모컨을 사용하여 수백 개의 채널 메뉴를 검색하는 경우 채널 번호에 해당하는 숫자 버튼이나 채널 업다운 버튼을 여러 번 누르는 대신 채널들을 내비게이션 지도처럼 2차원 좌표에 대응시켜 그 메뉴의 일부를 화면 표시창에 표시하고 터치 이동에 의해 메뉴 아이템을 하나씩 이동하는 유저인터페이스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VOD 콘텐츠처럼 규모가 큰 메뉴를 검색하는 경우 메뉴를 여러 계층으로 분류하고 활성화된 계층 메뉴를 1열로 화면에 표시하고 터치 이동에 의해 메뉴 아이템을 하나씩 이동하되 터치 이동 방향을 전환하면 메뉴 계층을 이동하는 유저인터페이스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소파에 기대 한 손에 쥔 리모컨의 쥐는 위치를 이동하지 않고 엄지를 이용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세로 막대형 터치 리모컨에서 한 번의 엄지 터치 이동 제스처로 힘들이지 않고 이동할 수 있는 거리는 대략 세로 3Cm, 가로 4Cm, 사선 방향 5Cm 정도이며, 보통 사람의 촉감으로 어려움 없이 메뉴 아이템을 하나씩 분별하여 이동하기 위한 최소 터치 이동 거리는 대략 3mm 정도이다. 터치 이동에 의한 아이템 선택 방법은 1Cm 이상 간격을 필요로 하는 아이콘 터치 방식에 비해 선형으로 배열된 아이템의 경우 3배 이상, 2차원적으로 배열된 아이템의 경우 10배 이상 분별할 수 있게 한다. 세로 막대형 리모컨에 실장할 수 있는 3.5Cm X 4.5Cm 크기의 터치 센서에서 어려움 없이 한 번의 엄지 터치 이동 제스처로 구분하여 이동할 수 있는 메뉴 아이템 수는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대략 10개 내지 13개 수준이다. 터치 터치 센서를 크게 하면 리모컨을 한 손으로 쥐기 힘들어지고 두 손을 사용해야 하므로 불편해 진다. 좁은 터치 공간에서 한 번의 엄지 터치 이동 제스처로 이동할 수 있는 메뉴 아이템 수를 늘리면 분별 거리가 작아져 입력 오류가 발생하기 쉬워져 더 많은 사용자의 주의를 요구한다.
비교적 큰 메뉴를 검색하는 경우 페이지 이동을 위해 메뉴 아이템 선택을 위한 제스처와 다른 별도의 입력 제스처를 통해 예를 들면 페이지 이동 버튼을 누르거나 flicking 하거나 화면에 표시된 지표를 선택하는 제스처를 사용한다. 메뉴 아이템 수가 늘어나면 제스처 횟수도 비례적으로 늘어가며 10 페이지가 넘어가는 메뉴는 10회 이상의 제스처를 반복하여 검색은 더욱 힘들어진다.
화면에 표시된 메뉴 아이템 위치로 커서를 이동하여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는 대신, 터치 센서에서의 터치 이동 벡터에 대응하는 상대 좌표를 생성하여 상대 좌표에 대응하는 메뉴 아이템을 액세스하는 유저인터페이스 방법이 한국 특허 10-0720335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 터치 센서에서의 터치 이동 거리와 터치 이동 방향 전환에 따라 개별 메뉴 아이템과 메뉴 계층을 이동하여 큰 규모의 메뉴를 검색하는 유저인터페이스 방법이 한국 특허 10-0942821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영상 장치에 구비된 터치 센서에서의 한 번의 터치 이동 제스처로 메뉴 아이템 이동은 물론 블록 이동이나 페이지 이동을 실행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큰 규모의 메뉴를 쉽고 빠르게 검색하여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 센서를 구비한 영상 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방법은, 메뉴 아이템들을 2개 이상의 블록으로 분류하는 단계, 터치 센서에서의 터치 정보가 소정의 거리를 이동하거나 소정의 경계를 지나면 이동 방향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되는 이동 방향 코드에 대응하여 메뉴 아이템을 하나씩 이동하되 다음 메뉴 아이템이 활성화된 블록 내에 없으면 블록 이동을 하는 단계 및 활성화된 블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터치 