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2972A -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drive technology to minimize cross-talk and motion blur of 3d display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drive technology to minimize cross-talk and motion blur of 3d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2972A
KR20140042972A KR1020120109088A KR20120109088A KR20140042972A KR 20140042972 A KR20140042972 A KR 20140042972A KR 1020120109088 A KR1020120109088 A KR 1020120109088A KR 20120109088 A KR20120109088 A KR 20120109088A KR 20140042972 A KR20140042972 A KR 20140042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x
brightness
video signal
right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0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01150B1 (en
Inventor
이승우
조영민
김종만
김종빈
김광준
김승렬
김민구
이승혁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09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150B1/en
Publication of KR20140042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9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1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drive modulatio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inimizing the cross-talk and the motion blur of a 3D display. An image signal is successively inputted to a left eye frame, a black frame, a right eye frame, a block frame (L-B-R-B). It is overdriven by a 3D first lookup table which stores an overdrive value which reduces the cross-talk with regard to a stopped image. It is overdriven by a 3D second lookup table which stores an overdrive value which reduces the motion blur with regard to a moving image. Thereby, the motion blur phenomenon of a 2D image can be reduced, and the cross-talk of the 3D image and the motion blur together can be reduced. [Reference numerals] (310) Frame memory; (320) Overdrive control unit; (330) Image output unit; (AA) Input image signal; (BB) 3D first lookup table; (CC) 3D second lookup table; (DD,EE) Output image signal(3D mode)

Description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서의 크로스톡과 모션블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과구동 변조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drive technology to minimize cross-talk and motion blur of 3D display}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drive modul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crosstalk and motion blur in a thre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LCD) 등을 구동하는 장치의 과구동 변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서 발생하는 크로스톡과 모션블러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적용하는 과구동(overdrive) 변조에 있어서, 과구동 변조의 보정값을 사용자가 직접 찾을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overmodulation of an apparatus for dri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verdrive modulation method for reducing influence of crosstalk and motion blur generated in a three- ) Modulatio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nabling a user to directly find a correction value of overdrive modulation.

현재, 영상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LCD)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자체의 응답 특성이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CRT나 OLED는 수㎲의 빠른 응답 특성을 갖는 반면, 액정은 수십㎳의 느린 응답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의 느린 응답 특성은 모션블러(motion blur) 등을 야기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At present,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is widely used as a video display device, but the liquid crystal display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response characteristic of the liquid crystal itself is slow. In general, a CRT or OLED has a fast response characteristic of several microseconds, while a liquid crystal has a slow response characteristic of several tens of milliseconds. Since the slow response characteristic of such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uses motion blur, various studies for improving the motion blur have been made.

상기한 액정 표시 장치의 응답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서, 과구동 변조방식(Overdrive technology)이 있다. 과구동 변조방식은 휘도값이 시간에 따라 변할 때, 시간에 따른 휘도 변화가 더 빨라지도록 순간적으로 강한 혹은 약한 전압을 인가하는 것, 즉, 휘도값의 변화에 대한 보정값을 적용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과구동 방식은 비용이나 전력 소모가 높다고 하는 단점이 있으나, 이를 개선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As one of the methods for improving the response characteristic of the above-describ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re is an overdrive technology. The overdriving modulation method is to apply a strong or weak voltage momentarily, that is, a correction value for a change in the luminance value, so that the luminance change over time becomes faster when the luminance value changes with time. Although there are disadvantages in that the over-driving method has high cost and high power consumption,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mprove the above.

특히, 3차원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느린 응답으로 인해 생기는 모션블러(Motion Blur) 문제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겹쳐 보이는 크로스톡(Cross-talk) 문제가 동시에 발생하게 되는데, 기존의 2차원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과구동 변조방식으로는 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어, 3차원 액정 표시 장치에 맞는 새로운 과구동 변조방식이 필요하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three-dimens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motion blur problem caused by a slow response and a cross-talk problem in which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overlap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The overmodulation modulation method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n not solve the above problem and a new overmodulation modulation method suitable for the three-dimens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needed.

한편, 동일공정으로 제조된 액정 표시 장치라고 하더라도, 액정 등 구성요소의 물리적인 특성이 서로 다를 수 있어, 과구동 변조방식을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각 액정 표시 장치마다 자신의 장치에 맞는 보정값을 추출해서 과구동 변조를 적용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각 액정 표시 장치마다 보정값을 추출하여 과구동 변조를 적용하기에는 시간과 비용의 문제가 따른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사는 각 액정 표시 장치마다 보정값을 추출하여 과구동 변조를 적용하는 대신에, 각 액정 표시 장치의 대표 보정값을 추출하여 모든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방식을 선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even in the cas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the same proces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mponents such as liquid crystal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apply the over-driving modulation metho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value should be extracted and overmodulation should be applied.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time and cost problem in applying the overdrive modulation by extracting the correction value for each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refore, the manufacturer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elects a method of extracting the representative correction value of each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pplying it to all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instead of extracting the correction value for each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pplying the overdrive modulation.

하지만 상기와 같이 대표 보정값을 적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과구동 변조의 적용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장치에 맞는 보정값이 적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모션블러나 크로스톡의 문제가 여전히 발생할 수 있게 된다.However,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o which the representative correction value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the problem of motion blur or crosstalk still occurs because the correction value suitable for the device is not applied in spite of the application of the overdrive modulation.

따라서,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모션블러 현상과 크로스톡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3차원 액정 표시 장치에 맞는 과구동 변조의 보정값을 찾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imag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otion blur phenomenon and the crosstalk phenomenon, and it is possible to find and apply the correction value of the overdrive modulation suitable for the user's own thre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구동 방법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3차원 액정 표시 장치에 맞는 과구동 변조의 보정값을 찾아 적용함으로써, 3차원 영상의 크로스톡 현상과 모션블러 현상을 모두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서의 크로스톡과 모션블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과구동 변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mprove the driving metho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isplaying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imag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hre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ver-driving modul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crosstalk and motion blur in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both a crosstalk phenomenon and a motion blur phenomenon of a 2D imag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서의 크로스톡과 모션블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과구동 변조방법은 영상신호는 좌안 프레임, 블랙 프레임, 우안 프레임, 블랙 프레임(L-B-R-B)의 순으로 입력되고, 정지된 영상에 대해서는 크로스톡을 감소시키는 과구동값이 저장된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을 사용하여 과구동하며, 움직이는 영상에 대해서는 모션블러를 감소시키는 과구동값이 저장된 3차원 제2 룩업 테이블을 사용하여 과구동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over-driving modulation method for minimizing crosstalk and motion blur in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signal is a left eye frame, a black frame, a right eye frame, a black frame (LBRB) Dimensional three-dimensional look-up table in which an over-driving value for reducing cross-talk is stored for the still image, and a three-dimensional second look-up table for storing the over-driving value for reducing the motion blur for the moving image. And performing overdrive using a look-up table.

상기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은, (1) 좌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좌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같고, 우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우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같고, 우안 영상신호와 좌안 영상신호가 다를 경우에, 우안 이전 프레임에서 좌안 현재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와 좌안 현재 프레임에서 우안 현재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에 사용하여 과구동하거나, (2) 좌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좌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다르고, 우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우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다르고, 우안 영상신호와 좌안 영상신호가 다를 경우에, 우안 이전 프레임에서 좌안 현재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와 좌안 현재 프레임에서 우안 현재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에 사용하여 과구동하거나, (3) 좌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좌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다르고, 우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우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같고, 우안 영상신호와 좌안 영상신호가 다를 경우에, 우안 이전 프레임에서 좌안 현재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와 좌안 현재 프레임에서 우안 현재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에 사용하여 과구동하거나, (4) 좌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좌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같고, 우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우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다를 경우, 좌안 이전 프레임에서 우안 이전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와 좌안 현재 프레임에서 우안 현재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에 사용하여 과구동한다.The three-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includes: (1) a video signal of a frame before the left eye and a video signal of a frame of the left eye are the same, a video signal of a frame before the right eye is the same as a video signal of the right eye current frame, When the signal is different, it is used when switching from the frame before the right eye to the frame of the left eye and switching from the left eye current frame to the right eye current frame, or (2) When the video signal of the previous frame in the right eye and the video signal of the current frame in the right eye are different and the right eye image signal and the left eye image signa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switching from the previous frame in the right eye to the current frame in the left eye, Frame, or (3) the image signal of the frame before the left eye and the frame image of the left eye present frame When the arbitrary video signal is different and the video signal of the previous frame in the right eye and the video signal of the current frame in the right eye are the same and the right eye image signal and the left eye image signa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4) When the video signal of the frame before the left eye and the video signal of the frame of the left eye are the same, and the video signal of the frame before the right eye differs from that of the frame of the right eye, When switching from the previous frame to the previous frame in the right eye and from the current frame in the left eye to the current frame in the right eye,

상기 3차원 제2 룩업 테이블은, (1) 좌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좌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다르고, 우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우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다르며, 좌안 영상신호와 우안 영상신호가 같을 경우, 우안 이전 프레임에서 좌안 현재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에 사용하여 과구동하거나, (2) 좌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좌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다르고, 우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우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같고, 좌안 현재 프레임 영상신호와 우안 현재 프레임 영상신호가 같을 경우, 좌안 이전 프레임에서 우안 이전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에 사용하여 과구동한다.The three-dimensional second look-up table includes: (1) a video signal of a frame before a left eye and a video signal of a frame of a left eye different from a video signal of a left eye current frame; (2) the video signal of the previous frame is different from the video signal of the current frame of the left eye, and the video signal of the previous frame of the right eye and the current eye signal of the right ey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the video signal of the frame is the same, and the left and right eye current frame image signals are the same, the current image is shifted from the previous frame to the previous frame.

