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2338A - 단말 파워 선호도 지원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 파워 선호도 지원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2338A
KR20140042338A KR1020120108981A KR20120108981A KR20140042338A KR 20140042338 A KR20140042338 A KR 20140042338A KR 1020120108981 A KR1020120108981 A KR 1020120108981A KR 20120108981 A KR20120108981 A KR 20120108981A KR 20140042338 A KR20140042338 A KR 20140042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wer preference
ppi
indicator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철
권기범
안재현
허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20108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2338A/ko
Publication of KR20140042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history or models of usage information, e.g. activity schedule or time of d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파워 선호도를 지원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나타내는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반으로 무선자원제어 관련 파라미터를 재구성하는 단계, 상기 재구성한 무선자원제어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의 전송을 금지하는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시키는 PPI 금지 타이머 중단 지시자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무선 통신에 반영함으로써 기지국 및 단말은 적응적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PPI 금지 타이머를 운용함으로써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 전송을 시간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시그널링 혼잡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필요한 경우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 또는 만료시킴으로서, 필요에 따라 신속하게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 파워 선호도 지원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SUPPORTING UE POWER PREFERENCE}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파워 선호도를 지원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장소에 제한없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을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등의 다양한 단말이 대중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과거에 PC 등을 통해 유선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되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등이 현재는 유선이 아닌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유선과 동일하게 사용되고 이로 인하여 다양하고 많은 트래픽을 발생시키고 있다. 하지만,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무선 네트워크의 경우 현재의 다양한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사용으로 인한 트래픽 발생 상황에 대하여 충분하게 고려하지 않고 설계되었기에, 단말이 기지국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 무선 자원의 비효율적인 사용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단말의 경우 제한된 배터리 등의 리소스 상황으로 인하여 파워 세이빙(power saving)을 고려하여 동작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단말은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DRX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단말은 비활동 시간(non-active time)과 활동 시간(active time)으로 나누어서 번갈아가면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또는 기지국은 애플리케이션이나 트래픽의 종류에 따라 또는 단말의 배터리 절약 필요성에 따라, DRX 방식의 비활동 시간을 더 길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애플리케이션 또는 트래픽의 종류에 따라, 단말 또는 기지국은 DRX 방식의 비활동 시간을 더 짧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단말의 무선 데이터 통신 효율을 최대한으로 유지시켜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래픽 종류 또는 배터리 상태 등 단말의 상황에 따라 무선 자원 설정이 적응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하여는 단말과 기지국 간 단말의 파워 선호도에 대한 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원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기반으로 단말의 무선 자원 구성을 변경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빈번하게 전송함에 따라 발생하는 트래픽을 줄임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사자의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원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나타내는 파워 선호도 지시자(Power Preference Indication: PPI)를 생성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 전송을 트리거(trigger)로 하여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의 전송을 금지하는 PPI 금지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반으로 기지국이 재구성한 무선자원제어(RRC) 관련 파라미터(parameter)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시키는 PPI 금지 타이머 중단 지시자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 지시자를 기반으로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원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나타내는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반으로 무선자원제어 관련 파라미터를 재구성하는 단계, 상기 재구성한 무선자원제어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의 전송을 금지하는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시키는 PPI 금지 타이머 중단 지시자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파워 선호도를 지원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판단하는 파워 선호도 판단부,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 지시하는 파워 선호도 지시자(Power Preference Indication: PPI)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반으로 기지국이 재구성한 무선자원제어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의 전송을 금지하는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시키는 PPI 금지 타이머 중단 지시자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 지시자를 기반으로 PPI 금지 타이머의 중단을 제어하는 메시지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PPI 금지 타이머는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 전송을 트리거(trigger)로 하여 동작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다르면, 단말의 파워 선호도를 지원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나타내는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반으로 무선자원제어 관련 파라미터를 재구성하는 파라미터 변경부, 상기 재구성한 무선자원제어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처리부, 및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시지 처리부는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의 전송을 금지하는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시키는 PPI 금지 타이머 중단 지시자를 포함하는 MAC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MAC 메시지를 단말로 더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무선 통신에 반영함으로써 기지국 및 단말은 적응적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PPI 금지 타이머를 운용함으로써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 전송을 시간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시그널링 혼잡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필요한 경우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 또는 만료시킴으로서, 필요에 따라 신속하게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의 파워 선호도를 지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DRX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단말의 파워 선호도를 지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단말의 파워 선호도를 지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MAC 메시지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MAC 서브헤더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MAC CE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는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에 관한 MAC CE의 구조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단말의 파워 선호도를 지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에 의한 단말의 파워 선호도를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기지국에 의한 단말의 파워 선호도를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다른 단말의 파워 선호도를 지원하는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셀(cell)(15a, 15b, 15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기지국(11)은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femto) 기지국, 가내 기지국(Home nodeB), 릴레이(relay)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셀은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단말(12; user equipment, UE)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11)에서 단말(12) 방향의 전송링크(transmission link)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2)에서 기지국(11) 방향으로의 전송링크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연속적인(consecutive) 슬롯(slot)을 포함한다. 서브 프레임 내의 첫 번째 슬롯의 앞선 1, 2, 3 또는 4개의 OFDM 심벌들이 PDCCH가 맵핑되는 제어 영역(control region)이고, 나머지 OFDM 심벌들은 물리하향링크 공용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이 맵핑되는 데이터 영역(data region)이 된다. 제어 영역에는 PDCCH 이외에도 PCFICH, PHICH 등의 제어채널이 할당될 수 있다. 단말은 PDCCH를 디코딩하여 PDSCH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정보를 읽을 수 있다.
단말은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인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TPC(transmission power control)-PUCCH-RNTI, TPC-PUSCH-RNTI와 SPS(semi persistent scheduling)-RNTI를 기반으로 PDCCH의 모니터링(monitoring)을 수행할 수 있다. PDCCH의 모니터링은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동작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DRX에 관한 파라미터는 기지국이 RRC 메시지에 의해 단말로 전송해준다. 단말은 상기 RNTI들 이외에 SI(system information)-RNTI, P(paging)-RNTI 등은 상기 RRC 메시지에 의해 구성된 DRX 동작과는 무관하게 항상 수신하여야 한다. 여기서 C-RNTI로 스크램블링된 PDCCH를 제외한 나머지 PDCCH들은 항상 주서빙셀의 공용검색공간(common search space)를 통해 수신된다.
단말이 RRC 연결 상태(connected state)에서 DRX 파라미터가 구성되어 있다면, 단말은 DRX 동작에 기반하여 PDCCH에 대한 불연속적인(discontinuous)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반면, 만일 DRX 파라미터가 구성되어 있지 않다면 단말은 연속적인 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불연속적인 PDCCH 모니터링이란 단말이 정해진 특정한 서브프레임에서만 PDCCH를 모니터링함을 의미하고, 연속적인 PDCCH 모니터링이란 단말이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함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절차와 같은 DRX와 무관한 동작에서 PDCCH 모니터링이 필요한 경우, 단말은 해당 동작의 요구사항에 따라 PDCCH를 모니터한다.
단말은 제한된 배터리 등의 리스소 상황으로 인하여 파워 세이빙(power saving)을 고려하여 동작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단말은 상기 DRX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DRX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단말은 비활동 시간(non-active time)과 활동 시간(active time)으로 나누어서 번갈아가면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또는 기지국은 애플리케이션이나 트래픽의 종류에 따라 또는 단말의 배터리 절약 필요성에 따라, DRX 방식의 비활동 시간을 더 길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애플리케이션 또는 트래픽의 종류에 따라, 단말 또는 기지국은 DRX 방식의 비활동 시간을 더 짧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단말의 무선 데이터 통신 효율을 최대한으로 유지시켜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래픽 종류 또는 배터리 상태 등 단말의 상황에 따라 무선 자원 설정이 적응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하여는 단말과 기지국 간 단말의 선호하는 모드에 대한 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한다(S300).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파워선호도지시자-가능(powerPrefIndication-Enabled)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파워선호도지시자-가능 정보는 파워 선호도 지시자(PPI: Power Preference Indication)의 전송이 가능한 단말이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허락 또는 명령하는 정보이다.
단말은 파워 선호도 지시자(Power Preference Indication)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310).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는 단말 보조 정보(UE assistatn information)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파워선호도지시자-가능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선호도 지시자를 상기 단말 보조 정보에 포함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파워 선호도 지시자는 단말의 파워 선호도를 지시한다. 파워 선호도 지시자가 지시하는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는 예를 들어, 디폴트(default) 상태 및 저파워 소비(low power consumption) 상태를 포함한다.
