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5106A - 멀티유저 환경에서의 유헬스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유저 환경에서의 유헬스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5106A
KR20140045106A KR1020120111229A KR20120111229A KR20140045106A KR 20140045106 A KR20140045106 A KR 20140045106A KR 1020120111229 A KR1020120111229 A KR 1020120111229A KR 20120111229 A KR20120111229 A KR 20120111229A KR 20140045106 A KR20140045106 A KR 20140045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health
us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숙지
변철우
손연주
안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111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5106A/ko
Publication of KR20140045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1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HD(Personal Health Device)와 GW(Gateway)간 1:1로 사전 인증되고 설정된 특정인만을 위한 서비스 제공 하는 방법을 개선하여 임의의 다수를 위한 유헬스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PHD와 GW간의 실시간 인증을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PHR(Personal Health Record) 서버에서 PHD와 GW정보를 자동으로 수집 및 유저와의 매핑 관리 자동화를 통한 효율적인 유헬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유저 환경에서의 유헬스 서비스 제공 방법{u-Health Service Delivery Method in Multi-User Environment}
본 발명은 멀티유저 환경에서의 유헬스(u-Health)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HD(Personal Health Device)와 GW(Gateway)간 1:1로 사전 인증되고 설정된 특정인만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선하여 임의의 다수를 위한 유헬스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PHD와 GW간의 실시간 인증을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과 PHR(Personal Health Record) 서버에서 PHD와 GW정보를 자동으로 수집 및 유저와의 매핑 관리 자동화를 통한 효율적인 유헬스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헬스는 IT기술을 의료서비스에 접목한 것으로서 '언제, 어디서나' 이용 가능한 원격의료 및 건강관리 서비스를 말한다. 환자의 질병에 대하여는 원격진찰, 처방 등의 원격의료서비스가 행해 지고, 일반인의 경우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최근 보건의료패러다임의 변화와 정부 정책의 방향성(Wellness서비스 발굴)을 통해 유헬스 시장의 확산이 예측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국제 표준에 대한 관심과 준용 필요성 또한 높아지고 있다.
신뢰성 있는 유헬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건강 정보 측정 PHD(Personal Health Device)와 각종 PHD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수신하고 처리할 수 있는 GW(Gateway), 그리고 GW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사용자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로 구성되며, 구성 요소별 특화된 기술은 지속적으로 연구개발 하고 있으며, 혹은 해당 기술이 이미 산업에 적용되어 양산되고 있기도 하다.
개인별 건강정보 측정 PHD는 건강정보를 수집 전송하는 GW에서 사전 고정된 정보로서 셋트 상태로 의료디바이스로 인증 또는 식별되고, 특정인을 위한 유헬스 서비스 제공 용도로만 사용 된다. 또한, PHD와 GW간은 1:1 셋팅으로 PHR 서버단에서 사전 DB(Database) 수작업으로 회원과의 매핑을 필요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해 놓은 절차가 선행되어야 한다. PHR 서버단에서의 의료기기, GW 수작업 입력 대신 바코드 시스템을 활용하여 고유번호를 입력하기도 하나, 회원과의 매핑은 반드시 관리자의 수작업이 수반된다. 서버단에서 의료기기, GW 수작업 입력 대신 사용되는 또 다른 방법으로 GW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에 의료기기 정보를 사전 지정하도록 프로그래밍하는 방법도 존재한다. 이러한 방법들은 일인용 PHD와 GW 셋트가 특정인에게 고정적으로 사용된다는 전제하에서만 신뢰성을 갖는다.
유헬스에서는 멀티유저 기반의 산업적/기술적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지 않고 있으며, 현재 개발된 멀티유저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PHD나 GW 단의 모니터 사양을 추가하여 유저를 선택할 수 있도록 UI(User Interface)를 구현해 놓았으나, 서버단과의 동기화 및 수작업에 따른 프로세스 추가로 인해 편리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또한, 유헬스에서는 개인 기반의 1PHD와 1GW 고정 셋업 상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조이며, 현행 서비스 제공 구조는 가정 내 또는 그룹(또는 기관) 내에서 한정된 PHD의 효율적인 사용을 저해하며, 사전 정보 관리라는 불편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멀티유저용으로 확장코자 했을 경우 장비 셋트 구매비 및 각 GW별 M2M(Machine to Machine, 사물지능통신) 통신비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킨다. 또한, 특정 단일 유저용 PHD-GW 세트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단일 유저용 PHD-GW세트의 사용자 정보는 PHR에 사전 설정하는 선행 프로세스가 존재하므로, PHR 사전 설정 없이 임의 단일 유저가 특정 유저용 PHD-GW세트로 건강정보를 측정 했을 경우 전송되는 건강측정 정보가 지정 특정 유저의 데이터로 잘못 인식하는 오류가 발생한다. 유헬스 서비스 운용상에 있어서도 PHD나 GW 고장으로 인한 교체 시 PHR 서버에서 특정 단일 유저용 PHD-GW세트의 정보 변경 작업이 매번 수반 되어야 하는 운용상의 비용 증가 부분이 있다.