한편, 좌안 이전 프레임과 좌안 현재 프레임, 우안 이전 프레임, 그리고 우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 신호가 모두 같을 경우에는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를 그대로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ideo signals of the previous frame of the left eye, the current frame of the left eye, the previous frame of the right eye, and the current frame of the right eye are all the same, the video signal of the current frame is output as it is.

상기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의 과구동값은,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 각각에 크기와 모양, 그리고 위치가 동일한 2개의 패턴 L-BOX와 R-BOX를 형성하고, 상기 패턴 L-BOX와 패턴 R-BOX 각각의 일부분에 크기와 모양, 그리고 위치가 동일한 과구동 조절영역 OD1와 OD2를 설정하여 표시하며,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1 혹은 OD2의 밝기를 상기 패턴 L-BOX, R-BOX, 또는 배경화면의 밝기와 비교하면서 조절하는 방법에 의하여 추출된다.The overdrive value of the three-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is formed by forming two patterns L-BOX and R-BOX having the same size, shape, and position in each of the left eye image frame and the right eye image frame, BOX, R-BOX, or R-BOX, the brightness of the overdrive control region OD1 or OD2 is set to the pattern L-BOX, R-BOX, It is extracted by adjusting the brightness compared with the background brightness.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룩업 테이블의 과구동값은, (1) 좌안 영상에는 상기 패턴 L-BOX를 표시하고, 우안 영상에는 상기 패턴 R-BOX을 표시하고, 상기 패턴 L-BOX와 R-BOX 내부 일측에 크기와 모양, 위치가 동일한 과구동 조절영역 OD1과 OD2를 각각 형성하여 표시하는 제1 단계; (2)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1과 배경화면의 그레이 레벨은 G1으로 설정하고, 상기 패턴 L-BOX와 R-BOX, 그리고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2의 그레이 레벨은 G2로 설정하는 제2 단계; (3) 셔터 안경의 우안을 차단하고,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1의 밝기가 배경화면의 밝기와 같아지도록 OD1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3 단계; (4)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1의 밝기와 배경화면의 밝기를 비교하여, 양자가 같을 경우, 이때의 과구동 조절영역 OD1의 그레이 레벨을, 그레이 레벨 G2에서 G1으로 전환할 때의 제1 과구동값(ODG2->G1)으로 결정하는 제4 단계; (5) 셔터 안경의 좌안을 차단하고,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2의 밝기가 패턴 R-BOX의 밝기와 같아지도록 OD2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5 단계; (6)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2의 밝기와 상기 패턴 R-BOX의 밝기를 비교하여, 양자가 같을 경우, 이때의 OD2의 그레이 레벨을, 그레이 레벨 G1에서 G2로 전환할 때의 제2 과구동값(ODG1->G2)으로 결정하는 제6 단계; (7) 셔터 안경의 우안을 차단하고,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1의 밝기와 배경화면의 밝기를 비교하여, 양자가 같을 경우에는 상기 제1 과구동값(ODG2 -> G1) 및 제2 과구동값(ODG1->G2)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다를 경우에는 상기 영역 OD1의 그레이 레벨을 제1 과구동값(ODG2->G1)으로, 상기 영역 OD2의 그레이 레벨을 제2 과구동값(ODG1 -> G2)으로 유지시킨 후,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6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제7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서 추출된다.Specifically, the over-driving value of the first look-up table is (1) the pattern L-BOX is displayed on the left eye image, the pattern R-BOX is displayed on the right eye image, A first step of forming and displaying the hyperdrive control areas OD1 and OD2 having the same size, shape and position, respectively; (2) a second step of setting the hyper-driving area OD1 and the gray level of the background screen to G1, and setting the gray level of the pattern L-BOX and R-BOX and the hyper-driving area OD2 to G2; (3) shutting off the right eye of the shutter glasses and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OD1 so that the brightness of the over-driving area OD1 becomes equal to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screen; (4) When the brightness of the hyper-driving area OD1 is compared with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screen, and when they are the same, the gray level of the hyper-driving area OD1 is changed from the gray level G2 to G1, (OD G2 - > G1 ); (5) closing the left eye of the shutter glasses and adjusting the brightness of OD2 so that the brightness of the over-driving area OD2 becomes equal to the brightness of the pattern R-BOX; (6) The brightness of the overdrive control area OD2 is compared with the brightness of the pattern R-BOX. If the brightness of the overdrive control area OD2 is the same, the second over-driving value (OD G1 -> G2 ); (7) Shutting off the right eye of the shutter glasses and comparing the brightness of the overdrive adjustment region OD1 with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screen. If they are the same, the first overdrive value OD G2 -> Gl and the second overdrive value (OD G1-> G2) stored in the memory, a first overdrive the gray level of the area OD1 donggap if different (OD G2-> G1), the second overdrive donggap the gray level of the region OD2 (OD G1 - > G2 ), and repeating the sixth step in the third step; . ≪ / RTI >

상기 3차원 제2 룩업 테이블의 과구동값은,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 각각에 크기와 모양이 동일한 4개의 패턴 L1-BOX와 L2-BOX, R1-BOX와 R2-BOX를 어느 한 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스크롤 되도록 표시하되, 상기 패턴 L1-BOX는 R1-BOX와, 상기 패턴 L2-BOX는 R2-BOX와 짝을 이루어 서로 동일한 궤적을 따라 스크롤 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4개의 패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패턴의 스크롤 반대방향 일측에 과구동 조절영역 OD를 설정하여 표시하며,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의 밝기를 배경화면의 밝기와 비교하면서 OD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의해 추출된다.The overdrive value of the three-dimensional second look-up table is obtained by four patterns L1-BOX, L2-BOX, R1-BOX and R2-BOX having the same size and shape in each of the left eye image frame and right eye image frame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pattern L2-BOX is paired with the R2-BOX so as to scroll along the same locus, and one of the four patterns is displayed so that the pattern L1- The overdrive control area OD is set and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scroll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croll, and the brightness of the OD is adjusted by comparing the brightness of the overdrive control area OD with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screen.

한편, 상기 스크롤 방향과 평행한 상기 영역 OD의 길이는 상기 스크롤 속도에 비례하도록 설정한다.On the other hand, the length of the area OD parallel to the scroll direction is set to be proportional to the scroll speed.

상기 3차원 제2 룩업 테이블의 과구동값을 구하기 위한 실시예로, 상기 4개의 패턴은 하측 방향으로 스크롤 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L1-BOX의 상부에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를 설정하여 표시한다.In order to obtain the over-driving value of the three-dimensional second look-up table, the four patterns are displayed so as to scroll downward, and the over-driving area OD is set on the upper part of the L1-BOX.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룩업 테이블의 과구동값은, (1) 좌안 영상에는 상기 패턴 L1-BOX 및 L2-BOX와 상기 패턴 L1-BOX 상부에 과구동 조절영역 OD를 표시하고, 우안 영상에는 상기 패턴 R1-BOX와 R2-BOX를 표시하며, 상기 패턴 L1-BOX, L2-BOX, R1-BOX, R2-BOX와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를 하부 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스크롤 되도록 표시하는 제1 단계; (2) 상기 패턴 L1-BOX, L2-BOX, R1-BOX, R2-BOX의 그레이 레벨은 G2로 설정하고,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와 배경화면의 그레이 레벨은 G1으로 설정하는 제2 단계; (3)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의 밝기를 배경화면(G1)의 밝기와 일치하도록 조절하는 제3 단계; (4) 상기 조절된 과구동 조절영역 OD의 밝기와 배경화면의 밝기를 비교하여, 양자가 같을 경우, 이때의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의 그레이 레벨을, 그레이 레벨 G2에서 G1으로 전환할 때의 과구동값(ODG2->G1)으로 결정하여 상기 과구동값(ODG2->G1)을 메모리에 저장하며, 다를 경우에는 상기 제3 단계로 되돌아가서 반복 수행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서 추출된다.Specifically, the over-driving values of the second look-up table are as follows: (1) the overdrive control region OD is displayed on the left-eye image on the patterns L1-BOX and L2-BOX and on the pattern L1- BOX, R2-BOX, R2-BOX, R1-BOX, R2-BOX and the overdrive control region OD are scrolled downward at the same speed; (2) setting a gray level of the patterns L1-BOX, L2-BOX, R1-BOX, and R2-BOX to G2, setting the overdrive control area OD and the gray level of the background screen to G1; (3)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hyper-driving area OD to match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screen G1; (4) When the brightness of the adjusted overdrive control region OD is compared with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screen, and when both are equal, the gray level of the overdrive control region OD at that time is changed from gray level G2 to G1 (OD G2 -> G 1 ) and storing the overdrive value (OD G2 - > G 1 ) in the memory, and if it is different, returning to the third step and repeating the fourth step .

