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2849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반송파 선택의 제어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반송파 선택의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2849A
KR20140042849A KR1020147000597A KR20147000597A KR20140042849A KR 20140042849 A KR20140042849 A KR 20140042849A KR 1020147000597 A KR1020147000597 A KR 1020147000597A KR 20147000597 A KR20147000597 A KR 20147000597A KR 20140042849 A KR20140042849 A KR 20140042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camp
carriers
dmn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8165B1 (ko
Inventor
필립 영
피터 다우드
Original Assignee
에스씨에이 아이피엘에이 홀딩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씨에이 아이피엘에이 홀딩스 인크. filed Critical 에스씨에이 아이피엘에이 홀딩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40042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통신 시스템이 기재된다. 시스템은,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반송파 각각을 통해 상이한 타입의 단말 장치에 그리고/또는 그들로부터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구성, 복수의 반송파 중 제1 반송파에 캠프-온하고 그 후 제1 반송파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구성과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제1 단말 장치, 및 복수의 반송파 중 제2 반송파에 캠프-온하고 그 후 제2 반송파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구성과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제2 단말 장치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반송파는 제1 및 제2 단말 장치가 둘 다 캠프-온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제1 및 제2 반송파와 동기화하는 능력을 갖도록 호환적인 동기화 시그널링을 지원하고, 캠프-온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제1 및 제2 반송파 중 하나와의 동기화에 뒤이어서, 제2 단말 장치는 자신이 동기화한 반송파의 제어 채널과 연관된 물리층 시그널링의 양태에 따라 캠프-온 절차를 계속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반송파 선택의 제어{CONTROLLING CARRIER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반송파 선택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지난 10년 정도 동안 GSM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으로부터 3G 시스템으로 진화했고 현재 회선 교환 방식 통신뿐만 아니라 패킷 데이터 통신도 포함한다. 제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the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는, 이전의 이동 무선 네트워크 아키텍처들의 컴포넌트들과, 다운링크에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및 업링크에서의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에 기초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병합에 기초하여 더욱 단순화된 아키텍처를 형성하기 위해 코어 네트워크 부분이 진화된 장기 진화(Long Term Evolution: LTE)라고 지칭되는 제4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3GPP에 의해 정의된 UMTS 및 장기 진화(LTE) 아키텍처들에 기초한 것들 등의 제3 및 제4 세대 이동 원격통신 시스템들은, 이동 원격통신 시스템의 이전 세대들에 의해 제공된 단순한 음성 및 메시징 서비스들보다 더 복잡한 범위의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들에 의해 제공되는 향상된 데이터 레이트 및 개선된 무선 인터페이스에 의해, 유저는, 이전에는 고정된 유선 데이터 접속을 통해서만 이용가능했었을, 모바일 비디오 스트리밍과 모바일 화상 회의 등의 높은 데이터 레이트의 애플리케이션을 즐길 수 있다. 따라서, 제3 및 제4 세대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요구가 강하고, 이 네트워크들의 커버리지 영역, 즉, 네트워크들에 대한 액세스가 가능한, 지리적 위치들이 급속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3 및 제4 세대 네트워크들의 예상되는 광범위한 구축은, 이용가능한 높은 데이터 레이트들을 이용하는 것 대신에 강력한 무선 인터페이스 및 커버리지 영역의 증가하는 편재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들 및 클래스의 장치들의 병행적인 개발을 주도했다. 예들로서는, 소위 기계식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는데, 그의 일부는 어떤 점들에서, 비교적 드물게 소량의 데이터를 통신하는 반자동 또는 자동 무선 통신 장치들(즉, MTC 장치들)에 의해 대표된다. 예들로서는, 예를 들면, 고객의 가정에 배치되고 가스, 수도, 및 전기 등의 유틸리티의 고객의 소비에 관해 중앙 MTC 서버에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되전송하는 소위 스마트 미터들을 포함한다.
MTC-타입 단말기 등의 단말기가 제3 또는 제4 세대 이동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넓은 커버리지 영역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지만, 현재 단점들이 있다. 스마트폰 등의 통상의 제3 또는 제4 세대 이동 단말기와는 달리, MTC-타입 단말기들에 대한 주 드라이버는, 그러한 단말들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저렴한 것을 요망할 것이다. MTC-타입 단말기에 의해 전형적으로 수행되는 기능들의 타입(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소량의 데이터의 간단한 수집 및 보고)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 지원하는 비디오 스트리밍에 비해, 특별히 복잡한 처리를 행할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3 및 제4 세대 이동 원격통신 네트워크들은 일반적으로 고급 데이터 변조 기술들을 전형적으로 채택하고, 구현하기에 더 복잡하고 고가인 무선 송수신기들을 필요로 할 수 있는 무선 인터페이스의 광대역폭의 사용을 지원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전형적인 스마트폰 타입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강력한 프로세서를 필요할 것이므로, 스마트폰에 그러한 복잡한 송수신기들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정당화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LTE 타입 네트워크들을 이용하여 통신하기 위해 이제 비교적 저렴하고 덜 복잡한 장치들을 사용할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이동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고, 이동 통신 시스템은,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반송파 각각을 통해 상이한 타입의 단말 장치에 그리고/또는 그들로부터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구성(arrangement), 복수의 반송파 중 제1 반송파에 캠프-온(camp-on)하고 그 후 제1 반송파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구성과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제1 단말 장치, 및 복수의 반송파 중 제2 반송파에 캠프-온하고, 그 후 제2 반송파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구성과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제2 단말 장치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반송파는, 제1 및 제2 단말 장치가 둘 다 캠프-온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제1 및 제2 반송파와 동기화하는 능력을 갖도록 호환적인 동기화 시그널링을 지원하고, 제2 단말 장치는, 캠프-온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제1 또는 제2 반송파 중 하나와의 동기화에 뒤이어서, 동기화한 반송파의 제어 채널과 연관된 물리층 시그널링의 양태에 따라 캠프-온 절차를 계속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 채널은 예를 들어,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이다.
물리층 시그널링의 양태는 인디케이터(indicator)의 존재 또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반송파는 인디케이터를 방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1 반송파는 인디케이터를 방송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의 존재 또는 부재는 제2 장치가 동기화한 반송파의 마스터 정보 블록으로부터 추론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의 존재 또는 부재는 마스터 정보 블록 내에 포함된 정보로부터 추론가능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마스터 정보 블록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물리 전송 자원상 시그널링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물리층 시그널링의 양태는 상기 제2 장치가 동기화한 반송파의 반송파 동작 대역폭의 인디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제2 장치는, 반송파 동작 대역폭이 제2 장치의 장치 동작 대역폭보다 크면, 캠프-온 절차를 계속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반송파의 동작 대역폭의 인디케이션은 예를 들어, 제2 장치가 동기화한 반송파의 마스터 정보 블록으로부터 추론가능할 수 있다.
제2 장치가 동기화한 반송파와 캠프-온 절차를 계속하지 않도록 결정하는 경우에, 제2 장치는 다른 반송파와 동기화하고 다른 캠프-온 절차를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반송파는, 제1 단말 장치가 제2 반송파와 캠프-온 절차를 완료할 수 없도록, 그들 각각의 캠프-온 절차들의 제어 채널들과 연관된 비호환성 물리층 시그널링을 채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반송파 각각을 통해 상이한 타입의 단말 장치에 그리고/또는 그들로부터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구성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단말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단말 장치는 그 반송파에 대한 캠프-온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복수의 반송파 중 하나와 동기화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동기화한 반송파의 제어 채널과 연관된 물리층 시그널링의 양태에 따라 캠프-온 절차를 계속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또한 동작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반송파 각각을 통해 상이한 타입의 단말 장치에 그리고/또는 그들로부터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구성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이 제공되고, 상기 기지국은 상이한 타입의 두 개의 단말 장치가 캠프-온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반송파와 동기화하는 것을 허용하는 포맷으로 반송파에 동기화 시그널링을 방송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기지국은 또한 캠프-온 절차와 연관된 반송파에 제어 채널을 방송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제어 채널과 연관된 물리층 시그널링의 양태는 상이한 타입의 두 개의 단말 장치 중 하나에 그 단말 장치가 캠프-온 절차를 계속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반송파 선택을 보조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이동 통신 시스템은,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반송파 각각을 통해 상이한 타입의 단말 장치에 그리고/또는 그들로부터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구성을 포함하고, 제1 단말 장치는 복수의 반송파 중 제1 반송파에 캠프-온하고, 그 후 제1 반송파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구성과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제2 단말 장치는 복수의 반송파 중 제2 반송파에 캠프-온하고, 그 후 제2 반송파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구성과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방법은, 제1 및 제2 단말 장치 둘 다가 캠프-온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제1 및 제2 반송파와 동기화하는 능력을 갖도록, 호환적인 동기화 시그널링을 갖는 제1 및 제2 반송파를 방송하는 단계, 반송파들 각각에 제어 채널을 방송하는 단계, 캠프-온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반송파들 중 하나와 동기화한 단말 장치에서, 동기화한 반송파의 제어 채널과 연관된 물리층 시그널링의 양태에 따라 캠프-온 절차를 계속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반송파 각각을 통해 상이한 타입의 단말 장치에 그리고/또는 그들로부터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구성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반송파 선택을 보조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그 반송파에 대한 캠프-온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복수의 반송파 중 하나와 동기화하는 단계, 및 그 후 상기 단말 장치가 동기화한 반송파의 제어 채널과 연관된 물리층 시그널링의 양태에 따라 캠프-온 절차를 계속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반송파 각각을 통해 상이한 타입의 단말 장치에 그리고/또는 그들로부터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구성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반송파 선택을 보조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상이한 타입의 두 개의 단말 장치가 캠프-온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반송파와 동기화하는 것을 허용하는 포맷으로 반송파에 동기화 시그널링을 방송하는 단계, 및 반송파에 캠프-온 절차와 연관된 제어 채널을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어 채널과 연관된 물리층 시그널링의 양태는 상이한 타입의 두 개의 단말 장치 중 하나에 그 단말 장치가 캠프-온 절차를 계속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이동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반송파 각각을 통해 상이한 타입의 단말 장치에 그리고/또는 그들로부터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구성, 복수의 반송파 중 제1 반송파에 캠프-온하고, 그 후 제1 반송파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구성과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제1 단말 장치, 및 복수의 반송파 중 제2 반송파에 캠프-온하고, 그 후 제2 반송파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구성과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제2 단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반송파는, 상기 제1 및 제2 단말 장치가 둘 다 캠프-온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반송파와 동기화할 수 있도록 호환적인 동기화 시그널링을 지원하지만, 상기 제1 및 제2 반송파는, 제1 단말 장치가 제2 반송파와 캠프-온 절차를 완료할 수 없도록, 그들 각각의 캠프-온 절차들의 제어 채널들과 연관된 비호환적 물리층 시그널링을 지원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양태들 및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 및 실시예들의 특징들과 적절하게 결합될 수 있고,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들 외의 다른 것들과 조합하여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옵션적 특징들은 예를 들어, 다른 양태들이 해당 특징들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에 따른 실시예들에 동등하게 옵션적으로 통합될 수 있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고, 마찬가지의 부분들은 동일하게 지정된 참조 부호들을 갖는다.