디폴트 상태는 단말이 일반적인 배터리 소모를 선호함을 또는 특별한 선호도가 없음을 나타낸다. 다시 말하면, 디폴트 상태는 단말이 특별한 선호도 없이 기본적으로 네트워크에서 무선 자원 구성, 파워소모 상태 또는 DRX 구성 등의 통신 설정에 맞추어 동작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디폴트 상태의 경우 기지국 혹은 단말은 트래픽의 특성 등을 특별하게 고려하지 않고, 현재 통신 구성(configuration)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디폴트 상태에서 단말은 특별하게 선호하는 통신 구성이 없고, 기지국은 기본적인 통신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디폴트 상태는 후술하는 저파워 소비 상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전송 효율을 가지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에 따라서 배터리 소모는 다소 증가하더라도 기지국에서 전송효율을 고려하여 관련 통신 구성을 요구하는 상태라고 볼 수도 있다. 혹은 디폴트 상태는 기지국 혹은 단말은 트래픽의 특성을 고려할 경우 저파워 소비 상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트래픽 스케쥴링을 요구하는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 혹은 단말은 저파워 소비 상태로 단말에 제공해야 할 서비스 품질 확보에 문제가 있는 상황임을 파악하였을 경우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트래픽을 스케쥴링 해줄 수 있는 설정인 디폴트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저파워 소비 상태는 더 낮은 배터리 소모를 선호함을 나타낸다. 단말이 배터리 소모를 줄이면서 동작하기 위한 상태로서, 단말이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관련 구성을 요구하는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상기 저파워 소비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이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관련 구성을 재구성할 수 있다. 혹은 저파워 소비 상태는 기지국 혹은 단말은 트래픽의 특성을 고려할 경우 디폴트 상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트래픽 스케쥴링을 요구하는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 혹은 단말은 디폴트 상태로 단말에 제공해야 할 서비스를 고려할 경우 단말이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설정 혹은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트래픽을 위한 설정이 가능한 상황임을 파악하였을 경우에 저파워 소비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가 지시하는 단말의 파워 선호도를 반영하여 RRC 관련 파라미터 재구성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는 기지국이 무선 자원을 구성함에 있어 고려하는 하나의 참고사항으로서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와 달리 RRC 관련 파라미터 재구성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재구성되는 RRC 관련 파라미터는 주로 무선 자원 할당 등에 해당되는 것으로 DRX 파라미터 등이 있을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의 파워 선호도를 지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S400, S410은 도 3에서의 절차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지국은 S410에서 수신한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반으로, RRC 관련 파라미터, 예를 들어 DRX 관련 파라미터,를 재구성하고, 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S420). RRC 관련 파라미터의 변경 또는 재구성은, 무선 자원 구성(radio resource configuration) 또는 무선 자원 재구성(radio resource reconfiguration)을 포함한다.
여기서 DRX는 단말(UE)이 소정 기간(즉, 비활동(non-active) 시간) 동안 하향링크의 물리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모니터하는 것을 멈출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을 말하며, 단말은 DRX 모드에서 일정 주기성을 가지고 활동 시간(active time)과 비활동 시간(non-active time)을 반복한다. 활동은 단말이 PDCCH를 모니터하는 것을 의미한다. 비활동은 단말이 PDCCH를 모니터하는 것을 멈추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DRX는 무선 자원 제어/매체 접근 제어(RRC/MAC; radio resource control/media access control)에 의해 구성(configured)될 수 있다. 관련된 DRX 파라미터로는 장기 DRX 사이클(long DRX cycle), DRX 비활동 타이머(drx-Inactivity Timer), 및 DRX 재전송 타이머(drx-Retransmission Timer)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DRX는 단기 DRX 사이클(short DRX cycle) 및 DRX 단기 사이클 타이머(drxShortCycleTimer)를 포함한다. 상기 장기 DRX 사이클은 단기 DRX 사이클보다 단말에 대한 더 긴 비활동 시간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DRX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DRX 동작은 DRX 사이클(cycle, 500) 단위로 반복되는데, DRX 사이클(500)은 DRX 기회(opportunity for DRX, 510)와 지속구간(On Duration, 505)의 주기적인 반복으로 정의된다. 즉, 한 주기의 DRX 사이클(500)은 지속구간(505)과 DRX 기회(opportunity for DRX, 510)를 포함한다. DRX 사이클(500)은 일 예로 10 서브프레임 내지 2560 서브프레임 사이의 범위에서 적용되는 장기 DRX 사이클(long DRX cycle)이 있으며, 다른 예로 2 서브프레임 내지 640 서브프레임 범위에서 적용되는 단기 DRX 사이클(short DRX cycle)이 있다. 이 때, DRX 단기 사이클 타이머(drxShortCycleTimer)가 동작하는 동안에만 단기 DRX 사이클이 적용되고, DRX 단기 사이클 타이머 밖의 범위에서는 장기 DRX 사이클이 적용된다. 여기서, DRX 단기 사이클 타이머는 하나의 단기 DRX 사이클이 기본 단위가 된다. 이 때, 단기 DRX 사이클 타이머의 길이는 예를 들어 1 내지 16이 될 수 있다. 단말이 단기 DRX 사이클에서 동작하고 있는 경우 단기 DRX 모드, 장기 DRX 사이클에서 동작하고 있는 경우 장기 DRX 모드라고 불릴 수 있다.
RRC 계층에서는 DRX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몇 개의 타이머(timer)들을 관리한다. DRX 동작을 제어하는 타이머에는 지속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 DRX 비활동 타이머(drxInactivity Timer), DRX 재전송 타이머(drxRetransmission Timer) 등이 있다.
지속구간 타이머는 DRX 사이클의 시작에 의해 시작된다. 즉, 지속구간 타이머의 시작시점은 DRX 사이클의 시작시점과 일치한다. 지속구간 타이머는 매 PDCCH 서브프레임마다 값이 1씩 증가한다. 그리고 지속구간 타이머는 지속구간 타이머 값이 미리 구성된 만료 값과 같아지는 때에 만료된다. 지속구간 타이머 값이 상기 만료 값과 같아지기 전까지는 지속구간 타이머는 유효하게 진행된다.
DRX 비활동 타이머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위한 PDCCH를 성공적으로 복호한 시점부터 연속적인 PDCCH 서브프레임 개수로 정의될 수 있다. 지속적인 데이터 수신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이 지속적으로 PDCCH를 모니터해야 하는 시간이다. DRX 비활동 타이머는 단말이 PDCCH 서브프레임에서 HARQ 최초 전송에 대한 PDCCH를 성공적으로 복호한 때에 시작 또는 재시작된다.
DRX 재전송 타이머는 단말에 의해 곧 하향링크 재전송이 기대되는 PDCCH 서브프레임의 연속적인 수의 최대값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타이머이다. DRX 재전송 타이머는 HARQ RTT 타이머가 만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재전송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시작되는 타이머이다. 단말은 DRX 재전송 타이머가 진행 중인 동안에 HARQ 프로세스에서 재전송되는 데이터의 수신을 모니터할 수 있다. DRX 재전송 타이머의 구성(configuration)은 RRC 계층의 MAC-MainConfig 메시지에 의해서 정의된다.
지속구간 타이머, DRX 비활동 타이머, 또는 DRX 재전송 타이머가 진행 중인 시간을 활동 시간(active time)이라 한다. 또는 활동 시간은 단말이 깨어있는 모든 구간을 의미할 수도 있다. DRX 사이클(500) 중 활동 시간이 아닌 시간은 비활동 시간(Non-active time)이라고 할 수 있다. 활동 시간은 웨이크 업(wake up) 구간이라고 불릴 수 있고, 비활동 시간은 슬립(sleep) 구간이라고 불릴 수 있다. 단말은 활동 시간 동안, PDCCH 서브프레임(PDCCH subframe)에 대해 PDCCH를 모니터한다. 여기서 PDCCH 서브프레임이라 함은 PDCCH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TDD 설정(configuration)에서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과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서브프레임들이 PDCCH 서브프레임에 해당된다. 지속구간 타이머, DRX 비활동 타이머, 또는 DRX 재전송 타이머와 같은 DRX 타이머의 타이머 단위(Timer unit)는 PDCCH 서브프레임(PDCCH subframe : psf)이다. 즉, DRX 타이머들은 PDCCH 서브프레임 개수를 기준으로 카운트(count)된다.
이 밖에 DRX 동작을 제어하는 파라미터로서 장기 DRX 사이클(longDRX-Cycle), DRX 개시 오프셋(drxStartOffset)이 있고, 기지국은 선택적으로 DRX 단기 사이클 타이머(drxShortCycleTimer)와 단기 DRX-사이클(shortDRX-Cycle)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각 하향링크 HARQ 프로세스(process)마다 HARQ 왕복시간(round trip time: RTT) 타이머(timer)가 정의된다.
DRX 개시 오프셋은 DRX 사이클(500)이 시작되는 서브프레임을 규정한 값이다. DRX 단기 사이클 타이머는 단말이 반드시 단기 DRX 사이클을 따라야하는 연속적인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정의하는 타이머이다. HARQ RTT 타이머는 단말에 의해 하향링크 HARQ 재전송이 기대되는 구간 이전의 최소 서브프레임 개수를 정의하는 타이머이다.