한편,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실행하는 3차원 액정 표시 장치는, 입력된 3차원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 상기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 및 상기 3차원 제2 룩업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신호와 현재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상관 관계에 따라, 상기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 및 상기 3차원 제2 룩업 테이블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영상신호를 과구동하여 출력하는 과구동 제어부; 상기 과구동 제어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3차원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three-dimens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performing the driving method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memory for storing input three-dimensional video signals on a frame basis; Dimensional lookup table and the three-dimensional second lookup table, wherein the three-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and the three-dimensional second lookup table are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ideo signal stored in the frame memory and the currently input video signal, An over-driving control unit for over-driving and outputting a video signal with reference to any one of the second look-up tables; And an image output unit for receiving a video signal from the overriding control unit and output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서의 크로스톡과 모션블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과구동 변조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3차원 영상표시 장치에 맞는 크로스톡과 모션블러에 대한 보정값을 추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3차원 영상의 크로스톡과 모션블러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액정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품질을 높일 수 있다.An over-driving modul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crosstalk and motion blur in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crosstalk and a motion blur So that crosstalk and motion blur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can be reduced, and the image display qualit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n be enhanc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이 적용되는 영상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서 사용되는 영상 표시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
도 3의 (a),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을 찾기 위한 프로그램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의 (a),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을 찾기 위한 프로그램에서 좌안 및 우안을 통해 보이는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을 추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의 보정값을 찾기 위한 단계 및 보정 전후의 영상을 나타내는 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출된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의 예시.
도 8의 (a),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제2 룩업 테이블을 찾기 위한 프로그램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8의 패턴을 3D 모드에서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시하였을 때 나타나는 화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3차원 제2 룩업 테이블을 추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출된 3차원 제2 룩업 테이블의 예시.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display system to which a method of driving a three-dimens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imings of image display used in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 and 3 (b) are diagrams showing a program screen for finding a three-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 and 4 (b) are diagrams showing regions through the left eye and right eye in a program for finding a three-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xtracting a three-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to 6D are tables for searching for correction values of a three-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and images before and after cor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illustration of a three 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extracted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 and 8 (b) are diagrams showing a program screen for finding a three-dimensional second lookup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the pattern of FIG. 8 in a 3D mode when glasses are not wo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xtracting a three-dimensional second lookup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illustration of a three-dimensional second look-up table extract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hree-dimens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is intended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e limited only by the terms of the appended claim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영상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First, FIG. 1 schematically shows a configuration of an image display system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3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와 3차원 표시 안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3차원 영상을 셔터 글라스 방식으로 표시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액정 표시 장치와 3차원 표시 안경은 서로 동기화된다.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ituted by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image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glass. That is, the three-dimensional image is displayed in a shutter glass manner,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and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glasses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다음으로, 도 2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에서 3차원 영상 표시의 타이밍도를 나타내었다. Next, FIG. 2 shows a timing chart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in the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좌안 영상(Left image)과 우안 영상(Right image)의 프레임을 액정 패널에 번갈아서 표시하고, 이에 동기해서 3차원 표시 안경의 셔터가 열리고 닫힘으로써, 사용자는 좌안 안경으로는 좌안 영상의 프레임만을 볼 수 있고, 우안 안경으로는 우안 영상의 프레임만을 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다른 영상이 보임으로써, 사용자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융합된 3차원 영상을 인식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lternately displays the frames of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on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in synchronism therewith, the shutter of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glasses is opened and closed, The user can see only the frame of the left eye image with the left eyeglasses, and only the frame of the right eye image with the right eye glasses. As such, different images are displayed on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three-dimensional image in which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fused.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확실히 분리하기 위해, 프레임마다 블랙 데이터(black data)를 삽입하는 소위 블랙 데이터 삽입(BFI: Black Frame Insertion) 구동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BFI 구동을 함으로써, 액정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은 좌안 프레임, 블랙 프레임, 우안 프레임, 블랙 프레임(L-B-R-B)의 순서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좌안 프레임을 'L' 프레임, 우안 프레임을 'R' 프레임, 블랙 프레임을 'B' 프레임이라고 한다.2,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called black data insertion (BFI: Black Frame Insertion) driving method in which black data is inserted for each frame in order to reliably separate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 By performing the BFI driving in this way, the image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panel is composed of the left eye frame, the black frame, the right eye frame, and the black frame (L-B-R-B) in this order. Hereinafter, the left eye frame is referred to as an 'L' frame, the right eye frame as an 'R' frame, and the black frame as a 'B' frame.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서의 크로스톡과 모션블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과구동 변조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Next, an over-driving modul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crosstalk and motion blur in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1. FIG.

보통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 과구동 변조를 적용할 때에는 보정값을 사용하게 되며, 이들 보정값이 모여있는 테이블을 '룩업 테이블'이라고 한다. Normally, when overdriving is applied to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 correction value is used. A table in which these correction values are gathered is called a " lookup table ".

이하에서는, 상기 룩업 테이블 중에서, 크로스톡 현상을 줄이기 위한 보정값을 저장한 테이블은 '3차원 제 1 룩업 테이블'이라고 하고, 모션블러 현상을 줄이기 위한 보정값을 저장한 테이블은 '3차원 제 2 룩업 테이블'이라고 한다.Hereinafter, a table storing a correction value for reducing the crosstalk phenomenon is referred to as a 'three-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and a table storing a correction value for reducing a motion blur phenomenon is referred to as a ' Lookup table '.

상기 3차원 제 1 룩업 테이블은 공간적으로 정지된 영상에 대하여 과구동 변조시 적용하는 테이블로, 구체적으로 (1) 좌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좌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같고, 우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우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같고, 우안 영상신호와 좌안 영상신호가 다를 경우에, 우안 이전 프레임에서 좌안 현재 프레임으로 전환할 경우와, 좌안 현재 프레임에서 우안 현재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에 사용하여 과구동하거나, (2) 좌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좌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다르고, 우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우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다르고, 우안 영상신호와 좌안 영상신호가 다를 경우에, 우안 이전 프레임에서 좌안 현재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와 좌안 현재 프레임에서 우안 현재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 사용하여 과구동하거나, (3) 좌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좌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다르고, 우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우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같고, 우안 영상신호와 좌안 영상신호가 다를 경우에, 우안 이전 프레임에서 좌안 현재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와 좌안 현재 프레임에서 우안 현재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 사용하여 과구동하거나, (4) 좌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좌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같고, 우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우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다를 경우, 좌안 이전 프레임에서 우안 이전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와 좌안 현재 프레임에서 우안 현재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에 사용하여 과구동하게 된다.Specifically, (1) the video signal of the frame before the left eye and the video signal of the frame of the left eye are the same, and the video of the frame before the right eye is the same Eye signal and the left eye image signa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the signal of the current frame is the same as that of the right eye image and the left eye image signal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left eye image, (2) if the video signal of the previous frame of the left eye differs from the video signal of the current frame of the left eye, the video signal of the previous frame of the right eye differs from the video signal of the current frame of the right eye, When switching from the previous frame in the right eye to the current frame in the left eye and the current frame in the left eye, (3) the video signal of the previous frame of the left eye and the video signal of the current frame of the left eye are different, and the video signal of the previous frame of the right eye and the video signal of the current frame of the right eye are the same, (4) the image signal of the frame before the left eye and the image signal of the frame of the left eye of the current fram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the video signal of the previous frame in the right eye and the video signal of the current frame in the right ey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used when switching from the previous frame to the right eye and switching from the current frame to the right eye to the current frame.

또한, 상기 3차원 제2 룩업 테이블은 공간적으로 움직이는 영상에 대하여 과구동 변조시 적용하는 테이블로, 구체적으로 (1) 좌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좌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다르고, 우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우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다르며, 좌안 영상신호와 우안 영상신호가 같을 경우, 우안 이전 프레임에서 좌안 현재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에 사용하여 과구동하거나, (2) 좌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좌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다르고, 우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우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같고, 좌안 현재 프레임 영상신호와 우안 현재 프레임 영상신호가 같을 경우, 좌안 이전 프레임에서 우안 이전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에 사용하여 과구동하게 된다.The three-dimensional second look-up table is a table to be used for over-driving the spatially moving image. Specifically, (1) the video signal of the previous frame is different from the video signal of the current frame of the left eye, If the video signal and the video signal of the right eye current frame are different and when the left eye image signal and the right eye image signal are the same, it is used to switch from the previous frame to the left eye and the current frame to the left eye. If the video signal of the left eye current frame is different and the video signal of the previous frame of the right eye is the same as the video signal of the right eye current frame and the left eye current frame video signal and the right eye current frame video signal are the same, And is used for overdrive.