도 1은 3GPP 장기 진화(LTE)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형성하는 복수의 유저 장비 및 무선 네트워크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선택 절차들을 구현하는 두 개의 반송파에 대한 가용 스펙트럼의 부분 내에서의 무선 네트워크의 대역폭의 할당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셀 선택 절차의 일부 양태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셀 선택 절차의 일부 양태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 원격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의 관련 운영 표준과의 완전한 호환을 위해 필요한 전체 동작 기능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는 장치들의 클래스의 동작을 허용하는 무선 네트워크 아키텍처들을 제공하는 것이 추진되고 있다. 예를 들어, 현재 LTE 표준들과 완전하게 호환되는 이동 유저 장비는 20MHz의 무선 대역폭을 지원할 것이 요구된다. 무선 자원들은 이 전체 대역폭에 걸쳐 이동 유저 장비에 할당될 수 있어서 이동 유저 장비는 이 전체 범위에 걸쳐 동작할 수 있는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네트워크에 여전히 수용되어 있으면서, 감소된 대역폭의 송수신기가 그들에 제공될 수 있다면, 이러한 광대역 성능을 필요로 하지 않고, 그래서 더 저렴하게 만들어질 수 있는 MTC 장치들 등의 장치들의 클래스들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
이 상호 운용성을 달성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은 다른 클래스들의 장치에 대해 다른 반송파들을 제공하는 것일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반송파는 소정의 표준에 호환하는 제1 클래스의 장치에 제공될 수 있고, 제2 반송파는 소정의 표준의 변형에 호환하는 제2 클래스의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송파는 완전히 호환적인 LTE 반송파일 수 있고, 제2 반송파는 현재 LTE 표준들에 기초할 수 있지만, MTC-타입 장치 트래픽에 대해 반송파를 최적화하기 위해 어느 정도 변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반송파는, 제1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될 수 있는 잠재적으로 콘텐츠가 풍부한 트래픽의 전체 폭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간단한 메시지 트래픽을 지원하도록 최적화될 수 있고 감소된 대역폭에 걸쳐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예의 제2 반송파는 어떤 점들에서 MTC-타입 장치들로의 및 그들로부터의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한 전용 메시징 네트워크(dedicated messaging network: DMN)의 일종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 DMN 용어는, 어떤 상황들에서 이러한 종류의 제2 반송파에 대해 일차적으로 의도된 용도와 연관된 트래픽의 타입을 특성화할 수 있기 때문에, 참조의 편의상 여기서 이용된다는 것을 물론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용어 DMN은, 반송파가 MTC-타입 장치 메시지들을 전적으로 그리고 독점적으로 통신하기 위한 것일 뿐임을 나타내려고 의도하지 않는다.
따라서, DMN은 통상의 광대역 무선 통신 반송파에 비해 비교적 작은 메시지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마도 종래의 PDCCH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DMN은 서브-프레임당 더 많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s: PDCCH)을 지원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DMN은 더 많은 양의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ACH) 자원을 지원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DMN에 영구적으로 접속되지 않지만 비접속 방식으로 통신하는 이동 장치들에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3GPP 장기 진화(LTE) 표준에 기반한 반송파들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예시적인 구현을 특히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LTE 시스템의 아키텍처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LTE 시스템은 당사자들이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원격통신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장비(user equipment: UE)(1)로서 지정된 이동 통신 장치들은 LTE에서 종종 E-UTRAN 노드B들(e-노드B)이라고 지칭되는 기지국들(송수신국들)(2)에 그리고 그들로부터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장치들(1) 각각은 이동 통신 장치들이 이동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고 유저들이 가입한 서비스에 대해 인증되도록 허용하는 파라미터들 및 정보를 포함하는 범용 가입자 아이덴티티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4)을 포함한다.
e-노드B들(2)은 서빙 게이트웨이 S-GW(6)에 그리고 이동성 관리 개체(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8)(MME에의 접속들은 간결성을 위해 도 1에 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S-GW(6)는 이동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 장치들(1)에 대해 이동 통신 서비스들의 라우팅 및 관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동성 관리 및 접속을 유지하기 위해, 이동성 관리 개체(MME)(8)는,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10)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장치들(1)과의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EPS) 접속들을 관리한다. 다른 코어 네트워크 구성 요소들은 정책 과금 및 자원 기능(policy charging and resource function: PCRF)(12)과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packet data gateway: P-GW)(14)를 포함하고,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는 인터넷 네트워크(16)에 그리고 최종적으로 외부 서버(20)에 접속된다. MTC 통신의 맥락에서, MTC 통신을 지원하는 UE는 예를 들면, 편리하게 MTC 단말 또는 MTC UE라고 지칭될 수 있고, MTC 단말(들)이 데이터를 통신하는 서버는 예를 들면, 편리하게 MTC 서버라고 지칭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MTC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의 장치들은 MTC 엔티티라고 지칭될 수 있다.
도 1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과 그들 각각의 동작 모드들은 잘 알려져 있고, 3GPP (RTM) 본체에 의해 관리되는 관련 표준들에 정의되어 있고, 그 주제에 관한, 예를 들어, Holma H. 및 Toskala A[1] 등 많은 서적들에 기재되어 있다. LTE 네트워크들의 이러한 통상의 양태들은 간결성을 위해 더 설명되지 않는다.
3GPP LTE 릴리즈 8, 9, 및 10(Rel8/9/10)은 6, 15, 25, 50, 75, 또는 100 개의 자원 블록의 사용을 나타내는 1.4MHz로부터 20MHz까지의 6 개의 다운링크 전송 대역폭 구성들을 정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든 Rel8/9/10 단말 장치들은 Rel8/9/10 표준들과의 호환성을 위해 20MHz의 최대 단일 반송파 대역폭을 지원하도록 요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대역폭 구성들에 대해 Rel8/9/10은 그 기본 물리층 동기화 신호들(일차 동기화 신호(Primary Synchronisation Signals)-PSS, 및 이차 동기화 신호(Secondary Synchronisation Signals)-SSS)을 규정했고, 가장 기본적인 시스템 정보(마스터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MIB)가 1.4MHz의 송수신기로 수신가능한 단지 중앙 6 개의 자원 블록만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그러나, 반송파 시스템 정보의 나머지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 장치는 반송파의 전체 대역폭을 수신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어떤 응용들에서는, 예를 들어, 머신 타입 통신(MTC) 및/또는 전용 메시징 네트워크(DMN)에 관련된 상황들에서, 저비용 및 그에 따른 저성능 장치들을 구축하기 위한 추진이 있다. 이상적으로, 장치의 단순화는 기능 및 처리량의 감소뿐만 아니라 동작의 필요한 대역폭의 감소를 허용해야 한다. Rel8/9/10에 지정된 것보다 낮은 대역폭 성능을 갖는 단말 장치들은, 그러한 장치들이 더 높은 대역폭 성능을 지정하는 Rel8/9/10 호환 네트워크들에서 적절하게 작동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낮은 대역폭 성능을 갖는 단말 장치들은 Rel8/9/10 호환 네트워크의 MIB에 포함된 것보다 임의의 더 많은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없을 경우조차 있을 수 있다. 이것은, 별개의 네트워크들/반송파들이 통상의 Rel8/9/10 단말 장치들에 대해 그리고 낮은 성능 장치들의 제안된 새로운 클래스에 대해 제공된다면 문제가 없다. 이것은 왜냐하면, 낮은 성능 장치들의 제안된 새로운 클래스에 대해 제공된 반송파의 동작 특성들이 낮은 성능 장치들을 지원하기 위해 Rel8/9/10 표준들로부터 다르게 수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나리오에서는, 다른 클래스들의 장치가 다른 반송파들의 동작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고서 그들의 의도된 반송파를 식별하고 캠프-온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는 문제가 남아 있다. 예를 들어, 낮은 성능 장치들은 이상적으로, Rel8/9/10의 높은 대역폭 반송파들의 존재시에도 그들의 목표의 전용 메시징 네트워크(들)와 연관된 반송파를 찾을 수 있고, 캠프-온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Rel8/9/10 성능 장치들이, 그렇지 않다면 그들이 사용할 수 있었을 더 높은 대역폭 Rel8/9/10 반송파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더라도, DMN 반송파들은 DMN에 캠프-온하고 있는 Rel8/9/10 성능 장치들에 의해 쇄도되지 않기 위한 요망이 있다.
따라서, 공동 배치되거나 또는 중첩하는 반송파들, 예를 들어, (더) 높은 대역폭의 LTE Rel8/9/10 반송파인 제1 반송파, 및 메시징 네트워크(DMN)에 전용인 (더) 낮은 대역폭과 연관된 제2 반송파를 포함하는 시나리오에서, 발명자들은 낮은 성능/낮은 대역폭(즉, DMN) 장치들이 DMN 반송파(들)를 찾을 수 있고 선택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면서, 동시에 Rel-8/9/10 성능 장치들이 DMN(들)에 과도한 부하를 주지 않고 그들의 트래픽 패턴들을 지원할 수 있는 반송파(들)를 선택할 수 있는(또는 그에 지향되는) 것을 보장하는 메커니즘들에 대한 추진이 있을 것임을 인식했다.
발명자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식하고 있던 몇 가지 방법을 살펴보기 전에, 설명을 돕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몇 가지 용어가 먼저 소개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캠프-온/셀 선택 절차 동안, 장치의 제1 및 제2 클래스가 적절한 방식으로 제1 및 제2 반송파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방법과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특별한 예들 중 일부에서, 제1 클래스의 장치 및 제1 반송파는 특정 표준, 예를 들면, LTE Rel8/9/10 표준들에 호환적이고, 제2 클래스의 장치 및 제2 반송파는 예를 들면, 낮은 성능 장치들을 지원하도록 수정된 표준들의 버전들에 기초하는, 이 특정 표준들의 수정된 버전들에 호환적이다. 따라서, 그리고 순수하게 참고를 위해 그리고 설명을 돕기 위해, 본 명세서의 어떤 예들에서 제1 클래스의 장치 및 제1 반송파는 레거시 장치 및 레거시 반송파라고 지칭될 수 있고, 한편, 어떤 예들에서 제2 클래스의 장치 및 제2 반송파는 DMN 장치들 및 DMN 반송파(또는 대안적으로 MTC 장치들 및 MTC 반송파)라고 지칭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용어들은 두 개의 클래스의 장치와 반송파를 구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특정 구현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레이블들로서 단순히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용어 "레거시"는 구식의 임의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되지 말아야 하며, 실제로, 본 명세서에서 레거시 장치들 및 반송파(들)라고 지칭되는 장치들 및 반송파(들)는 LTE 표준들의 향후 릴리스, 예를 들어, Rel11 및 그 이상에 호환되는 장치들 및 반송파(들)에 동등하게 대응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그리고 상기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DMN은 오직 기본적인 메시징 서비스들만을 독점적으로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지칭하는 것으로 여기지 말아야 한다. 또한, (예를 들어, 감소된 성능 때문에) 제1 클래스의 장치와 제1 반송파의 동작 표준들에 완전히 호환적이지 않은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제2 클래스의 장치와 제2 반송파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 자체의 표준들에 호환적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제1 및 제2 클래스의 장치 및 반송파들 모두에 관한 기능성은 향후의 표준, 예를 들어, LTE 표준의 향후의 릴리스의 다양한 양태들에 호환될 수 있다.
