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2206A - 압력센서 - Google Patents

압력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2206A
KR20140042206A KR1020120108635A KR20120108635A KR20140042206A KR 20140042206 A KR20140042206 A KR 20140042206A KR 1020120108635 A KR1020120108635 A KR 1020120108635A KR 20120108635 A KR20120108635 A KR 20120108635A KR 20140042206 A KR20140042206 A KR 20140042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ressure sensor
holder
blocking member
spr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7293B1 (ko
Inventor
변을출
이상봉
전재현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유)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유)
Priority to KR1020120108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293B1/ko
Publication of KR20140042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2Multiple part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60T17/221Procedure or apparatus for checking or keeping in a correct functioning condition of brake systems
    • B60T17/222Procedure or apparatus for checking or keeping in a correct functioning condition of brake systems by filling or bleeding of hydraul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1Detecting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Measuring values used in the regu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8Details about the circuit board integration, e.g. integrated with the diaphragm surface or encap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접속기판과의 접속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압력센서가 기재된다. 압력센서는,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에 결합되는 접속기판, 일단이 상기 접속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프링, 상기 접속기판과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스프링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을 따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로를 차단하도록 형성된 차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압력센서{PRESSURE SENSO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의 유압블록에 설치되어 전자제어장치의 회로기판과 접촉되며 브레이크 액압을 감지하는의 자동차용 압력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감속 또는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이 구비된다. 브레이크 시스템은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페달과, 상기 페달과 연결되어 제동유압을 형성하는 부스터 및 마스터 실린더와, 부스터 및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입력된 제동유압에 따라 차량의 바퀴를 제동하는 휠 브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브레이크 시스템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제동력이 발생할 때, 제동압력이 노면상태보다 크거나 제동압력으로 발생하는 휠 브레이크에서의 마찰력이 타이어나 노면에서 발생하는 제동력보다 큰 경우에는 타이어가 노면에서 미끄러지는 슬립현상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상태에서는 조향장치가 잠겨서 원하는 방향으로 조향할 수 없다.
종래에는 슬립현상 발생시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전자적으로 브레이크의 답력을 제어하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 ABS)이 개발되었다.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은 휠 브레이크 측으로 전달되는 제동유압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개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저압 어큐뮬레이터 및 고압 어큐뮬레이터 등이 장착된 유압블록(hydraulic unit)과,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를 구비한다. 또한, 유압블록에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답력에 비례하여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된 브레이크 작동 압력을 감지하고, 이를 전자제어장치에 전기적 신호로 전달하는 압력센서가 설치된다. 전자제어장치는 압력센서에서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브레이크 작동을 제어한다.
종래의 압력센서는 마스터 실린더의 선단에 형성된 가공홀에 장착되며 별도의 커넥터와 케이블을 통해 전자제어장치의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런데 압력센서는 운전자의 답력에 의해 제동력이 발생할 경우, 미세한 진동에 의해 압력센서가 움직이게 된다. 이때, 압력센서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기존의 압력센서는 큰 진동이 입력될 경우, 전자제어장치의 회로기판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회로기판의 단자간에 정확한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고, 접촉불량이 발생할 수 있어 신호 및 전원이 불안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압력센서는 다수의 부품들이 결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밀폐성이 떨어지는데, 특히, 전자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도통하기 위하여 외부로 노출된 스프링을 통해 이물질이 압력센서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물질이 압력센서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스프링과 단자 사이의 접촉 불량이 발생하거나 내부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프링을 타고 이물질이 압력센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력센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자제어장치의 