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5000A - A convert slag powder classfic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A convert slag powder classfica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5000A
KR20140045000A KR1020120110596A KR20120110596A KR20140045000A KR 20140045000 A KR20140045000 A KR 20140045000A KR 1020120110596 A KR1020120110596 A KR 1020120110596A KR 20120110596 A KR20120110596 A KR 20120110596A KR 20140045000 A KR20140045000 A KR 20140045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esh
steelmaking slag
sla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5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66970B1 (en
Inventor
김일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앤지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앤지스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앤지스틸
Priority to KR1020120110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970B1/en
Publication of KR20140045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0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9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0Screens in the form of endless mov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ticle assorting device of a steel slag, comprising: a first screen in a rotating cylindrical net form having a predetermined mesh; a second screen in a net form formed to be cylindrically rotatable, including a mesh relatively smaller than the first screen for the first screen to be located inside the second screen; a first inlet for inserting the steel slag toward one side of the first screen; a first outlet arranged on a lower side of the second screen for storing the steel slag passed through the mesh of the second screen; and a second outlet guiding the steel slag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creen.

Description

제강슬래그의 입자분별장치{A Convert Slag Powder Classfication Apparatus}Grain separator for steelmaking slag {A Convert Slag Powder Classf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제강슬래그의 입자분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강슬래그 중 크기별로 구분하여 사용용도 및 사용가능한 입자들을 분별해 내는 제강슬래그의 입자분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orting steel slag,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el-making slag particle sorting apparatus for sorting steel slag by size and separating usable particles and usable particles.

종래에는 제강슬래그 철분 회수처리과정에서 회수한 전철분 함량 80%이상인 입경 8mm이상의 지금류와 입철은 스크랩등과 함께 제강공정의 고철원으로 사용하고, 전철분함량 50∼75%인 입경 8mm이하의 분철은 소결광 제조원료인 저부가가치의 소결용 철원으로 사용하고 있다.In the past, iron and steel irregularities of more than 80mm in diameter, which have been recovered in steel recovery process of steelmaking slag, have been used as steel scrap in steelmaking process together with scrap. Sintering is used as a sintering source for low value added sintering ore.

근래에 제강슬래그 철분 회수처리과정중 자력선별기에 자착한 분철의 고부가가치활용에 대한 방법등이 일부 개발되었으나, 이 방법들은 분철을 입도선별, 파쇄후 재선별(입도선별, 자력선별)하는 등의 공정을 통해 부화된 분철을 가압성형(Briquetting) 하여 제강공정등의 고철원 또는 고철대체재 등으로 활용함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In recent years, some method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utilization of high added value of iron powders prepared by magnetic separator during iron recovery process of steelmaking slag. However, these methods have been used for the purpose of selecting iron powders by grain sorting, crushing and sort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tilize briquetted husk hatched through the process as a substitute for scrap iron or scrap metal such as steelmaking process.

제강공정에서 고철원 또는 고철대체재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철분함량이 높을수록 좋은데 이는 철분이외의 성분은 전기로 등에 투입, 용해 된 후 슬래그로 발생되어 조업효율과 노 용적당 생산성에 악영향을 주고, 노내 열전도율이 낮아져 용해시간과 전력 등의 사용량이 많아져 생산원가가 상승하기 때문이다.In order to utilize steel as a substitute for scrap iron or scrap iron in the steelmaking process, the higher the content of iron in the train, the better. This is because the ingredients other than iron are injected into the electric furnace and melted and generated as slag, This is because the thermal conductivity is lowered and the consumption of dissolution time and electric power is increased, resulting in an increase in production cost.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입자분리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for separating particles has the following problems.