도 2는 이동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가능한 스펙트럼 내에서 대역폭에 레거시 반송파와 DMN 반송파가 할당될 수 있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 예에서, 레거시 반송파는 20MHz의 대역폭을 갖고, DMN 반송파는 1.4MHz의 대역폭을 갖고, DMN 반송파는 더 높은 주파수에 있고, 두 개의 반송파는 바로 인접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히 하나의 구성예를 반영하고 다른 실시예들은 이용가능한 스펙트럼 내의 다른 반송파 대역폭들 및 상대적 반송파 배치들을 채택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의 목적을 위해, 레거시 반송파는 LTE Rel10 반송파이고, DMN 반송파는 LTE Rel10 반송파와 공통적인 몇몇 양태들을 갖지만, (예를 들어, 산발적인 짧은 메시지 트래픽을) 일차적으로 지원하도록 의도된 트래픽 타입의 특정 서브세트에 관해 그의 동작을 최적화하기 위해 다른 몇몇 양태들을 갖는다고 가정된다. 원칙적으로, DMN은 상호 호환성 또는 동작의 유사성이 전혀 없이 레거시 네트워크에 대해 근본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레거시 타입의 네트워크들은 잘 규정되고, 연관된 동작 양태들의 많은 부분은 DMN 반송파들에 대해 최적화되고 동등하게 적합화된다. 또한, DMN 반송파를 기존의 네트워크들과 동일한 원리들에 적어도 대체적으로 기초시킴으로써, 그렇지 않을 수 있는 경우보다 더 용이하게 네트워크의 그러한 새로운 타입들의 출시 및 도입을 또한 허용한다. 예를 들면, 하기에서 설명되는 특정 실시예들 중 일부에서, DMN 및 레거시 네트워크들은 LTE Rel8/9/10 반송파들에 규정된 바와 같은 동일한 동기화 신호 구조 및 동일한 물리 방송 채널(PBCH) 구조를 공유한다고 가정된다. 그러나, DMN이 정상적인 동작의 측면에서 LTE Rel10 네트워크와 어떻게 다를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상세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캠프-온 절차들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캠프-온 동안 적절한 셀 선택(즉, 레거시와 DMN 반송파 간의 선택)의 문제에 대한 두 개의 측면이 있고, 이들을 차례로 설명할 것이다. 제1 측면은 DMN 반송파에 캠프-온하는 것을 의도하는 DMN 장치들에 의한 셀 선택에 관한 것이고, 제2 측면은 레거시 반송파에 캠프-온하는 것을 의도하는 레거시 장치들에 의한 셀 선택에 관한 것이다.
DMN 장치들에 의한 반송파 선택: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N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셀 선택 절차의 일부 양태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예를 들어, 전원 투입에 뒤이어서 반송파에 캠프-온하고자 하는 DMN 장치는 그의 위치에서 방송되고 있는 PSS와 SSS 시그널링을 식별하고 디코딩하고자 한다. 일단 DMN 장치가 PSS 및 SSS를 사용하여 반송파에 동기화되면, DMN 장치는 프레임 타이밍을 결정하고, 반송파에 대한 MIB를 결정하기 위해 PBCH 디코딩을 진행한다. 여기서는 DMN 장치가 관련 표준들에서 정해진 알려진 방식으로 이 동기화 및 PBCH 디코딩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레거시 및 DMN 반송파들은 동일한 PSS, SSS 및 PBCH 구조들을 채택한다고 가정한다. 이 동기화 및 PBCH 디코딩 단계는 도 3a의 단계 A1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단계 A2에서, DMN 장치는 MIB에서 시그널링된 정보로부터 반송파 대역폭(dl-대역폭)을 도출하고 이것이 DMN 장치의 대역폭 운영 성능에 호환하는지를 판정한다. 즉, DMN 장치는 그의 동작 대역폭(예를 들어, 1.4MHz)을 알고, DMN 장치가 캠프-온하고자 하는 반송파의 시그널링된 대역폭과 이것을 비교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대역폭 할당의 예를 참조하면, DMN 장치가 레거시 반송파에 동기화했다면, MIB에 시그널링되는 dl-대역폭은 20MHz의 반송파 대역폭을 나타낼 것이고, DMN 장치가 DMN 반송파에 동기화했다면, MIB에 시그널링되는 dl-대역폭은 1.4MHz의 반송파 대역폭을 나타낼 것이다.
단계 A2에서, DMN 장치가 시그널링된 반송파 대역폭이 DMN 장치의 동작 대역폭보다 크다고 판단한다면, DMN 장치는 레거시 장치들에 대해 의도된 네트워크에 캠프-온하고자 한다고 가정되고, 처리는 "예"로 표시된 분기를 따라 단계 A3으로 진행하여, 그 단계에서 DMN 장치는 현재의 캠프-온 절차를 종료하고 다른 반송파에 대한 PBCH와 동기화하고 그것을 디코드하고자 단계 A2로 복귀함으로써 다른 반송파에 캠프-온하고자 한다.
그러나, 단계 A2에서 DMN 장치가 시그널링된 반송파 대역폭이 DMN 장치의 동작 대역폭 이하라고 판정한다면, DMN 장치는 DMN 장치들에 의도된 네트워크에 캠프-온한다고 가정하고, 처리는 "아니오"로 표시된 분기를 따라 단계 A4로 진행하여, 그 단계에서 캠프-온 절차가 예를 들어, 무선 반송파 캠프-온 절차들을 위한 광범위한 통상의 기술들에 따라 계속된다.
따라서, 도 3a의 처리의 원리들에 따르면, 여러 반송파들 중에서 반송파를 선택하고자 하는 클래스의 장치는 반송파들 중 하나와 동기화하고, 반송파에 대한 마스터 정보 블록 방송에 시그널링된 정보로부터 반송파의 동작 대역폭을 결정하고, 반송파의 동작 대역폭의 값에 기초하여 그 반송파의 선택을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MN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셀 선택 절차의 일부 양태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b의 단계 B1은 도 3a의 대응하는 단계 A2와 유사하고 상기의 그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도 3b의 처리에 따르면, DMN 반송파는 반송파가 DMN과 연관되어 있다는 특수한 인디케이션(indication)을 방송하도록 구성되고, 반송파에 캠프-온하기를 원할 수 있는 DMN 장치들은 네트워크의 적합성의 확인으로서 이 인디케이터를 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DMN 인디케이터 플래그는 LTE Rel8/9/10(현재 10비트의 스페어가 있음)에서 스페어인 MIB 비트들 중 하나(또는 그 이상)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것은 DMN 장치가 MIB의 디코딩에 바로 뒤이어서 캠프-온을 진행할지(또는 안 할지)를 결정하도록 허용할 것이다. 다른 예에서, DMN 인디케이터 플래그는 MIB 자체에 시그널링되지 않을 수 있지만, 그 대신에 특정 시간/주파수 또는 예를 들어, MIB에 상대적인 시간/주파수 오프셋 등 소정의(또는 예를 들어, dl-대역폭에 기초한 소정의 스킴) 전송 자원에 방송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B2에서 DMN 장치는 반송파가 DMN 인디케이터/플래그를 방송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이 예에서, 또한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DMN은 PBCH의 MIB에 DMN 인디케이터를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지만,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플래그는 PBCH 외부에 동등하게 시그널링될 수 있다고 가정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점에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의 중요한 양태는, 반송파의 임의의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디코딩하는 것이 요구되기 전에, DMN 인디케이터의 존재가 DMN 장치에 의해 추론가능하다는 것인데, 이것은 DMN 장치가 "잘못된" 반송파에 캠프-온하고자 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단계 B2에서 DMN 장치가, 반송파가 소정의 DMN 인디케이터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면, DMN 장치는 레거시 장치들에 의도된 반송파에 캠프-온하고자 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처리는 "아니오"로 표시된 분기를 따라 단계 B3으로 진행하여 그 단계에서 DMN 장치는 현재의 캠프-온 절차를 종료하고, 다른 반송파에 대한 PBCH와 동기화하고 그것을 디코딩하고자 하기 위해 단계 B2로 복귀함으로써 다른 반송파에 캠프-온하고자 한다.
그러나, 단계 B2에서 DMN 장치가 반송파가 예상되는 DMN 인디케이터를 포함한다고 판정한다면, DMN 장치는 DMN 장치들에 의도된 반송파에 캠프-온하고자 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처리는 "예"로 표시된 분기를 따라 단계 B4로 진행하여 그 단계에서 캠프-온 절차가 예를 들어, 무선 반송파 캠프-온 절차들을 위한 광범위한 통상의 기술들에 따라 계속된다.
따라서, 도 3b의 처리의 원리들에 따르면, 여러 반송파들 중에서 반송파를 선택하고자 하는 클래스의 장치는 반송파들 중의 하나와 동기화하고, 네트워크가 장치의 그 클래스에 의해 선택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반송파가 방송하고 있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가 적합하다는 장치의 클래스의 인디케이터는 장치가 임의의 SIB들을 디코딩하기 전에 통신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그것은 PBCH에 포함될 수 있거나, 관련 장치의 클래스에 대해 의도된 반송파에 인디케이터를 통신하기 위해 따로 마련된 특정 또는 유도 가능한 송신 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일부의 예시적인 구현들은 도 3a 및 도 3b의 양태들을 함께 결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두 개 모두의 절차를 순차적으로 구현하는 것은 DMN 장치들에 대한 더욱 강력한 반송파 선택 스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된 처리의 양태들은, 상대적으로 작은 대역폭들을 갖는 레거시 반송파들이 또한 있을 수 있는 경우에 반송파들 간에 구별하는 것을 돕기 위해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처리에 기초한 구현에 통합될 수 있다.