회로기판과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다양한 회로기판의 단자에 정확하게 체결이 가능한 압력센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용 압력센서는,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에 결합되는 접속기판, 일단이 상기 접속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프링, 상기 접속기판과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스프링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을 따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로를 차단하도록 형성된 차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스프링이 관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복수의 스프링에 동시에 설치되는 하나의 부재이거나, 상기 스프링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스프링이 인서트 몰딩되거나, 상기 스프링에 포밍(foaming)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양쪽 단부가 일직선 상이 아니라 서로 다른 직선 또는 서로 다른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프링은 '
Figure pat00001
' 형태로 꺾여서 단차가 형성된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스프링은 서로 동일한 위치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홀더는, 상기 스프링의 단차 하부 부분이 안착되는 하부 스프링 홀더 및 상기 스프링의 단차 상부 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하부 스프링 홀더와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의 외측을 지지하는 상부 스프링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일 측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접속기판과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는 이너 프레임 및 상기 이너 프레임을 수용하는 아웃터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프링에 차단부재가 설치되어서 스프링을 타고 이물질이 압력센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물질로 인해 스프링과 접속기판의 접촉 불안정 및 내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력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압력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압력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압력센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압력센서(10)의 단면도 및 도 3은 도 1의 압력센서(10)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10)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압력센서(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압력센서(10)는 센서모듈(11), 접속기판(14), 스프링(15), 하우징(12) 및 차단부재(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스프링(15)을 지지하는 스프링 홀더(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모듈(11)은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각종 센서 게이지가 장착되고, 센서모듈(11)에서 센서가 장착된 단부에 접속되도록 접속기판(14)이 구비된다. 여기서, 센서모듈(11) 및 접속기판(14)의 상세한 기술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우징(12)은 센서모듈(11), 접속기판(14) 및 스프링(15)을 수용하여 압력센서(10)의 외관을 형성하고, 하우징(12)에서 센서모듈(11)이 구비된 쪽과 반대쪽 단부에는 스프링 프로텍터(spring protect)(13)가 구비된다. 여기서, 스프링 프로텍터(13)는 스프링(15)이 스프링 홀더(16)에서 돌출된 부분을 수용하여 스프링(15)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스프링(15) 및 압력센서(10)가 전기장비의 단자에 장착될 때는 스프링 프로텍터(13)를 제거한 후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12) 내부에는 스프링(15)을 고정 및 지지하는 스프링 홀더(16)가 구비된다. 즉, 압력센서(10)는 하우징(12) 내부에 센서모듈(11), 접속기판(14), 스프링 홀더(16)에 장착된 스프링(15)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센서모듈(11) 및 접속기판(14)의 상세한 기술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우징(12)은 이너 프레임(122)과 커버 프레임(121)으로 구성된다. 커버 프레임(121)은 이너 프레임(122) 및 스프링(15) 등의 구성요소를 수용하여 압력센서(10)의 외관을 형성한다. 이너 프레임(122)은 센서모듈(11)과 접속기판(14) 사이에 구비되며, 접속기판(14)이 센서모듈(11)의 상단부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프링(15)은 접속기판(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접속기판(14)에 구비된 단자(미도시)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스프링(15)의 수와 배치 형태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15)은 4개가 정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되지만,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프링(15)의 수와 그 배치 형상은 접속기판(14)의 단자 형상에 따라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15)은 접속기판(14)에서 단자에 접촉되며 진동 상태에서도 접속기판(14)과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접속기판(14)에 소정의 탄성력이 가해진 상태로 결합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15)은 일정 길이를 갖는 코일 스프링이고, 길이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접속기판(14)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15)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직선형상의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15)은 길이 방향을 따라 힘을 받게 되므로 스프링(15)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 홀더(16)가 스프링(15)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스프링 홀더(16)는 스프링(15)의 상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상부 스프링 홀더(161)와 스프링(15)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스프링 홀더(16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스프링 