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2523A - 라인 타입 조명시스템 - Google Patents

라인 타입 조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2523A
KR20140042523A KR1020120109380A KR20120109380A KR20140042523A KR 20140042523 A KR20140042523 A KR 20140042523A KR 1020120109380 A KR1020120109380 A KR 1020120109380A KR 20120109380 A KR20120109380 A KR 20120109380A KR 20140042523 A KR20140042523 A KR 20140042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terminal
rail
power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용
Original Assignee
박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용 filed Critical 박현용
Priority to KR1020120109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2523A/ko
Publication of KR20140042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8Arrangement or mounting of circuit el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21V21/35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with direct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supporting element and electric conductors running along the guid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 및 이를 이용한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은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레일슬롯을 갖는 절연재질의 고정부재; 및, 상기 레일슬롯에 각각 수용되어 개별 제어되는 독립 전원이 인가되는 적어도 두 쌍의 전원공급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 및 이를 이용한 조명시스템 {Power supply terminal rail for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 및 이를 이용한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단자레일에 복수의 전원을 공급하여 라인형 조명의 조명 패턴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 및 이를 이용한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레일 시스템은 도 1과 같이 레일 본체(1) 및 터미널 플러그(2)로 구성되어 있으며, 레일 본체(1)는 알루미늄으로 압출하여 제작한 레일하우징(11) 내에 플라스틱으로 성형 제작된 절연체(12)와 2개의 동(銅)버스바(1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삽입형 터미널 플러그(2)는 유니트 케이스(21) 내에 2개의 동접점단자(22)와 삽입고정돌기(23) 및 전원선(25)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레일 시스템은 레일 본체(1)에 단일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레일 본체(1)에 터미널 플러그(2)를 통해 설치된 조명기기(미도시)는 전체 조명의 온/오프 제어만 가능하다. 즉, 라인 타입의 조명을 구성한 상태에서, 절전 등의 이유를 목적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조명기기만을 점등하기 위해서는 점등하고자 하는 몇몇 조명기기를 제외한 나머지 다른 조명기기들은 작업자가 직접 레일 본체(1)로부터 분리하여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거나 터미널 플러그(2)를 분리한 상태로 매달아 놓아야 하고, 다시 라인 타입의 조명을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분리하였던 조명기기들을 다시 재부착해하거나 터미널 플러그(2)를 재결합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되므로, 관리가 어렵고 노동력의 손실이 큰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단자레일에 복수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여기에 일렬로 설치되는 조명기기의 조명패턴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자레일에 조명기기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에 의해 간편하게 조명패턴을 변경할 수 있는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을 이용한 조명시스템을 이용한 조명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조명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에 있어서,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각각 개별제어되는 전원이 인가되는 적어도 두 쌍의 전원공급단자; 및, 상기 전원공급단자를 설치대상면에 고정하는 절연재질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전원공급단자가 각각 수용되는 레일슬롯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부에서 전원공급단자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두 쌍의 전원공급단자에 전원을 각각 인가하는 전원공급소켓;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소켓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전원공급단자에 접속하는 접속단자와, 쌍을 이루는 전원공급단자에 각각 양극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접속단자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전원라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어 고정부재의 레일슬롯에 수용되는 접지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속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양측 전원공급단자 및 접지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을 이용한 조명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된 적어도 두 쌍의 전원공급단자 중 어느 한 쌍의 전원공급단자에 접속하는 전원플러그를 갖는 조명기기; 및, 두 쌍의 전원공급단자로 각각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조명기기를 온/오프 제어하는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을 