특히 분철 중 전철분함량이 낮은 0.3mm 이하는 생산성에 큰 악영향을 주는데, 이를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문제가 되었다. Especially, less than 0.3mm, which is low in the amount of trains in the trains, has a bad effect on the productivity, which is a problem because there is no way to separate i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0.3mm 이하의 작은 입자의 분철을 쉽게 분리해 내는 제강슬래그의 입자분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sorting steel slag which easily separates fine particles of 0.3 mm or les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크기의 입자들의 분철을 분리해 낼 수 있는 제강슬래그의 입자분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sorting steel slag, which can separate fractions of particles of various siz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제강슬래그의 입자분별장치의 구성은, 일정한 메쉬를 가지는 원통형상의 회전하는 망상형상의 제 1스크린과, 상기 제 1스크린에 대해 상대적으로 메쉬가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 1스크린이 내부에 구비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망상형상의 제 2스크린과, 상기 제 1스크린의 일측으로 제강슬래그가 투입되는 제 1투입구와, 상기 제 2스크린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 2스크린의 메쉬를 통과하는 제강슬래그를 수용하는 제 1배출구와, 상기 제 2스크린의 타측으로 제강슬래그가 안내되는 제 2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rticle sorting apparatus for a steelmaking slag, comprising: a cylindrical first rotating screen having a mesh shape; a first screen having a relatively small mesh relative to the first screen, A second screen having a mesh shape formed so as to be rotatable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one screen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screen, a first inlet through which the steelmaking slag is introduced into one side of the first screen, A first outlet for receiving a steelmaking slag passing through the mesh of the second screen and a second outlet for guiding the steelmaking slag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creen.

그리고, 본 발명인 제강슬래그의 입자분별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일정한 메쉬를 가지는 원통형상의 회전하는 망상형상의 제 1스크린과, 상기 제 1스크린에 대해 상대적으로 메쉬가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 1스크린이 내부에 구비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망상형상의 제 2스크린과, 상기 제 1스크린의 일측으로 제강슬래그가 투입되는 제 1투입구와, 상기 제 2스크린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 2스크린의 메쉬를 통과하는 제강슬래그를 수용하는 제 1배출구와, 상기 제 2스크린에 대해 상기 제 1투입구의 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스크린의 메쉬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며, 원통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망상형상의 제 3스크린과, 상기 제 3스크린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 3스크린의 메쉬를 통과하는 제강슬래그를 수용하는 제 3배출구와, 상기 제 3스크린의 타측으로 제강슬래그가 안내되는 제 4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fractionating steel sl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ylindrical first rotating screen having a mesh and a mesh having a relatively small mesh relative to the first screen, A first screen having a mesh-shaped second screen rotatably formed therein so as to be rotatable in a cylindrical shape, a first inlet through which steel-making slag is introduced into one side of the first screen, and a second inlet provided below the second screen, A first discharge port for receiving a steelmaking slag passing through the mesh of the first screen and a second discharge port extending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ischarge port with respect to the second screen and formed relatively larger than the mesh of the first screen, And a third screen provided below the third screen to receive a steelmaking slag passing through the mesh of the third screen The can comprise a fourth outlet that steel slag guide side to the other of said third screen and an outlet 3,.

상기 제 1스크린의 메쉬는 4 내지 6mm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the mesh of the first screen is 4 to 6 mm.

상기 제 2스크린의 메쉬는 0.3mm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the mesh of the second screen is 0.3 mm.

상기 제 1스크린은 원통의 철판에 미세한 통공을 타공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first screen may be manufactured by punching fine holes in a cylindrical iron plate.

본 발명인 제강슬래그의 입자분별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in the apparatus for fractionating steel slag.

내부에 메쉬가 큰 스크린을 설치하고 그 외부에 메쉬가 작은 스크린을 설치하여, 큰 입자가 손상되기 쉬운 미세한 메쉬의 스크린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시켜, 내구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By installing a screen with a large mesh inside and a screen with a small mesh outside thereof, it is possible to prevent large particles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screen of a fine mesh, which is easily damaged, thereby increasing durability.