일부 멀티유저용 PHD 또는 GW가 제작되는 예도 있으나, 이때에도 단일 유저용과 같이 PHR서버단에서 PHD-GW 간의 사전 셋팅 작업이 필요하고, PHD 구매 비용의 증가와 유저 인식을 위한 프로세스 추가(유저 선택)에 따른 불편함으로 확산 보급이 되지 않고 있다. 현재의 기술로 구현된 멀티 유저수는 4인까지이며, 4인 초과 되는 멀티 유저 환경하에서의 진화된 유헬스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에 일체화된 GW 기반으로 임의의 다수 사용자가 각각 단일 PHD(예, 체지방분석기-고가장비)를 사용하여 개인별 건강 정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서버단에서 수작업 관리하는 'PHD-GW 페어링 세트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 획득하고 사용자와의 매핑정보 관리를 자동화할 수 있는, 멀티유저 환경에서의 유헬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사용자가 소지하는 이동성 있는 사용자 단말을 게이트웨이로 이용하는 유헬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링크 설정을 요청하여 PHD(Personal Health Device)로부터 디바이스 ID를 수신하며, 상기 디바이스 ID에 대한 링크키를 생성하여 상기 PHD로 통보하는 단계; 상기 PHD에서 건강 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링크키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 정보와 상기 링크키를 PHR(Personal Health Record)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PHR 서버에서 상기 건강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단말 정보에 대응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분석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PHR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PHD와 통신으로 상기 PHD로부터의 수신하는 건강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상기 PHR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기능을 사용자가 소지하는 이동성 있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되, 상기 PHD와 페어링되는 모든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이트웨이 기능을 통해 상기 PHD에 대한 유헬스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전송하는 사용자 ID 또는 단말 정보에 대하여 상기 PHR 서버 또는 네트워크 상의 다른 서버에서 인증 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링크 설정을 요청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 정보와 상기 링크키를 상기 PHR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PHR 서버가 수신하는 상기 단말 정보를 기초로 상기 PHR 서버 또는 네트워크 상의 다른 서버에서 인증 후에 상기 PHR 서버가 상기 건강 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ID, 상기 단말 정보, 또는 상기 네트워크 상의 다른 서버에서 인증 과정을 통해 수신하는 사용자 키나 단말 식별 토큰을 포함한 다양한 인증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수집하고 적재하여 상기 PHD와 페어링되는 사용자 단말들에 대한 각 인증 시에 매핑을 통하여 유헬스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PHR 서버로 사용자 ID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PHR 서버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해당 회원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승인을 통보한 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링크 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PHR 서버가 상기 승인을 통보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상기 단말 정보를 해당 회원 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 정보와 상기 링크키를 상기 PHR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PHR 서버가 수신하는 상기 단말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확인되면 상기 건강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링크 설정을 요청하기 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PHR 서버와 인증 없이, 상기 링크 설정을 요청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 정보와 상기 링크키를 상기 PHR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후에, 상기 PHR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해당 회원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회원 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단말 정보를 업데이트 저장한 후, 저장된 상기 단말 정보를 상기 건강 정보의 주기적인 수신 시에 식별 정보로 이용하여 상기 건강 정보를 분석하고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링크 설정을 요청하기 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PHR 서버와 인증 없이, 상기 링크 설정을 요청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 정보와 상기 링크키를 상기 PHR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후에, 상기 PHR 서버에서 상기 단말 정보를 이용해 네트워크 상의 과금 서버로 인증을 요청하여 상기 과금 서버로부터 사용자 키를 포함한 해당 승인을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단말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사용자 키를 업데이트 저장하여 동기화한 후, 상기 건강 정보의 주기적인 수신 시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키를 이용해 상기 과금 서버로 과금 정보를 통보하고 상기 건강 정보를 분석하고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단말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단말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부터 단말 식별 토큰을 포함한 해당 승인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링크 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 정보와 상기 링크키를 상기 PHR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PHR 서버로 상기 단말 식별 토큰을 더 포함하여 전송하며, 상기 PHR 서버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 정보에 해당하는 회원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회원 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단말 정보와 상기 단말 식별 토큰을 업데이트 저장한 후, 저장된 상기 단말 정보와 상기 단말 식별 토큰을 상기 건강 정보의 주기적인 수신 시에 식별 정보로 이용하여 상기 건강 정보를 분석하고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유저 환경에서의 유헬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멀티유저용 유헬스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사용자 스마트 단말의 진화 및 보급 확산 환경을 적절히 활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유저 관점에서 PHD 정보를 수집/전송하는 GW 하드웨어를 개인별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으로 대체하는 소프트웨어 패키징 기술을 적용한 사례로서 유저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추가적인 하드웨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간단하고도 편리함을 보장하고, GW M2M 통신 비용을 개인별 모바일 단말 통신비용으로 대체가능 하여 가계 지출을 줄일 수 있는 경제적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가정 내 단일 PHD를 가족들이 공용으로 사용 가능해지며, 유저별 존재하던 1PHD: 1GW셋트 대비 1PHD에 대해 다수의 개인화된 GW를 실시간 유동적 인증 설정이 가능토록 하여 유헬스 서비스 이용 비용 절감의 혜택이 제공되고, 멀티유저용 PHD를 이용하여 건강정보 측정 시 마다 확인 하던 개인별 ID 선택 단계를 거치지 않고도, 단말 PHD, 단말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한 자동화된 유저 식별이 가능토록 하여 간소화된 절차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고가의 PHD(예, 2~3백만원대 체지방분석계, 바이크 등)를 보유한 피트니스 센터나 직장내 체력단련실, 공공기관의 건강증진 센터(또는 보건소)와 같은 건강관리 사업자에게 고객별 개인화되고 차별성 있는 '개인운동 정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고객을 확보 하고 락인(Lock in)하는 사업성을 제공해 주는 B2B(Business to Business) 또는 B2G(Business to Government) 사업모델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헬스 서비스 제공을 위한 IT 인프라를 구축하고 PHR서버 기반으로 유헬스 플랫폼 및 솔루션을 제공하는 사업자에게 PHR 고객 확보 및 3rd Party 협력을 통한 PHR 데이터 통합 수집(Aggregation)을 위한 최적화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사업자 관점에서는 고객(개인 또는 기업체) 확보 측면과 PHR서버단의 고객 관리 정보의 매핑 자동화를 통한 OPEX(Operating Expenditure) 절감 측면의 병행 이득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한 사업자는 도입기에 접어든 유헬스 산업 시장 선점의 기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며, 개인화된 스마트 단말을 유헬스 서비스의 GW와 건강정보 서비스 관리 단말로 동시에 이용하는 개인 관점에서는 건강관리 서비스 접근성과 사용성이 높아지고, PHR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 건강 측정 정보 데이터 기반 '자가건강 관리 서비스'가 제공되는 B2C(Business to Consumer)의 활성화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유저 환경에서의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유저 환경에서의 유헬스 서비스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PHD,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 PHR 서버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유헬스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유헬스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유헬스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유헬스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4 내지 도 7의 서비스 과정의 상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유헬스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유저 환경에서의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유저 환경에서의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의료 기기에 해당하는 PHD(Personal Health Device)(100), GW(Gateway) 기능과 개인별 유헬스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App)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이하, 사용자 단말이라 함)(200), 네트위크 상에서 사용자 단말(200)과 연동을 위한 PHR(Personal Health Record) 서버(300)와 데이터베이스(310), 과금 서버(400), 및 단말 관리 서버(500)를 포함한다.