그 외에 좌안 이전 프레임과 좌안 현재 프레임, 우안 이전 프레임, 그리고 우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 신호가 모두 같을 경우에는 상기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 및 제2 룩업 테이블을 적용하지 않고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를 그대로 출력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video signals of the previous frame of the left eye, the current frame of the left eye, the previous frame of the right eye, and the current frame of the right eye are all the same, the video signal of the current frame is directly output without applying the three-dimensional first look- .

따라서 본 발명은, 3차원 영상에서 발생하는 크로스톡 및 모션블러를 감소시키기 위해, 과구동시 적용되는 보정값이 저장되어 있는 상기 '3차원 제 1 룩업 테이블' 및 '3차원 제 2 룩업 테이블'을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사용자가 직접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crosstalk and motion blur that occur in a three-dimensional imag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ree-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and a three-dimensional second lookup table in which correction values applied at the same time are stored We propose a method that can be directly extracted by the user of the 3D image display device.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서 사용자가 크로스톡을 최소화할 수 있는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을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3 to FIG. 8, a method of extracting a three-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capable of minimizing crosstalk by a user in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3차원 제 1 룩업 테이블을 찾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화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gram screen required for searching for the 3D first lookup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좌안 및 우안 프레임 화면에 표시되는 패턴에 대한 도면으로,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 각각에 크기와 모양, 그리고 위치가 동일한 2개의 패턴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상기 2개의 패턴을 사각형상으로 설정하였으나, 다른 임의의 형상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b)는 상기 도 3(a)의 좌안 및 우안 영상 프레임에 표시되는 각 패턴의 영역별 역할에 대한 설명이다.FIG. 3 (a) is a view of a pattern displayed on the left and right eye frame images, in which two patterns having the same size, shape, and position are formed in each of the left eye image frame and the right eye image fram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wo patterns are set to have a rectangular shape for the sake of convenience, but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m to another arbitrary shape. Fig. 3 (b) is a description of the role of each pattern displayed in the left eye and right eye image frames in Fig. 3 (a).

상기 좌안 영상 프레임에 있는 패턴은 L-BOX라 하고, 우안 영상 프레임에 있는 패턴은 R-BOX라고 한다. 또한, 상기 패턴 L-BOX와 R-BOX 각각의 일부분에는 크기, 모양, 위치가 동일한 과구동 조절영역 OD1과 OD2를 설정한다.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1과 OD2는 사용자가 직접 영상 신호의 그레일 레벨을 조절하는 부분이며, 그 외에 배경화면 및 L-BOX, R-BOX의 그레이 레벨은 고정된다.The pattern in the left eye image frame is called L-BOX, and the pattern in the right eye image frame is called R-BOX. Also, the hyper-driving regions OD1 and OD2 having the same size, shape, and position are set in a portion of each of the patterns L-BOX and R-BOX. The overdrive control areas OD1 and OD2 are parts where the user directly adjusts the gray level of the video signal. In addition, the gray level of the background screen and L-BOX and R-BOX are fixed.

참고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그레이 레벨'은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해당 패턴, 영역 또는 배경화면의 밝기 정보에 대한 실제 값을 의미하고, '밝기'는 입력된 영상신호에 포함되는 해당 패턴, 영역 또는 배경화면의 상기 그레이 레벨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된 후, 디스플레이 상에서 관찰되는 해당 패턴, 영역 또는 배경화면의 밝기의 정도를 의미한다. 즉, 이하에서 사용되는 '그레이 레벨을 조절하는 것'은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해당 패턴, 영역 또는 배경화면의 실제 밝기의 정보값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하고, '밝기를 비교하는 것'은 입력되는 그레이 레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해당 패턴, 영역 또는 배경화면의 밝기의 정도를 사람의 눈이나 장치를 통해 비교한다는 것을 의미한다.For reference, 'gray leve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n actual value of brightness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pattern, area or background screen included in a video signal, and 'brightness' means a corresponding pattern included in the inputted video signal, Means the degree of brightness of the corresponding pattern, area or background screen observed on the display after the gray level of the area or background screen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That is, 'to adjust the gray level' used below means to change the information value of the actual brightness of the corresponding pattern, area or background screen included in the video signal, and 'comparing brightness' Means that the degree of brightness of a corresponding pattern, area, or background screen displayed through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gray level is compared through a human eye or a device.

상기와 같이 좌, 우 영상 프레임 각각에 2개의 패턴을 설정하게 되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안을 차단했을 경우에는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1과 패턴 L-BOX가 좌안 영상 프레임에 표시되고, 좌안을 차단했을 경우에는 과구동 조절영역 OD2와 패턴 R-BOX가 우안 영상 프레임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상기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의 과구동값은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1와 OD2의 밝기를 상기 패턴 L-BOX, R-BOX, 또는 배경화면(Background)의 밝기와 비교하여 두 밝기의 차이가 나지 않도록 OD1 혹은 OD2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의해서 추출할 수 있다.When two patterns are set for each of the left and right image frames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4, when the right eye is blocked, the hyper-driving area OD1 and the pattern L-BOX are displayed in the left eye image frame , And if the left eye is blocked, the overdrive control area OD2 and the pattern R-BOX are displayed in the right eye image frame. Accordingly, the overdrive value of the three-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is obtained by comparing the brightness of the overdrive adjustment areas OD1 and OD2 with the brightness of the pattern L-BOX, R-BOX, or background, Can be extracted by adjusting the brightness of OD1 or OD2 so as not to occur.

구체적으로, 상기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을 추출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상기 3차원 제 1 룩업 테이블을 추출하는 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내었다.More specifically, a method for extracting the three-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xtracting the three-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먼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3D 모드에서, 좌안 및 우안 영상 프레임에 크기와 모양, 위치가 동일한 패턴 L-BOX와 R-BOX를 형성하고, 상기 패턴 L-BOX와 R-BOX 내부 일측에 크기와 모양, 위치가 동일한 과구동 조절영역 OD1과 OD2를 각각 형성하여 표시한다(S101).First, as described above, in the 3D mode of the 3D image display apparatus, a pattern L-BOX and a R-BOX having the same size, shape, and position ar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eye image frames, The overdrive control areas OD1 and OD2 having the same size, shape, and position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X (S101).

다음으로, 상기 배경화면과 과구동 조절영역 OD1의 그레이 레벨은 G1으로 설정하고, 상기 OD2와 L-BOX, R-BOX의 그레이 레벨은 임의의 G2로 설정한다(S102).Next, the gray level of the background screen and the hyper-driving control area OD1 is set to G1, and the gray level of the OD2, L-BOX and R-BOX is set to an arbitrary G2 (S102).

셔터 안경의 우안을 차단하고,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1의 밝기가 배경화면의 밝기와 일치되도록 OD1의 밝기를 조절한다(S103).The right eye of the shutter glasses is blocked, and the brightness of the OD1 is adjusted so that the brightness of the over-driving area OD1 coincides with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screen (S103).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1의 밝기와 배경화면의 밝기를 비교하여, 양자가 같을 경우, 이때의 과구동 조절영역 OD1의 그레이 레벨을, 그레이 레벨 G2에서 G1으로 전환할 때의 제1 과구동값(ODG2->G1)으로 결정한다(S104).The brightness of the hyper-driving area OD1 and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screen are compared. If they are the same, the first over-driving value (OD) at the time of switching the gray level of the over driving area OD1 from gray level G2 to G1 G2- > G1 ) (S104).

셔터 안경의 좌안을 차단하고,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2의 밝기가 R-BOX의 밝기와 일치되도록 OD2의 밝기를 조절한다(S105).The left eye of the shutter glasses is shut off and the brightness of the OD2 is adjusted so that the brightness of the hyper-driving area OD2 coincides with the brightness of the R-BOX (S105).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2의 밝기와 R-BOX의 밝기를 비교하여, 양자가 같을 경우, 이때의 과구동 조절영역 OD2의 그레이 레벨을, 그레이 레벨 G1에서 G2으로 전환할 때의 제2 과구동값(ODG1->G2)으로 결정한다(S106).The brightness of the overdrive adjustment region OD2 is compared with the brightness of the R-BOX. If they are the same, the second override value at the time of switching the gray level of the overdrive adjustment region OD2 from the gray level G1 to G2 OD G1- > G2 ) (S106).

다시, 셔터 안경의 우안을 차단하고,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1의 밝기와 배경화면의 밝기를 비교하여, 양자가 같을 경우에는 상기 제1 과구동값(ODG2 -> G1) 및 제2 과구동값(ODG1->G2)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다를 경우에는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1의 그레이 레벨을 제1 과구동값(ODG2->G1)으로,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2의 그레이 레벨을 제2 과구동값(ODG1->G2)으로 유지시킨 후, 상기 단계 S103에서 상기 단계 S106을 반복 수행한다(S107).(OD G2 - > G1 ) and a second over-driving value (" OD ") are obtained when the right eye of the shutter glasses is blocked and the brightness of the over- OD G1-> G2 ) is stored in the memory, and if it is different, the gray level of the overdrive control region OD1 is set to the first overdrive value ODG2- > G1 , the gray level of the overdrive control region OD2 is set to the second (ODG1- & gt ; G2 ), and repeats the above-described step S106 in step S103 (S107).