센서를 구비한 영상 장치는, 메뉴 아이템들을 2개 이상의 블록으로 분류하는 수단, 터치 센서에서의 터치 정보가 소정의 거리를 이동하거나 소정의 경계를 지나면 이동 방향 코드를 생성하는 수단 및 생성되는 이동 방향 코드에 대응하여 메뉴 아이템을 하나씩 이동하되 다음 메뉴 아이템이 활성화된 블록 내에 없으면 블록 이동을 하는 수단 및 활성화된 블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 장치 터치 센서에서 한 번의 터치 이동 제스처로 여러 개의 메뉴 아이템 이동은 물론 블록 이동을 병행할 수 있어 한 번의 터치 이동 제스처로 검색하여 액세스할 수 있는 메뉴 범위를 메뉴 아이템을 하나씩 이동하는 방법에 비해 1열로 배열된 메뉴는 3배 이상 늘릴 수 있고, 2차원 구조로 배열된 메뉴는 9배 이상 늘릴 수 있으며, 블록 이동과 페이지 이동을 병행할 경우 1열로 배열된 메뉴는 5배 이상 늘릴 수 있고, 2차원 구조로 배열된 메뉴는 25배 이상 늘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메뉴 아이템들을 4개의 블록으로 분류한 메뉴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메뉴 아이템들 1열로 배열한 메뉴의 예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메뉴 아이템 이동을 위한 블록과 컬러 영역을 함께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방향 코드 생성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유저인터페이스 방법 수행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리모컨을 구비한 영상 장치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체형 영상 장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저인터페이스 방법은 스마트TV, OTT(Over-The-Top), 셋톱박스, 태블릿PC, 스마트폰, 게임기 및 카메라 등의 영상 장치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 아이템들, 예를 들면 콘텐츠, TV 채널, 문자, 웹, 앱 또는 텍스트 등을 1차원 또는 2차원 구조의 메뉴로 배열하거나 계층 구조의 메뉴로 분류하여 각각의 메뉴 검색 모드에 따라 터치 이동 제스처로 검색하여 액세스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또한 메뉴를 검색하는데 있어서 영상 장치의 본체 또는 리모컨에 구비된 터치 센서에서 터치 정보가 소정의 거리를 이동하거나 소정의 경계를 지나면 이동 방향 코드를 생성하여 생성된 이동 방향 코드에 대응하여 메뉴 아이템을 이동한다.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 블록과 페이지는 아이템 그룹 이동과 화면 디스플레이를 위한 단위이며 컬러 영역은 아이템 그룹 이동과 관계없이 시각적 표시를 구분하기 위한 단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에서 설명될 내용은 실시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들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거나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여러 실시 예들을 설명하면서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고 첨부 도면을 통틀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일 실시 예로 48개의 메뉴 아이템들을 블록A(11), 블록B(12), 블록C(13), 블록D(14) 4개의 블록으로 분류하여 설정한 예시도이다.