PHD(100)는 피트니스 센터, 직장내 체력단련실, 공공기관의 건강증진 센터(또는 보건소) 등에 설치된 체지방분석계, 바이크 등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댁내에 설치된 각종 건강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각종 기기 등 모든 종류의 의료 기기나 건강정보 측정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위와 같은 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 등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상의 각종 서버(400, 500, 600)와 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로서, 예를 들어, 3G(WCDMA)/4G(LTE) 등의 이동통신 기지국이나 무선 인터넷을 지원하는 AP(Access Point) (또는 유선 인터넷)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네트워크 상의 각종 서버(300, 400, 500, 600)와 연동으로 유헬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스마트폰, 아이폰 등일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App)을 설치하여 본 발명의 유헬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이동통신 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노트북, PC, PDA, PMP 등의 단말이 사용자 단말(200)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PHD(100)와 사용자 단말(200) 간에는 유선 통신(예, 시리얼 통신 등),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 지그비, NFC(Near Field Communiation) 등) 등의 통신 방식에 따른 신호로 통신하며 M2M 프로토콜 기반의 규약에 따른 서로 간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PHD(100)와 사용자 단말(200) 간에 위와 같은 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 등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유저 환경에서의 유헬스 서비스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멀티유저를 위해, PHD(100) 쪽의 추가적인 개량 개선작업 없이도 복수의 각 사용자 단말(200)을 GW로 이용하고, PHR서버(300)에서 PHD-GW 페어링(pairing) 세트의 실시간 인증 및 유저 데이터 식별을 위한 GW매핑 자동화를 통해 멀티유저 환경에 적합한 유헬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2와 같이, PHD(100)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개인화된 각 사용자 단말(200)이 GW 기능에 의해 수신하고, PHD-GW 페어링 세트의 정보를 측정 데이터에 추가하여 PHR서버(300)로 송신하며, PHD-GW 페어링 세트의 인증은 PHR서버(300)에 저장된 기본 회원정보를 활용할 수도 있고, 추가적으로 단말관리 서버(500)를 통한 인증을 수행 할 수도 있다. 인증이 완료된 PHD-GW 페어링 세트(100,200)의 고유정보(예, 고유 시리얼 번호, 디바이스 번호 등)들은 데이터베이스(310)의 기본적인 회원 정보를 기반으로 서버(300)에서 자동 매핑되어 회원의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 관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유한 PHD-GW 페어링 세트(100,200)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수작업 과정이 축소되며, PHR서버(300)에서 관리해야 할 대상 항목들을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310)에 수집, 적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인증식별 방법의 다양성을 포함하는 매핑 자동화 로직이 PHR 서버(400)에 탑재될 수 있으며, 다수의 유저들은 개인별 단말(200)을 이용하여, 관련 어플리케이션(App)을 실행하여 PHR서버(300)에 접속하여 개인건강 정보를 조회하고 개인의 건강 관리에 이용할 수 있다.
종래의 GW는 박스형, 동글형 등 다양한 형태로 통신칩이 내장된 독립적인 H/W(하드웨어) 장비로서, PHD 주변에 고정 설치되며, 해당 장비의 유용성 인증을 위해서 모바일 폰을 추가적으로 (해당 GW와 지정된 전화번호를 갖는 모바일 폰 간) 연결시켜 모바일 고유 번호(전화번호)로 인증을 수행하거나, 서버 단에서 사전에 유용한 GW임을 입력해 놓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GW 기능을 일체형으로 이동성이 있는 사용자 단말(200)에 포함시켜 유헬스 서비스 인증을 위한 단말 간의 사전 지정 단계 없이 사용자 단말(200)의 특성을 잘 활용하여 인증을 실시간 (멀티유저용) 유동적으로 가능하게 했으며, 추가적으로 회원과의 매핑 정보도 자동 DB화 함으로서 PHR 서버(300)에서 부가적인 서비스(예, 단말 분실 관리, 피트니스 센터 건강 측정 기계 활용도 등) 제공까지 가능토록 하는 다양한 유헬스 서비스의 확장성을 제공한다. 모바일 단말 등 사용자 단말(200)은 개인건강 측정 데이터 수집용 GW 기능뿐만 아니라, 개인별 건강 정보 관리 디바이스 역할까지 동시 작동 가능하게 제안 되었으며, 멀티 유저 대상으로 유헬스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도구로서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유헬쓰 서비스는 M2M(Machine to Machine, 사물지능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PHD(100), 사용자 단말(200), 네트위크 상의 각종 서버(300, 40, 500, 600) 에 그에 맞는 SCL(Service Capability Layer)가 탑재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에는 GW용 SCL(GSCL) 이외에도 유헬스 서비스의 지원을 위한 어플리케이션(App)으로서 M2M 통신 지원을 위한 NA(Network Application)이 탑재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PHD(100),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200), PHR 서버(300)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PHD(100)는 전반적인 제어를 위한 제어부(101), 측정부(102), 데이터 송신부(103), 데이터 수신부(20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은 전반적인 제어를 위한 제어부(201), GW 송신부(202), GW수신부(203), 데이터 송신부(204), 데이터 수신부(205), 개인건강정보 서비스 모듈(206)을 포함할 수 있고, PHR서버(300)는 데이터 송신부(301), 데이터 수신부(302), 전반적인 제어를 위해 알고리즘 등을 포함한 제어부(303), DB저장부(30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GW 송신부(202) 및 GW수신부(203)는 PHR서버(300)의 데이터 송신부(301) 및 데이터 수신부(302)와 위와 같은 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 등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함으로써 서비스에 필요한 신호/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PHD(100)의 데이터 송신부(103) 및 데이터 수신부(204)는 사용자 단말(200)의 GW 송신부(202) 및 GW수신부(203)와 유선 통신(예, 시리얼 통신 등), 또는 IEEE 11073 표준을 따르는 근거리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 지그비, NFC(Near Field Communiation) 등) 등의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통신함으로써 서비스에 필요한 신호/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PHD(100)와 사용자 단말(200) 간에 위와 같은 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 등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PHD(100)와 사용자 단말(200) 간 PHD-GW 페어링을 위해, 링크 키(link key) 생성시까지 PHD(100)의 제어부(101)와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부(201)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송신부(103)와 데이터 수신부(104)는, GW송신부(202), GW수신부(203)와 페어링을 위해 필요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링크 키 생성으로 페어링이 완료 된 후, 건강정보 측정부(102)는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측정하고 데이터 송신부(103)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200)의 GW 수신부(203)가 이를 수신하여 데이터 송신부(204)를 통해 PHR 서버(300)로 송신하면, PHR 서버(300)는 이를 수신하고 제어부(303)는 수신된 건강 정보를 분석할 수 있으며, DB 저장부(304)는 DB(310)에 분석된 개인별 건강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소정의 메뉴, 아이콘 등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으로 나타나는 화면에서 개인별 건강 정보 조회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인건강정보 서비스 모듈(206)이 구동되어, PHR 서버(300)가 관리하는 DB(310)에서 자신의 건강 정보를 조회하면서 자가 건강 관리를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유헬스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PHD(100)에 구비된 소정의 리셋 버튼을 누르면(S110) PHD(100)는 페어링 대기 모드 상태가 될 수 있다(S111).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소정의 메뉴, 아이콘 등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으로 제어부(201), GW 송신부(202), GW수신부(203), 데이터 송신부(204), 데이터 수신부(205)가 GW 기능 동작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고, 개인건강정보 서비스 모듈(206)가 유헬스 서비스 동작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S120). 이에 따라 제어부(201)는 인증 요청 메시지에 사용자 ID, 패스워드(PW), 단말고유번호(SSID, IMEI 등), 유심(USIM) 정보, 전화번호 등 사용자 정보를 포함시켜 데이터 송신부(204)를 통해 PHR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121). PHR 서버(300)는 DB(310)에 사용자 개인별 회원 정보(사용자 ID, 패스워드 등)를 저장 관리하고 있으며, 위와 같은 인증 요청 메시지에 따라 DB(310)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회원 정보가 존재하는 지 여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매핑되는 회원 정보가 존재하면 승인 완료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122). PHR 서버(300)는 인증이 완료되면, 해당 사용자 ID에 대응되도록 단말고유번호(SSID, IMEI 등), 유심(USIM) 정보, 전화번호 등 단말 정보를 회원정보서 DB 저장부(304)를 통해 DB(310)에 업데이트 저장 관리할 수 있다(S123).