홀더(161)에 스프링(15)의 상부 일부가 삽입 수용되는 가이드 홀(1611)이 형성되고, 하부 스프링 홀더(162)에는 스프링(15)의 하부 일부가 삽입 수용되는 가이드 홀(16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스프링 홀더(161)와 하부 스프링 홀더(162)가 서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스프링 홀더(161)의 중앙 부분에 소정 높이로 돌출된 결합 돌기(1612)가 형성되고, 하부 스프링 홀더(162)에는 결합 돌기(1612)에 대응되는 결합 홀(1622)이 형성되어서, 하부 스프링 홀더(162)의 결합 홀(1622) 내부에 상부 스프링 홀더(161)의 결합 돌기(1612)이 삽입되어 상부 스프링 홀더(161)와 하부 스프링 홀더(162)가 결합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 돌기(1612)가 상부 스프링 홀더(161)에 형성되고, 결합 홀(1622)이 하부 스프링 홀더(162)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 돌기(1612)와 결합 홀(1622)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돌기(1612)와 결합 홀(1622)뿐만 아니라, 상부 스프링 홀더(161)와 하부 스프링 홀더(162) 사이의 결합 수단은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스프링(15)을 타고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단부재(18)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스프링(15)을 관통하여 차단부재(18)가 구비된다. 또한, 차단부재(18)는 상부 스프링 홀더(161)와 하부 스프링 홀더(16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부재(18)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스프링(15)에 설치되는 1개의 부재일 수 있다. 또는, 차단부재(18)는 각각의 스프링(15)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차단부재(18)의 형상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프링(15)을 타고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로를 차단할 수 있는 형상이면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차단부재(18)는 스프링(15)에 인서트 몰딩 또는 포밍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프링(15)을 따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로를 차단시킬 수 있는 방법이면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홀더(16)가 상부 스프링 홀더(161)와 하부 스프링 홀더(162)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프링 홀더(16)는 1개의 개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스프링 홀더(16)의 형상은 스프링을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으면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스프링 홀더(16)가 1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차단부재(18)는 스프링(15)을 타고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 홀더(16)와 접속기판(14)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한편, 스프링(15)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직선형상의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25)은 상부와 하부의 배치 간격이 다르도록 길이 방향 중간에서 '
Figure pat00002
' 형태로 꺾여서 단차부(251)가 형성된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스프링(25)은 단차부(25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와 하부에서 스프링(25) 사이의 간격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접속기판(14)의 단자 위치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과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압력센서(10)는 센서모듈(11)과 접속기판(14), 하우징(12), 스프링 홀더(16) 및 '
Figure pat00003
' 형태로 꺾여서 단차부(251)가 형성된 스프링(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하우징(12)에서 센서모듈(11)이 구비된 쪽과 반대쪽 단부에는 스프링(25)이 스프링 홀더(16)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를 수용하여 변형을 방지하는 스프링 프로텍터(spring protect)(13)가 구비된다. 또한, 하우징(12) 내부에는 밀폐를 위한 오링(o-ring)(17)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2)은 이너 프레임(122)과 커버 프레임(121)으로 구성된다.
스프링(25)은 접속기판(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접속기판(14)에 구비된 단자(미도시)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스프링(25)의 수와 배치 형태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25)은 4개가 정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되지만,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프링(25)의 수와 그 배치 형상은 접속기판(14)의 단자 형상에 따라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25)은 접속기판(14)에서 단자에 접촉되며 진동 상태에서도 접속기판(14)과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접속기판(14)에 소정의 탄성력이 가해진 상태로 결합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25)은 일정 길이를 갖는 코일 스프링이고, 길이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접속기판(14)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25)은 '
Figure pat00004
' 형태로 꺾여서 단차부(25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스프링(25)의 형상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프링(25)의 양쪽 단부가 일직선 상이 아니게 배치되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프링 홀더(16)는 스프링(25)이 길이 방향을 따라 힘을 받을 때 스프링(25)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프링(25)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스프링 홀더(16)는 스프링(25)의 단차부(251) 상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상부 스프링 홀더(161)와 스프링(25)의 단차부(251)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스프링 홀더(162)로 구성된다.