이용한 조명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기기를 레일을 따라 일렬로 설치한 상태에서 라인 타입의 조명이나 등간격 형태의 조명과 같이 조명패턴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이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가 조명기기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조명패턴을 조절할 수 있는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을 이용한 조명시스템을 이용한 조명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레일 시스템의 개략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에 따른 전원공급소켓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의 "A"부분 확대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선 확대단면도,
도 7은 도 2의 "C"부분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을 이용한 조명시스템의 개략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을 이용한 조명시스템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에 따른 전원공급소켓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은 고정부재(110), 전원공급단자(120), 접지단자(130), 전원공급소켓(140), 연결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10)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져 일측이 설치대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타측에는 다수의 레일슬롯(111)이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기 전원공급단자(120)는 대략 "U"자형 단면을 이루는 도체로 이루어지고, 개구부가 상기 레일슬롯(111)의 개구를 향하도록 상기 레일슬롯(111)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적어도 두 쌍이 마련되며, 양극(+/-)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한 쌍의 전원공급단자(120)가 한 조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지단자(130)는 상기 전원공급단자(120)와 동일재질, 동일단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재(110)의 레일슬롯(111) 중 전원공급단자(120)가 수용되지 않은 어느 하나의 레일슬롯(111)에 수용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의 레일슬롯(111)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전원공급소켓(140)은 상기 두 쌍의 전원공급단자(120)에 각각 개별제어되는 전원을 인가하는 것으로, 고정부재(11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하우징(141)과, 상기 하우징(141)의 일측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전원공급단자(120)에 각각 접속하는 다수의 접속단자(142)와, 상기 한 조를 구성하는 전원공급단자(120)에 개별제어되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각 조에 대응하는 수로 마련되는 전원라인(1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50)는 일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110)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양측 전원공급단자(120) 및 연결단자(151)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단자(151)가 마련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조를 구성하고 있는 두 쌍의 전원공급단자(120)를 각각 제1전원공급단자(120a)와 제2전원공급단자(120b)로 하고, 상기 제1전원공급단자(120a)와 제2전원공급단자(120b)로 전원을 공급하는 두 개의 전원라인(143)을 각각 제1전원라인(143a)과 제2전원라인(143b)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110)에 다섯 개의 레일슬롯(111)이 형성되고, 여기에 두 쌍의 전원공급단자(120)와 하나의 접지단자(130)가 수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접지단자(130)와 두 쌍 이상의 전원공급단자(120)를 배치하고, 상기 고정부재(110)에는 접지단자(130)와 전원공급단자(120)에 대응하는 수의 레일슬롯(111)을 배치하여 2 이상의 개별제어되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조명패턴을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5는 도 2의 "A"부분 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B'선 확대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C"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먼저,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110)의 레일슬롯(111) 중 중앙의 레일슬롯(111)에 접지단자(130)가 수용되고, 두 쌍의 전원공급단자(120)가 상기 접지단자(130)의 양측으로 각각 수용된다.
상기 고정부재(110)의 일단부에는 상기 레일슬롯(111)에 수용된 전원공급단자(120) 및 접지단자(13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접지를 연결하기 위한 전원공급소켓(140)이 연결된다.
전원공급소켓(140)은 하우징(141)의 일측으로 돌출된 다섯 개의 접속단자(142)가 각각 상기 레일슬롯(111)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단자(142)는 제1전원라인(143a)과 제2전원라인(143b)에 의해 통전 및 접지된다.
즉, 제1전원라인(143a)에서 연장되는 제1극 전선과 제2극 전선은 최외곽에 배치된 전원공급단자(120)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접속단자(142)에 연결되고, 제2전원라인(143b)에서 연장되는 제1극 전선과 제2극 전선은 접지단자(130)의 양측에 인접 배치된 전원공급단자(120)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접속단자(142)에 연결되며, 제1전원라인(143a)과 제2전원라인(143b)에서 각각 연장되는 접지라인은 접지단자(130)에 연결된다.
또한, 제1전원라인(143a)과 제2전원라인(143b)은 하우징(141)의 외측으로 연장된 각각의 플러그가 개별제어되는 전원에 연결되어 양측 최외곽에 배치된 한 쌍의 제1전원공급단자(120a)와 접속단자(142)의 양측에 인접 배치된 한 쌍의 제2전원공급단자(120b)로 각각 전원을 공급한다.