각각의 스크린이 원통형상으로 연속적으로 구성되어, 제강슬래그를 연속적으로 입자들을 분별할 수 있어, 생산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생산량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Each of the screens is continuous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steelmaking slag can continuously separate the particles, and the production is continuously performed, thereby increasing the production amoun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강슬래그의 입자분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강슬래그의 입자분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separating a steel making sl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fractionating steel sl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제강슬래그의 입자분별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메쉬를 가지는 원통형상의 회전하는 망상구조의 제 1스크린(10)과, 상기 제 1스크린(10)에 대해 상대적으로 메쉬가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 1스크린(10)이 내부에 구비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망상구조의 제 2스크린(20)과, 상기 제 1스크린(10)의 일측으로 제강슬래그가 투입되는 제 1투입구(30)와, 상기 제 2스크린(20)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 2스크린(20)의 메쉬를 통과하는 제강슬래그를 수용하는 제 1배출구(40)와, 상기 제 2스크린(20)의 타측으로 제강슬래그가 안내되는 제 2배출구(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apparatus for fractionating steel sl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creen 10 of a cylindrical rotating net structure having a certain mesh, A second screen 20 having a small mesh and formed so as to be rotatable in a cylindrical shape such that the first screen 10 is provided therein, A first discharge port 30 provided below the second screen 20 to receive a steelmaking slag passing through the mesh of the second screen 20 and a second discharge port 40 provided below the second screen 20, And a second discharge port (50) through which the steelmaking slag is guided to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20).

먼저, 본 발명인 제강슬래그의 입자분별장치에는 몸체부(2)가 마련된다. 상기 몸체부(2)는, 본 발명인 제강슬래그의 입자분별장치의 몸체를 구성하고 내부에 아래에서 설명될 여러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First, a body part 2 is provided in a particle sorting apparatus for steelmaking sl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art 2 constitutes the body of the steel-making slag particle sor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s to provide a space in which various devices to be described below are installed.

그리고, 상기 몸체분(2)의 내부에는 제 1스크린(10)이 마련된다. 상기 제 1스크린(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면이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A first screen 10 is provided inside the body 2. As shown in FIG. 1, the first screen 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pened.

상기 제 1스크린(10)은, 상기 제 1스크린(10)의 일측으로 제강슬래그가 유입되어, 상기 제 1스크린(10)의 타측으로 제강슬래그가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The first screen 10 guides the steelmaking slag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creen 10 by allowing the steelmaking slag to flow into one side of the first screen 10.

상기 제 1스크린(10)은 메쉬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강슬래그가 상기 제 1스크린(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 1스크린(10)의 메쉬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강슬래그는 상기 제 1스크린(10)을 관통하여 상기 제 1스크린(10) 외부로 이동하고, 상기 제 1스크린(10)의 메쉬구조보다 상대적으로 큰 입자들은 상기 제 1스크린(10)을 따라 타측으로 이동하기 위함이다. The first screen 10 may have a mesh structure. This is because as the steelmaking slag moves along the first screen 10, the steelmaking slag, which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mesh of the first screen 10, passes through the first screen 10, And particles relatively larger than the mesh structure of the first screen 10 are moved to the other side along the first screen 10.

상기 제 1스크린(10)의 메쉬는 원통에 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스크린(10)을 견고하게 제조하여, 상기 제 1스크린(10)으로 유입되는 제강슬래그는 불규칙적인 형성과, 불규칙적인 무게를 가지는 입자들로 제 1스크린(10)에 접촉될 때, 제 1스크린(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mesh of the first screen 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y perfora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firmly manufacture the first screen 10 so that the steelmaking slag flowing into the first screen 10 is irregularly formed and the first screen 10 is contacted with particles having irregular weights This is to prevent the first screen 10 from being damaged.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 1스크린(10)의 원통구조의 두께를 두껍게 하고, 상기 원통구조에 타공에 의해 메쉬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제 1스크린(10)을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스크린(10)의 메쉬의 크기는 4 내지 6mm 의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타공방법에 의해서는 4mm 이하로 제작하기 어렵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screen 10 can be firmly formed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cylindrical structure of the first screen 10 and forming the mesh structure by punching the cylindrical structure. The size of the mesh of the first screen 10 may be configured to a length of 4 to 6mm. Here, it is difficult to make the punching method to 4 mm or less by the punching method described above.

그리고, 상기 제 1스크린(10)의 외부에는 제 2스크린(20)이 마련된다. 상기 제 2스크린(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스크린(10)이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고, 외부에서 원통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망상구조로 형성된다. A second screen 20 is provided outside the first screen 10. As shown in FIG. 1, the second screen 20 has a network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screen 10 is internally provided, and is rotatable in a cylindrical shape from the outside.