상부 스프링 홀더(161)는 스프링(25)의 단차부(251) 상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1611)이 형성되고, 하부 스프링 홀더(162)는 외주면 상에 스프링(25)의 단차부(251) 및 하부가 장착된다. 즉, 하부 스프링 홀더(162)의 상면 및 측면(1621) 상에 스프링(25)의 단차부(251)와 단차부(251) 하부 부분이 장착되고, 스프링(25)의 단차부(251) 상부는 상부 스프링 홀더(161)의 가이드 홀(1611) 내부에 수용됨에 따라 스프링(25)의 좌굴이 방지된다.
또한, 하부 스프링 홀더(162)에 장착된 스프링(25)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부 스프링 홀더(161)는 단부에 스프링 가이드(1613)가 형성되고, 스프링 가이드(1613)는 상부 스프링 홀더(161)에서 하부로 돌출되어서 하부 스프링 홀더(162)의 측면(1621) 외측에 결합되어 스프링(25)의 외측면을 외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가이드(1613)는 스프링(25)을 내부에 수용하고 하부 스프링 홀더(162) 측면(1621)에 결합할 수 있도록 반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부 스프링 홀더(161)와 하부 스프링 홀더(162)는 서로 체결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하부 스프링 홀더(162)의 중앙 부분에 소정 높이로 돌출된 결합 돌기(1622)가 형성되고, 상부 스프링 홀더(161)에는 결합 돌기(1622)에 대응되는 결합 홀(161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 돌기(1622)가 하부 스프링 홀더(162)에 형성되고, 결합 홀(1612)가 상부 스프링 홀더(161)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 돌기(1622)와 결합 홀(1612)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스프링 홀더(161)와 하부 스프링 홀더(162) 사이의 결합 수단은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스프링(25)을 타고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단부재(18)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스프링(25)을 관통하여 차단부재(18)가 구비된다. 또한, 차단부재(18)는 상부 스프링 홀더(161)와 하부 스프링 홀더(16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부재(18)는 스프링(25)에 인서트 몰딩 또는 포밍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프링(25)을 따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로를 차단시킬 수 있는 방법이면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압력센서
11: 센서모듈
12: 하우징
121: 커버 프레임
122: 이너 프레임
13: 스프링 프로텍트(spring protect)
14: 접속기판
15: 스프링
151: 단차부
16: 스프링 홀더
161: 상부 스프링 홀더
162: 하부 스프링 홀더
17: 오링(O-ring)
18: 차단부재

Claims (11)

  1.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에 결합되는 접속기판;
    일단이 상기 접속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프링;
    상기 접속기판과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스프링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을 따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로를 차단하도록 형성된 차단부재;
    를 포함하는 압력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스프링이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압력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복수의 스프링에 동시에 설치되는 하나의 부재이거나, 상기 스프링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부재인 압력센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스프링이 인서트 몰딩되거나, 상기 스프링에 포밍(foaming)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압력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인 압력센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양쪽 단부가 서로 다른 직선 또는 서로 다른 평면 상에 배치되는 압력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
    Figure pat00005
    '자 형태로 꺾여서 단차가 형성된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스프링은 서로 동일한 위치에 단차가 형성된 압력센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을 안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스프링 홀더를 포함하는 압력센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홀더는,
    상기 차단부재의 상부의 상기 스프링을 안착되는 상부 스프링 홀더; 및
    상기 차단부재의 하부의 상기 스프링을 안착되는 하부 스프링 홀더로 형성되
    는 압력센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단자 하부 부분이 안착되는 하부 스프링 홀더; 및
    상기 스프링의 단자 상부 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하부 스프링 홀더와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의 외측을 지지하는 상부 스프링 홀더;
    를 포함하는 압력센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접속기판과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는 이너 프레임; 및
    상기 이너 프레임을 수용하는 아웃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압력센서.