한편, DRX 구성정보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ignaling radio bearer: SRB)와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를 위한 MAC 계층의 주요 구성을 명시하는데 사용되는 RRC 메시지인 MAC-MainConfig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DRX 구성 정보는 예를 들어 아래의 표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DRX-Config ::= CHOICE {
release NULL,
setup SEQUENCE {
onDurationTimer ENUMERATED {
psf1, psf2, psf3, psf4, psf5, psf6,
psf8, psf10, psf20, psf30, psf40,
psf50, psf60, psf80, psf100, psf200},
drx-InactivityTimer ENUMERATED {
psf1, psf2, psf3, psf4, psf5, psf6,
psf8, psf10, psf20, psf30, psf40,
psf50, psf60, psf80, psf100,
psf200, psf300, psf500, psf750,
psf1280, psf1920, psf2560, psf0-v1020,
spare9, spare8, spare7, spare6,
spare5, spare4, spare3, spare2,
spare1},
drx-RetransmissionTimer ENUMERATED {
psf1, psf2, psf4, psf6, psf8, psf16,
psf24, psf33},
longDRX-CycleStartOffset CHOICE {
sf10 INTEGER(0..9),
sf20 INTEGER(0..19),
sf32 INTEGER(0..31),
sf40 INTEGER(0..39),
sf64 INTEGER(0..63),
sf80 INTEGER(0..79),
sf128 INTEGER(0..127),
sf160 INTEGER(0..159),
sf256 INTEGER(0..255),
sf320 INTEGER(0..319),
sf512 INTEGER(0..511),
sf640 INTEGER(0..639),
sf1024 INTEGER(0..1023),
sf1280 INTEGER(0..1279),
sf2048 INTEGER(0..2047),
sf2560 INTEGER(0..2559)
},
shortDRX SEQUENCE {
shortDRX-Cycle ENUMERATED {
sf2, sf5, sf8, sf10, sf16, sf20,
sf32, sf40, sf64, sf80, sf128, sf160,
sf256, sf320, sf512, sf640},
drxShortCycleTimer INTEGER (1..16)
} OPTIONAL -- Need OR
}
}
표 1을 참조하면, DRX 구성정보는 지속구간 타이머의 값을 한정하는 onDurationTimer 필드와, DRX 비활동 타이머의 값을 지시하는 drx-InactivityTimer 필드와 DRX 재전송 타이머의 값을 지시하는 drx-RetransmissionTimer 필드를 포함한다. 또한, DRX 구성정보는 장기 DRX 사이클의 길이와 시작하는 서브프레임을 지시하는 longDRX-CycleStartOffset 필드와 선택적(optional)으로 구성될 수 있는 단기 DRX에 관한 shortDRX 필드를 포함한다. shortDRX 필드는 구체적으로 단기 DRX 사이클의 길이를 지시하는 shortDRX-Cycle 서브필드 및 단말이 연속되는 단기 DRX 사이클 타이머의 값을 지시하는 drxShortCycleTimer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onDurationTimer 필드는 {psf1, psf2, psf3,...psf200}의 값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psf는 PDCCH 서브프레임을 의미하고, psf뒤의 숫자는 PDCCH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나타낸다. 즉, psf는 PDCCH 서브프레임의 개수로서 타이머의 만료 값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onDurationTimer 필드=psf1이면, 지속시간 타이머는 DRX 사이클이 시작된 서브프레임을 포함하여 누적적으로 1개의 PDCCH 서브프레임까지 진행된 후 만료된다. 또는 onDurationTimer 필드=psf4이면, 지속시간 타이머는 DRX 사이클의 시작에서부터 누적적으로 4개의 PDCCH 서브프레임까지 진행된 후 만료된다. drx-InactivityTimer 필드는 {psf1, psf2, psf3,...psf2560}의 값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rx-InactivityTimer 필드=psf3이면, DRX 비활동 타이머는 구동된 시점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여 누적적으로 3개의 PDCCH 서브프레임까지 진행된 후 만료된다. drx-RetransmissionTimer 필드는 {psf1, psf2, psf4,...psf33}의 값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rx-RetransmissionTimer 필드=psf4이면, DRX 재전송 타이머는 구동된 시점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여 누적적으로 4개의 PDCCH 서브프레임까지 진행된 후 만료된다.
longDRX-CycleStartOffset 필드는 장기 DRX 사이클의 길이로 {sf10, sf20, sf32, sf40,...sf2560}의 값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고, 장기 DRX 사이클이 시작하는 서브프레임은 상기 장기 DRX 사이클의 길이 값에 대응하여 {INTEGER(0..9), INTEGER(0..19), INTEGER(0..31),...INTEGER(0..2559)}의 값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ongDRX-CycleStartOffset 필드=sf20, INTEGER(0..19)이면, 하나의 장기 DRX 사이클은 20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장기 DRX 사이클은 서브프레임 인덱스 0부터 19 중 임의의 서브프레임이 장기 DRX 사이클 시작 서브프레임으로 선택될 수 있다. shortDRX 필드를 구성하는 shortDRX-Cycle 서브필드는 {sf2, sf5, sf8,...sf640}의 값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hortDRX-Cycle 서브필드=sf5이면, 하나의 단기 DRX 사이클은 5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shortDRX 필드를 구성하는 drxShortCycleTimer 서브필드는 정수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drxShortCycleTimer 서브필드=3이면, 단기 DRX 사이클이 3번 진행된 후 만료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S420에서 기지국이 상기 단말 선호도 정보에 기반하여 RRC 관련 파라미터, 특히 DRX 관련 파라미터를 재구성하여 단말로 전송함에 있어 상기 RRC 관련 파라미터의 재구성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상기 수신한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가 디폴트 상태를 지시하는 경우, 기존에 구성되었던 RRC 관련 파라미터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S420은 생략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디폴트 상태를 반영하여 RRC 관련 파라미터를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에 장기 DRX만 구성되어 있고, 단기 DRX는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디폴트 상태를 반영하여 단말에 단기 DRX를 구성을 추가하는 DRX 재구성을 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장기 DRX 또는 단기 DRX의 한 사이클에 적용되는 서브프레임 수(n)를 일정 수 (x) 이하(n=x 혹은 n<x: n은 DRX 서브프레임 수, x는 일정 크기 이상의 서브프레임 수)로 재구성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지속구간 타이머를 일정 시간 이상(onDurationTimer=y 혹은 onDurationTimer>y)으로 재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은 이 외에도 DRX 비활성 타이머 및 DRX 재전송 타이머 등도 일정 시간 이상으로 재구성 할 수도 있다. 또는 기지국은 DRX의 한 사이클에 적용되는 서브프레임 수(n)을 기존보다 한 단계 짧아진 값으로 재구성할 수 있고, 지속구간 타이머를 기존보다 한 단계 길어진 값으로 재구성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DRX 비활성 타이머 및 DRX 재전송 타이머 등도 기존보다 한 단계 길어진 값으로 재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이 PDCCH 서브프레임을 모니터링하는 활성 시간이 더 빈번하게 발생하거나, 더 길어지고, 후술하는 저파워 소비 상태의 경우에 비하여 하향링크 전송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onDurationTimer 필드=psf10이고, longDRX-CycleStartOffset 필드=sf40, INTEGER(0..39)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기지국이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반으로 단말의 파워 선호도가 디폴트 상태임을 알게 된 경우, 기지국은 onDurationTimer 필드=psf20로 재구성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longDRX-CycleStartOffset 필드=sf32, INTEGER(0..31)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onDurationTimer 필드=psf20, 그리고 longDRX-CycleStartOffset 필드=sf32, INTEGER(0..31)으로 동시에 재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한 경우, DRX 사이클 길이의 감소로 인하여 단말이 보다 빈번하게 활동 시간에서 동작할 수 있고, 지속구간 타이머 시간의 증가로 인하여 단말이 더 긴 시간 동안 활동 시간으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저파워 소비 상태의 경우보다 전송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지국은 상기 수신한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가 저파워 소비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의 배터리 소비를 줄일 수 있는 구성으로 RRC 관련 파라미터 재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이 장기 DRX 모드로 동작하도록 DRX를 재구성(또는 구성)하거나. 또는 단말의 비활동 시간이 더 길게 유지되도록 DRX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단말이 단기 DRX 모드에서 동작하지 않고, 장기 DRX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DRX 재구성을 할 수 있다. 즉, DRX 설정에 단기 DRX 및 장기 DRX가 모두 구성되어 있는 경우이고,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저파워 소비 상태를 나타내는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수신하는 경우, 기지국은 단기 DRX 구성을 제거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장기 DRX 또는 단기 DRX의 한 사이클에 적용되는 서브프레임 수(n)를 일정 수(x) 이상(n=x 혹은 n>x: n은 DRX 서브프레임 수, x는 일정 크기 이상의 서브프레임 수)으로 재구성 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지속구간 타이머를 일정 시간 (y) 이하(onDurationTimer=y 혹은 onDurationTimer<y)로 재구성 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은 이 외에도 DRX 비활성 타이머 및 DRX 재전송 타이머 등도 일정 시간 이하로 재구성 할 수도 있다. 또는 기지국은 DRX의 한 사이클에 적용되는 서브프레임 수(n)을 기존보다 한 단계 긴 값으로 재구성할 수 있고, 지속구간 타이머를 기존보다 한 단계 짧은 값으로 재구성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DRX 비활성 타이머 및 DRX 재전송 타이머 등도 기존보다 한 단계 짧은 값으로 재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한 DRX 사이클에 적용되는 서브프레임 수가 증가하는 경우, 단말이 PDCCH를 모니터링하는 사이클이 길어지게 되므로, 단말의 파워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속구간 타이머, 상기 DRX 비활성 타이머, 및 상기 DRX 재전송 타이머는 PDCCH 서브프레임의 수신 횟수에 관련이 있으므로, 이를 더 적은 시간으로 재구성하는 경우 단말의 파워 절약(power saving) 측면에서 효과를 볼 수 있다.