위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의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부(201)는 GW 기능으로서, PHD(100)에 링크(Link) 설정을 요청하고(S130), 이에 따라PHD(100)는 시리얼 번호(Serial NO)와 같은 고유의 디바이스 ID를 제공하며(S131), 제어부(201)는 해당 디바이스 ID에 대한 소정의 링크키(Link key)를 생성하여 PHD(100)로 전송함으로써 페어링이 완료되었음을 PHD(100)로 통지한다(S132). 링크키(Link key)(PHD-GW 페어링 세트 정보)는 '디바이스 ID-GW 디바이스 ID'와 같이 시리얼 번호(Serial NO)(디바이스 ID)에 제어부(201)가 부여한 소정의 ID(GW 디바이스 ID)가 부가된 세트 정보 형태일 수 있고, 이를 PHD(100)와 제어부(201)는 소정의 저장 수단에 관리한다.
이와 같이 PHD(100)와 사용자 단말(200) 간에 페어링이 완료되면, 건강정보 측정장치인 PHD(100)는 측정부(102)에 구비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체지방, 혈압, 당뇨, 체온, 맥박 등 건강 관련 정보를 측정하고, 해당 측정된 건강 정보를 링크키(Link key)와 함께 소정의 메시지에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140). 사용자 단말(200)(제어부 201)은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건강 정보에 링크키(Link key)와 부가 정보로서 단말 정보(예, SSID(Service Set Identifier) 등 통신을 위해 부여된 단말고유번호,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등 단말번호, 유심(USIM) 정보, 전화번호 등)을 추가하여 PHR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S141), PHR서버(300)는 수신된 단말정보가 이전에 DB(310)에 저장한 회원 정보의 단말 정보와 일치 여부가 확인되면 해당 회원 정보(또는 단말 정보, 사용자 ID 등)에 대응되도록 디바이스 ID(또는 해당 의료 기기, 건강정보 측정장치)별 건강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S142). PHR서버(300)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각 사용자별로 DB(310)에, 해당 회원 정보(또는 단말 정보, 사용자 ID 등)에 대응되도록 디바이스 ID(또는 해당 의료 기기, 건강정보 측정장치)별 건강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PHR서버(300)는 각 사용자별로 일정 기간 수신된 건강 정보를 분석하여 건강 정보의 변화 추이에 대한 정보 등 분석 결과를 생성하여 DB(310)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PHD(100)에 구비된 소정의 리셋 버튼을 누르기 전까지, PHD(100)는 측정한 건강 정보를 링크키(Link key)와 함께 소정의 메시지에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지속적으로 전송하며(S140), 사용자 단말(200)(제어부 201)은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건강 정보에 링크키(Link key)와 위와 같은 부가 정보(단말 정보)를 추가하여 PHR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S141), PHR서버(300)는 이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DB(310)에, 해당 회원 정보(또는 이전에 저장한 단말 정보, 사용자 ID 등)에 대응되도록 디바이스 ID(또는 해당 의료 기기, 건강정보 측정장치)별 건강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하여 DB(310)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
DB(310)에 저장 관리되는 건강 정보를 조회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언제든지(S160 단계와 같이 리셋 버튼을 누르기 전 또는 후 등 언제라도 가능) 위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실행으로 나타나는 화면에서 개인별 건강 정보 조회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인건강정보 서비스 모듈(206)이 구동되어, PHR 서버(300)가 관리하는 DB(310)에 접속하여 조회를 요청함으로써(S150), PHR 서버(300)로부터 해당 자신의 과거 건강 정보 또는 변화 추이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받아 자가 건강 관리에 이용할 수 있다(S151).
PHD(100)를 사용한 사용자는 PHD(100)에 구비된 소정의 리셋 버튼을 누르면(S160), PHD(100)는 저장하고 있던 링크키(Link key)를 삭제하고 사용자 단말(200)로 페어링 해제를 통보하며(S161), PHD(100)는 페어링 대기 모드 상태로 다시 될 수 있다(S162). 이에 따라 임의의 다른 사용자가 PHD(100)를 다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유헬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이 전송하는 사용자 ID 등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PHR 서버(300)가 인증하여 로그인과 같은 방식으로 인증이 이루어진 후에 해당 단말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S141 단계에서 전송되는 단말 정보를 식별하여 건강 정보를 분석 저장하는 과정을 살펴 보았다.
이하에서는 링크 설정 전에 사용자 ID 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인증 이외에도, S141 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에서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 정보와 링크키를 PHR 서버(300)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PHR 서버(300)가 수신하는 해당 단말 정보를 기초로 PHR 서버(300) 또는 PHR 서버(300)와 연동하는 네트워크 상의 과금 서버(400)에서 인증 후에 PHR 서버(300)가 PHD(100)의 건강 정보를 분석 저장하는 과정을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이 전송하는 단말 정보에 대하여 PHR 서버(300)와 연동하는 네트워크 상의 단말 관리 서버(500)에서 인증 후에 사용자 단말(200)에서 링크 설정을 요청하는 단계(S130) 이후 과정을 처리하는 절차를 도 7에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유헬스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의 유헬스 서비스 과정은, S210, S211의 과정이 도 4의 과정과 차이가 있고, 나머지 과정들은 도 4의 과정 중 같은 부호를 나타내는 과정과 유사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PHD(100)에 구비된 소정의 리셋 버튼을 누르면(S110) PHD(100)는 페어링 대기 모드 상태가 될 수 있다(S111).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소정의 메뉴, 아이콘 등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으로 제어부(201), GW 송신부(202), GW수신부(203), 데이터 송신부(204), 데이터 수신부(205)가 GW 기능 동작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고, 개인건강정보 서비스 모듈(206)가 유헬스 서비스 동작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S120).
사용자 단말(200)이 구동되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부(201)는 GW 기능으로서, PHD(100)에 링크(Link) 설정을 요청하고(S130), 이에 따라PHD(100)는 시리얼 번호(Serial NO)와 같은 고유의 디바이스 ID를 제공하며(S131), 제어부(201)는 해당 디바이스 ID에 대한 소정의 링크키(Link key)를 생성하여 PHD(100)로 전송함으로써 페어링이 완료되었음을 PHD(100)로 통지한다(S132). 링크키(Link key)(PHD-GW 페어링 세트 정보)는 '디바이스 ID-GW 디바이스 ID'와 같이 시리얼 번호(Serial NO)(디바이스 ID)에 제어부(201)가 부여한 소정의 ID(GW 디바이스 ID)가 부가된 세트 정보 형태일 수 있고, 이를 PHD(100)와 제어부(201)는 소정의 저장 수단에 관리한다.