레거시 장치들에 의한 반송파 선택:
DMN 장치들에 의한 반송파 선택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기재된 것들과 원칙적으로 유사한 기술들은, 레거시 반송파에 캠프-온하고자 하는 장치들의 맥락에서 대응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문제는 전술한 DMN 장치 반송파 선택 메커니즘들이 LTE Rel8/9/10 등의 관련 표준들에 현재 규정된 것으로부터 DMN 장치들/반송파를 위해 수정된 거동에 어느 정도 의존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b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종류의 장치 클래스 인디케이터를 탐색하기 위해, 또는 도 3a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MIB에 시그널링되는 dl-대역폭의 값에 기초하여 캠프-온 거동을 수정하기 위해, 유저 단말기에 대한 현재의 표준들에는 대비가 전혀 없다. 따라서, 상이한 방법들이 레거시 장치들 또는 반송파(들)에 있어서 거동의 또는 시그널링의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고 DMN 반송파들의 존재에 반하여 레거시 반송파를 적절하게 선택하기 위해 기존의 표준들에 호환적인 레거시 장치들을 돕기 위해 상이한 방법들이 하기에 제안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레거시 장치가 레거시 반송파에 캠프-온하는 처리는 전체적으로 통상의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고, 하기에서 설명되는 메커니즘들은 레거시 장치가 DMN 반송파에 캠프-온하고자 하는 것을 방지하는 절차들에 주로 초점을 둔다. 무엇보다, 이것은, 적어도 몇몇 실시예들에서, 캠프-온 절차에 있어서 일찍 DMN 반송파로부터 레거시 장치들을 거부하는 쪽의 관점에서 행해진다.
원칙적으로 DMN 반송파는, 레거시 장치가 DMN 반송파에 캠프-온을 시작하려고 시도조차 하지 못할 수 있도록 LTE Rel8/9/10과 호환되지 않는 새로운 동기화 시그널링 스킴을 채택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레거시와 DMN 반송파들 간의 호환성의 기초적인 어떤 레벨들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이유가 있다. 이것을 염두에 두면, DMN 반송파는 원칙적으로 기존의, 예를 들면, LTE Rel/8/9/10 캠프-온 절차들과 완벽하게 호환되는 캠프-온 절차를 채택할 수 있고, 레거시 장치가 그들을 레거시 반송파에 재지향시키기 전에 정상적인 방식으로 DMN에 등록을 완료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DMN 장치들에 대한 캠프-온 절차가 DMN의 상이한 특성들과 레거시 네트워크 트래픽 패턴들과 장치 요건들을 고려하여 최적화되도록 허용하는 유연성을 감소시킨다. 즉, 이 방법은, 몇몇 구현들에서 요망될 수 있는 것보다 레거시 반송파들과의 더 많은 호환성을 DMN 반송파가 지원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또한, 레거시 장치가 다른 데로 지향되기 전에 DMN 반송파에 대한 캠프-온 절차를 완료하도록 허용하는 것은, DMN에 대한 증가된 전체 시그널링 부하를 초래하고, 또한 등록 절차에 있어서 지연될 것이어서, 유저들에게 불만스러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어떤 경우들에서, DMN이 레거시 네트워크에 호환/역호환적인 것이 바람직한 정도에 따라, 즉, 각 클래스의 장치에 대한 각각의 반송파들 간에 요망되는 호환성 정도에 기초하여, 캠프-온 절차의 다른 단계들에서 레거시 장치들이 DMN 반송파에 캠프-온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캠프-온 절차의 상이한 단계들에서, 그리고 LTE Rel8/9/10을 준수하는 유저 단말이 따라야 할 특정 캠프-온 절차에서, 제2 클래스/타입의 장치들(예를 들어, DMN/MTC 타입 장치들)에 의해 이용되도록 일차적으로 의도된 반송파들에 제1 클래스/타입의 장치들(예를 들어, 레거시 장치들)이 캠프-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상이한 메커니즘들을 확립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캠프-온/셀 선택 절차들과 호환적인 클래스의 장치가 DMN의 캠프-온/셀 선택 절차들을 완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LTE Rel8/9/10 캠프-온 절차의 상이한 단계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을 식별했다. 이러한 상이한 기술들은 대체로 캠프-온 절차에서 얼마나 일찍 그들이 적용될 수 있는지의 순서로 하기에서 설명된다. 이 기술들 중 다양한 것들은 예를 들어, 레거시 장치들이 DMN 반송파에 캠프-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상이한 방법들을 제공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또는 기술들 중 다른 것들과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기술들은 설명의 목적을 위해 대체로 세 개의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룹들은, (1) 물리층 검사, (2) 시스템 정보 블록1(SIB1) 검사, 및 (3) 초기 액세스 검사라고 지칭될 수 있고, 하기에서는 다른 기술들이 대체적으로 이 순서로 설명된다. 이 기술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통상의 캠프-온 절차들의 다양한 양태들을 참조할 것이고, 특별한 실시예들이 이와 관련하여 LTE Rel8/9/10의 확립된 셀 선택/캠프-온 절차들을 참조하여 예시될 것이다. LTE Rel8/9/10과 연관된 일반적인 셀 선택 절차들과, 연관된 용어와 두문자어들은 잘 알려져 있고, 관련 표준들에 잘 정의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간결성을 위해 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의 대부분에서, 레거시 장치(들)/반송파(들)가 LTE Rel8/9/10의 확립된 셀 선택/캠프-온 절차들을 따르도록 구성되고, DMN 장치(들)/반송파(들)가 또한 이 셀 선택/캠프-온 절차들의 동일한 일반적인 원리들 및 단계들을 따르지만, 바람직한 거동을 유발하기 위해 수정들/차이들을 갖도록 구성된다. 특히, 하기의 실시예들의 설명은, 레거시 장치가 그 자체의 캠프-온 절차들과 다른 방식으로 거동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레거시 장치가 DMN 반송파에 캠프-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DMN 반송파의 셀 선택/캠프-온 절차들이 레거시 반송파의 셀 선택/캠프-온 절차들과 어떻게 다를 수 있는지에 초점을 둔다.
레거시 장치들에 의한 반송파 선택을 위한 물리층 검사:
레거시 장치가 DMN 반송파에 캠프-온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기 위한 하나의 메커니즘은 DMN 반송파의 MIB(PBCH)가 레거시 반송파의 MIB(PBCH)에 비해 상이하게 인코딩/스크램블링되었도록, DMN 반송파를 구성하는 것일 것이다. 여기서 레거시와 DMN 반송파들은 동일한 동기화 시그널링 절차들(예를 들어, PSS 및 SSS)을 채택하여, 두 개의 클래스의 장치가 예를 들어, 정의된 LTE Rel8/9/10 동기화 절차들을 따라,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에 동기화할 수 있다고 가정된다. 그러나, DMN 반송파의 MIB에 대한 상이한 코딩은 이 MIB에 액세스하는 레거시 장치의 능력을 저해할 것이므로, 장치에 의존하는 시도의 횟수 후에 그것은 이러한 상황들에서 LTE Rel8/9/10 장치에 대한 정의된 거동에 따라 그 특정 반송파에 대한 그의 캠프-온 절차를 종료할 것이고 다른 반송파를 구한다. 한편, DMN 장치는, DMN 장치가 MIB를 디코딩할 수 있고 캠프-온 절차를 진행할 수 있도록 다르게 인코딩/스크램블링된 DMN 반송파의 MIB를 디코딩하는 능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떤 구현들에서, DMN 장치들은 DMN 반송파들의 MIB를 디코딩하는 능력(예를 들어, 관련 디코딩 스킴(들)의 지식)을 갖지만 레거시 반송파들의 MIB를 디코딩하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메커니즘은 두 개의 클래스의 장치가 "잘못된" 타입의 반송파(즉, 다른 한쪽 클래스의 장치에 대해 일차적으로 의도된 반송파)에 캠프-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DMN 장치들은 레거시 및 DMN 반송파들 둘 다의 각각의 MIB들을 디코딩하는 능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적합한 DMN 반송파가 이용가능하지 않다면, DMN 장치들이 레거시 반송파를 폴-백(fall-back)으로서 사용하도록 허용할 것이다. 예를 들어, DMN 장치들은 먼저, MIB의 DMN의 코딩 스킴을 가정하여 셀 선택을 수행함으로써 DMN의 반송파에 캠프-온하기 위해 시도하고, DMN 장치가 소정의 시간 또는 시도 횟수 후 DMN 반송파에 캠프-온하는 것을 성공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레거시 반송파에 캠프-온하고자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a는 레거시 및 DMN 타입 반송파들을 둘 다 포함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에서 좌절된 MIB 획득 방식에 따라 레거시 장치가 반송파에 캠프-온하고자 거동할 수 있는 방법의 일부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예를 들어, 전원 투입에 뒤이어서 반송파에 캠프-온하고자 하는 레거시 장치는 그의 위치에서 방송되고 있는 PSS와 SSS 신호들을 식별하고 디코딩하고자 한다.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여기서 레거시 및 DMN 반송파들은 호환적인 동기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레거시 장치가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와 동기화할 수 있다고 가정된다. 이 동기화 단계는 도 4a의 단계 C1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단계 C2에서 레거시 장치는 MIB를 판독하기 위해 PBCH를 디코딩하고자 한다.
단계 C2에서 예를 들어, 반송파가 레거시 장치의 운영 표준들에 따라 규정된 것과 다른 PBCH 코딩 스킴을 구현하는 DMN 반송파이기 때문에, 레거시 장치가 MIB를 판독하지 못한다면, 레거시 장치는 LTE Rel8/9/10 표준들에 따라 현재의 반송파에 캠프-온하기 위한 그의 시도를 종료할 것이다. 이것은 도 4a에서 단계 C3에 이르는 "아니오"로 표시된 처리 분기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그 단계에서 장치는 현재의 캠프-온 절차를 종료하고 다른 반송파에 캠프-온하고자 한다.
그러나, 단계 C1에서 레거시 장치가 동기화된 반송파가 레거시 반송파라면, 장치는 정상적인 방식으로(어떤 관련없는 문제가 없다고 가정함) 단계 C2에서 PBCH의 MIB를 디코딩할 수 있을 것이고, 처리는 단계 C2로부터 단계 C4까지의 "예" 분기를 따를 것이고 후자의 단계에서 장치의 캠프-온 절차가 통상의 기술들에 따라 계속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a의 처리의 원리에 따르면, 원격통신 시스템은 두 개의 클래스의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를 포함하고,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에 대한 동기화 절차들은 서로 호환적이지만, 반송파들 각각의 마스터 정보 블록을 판독하기 위한 절차들은 호환적이지 않다. 따라서, 제1 클래스의 장치는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에 동기화할 수 있지만,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 중 하나에 대해 반송파 대역폭, 시스템 프레임 번호, 및 PHICH 구성 등의 기본적인 반송파 정보를 판독할 수 없으므로, 이 반송파에 대한 캠프-온 절차를 완료하는 것이 방지된다. 중대하게, 이것은, 캠프-온 절차의 초기 단계에서 달성되고 제1 클래스의 장치의 거동에 대해 어떠한 수정도 필요로 하지 않고 달성할 수 있다.