즉, 각 레일슬롯(111)에 전원공급단자(120)와 접지단자(130)가 수용된 고정부재(110)를 설치대상면에 고정한 다음, 고정부재(110)의 일단부에 상기와 같은 전원공급소켓(140)을 연결하면, 개별 제어가능한 전원이 공급되는 제1전원라인(143a)과 제2전원라인(143b)이 상기 제1전원공급단자(120a)와 제2전원공급단자(120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전원공급단자(120a)에 대응하는 접속플러그(211)를 갖는 조명기기와 제2전원공급단자(120b)에 대응하는 접속플러그(211)를 갖는 조명기기를 단자레일(100)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제1전원라인(143a)과 제2전원라인(143b)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조명기기들의 점등 패턴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110)를 복수 마련하여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하여 길이를 연장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고정부재(110,110')의 사이에 연결부재(150)를 배치하여 양측 고정부재(110,110')의 레일슬롯(111)에 수용된 전원공급단자(120) 및 접지단자(13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고정부재(110,110')를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하고, 양 단부를 밀착 또는 인접배치한 상태에서, 연결부위에 연결부재(150)를 조립하면, 연결부재(150)의 일면에 마련된 다섯개의 연결단자(151)가 양측 전원공급단자(120) 및 접지단자(130)에 각각 삽입되면서 양측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연결부재(150)를 소정각도로 절곡하여 구성하는 경우, 서로 평행하지 않게 배치된 한 쌍의 고정부재(110,110')의 사이에 배치되어 양측 전원공급단자(120)와 접지단자(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을 이용한 조명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8은 본 발명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을 이용한 조명시스템의 개략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을 이용한 조명시스템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을 이용한 조명시스템은 단자레일(100)과, 상기 단자레일(100)에 설치되는 제1조명, 제2조명, 그리고 제1전원라인(143a)과 제2전원라인(143b)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단자레일(100)을 구성하는 접지단자(130)가 고정부재(110)의 중앙에 배치되고, 제1전원공급단자(120a)가 양측 최외곽에 배치되고, 제2전원공급단자(120b)가 접지단자(130)와 인접한 양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전원라인(143a)이 제1전원공급단자(120a)에 연결되고, 제2전원라인(143b)이 제2전원공급단자(120b)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단자레일(100)이 구성된 상태에서, 도 8의 (a)와 같이 제1전원공급단자(120a)에 대응하는 접속플러그(211)를 마련한 제1조명기기(210a)와 도 8의 (b)와 같이 제2전원공급단자(120b)에 대응하는 접속플러그(211)를 마련한 제2조명기기(210b)를 각각 구비한 다음, 도 9와 같이 일렬로 배치된 단자레일(100)에 한 개의 제1조명기기(210a)와 두 개의 제2조명기기(210b)를 서로 교대로 배열한다.