이와 같이 PHD(100)와 사용자 단말(200) 간에 페어링이 완료되면, 건강정보 측정장치인 PHD(100)는 측정부(102)에 구비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체지방, 혈압, 당뇨, 체온, 맥박 등 건강 관련 정보를 측정하고, 해당 측정된 건강 정보를 링크키(Link key)와 함께 소정의 메시지에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140). 사용자 단말(200)(제어부 201)은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건강 정보에 링크키(Link key)와 부가 정보로서 단말 정보(예, SSID, IMEI, 유심(USIM) 정보, 전화번호 등)을 추가한 메시지를 PHR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141).
PHR 서버(300)는 DB(310)에 사용자 개인별 회원 정보(사용자 ID, 패스워드, SSID, IMEI, 유심(USIM) 정보, 전화번호 등)를 저장 관리하고 있으며, 위와 같이 건강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하면, PHR서버(300)는 DB(310)를 참조하여 건강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에 포함된 해당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해당 회원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증한다(S210).
이때, PHR서버(300)는 해당 회원 정보가 존재하여 인증에 성공하면, DB(310)에 수신한 단말 정보를 해당 회원 정보에 대응시켜 업데이트 저장한 후(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단말 정보에는 DB(310) 에 기 저장된 단말 정보 이외의 추가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음), 위와 같이 수신된 메시지에 따라, 해당 회원 정보(또는 단말 정보, 사용자 ID 등)에 대응되도록 디바이스 ID(또는 해당 의료 기기, 건강정보 측정장치)별 건강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S211). DB(310)에 업데이트 저장된 단말 정보는 이 후 건강 정보의 주기적인 수신 시에 식별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PHR서버(300)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각 사용자별로 DB(310)에, 해당 회원 정보(또는 단말 정보, 사용자 ID 등)에 대응되도록 디바이스 ID(또는 해당 의료 기기, 건강정보 측정장치)별 건강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PHR서버(300)는 각 사용자별로 일정 기간 수신된 건강 정보를 분석하여 건강 정보의 변화 추이에 대한 정보 등 분석 결과를 생성하여 DB(310)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PHD(100)에 구비된 소정의 리셋 버튼을 누르기 전까지, PHD(100)는 측정한 건강 정보를 링크키(Link key)와 함께 소정의 메시지에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일정 주기로 지속적으로 전송하며(S140), 사용자 단말(200)(제어부 201)은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건강 정보에 링크키(Link key)와 위와 같은 부가 정보(단말 정보)를 추가하여 PHR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S141), PHR서버(300)는 건강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때 그에 포함된 단말 정보와 DB(310)에 업데이트 저장된 해당 회원 정보의 단말 정보와 일치 여부로 식별한 후, DB(310)에, 해당 회원 정보(또는 이전에 저장한 단말 정보, 사용자 ID 등)에 대응되도록 디바이스 ID(또는 해당 의료 기기, 건강정보 측정장치)별 건강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하여 DB(310)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
DB(310)에 저장 관리되는 건강 정보를 조회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언제든지(S160 단계와 같이 리셋 버튼을 누르기 전 또는 후 등 언제라도 가능) 위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실행으로 나타나는 화면에서 개인별 건강 정보 조회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인건강정보 서비스 모듈(206)이 구동되어, PHR 서버(300)가 관리하는 DB(310)에 접속하여 조회를 요청함으로써(S150), PHR 서버(300)로부터 해당 자신의 과거 건강 정보 또는 변화 추이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받아 자가 건강 관리에 이용할 수 있다(S151).
PHD(100)를 사용한 사용자는 PHD(100)에 구비된 소정의 리셋 버튼을 누르면(S160), PHD(100)는 저장하고 있던 링크키(Link key)를 삭제하고 사용자 단말(200)로 페어링 해제를 통보하며(S161), PHD(100)는 페어링 대기 모드 상태로 다시 될 수 있다(S162). 이에 따라 임의의 다른 사용자가 PHD(100)를 다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유헬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유헬스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의 유헬스 서비스 과정은, S310~S313의 과정이 도 4 또는 도 5의 과정과 차이가 있고, 나머지 과정들은 도 4또는 도 5의 과정 중 같은 부호를 나타내는 과정과 유사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PHD(100)에 구비된 소정의 리셋 버튼을 누르면(S110) PHD(100)는 페어링 대기 모드 상태가 될 수 있다(S111).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소정의 메뉴, 아이콘 등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으로 제어부(201), GW 송신부(202), GW수신부(203), 데이터 송신부(204), 데이터 수신부(205)가 GW 기능 동작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고, 개인건강정보 서비스 모듈(206)가 유헬스 서비스 동작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S120).
사용자 단말(200)이 구동되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부(201)는 GW 기능으로서, PHD(100)에 링크(Link) 설정을 요청하고(S130), 이에 따라PHD(100)는 시리얼 번호(Serial NO)와 같은 고유의 디바이스 ID를 제공하며(S131), 제어부(201)는 해당 디바이스 ID에 대한 소정의 링크키(Link key)를 생성하여 PHD(100)로 전송함으로써 페어링이 완료되었음을 PHD(100)로 통지한다(S132). 링크키(Link key)(PHD-GW 페어링 세트 정보)는 '디바이스 ID-GW 디바이스 ID'와 같이 시리얼 번호(Serial NO)(디바이스 ID)에 제어부(201)가 부여한 소정의 ID(GW 디바이스 ID)가 부가된 세트 정보 형태일 수 있고, 이를 PHD(100)와 제어부(201)는 소정의 저장 수단에 관리한다.
이와 같이 PHD(100)와 사용자 단말(200) 간에 페어링이 완료되면, 건강정보 측정장치인 PHD(100)는 측정부(102)에 구비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체지방, 혈압, 당뇨, 체온, 맥박 등 건강 관련 정보를 측정하고, 해당 측정된 건강 정보를 링크키(Link key)와 함께 소정의 메시지에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140). 사용자 단말(200)(제어부 201)은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건강 정보에 링크키(Link key)와 부가 정보로서 단말 정보(예, SSID, IMEI, 유심(USIM) 정보, 또는 전화번호 등)을 추가한 메시지를 PHR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141).
인증을 위하여, PHR서버(300)에서는 건강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 정보를 이용해 네트워크 상의 과금 서버(400)로 인증을 요청하고(S310), 이에 따라 과금 서버(400)는 자체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해당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가 있으면, 사용자 키(예,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한 해당 승인을 PHR서버(300)로 통지한다(S311).
PHR 서버(300)는 DB(310)에 사용자 개인별 회원 정보(사용자 ID, 패스워드, 단말정보(SSID, IMEI, 유심(USIM) 정보, 전화번호 등) 등)를 저장 관리하고 있으며, PHR서버(300)는 과금 서버(400)로부터 사용자 키(예,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한 해당 승인을 수신하면, 건강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의 해당 단말 정보에 대응되도록 DB(310)에 해당 사용자 키(예, 주민등록번호)를 업데이트 저장하여 동기화한다(S312).