레거시 장치가 DMN 반송파에 캠프-온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돕기 위한 다른 메커니즘은 PCFICH가 레거시 반송파의 PCFICH에 비해 상이하게 인코딩/스크램블링되었도록 DMN 반송파를 구성하는 것일 것이다. 그러한 경우에, 레거시와 DMN 반송파들은 동일한 동기화 시그널링 절차들 및 PBCH 코딩을 채택할 수 있어서, 두 개의 클래스의 장치가 예를 들어, 정의된 LTE Rel8/9/10 동기화 절차들을 따라,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에 동기화할 수 있고 각각의 MIB들을 판독할 수 있다. 그러나, DMN 반송파의 PCFICH에 대한 상이한 코딩은 캠프-온 절차의 이 단계를 너머 진행하는 레거시 장치의 능력을 저해할 것이다. 한편, DMN 장치는 DMN 반송파의 변형된 PCFICH를 디코딩하는 능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DMN 장치가 이것을 할 수 있고 캠프-온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 DMN 반송파의 PCFICH는 레거시 반송파에 대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코딩될 수 있지만, DMN 반송파의 대응하는 제어 포맷 인디케이터(Control Format Indicator: CFI)는, 레거시 장치가 판독할 수 있지만, 레거시 장치가 캠프-온 절차를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소정의 값을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N 반송파는, 레거시 반송파의 예비된 CFI, 예를 들어, 모두 제로에 대응하는 CFI 코드 워드를 채택할 수 있다.
상기에서 논의된 PBCH의 MIB에 대해, 동일한 이유들로, 일부 구현들에서는, DMN 장치가 DMN 반송파들의 PCFICH만을 적절하게 디코딩하는 능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고, 다른 구현들에서는, DMN 장치가 레거시 및 DMN 반송파들 둘 다의 각각의 PCFICH들을 적절하게 디코딩하는 능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b는 레거시 장치가 레거시 및 DMN 타입 반송파들을 둘 다 포함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에서 좌절된 PCFICH 디코딩 방식에 따라 반송파에 캠프-온하고자 거동할 수 있는 방법의 일부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예를 들어, 전원 투입에 뒤이어서 반송파에 캠프-온하고자 하는 레거시 장치는 그의 위치에서 방송되고 있는 PSS와 SSS 신호들을 식별하고 디코딩하고자 한다.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여기서 레거시 및 DMN 반송파들이 호환적인 동기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레거시 장치가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와 동기화할 수 있다고 가정된다. 이 동기화 단계는 도 4b의 단계 D1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반송파와의 동기화 후에, 레거시 장치는 반송파 MIB를 판독하기 위해 PBCH를 디코딩하고자 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예에서 레거시 및 DMN 반송파들이 호환적인 PBCH 코딩 방식을 사용하여, 레거시 장치가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의 MIB를 판독할 수 있다고 가정된다. 이 PBCH 디코딩 단계는 도 4b의 단계 D2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단계 D3에서 레거시 장치는 CFI를 판독하기 위해 PCFICH를 디코딩하고자 한다.
단계 D3에서, 반송파가 레거시 장치의 운영 표준들에 따라 규정된 것과 다른 PCFICH 코딩 스킴을 구현하는 DMN 반송파이기 때문에, 레거시 장치가 CFI를 판독하지 못한다면, 레거시 장치는 LTE Rel8/9/10 표준들에 따라 현재의 반송파에 캠프-온하기 위한 그의 시도를 중단할 것이다. 이것은 도 4b에서 단계 D4로 이르는 "아니오"로 표시된 처리 분기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그 단계에서 장치는 현재의 캠프-온 절차를 종료하고 다른 반송파에 캠프-온하고자 한다.
그러나, 단계 D1에서 레거시 장치가 동기화한 반송파가 레거시 반송파라면, 장치는 정상적인 방식으로(어떤 관련없는 문제가 없다고 가정함) 단계 D3에서 PCFICH의 CFI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고, 처리는 단계 D3으로부터 단계 D5까지 "예" 분기를 따를 것이고 후자의 단계에서 장치의 캠프-온 절차가 통상의 기술들에 따라 계속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b의 처리의 원리들에 따르면, 원격통신 시스템은 두 개의 클래스의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를 포함한다.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에 대한 동기화 절차들과 MIB 코딩은 서로 호환적이지만, 사용가능한(즉, 캠프-온 절차가 진행하도록 허용하는 관념에서 사용가능한) CFI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들은 호환적이지 않다. 따라서, 제1 클래스의 장치는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와 동기화할 수 있고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에 대한 반송파 대역폭 등의 기본적인 반송파 정보를 판독할 수 있지만, 제1 클래스의 장치는 반송파 타입들 중 하나에 대한 제어 포맷의 사용가능한 인디케이션을 판독할 수 없다. 이것은, 이 반송파가 CFI를 통신하기 위한 상이한 인코딩/스크램블링 스킴을 사용하기 때문일 수 있거나, 또는 반송파가 제1 클래스의 장치에 대해 예비된(즉, 사용가능하지 않은) 인디케이터인 제어 포맷 인디케이터를 채택하기 때문일 수 있다. 한편, 제2 클래스의 장치는, PCFICH를 적절하게 디코딩하고/사용가능한 CFI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으로써, 제2 클래스의 장치들이 제2 타입의 반송파에 캠프-온하는 것을 진행하도록 허용한다. 예를 들어, 제2 클래스의 장치는 제2 타입의 반송파의 CFI에 대한 상이한 코딩 스킴을 고려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CFI가 동일한 방식으로 코딩되지만 제1 클래스의 장치의 예비된 코드워드로 설정되는 경우에, 예비 값을 검출하는 것에 뒤이어서 유효한 CFI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MN 반송파는 고정된 제어 포맷으로 작동하도록 정의될 수 있으므로, 진정한 CFI가 유효하게 미리 정해진다. 대안적으로, DMN 반송파는, DMN 반송파들을 위해 새롭게 정의된 별도의 송신시에 반송파를 DMN 반송파로서 나타내기 위해 초기에 사용된 예비된 값을 교체하기 위해 CFI 정보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LTE 호환성 레거시 장치가 DMN 반송파에 캠프-온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기 위한 다른 메커니즘은 DMN 반송파의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1(SIB1)이 레거시 장치들에 의해 디코딩될 수 없도록, DMN 반송파를 구성하는 것일 것이다. LTE Rel8/9/10의 확립된 캠프-온 절차들에 따라, SIB1을 획득할 수 없는 장치는 셀을 금지된 것으로서 취급할 것이고 셀 재선택을 수행할 것이다. 한편, DMN 장치는 DMN 반송파의 SIB1을 판독하여 캠프-온 절차를 진행하는 능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Rel8/9/10에 따라, SIB1은 MIB에 송신된 시스템 프레임 번호에 관련된 지정된 시간들에 다운링크 반송파를 통해 전송된다. 그러나 사용되는 특정 주파수 자원 및 전송 블록 크기는 시스템 정보(SI) RNTI(Rel8/9/10에서 모두 일(FFFF)임)와 CRC가 스크램블링되는 종래의 방식으로 PDCCH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시그널링된다. 따라서 레거시 장치가 DMN 반송파의 SIB1을 적절하게 획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레거시 반송파에 비해 DMN 반송파의 SIB1의 시그널링이 수정될 수 있는 다수의 방식들이 있다. 예를 들어, DMN 반송파의 SIB1에 대한 PDCCH는 레거시 반송파의 SIB1에 대한 PDCCH에 비해 (시스템 프레임 번호에 관련된) 다른 시간들에 전송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레거시 장치들이 DMN 반송파의 PDSCH의 SIB1 콘텐츠를 획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두 개의 다른 타입의 반송파의 SIB1에 대해 다른 PDCCH 포맷들이 이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다른 CRC 스크램블링, 또는 기타 다른 코딩/스크램블링 절차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기술들에 공통으로, DMN 장치들은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에 또는 단지 DMN 반송파에 캠프-온하는 능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MN 장치는 DMN 반송파들에서 SIB1을 획득하는 능력을 갖지만 레거시 반송파에서는 획득하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기술들과 같이, 이 메커니즘은 어느 한쪽 클래스의 장치가 "잘못된" 타입의 반송파(즉, 다른 한쪽 클래스의 장치에 대해 일차적으로 의도된 반송파)에 캠프-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DMN 장치들은 레거시 및 DMN 반송파들 둘 다에 대해 SIB1을 획득하는 능력을 갖고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적절한 DMN 반송파가 사용가능하지 않았다면, DMN 장치들은 레거시 반송파를 폴-백으로서 사용하도록 허용할 것이다.
어떤 점들에 있어서, DMN 반송파에 캠프-온하기 위해 시도하는 레거시 장치들에 대해 SIB1의 획득을 좌절시키는 것에 기초한 방법은, 레거시 장치가 SIB1을 획득할 수 없다고 결론을 내고 셀 재선택을 수행하기 전에 지연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다른 기술들 중 일부에 비해 더 많은 대기 시간을 야기할 수 있다. 한편, DMN 반송파의 설계의 관점에서, SIB1이 역호환 방식으로 시그널링될 필요가 없다.
도 4c는 레거시 장치가 레거시 및 DMN 타입 반송파들 둘 다를 포함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에서 이 좌절된 SIB1 획득 방식에 따라 반송파에 캠프-온하고자 거동할 수 있는 방법의 일부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예를 들어, 전원 투입에 뒤이어서 반송파에 캠프-온하고자 하는 레거시 장치는 그의 위치에서 방송되고 있는 PSS와 SSS 신호들을 식별하고 디코딩하고자 한다. 다시, 여기서 레거시 및 DMN 반송파들이 호환적인 동기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레거시 장치가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와 동기화할 수 있다고 가정된다. 이 동기화 단계는 도 4c의 단계 E1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반송파와의 동기화 후에, 레거시 장치는 반송파 MIB를 판독하기 위해 PBCH를 디코딩하고자 한다. 다시, 이 예에서 레거시 및 DMN 반송파들이 호환적인 PBCH 코딩을 사용하여, 레거시 장치가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의 MIB를 판독할 수 있다고 가정된다. 이 PBCH 디코딩 단계는 도 4c의 단계 E2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MIB를 획득한 후에, 레거시 장치는 반송파 CFI를 판독하기 위해 PCFICH를 디코딩하고자 한다. 또한, 이 예에서 레거시 및 DMN 반송파들이 호환적인 PCFICH 코딩을 사용하여, 레거시 장치가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의 CFI를 판독할 수 있다고 가정된다. 이 PCFICH 디코딩 단계는 도 4c의 단계 E3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단계 E4에서 레거시 장치는 SIB1을 획득하고자 한다.
단계 E4에서, 예를 들어, 대응하는 PDCCH 시그널링이 예상된 시간들에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PDCCH 정보가 레거시 장치가 기대한 것과 다르게 코딩되기(예를 들어, 그것이 다른 SI-RNTI를 사용함) 때문에, 레거시 장치가 SIB1을 획득하지 못한다면, 레거시 장치는 LTE Rel8/9/10 표준들에 따라 현재의 반송파에 캠프-온하기 위한 그의 시도를 종료할 것이다. 이것은 도 4c에서 단계 E5로 이르는 "아니오"로 표시된 처리 분기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그 단계에서 장치는 현재의 캠프-온 절차를 종료하고 다른 반송파에 캠프-온하고자 한다.