한편, 단말이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빈번하게 보내는 경우 불필요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피하기 위하여 단말은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에만 전송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파워 선호도 지시자 금지 타이머(Power Preference Indication Prohibit Timer), 즉 PPI 금지 타이머를 운용함으로써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가 빈번하게 변경되는 경우에도 일정 시간 동안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 전송을 금지함으로서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단말의 파워 선호도를 지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한다(S600).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파워선호도지시자-가능(powerPrefIndication-Enabled) 정보 및 파워선호도지시자-타이머(powerPrefIndication-Timer)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파워선호도지시자-가능 정보는 파워 선호도 지시자(PPI)의 전송이 가능한 단말이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허락 또는 명령하는 정보이다. 상기 파워선호도지시자-타이머 정보는 PPI 금지 타이머에 관한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PPI 금지 타이머는 단말이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 전송을 위한 최소간격시간(MTI: Minimum time interval)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PPI 금지 타이머에 관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파워선호도지시자-타이머 정보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다음과 같은 구문으로 포함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표 2를 참조하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powerPrefIndication-Timer-r11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필드는 PPI 금지 타이머에 관한 시간 값으로 0초, 0.5초, 1초, 2초, 5초, 10초, 20초, 30초, 60초, 90초, 120초, 300초, 600초, spare3, spare2, 및 spare1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spare3, spare2, 및 spare1은 유보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유보된 값은 단말과 기지국 간의 약속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PI 금지 타이머 값의 종류 또는 범위는 단말과 기지국간의 약속에 의하여 다르게 정의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PPI 금지 타이머가 상기 파워선호도지시자-타이머를 기반으로 5분으로 설정(set)된 경우 단말은 최소한 5분의 시간 간격을 가지고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은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전송한 이후에 파워선호도지시자-타이머를 기반으로 PPI 금지 타이머를 설정하여 동작시키고, 상기 PPI 금지 타이머가 동작하는 시간 동안에는 다시 단말의 파워 선호도 정보를 전송할 수 없다. 이는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가 변경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단말은 상기 파워선호도지시자-가능 정보를 확인하고,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610). 이 경우 단말은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앞서 PPI 금지 타이머가 동작 중이 아닌지를 더 확인할 수도 있다. 단말은 PPI 금지 타이머가 동작 중이 아닌 경우에도, 단말이 상기 파워선호도지시자-가능 정보를 수신하고 나서 처음으로 기지국에 파워 선호도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또는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가 변경된 경우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는 단말 보조 정보(UE assistant information)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는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는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로서 디폴트 상태 및 저파워 소비 상태를 포함한다. 단말이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경우, 즉 S610에서 PPI 금지 타이머가 구동될 수 있다. PPI 금지 타이머가 돌아가고(running) 있는 경우에는 비록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가 변경되더라도 단말은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없다. 즉, 단말이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하여는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가 변경되고, 상기 PPI 금지 타이머가 만료(expire)되거나 중단(stop)되어 동작하지 않고 있어야(is not running) 한다.
기지국은 S610에서 수신한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반으로, RRC 관련 파라미터, 예를 들어 DRX 관련 파라미터,를 재구성하고, 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S620). 즉, 기지국은 수신한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반으로, DRX 관련 파라미터 등을 포함하는 RRC 관련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가 지시하는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에 대응하여 재구성하고,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전송된 RRC 관련 파라미터를 단말에 재구성한다. 이 경우 상기 DRX 관련 파라미터 재구성은 S420에서 설명된 내용을 포함한다.
단말은 이후,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가 변경되고, PPI 금지 타이머가 만료 또는 중단되어 동작하지 않고 있는 경우 현재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지시하는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630). 이 경우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가 단말 보조 정보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음은 S610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기지국은 S630에서 수신한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반으로, RRC 관련 파라미터를 재구성하고, 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S640). 상기 RRC 관련 파라미터는 DRX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지국은 S630에서 수신한 파워 선호도 지시자가 지시하는 단말의 새로운 파워 선호도 상태를 바탕으로 이에 대응하는 DRX 재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말은 PPI 금지 타이머를 운용함으로써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가 빈번하게 변경되는 경우에도 일정 시간 동안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 전송을 금지함으로서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담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PPI 금지 타이머가 동작 중임에도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변경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급격한 네트워크 상태 변화 혹은 단말에 제공할 서비스의 변경 등의 경우에는 비록 PPI 금지 타이머가 동작 중이더라도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기반으로 한 RRC 관련 파라미터를 유지하는 것이 부적절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가 저파워 소비 상태여서 기지국이 이를 기반으로 어느 정도의 전송 지연을 허용하면서 단말의 베터리 절약을 할 수 있도록 RRC 관련 파라미터를 재구성하였으나, 이후 네트워크 상태 변화 등에 따라 기지국이 스케줄링을 타이트(tight)하게 해줘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상태가 갑자기 바뀌어서 저파워 소비 상태에 대응하는 RRC 관련 파라미터로 재구성된 단말에서 트래픽을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지국은 단말로 상기 PPI 금지 타이머를 만료 또는 중단시키는 시그널링을 할 수 있다. 기지국이 스케줄링을 타이트(tight)하게 한다라는 의미는 일반적으로 DRX 설정을 상대적으로 짧은 사이클로 설정하거나 활성화 (Active) 구간을 길게 설정하여 단위 시간에 많은 양의 트래픽을 수신하게 할 가능성을 높여 주는 것과 유사한 의미이다. 하지만, 기지국이 스케줄링을 타이트하게 하는 방법은 DRX 관련 설정으로만 국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단말의 파워 선호도를 지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서는 단말에서 PPI 금지 타이머가 구동되고 있는 동안에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를 수신하여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또는 만료)시키고,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도 6에서는 PPI 금지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까지 단말이 PPI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못하였으나, 도 7에서는 기지국의 판단에 의하여 단말에게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를 전송하여 단말이 PPI 금지 타이머가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만료되기까지 기다리지 않고도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S700 내지 S720은 도 6에서의 절차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지국은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를 전송하는 상황이 발생하는지 검출한다(S725).
기지국은 단말이 현재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단말의 트래픽 상태, 또는 무선 베어러(radio bearer)에 할당되어 있는 QoS(Quality of Service) 레벨(예를 들어 QCI(QoS Class Identifier) 등)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할당되는 무선 베어러는 S1 베어러 등과 일대일 매핑관계를 가지며 QoS 할당의 기준은 베어러이다. 따라서, 특정 단말로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베어러 등이 설정되고 기지국은 베어러에 대한 QoS 맵핑관계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QCI는 QoS 클래스를 구분하여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기지국은 해당 베어러의 QoS를 QCI 매핑한다. 기지국은 QCI 따라서 RRC 관련 파라미터 (재)구성(또는 무선 자원 구성)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단말과의 서비스 관련된 QoS 등 네트워크 상황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는 노드이며, 트래픽 상황에 대하여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에 구성된 RRC 관련 파라미터, 예를 들어 DRX 관련 파라미터 등이 단말에 서비스되고 있는 트래픽 상황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 이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지국에서 QoS 관련 상황을 파악함으로 트래픽의 진행 상황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고, 이를 단말에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설정된 무선 자원 상황과 비교하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인지 여부를 파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는 디폴트 상태와 저파워 소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디폴트 상태는 예를 들어 저파워 소비 상태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딜레이(delay)의 트래픽이 요구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저파워 소비 상태는 예를 들어 디폴트 상태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딜레이 등이 허용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에 전송한 경우 기지국은 이를 바탕으로 새로이 RRC 관련 파라미터 재구성을 할 수 있다. 만약, 상기에서 단말의 QoS 관련된 정보 또는 트래픽 상황이 단말에게 (재)구성해준 RRC 관련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운 등의 상황이라면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수신하여 이를 기반으로 RRC 관련 파라미터를 재구성하고, 단말의 PPI 금지 타이머가 만료되기 이전에, QoS 또는 트래픽 특성 등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또는 검출)한다.
QoS의 클래스에 따른 특성을 나타내는 QCI 테이블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2
표 3를 참조하면, 패킷지연버짓(packet delay budget)은 상기 단말에서 허용가능한 지연 시간의 상한선(upper bound)이고, PELR은 패킷 오류 유실율(packet error loss rate), GBR은 보장되는 비트율(guaranteed bit rate)를 나타낸다.