또한, 위와 같이 수신된 건강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에 따라, PHR서버(300)는 해당 회원 정보(또는 단말 정보, 사용자 ID 등)에 대응되도록 디바이스 ID(또는 해당 의료 기기, 건강정보 측정장치)별 건강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S313). DB(310)에 업데이트 저장된 사용자 키(예, 주민등록번호)는 이 후 건강 정보의 주기적인 수신 시에 식별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PHR서버(300)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각 사용자별로 DB(310)에, 해당 회원 정보(또는 단말 정보, 사용자 ID 등)에 대응되도록 디바이스 ID(또는 해당 의료 기기, 건강정보 측정장치)별 건강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PHR서버(300)는 각 사용자별로 일정 기간 수신된 건강 정보를 분석하여 건강 정보의 변화 추이에 대한 정보 등 분석 결과를 생성하여 DB(310)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PHD(100)에 구비된 소정의 리셋 버튼을 누르기 전까지, PHD(100)는 측정한 건강 정보를 링크키(Link key)와 함께 소정의 메시지에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일정 주기로 지속적으로 전송하며(S140), 사용자 단말(200)(제어부 201)은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건강 정보에 링크키(Link key)와 위와 같은 부가 정보(단말 정보)를 추가하여 PHR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S141), PHR서버(300)는 건강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때 그에 포함된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DB(310)의 사용자 키(예,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해 과금 서버(400)로 과금 정보를 통보한 후, DB(310)에, 해당 회원 정보(또는 이전에 저장한 단말 정보, 사용자 ID 등)에 대응되도록 디바이스 ID(또는 해당 의료 기기, 건강정보 측정장치)별 건강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하여 DB(310)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 과금 정보는 PHR서버(300)에서 건강 정보의 분석과 관리 및 조회 서비스, 즉, 유헬스 서비스에 대하여 소정의 정책에 따라 책정된 일정 수수료일 수 있다.
DB(310)에 저장 관리되는 건강 정보를 조회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언제든지(S160 단계와 같이 리셋 버튼을 누르기 전 또는 후 등 언제라도 가능) 위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실행으로 나타나는 화면에서 개인별 건강 정보 조회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인건강정보 서비스 모듈(206)이 구동되어, PHR 서버(300)가 관리하는 DB(310)에 접속하여 조회를 요청함으로써(S150), PHR 서버(300)로부터 해당 자신의 과거 건강 정보 또는 변화 추이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받아 자가 건강 관리에 이용할 수 있다(S151).
PHD(100)를 사용한 사용자는 PHD(100)에 구비된 소정의 리셋 버튼을 누르면(S160), PHD(100)는 저장하고 있던 링크키(Link key)를 삭제하고 사용자 단말(200)로 페어링 해제를 통보하며(S161), PHD(100)는 페어링 대기 모드 상태로 다시 될 수 있다(S162). 이에 따라 임의의 다른 사용자가 PHD(100)를 다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유헬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유헬스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의 유헬스 서비스 과정은, S410~S414의 과정이 도 4, 도 5, 또는 도 6의 과정과 차이가 있고, 나머지 과정들은 도 4, 도 5, 또는 도 6의 과정 중 같은 부호를 나타내는 과정과 유사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PHD(100)에 구비된 소정의 리셋 버튼을 누르면(S110) PHD(100)는 페어링 대기 모드 상태가 될 수 있다(S111).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소정의 메뉴, 아이콘 등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으로 제어부(201), GW 송신부(202), GW수신부(203), 데이터 송신부(204), 데이터 수신부(205)가 GW 기능 동작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고, 개인건강정보 서비스 모듈(206)가 유헬스 서비스 동작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S120).
이에 따라 제어부(201)는 인증 요청 메시지에 사용자 ID, 패스워드(PW), 단말고유번호(SSID, IMEI 등), 유심(USIM) 정보, 전화번호 등 사용자 정보를 포함시켜 데이터 송신부(204)를 통해 네트워크 상의 단말관리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S410). 단말관리 서버(500)는 DB(310)에 사용자 개인별 가입자 정보(사용자 ID, 패스워드 등)를 저장 관리하고 있으며, 위와 같은 인증 요청 메시지에 따라 자체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가입자 정보가 존재하는 지 여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매핑되는 가입자 정보가 존재하면 단말 식별 토큰(Token)이 포함된 승인 완료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411).
위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이 단말관리 서버(500)로부터 단말 식별 토큰(Token)을 받으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부(201)는 GW 기능으로서, PHD(100)에 링크(Link) 설정을 요청하고(S130), 이에 따라PHD(100)는 시리얼 번호(Serial NO)와 같은 고유의 디바이스 ID를 제공하며(S131), 제어부(201)는 해당 디바이스 ID에 대한 소정의 링크키(Link key)를 생성하여 PHD(100)로 전송함으로써 페어링이 완료되었음을 PHD(100)로 통지한다(S132). 링크키(Link key)(PHD-GW 페어링 세트 정보)는 '디바이스 ID-GW 디바이스 ID'와 같이 시리얼 번호(Serial NO)(디바이스 ID)에 제어부(201)가 부여한 소정의 ID(GW 디바이스 ID)가 부가된 세트 정보 형태일 수 있고, 이를 PHD(100)와 제어부(201)는 소정의 저장 수단에 관리한다.
이와 같이 PHD(100)와 사용자 단말(200) 간에 페어링이 완료되면, 건강정보 측정장치인 PHD(100)는 측정부(102)에 구비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체지방, 혈압, 당뇨, 체온, 맥박 등 건강 관련 정보를 측정하고, 해당 측정된 건강 정보를 링크키(Link key)와 함께 소정의 메시지에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140).
사용자 단말(200)(제어부 201)은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건강 정보에 링크키(Link key)와 부가 정보로서 단말 정보(예, SSID, IMEI, 유심(USIM) 정보, 전화번호 등), 단말 식별 토큰(Token) 등을 추가하여 PHR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142).
PHR 서버(300)는 단말관리 서버(500)와 연동으로 DB(310)에 사용자 개인별 회원 정보(사용자 ID, 패스워드, SSID, IMEI, 유심(USIM) 정보, 전화번호 등)를 저장 관리하고 있으며, 위와 같이 건강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하면, PHR서버(300)는 DB(310)를 참조하여 건강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에 포함된 해당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해당 회원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증한다(S413).