그러나, 단계 E1에서 레거시 장치가 동기화한 반송파가 레거시 반송파라면, 장치는 정상적인 방식으로 단계 E4에서 SIB1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고, 처리는 단계 E4로부터 단계 E6까지 "예" 분기를 따를 것이고 후자의 단계에서 레거시 장치의 캠프-온 절차가 통상의 기술들에 따라 계속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c의 처리의 원리들에 따르면, 원격통신 시스템은 두 개의 클래스의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를 포함한다.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에 대한 동기화 절차들과 MIB 및 CFI 코딩은 서로 호환적이지만, 캠프-온 절차를 완료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 정보, 예를 들어, SIB1을 획득하기 위한 절차들은 호환적이지 않다. 따라서, 제1 클래스의 장치는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와 동기화할 수 있고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에 대한 반송파 대역폭, 시스템 프레임 번호, 및 지시된 제어 포맷 등의 반송파 정보를 획득할 수 있지만, 제1 클래스의 장치는 반송파에 대한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ity Network: PLMN) 아이덴티티 리스트 등의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
더 일반적으로, 물리층 검사라고 지칭되는 전술한 기술들은, 원격통신 시스템이 두 개의 클래스의 장치를 지원하는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를 포함하고, 각각의 반송파들의 캠프-온 절차들과 연관된 물리층 시그널링의 적어도 초기 양태는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에 대해 호환적이어서(예를 들어, 호환적인 동기화 시그널링), 두 개의 클래스의 장치가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에 대한 캠프-온 절차를 적어도 시작할 수 있지만,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에 대한 캠프-온 절차들과 연관된 물리층 시그널링의 후속 양태(예를 들어, PBCH, PCFICH, 또는 SIB1 획득)는 호환적이지 않아서, 클래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클래스의 장치는 네트워크 타입들 중 하나의 타입의 네트워크에 캠프-온할 수 없는, 기술들로서 광의로 특징화될 수 있다.
레거시 장치들에 의한 반송파 선택에 대한 시스템 정보 블록1 ( SIB1 ) 검사:
물리층 검사라고 지칭되는 전술한 기술들은 물리층 시그널링의 레벨에서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 간의 적어도 부분적인 비호환성을 제공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목표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하기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의 그룹은 레거시 장치들이 DMN 반송파들의 SIB1을 성공적으로 획득할 수 있고, 레거시 장치가 SIB1 콘텐츠에 기초하여 캠프-온 절차를 완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메커니즘들을 제공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기술들은 SIB1 검사라고 본 명세서에서 지칭된다. 상기에서 논의된 물리층 검사에 기초한 기술들 중 일부에 비해 SIB1 검사에 기초한 기술들 중 일부의 잠재적 이점은 감소되는 대기 시간이다. 이것은, 어떤 SIB1 기술들이 현재의 캠프-온 절차를 중단해야 한다는 적극적인 결정을 하기 위한 능력을 레거시 장치에 유효하게 제공할 수 있지만, 많은 물리층 기반 기술들은 어떤 것이 잘못된 것 같기 때문에 레거시 장치가 그의 현재의 캠프-온 절차를 포기하도록 유발하는 것에 기초하기 때문이다. 어떤 상황들에서, 레거시 장치는, 포기하기 전에, 예를 들어, 재시도 스케줄 때문에, DMN 반송파에 캠프-온하기 위해 시도하며 비교적 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이것은, 어떤 경우들에서 레거시 장치가 DMN 반송파에 캠프-온하기 위한 시도가 더 진행하는 것을 허용하여 캠프-온 절차를 종료해야 한다는 것을 유효하게 적극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단계에 도달하는 것이 전체적으로 더 빨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하기의 기술들에 따르면, DMN 반송파는, 적어도 레거시 장치가 SIB1을 획득하는 것을 허용할 정도로 SIB1의 획득과 연관된 물리층 시그널링을 지원한다고 가정된다. 원칙적으로, DMN 반송파는 이것을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DMN 장치들에 대한 다른 캠프-온 절차를 지원할 수 있다.
일단 SIB1의 콘텐츠가 반송파에 캠프-온하고자 하는 레거시 장치에 의해 디코딩되었다면, 장치는 셀이 금지되어 있는지, 사용중인 PLMN 아이덴티티들, 및 임의의 폐쇄 가입자 그룹의 세부 사항을 판정할 수 있다. 하기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들 정보 중 임의의 것은 레거시 장치들의 캠프-온 절차를 종료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서 DMN 반송파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 SIB1 단계에서, 레거시 장치들의 DMN 반송파에 대해 시도된 캠프-온 절차를 중단할 때, 레거시 장치들은 캠프-온 절차의 비교적 초기에 그들의 캠프-온 절차를 종료하게 될 수 있다. 캠프-온 절차의 이른 종료로부터의 이 혜택뿐만 아니라, 더 이상의 레거시 호환 SIB들이 DMN 반송파에 전송될 필요가 없다. 또한, DMN 특정 SIB들은 역호환적일(즉, 레거시 장치들에 의해 판독가능할) 필요가 없는 포맷으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시도에 의해, DMN 반송파는 레거시 LTE 장치들이 SIB1을 판독(그리고 캠프-온 시도를 포기하도록 결정)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최소량의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해 특정 서브-프레임들에 한정된 레거시 LTE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뿐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 방식은 어떤 방식들에서는, 레거시 반송파와는 실질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DMN 반송파에 대해 레거시 장치들로 캠프-온 종료 지시를 통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것은 레거시 장치들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역호환적 SIB1을 DMN 반송파가 포함할 수 있기 위해 DMN 반송파에 있어서 레거시 반송파 타입 다운링크 제어(즉, PDCCH)의 제한적인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레거시 PDCCH 시그널링은 SIB1이 레거시 반송파에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들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들에만 존재할 뿐일 수 있다. 소정의 구현에서 레거시 장치가 SIB들을 더 판독할 것이 요구되어야 한다면, 레거시 PDCCH 시그널링은 그러한 추가 SIB1들이 존재하는 서브-프레임들에 또한 제공될 수 있다. DMN 반송파에 대해 레거시 PDCCH 시그널링이 제공되는 서브-프레임들에서는, 또한 레거시 반송파 타입 참조 기호들, PCFICH 및 PHICH(PHICH에 대한 어떤 경우들에서는, 물리 채널의 위치만이 동일할 수 있고, 콘텐츠들은 다를 수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또한 적절할 수 있다. 다른 서브-프레임들, 즉, 레거시 장치가 반송파를 판독할 필요가 없는 서브-프레임들에서, 아마도 DMN 반송파에 있어서 레거시 PDCCH 시그널링이 없을 것이다. 레거시 장치들/반송파들과 어느 정도의 호환성을 제공하는 시그널링, 예를 들어, SIB1에 관련된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DMN 반송파의 서브-프레임들은 또한 레거시 장치와 호환적이지 않은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N 반송파는 또한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에 레거시 특정 신호 시그널링 및 별도의 DMN 특정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SIB1 검사에 기초한 하나의 방법은 WCDMA MBSFN 및 IMB MBSFN에 채택되는 것 같은 셀 금지(cell barring)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셀 금지는 DMN 반송파의 SIB1에 플래그를 설정함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다. DMN 반송파에 캠프-온하고자 하는 레거시 장치는 액세스가 금지되고 캠프-온 절차를 종료할 것이고 셀 재선택을 수행할 것이다. 그러나, DMN 장치는 DMN 장치가 캠프-온 절차를 진행할 수 있도록 셀 금지 인디케이션의 이러한 형태를 무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해, 반송파가 진정으로 액세스에 대해 금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DMN 장치들에 나타내기 위해 추가의 셀 금지 인디케이터 플래그가 DMN 반송파들에 대해 정의될 수 있다(DMN 장치가 "통상의" 셀 금지 인디케이터를 무시하도록 구성될 것이기 때문에).
따라서 셀 금지에 기초한 방법에 따르면, 원격통신 시스템은 두 개의 클래스의 장치를 지원하는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를 포함하며, 제1 클래스의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타입의 반송파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제2 타입의 반송파는 대응하는 반송파가 이용가능한지의 여부를 제1 클래스의 장치에 나타내기 위한 셀 금지 인디케이터를 포함하고, 제2 클래스의 장치들은 대응하는 반송파가 이용가능한지의 여부를 제1 클래스의 장치에 나타내기 위한 셀 금지 인디케이터를 무시하도록 구성된다. 제2 타입의 반송파는 대응하는 반송파가 사용가능한지의 여부를 제2 클래스의 장치에 나타내는 추가의 셀 금지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타입의 반송파는 장치의 두 개의 다른 클래스에 대한 개별의 셀 금지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DMN 반송파에 캠프-온하고자 하는 레거시 장치에 의해 캠프-온 절차를 종료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은 장치의 USIM 내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PLMN 아이덴티티들 및/또는 폐쇄 가입자 그룹(closed subscriber group: CSG) 정의들/멤버십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거시 및 DMN 반송파들에는 그들의 운영자에 의해 상이한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 아이덴티티들이 할당될 수 있다. 반송파들은 SIB1의 plmn-IdentityList IE에 그들 각각의 PLMN의 ID(들)를 방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DMN 장치들은 DMN 반송파에 액세스가 허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레거시 장치들은 그러한 액세스가 허용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장치들(예를 들어, 레거시 장치들)을 특정 반송파들(예를 들어, 레거시 반송파들)에 유효하게 지향시키는 다른 잠재적인 방법은 근본적인 폐쇄 가입자 그룹들(CSG들)의 원칙들을 수정해서 이용하는 것에 의한다. 현재, 3GPP LTE 프레임워크 내에 CSG들의 개념이 있다. CSG들은 적절한 관리 절차들을 통해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유지된다. 각각의 CSG에는 CSG 식별자(CSG_ID)가 할당된다. 원격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들과 그들이 액세스하도록 허용된 CSG들 사이의 관계는 단말 장치의 USIM의 IMSI에 기초하는 HSS/HLR에서의 가입 레코드들에 보유된다. 단말 장치에 해당 CSG들에의 액세스가 할당될 때 CSG_ID들은 개별 단말 장치 레코드들에 추가될 수 있다.
단말 장치가 액세스하도록 허용되는 CSG들의 ID들은 장치의 USIM에 기록된다. CSG_ID들은 장치 관리 절차들(예를 들면, 개방 이동 에일리언스 장치 관리(Open Mobile Alliance Device Management: OMA DM))을 통해, 또는 CSG들에 대한 수동 검색의 결과 및 어태치(Attach)(어태치 절차 동안 장치의 CSG에의 액세스 권리가 HSS 가입자 레코드로부터 검사됨) 등의 결과적으로 성공적인 NAS 절차로서 USIM에 로딩될 수 있다.