영상 장치 터치 센서의 소정의 터치 영역을 처음 터치하거나 터치 이동을 시작하면 본 실시 예의 메뉴를 검색하는 메뉴 검색 모드가 시작되어 첫 번째 블록 블록A[A11:A34](11)가 활성화되어 화면의 표시창에 디스플레이된다. 초기 상태에서 처음 선택되는 메뉴 아이템은 A11(111)이고 순차적으로 생성되는 이동 방향 코드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메뉴 아이템은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터치 이동 방향 코드는 도 5나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리모컨이나 영상 장치 본체에 구비된 터치 센서에서 터치 정보가 소정의 거리를 이동하거나 소정의 경계를 지날 때마다 4개 또는 8개 방향으로 구분하여 생성한다. 도 2처럼 메뉴가 1열로 배열한 경우에는 2개 방향으로 구분하여 이동 방향 코드를 생성한다. 도 1에 도시한 실시 예에 따르면 A11(111)에서 시작하여 터치 센서에서의 터치 위치가 ㄴ자 형태로 이동하여 순차적으로 하향, 하향, 우향, 우향, 우향의 5개 이동 방향 코드가 생성되면 메뉴 아이템은 순차적으로 A11, A21, A31, A32, A33, A34가 선택된다. A34에서 다시 터치 이동이 계속되어 우향 이동 방향 코드가 생성되면 A34 우측 다음 위치의 B31이 선택되지 않고 우향으로 다음 블록을 구성하는 4개의 메뉴 아이템을 이동하여 B34가 선택되고 선택된 B34를 포함하는 블록B[B11:B34](12)가 활성화되어 표시창에 디스플레이된다. B34가 선택된 상태에서 터치 이동 방향을 반대로 바꾸어 4개의 좌향 이동 방향 코드가 순차적으로 생성되면 B34, B33, B32, B31, A31이 순차적으로 선택되고 A31이 선택될 때 활성화된 블록A(11)가 다시 디스플레이된다. A34에서 하향 이동 방향 코드가 생성되면 하향으로 한 블록 이동하여 C34가 선택되고, A34에서 우하향 이동 방향 코드가 생성되면 우향으로 4개, 하향으로 3개의 메뉴 아이템으로 구성되는 블록 이동을 하여 D34가 선택된다. 만일 블록A의 우측 중간에 위치한 A24에서 우하향 이동 방향 코드가 생성되면 우향으로 4개, 하향으로 3개의 메뉴 아이템으로 구성되는 블록 이동을 하여 D24가 선택되고 D24를 포함하는 블록D(14)가 활성화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메뉴 아이템은 도 1에 도시한 실시 예의 A11(111)처럼 텍스트로 표시될 수도 있고 아이콘이나 멀티미디어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아무 기능도 설정되지 않고 표시도 없는 공(null) 아이템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 예로 1열로 배열한 메뉴 아이템들을 블록과 페이지로 분류한 메뉴의 예시도이다. 도 2의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E와 블록F가 페이지1(21)을 구성하고 블록G와 블록H가 페이지2(22)를 구성하여 활성화된 페이지가 화면 표시창에 디스플레이된다. 메뉴 아이템 E1이 선택된 상태에서 우향 이동 방향 코드가 순차적으로 6개 생성되면 메뉴 아이템은 E1, E2, E3, E4, F3, G4, H3의 순서로 선택된다. 즉 3번째 이동 방향 코드까지는 메뉴 아이템 이동을 하고 4번째 이동 방향 코드부터는 블록 이동을 한다. H3에서 좌향 이동 방향 코드가 5개 순차적으로 생성되면 메뉴 아이템은 H3, H2, H1, G1, F1, E1의 순차적으로 선택된다.
이동 방향 코드에 대응하여 블록 이동과 페이지 이동을 병행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도 2에서 E1이 선택된 다음 5개의 우향 이동 방향 코드가 순차적으로 생성되는 경우 E1, E2, E3, E4의 순서로 먼저 이동하고, 4번째 우향 이동 방향 코드에 대응하는 메뉴 아이템이 활성화된 블록E에 없으면 다음 블록F의 메뉴 아이템 수만큼 블록 이동을 하여 F3로 이동하고, 5번째 우향 이동 방향 코드에 대응하는 다음 블록이 디스플레이된 페이지1에 없으면 다음 페이지를 구성하는 블록 수 2개를 이동하여 H3로 이동하고 선택된 H3를 포함하여 활성화된 페이지2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우향 이동 방향 코드가 생성될 때마다 1개 페이지를 구성하는 2개 블록 또는 2개 블록을 구성하는 7개 메뉴 아이템씩 이동한다.