상기와 같은 3차원 제 1 룩업 테이블을 추출하는 방법 S101 내지 S107은 셔터글래스를 쓴 채 상기 과정을 진행하는 것으로서, 특히 밝기를 비교하는 부분에서는 밝기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눈을 이용하여 상기 과정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bove-described three-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extraction method S101 to S107 proceeds with the above process while using a shutter glass. Particularly, a device capable of measuring brightness can be used in a part for comparing brightness, It is preferable to proceed with the above process using his or her own eyes.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의 보정값을 추출하는 단계와 이에 따른 보정 전후의 좌우 각 영상을 나타낸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extracting a correction value of the three-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left-right image before and after the correction.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을 추출하기 위한 상기 단계 S101 내지 상기 단계 S104에서는, 그레이 레벨이 G2인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2의 영향을 받아, 그레이 레벨이 G1인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1에서 크로스톡이 발생하게 되며, 이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1의 밝기를 배경화면의 밝기와 일치하도록 조절하여 제1 과구동값(ODG2 -> G1)을 추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1의 그레이 레벨을 제1 과구동값(ODG2->G1)으로 보정한 후의 좌안 영상에서는, 과구동 조절영역 OD1의 밝기가 배경화면의 밝기와 일치하게 되면서 크로스톡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As shown in FIG. 6 (a), in the above-described steps S101 to S104 for extracting the three-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the gray level is influenced by the hyper-driving region OD2 having the gray level G2, (OD G2 - > G1 )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overdrive adjustment region OD1 so as to match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screen in order to correct for the cross over of the overdrive adjustment region OD1, Respectively. Accordingly, in the left eye image after correcting the gray level of the hyper-driving region OD1 to the first hyperbaric value OD G2-> G1 , the brightness of the hyper-driving region OD1 coincides with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screen, .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을 추출하기 위한 상기 단계 S105 내지 상기 단계 S106에서는, 그레이 레벨이 제1 과구동값(ODG2->G1)으로 조절된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1의 영향을 받아, 그레이 레벨이 G2인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2에서 크로스톡이 발생하게 되며, 이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2의 그레이 레벨을 조절하여 제2 과구동값(ODG1->G2)을 추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2의 그레이 레벨을 제2 과구동값(ODG1->G2)으로 보정한 후의 우안 영상에서는, 과구동 조절영역 OD2의 밝기가 R-BOX의 밝기와 일치하게 되면서 크로스톡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6 (b), in the above-described steps S105 to S106 for extracting the three-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the gray level of the three-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is adjusted to the first hyperbaric value OD G2-> G1 , The crosstalk is generated in the hyper-driving region OD2 having the gray level G2 under the influence of the first region OD2, and the gray level of the hyper-driving region OD2 is adjusted to correct the second over- G1- > G2 ). Accordingly, in the right eye image after correcting the gray level of the hyper-driving region OD2 to the second hyperbaric value OD G1- > G2 , the brightness of the hyper-driving region OD2 coincides with the brightness of the R-BOX, So that the tok does not occur.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을 추출하기 위한 상기 단계 S107에서는, 그레이 레벨이 제2 과구동값(ODG1->G2)으로 조절된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2의 영향을 받아, 그레이 레벨이 제1 과구동값(ODG2->G1)으로 조절된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1에서 크로스톡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크로스톡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단계 S103 내지 상기 단계 S106을 반복 수행하면서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1와 OD2의 그레이 레벨을 다시 조절하여 제1 과구동값(ODG2 -> G1) 및 제2 과구동값(ODG1->G2)을 다시 추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좌안 영상에서는 조절된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1의 밝기가 바탕화면의 밝기와 일치하게 되면서 크로스톡이 최종적으로 발생하지 않게 된다.6 (c), in step S107 for extracting the three-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the overdrive control area OD2 whose gray level is adjusted to the second overdrive value (ODG1- > G2 ) The crosstalk may occur in the hyper-driving region OD1 where the gray level is adjusted to the first hyper actuation value (OD G2 - > G1 ). When the crosstalk occurs in this way, The first overdrive value OD G2 -> G1 and the second overdrive value OD G1 -> G2 are again extracted by repeating the step S106 while adjusting the gray levels of the overdrive control regions OD1 and OD2 again. Accordingly, in the left eye image, the brightness of the controlled hyperdrive adjustment area OD1 coincides with the brightness of the desktop, resulting in no crosstalk.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S101 내지 상기 단계 S107을 통해 최종적으로 상기 제1 과구동값(ODG2 -> G1)과 상기 제2 과구동값(ODG1->G2)이 추출되면, 그레이 레벨이 상기 제1 과구동값(ODG2->G1)으로 조절된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1에 의해서 그레이 레벨이 상기 제2 구동값(ODG1->G2)으로 조절된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2가 더 이상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우안 영상에서는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2의 밝기가 R-BOX의 밝기와 동일하게 표시된다.As shown in FIG. 6 (d), when the first over-drive value (OD G2 -> G1 ) and the second over-drive value (OD G1- > G2 ) are finally extracted through the steps S101 to S107 , The gray level of which is adjusted to the second driving value (OD G1-> G2 ) by the hyper-driving area OD1 whose gray level is adjusted to the first hyper driver (OD G2-> G1 ) OD2 is no longer affected. Accordingly, in the right-eye image, the brightness of the hyper-driving region OD2 is displayed to be the same as the brightness of the R-BOX.

상기한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의 추출과정을 통해서 정지한 3차원 영상에서 그레이 레벨이 G2->G1 및 G1->G2로 변환할 때의 과구동값(보정값)을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의 추출과정을 전체 그레이 레벨 각각에 대해 실행하게 되면, 도 7에 일례로서 나타낸 바와 같은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을 추출할 수 있다.Through the extraction process of the three-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over-driving value (correction value) when the gray level is converted into G2-> G1 and G1-> G2 in the stopped three-dimensional image, When the extraction process is performed for each of all the gray levels, a three-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as shown as an example in FIG. 7 can be extracted.

도 7에서 DPF는 이전 프레임의 데이터이고, DCF는 현재 프레임의 데이터이다. 3차원 영상을 구동할 때에, 이전 프레임 데이터가 좌안 영상이고 현재 프레임의 데이터가 우안 영상일 경우와, 그 반대의 경우로서 이전 프레임 데이터가 우안 영상이고 현재 프레임의 데이터가 좌안 영상일 경우에,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이 적용된다. 7, D PF is the data of the previous frame, and D CF is the data of the current frame. When the previous frame data is the left eye image and the current frame data is the right eye image when driving the three-dimensional image and vice versa, when the previous frame data is the right eye image and the current frame data is the left eye image, 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is applied.

도 7을 참조하면, 이전 프레임의 좌안 영상이 32 그레이 레벨을 가지고, 현재 프레임의 우안 영상의 목표 값이 96 그레이 레벨이라면, 과구동값을 182 그레이 레벨로 보정해야 한다. 보정된 값으로 과구동하면, 현재 프레임은 96 그레이 레벨의 휘도값, 즉 목표 휘도값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7, if the left eye image of the previous frame has 32 gray levels and the target value of the right eye image of the current frame is 96 gray levels, the over driving value should be corrected to 182 gray levels. If the corrected value is overdriven, the current frame will be able to display the 96-gray level luminance value, i.e., the target luminance value.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서 사용자에 의한 모션블러 최소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a method for minimizing motion blur by a user in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먼저, 도 8에서는 상기 3차원 제 2 룩업 테이블을 찾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화면의 실시예를 나타내었다.First, FIG. 8 shows an example of a program screen required for searching the three-dimensional second lookup table.

도 8(a)는 좌안 및 우안 영상 각각에 표시되는 패턴에 대한 도면이며, 도 8(b)는 실제 패턴을 표시하는 좌안 및 우안 영상에서의 각 패턴의 영역별 역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8A is a view showing a pattern displayed on each of the left eye and right eye images, and FIG. 8B is a view explaining the role of each pattern in each of left and right eye images displaying an actual pattern.

먼저, 3차원 영상표시 장치의 3D 모드에서,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에 크기와 모양이 동일한 4개의 패턴 L1-BOX와 L2-BOX, R1-BOX와 R2-BOX를 형성하여, 좌안 영상에서는 상기 L1-BOX, L2-BOX를 표시하고, 우안 영상에서는 상기 패턴 R1-BOX와 R2-BOX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패턴 L1-BOX와 L2-BOX, R1-BOX, R2-BOX는 어느 한 방향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아래 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스크롤 되도록 표시하되, 상기 패턴 L1-BOX는 R1-BOX와, 상기 패턴 L2-BOX는 R2-BOX와 서로 짝을 이루며 동일한 궤적을 따라 스크롤 되도록 표시한다.First, in the 3D mode of the 3D image display apparatus, four patterns L1-BOX, L2-BOX, R1-BOX and R2-BOX having the same size and shape are formed in the left eye image frame and the right eye image frame, The L1-BOX and the L2-BOX are displayed, and the patterns R1-BOX and R2-BOX are displayed in the right eye image. In this case, the pattern L1-BOX and L2-BOX, R1-BOX, and R2-BOX are displayed to scroll in one direction, 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X, and the pattern L2-BOX is paired with the R2-BOX and scrolled along the same trajectory.