LTE Rel8/9/10에서 CSG들에 일차적으로 의도된 용도는 홈 (e)노드B들 등의 소위 펨토셀들(femtocells)에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CSG 타입 기능이 장치 아이덴티티(IMSI)에 기초하지 않지만 장치의 클래스에 기초하는 방식으로 더 광범위하게 반송파 선택을 제어하기 위해 또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
통상의 CSG 동작에 따르면, CSG 셀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 셀은 특별한 CSG의 ID를 갖도록 구성된다. 셀은 셀/반송파를 CSG 셀/반송파로서 식별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갖는 CSG_ID를 SIB1에 방송한다.
CSG를 아는 단말 장치들은, SIB1 내의 CSG 인디케이터 비트와 CSG_ID를 판독시에, 그 CSG_ID가 단말 장치의 CSG 화이트리스트(Whitelist)에 있다면 RRC 접속 및 NAS 어태치를 시도하기만 할 것이다. 특별한 CSG_ID가 장치의 CSG 화이트리스트에 로딩될 수 있는지의 여부는 IMSI에 의해 인덱스된 HSS에 보유된 가입 데이터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가입자 아이덴티티(IMSI)에 대응하는 USIM이 배치된 임의의 단말 장치는 CSG들의 셀들에 대한 액세스를 가질 것이고, 그의 CSG_ID들은 그 IMSI에 대한 가입자 레코드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새로운 CSG 장치 타입 필드(CSG Device Type field)가 정의되는 수정된 CSG 스킴이 제안된다. 이 CSG 장치 타입 필드는 연관된 반송파를 액세스하도록 허용된 장치의 클래스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CSG 장치 타입 파라미터는 반송파 가입 데이터에 통상의 CSG_ID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CSG 장치 타입 필드는 또한 DMN 단말 장치에 저장된 CSG 데이터에 전파될 수도 있다. 그러면 반송파에 대한 액세스는 CSG_ID 기반 제어와 동일한 원리들에 따라 제한될 수 있지만, 그대신 CSG 장치 타입 파라미터에 기초할 수 있다. 즉, 반송파에 캠프-온하고자 하는 그 장치들만이 CSG 장치 타입 필드(하나의 그러한 장치 타입은 예를 들어, "DMN 장치"일 수 있음)에 대응하는 장치 성능을 선언한다. 장치 성능의 이 양태는 eNB에 보내진 장치 성능 정보에 그리고 코어 네트워크에 보내진 성능 정보에 포함될 수 있어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코어 네트워크 둘 다에서 검사를 위해 이용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DMN 장치는 접속을 시도하기 전에 그의 장치 성능과 임의의 CSG_ID를 검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또한 단말 장치에 의해 보내진 장치 성능 및 HSS에서의 가입 데이터에 저장된 CSG_ID/CSG 장치 타입에 기초하여 동일한 검사를 할 수도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DMN 반송파에 캠프-온하고자 하는 레거시 장치의 응답을 설명하기 위해, 특별한 시나리오가 가정된다. 레거시 장치가 IMSI 번호 IMSI(1)과 연관된 USIM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또한, IMSI(1)에 대한 가입자 데이터는 ID CSG_ID(1)로 CSG에의 액세스가 주어졌고 "DMN 장치"로 설정된 CSG 장치 타입 필드를 갖는다고 가정한다. 레거시 장치가 CSG_ID(1)를 방송하는 반송파를 통해 어태치하려고 시도한다면, 장치는 그의 CSG 화이트리스트에서 CSG_ID(1)를 찾을 것이고, 캠프-온하고자 그리고 어태치를 시도하기 위해 진행할 것이다. 그러나, 어태치 절차 동안 그것은 당연히 반송파의 CSG 장치 타입에 대응하는 장치 성능을 선언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면 반송파와 연관된 코어 네트워크는 레거시 장치에 의해 제공된 CSG 정보에 대해 가입 검사를 수행하고 그 CSG에의 액세스가 성능 "DMN 장치"를 선언하는 장치들에 대해 예비된다는 것을 인식하여, 레거시 장치에 의한 액세스는 거절되어야 한다. 따라서 코어 네트워크는 (기존의 절차들을 이용하여) "이 CSG에 대한 권한이 없음"을 나타내는 특별한 거절 원인 값을 갖는 NAS 거절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그 후 레거시 장치는 그의 USIM 내에 저장된 그의 허용된 CSG 리스트(화이트리스트)로부터 CSG_ID를 제거하도록 요구된다. 따라서, 레거시 장치가 그 CSG_ID로 반송파에 캠프-온을 재시도한다면, CSG_ID는 더 이상 그의 CSG 화이트리스트에 있지 않고, 단말 장치는 그 반송파에의 캠프-온 시도를 중단할 것이고, 그 셀을 통해 어태치하기 위한 시도조차 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CSG 가입 정보에 "장치 타입" 양태의 도입은, 액세스가 USIM과 장치의 클래스의 조합에 기초하는 것을 허용하는데, 즉, 소정의 조합은 (1) CSG_ID가 USIM의 IMSI에 대응하는 HSS에서의 가입 데이터에 있고, (2) 장치가 새로운 CSG 가입 데이터 필드 "CSG 장치 타입"에 저장된 것에 대응하는 장치 성능을 선언한다면, CSG 셀을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을 뿐이다.
레거시 장치에 의한 반송파 선택에 대한 초기 액세스 검사:
SIB1의 획득에 뒤이어서, LTE Rel8/9/10의 통상 캠프-온 절차들에서의 동작의 다음 단계는 SIB2 획득 및 처리(SIB2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가 SIB1에 방송됨)이다. DMN 및 레거시 반송파들이, 레거시 장치가 DMN 반송파로부터 SIB1을 획득할 수 있고 레거시 장치가 SIB1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캠프-온 절차를 종료시켜지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호환적인 원격통신 시스템에서, SIB2의 획득 및 처리는 레거시 장치들이 현재의 반송파에 대한 캠프-온 절차를 중지할 것이 권장될 수 있는 다른 단계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LTE Rel8/9/10에 따르면, SIB2는 (ACB) 파라미터들을 금지하는 액세스 클래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N 반송파는 (EAB) 파라미터들을 금지하는 확장된 액세스라고 지칭될 수 있는 추가적인 특수한 ACB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MN 장치들은 이러한 EAB 파라미터들을 탐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존재한다면 그리고 장치에 적용가능하다면, EAB 파라미터들은 ACB 파라미터들을 오버라이드할 것이다. 레거시 장치들은 ACB 파라미터들을 인식할 뿐일 것이지만, DMN 장치들은 또한 EAB 파라미터들을 판독 및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DMN 반송파의 SIB2가 액세스 클래스 금지 및 확장된 액세스 금지 파라미터들을 둘 다 포함한다면, ACB 파라미터들은 레거시 장치들을 금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지만, (DMN 장치들에 의해 판독될 것인) EAB 파라미터들은 장치로부터의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액세스 클래스 금지의 본질은, 그것이, 단말 장치가 확립을 시도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고 있을 때, RRC 접속 확립의 초기 단계에서 시행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레거시 장치 캠프-온 절차들을 제어하기 위한 이러한 타입의 방법은 '초기 액세스 검사'라고 지칭될 수 있다. 단말 장치가 초기 액세스 검사를 수행할 때 예를 들어, SIB2 내의 ACB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그것이 금지된다고 판정한다면, 장치는 액세스 시도를 중단할 것이고 소정의 기간 동안 더 이상의 액세스 시도를 하는 것이 유보된다. 따라서, 이 방법은 레거시 장치가 DMN 반송파에 캠프-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레거시 장치가 셀 재선택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추가 단계들이 요구될 수 있다.
요약 코멘트
도 5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 원격통신 시스템(50)의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시스템은 제1 반송파(60)를 이용하여 제1 단말 장치(UE)(56)와 통신하기 위한 제1 기지국(e노드B)(52)과, 제2 반송파(66)를 이용하여 제2 단말 장치(UE)(58)와 통신하기 위한 제2 기지국(e노드B)(54)을 포함한다. 참조 부호(62)에 의해 식별되는 구성요소에 의해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 장치/유저 장비(58)는 또한 제1 기지국/e노드B(52)로부터 반송파(62)를 수신할 수 있고, 참조 부호(64)에 의해 식별되는 구성요소에 의해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 장치/유저 장비(56)는 또한 제2 기지국/e노드B(54)로부터 반송파(64)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기지국(52), 제1 반송파(60, 62), 및 제1 단말 장치(56)는 레거시 네트워크와 연관될 수 있고, 제2 기지국(54), 제2 반송파(64, 66), 및 제2 단말 장치(58)는 DMN 네트워크와 연관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적절한 소프트웨어 변경을 통해, 전술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시스템(50)의 관련 구성요소들을 적절하게 구성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전술한 반송파의 다른 타입들을 지원하기 위한 하드웨어는, 소정의 구현을 위한 바람직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예를 들어, 스크램블링/인코딩 절차들에 관한 적절한 구성 변경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통상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어떤 경우들에서, 반송파의 제1 및 제2 타입은 본질적으로 서로 완전히 독립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대체로 도 1에 도시된 타입의 유효한 두 개의 (또는 그보다 많은) 별개의 네트워크 아키텍처들이 반송파의 두 개의(또는 그보다 많은) 타입을 지원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반송파의 여러 다른 타입들을 지원하는 하드웨어 아키텍처에 있어서 다소의 또는 전체적인 중복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종류의 개별 e노드-B들은 동시에 둘 다의 반송파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캠프-온 절차의 다른 단계들에서 다른 클래스들의 장치에 의해 반송파 선택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다른 기술들이 설명되었다. 특히, 신형 타입의 장치를 지원하는 신형 타입의 반송파가, 구형 타입의 장치를 지원하는 구형 타입의 반송파와 병행적으로 원격통신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방법, 그리고 이것이, 구형 타입과 신형 타입의 반송파/장치 간의 어느 정도의 호환성을 허용하면서, 또한 구형 타입의 장치에 의한 신형 타입의 반송파에의 액세스가 구형 타입의 장치에 대해 정의된 거동들에 대한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제어되도록 허용하면서, 또한 신형 타입의 장치에 의한 구형 타입의 반송파에의 액세스가 구형 타입의 반송파에 대한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제어되도록 허용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되었다.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들이 전술한 실시예들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LTE 이동 무선 네트워크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GSM, 3G/UMTS, CDMA2000 등의 네트워크의 다른 형태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MTC 단말은 유저 장비(UE), 이동 통신 장치, 이동 단말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용어 기지국은 e-노드B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지만, 이 네트워크 엔티티들 간의 기능의 차이는 전혀 없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별한 그리고 바람직한 양태들은 첨부된 독립 및 종속 청구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종속 청구항들의 특징은 명시적으로 청구항들에 기재된 것들 이외의 다른 것들과 조합하여 독립항의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참조 문헌
[1] Holma H. and Toskala A, "LTE for UMTS OFDMA and SC - FDMA based radio access", John Wiley and Sons, 2009.