기지국과 단말간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를 통하여 트래픽 전송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베어러에 따라 다른 QCI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베어러를 사용하는 단말의 경우에 상기 베어러에 대한 QCI=4에 해당하는 경우를 고려해 볼 수 있다. QCI=4는 그 대상이 되는 서비스의 예가 비대화형 비디오(non-conversational video)에 해당하고, 패킷 지연 버짓이 300ms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상당한 지연을 허용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의 QCI=4의 서비스 예에 해당하는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에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디폴트 상태에서 저파워 소비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저파워 소비 상태인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지시하는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수신한 기지국은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가 지시하는 저파워 소비 상태를 반영하여 RRC 관련 파라미터를 재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후에 QCI=4에 해당하는 베어러 사용 상황이 QCI=3과 같은 실시간 게이밍(real time gaming) 위주의 서비스로 변경될 수 있다. QCI=3번의 경우에는 패킷 지연 버짓이 50ms로서 상당히 적은 딜레이만을 허용하는 경우이다. 상기의 경우에는 단말은 저파워 소비 상태를 반영한 RRC 관련 파라미터로 동작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단말은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저파워 소비 상태에서 디폴트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하지만, 상기에서 PPI 금지 타이머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 상기 디폴트 상태를 지시하는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없다. 기지국은 상기와 같이 단말에게 저파워 소비 상태를 반영한 RRC 관련 파라미터를 재구성해준 후에 QoS 변동 혹은 지연 요구 사항 등의 변동을 인지하고, 기존의 RRC 관련 파라미터를 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울 수 있는 QoS 상황일 경우에 이에 대하여 단말에 알려 주어 단말이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하고 단말의 변경된 파워 선호도 상태를 지시하는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말 파워 선호도 지시자가 저파워 소비 상태를 지시하고, QCI의 변경으로 인하여 허용 가능한 패킷지연버짓의 변경 상황이 일정 한도(threshold) 이상이 됨을 검출하면, 기지국은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S730).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를 기반으로 단말은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또는 만료)시킬 수 있다.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는 단말에 특정하게(specifically) 전송될 수 있고, 논리채널인 전용제어채널(dedicated control channel: DCCH)을 통해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는 단말 PPI 요청 지시자로 불릴 수도 있다. 상술한 예에서 A의 경우 초기에 패킷지연버짓이 300ms인 QCI=4이고, 이후 B의 경우 패킷지연버짓이 50ms인 QCI=3으로 변동한 경우, 만약 허용 가능한 패킷지연버짓의 변경 수준을 200 ms 로 가정하면, A-B= 250 ms 로서, 일정 한도를 초과하므로,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서,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는 기지국이 현재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를 현재의 무선 자원 구성(또는 RRC 관련 파라미터)으로 제공하는 데에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단말에게 알려주는 지시자로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는 단말에게 바로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요구하는 지시자로서 정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는 단말이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전송할 수 있는 상태임을 알려주는 지시자로서 정의될 수 있다. 만약, 단말에서 현재 PPI 금지 타이머가 동작 중이고, 단말이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를 수신한 경우, 동작중인 PPI 금지 타이머는 중단(또는 만료)된다.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의 메시지 형식과 관련하여, 일례로서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메시지는 RRC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구문으로 정의될 수 있다.
PPI prohibit timer stop:: SEQUENCE {
bearerInfo {QCI list};
trafficChangeIndication;
}
PPI prohibit timer expire:: SEQUENCE {
bearerInfo {QCI list};
trafficChangeIndication;
}
표 4는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시키는 지시자의 구성을 나타내고, 표 5는 PPI 금지 타이머를 만료시키는 지시자를 나타낸다.
표 4 및 표 5를 참조하면, PPI 금지 타이머 중단 지시자 또는 PPI 금지 타이머 만료 지시자를 단말이 수신하면, 단말은 PPI 금지 타이머 중단 또는 만료를 지시함을 확인할 수 있다. 'barerInfo' 필드는 QCI 매핑 값에 대한 정보를 나른다. 'trafficChangeIndication' 필드는 해당 단말을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의 QCI 값 또는 트래픽 특성이 급격하게 변경되었음을 지시한다.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는 단말에 특정하게(specifically) 전송될 수 있고, 논리채널인 전용제어채널(dedicated control channel: DCCH)을 통해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는 RRC 전용 메시지(RRC dedicated message)일 수 있다.
또한, PPI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는 다음과 같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 SEQUENCE {
PPI prohibit timer stop {
bearerInfo {QCI list};
trafficChangeIndication;
}
}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 SEQUENCE {
PPI prohibit timer expire {
bearerInfo {QCI list};
trafficChangeIndication;
}
}
표 6은 PPI 금지 타이머 중단 지시자가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어 구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표 7은 PPI 금지 타이머 만료 지시자가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어 구성된 경우를 나타낸다.
표 6 및 표 7을 참조하면, 상기에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를 포함한다.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 지시자는 단말의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PPI 금지 타이머 만료 지시자는 단말의 PPI 금지 타이머를 만료하도록 지시한다.
다른 예로서,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는 MAC 메시지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는 새로운 MAC CE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MAC 메시지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MAC 메시지(800)는 MAC 헤더(MAC header, 810), 적어도 하나의 MAC CE(820,...,825), 적어도 하나의 MAC 서비스 데이터 유닛(Service Data Unit: SDU)(830-1,...,830-m) 및 패딩(padding, 840)을 포함한다.
MAC 헤더(81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헤더(sub-header, 810-1, 810-2,...,810-k)를 포함하며, 각 서브헤더(810-1, 810-2,...,810-k)는 하나의 MAC SDU(830-1,...,830-m) 또는 하나의 MAC CE(820,...,625) 또는 패딩(840)에 대응(corresponding)한다. 서브헤더(810-1, 810-2,...,810-k)의 순서는 MAC 메시지(800) 내에서 대응하는 MAC SDU(830-1,...,830-m), MAC CE(820,...,825) 또는 패딩(840)들의 순서와 동일하게 배치된다.
각 서브헤더(810-1, 810-2,...,810-k)는 R, R, E, LCID 이렇게 4개의 필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각 서브헤더(810-1, 810-2,...,810-k)는 R, R, E, LCID, F, L 이렇게 6개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필드를 포함하는 서브헤더는 MAC 제어요소(820,...,825) 또는 패딩(840)에 대응하는 서브헤더이며, 6개의 필드를 포함하는 서브헤더는 MAC SDU에 대응하는 서브헤더이다. MAC 제어요소(820,..., 825)는 MAC 계층이 생성하는 제어메시지이다. 패딩(padding, 840)은 MAC 메시지의 크기를 일정하게 하도록 첨가되는 소정개수의 비트이다. MAC 제어요소(820,...,825), MAC SDU(830-1,...,830-m) 및 패딩(840)을 합쳐서 MAC 페이로드(payload)라고도 한다.
논리채널 식별(Logical Channel ID: LCID) 필드는 MAC SDU(830-1,...,830-m)에 대응하는 논리채널을 식별하거나, MAC CE(820,...,825) 또는 패딩의 종류(type)를 식별하는 식별필드이며, 각 서브헤더(810-1, 810-2,...,810-k)가 옥텟(octet) 구조를 가질 때, LCID 필드는 5비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8과 같이 LCID 필드는 대응되는 MAC CE(820,...,825)가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를 지시하기 위한 MAC CE(이하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에 관한 MAC CE)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인덱스(Index) LCID 값(value)
00000 CCCH
00001-01010 논리 채널 식별(Identity of the logical channel)
01011-11001 유보된(Reserved)
11010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PPI prohibit timer stop(or expire))
11011 활성화/비활성화(Activation/Deactivation)
11100 UE 경합 해소 식별(UE Contention Resolution Identity)
11101 시산 전진 명령(Timing Advance Command)
11110 DRX 명령(DRX command)
11111 패딩(Padding)
표 8을 참조하면, LCID 필드의 인덱스가 11010이면, 대응하는 MAC CE는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에 관한 MAC CE이다.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에 관한 MAC CE에 대응하는 LCID 필드의 인덱스 값은 예시로서, 상기 유보된 다른 인덱스 값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MAC 서브헤더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서브헤더(900)는 2개의 R 필드(905), E 필드(910), 및 LCID 필드(915)를 포함한다. R 필드(905)는 유보된(reserved) 비트이고, 0으로 설정(set)될 수 있다. E 필드(910)는 MAC 헤더에 더 많은 필드들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지시하는 플래그(flag)이다. 예를 들어 E 필드(910)가 1로 설정되면 적어도 하나의 MAC 서브헤더가 더 있음을 지시하고, E 필드(910)가 0으로 설정되면 MAC SDU, MAC CE 또는 패딩이 다음 바이트(next byte)에서 시작함을 지시한다. LCID 필드(915)는 예를 들어 표 1과 같이 그 값이 11010이면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에 관한 MAC CE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에 관한 MAC CE를 구성하는 경우, 서브헤더(900)의 LCID 필드(915)는 새로운 LCID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일 예로 PPI 금지 타이머 전송 중단(또는 만료)에 관한 MAC CE는 영(zero) 비트(bits)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에 관한 MAC CE가 영 비트 사이즈를 갖는 경우, 단말은 PPI 금지 타이머 전송 중단(또는 만료)를 지시함을 알 수 있다. 다른 예로 PPI 금지 타이머 전송 중단(또는 만료)에 관한 MAC CE는 1 옥텟(1 OCT)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옥텟은 8비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MAC CE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는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에 관한 MAC CE의 구조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에 관한 MAC CE(1050)은 7개의 R 필드(1055), 하나의 S 필드(1060)을 포함한다. R 필드(1055)는 유보된 비트이고, 0으로 설정(set)될 수 있다. S 필드(1060)는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S 필드(1060)가 1로 설정된 경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를 지시할 수 있고, S 필드(106)가 0으로 설정된 경우 PI 금지 타이머 계속(continue) 또는 재시작(restart)을 지시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은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를 기반으로 상기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또는 만료)시키고, 이 경우 PPI 금지 타이머가 동작하고 있지 않으므로 단말의 변경된 파워 선호도 상태를 포함하는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740). 