상기 제 2스크린(20)의 메쉬의 크기는 상기 제 1스크린(10)의 메쉬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강슬래그 중 더욱 크기가 작은 입자들을 걸러내기 위함이다. The size of the mesh of the second screen 20 may be smaller than the mesh of the first screen 10. This is to filter out smaller size particles among the steelmaking slag.

상기 제 2스크린(20)의 메쉬는 얇은 철사들의 그물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0.3mm 이하의 작은 입자의 분철을 걸러내는 스크린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미세한 그물구조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제 1스크린(10)에서와 같이 타공방법에 의해서는 미세한 구조를 제작할 수 없다. The mesh of the second screen 20 may be formed as a mesh structure of thin wires. This is to form a fine mesh structure for forming a screen for filtering fine particles of 0.3 mm or less. It is impossible to fabricate a minute structure by the punching method as in the first screen 10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제 2스크린(20)의 메쉬구조를 얇은 철사들의 그물구조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은, 상기 제강슬래그가 상기 제 1스크린(10)을 통과하면서 입자들의 크기와 무게가 제 2스크린(20)이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걸러지기 때문이다. 상기 제 2스크린(20)의 메쉬는 0.3mm 로 구성될 수 있다. The reason why the mesh structure of the second screen 20 can be fabricated with a net structure of thin wires is that the size and weight of the steel making slag passes through the first screen 10, Is filtered to such an extent that it can be accommodated. The mesh of the second screen 20 may be 0.3 mm.

그리고, 상기 제 1스크린(10)의 일측에는 제 1투입구(3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투입구(30)는 제강슬래그를 상기 제 1스크린(10)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a first inlet 3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screen 10. The first inlet 30 serves to guide the steelmaking slag into the first screen 10.

상기 제 2스크린(20)의 하방에는 제 1배출구(4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배출구(40)는 상기 제 2스크린(20)의 메쉬를 통과한 제강슬래그를 외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A first outlet (40) is provided below the second screen (20). The first outlet (40) serves to guide the steel making slag passing through the mesh of the second screen (20)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제 2스크린(20)의 타측에는 제 2배출구(5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배출구(50)는 상기 제 1스크린(10) 및 제 2스크린(20)에 의해 걸러지는 제강슬래그를 외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A second outlet (5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creen (20). The second outlet (50) serves to guide the steel making slag filtered by the first screen (10) and the second screen (20) to the outside.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제강슬래그의 입자선별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the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article sorting apparatus for steelmaking sl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강슬래그의 입자선별장치는, 일정한 메쉬를 가지는 원통형상의 회전하는 망상구조의 제 1스크린(10)과, 상기 제 1스크린(10)에 대해 상대적으로 메쉬가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 1스크린(10)이 내부에 구비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망상구조의 제 2스크린(20)과, 상기 제 1스크린(10)의 일측으로 제강슬래그가 투입되는 제 1투입구(30)와, 상기 제 2스크린(20)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 2스크린(20)의 메쉬를 통과하는 제강슬래그를 수용하는 제 1배출구(40)와, 상기 제 2스크린(20)에 대해 상기 제 1투입구(30)의 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스크린(10)의 메쉬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며, 원통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망상구조의 제 3스크린(60)과, 상기 제 3스크린(60)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 3스크린(60)의 메쉬를 통과하는 제강슬래그를 수용하는 제 3배출구(70)와, 상기 제 3스크린(60)의 타측으로 제강슬래그를 안내하는 제 4배출구(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apparatus for sorting steel sl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creen 10 of a cylindrical rotating net-like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mesh, A second screen 20 having a small mesh and formed so as to be rotatable in a cylindrical shape such that the first screen 10 is provided therein, A first discharge port 30 provided below the second screen 20 to receive a steelmaking slag passing through the mesh of the second screen 20 and a second discharge port 40 provided below the second screen 20, A third screen of a network structure exte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input port 30 with respect to the screen 20 and formed relatively larger than the mesh of the first screen 10 and rotatab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60), a second screen (60) provided below the third screen A third outlet 70 for receiving steelmaking slag passing through the mesh of the third screen 60 and a fourth outlet 80 for guiding the steelmaking slag to the other side of the third screen 60 .