도 2에 도시한 실시 예의 연장으로 리모컨 터치 센서에서 한 번의 터치 이동 제스처로 10개의 우향 이동 방향 코드를 생성하는 경우 3개의 우향 코드에 의해 블록E의 우측 마지막 아이템 E4에 도달하고 4번째 우향 코드에 의해 페이지1의 마지막 블록 블록F의 우측 마지막 아이템 F3에 도달하고, 5번째 우향 코드에 의해 페이지2의 우측 마지막 블록의 마지막 아이템 H3에 도달하며, 10번째 우향 코드에 의해 페이지7의 마지막 블록의 마지막 아이템에 도달하여, 한 번의 터치 이동 제스처에 의해 페이지7, 14번째 블록, 49번째 메뉴 아이템을 액세스할 수 있으며 한 번의 왕복 터치 이동 제스처에 의해 49개 메뉴 아이템 중 어느 것도 액세스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47번째 메뉴 아이템을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10개의 우향 이동방향 코드를 생성하여 49번째 아이템으로 이동 한 뒤 2개의 좌향 이동방향 코드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4 X 4 매트릭스 구조의 메뉴 아이템들로 하나의 블록을 구성하고 한 페이지를 가로, 세로 각 2개씩 4개 블록으로 구성한 경우 한 번의 터치 이동 제스처로 10개의 수평 또는 수직 방향 이동 방향 코드를 생성하여 각각 7번째 페이지, 14번째 블록, 56번째 메뉴 아이템을 액세스할 수 있고, 10개의 수평 이동 방향 코드와 10개의 수직 이동 방향 코드의 조합으로 49번째 페이지, 196번째 블록, 3,136번째 메뉴 아이템을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사선 방향 이동 방향 코드를 생성하여 수직 방향으로 M개 수평 방향으로 N개의 다음 페이지 구조의 아이템 이동을 실행하여 사선 방향에 위치한 메뉴 아이템을 더 빠르게 액세스할 수 있다. 한 번의 터치 이동 제스처로 액세스할 수 있는 메뉴 아이템 수가 많은 경우 시각적 분별을 돕기 위해 메뉴 아이템들을 컬러 영역으로 분류한다. 빠르게 그룹 이동하는 많은 수의 메뉴 아이템들을 하나씩 확인하는 대신 카테고리 별로 구분된 컬러 영역을 통해 점진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쉽게 메뉴 아이템을 검색할 수 있다. 컬러 영역은 도 1과 도4처럼 메뉴 아이템 이동을 위한 블록과 동일한 구성(41,42)으로 설정하거나 도 3처럼 메뉴 아이템 이동을 위한 블록(31)과 다른 구성(32)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사각형이나 1열 구조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컬러 영역은 도 3처럼 인접한 컬러 영역의 배경 컬러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구분하거나 도 4처럼 컬러 영역 별로 메뉴 아이템의 테두리나 메뉴 아이템의 배경 컬러를 다르게 설정하여 구분한다.
도 5는 터치 위치가 소정의 거리 또는 소정의 경계를 지나면 이동 방향 코드를 생성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터치 정보에 따른 경로(51)가 시점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 반경의 가상 원주(50)에 도달하면 시점을 기준으로 원주와 만나는 지점(52)의 방향을 인식하여 이동 방향 코드를 생성하고 원주와 만나는 지점(52)을 다시 시점으로 하여 다음 이동 방향 코드를 생성한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인접한 가상의 격자 셀들(60,63)의 일부 영역이 서로 겹치게 배열하여 터치 정보에 따른 경로(61)가 기준 셀(60)의 경계(62)를 지나면 경계가 위치한 방향에 따라 이동 방향 코드를 생성하고 이동 방향에 인접한 셀(63)로 기준 셀을 이동하여 다음 이동 방향코드를 생성한다. 이동 방향 코드는 영상 장치와 연동하는 리모컨에서 터치 센서에서의 터치 위치 정보 및 또는 터치 이동 정보를 컴퓨팅 처리하여 생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리모컨으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영상 장치 본체에서 컴퓨팅 처리하여 생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장치 유저인터페이스 방법의 수행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저인터페이스 방법은 영상 장치의 제조 단계에서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방법을 실현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영상 장치 사용 단계에서 외부 서버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방법을 실현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실현할 수 있다. 시작 단계에서 소정의 메뉴 아이템들을 2개 이상의 블록으로 분류한 뒤(S70),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의 메뉴 검색 모드가 선택되면 리모컨으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S71) 터치 이동 정보가 소정 거리를 이동하거나 소정의 경계를 지나면(S72) 이동 방향 코드를 생성한다(S73). 이동 방향 코드에 대응하는 다음 아이템이 활성화된 블록에 있으면 다음 아이템으로 이동하고(S74a) 활성화된 블록에 없으면 다시 이동 방향 코드에 대응하는 다음 블록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페이지에 있는지 확인하여(S75) 있으면 디스플레이된 페이지 내의 다음 블록으로 이동하고(S75a) 이동 방향 코드에 대응하는 다음 블록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페이지에 없으면 다음 페이지를 구성하는 메뉴 아이템 구조를 이동한다(S76). 메뉴 아이템을 이동하면 활성화된 블록이나 페이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선택된 메뉴 아이템을 팝업 표시한다(S77). 소정의 메뉴 아이템이 선택된 후 터치 센서에서 터치 해제 정보를 수신하면(S78) 선택된 메뉴 아이템에 설정된 명령을 실행한다(S79). 선택된 메뉴 아이템에 설정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 태핑이나 확인 버튼같은 별도의 입력 제스처를 요구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장치는 영상 장치 본체(80)와 리모컨(81)으로 구성되며 영상 장치 본체는 일체화되거나(82A) 통신 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82)에 영상 신호를 보내 디스플레이한다. 