이 경우 단말은 자신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QoS 상태 등을 기반으로 미리 변경할 수도 잇고,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 지시자를 받는 경우에 자동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S740에서 수신한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반으로, RRC 관련 파라미터를 재구성하고, 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S750). 상기 RRC 관련 파라미터는 DRX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지국은 S740에서 수신한 파워 선호도 지시자가 지시하는 단말의 새로운 파워 선호도 상태를 바탕으로 이에 대응하는 DRX 재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지국은 필요에 따라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를 단말로 전송하여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또는 만료)시켜 동작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단말은 필요에 따라 신속하게 단말의 파워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기지국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상기와 같이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보내지 않고, PPI 금지 타이머의 동작과 무관하게 예외적으로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전송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PI 금지 타이머의 동작과 무관하게 예외적으로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지시자는 단말 PPI 요청 지시자라고 불릴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 PPI 요청 지시자는 단말에 특정하게(specifically) 전송될 수 있고, 논리채널인 전용제어채널(dedicated control channel: DCCH)을 통해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단말 PPI 요청 지시자는 RRC 한정 메시지(RRC dedicated message)일 수 있다. 또한 단말 PPI 요청 지시자는 다음과 같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고, 새로운 MAC CE로 구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9와 같이 MAC 메시지에 포함되는 MAC 서브헤더의 LCID 필드는 대응되는 MAC CE가 단말 PPI 요청을 지시하기 위한 MAC CE(이하 단말 PPI 요청에 관한 MAC CE)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인덱스(Index) LCID 값(value)
00000 CCCH
00001-01010 논리 채널 식별(Identity of the logical channel)
01011-11001 유보된(Reserved)
11010 단말 PPI 요청(UE PPI request)
11011 활성화/비활성화(Activation/Deactivation)
11100 UE 경합 해소 식별(UE Contention Resolution Identity)
11101 시산 전진 명령(Timing Advance Command)
11110 DRX 명령(DRX command)
11111 패딩(Padding)
표 9를 참조하면, LCID 필드의 인덱스가 11010이면, 대응하는 MAC CE는 단말 PPI 요청에 관한 MAC CE이다. 상기 단말 PPI 요청에 관한 MAC CE에 대응하는 LCID 필드의 인덱스 값은 예시로서, 상기 유보된 다른 인덱스 값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LCID 필드가 단말 PPI 요청을 지시하는 MAC 서브헤더의 구조 및 대응하는 단말 PPI 요청에 관한 MAC CE 구조는 도 9 내지 도 10의 구조와 같을 수 있다. 단말 PPI 요청에 관한 MAC CE는 영 비트 사이즈를 가질 수 있고, 또는 1 옥텟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MAC CE는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 전송을 요청함을 지시한다. 상기 단말 PPI 요청을 지시하는 MAC CE를 수신한 경우, 단말은 PPI 금지 타이머의 동작과 무관하게 예외적으로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상기 PPI 타이머를 중단(또는 만료)시킨 후, 또는 중단(또는 만료)시키지 않고, PPI 금지 타이머를 재시작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RRC 관련 파라미터 중 예를 들어 DRX 관련 파라미터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을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단말 선호도 지시자 수신 없이 자체적으로 DRX 관련 파라미터를 재구성하여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상기 변경된 새로운 DRX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받는 경우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또는 만료)하고 자신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나타내는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단말의 파워 선호도를 지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S1100 내지 S1125은 도 7에서의 절차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말 파워 선호도 지시자가 저파워 소비 상태를 지시하고, QCI의 변경으로 인하여 허용 가능한 패킷지연버짓의 변경 상황이 일정 한도(threshold) 이상이 됨을 검출하는 등 DRX 관련 파라미터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기지국은 DRX 관련 파라미터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DRX 관련 파라미터를 재구성하고, 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S1130). 기지국은 현재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를 현재의 무선 자원 구성, 특히 DRX 관련 파라미터로 제공하는데에 문제가 있거나, 네트워크 환경 등에 변화가 생긴 등의 경우 DRX 관련 파라미터를 변경하고, 이를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새로이 수신 받은 DRX 관련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단말의 관련 파라미터를 재구성한다.
단말은 S1120에서 수신한 RRC 관련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된 DRX 관련 파라미터와 비교하여 S1130에서 수신한 RRC 관련 파라미터에 변경이 있는 경우 또는 S1130에서 수신된 RRC 관련 파라미터와 다른 RRC 관련 파라미터를 원하는 경우 단말은 상기 다른 RRC 관련 파라미터에 관련된 파워 선호도 상태를 지시하는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 단말은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또는 만료)시키고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도 있고, 또는 단말은 PPI 금지 타이머와 무관하게 예외적으로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는 단말 보조 정보에 포함되어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상기 새로이 수신된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반으로 DRX 관련 파라미터 등을 재구성하고, 이를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DRX 관련 파라미터 재구성은 S420에서 설명된 내용을 포함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에 의한 단말의 파워 선호도를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은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S1200).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파워선호도지시자-가능(powerPrefIndication-Enabled) 정보 및 파워선호도지시자-타이머(powerPrefIndication-Timer)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파워선호도지시자-가능 정보는 파워 선호도 지시자(PPI)의 전송이 가능한 단말이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허락 또는 명령하는 정보이다. 상기 파워선호도지시자-타이머 정보는 PPI 금지 타이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PPI 금지 타이머는 단말이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 전송을 위한 최소간격시간(MTI: Minimum time interval)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PPI 금지 타이머가 상기 파워선호도지시자-타이머를 기반으로 5분으로 설정(set)된 경우 단말은 최소한 5분의 시간 간격을 가지고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은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전송한 이후에 파워선호도지시자-타이머를 기반으로 PPI 금지 타이머를 설정하여 동작시키고, 상기 PPI 금지 타이머가 동작하는 시간 동안에는 다시 단말의 파워 선호도 정보를 전송할 수 없다. 이는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가 변경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단말은 상기 파워선호도지시자-가능 정보를 확인하고,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210). 이 경우 단말은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앞서 PPI 금지 타이머가 동작 중이 아닌지를 더 확인할 수도 있다. 단말은 PPI 금지 타이머가 동작 중이 아닌 경우에도, 단말이 상기 파워선호도지시자-가능 정보를 수신하고 나서 처음으로 기지국에 파워 선호도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또는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가 변경된 경우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는 단말 보조 정보(UE assistant information)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는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는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로서 디폴트 상태 및 저파워 소비 상태를 포함한다. 단말이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경우, 즉 S1210에서 PPI 금지 타이머가 구동될 수 있다. PPI 금지 타이머가 돌아가고(running) 있는 경우에는 비록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가 변경되더라도 단말은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없다. 즉, 단말이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하여는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가 변경되고, 상기 PPI 금지 타이머가 만료(expire)되거나 중단(stop)되어 동작하지 않고 있어야(is not running) 한다.
단말은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S1220). 상기 RRC 연결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반으로 기지국이 재구성한 RRC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RX 관련 파라미터 재구성은 S420에서 설명된 내용을 포함한다. 단말은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수신된 RRC 관련 파라미터를 단말에 재구성할 수 있다.
단말은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S1130).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를 기반으로 단말은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또는 만료)시킬 수 있다.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는 단말에 특정하게(specifically) 전송될 수 있고, 논리채널인 전용제어채널(dedicated control channel: DCCH)을 통해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는 기지국은 현재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를 현재의 무선 자원 구성(또는 RRC 관련 파라미터)으로 제공하는데에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단말에게 알려주는 지시자일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를 통하여 현재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를 현재의 무선 자원 구성(또는 RRC 관련 파라미터)으로 제공하기 어려운 상태임을 알려 주고, 단말이 바로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요구하거나 단말이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전송할 수 있는 상태임을 알려줄 수 있다. 만약, 단말에서 현재 PPI 금지 타이머가 동작 중이고, 단말이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를 수신한 경우, 동작중인 PPI 금지 타이머는 중단(또는 만료)된다.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의 메시지 형태 및 구조는 표 4 내지 8 및, 도 9, 도 10에서 설명된 내용을 포함한다.
또한, 단말은 이 외에도 단말 PPI 요청 지시자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은 PPI 금지 타이머의 동작과 무관하게 예외적으로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상기 PPI 타이머를 중단(또는 만료)시킨 후, 또는 중단(또는 만료)시키지 않고, PPI 금지 타이머를 재시작할 수 있다. 상기 단말 PPI 요청 지시자의 메시지 형태 및 구조는 상기 지시자가 의미하는 내용을 제외하면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의 메시지 형태 및 구조와 같을 수 있으며, 표 9에서 설명된 내용을 포함한다.