먼저, 본 발명인 제강슬래그의 입자분별장치에는 몸체부(2)가 마련된다. 상기 몸체부는, 본 발명인 제강슬래그의 입자분별장치의 몸체를 구성하고 내부에 아래에서 설명될 여러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First, a body part 2 is provided in a particle sorting apparatus for steelmaking sl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art constitutes the body of the particle sorting apparatus of the steelmaking sla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s to provide a space in which various devices to be described below are installed.

그리고, 상기 몸체부(2)의 내부에는 제 1스크린(10)이 마련된다. 상기 제 1스크린(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면이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A first screen 10 is provided inside the body part 2. [ As shown in FIG. 2, the first screen 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pened.

상기 제 1스크린(10)은, 상기 제 1스크린(10)의 일측으로 제강슬래그가 유입되어, 상기 제 1스크린(10)의 타측으로 제강슬래그가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The first screen 10 guides the steelmaking slag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creen 10 by allowing the steelmaking slag to flow into one side of the first screen 10.

상기 제 1스크린(10)은 메쉬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강슬래그가 상기 제 1스크린(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 1스크린(10)의 메쉬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강슬래그는 상기 제 1스크린(10)을 관통하여 상기 제 1스크린(10) 외부로 이동하고, 상기 제 1스크린(10)의 메쉬구조보다 상대적으로 큰 입자들은 상기 제 1스크린(10)을 따라 타측으로 이동하기 위함이다. The first screen 10 may have a mesh structure. This is because as the steelmaking slag moves along the first screen 10, the steelmaking slag, which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mesh of the first screen 10, passes through the first screen 10, And particles relatively larger than the mesh structure of the first screen 10 are moved to the other side along the first screen 10.

상기 제 1스크린(10)의 메쉬는 원통에 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스크린(10)으로 유입되는 제강슬래그는 불규칙적인 형상과, 불규칙적인 무게를 가지는 입자들로 이들이 제 1스크린(10)에 접촉될 때, 제 1스크린(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mesh of the first screen 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y perforation. This is because the steelmaking slag flowing into the first screen 10 has an irregular shape and particles with irregular weights that cause damage to the first screen 10 when they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screen 10 .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 1스크린(10)의 원통구조의 두께를 두껍게 하고, 상기 원통구조에 타공에 의해 메쉬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제 1스크린(10)을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스크린(10)의 메쉬의 크기는 4 내지 6mm 의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타공방법에 의해서는 4mm 이하로 제작하기 어렵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screen 10 can be firmly formed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cylindrical structure of the first screen 10 and forming the mesh structure by punching the cylindrical structure. The size of the mesh of the first screen 10 may be configured to a length of 4 to 6mm. Here, it is difficult to make the punching method to 4 mm or less by the punching method described above.

그리고, 상기 제 1스크린(10)의 외부에는 제 2스크린(20)이 마련된다. 상기 제 2스크린(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스크린(10)이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고, 외부에서 원통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망상구조로 형성된다. A second screen 20 is provided outside the first screen 10.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screen 20 has a network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screen 10 is internally provided, and is rotatable in a cylindrical shape from the outside.

상기 제 2스크린(20)의 메쉬의 크기는 상기 제 1스크린(10)의 메쉬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강슬래그 중 더욱 크기가 작은 입자들을 걸러내기 위함이다. The size of the mesh of the second screen 20 may be smaller than the mesh of the first screen 10. This is to filter out smaller size particles among the steelmaking slag.

상기 제 2스크린(20)의 메쉬는 얇은 철사들의 그물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0.3mm 이하의 작은 입자의 분철을 걸러내는 스크린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미세한 그물구조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제 1스크린(10)에서와 같이 타공방법에 의해서는 미세한 구조를 제작할 수 없다. The mesh of the second screen 20 may be formed as a mesh structure of thin wires. This is to form a fine mesh structure for forming a screen for filtering fine particles of 0.3 mm or less. It is impossible to fabricate a minute structure by the punching method as in the first screen 10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제 2스크린(20)의 메쉬구조를 얇은 철사들의 그물구조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은, 상기 제강슬래그가 상기 제 1스크린(10)을 통과하면서 입자들의 크기와 무게가 제 2스크린(20)이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걸러지기 때문이다. 상기 제 2스크린(20)의 메쉬는 0.3mm 로 구성될 수 있다. The reason why the mesh structure of the second screen 20 can be fabricated with a net structure of thin wires is that the size and weight of the steel making slag passes through the first screen 10, Is filtered to such an extent that it can be accommodated. The mesh of the second screen 20 may be 0.3 mm.