Claims (23)

  1.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반송파 각각을 통해 상이한 타입의 단말 장치에 그리고/또는 그들로부터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구성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단말 장치로서,
    상기 단말 장치는 그 반송파에 대한 캠프-온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복수의 반송파 중 하나와 동기화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자신이 동기화한 반송파의 제어 채널과 연관된 물리층 시그널링의 양태에 따라 캠프-온 절차를 계속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또한 동작가능한,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은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인, 단말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의 양태는 상기 제어 채널상에서 방송되는 인디케이터(indicator)의 존재 또는 부재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가 동기화한 반송파의 마스터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을 판독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인디케이터의 존재 또는 부재는 상기 마스터 정보 블록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단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의 존재 또는 부재는 상기 마스터 정보 블록 내에 포함된 정보로부터 추론가능한, 단말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의 존재 또는 부재는 상기 마스터 정보 블록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물리 전송 자원상 시그널링으로부터 결정되는, 단말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의 양태는 상기 단말 장치가 동기화한 반송파의 반송파 동작 대역폭의 인디케이션(indication)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반송파 동작 대역폭이 상기 단말 장치의 장치 동작 대역폭보다 크면, 캠프-온 절차를 계속하지 않도록 구성된, 단말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동작 대역폭의 인디케이션은 상기 단말 장치가 동기화한 반송파의 마스터 정보 블록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단말 장치.
  10. 제1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자신이 동기화한 반송파와 캠프-온 절차를 계속하지 않도록 결정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 장치는 다른 반송파와 동기화하고 다른 캠프-온 절차를 시작하도록 구성된, 단말 장치.
  11.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반송파 각각을 통해 상이한 타입의 단말 장치에 그리고/또는 그들로부터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구성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반송파 선택을 보조하는 방법으로서,
    그 반송파에 대한 캠프-온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복수의 반송파 중 하나와 동기화하는 단계, 및
    그 후, 상기 단말 장치가 동기화한 반송파의 제어 채널과 연관된 물리층 시그널링의 양태에 따라 상기 캠프-온 절차를 계속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송파 선택 보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은 물리 방송 채널인, 반송파 선택 보조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물리층 시그널링의 양태는 상기 제어 채널상에서 방송되는 인디케이터의 존재 또는 부재를 포함하는, 반송파 선택 보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동기화한 반송파의 마스터 정보 블록을 판독하는 단계, 및 상기 인디케이터의 존재 또는 부재를 상기 마스터 정보 블록으로부터 추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송파 선택 보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의 존재 또는 부재를 상기 마스터 정보 블록 내에 포함된 정보로부터 추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송파 선택 보조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의 존재 또는 부재를 상기 마스터 정보 블록으로부터 추론된 물리 전송 자원상 시그널링으로부터 추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송파 선택 보조 방법.
  17.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의 양태는 상기 단말 장치가 동기화한 반송파의 반송파 동작 대역폭의 인디케이션을 포함하는, 반송파 선택 보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동작 대역폭이 상기 단말 장치의 장치 동작 대역폭보다 크면, 캠프-온 절차를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송파 선택 보조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동작 대역폭의 인디케이션을 상기 단말 장치가 동기화한 반송파의 마스터 정보 블록으로부터 추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송파 선택 보조 방법.
  20. 제11항 또는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자신이 동기화한 반송파와 캠프-온 절차를 계속하지 않도록 결정하는 경우에, 다른 반송파와 동기화하고 다른 캠프-온 절차를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송파 선택 보조 방법.
  21.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반송파 각각을 통해 상이한 타입의 단말 장치에 그리고/또는 그들로부터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구성,
    복수의 반송파 중 제1 반송파에 캠프-온하고, 그 후 제1 반송파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구성과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제1 단말 장치, 및
    복수의 반송파 중 제2 반송파에 캠프-온하고, 그 후 제2 반송파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구성과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제2 단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반송파는 상기 제1 및 제2 단말 장치가 둘 다 상기 제1 및 제2 반송파와 동기화할 수 있어서 캠프-온 절차를 시작하도록 호환적인 동기화 시그널링을 지원하지만, 상기 제1 및 제2 반송파는, 제1 단말 장치가 제2 반송파와 캠프-온 절차를 완료할 수 없도록, 그들 각각의 캠프-온 절차들의 제어 채널들과 연관된 비호환적 물리층 시그널링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2. 첨부 도면 중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의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설명된 단말 장치.
  23. 첨부 도면 중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의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설명된 방법.
KR1020147000597A 2011-06-15 2012-06-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반송파 선택의 제어 KR1019081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110077.3 2011-06-15
GB1110077.3A GB2492062B (en) 2011-06-15 2011-06-15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carrier selection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PCT/GB2012/051309 WO2012172314A1 (en) 2011-06-15 2012-06-11 Controlling carrier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849A true KR20140042849A (ko) 2014-04-07
KR101908165B1 KR101908165B1 (ko) 2018-10-15

Family

ID=4435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597A KR101908165B1 (ko) 2011-06-15 2012-06-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반송파 선택의 제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713146B2 (ko)
EP (2) EP2721873B1 (ko)
JP (2) JP5964417B2 (ko)
KR (1) KR101908165B1 (ko)
CN (2) CN107959960B (ko)
GB (1) GB2492062B (ko)
WO (1) WO20121723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2062B (en) * 2011-06-15 2015-10-14 Sca Ipla Holding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carrier selection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US8885560B2 (en) * 2011-06-27 2014-11-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support for limited bandwidth communication devices
EP2904867B1 (en) 2012-10-05 2019-05-22 Sierra Wireless, Inc. Method and system for radio resource allocation
US9497733B2 (en) * 2013-02-13 2016-11-15 Qualcomm Incorporated Single-frequency network (SFN) operation for machine-type communications (MTC) coverage enhancements
ES2610415T3 (es) * 2013-04-02 2017-04-2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apeo de un bloque de información maestro, MIB, en sistemas LTE utilizando un canal de transmisión físico con portadora de nuevo tipo
CN104105162B (zh) 2013-04-05 2017-11-17 华为技术有限公司 基站与终端之间传递信息的方法、基站、终端和系统
EP2995116A4 (en) * 2013-05-10 2016-12-21 Sierra Wireles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NG SYSTEM INFORMATION IN A WIRELESS SYSTEM
EP2816844B1 (en) * 2013-06-21 2018-01-31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adio access information
US9392536B2 (en) * 2014-05-30 2016-07-12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ell selection and reselection by improving system information reading procedure
US10512033B2 (en) * 2015-01-29 2019-12-17 Qualcomm Incorporated Timing information for discovery in unlicensed spectrum
US10098123B2 (en) 2015-02-11 2018-10-09 Qualcomm Incorporated Service type indicator in master information block (MIB)
CN106664660B (zh) * 2016-10-10 2018-09-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用于发送和接收系统消息的方法、装置、用户设备及基站
EP3520492B1 (en) * 2016-11-04 2023-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provisio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440638B2 (en) * 2016-11-11 2019-10-08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pparatus,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for sending and receiving system information
KR20180060010A (ko) * 2016-11-28 2018-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의 디코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070370B1 (en) * 2017-06-02 2018-09-04 Apple In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initiating a cell selection
EP3749031B1 (en) * 2018-02-14 2023-11-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CN110730496B (zh) * 2018-06-29 2021-04-06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同步的方法及终端设备
WO2021091468A1 (en) * 2019-11-08 2021-05-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nhanced new radio (nr) cell barr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5308A2 (en) * 2005-03-29 2006-10-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rate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WO2007108630A1 (en) * 2006-03-21 2007-09-2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receiving lte system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00105380A1 (en) * 2008-10-28 2010-04-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system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100130218A1 (en) * 2008-11-21 2010-05-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ggregation of multiple component carrier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7200144A1 (en) * 2006-01-18 2007-08-02 Nec Australia Pty Ltd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calable bandwidth
AU2008226789B2 (en) * 2007-03-13 2011-06-1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Cell reselection proces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20090067386A1 (en) 2007-06-19 2009-03-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reselection enhancement for e-utran
WO2010024134A1 (ja) * 2008-08-25 2010-03-04 株式会社 エヌ・ティ・ティ・ドコモ 配信システム、配信装置、端末装置及び方法
US8121093B2 (en) * 2008-09-22 2012-02-21 Via Telecom,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lleviating barred acces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351428B1 (en) * 2008-10-31 2017-02-2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arrier selection for accessing a cellular system
CN101754494A (zh) * 2008-12-04 2010-06-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载波小区中实现主载波恢复的方法和系统
KR101104249B1 (ko) * 2008-12-11 2012-0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기의 캐리어 선택 방법 및 그것의 호 접속 방법
WO2010123793A1 (en) * 2009-04-23 2010-10-2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dvanced long term evolution system information
KR20110019683A (ko) * 2009-08-20 2011-02-28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요소반송파별 자원 할당방법 및 단말의 통신방법
EP2941026B1 (en) * 2010-03-23 2017-12-1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for communication for a machine type communication device and corresponding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GB2487908B (en) * 2011-02-04 2015-06-17 Sca Ipla Holdings Inc Tele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GB2491866B (en) 2011-06-15 2015-10-14 Sca Ipla Holding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selecting carriers to camp on to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supporting a plurality of carriers
GB2492062B (en) * 2011-06-15 2015-10-14 Sca Ipla Holding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carrier selection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5308A2 (en) * 2005-03-29 2006-10-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rate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WO2007108630A1 (en) * 2006-03-21 2007-09-2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receiving lte system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00105380A1 (en) * 2008-10-28 2010-04-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system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100130218A1 (en) * 2008-11-21 2010-05-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ggregation of multiple component carri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87214A (ja) 2016-10-27
WO2012172314A1 (en) 2012-12-20
US10932263B2 (en) 2021-02-23
EP2721873B1 (en) 2018-12-26
EP3461187A1 (en) 2019-03-27
US20170290018A1 (en) 2017-10-05
KR101908165B1 (ko) 2018-10-15
EP2721873A1 (en) 2014-04-23
JP2014522148A (ja) 2014-08-28
GB2492062B (en) 2015-10-14
GB2492062A (en) 2012-12-26
JP5964417B2 (ja) 2016-08-03
JP6346225B2 (ja) 2018-06-20
GB201110077D0 (en) 2011-07-27
CN107959960A (zh) 2018-04-24
CN103597880A (zh) 2014-02-19
US9713146B2 (en) 2017-07-18
CN103597880B (zh) 2018-01-12
CN107959960B (zh) 2021-01-08
US20140153516A1 (en) 2014-06-05
EP3461187B1 (en) 202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2263B2 (en) Controlling carrier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28095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キャリア選択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0893421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primary cell
US9380563B2 (en)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communicating using a non-associated cell, an asymmetrical cell, a frequency band for downlink, or a frequency band for uplink
US20130242823A1 (en) Sub-Frame Configuration
CA2759495A1 (en) Updating the user equipment (ue) allowed closed subscriber group list (ac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