이때, PHR서버(300)는 해당 회원 정보가 존재하여 인증에 성공하면, DB(310)에 수신한 단말 정보와 단말 식별 토큰(Token)을 해당 회원 정보에 대응시켜 업데이트 저장한 후(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단말 정보에는 DB(310) 에 기 저장된 단말 정보 이외의 추가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음), 위와 같이 수신된 메시지에 따라, 해당 회원 정보(또는 단말 정보, 사용자 ID 등)에 대응되도록 디바이스 ID(또는 해당 의료 기기, 건강정보 측정장치)별 건강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S414). DB(310)에 업데이트 저장된 단말 정보와 단말 식별 토큰(Token)은 이 후 건강 정보의 주기적인 수신 시에 식별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PHR서버(300)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각 사용자별로 DB(310)에, 해당 회원 정보(또는 단말 정보, 사용자 ID 등)에 대응되도록 디바이스 ID(또는 해당 의료 기기, 건강정보 측정장치)별 건강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PHR서버(300)는 각 사용자별로 일정 기간 수신된 건강 정보를 분석하여 건강 정보의 변화 추이에 대한 정보 등 분석 결과를 생성하여 DB(310)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PHD(100)에 구비된 소정의 리셋 버튼을 누르기 전까지, PHD(100)는 측정한 건강 정보를 링크키(Link key)와 함께 소정의 메시지에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지속적으로 전송하며(S140), 사용자 단말(200)(제어부 201)은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건강 정보에 링크키(Link key)와 위와 같은 부가 정보(단말 정보), 단말 식별 토큰(Token)을 추가하여 PHR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S412), PHR서버(300)는 건강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때 그에 포함된 단말 정보, 단말 식별 토큰(Token)와 DB(310)에 업데이트 저장된 해당 회원 정보의 단말 정보, 단말 식별 토큰(Token)와 일치 여부로 식별한 후, DB(310)에, 해당 회원 정보(또는 이전에 저장한 단말 정보, 사용자 ID 등)에 대응되도록 디바이스 ID(또는 해당 의료 기기, 건강정보 측정장치)별 건강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하여 DB(310)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
DB(310)에 저장 관리되는 건강 정보를 조회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언제든지(S160 단계와 같이 리셋 버튼을 누르기 전 또는 후 등 언제라도 가능) 위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실행으로 나타나는 화면에서 개인별 건강 정보 조회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인건강정보 서비스 모듈(206)이 구동되어, PHR 서버(300)가 관리하는 DB(310)에 접속하여 조회를 요청함으로써(S150), PHR 서버(300)로부터 해당 자신의 과거 건강 정보 또는 변화 추이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받아 자가 건강 관리에 이용할 수 있다(S151).
PHD(100)를 사용한 사용자는 PHD(100)에 구비된 소정의 리셋 버튼을 누르면(S160), PHD(100)는 저장하고 있던 링크키(Link key)를 삭제하고 사용자 단말(200)로 페어링 해제를 통보하며(S161), PHD(100)는 페어링 대기 모드 상태로 다시 될 수 있다(S162). 이에 따라 임의의 다른 사용자가 PHD(100)를 다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유헬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4 내지 도 7의 서비스 과정의 상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PHR 서버(300) 측에서 멀티유저의 다양한 인증/식별 방법을 통합하여 PHR 서버(300)에 등록된 회원의 PHD-GW 페어링 세트(100,200) 정보를 수집하고 회원 정보로 매핑하는 적재 자동화 방법을 고안한 것으로 도 3과 같은 각 구성요소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헬스 서비스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회원 가입을 수행함으로써, PHR 서버(300)는 DB(310)에 사용자 개인별 회원 정보(사용자 ID, 패스워드, SSID, IMEI, 유심(USIM) 정보, 전화번호 등)를 저장 관리하게 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이 전송하는 사용자 ID 등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PHR 서버(300)가 인증하여 로그인과 같은 방식으로 인증이 이루어진 후에(S121 참조), 해당 단말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S141 단계에서 전송되는 단말 정보를 식별하여 건강 정보를 분석 저장하는 과정으로 본 발명의 유헬스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건강 정보 측정 시 위와 같은 로그인을 거치지 않는 경우에는, 도 5 ~ 도 7과 같이, 회원 정보를 추가 수집/매핑/적재하여 유헬스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과 같이, 사용자 단말(200)이 전송하는 단말 정보에 대하여 PHR 서버(300)와 연동하는 네트워크 상의 단말 관리 서버(500)에서 인증 후에(S410 참조) 사용자 단말(200)에서 링크 설정을 요청하는 단계(S130) 이후 과정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7과 같이 링크 설정 전에 사용자 ID 또는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PHR 서버(300) 또는 네트워크 상의 단말 관리 서버(500)에서 인증 후에 사용자 단말(200)에서 링크 설정을 요청하는 방식 이외에도, 도 5의 S141 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에서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 정보와 링크키를 PHR 서버(300)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PHR 서버(300)가 수신하는 해당 단말 정보를 기초로 PHR 서버(300)가 인증 후에 PHR 서버(300)가 PHD(100)의 건강 정보를 분석 저장할 수도 있으며, 도 6의 S310 단계에서와 같이 PHR 서버(300)와 연동하는 네트워크 상의 과금 서버(400)에서 인증 후에 PHR 서버(300)가 PHD(100)의 건강 정보를 분석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위와 같은 사용자 ID, 단말 정보, 또는 네트워크 상의 다른 서버(과금 서버나 단말 관리서버)에서 인증 과정을 통해 수신하는 사용자 키나 단말 식별 토큰을 포함한 다양한 인증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수집하고 적재할 수 있으며, PHD(100)와 페어링되는 사용자 단말들에 대한 각 인증 시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의 매핑을 통하여 유헬스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유헬스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PHR 서버(300)는 DB(310)에 단말 식별을 위한 단말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부가적인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정보 조회/관리를 위한 사용자 단말(20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단말관리 서버(500)로 단말 정보(예, SSID, IMEI, 유심(USIM) 정보, 전화번호 등)를 포함한 메시지로 인증을 요청하고(S510), 이에 응답하여 단말관리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200)로 단말 식별ID(또는 Token)을 전송하면서 승인할 수 있다(S511). 단말관리 서버(500)는 DB(310)에 사용자 개인별 가입자 정보(사용자 ID, 패스워드 등)를 저장 관리하고 있으며, 위와 같은 인증 요청 메시지에 따라 자체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가입자 정보가 존재하는 지 여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매핑되는 가입자 정보가 존재하면 단말 식별 식별ID(또는 Token)이 포함된 승인 완료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단말관리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단말 식별ID(또는 Token)을 PHR서버(300)로 전송하며(S520), PHR서버(300)에서는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PHR 서버(300)는 단말관리 서버(500)와 연동으로 DB(310)에 저장하고 있는 회원 정보(사용자 ID, 패스워드, SSID, IMEI, 유심(USIM) 정보, 전화번호 등)에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단말 정보와 단말 식별 ID(또는 Token)을 해당 회원 정보에 대응시켜 업데이트 저장할 수 있다(S521).