영상 장치 본체(80), 리모컨(81) 및 통신 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82) 각각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수단을 구비한다. 영상 장치 본체(80)는 메모리에 저장된 메뉴 아이템들을 2개 이상의 블록으로 분류하는 수단, 터치 센서가 구비된 리모컨으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터치 정보가 소정의 거리를 이동하거나 소정의 경계를 지나면 이동 방향 코드를 생성하는 수단, 생성되는 이동 방향 코드에 대응하여 메뉴 아이템을 하나씩 이동하되 다음 메뉴 아이템이 활성화된 블록 내에 없으면 블록 이동을 하는 수단 및 활성화된 블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구비된 프로세서를 통해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모듈로 실현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터치 센서에서의 터치 정보가 소정의 거리를 이동하거나 소정의 경계를 지나면 이동 방향 코드를 생성하는 수단은 리모컨(81)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모듈로 실행하여 생성되는 이동 방향 코드를 리모컨의 통신 수단을 통해 송신하면 영상 장치 본체(80)에서 수신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나머지 수단을 실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터치 센서 및 디스플레이 수단이 본체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영상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로 본 실시 예의 영상 장치(90)는 1개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터치 센서, 디스플레이 및 통신 수단을 구비하며 메모리에 저장된 메뉴 아이템들을 2개 이상의 블록으로 분류하는 수단, 터치 센서에서의 터치 정보가 소정의 거리를 이동하거나 소정의 경계를 지나면 이동 방향 코드를 생성하는 수단, 생성되는 이동 방향 코드에 대응하여 메뉴 아이템을 하나씩 이동하되 다음 메뉴 아이템이 활성화된 블록 내에 없으면 블록 이동을 하는 수단 및 활성화된 블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구비된 프로세서를 통해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모듈로 실현한다.
상기 리모컨(81)은 구비된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제스처를 전기적 신호로 처리하여 터치 센서면 처음 터치 위치, 터치 이동 및 터치 해제 정보를 생성하여 IR(Infra-Red) 방식이나 RF(Radio- Frequency)방식으로(83) 영상 장치 본체(80)에 송신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리모컨(81)은 터치 패드나 터치스크린뿐 아니라 터치 정보를 생성하는 어떠한 새로운 장치도 포함하며, 리모컨에서 송신하는 터치 정보는 터치 위치 이동에 따른 픽셀 좌표 정보나 터치 이동 벡터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리모컨이란 명칭은 원격 입력 장치를 통칭하는 용어로 통상적인 리모컨은 물론 리모컨 앱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터치 패드 장치, 스마트폰, 인터넷 폰, 태블릿PC 등 터치 센서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구비한 어떠한 휴대용 전자기기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는 단지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목적에 맞는 개념과 의미를 포괄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12, 31, 41, 42 블록
111: 메뉴 아이템 21, 22: 페이지
32,41,42: 컬러 영역 80: 영상 장치 본체
81: 리모컨 82: 디스플레이 장치
90: 영상 장치

Claims (8)

  1. 터치 센서를 구비한 영상 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메뉴 아이템들을 2개 이상의 블록으로 분류하는 단계;
    터치 센서에서의 터치 정보가 소정의 거리를 이동하거나 소정의 경계를 지나면 이동 방향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되는 이동 방향 코드에 대응하여 메뉴 아이템을 하나씩 이동하되 다음 메뉴 아이템이 활성화된 블록 내에 없으면 블록 이동을 하는 단계; 및
    활성화된 블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인터페이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되는 이동 방향 코드에 대응하는 다음 블록이 1열로 n개의 메뉴 아이템이 배열된 경우 상기 블록 이동은 상기 이동 방향 코드 방향으로 n개 메뉴 아이템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인터페이스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되는 이동 방향 코드에 대응하는 다음 블록이 수직 방향으로 m개, 수평 방향으로 n개의 메뉴 아이템이 배열된 경우 상기 블록 이동은 수직 이동 방향 코드가 생성되면 수직 방향으로 m개의 메뉴 아이템을 이동하고, 수평 이동 방향 코드가 생성되면 수평 방향으로 n개의 메뉴 아이템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인터페이스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되는 이동 방향 코드에 대응하는 다음 블록이 수직 방향으로 m개, 수평 방향으로 n개의 메뉴 아이템이 배열된 경우 사선 이동 방향 코드가 생성되면 상기 블록 이동은 수직 방향으로 m개, 수평방향으로 n개의 메뉴 아이템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인터페이스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된 페이지에 상기 생성되는 이동 방향 코드에 대응하는 다음 블록이 없으면 페이지 이동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인터페이스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아이템들을 이동을 위한 상기 블록 분류와 별도로 2개 이상의 컬러 영역으로 분류하되 서로 인접한 컬러 영역의 컬러가 구분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인터페이스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저인터페이스 방법을 컴퓨터에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8. 터치 센서를 구비한 영상 장치에 있어서,