그리고, 상기 제 1스크린(10)의 일측에는 제 1투입구(3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투입구(30)는 제강슬래그를 상기 제 1스크린(10)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a first inlet 3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screen 10. The first inlet 30 serves to guide the steelmaking slag into the first screen 10.

상기 제 2스크린(20)의 하방에는 제 1배출구(4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배출구(40)는 상기 제 2스크린(20)의 메쉬를 통과한 제강슬래그를 외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A first outlet (40) is provided below the second screen (20). The first outlet (40) serves to guide the steel making slag passing through the mesh of the second screen (20)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제 2스크린(20)의 일측에는 제 3스크린(60)이 마련된다. 상기 제 3스크린(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스크린(20)에 대해 상기 제 1투입구(30)의 타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A third screen 6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creen 20. The third screen 60 is formed to exten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inlet 30 with respect to the second screen 20, as shown in FIG.

상기 제 3스크린(60)은 상기 제 1스크린(10)이 메쉬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며, 원통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The third screen (60) is formed such that the first screen (10)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mesh, and is rotatable in a cylindrical shape.

그리고, 상기 제 3스크린(60)의 하방에는 제 3배출구(70)가 마련된다. 상기 제 3배출구(70)는 상기 제 3스크린(60)의 메쉬를 통과하는 제강슬래그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A third outlet (70) is provided below the third screen (60). The third outlet (70) serves to receive steelmaking slag passing through the mesh of the third screen (60).

상기 제 3스크린(60)의 타측에는 제 4배출구(80)가 마련된다. 상기 제 4배출구(80)는 상기 제 3스크린(60)에 의해 걸러지는 제강슬래그를 외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A fourth outlet (8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ird screen (60). The fourth outlet (80) serves to guide the steel making slag filtered by the third screen (60) to the outsid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제강슬래그의 입자분별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for fractionating steel sl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1에 따른 제강슬래그의 입자분별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First, the operation of the particle sorting apparatus for steelmaking slag according to FIG. 1 will be described.

제강슬래그가 제 1투입구(30)를 통하여 입자분별장치에 투입되면, 상기 제 1스크린(10)에 의해 상기 제 1스크린(10)의 메쉬보다 작은 입자들은 제 2스크린(20)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 1스크린(10)의 메쉬보다 큰 입자들은 제 2배출구(40)를 통하여 배출되어 제품제작에 사용된다. When the steelmaking slag is introduced into the particle sorting apparatus through the first inlet 30, the particles smaller than the mesh of the first screen 10 by the first screen 10 move to the second screen 20, Particles larger than the mesh of the first screen 10 ar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outlet 40 and used for manufacturing the product.

그리고, 상기 제 2스크린(20)으로 이동한 입자들 중 상기 제 2스크린(20)의 메쉬보다 작은 입자들은 제 1배출구(40)를 통하여 배출되어 폐기되고, 상기 제 2스크린(20)의 메쉬보다 상대적으로 큰 입자들은 제 2배출구(50)를 통하여 배출되어 제품제작에 사용된다. Particles smaller than the mesh of the second screen 20 among the particles moved to the second screen 20 are discharged and discarded through the first outlet 40, and the mesh of the second screen 20 is disposed. More relatively large particles ar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outlet 50 and used for manufacturing the product.

다음으로, 도 2에 따른 제강슬래그의 입자분별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particle sorting apparatus for steelmaking slag according to Fig. 2 will be described.

제강슬래그가 제 1투입구(30)를 통하여 입자분별장치에 투입되면, 상기 제 1스크린(10)에 의해 상기 제 1스크린(10)의 메쉬보다 작은 입자들은 제 2스크린(20)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 1스크린(10)의 메쉬보다 큰 입자들은 제 3스크린(60)으로 이동한다. When the steelmaking slag is introduced into the particle sorting apparatus through the first inlet 30, the particles smaller than the mesh of the first screen 10 by the first screen 10 move to the second screen 20, Particles larger than the mesh of the first screen 10 move to the third screen 60.