이후, 사용자 단말(200)을 분실한 사용자가 소정의 유헬스 센터로 단말 분실 신고를 하면(S530), 유헬스 센터 담당자는 네트워크 접속가능한 단말을 이용해 PHR 서버(300)에 접속하여 해당 회원 정보에 단말 분실 정보를 입력하여 위와 같은 유헬스 서비스가 중지되도록 할 수 있다(S531). 이때 PHR 서버(300) 분실된 사용자 단말(200)로는 '해당 기기는 분실신고 기계임'과 같은 문자 메시지를 푸시해 줄 수도 있으며(S532), 이 후 해당 회원에 대한 분실 해제 처리시까지는 분실된 사용자 단말(200)로는 해당 유헬스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없다. 이 외에도 DB(310)에 자동으로 수집된 회원의 정보나 건강 정보 등에 대하여 PHD(100)의 활용도를 추출하여 고객을 위한 Business Model 을 발굴해 낼 수 있는 백데이터를 통신 사업자에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7의 S410~S414와 유사한 과정으로 PHR 서버(300)가 단말 정보 등을 DB(310)에 수집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PHR 서버(300)가 단말 정보, 사용자 키, 단말 식별 토큰 등을 수집하여도, 위와 같이 분실 관련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PHD(100)
제어부(101)
측정부(102)
데이터 송신부(103)
데이터 수신부(204)
사용자 단말(200)
제어부(201)
GW 송신부(202)
GW수신부(203)
데이터 송신부(204)
데이터 수신부(205)
개인건강정보 서비스 모듈(206)
PHR서버(300)
데이터 송신부(301)
데이터 수신부(302)
제어부(303)
DB저장부(304)
DB(310)

Claims (10)

  1. 사용자가 소지하는 이동성 있는 사용자 단말을 게이트웨이로 이용하는 유헬스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서 링크 설정을 요청하여 PHD(Personal Health Device)로부터 디바이스 ID를 수신하며, 상기 디바이스 ID에 대한 링크키를 생성하여 상기 PHD로 통보하는 단계;
    상기 PHD에서 건강 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링크키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 정보와 상기 링크키를 PHR(Personal Health Record)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PHR 서버에서 상기 건강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단말 정보에 대응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분석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PHR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헬스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D와 통신으로 상기 PHD로부터 수신하는 건강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상기 PHR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기능을 사용자가 소지하는 이동성 있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되, 상기 PHD와 페어링되는 모든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이트웨이 기능을 통해 상기 PHD에 대한 유헬스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헬스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전송하는 사용자 ID 또는 단말 정보에 대하여 상기 PHR 서버 또는 네트워크 상의 다른 서버에서 인증 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링크 설정을 요청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 정보와 상기 링크키를 상기 PHR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PHR 서버가 수신하는 상기 단말 정보를 기초로 상기 PHR 서버 또는 네트워크 상의 다른 서버에서 인증 후에 상기 PHR 서버가 상기 건강 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헬스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ID, 상기 단말 정보, 또는 상기 네트워크 상의 다른 서버에서 인증 과정을 통해 수신하는 사용자 키나 단말 식별 토큰을 포함한 다양한 인증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수집하고 적재하여 상기 PHD와 페어링되는 사용자 단말들에 대한 각 인증 시에 매핑을 통하여 유헬스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헬스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PHR 서버로 사용자 ID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PHR 서버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해당 회원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승인을 통보한 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링크 설정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헬스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HR 서버가 상기 승인을 통보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상기 단말 정보를 해당 회원 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 정보와 상기 링크키를 상기 PHR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PHR 서버가 수신하는 상기 단말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확인되면 상기 건강 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헬스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링크 설정을 요청하기 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PHR 서버와 인증 없이, 상기 링크 설정을 요청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 정보와 상기 링크키를 상기 PHR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후에, 상기 PHR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해당 회원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회원 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단말 정보를 업데이트 저장한 후, 저장된 상기 단말 정보를 상기 건강 정보의 주기적인 수신 시에 식별 정보로 이용하여 상기 건강 정보를 분석하고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헬스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링크 설정을 요청하기 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PHR 서버와 인증 없이, 상기 링크 설정을 요청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 정보와 상기 링크키를 상기 PHR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후에, 상기 PHR 서버에서 상기 단말 정보를 이용해 네트워크 상의 과금 서버로 인증을 요청하여 상기 과금 서버로부터 사용자 키를 포함한 해당 승인을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단말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사용자 키를 업데이트 저장하여 동기화한 후, 상기 건강 정보의 주기적인 수신 시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키를 이용해 상기 과금 서버로 과금 정보를 통보하고 상기 건강 정보를 분석하고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헬스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단말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단말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부터 단말 식별 토큰을 포함한 해당 승인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링크 설정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헬스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 정보와 상기 링크키를 상기 PHR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PHR 서버로 상기 단말 식별 토큰을 더 포함하여 전송하며,
    상기 PHR 서버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 정보에 해당하는 회원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회원 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단말 정보와 상기 단말 식별 토큰을 업데이트 저장한 후, 저장된 상기 단말 정보와 상기 단말 식별 토큰을 상기 건강 정보의 주기적인 수신 시에 식별 정보로 이용하여 상기 건강 정보를 분석하고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헬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20111229A 2012-10-08 2012-10-08 멀티유저 환경에서의 유헬스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451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229A KR20140045106A (ko) 2012-10-08 2012-10-08 멀티유저 환경에서의 유헬스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229A KR20140045106A (ko) 2012-10-08 2012-10-08 멀티유저 환경에서의 유헬스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106A true KR20140045106A (ko) 2014-04-16

Family

ID=5065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229A KR20140045106A (ko) 2012-10-08 2012-10-08 멀티유저 환경에서의 유헬스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51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0783B2 (en) Telehealth wireless communication hub device and service platform system
US10333980B2 (en) Personal device network for user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JP6483696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のアップデート処理方法及び端末機器
US20230353604A1 (en) Automated service enrollment in a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s network
KR101328779B1 (ko) 이동 단말기,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CN107409145A (zh) 通过中间设备进行本地控制的方法、装置以及计算机程序产品
CN103886529A (zh) 一种健康档案信息管理服务系统及方法
Jiménez-Fernández et al. Usability and interoperabilit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patient telemonitoring in chronic disease management
KR20130076736A (ko)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7845171B (zh) 一种利用可穿戴设备解锁物联网智能锁的方法与系统
US20130247152A1 (en) Access device, access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9257793A (zh) 网络连接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760112B (zh) 一种面向无线局域网络的智能家居设备入网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07452095B (zh) 一种用于开启门锁的方法和设备
WO2015117362A1 (zh) 终端上个人信息的共享方法及装置
US107264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networking transfer service
KR102049945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437430B1 (ko) IoT POS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N106470281A (zh) 一种漏话提醒方法及装置
KR20140045106A (ko) 멀티유저 환경에서의 유헬스 서비스 제공 방법
US10924297B2 (en) Agent system includ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executing an agent
CN108235223A (zh) 一种数据监测方法、一种集中器和数据监测系统
KR20130120050A (ko) 엔-스크린 플랫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 인증모듈 구현방안
KR20190059599A (ko)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20071172A (ko) 수신번호가 할당되지 않은 단말기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