이때, 도 9의 (a)와 같이 제어부(220)를 통해 제1전원라인(143a)의 전원을 공급하고 제2전원라인(143b)의 전원을 차단하면 단자레일(100)상에 설치된 제1조명기기(210a)는 점등되고 제2조명기기(210b)는 소등된다. 이어서 (b)와 같이 제어부(220)를 통해 제1전원라인(143a)의 전원을 차단하고 제2전원라인(143b)의 전원을 공급하면 단자레일(100)상의 제1조명기기(210a)는 소등되고 제2조명기기(210b)는 점등된다. 또한, (c)와 같이 제1전원라인(143a)과 제2전원라인(143b)의 전원을 모두 공급하면 제1조명기기(210a)와 제2조명기기(210b)가 모두 점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두 쌍의 전원공급단자(120)를 갖는 단자레일(100)에 두 개 이상의 개별 제어되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두 쌍의 전원공급단자(120) 중 어느 하나의 전원공급단자(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명기기를 다수 설치한 상태에서, 다양한 형태의 조명패턴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고정부재, 111:레일슬롯, 120:전원공급단자,
120a:제1전원공급단자, 120b:제2전원공급단자,
130:접지단자, 140:전원공급소켓, 141:하우징,
142:접속단자, 143:전원라인, 143a:제1전원라인,
143b:제2전원라인, 150:연결부재, 151:연결단자,
100:단자레일, 210a:제1조명기기, 210b:제1조명기기,
211:접속플러그, 212:접지플러그, 220:제어부

Claims (7)

  1. 일렬로 배치되는 조명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에 있어서,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각각 개별제어되는 전원이 인가되는 적어도 두 쌍의 전원공급단자; 및,
    상기 전원공급단자를 설치대상면에 고정하는 절연재질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전원공급단자가 각각 수용되는 레일슬롯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부에서 전원공급단자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두 쌍의 전원공급단자에 전원을 각각 인가하는 전원공급소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소켓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전원공급단자에 접속하는 접속단자와, 쌍을 이루는 전원공급단자에 각각 양극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접속단자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전원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어 고정부재의 레일슬롯에 수용되는 접지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
  6. 제 5항에 있어서,
    연속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양측 전원공급단자 및 접지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을 이용한 조명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된 적어도 두 쌍의 전원공급단자 중 어느 한 쌍의 전원공급단자에 접속하는 전원플러그를 갖는 조명기기; 및,
    두 쌍의 전원공급단자로 각각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조명기기를 온/오프 제어하는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기 전원공급용 단자레일을 이용한 조명시스템.
KR1020120109380A 2012-09-28 2012-09-28 라인 타입 조명시스템 KR201400425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380A KR20140042523A (ko) 2012-09-28 2012-09-28 라인 타입 조명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380A KR20140042523A (ko) 2012-09-28 2012-09-28 라인 타입 조명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523A true KR20140042523A (ko) 2014-04-07

Family

ID=50651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380A KR20140042523A (ko) 2012-09-28 2012-09-28 라인 타입 조명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25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704A (ko) 2015-01-28 2016-08-05 주식회사 유앤아이테크 가압 체결 방식의 조명 레일용 전원 플러그
KR101898467B1 (ko) 2017-05-08 2018-09-13 (주)청운이앤에스 전기기기용 어댑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704A (ko) 2015-01-28 2016-08-05 주식회사 유앤아이테크 가압 체결 방식의 조명 레일용 전원 플러그
KR101898467B1 (ko) 2017-05-08 2018-09-13 (주)청운이앤에스 전기기기용 어댑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8054B1 (ko) 발광장치용 케이블 및 그것을 이용한 발광장치
RU2542714C2 (ru) Внутренняя токопроводящая шина и средство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взаим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для нее
US10330264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retrofitting a fluorescent light fixture to an LED-based lighting system
KR101916654B1 (ko) 램프용 oled 발광체
ES2401239T3 (es) Sistema de iluminación
US9933139B2 (en) Light fixture comprising interchangeable lighting modules
KR20160095484A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US9500793B2 (en) Electronic module
RU2554118C1 (ru) Каблирование системы для многорелей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1916653B1 (ko) Oled 발광체를 갖는 램프용 소켓
EP3314163B1 (en) A lighting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KR20100016629A (ko) 조명장치 및 레일모듈
WO2017109636A1 (en) Modular lighting apparatus
KR20140042523A (ko) 라인 타입 조명시스템
KR101710281B1 (ko) 유선 통신이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
JP2008300242A (ja) 照明器具
KR20140100875A (ko) 발광모듈, 직관형 램프 및 조명 장치
JP4698485B2 (ja) 灯具および照明装置
US8882309B2 (en) Device for fastening and contacting a lighting means, a lighting module, or lamp
CN110808516A (zh) 一种滑触线的拼接结构及其滑触线
KR20150144003A (ko) 전극의 연결이 용이한 등기구용 인쇄회로기판
JP2013069473A (ja) 照明器具
ITTO940251A1 (it) Basetta di presa di corrente
US11692690B2 (en) Lighting system
KR102479632B1 (ko) 전원 공급 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