그리고, 상기 제 2스크린(20)으로 이동한 입자들 중 상기 제 2스크린(20)의 메쉬보다 작은 입자들은 제 1배출구(40)를 통하여 배출되어 폐기되고, 상기 제 2스크린(20)의 메쉬보다 상대적으로 큰 입자들은 제 3스크린(60)으로 이동한다. Particles smaller than the mesh of the second screen 20 among the particles moved to the second screen 20 ar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40 and discarded. The mesh of the second screen 20 The relatively larger particles move to the third screen 60.

상기 제 3스크린(60)으로 이동한 입자들 중 상기 제 3스크린(60)의 메쉬보다 작은 입자들은 제 3배출구(7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제품제작에 사용된다. Particles smaller than the mesh of the third screen 60 among the particles moved to the third screen 60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ird outlet 70 and used for manufacturing the product.

그리고, 상기 제 3스크린(60)으로 이동한 입자들 중 상기 제 3스크린(60)의 메쉬보다 큰 입자들은 제 4배출구(8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제품제작에 사용된다. The particles larger than the mesh of the third screen 60 among the particles moved to the third screen 60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ourth outlet 80 and used for manufacturing the product.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 but is capable of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self-evident.

2: 몸체부 10: 제 1스크린
20: 제 2스크린 30: 제 1투입구
40: 제 1배출구 50: 제 2배출구
60: 제 3스크린 70: 제 3배출구
80: 제 4배출구
2: body part 10: first screen
20: second screen 30: first inlet
40: first outlet 50: second outlet
60: third screen 70: third outlet
80: Fourth outlet

Claims (5)

일정한 메쉬를 가지는 원통형상의 회전하는 망상형상의 제 1스크린;
상기 제 1스크린에 대해 상대적으로 메쉬가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 1스크린이 내부에 구비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망상형상의 제 2스크린;
상기 제 1스크린의 일측으로 제강슬래그가 투입되는 제 1투입구;
상기 제 2스크린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 2스크린의 메쉬를 통과하는 제강슬래그를 수용하는 제 1배출구; 그리고,
상기 제 2스크린의 타측으로 제강슬래그가 안내되는 제 2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강슬래그의 입자분별장치.
A first screen of a cylindrical rotating netlike shape having a constant mesh;
A mesh-shaped second screen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 in mesh with respect to the first screen and rotatable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first screen is provided therein;
A first inlet through which the steelmaking slag is introduced into one side of the first screen;
A first outlet provided below the second screen for receiving a steelmaking slag passing through the mesh of the second screen; And,
And a second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steel slag is guid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creen.
일정한 메쉬를 가지는 원통형상의 회전하는 망상형상의 제 1스크린;
상기 제 1스크린에 대해 상대적으로 메쉬가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 1스크린이 내부에 구비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망상형상의 제 2스크린;
상기 제 1스크린의 일측으로 제강슬래그가 투입되는 제 1투입구;
상기 제 2스크린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 2스크린의 메쉬를 통과하는 제강슬래그를 수용하는 제 1배출구;
상기 제 2스크린에 대해 상기 제 1투입구의 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스크린의 메쉬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며, 원통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망상형상의 제 3스크린;
상기 제 3스크린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 3스크린의 메쉬를 통과하는 제강슬래그를 수용하는 제 3배출구; 그리고,
상기 제 3스크린의 타측으로 제강슬래그가 안내되는 제 4배출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강슬래그의 입자분별장치.
A first screen of a cylindrical rotating netlike shape having a constant mesh;
A mesh-shaped second screen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 in mesh with respect to the first screen and rotatable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first screen is provided therein;
A first inlet through which the steelmaking slag is introduced into one side of the first screen;
A first outlet provided below the second screen for receiving a steelmaking slag passing through the mesh of the second screen;
A third screen of a mesh-like shape extending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input port with respect to the second screen and formed to be relatively larger than the mesh of the first screen and rotatab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 third outlet provided below the third screen for receiving a steelmaking slag passing through the mesh of the third screen; And,
And a fourth outlet through which the steel slag is guided to the other side of the third screen.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스크린의 메쉬는 4 내지 6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강슬래그의 입자분별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esh of the first screen is 4 to 6 mm.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스크린의 메쉬는 0.3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강슬래그의 입자분별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mesh of the second screen is 0.3 mm.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스크린은 원통의 철판에 미세한 통공을 타공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광슬래그의 입자선별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screen is a particle sorting device of the de-glazing slag, characterized in that manufactured by drilling a fine through hole in the iron plate of the cylinder.
KR1020120110596A 2012-10-05 2012-10-05 A Convert Slag Powder Classfication Apparatus KR1014669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596A KR101466970B1 (en) 2012-10-05 2012-10-05 A Convert Slag Powder Classfic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596A KR101466970B1 (en) 2012-10-05 2012-10-05 A Convert Slag Powder Classfica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000A true KR20140045000A (en) 2014-04-16
KR101466970B1 KR101466970B1 (en) 2014-12-15