단말은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를 기반으로 상기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또는 만료)시키고, 이 경우 PPI 금지 타이머가 동작하고 있지 않으므로 단말의 변경된 파워 선호도 상태를 포함하는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240). 이 경우 단말은 자신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QoS 상태 등을 기반으로 미리 변경할 수도 있고,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 지시자를 받는 경우에 자동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는 단말은 단말 PPI 요청 지시자를 기반으로 PPI 금지 타이머와 무관하게 예외적으로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단말은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S1250). 상기 RRC 연결 메시지는 기지국이 S1240에서 수신한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반으로 재구성한 RRC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RC 관련 파라미터는 DRX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DRX 관련 파라미터 재구성은 S420에서 설명된 내용을 포함한다. 단말은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수신된 RRC 관련 파라미터를 단말에 재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를 기반으로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또는 만료)시켜 동작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단말은 필요에 따라 신속하게 단말의 파워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기지국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기지국에 의한 단말의 파워 선호도를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기지국은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한다(S1300).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파워선호도지시자-가능 정보 및 파워선호도지시자-타이머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파워선호도지시자-가능 정보는 파워 선호도 지시자(PPI)의 전송이 가능한 단말이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허락 또는 명령하는 정보이다. 상기 파워선호도지시자-타이머 정보는 PPI 금지 타이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PPI 금지 타이머는 단말이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 전송을 위한 최소간격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PPI 금지 타이머가 상기 파워선호도지시자-타이머를 기반으로 5분으로 설정(set)된 경우 단말은 최소한 5분의 시간 간격을 가지고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은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전송한 이후에 파워선호도지시자-타이머를 기반으로 PPI 금지 타이머를 설정하여 동작시키고, 상기 PPI 금지 타이머가 동작하는 시간 동안에는 다시 단말의 파워 선호도 정보를 전송할 수 없다. 이는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가 변경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기지국은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단말로부터 수신한다(S1310).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는 단말 보조 정보(UE assistant information)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는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는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로서 디폴트 상태 및 저파워 소비 상태를 포함한다. 단말이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경우, 즉 S1310에서 PPI 금지 타이머가 구동될 수 있다. PPI 금지 타이머가 돌아가고(running) 있는 경우에는 비록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가 변경되더라도 단말은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없다. 즉, 단말이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하여는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가 변경되고, 상기 PPI 금지 타이머가 만료(expire)되거나 중단(stop)되어 동작하지 않고 있어야(is not running) 한다.
기지국은 S1310에서 수신한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반으로, RRC 관련 파라미터, 예를 들어 DRX 관련 파라미터,를 재구성하고, 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S1320). 즉, 기지국은 수신한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반으로, DRX 관련 파라미터 등을 포함하는 RRC 관련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가 지시하는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에 대응하여 재구성하고,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DRX 관련 파라미터 재구성은 S420에서 설명된 내용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를 단말에 전송한다(S1330).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를 기반으로 단말은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또는 만료)시킬 수 있다.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는 단말에 특정하게 전송될 수 있고, 논리채널인 전용제어채널을 통해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는 기지국은 현재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를 현재의 무선 자원 구성(또는 RRC 관련 파라미터)으로 제공하는데에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단말에게 알려주는 지시자이다. 기지국은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를 통하여 현재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를 현재의 무선 자원 구성(또는 RRC 관련 파라미터)으로 제공하기 어려운 상태임을 알려 주고, 단말이 바로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요구하거나 단말이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전송할 수 있는 상태임을 알려준다. 만약, 단말에서 현재 PPI 금지 타이머가 동작 중이고, 단말이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를 수신한 경우, 동작중인 PPI 금지 타이머는 중단(또는 만료)된다.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의 메시지 형태 및 구조는 표 4 내지 8 및, 도 9, 도 10에서 설명된 내용을 포함한다.
또한, 기지국은 이 외에도 단말 PPI 요청 지시자를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은 PPI 금지 타이머의 동작과 무관하게 예외적으로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상기 PPI 타이머를 중단(또는 만료)시킨 후, 또는 중단(또는 만료)시키지 않고, PPI 금지 타이머를 재시작할 수 있다. 상기 단말 PPI 요청 지시자의 메시지 형태 및 구조는 상기 지시자가 의미하는 내용을 제외하면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의 메시지 형태 및 구조와 같을 수 있으며, 표 9에서 설명된 내용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단말로부터 수신한다(S1340). 단말은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 또는 단말 PPI 요청 지시자를 기반으로 상기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또는 만료)시키고 단말의 변경된 파워 선호도 상태를 포함하는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PPI 금지 타이머와 무관하게 예외적으로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S740에서 수신한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반으로, RRC 관련 파라미터를 재구성하고, 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S1350). 상기 RRC 관련 파라미터는 DRX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지국은 S1340에서 수신한 파워 선호도 지시자가 지시하는 단말의 새로운 파워 선호도 상태를 바탕으로 이에 대응하는 DRX 재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다른 단말의 파워 선호도를 지원하는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말(1400)은 단말 수신부(1405), 단말 프로세서(1410) 및 단말 전송부(1415)를 포함한다. 단말 프로세서(1410)는 단말 메시지 처리부(1411) 및 파워 선호도 판단부(1412)를 포함한다.
단말 수신부(1405)는 기지국(1450)으로부터 파워선호도지시자-가능 정보, 파워선호도지시자-타이머 정보, RRC 관련 파라미터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단말 수신부(1405)는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 및 단말 PPI 요청 지시자를 기지국(1450)으로부터 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파워선호도지시자-가능 정보는 파워 선호도 지시자(PPI)의 전송이 가능한 단말이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허락 또는 명령하는 정보이다. 상기 파워선호도지시자-타이머 정보는 PPI 금지 타이머에 관한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PPI 금지 타이머는 단말이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 전송을 위한 최소간격시간(MTI: Minimum time interval)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파워선호도지시자-가능 정보 및 상기 파워선호도지시자-타이머 정보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어 기지국(1450)에서 단말(14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RRC 관련 파라미터는 기지국(1450)이 단말(1400)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반으로 재구성한 파라미터일 수 있다. 상기 RRC 관련 파라미터는 DRX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RC 관련 파라미터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어 기지국(1450)에서 단말(1400)전송될 수 있다.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는 단말이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또는 만료)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는 RRC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 수신부(1405)에서 수신될 수도 있고, MAC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 수신부(1405)에서 수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는 단말(1400)에 특정하게 전송될 수 있고, 논리채널인 전용제어채널을 통해 단말 수신부(1405)에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는 MAC CE를 통해 단말 수신부(1405)에서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의 메시지 형태 및 구조는 표 4 내지 8 및, 도 9, 도 10에서 설명된 내용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 PPI 요청 지시자는 단말(1400)이 PPI 금지 타이머와 무관하게 예외적으로 단말(1400)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전송하도록 허락 또는 명령하는 지시자이다.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는 RRC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 수신부(1405)에서 수신될 수도 있고, MAC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 수신부(1405)에서 수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PPI 요청 지시자는 단말(1400)에 특정하게 전송될 수 있고, 논리채널인 전용제어채널을 통해 단말 수신부(1405)에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PPI 요청 지시자는 MAC CE를 통해 단말 수신부(1405)에서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 PPI 요청 지시자의 메시지 형태 및 구조는 상기 지시자가 의미하는 내용을 제외하면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의 메시지 형태 및 구조와 같을 수 있으며, 표 9에서 설명된 내용을 포함한다.
단말 메시지 처리부(1411)는 단말 수신부(1405)로부터 받은 정보 또는 메시지의 구문을 분석 또는 해석한다.
단말 메시지 처리부(1411)는 수신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해석하고,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파워선호도지시자-가능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1400)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 전송이 허락 또는 명령되었음을 확인한다. 또한 메세지 처리부(1411)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파워선호도지시자-타이머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의 PPI 금지 타이머의 시간을 설정한다. 또한 단말 메시지 처리부(1411)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해석하고, RRC 관련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RRC 관련 파라미터는 기지국(1450)이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반으로 재구성한 파라미터일 수 있다. 상기 RRC 관련 파라미터는 DRX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DRX 관련 파라미터는 S420에서 설명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메시지 처리부(1411)는 상기 RRC 관련 파라미터를 단말에 재구성(또는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 메시지 처리부(1411)는 수신되는 RRC 메시지 또는 MAC 메시지 등을 해석하고,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 또는 단말 PPI 요청 지시자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메시지 처리부(1411)는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를 기반으로 단말에 설정된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또는 만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메시지 처리부(1411)는 변경된 파워 선호도 상태를 지시하는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생성하여 단말 전송부(1420)를 통하여 기지국(14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 메시지 처리부(1411)는 상기 단말 PPI 요청 지시자를 기반으로 PPI 금지 타이머에 무관하게 예외적으로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생성하여 단말 전송부(1420)를 통하여 기지국(14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파워 선호도 판단부(1412)는 단말(1400)이 파워 선호도 상태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파워 선호도 판단부(1412)는 디폴트 상태 및 저파워 소비 상태 중 하나의 상태를 단말(1400)의 파워 선호도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디폴트 상태 및 저파워 소비 상태의 의미는 S310에서 설명된 내용을 포함한다.
단말 전송부(1420)는 단말 메시지 처리부(1411)에서 생성한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지국(14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기지국 전송부(1455), 기지국 수신부(1460) 및 기지국 프로세서(1470)를 포함한다. 기지국 프로세서(1470)는 단말 메시지 처리부(1711) 및 파라미터 변경부(1472)를 포함한다.