또한, 상기 4개의 패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패턴을 선택하여, 선택된 패턴의 스크롤 반대방향 일측에 그레이 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과구동 조절영역 OD를 설정하여 표시한다.Further, an overdrive control area OD, which can control a gray level on one side of the selected pattern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croll, is selected and displayed by selecting any one of the four patterns.

도 8은 상기 4개 패턴에 대한 실시예로서, 상기 4개 패턴 L1-BOX와 L2-BOX, R1-BOX, R2-BOX를 동일한 크기와 모양, 위치의 사각형상으로 설정하고, 이들을 영상 화면의 하부방향으로 스크롤 되도록 설정하며, 이에 따라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는 상기 패턴 L1-BOX의 상부에 사각형상으로 표시한다.FIG. 8 shows an example of the four patterns. The four patterns L1-BOX and L2-BOX, R1-BOX, and R2-BOX are set to have the same size, shape, And the overdrive adjustment region OD is displayed in a rectangular shape on the upper side of the pattern L1-BOX.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한 3차원 제2 룩업 테이블을 추출하기 위한 프로그램 화면에서 도 8의 패턴을 3D 모드에서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로 주시하였을 때 나타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FIG. 9 is a view showing a pattern of the program shown in FIG. 8 in a 3D mode when glasses are not worn in a program screen for extracting the three-dimensional second lookup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4개의 패턴이 좌우 영상 화면 하부 방향으로 스크롤 되면서 표시될 때, 상기 각 패턴의 상부 영역에서는 계속해서 모션블러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의 그레이 레벨을 계속 조절하면서, 점차적으로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에서는 모션블러 현상이 줄어들게 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에서 모션블러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3차원 제2 룩업 테이블의 과구동값은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의 그레이 레벨을 배경화면의 그레이 레벨과 비교하면서 조절하는 방법에 의하여 추출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four patterns are displayed while being scroll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image screen, motion blur phenomenon occurs continuously in the upper region of each pattern. However, while continuously controlling the gray level of the hyper-driving region OD, the motion blur progressively decreases in the hyper-driving region OD and eventually the motion blur phenomenon does not occur in the hyper-driving region OD. Accordingly, the overdrive value of the three-dimensional second lookup table can be extracted by a method of adjusting the gray level of the overdrive control region OD by comparing it with the gray level of the background screen.

한편, 상기 스크롤 방향과 평행한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의 길이 즉, 도 8(a)에서 'D'는, 상기 스크롤 속도에 비례하도록 설정하며, 그 단위는 pixel per frame(ppf)이 된다. 예를 들어 1ppf의 속도로 이동하게 될 경우, 상기 'D'는 1pixel의 길이를 갖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length of the overdrive adjustment region OD parallel to the scroll direction, that is, 'D' in FIG. 8 (a) is set to be proportional to the scroll speed, and the unit thereof is a pixel per frame (ppf). For example, when moving at a speed of 1 ppf, the 'D' has a length of 1 pixel.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를 좌안 영상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는 우안 영상에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가 좌안 영상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yperopia control region OD is displayed on the left eye image. However, the hyperopia control region OD may be displayed on the right eye image.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hyper-driving region OD is displayed on the left eye image.

다음으로, 상기한 3차원 제2 룩업 테이블의 과구동 보정값을 추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상기 3차원 제 2 룩업 테이블을 추출하는 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내었다.Next, a specific method of extracting the over-driving correction value of the three-dimensional second look-up table will be described.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xtracting the three-dimensional second lookup table.

먼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3차원 제2 룩업 테이블을 추출하기 위하여, 3차원 영상표시 장치의 좌안 영상에는 패턴 L1-BOX, L2-BOX를, 우안 영상에는 패턴 R1-BOX와 R2-BOX를 동일한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하고, 상기 패턴 L1-BOX는 R1-BOX와, 상기 패턴 L2-BOX는 R2-BOX와 서로 짝을 이루어 아래 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스크롤 되도록 표시하며, 상기 좌안 영상 프레임의 패턴 L1-BOX 상부에 과구동 조절영역 OD를 형성하여 표시한다(S201).First,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extract the three-dimensional second lookup table, the patterns L1-BOX and L2-BOX are assigned to the left eye image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the patterns R1-BOX and R2- And the pattern L2-BOX is paired with the R2-BOX so that the pattern L1-BOX is scrolled at the same spe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pattern L1-BOX of the left- -Box by forming an overactive control region OD (S201).

다음으로, 상기 패턴 L1-BOX, L2-BOX, R1-BOX, R2-BOX의 그레이 레벨은 G2로 설정하고, 과구동 조절영역 OD와 배경화면의 그레이 레벨은 G1으로 설정한다(S202).Next, the gray levels of the patterns L1-BOX, L2-BOX, R1-BOX and R2-BOX are set to G2, and the over driving area OD and the gray level of the background screen are set to G1 (S202).

다음으로,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의 밝기가 배경화면(G1)의 밝기와 일치하도록 OD의 밝기를 조절한다(S203).Next, the brightness of the OD is adjusted so that the brightness of the hyper-driving region OD coincides with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screen G1 (S203).

그런 다음, 상기 조절된 과구동 조절영역 OD의 밝기와 배경화면의 밝기를 비교하여, 양자가 같을 경우, 이때의 OD의 그레이 레벨을, 그레이 레벨 G2에서 G1으로 전환할 때의 과구동값(ODG2->G1)으로 결정하여 상기 과구동값(ODG2->G1)을 메모리에 저장하며, 다를 경우에는 상기 단계 S203로 되돌아가서 반복 수행한다(S204).Then, the brightness of the adjusted overdrive control area OD is compared with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screen. If they are the same, the overdrive value (OD G2) at the time of switching the gray level of the OD at this time from the gray level G2 to G1 - > G1 ), and stores the overdrive value (OD G2 - > G1 ) in the memory. If it is different,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203 and repeats the operation (S204).

상기와 같은 3차원 제 2 룩업 테이블을 추출하는 방법 S201 내지 S204은 셔터글래스를 쓰지 않고 상기 과정을 진행하는 것으로서, 특히 밝기를 비교하는 부분에서는 밝기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눈을 이용하여 상기 과정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bove-mentioned three-dimensional second lookup table extraction method S201 to S204 is a process for performing the above process without using a shutter glass. Particularly, a device capable of measuring brightness can be used in a part for comparing brightness, It is preferable to proceed with the above process using his or her own eyes.

상기한 3차원 제2 룩업 테이블의 추출과정을 통해서 움직이는 3차원 영상에서 그레이 레벨이 G2->G1으로 변환할 때의 과구동값(보정값)을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의 추출과정을 전체 그레이 레벨 각각에 대해 실행하게 되면, 도 11에 일례로서 나타낸 바와 같은 3차원 제2 룩업 테이블을 추출할 수 있다.(Correction value) at the time of converting the gray level from G2 to G1 in the moving three-dimensional image through the extraction process of the three-dimensional second lookup table, and extracting the gray level The three-dimensional second lookup table shown as an example in Fig. 11 can be extracted.

도 11에서 나타낸 3차원 제2 룩업 테이블은 3차원 영상을 구동할 때에 그레이 레벨이 전환되는 첫 프레임에 적용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전 프레임의 영상이 32 그레이 레벨을 가지고, 현재 프레임의 영상의 목표 휘도값이 64 그레이 레벨이라면, 과구동값을 107 그레이 레벨로 보정해야 한다. 107 값으로 과구동하면 현재 프레임은 64 그레이 레벨의 휘도값, 즉 목표 휘도값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The three-dimensional second lookup table shown in FIG. 11 is applied to the first frame in which the gray level is switched when the three-dimensional image is driven. Referring to FIG. 11, if the image of the previous frame has 32 gray levels and the target luminance value of the image of the current frame is 64 gray levels, the over driving value should be corrected to 107 gray levels. 107, the present frame becomes able to display the luminance value of 64 gray levels, that is, the target luminance value.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룩업테이블 추출 방법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통해서, 좌, 우 영상 프레임의 상기 패턴 및 과구동 조절영역, 배경화면을 설정하고 각 영역의 그레이 레벨을 각각 조절하여 상기 3차원 제1 및 제2 룩업 테이블의 보정값을 추출할 수 있다.
Further,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pattern, the hyper-driving control area, and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left and right image frames through the program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lookup table extraction methods are executed and th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And the correction values of the three-dimensional first and second lookup tables can be extrac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한 크로스톡과 모션블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과구동 변조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Hereinafter, a three-dimens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three-dimens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over-driving modulation method for minimizing the crosstalk and the motion blu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프레임 메모리(310), 과구동 제어부(320), 영상 출력부(330)로 구성될 수 있다.FIG. 12 shows a configuration of a three-dimens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rame memory 310, an over-driving control unit 320, and an image output unit 330.