Family

ID=50652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596A KR101466970B1 (en) 2012-10-05 2012-10-05 A Convert Slag Powder Classfica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97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4349A (en) * 2017-03-29 2017-07-14 魏亦南 A kind of soya bean processing multistage sorter
CN111112218A (en) * 2019-12-27 2020-05-08 界首市天鸿新材料股份有限公司 Raw material particle cleaning device for preparing PP/PE/PP three-layer co-extrusion diaphrag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838Y1 (en) * 2002-12-24 2003-04-26 신잔토개발 주식회사 two drum type sorting device
KR100870493B1 (en) * 2007-05-28 2008-11-25 춘천교육대학교산학협력단 Multi separation apparatus of grader object
KR101066239B1 (en) * 2010-12-30 2011-09-21 롯데건설 주식회사 Multiple trommel screen for sorting of municipal waste
KR101146954B1 (en) * 2011-10-17 2012-05-22 놀뫼환경(주) The double screen tromm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4349A (en) * 2017-03-29 2017-07-14 魏亦南 A kind of soya bean processing multistage sorter
CN111112218A (en) * 2019-12-27 2020-05-08 界首市天鸿新材料股份有限公司 Raw material particle cleaning device for preparing PP/PE/PP three-layer co-extrusion diaphrag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970B1 (en) 2014-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06930B (en) High-speed rail multi-metal zinc ore smelting furnace
WO2009101070A3 (en) Method and device for extracting non-magnetic ores
CN103575625B (en) Method for measuring content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magnetic iron in steel slag
KR101466970B1 (en) A Convert Slag Powder Classfication Apparatus
CN106423860A (en) Mining grinding coarse powder screening mechanism
CN203235536U (en) Integrated iron ore production device
CN105107581B (en) A kind of ore mill
CN205165196U (en) Iron powder is choice device in grades
CN102218238A (en) Blast furnace slag filter
CN103015480A (en) Method for simultaneously collecting strong magnetic metal powder, weak magnetic metal powder and non-magnetic metal powder for river sand mining
CN202290296U (en) Production device for smelting steel tailings miropowder
CN107470016B (en) A method of chemical industry iron powder is prepared by raw material of zinc kiln slag
CN207325062U (en) A kind of barley cleaning plant
CN105170303A (en) Gravity separation device
CN208288178U (en) For absorbing the concentration equipment of metal iron block in a kind of feed of crusher
CN102179303A (en) Magnetic agglomeration magnetic separation separation frame structure
CN204841855U (en) Old and useless circuit board magnetic separation device
CN207308087U (en) A kind of device that chemical industry iron powder is prepared using zinc kiln slag as raw material
Andrade et al. Impact of key parameters on the iron ore pellets roller screening performance
CN103658009A (en) Carbon black screening device
CA3135345C (en) Method for processing electronic and electric device component scraps
CN205217117U (en) Glass residue iron remover equipment
CN102921546A (en) Rolling oil recycling device and rolling oil recycling method
CN205074080U (en) Gravity separation device
CN204075227U (en) A kind of nickel powder manufacturing insta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