    메뉴 아이템들을 2개 이상의 블록으로 분류하는 수단;
    터치 센서에서의 터치 정보가 소정의 거리를 이동하거나 소정의 경계를 지나면 이동 방향 코드를 생성하는 수단;
    생성되는 이동 방향 코드에 대응하여 메뉴 아이템을 하나씩 이동하되 다음 메뉴 아이템이 활성화된 블록 내에 없으면 블록 이동을 하는 수단; 및
    활성화된 블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장치
KR1020120112078A 2012-10-09 2012-10-09 메뉴 검색을 위한 터치 유저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KR20140045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078A KR20140045835A (ko) 2012-10-09 2012-10-09 메뉴 검색을 위한 터치 유저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078A KR20140045835A (ko) 2012-10-09 2012-10-09 메뉴 검색을 위한 터치 유저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835A true KR20140045835A (ko) 2014-04-17

Family

ID=50653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078A KR20140045835A (ko) 2012-10-09 2012-10-09 메뉴 검색을 위한 터치 유저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58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60088A (zh) * 2015-11-26 2016-01-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分类展示处理的方法及装置
US10386940B2 (en) 2015-10-30 2019-08-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 sensing of user input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86940B2 (en) 2015-10-30 2019-08-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 sensing of user input device
CN105260088A (zh) * 2015-11-26 2016-01-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分类展示处理的方法及装置
CN105260088B (zh) * 2015-11-26 2020-06-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分类展示处理的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7174B2 (en)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unit and a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N108132744B (zh) 一种遥控智能设备的方法与设备
US9696882B2 (en) Operation processing method, oper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KR20100118366A (ko)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EP3039520B1 (en) Display apparatus and ui providing method thereof
US201500547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application using multiple input tools on touchscreen device
KR201400733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3218149A (zh) 遥控器、利用该遥控器的系统和方法
CN104685461A (zh) 使用来自被控制的设备的输入模式数据的输入设备
EP3493039A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EP289454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CN110347459B (zh) 一种窗口最小化方法、装置、存储介质及交互智能平板
CN103425425A (zh) 手写输入选字系统及方法
KR20160097410A (ko) 동작 인식을 통한 비접촉식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N104516654A (zh) 操作处理方法和装置
KR20140141305A (ko) 화면분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202435537U (zh) 一种触控鼠标型遥控器
KR101365595B1 (ko) Gui기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디바이스의 입력 방법및 그 장치
US9584849B2 (en) Touch user interface method and imaging apparatus
US20230236673A1 (en) Non-standard keyboard input system
KR20140045835A (ko) 메뉴 검색을 위한 터치 유저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CN105122179A (zh) 显示接收的用户界面的设备
WO2014014278A1 (ko) 터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및 영상 장치
US20140143726A1 (en) Method of choosing software button
KR20130115711A (ko)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장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