3차원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프레임 메모리(310)에 영상신호가 프레임 단위로 저장된다.When a three-dimensional image signal is input, the image signal is stored in the frame memory 310 on a frame-by-frame basis.

상기 과구동 제어부(320)는 상기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 및 3차원 제2 룩업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프레임 메모리(310)에 저장된 영상신호와 현재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상관관계에 따라, 상기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 및 상기 3차원 제2 룩업 테이블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영상신호를 과구동하여 출력한다.The overdrive control unit 320 stores the three-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and the three-dimensional second lookup table.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mage signal stored in the frame memory 310 and the currently input image signal, The three-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and the three-dimensional second lookup table.

상기 영상 출력부(330)는 상기 과구동 제어부(320)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3차원 영상을 출력한다.
The image output unit 330 receives a video signal from the over-driving control unit 320 and outputs a three-dimensional image.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셔터 글라스 방식의 3차원 영상 표시 시스템에서 블랙 데이터 삽입(BFI: Black Frame Insertion) 구동 방식으로 액정 패널을 과구동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구동 방법 및 장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와 다른 3차원 영상 표시 시스템에도 응용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crystal panel is driven by the black data insertion (BFI: Black Frame Insertion) driving method in the shutter glass typ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system. And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system different from the above embodiment.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different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should be construed a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text. &Quot;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components other than the components mentioned.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Claims (9)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영상신호는 좌안 프레임, 블랙 프레임, 우안 프레임, 블랙 프레임(L-B-R-B)의 순으로 입력되고,
정지된 영상에 대해서는 크로스톡을 감소시키는 과구동값이 저장된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을 사용하여 과구동하며,
움직이는 영상에 대해서는 모션블러를 감소시키는 과구동값이 저장된 3차원 제2 룩업 테이블을 사용하여 과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서의 크로스톡과 모션블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과구동 변조방법.
A driving metho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image,
The video signal is input in the order of the left eye frame, the black frame, the right eye frame, and the black frame (LBRB)
For a still image, an overdrive is performed using a three-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storing an over-driving value that reduces cross talk,
An overdrive modulation method for minimizing crosstalk and motion blur in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wherein the moving image is overdriven using a three-dimensional second lookup table in which an overdrive value for reducing motion blur is sto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은,
좌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좌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같고, 우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우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같고, 우안 영상신호와 좌안 영상신호가 다를 경우에, 우안 이전 프레임에서 좌안 현재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와 좌안 현재 프레임에서 우안 현재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에 사용하여 과구동하거나,
좌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좌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다르고, 우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우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다르고, 우안 영상신호와 좌안 영상신호가 다를 경우에, 우안 이전 프레임에서 좌안 현재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와 좌안 현재 프레임에서 우안 현재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에 사용하여 과구동하거나,
좌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좌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다르고, 우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우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같고, 우안 영상신호와 좌안 영상신호가 다를 경우에, 우안 이전 프레임에서 좌안 현재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와 좌안 현재 프레임에서 우안 현재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에 사용하여 과구동하거나,
좌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좌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같고, 우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우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다를 경우, 좌안 이전 프레임에서 우안 이전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와 좌안 현재 프레임에서 우안 현재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에 사용하여 과구동하고,
상기 3차원 제2 룩업 테이블은,
좌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좌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다르고, 우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우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다르며, 좌안 영상신호와 우안 영상신호가 같을 경우, 우안 이전 프레임에서 좌안 현재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에 사용하여 과구동하거나,
좌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좌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다르고, 우안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와 우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같고, 좌안 현재 프레임 영상신호와 우안 현재 프레임 영상신호가 같을 경우, 좌안 이전 프레임에서 우안 이전 프레임으로 전환할 때에 사용하여 과구동하며,
좌안 이전 프레임과 좌안 현재 프레임, 우안 이전 프레임, 그리고 우안 현재 프레임의 영상 신호가 모두 같을 경우에는 현재 프레임의 영상신호를 그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서의 크로스톡과 모션블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과구동 변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ree-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comprises:
When the video signal of the previous frame of the left eye and the video signal of the current frame of the left eye are the same and the video signal of the frame of the previous frame of the right eye and the video signal of the current frame of the right eye are the same and the right eye image signal and the left eye image signal are different, When switching to a frame and switching from the left eye current frame to the right eye current frame,
If the video signal of the previous frame of the left eye differs from the video signal of the current frame of the left eye and the video signal of the previous frame of the right eye differs from the video signal of the current frame of the right eye and the left eye image signal differs, When switching to a frame and switching from the left eye current frame to the right eye current frame,
When the video signal of the previous frame of the left eye and the video signal of the current frame of the left eye are different and the video signal of the previous frame of the right eye and the video signal of the current frame of the right eye are the same and the left eye image signal and the right eye image signal are different, When switching to a frame and switching from the left eye current frame to the right eye current frame,
If the video signal of the previous frame of the left eye and the video signal of the current frame of the left eye are the same and the video signal of the frame of the previous frame of the right eye differs from that of the frame of the current eye of the right eye, When switching to the current frame,
Wherein the three-dimensional second look-
If the video signal of the previous frame of the left eye differs from the video signal of the current frame of the left eye and the video signal of the frame of the current frame of the right eye differs from that of the frame of the current eye of the right eye, , It can be used for over driving,
If the video signal of the previous frame of the left eye differs from the video signal of the current frame of the left eye and the video signal of the frame of the current frame of the right eye is the same as that of the frame of the current frame of the right eye, To the previous frame in the right eye,
When the video signals of the left frame previous frame, the left frame current frame, the right previous frame, and the right current frame are all the same, the video signal of the current frame is outputted as it is. Overdrive modulation method for minimiz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의 과구동값은,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 각각에 크기와 모양, 그리고 위치가 동일한 패턴 L-BOX와 R-BOX를 형성하고, 상기 패턴 L-BOX와 패턴 R-BOX 각각의 일부분에 크기와 모양, 그리고 위치가 동일한 과구동 조절영역 OD1와 OD2를 설정하여 표시하며,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1 혹은 OD2의 밝기를 상기 패턴 L-BOX, R-BOX, 또는 배경화면의 밝기와 비교하면서 조절하는 방법에 의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서의 크로스톡과 모션블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과구동 변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verriding value of the three-dimensional first look-
BOX and R-BOX having the same size, shape, and position are formed in each of the left eye image frame and the right eye image frame, and a size, a shape, and a position of each of the pattern L-BOX and the pattern R- The same overdrive control areas OD1 and OD2 are set and displayed,
The brightness of the hyper-driving region OD1 or OD2 is adjusted by comparing the brightness of the over-driving region OD1 or OD2 with the brightness of the pattern L-BOX, R-BOX, or background image. An overdriving method for minimizing motion blu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룩업 테이블의 과구동값은,
좌안 영상에는 상기 패턴 L-BOX를 표시하고, 우안 영상에는 상기 패턴 R-BOX을 표시하고, 상기 패턴 L-BOX와 R-BOX 내부 일측에 크기와 모양, 위치가 동일한 과구동 조절영역 OD1과 OD2를 각각 형성하여 표시하는 제1 단계;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1과 배경화면의 그레이 레벨은 G1으로 설정하고, 상기 패턴 L-BOX와 R-BOX, 그리고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2의 그레이 레벨은 G2로 설정하는 제2 단계;
셔터 안경의 우안을 차단하고,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1의 밝기가 배경화면의 밝기와 같아지도록 OD1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3 단계;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1의 밝기와 배경화면의 밝기를 비교하여, 양자가 같을 경우, 이때의 영역 OD1의 그레이 레벨을, 그레이 레벨 G2에서 G1으로 전환할 때의 제1 과구동값(ODG2->G1)으로 결정하는 제4 단계;
셔터 안경의 좌안을 차단하고,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2의 밝기가 패턴 R-BOX의 밝기와 같아지도록 OD2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5 단계;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2의 밝기와 상기 패턴 R-BOX의 밝기를 비교하여, 양자가 같을 경우, 이때의 OD2의 그레이 레벨을, 그레이 레벨 G1에서 G2로 전환할 때의 제2 과구동값(ODG1->G2)으로 결정하는 제6 단계;
셔터 안경의 우안을 차단하고,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1의 밝기와 배경화면의 밝기를 비교하여, 양자가 같을 경우에는 상기 제1 과구동값(ODG2 -> G1) 및 제2 과구동값(ODG1->G2)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다를 경우에는 상기 영역 OD1의 그레이 레벨을 제1 과구동값(ODG2->G1)으로, 상기 영역 OD2의 그레이 레벨을 제2 과구동값(ODG1 -> G2)으로 유지시킨 후,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6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제7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서의 크로스톡과 모션블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과구동 변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over-driving value of the first look-
The pattern L-BOX is displayed on the left eye image, the pattern R-BOX is displayed on the right eye image, and the hyperdrive control areas OD1 and OD2 having the same size, shape and position on the inner side of the pattern L- Respectively, and displaying them;
A second step of setting the hyper-driving area OD1 and the gray level of the background screen to G1, and setting the gray level of the pattern L-BOX and R-BOX and the gray level of the hyper-driving area OD2 to G2;
A third step of shutting off the right eye of the shutter glasses and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OD1 so that the brightness of the over driving area OD1 becomes equal to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screen;
(OD G2-> OD2) when the gray level of the area OD1 at this time is switched from the gray level G2 to the G1 when the brightness of the over driving area OD1 is equal to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screen, G1 );
A fifth step of shutting off the left eye of the shutter glasses and adjusting the brightness of OD2 such that the brightness of the hyper-driving area OD2 becomes equal to the brightness of the pattern R-BOX;
The brightness of the overdrive adjustment region OD2 is compared with the brightness of the pattern R-BOX. If they are the same, the second overdrive value OD G1 at the time of switching the gray level of the OD2 at this time from the gray level G1 to G2 - > G2 );
(OD G2 - > G1 ) and a second over driving value (OD G1 - > G1 ) when the brightness of the over driving area OD1 is equal to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screen by intercepting the right eye of the shutter glasses. -> G2) stored in the memory, different from the case the gray level of the area OD1 in the first donggap overdrive (OD G2-> G1), the gray level of the region OD2 second donggap overdrive (OD G1 -> G2 ), And repeating the sixth step in the third step;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rosstalk and motion blur are minimized in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제2 룩업 테이블의 과구동값은,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 각각에 크기와 모양이 동일한 4개의 패턴 L1-BOX와 L2-BOX, R1-BOX와 R2-BOX를 어느 한 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스크롤 되도록 표시하되, 상기 패턴 L1-BOX는 R1-BOX와, 상기 패턴 L2-BOX는 R2-BOX와 짝을 이루어 서로 동일한 궤적을 따라 스크롤 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4개의 패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패턴의 스크롤 반대방향 일측에 과구동 조절영역 OD를 설정하여 표시하며,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의 밝기를 배경화면의 밝기와 비교하면서 OD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의해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서의 크로스톡과 모션블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과구동 변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verriding value of the three-dimensional second look-
BOX, R1-BOX, and R2-BOX, which are the same in size and shape, are displayed on the left eye image frame and the right eye image frame so as to scroll at the same speed in either direction, And the pattern L2-BOX is paired with the R2-BOX so as to scroll along the same locus,
An overdrive adjustment region OD is set and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four pattern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croll,
And the brightness of the OD is adjusted by comparing the brightness of the overdrive adjustment region OD with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screen. The overdrive modulation for minimizing crosstalk and motion blur in the three- Wa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방향과 평행한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의 길이는 상기 스크롤 속도에 비례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서의 크로스톡과 모션블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과구동 변조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length of the hyper-driving area OD parallel to the scroll direction is set to be proportional to the scroll spe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패턴은 하측 방향으로 스크롤 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L1-BOX의 상부에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를 설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서의 크로스톡과 모션블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과구동 변조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our patterns are displayed so as to scroll downward, and the over-driving region OD is se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1-BOX to display the four patterns, thereby minimizing crosstalk and motion blur in the three- Overdrive modulation metho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룩업 테이블의 과구동값은,
좌안 영상에는 상기 패턴 L1-BOX 및 L2-BOX와 상기 패턴 L1-BOX 상부에 과구동 조절영역 OD를 표시하고, 우안 영상에는 상기 패턴 R1-BOX와 R2-BOX를 표시하며, 상기 패턴 L1-BOX, L2-BOX, R1-BOX, R2-BOX와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를 하부 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스크롤 되도록 표시하는 제1 단계;
상기 패턴 L1-BOX, L2-BOX, R1-BOX, R2-BOX의 그레이 레벨은 G2로 설정하고,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와 배경화면의 그레이 레벨은 G1으로 설정하는 제2 단계;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의 밝기가 배경화면(G1)의 밝기와 일치하도록 조절하는 제3 단계;
상기 조절된 과구동 조절영역 OD의 밝기와 배경화면의 밝기를 비교하여, 양자가 같을 경우, 이때의 상기 과구동 조절영역 OD의 그레이 레벨을, 그레이 레벨 G2에서 G1으로 전환할 때의 과구동값(ODG2->G1)으로 결정하여 상기 과구동값(ODG2->G1)을 메모리에 저장하며, 다를 경우에는 상기 제3 단계로 되돌아가서 반복 수행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서의 크로스톡과 모션블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과구동 변조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over-driving value of the second look-
BOX and R2-BOX on the left eye image and the overdrive control area OD on the upper part of the pattern L1-BOX, the patterns R1-BOX and R2-BOX are displayed on the right eye image, , L2-BOX, R1-BOX, R2-BOX and the hyper-control region OD are scrolled downward at the same rate;
Setting a gray level of the patterns L1-BOX, L2-BOX, R1-BOX, and R2-BOX to G2, setting the overdrive adjustment region OD and the gray level of the background screen to G1;
A third step of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hyper-driving area OD to match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screen G1;
The brightness of the adjusted overdrive control region OD is compared with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screen. If the brightness of the overdrive control region OD is equal to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screen, the overdrive value at the time of switching the gray level of the overdrive control region OD from G1 to G1 OD G2 - > G1 ) and stores the overdriving value (OD G2 - > G1 ) in a memory, and if it is different, returns to the third step and repeats the fourth step;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rosstalk and motion blur are minimized in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제1항 내지 제8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실행하는 3차원 액정 표시 장치로서,
입력된 3차원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
상기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 및 상기 3차원 제2 룩업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신호와 현재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상관 관계에 따라, 상기 3차원 제1 룩업 테이블 및 상기 3차원 제2 룩업 테이블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영상신호를 과구동하여 출력하는 과구동 제어부;
상기 과구동 제어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3차원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서의 크로스톡과 모션블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과구동 변조장치.
A three-dimens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executes the driving method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 frame memory for storing the input three-dimensional image signal in units of frames;
Dimensional lookup table and the three-dimensional second lookup table, wherein the three-dimensional first lookup table and the three-dimensional second lookup table are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ideo signal stored in the frame memory and the currently input video signal, An over-driving control unit for over-driving and outputting a video signal with reference to any one of the second look-up tables;
An image output unit for receiving a video signal from the overriding control unit and output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And an overdrive modulator for minimizing crosstalk and motion blur in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0120109088A 2012-09-28 2012-09-28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drive technology to minimize cross-talk and motion blur of 3D display KR1014011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088A KR101401150B1 (en) 2012-09-28 2012-09-28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drive technology to minimize cross-talk and motion blur of 3D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088A KR101401150B1 (en) 2012-09-28 2012-09-28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drive technology to minimize cross-talk and motion blur of 3D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972A true KR20140042972A (en) 2014-04-08
KR101401150B1 KR101401150B1 (en) 2014-05-30