기지국 전송부(1455)는 파워선호도지시자-가능 정보, 파워선호도지시자-타이머 정보, RRC 관련 파라미터를 단말(14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파워선호도지시자-가능 정보, 파워선호도지시자-타이머 정보 및 RRC 관련 파라미터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14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전송부(1455)는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 및 단말 PPI 요청 지시자를 단말(1455)로 더 전송할 수 있다.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 및 단말 PPI 요청 지시자는 RRC 메시지 또는 MAC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1455)로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 수신부(1460)는 단말(1400)로부터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수신한다.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는 단말 보조 정보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기지국 메시지 처리부(1471)는 RRC 메시지 또는 MAC 메시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 메시지 처리부(1471)는 상기 파워선호도지시자-가능 정보 및 파워선호도지시자-타이머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메시지 처리부(1471)는 파라미터 변경부(1472)로부터 받은 RRC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 메시지 처리부(1471)는 PPI 금지 타이머 중단(또는 만료) 지시자 또는 단말 PPI 요청 지시자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 또는 MAC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메시지 처리부(1471)는 상기 표 4 내지 표 9, 및 도 9 내지 10과 같은 형식의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메시지 처리부(1471)는 기지국 수신부(1460)로부터 받은 정보 또는 메시지의 구문을 분석 또는 해석한다.
기지국 메시지 처리부(1471)는 상기 단말 보조 정보 메시지를 분석 또는 해석하고, 상기 단말 보조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1400)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가 지시하는 단말(1400)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1400)의 파워 선호도 상태는 디폴트 상태 도는 저파워 소비 상태일 수 있다.
파라미터 변경부(1472)는 상기 단말 선호도 지시자 또는 단말(1400)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기반으로, RRC 관련 파라미터를 재구성할 수 있다. 파라미터 변경부(1472)는 상기 단말 선호도 상태를 반영하여 RRC 관련 파라미터를 변경 또는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 변경부(1472)는 DRX 관련 파라미터를 재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DRX 관련 파라미터 재구성은 S420에서 설명된 내용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파라미터 변경부(1472)는 상기 단말(1400)의 파워 선호도 상태가 상기 저파워 소비 상태인 경우, 단말의 배터리 소비를 줄일 수 있는 방향으로 RRC 관련 파라미터 재구성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파라미터 변경부(1472)는 단말(1400)이 장기 DRX 모드로 동작하도록 DRX를 구성 또는 재구성하거나, 또는 단말이 PDCCH 서브프레임을 모니터링하지 않은 비활동 시간이 더 길게 유지되도록 DRX를 재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파라미터 변경부(1472)는 파워 선호도 상태가 상기 디폴트 경우, 상기 저파워 소비 상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상기 RRC 관련 파라미터 재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파라미터 변경부(1472)는 하향링크 전송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DRX 사이클의 길이를 더 짧게 구성하거나, 단말(1400)의 비활동 시간이 더 짧게 구성되도록 DRX를 재구성할 수 있다.
파라미터 변경부(1272)는 변경된 또는 재구성된 RRC 관련 파라미터를 기지국 메시지 처리부(1471)로 전달한다. 그리고 기지국 메시지 처리부(1471)는 재구성된 RRC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생성한다. DRX 관련 파라미터가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는 경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상기 표 1과 같은 구문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원 방법으로,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나타내는 파워 선호도 지시자(Power Preference Indication: PPI)를 생성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 전송을 트리거(trigger)로 하여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의 전송을 금지하는 PPI 금지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반으로 기지국이 재구성한 무선자원제어(RRC) 관련 파라미터(parameter)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시키는 PPI 금지 타이머 중단 지시자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 지시자를 기반으로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선호도 지원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 전송을 허락 또는 명령하는 파워선호도지시자-가능(powerPrefIndication-Enabled) 정보와 상기 PPI 금지 타이머에 대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파워선호도지시자-타이머(powerPrefIndication-Time)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선호도 지원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는 디폴트(default) 상태 및 저파워 소비 상태(low power consumption)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선호도 지원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 지시자는 MAC 서브헤더(subheader)와 상기 MAC 서브헤더에 대응하는 MAC 제어요소(control element: CE)로 구성되고,
    상기 MAC 서브헤더는 상기 MAC CE가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에 관한 것임을 지시하는 논리채널 식별(Logical Channel ID: LCID) 필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선호도 지원 방법.
  5.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원 방법으로,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나타내는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반으로 무선자원제어 관련 파라미터를 재구성하는 단계;
    상기 재구성한 무선자원제어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의 전송을 금지하는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시키는 PPI 금지 타이머 중단 지시자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워 선호도 지원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 전송을 허락 또는 명령하는 파워선호도지시자-가능 정보와 상기 PPI 금지 타이머에 대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파워선호도지시자-타이머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선호도 지원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는 디폴트 상태 및 저파워 소비 상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선호도 지원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 지시자는 MAC 서브헤더(subheader)와 상기 MAC 서브헤더에 대응하는 MAC 제어요소(control element: CE)로 구성되고,
    상기 MAC 서브헤더는 상기 MAC CE가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에 관한 것임을 지시하는 논리채널 식별(Logical Channel ID: LCID) 필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선호도 지원 방법.
  9. 단말의 파워 선호도를 지원하는 상기 단말로서,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판단하는 파워 선호도 판단부;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 지시하는 파워 선호도 지시자(Power Preference Indication: PPI)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반으로 기지국이 재구성한 무선자원제어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의 전송을 금지하는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시키는 PPI 금지 타이머 중단 지시자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 지시자를 기반으로 PPI 금지 타이머의 중단을 제어하는 메시지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PPI 금지 타이머는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 전송을 트리거(trigger)로 하여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 전송을 허락 또는 명령하는 파워선호도지시자-가능 정보와 상기 PPI 금지 타이머에 대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파워선호도지시자-타이머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더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선호도 판단부는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디폴트 상태 및 저파워 소비 상태 중 하나의 상태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처리부는 MAC 메시지에 포함되는 MAC 서브헤더의 논리채널 식별 필드를 기반으로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 지시자에 대한 MAC CE를 식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단말의 파워 선호도를 지원하는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상태를 나타내는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파워 선호도 지시자를 기반으로 무선자원제어 관련 파라미터를 재구성하는 파라미터 변경부;
    상기 재구성한 무선자원제어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처리부; 및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시지 처리부는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의 전송을 금지하는 PPI 금지 타이머를 중단시키는 PPI 금지 타이머 중단 지시자를 포함하는 MAC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MAC 메시지를 단말로 더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시자 전송을 허락 또는 명령하는 파워선호도지시자-가능 정보와 상기 PPI 금지 타이머에 대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파워선호도지시자-타이머 정보를 단말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처리부는 MAC 메시지에 상기 PPI 금지 타이머 중단 지시자에 관한 MAC CE를 구성하고, 상기 MAC CE가 상기 PPI 금지 중단에 관한 것임을 지시하는 MAC 서브헤더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20108981A 2012-09-28 2012-09-28 단말 파워 선호도 지원 방법 및 장치 KR201400423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981A KR20140042338A (ko) 2012-09-28 2012-09-28 단말 파워 선호도 지원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981A KR20140042338A (ko) 2012-09-28 2012-09-28 단말 파워 선호도 지원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338A true KR20140042338A (ko) 2014-04-07

Family

ID=50651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981A KR20140042338A (ko) 2012-09-28 2012-09-28 단말 파워 선호도 지원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23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4009A (zh) * 2018-05-14 2021-02-02 诺基亚技术有限公司 促进多面板用户设备的不连续接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4009A (zh) * 2018-05-14 2021-02-02 诺基亚技术有限公司 促进多面板用户设备的不连续接收
US11924755B2 (en) 2018-05-14 2024-03-05 Nokia Technologies Oy Facilitating discontinuous reception for mutli-panel user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1638B2 (en) Wireless device, a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i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CN108541395B (zh) 通信终端、基础设施设备及其操作方法
JP6515410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CN106797651B (zh) 终端装置、基站装置、通信系统、通信方法及集成电路
JP2023510425A (ja) サイドリンクパケット交換動作のための方法およびユーザ機器
KR10203749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EP3122103B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notification system, notif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EP31797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uffer state repor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CN105915321B (zh) 无线电通信系统、无线电站、无线电终端和通信控制方法
ES2649587T3 (es) Procedimiento de transmisión de informe de margen de potencia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CN106576378B (zh) 终端装置、控制方法以及集成电路
EP3169108B1 (en) Cell selection using an offset related to direct d2d communication
KR10254486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EP3874903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daptive discontinuous reception configuration
US202202254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ual connectiv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U2759800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способ связи и программа
EP3311623B1 (en) Communications terminal,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drx
KR20150055524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보고 및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2070134A (ja) 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ランダムアクセス送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KR20210047327A (ko)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220146525A (ko) Nr v2x에서 단말이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80200A (ko) QoS를 고려한 단말의 파워 선호도 지원 방법 및 장치
KR2024004264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93393A (ko)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절단된 버퍼상태보고 운용 방법 및 장치
CN116614782A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