Family

ID=50651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088A KR101401150B1 (en) 2012-09-28 2012-09-28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drive technology to minimize cross-talk and motion blur of 3D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15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3831A1 (en) * 2014-09-02 2016-03-1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ver drive method, circuit and display device
CN109686329A (en) * 2018-12-29 2019-04-26 成都中电熊猫显示科技有限公司 It overdrives method, equipment and the storage medium of debugging
CN110379391A (en) * 2019-07-02 2019-10-25 南京中电熊猫液晶显示科技有限公司 A kind of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the method for improving the hangover of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dynamic menu
CN111640402A (en) * 2020-05-26 2020-09-08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time schedule controller for image processing and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0166A (en) * 2009-11-06 2011-05-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10072190A (en) * 2009-12-22 2011-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3d display driv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281989B1 (en) * 2010-04-21 2013-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763945B1 (en) * 2011-02-18 2017-08-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d image display device and crosstalk compention method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3831A1 (en) * 2014-09-02 2016-03-1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ver drive method, circuit and display device
CN109686329A (en) * 2018-12-29 2019-04-26 成都中电熊猫显示科技有限公司 It overdrives method, equipment and the storage medium of debugging
CN109686329B (en) * 2018-12-29 2020-12-08 成都中电熊猫显示科技有限公司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over-drive debugging
CN110379391A (en) * 2019-07-02 2019-10-25 南京中电熊猫液晶显示科技有限公司 A kind of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the method for improving the hangover of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dynamic menu
CN111640402A (en) * 2020-05-26 2020-09-08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time schedule controller for image processing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1150B1 (en)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0248B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system
KR101057098B1 (en) Luminance flick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wide viewing angle stereoscopic display
KR101470693B1 (en)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using the same
JP5105778B2 (en)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444955B (en) Over-drive controller applied to a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over-drive control therein
JP5702054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JP5556386B2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10036670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image display device
JP2012503218A (en) 3D im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US10102811B2 (en) Method of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00076230A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of the same
KR102148206B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5532232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video display device, and video display system
KR1014011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drive technology to minimize cross-talk and motion blur of 3D display
US93009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ewing 3D video using a stereoscopic viewing device
CN102970570A (en) Crosstalk correction evaluation device and crosstalk correction evaluation method
KR1013900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two and three dimensional display
JP5726509B2 (en) Display device
US20120019515A1 (en) Display method
KR20110080846A (en) Display driv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1075668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150092815A (en) 3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712207B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over driving method
US8576160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applying the same
KR20110072193A (en) 3d display driv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