KR1020120108635A 2012-09-28 2012-09-28 압력센서 KR101897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635A KR101897293B1 (ko) 2012-09-28 2012-09-28 압력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635A KR101897293B1 (ko) 2012-09-28 2012-09-28 압력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206A true KR20140042206A (ko) 2014-04-07
KR101897293B1 KR101897293B1 (ko) 2018-09-11

Family

ID=50651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635A KR101897293B1 (ko) 2012-09-28 2012-09-28 압력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2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656A (ko) * 2014-08-05 2016-02-15 센사타 테크놀로지스, 인크 폼 팩터가 작은 압력 센서
KR20160118398A (ko) * 2015-04-01 2016-10-12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진동환경용 신호전달을 위한 스프링 연결 단자
KR20170042455A (ko) * 2014-08-19 2017-04-19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압력 센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0337A (ja) * 1993-08-31 1995-05-12 Kansei Corp 半導体式圧力センサ
JPH08271362A (ja) * 1995-03-29 1996-10-18 Nok Corp 圧力センサ
US5880372A (en) * 1997-01-10 1999-03-09 Integrated Sensor Solutions Media compatible pressure sensor device utilizing self-aligned components which fit together without the need for adhesives
JP2005106796A (ja) * 2003-08-05 2005-04-21 Fuji Koki Corp 圧力センサ
KR20050108398A (ko) * 2003-08-01 2005-11-16 레이티언 캄파니 압축성 도체를 구비한 오프셋 커넥터
KR20090058778A (ko) * 2007-12-05 2009-06-10 주식회사 만도 압력센서
US20110108322A1 (en) * 2008-07-04 2011-05-12 Harry Kaiser Pre-installation assembly for a contact arrangement of a sensor assembly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0337A (ja) * 1993-08-31 1995-05-12 Kansei Corp 半導体式圧力センサ
JPH08271362A (ja) * 1995-03-29 1996-10-18 Nok Corp 圧力センサ
US5880372A (en) * 1997-01-10 1999-03-09 Integrated Sensor Solutions Media compatible pressure sensor device utilizing self-aligned components which fit together without the need for adhesives
KR20050108398A (ko) * 2003-08-01 2005-11-16 레이티언 캄파니 압축성 도체를 구비한 오프셋 커넥터
JP2005106796A (ja) * 2003-08-05 2005-04-21 Fuji Koki Corp 圧力センサ
KR20090058778A (ko) * 2007-12-05 2009-06-10 주식회사 만도 압력센서
US20110108322A1 (en) * 2008-07-04 2011-05-12 Harry Kaiser Pre-installation assembly for a contact arrangement of a sensor assembl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656A (ko) * 2014-08-05 2016-02-15 센사타 테크놀로지스, 인크 폼 팩터가 작은 압력 센서
KR20170042455A (ko) * 2014-08-19 2017-04-19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압력 센서
KR20190011828A (ko) 2014-08-19 2019-02-07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압력 센서
US10222284B2 (en) 2014-08-19 2019-03-05 Tyco Electronics Amp Korea Co. Ltd. Pressure sensor for a brake system
KR20160118398A (ko) * 2015-04-01 2016-10-12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진동환경용 신호전달을 위한 스프링 연결 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293B1 (ko) 201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202B1 (ko) 압력센서
KR20120077210A (ko) 압력센서
US9791338B2 (en) Pressure sensor capable of improving assembling efficiency by using spring electrode
KR102232405B1 (ko) 압력 센서
US20090140572A1 (en) Pressure sensor
KR20140042209A (ko) 압력센서
JP6192324B2 (ja) 電子制御装置
KR20140042206A (ko) 압력센서
KR102000294B1 (ko) 압력센서
KR100967131B1 (ko) 압력센서
WO2017159061A1 (ja) 電子制御装置
KR101735741B1 (ko) 항아리형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이 고정되는 안착홀이 형성된 pcb기판이 구비된 센서
KR101787703B1 (ko) 신호전달 스프링과 체결공이 형성된 pcb기판이 납땜연결된 센서
KR101787679B1 (ko) 신호전달 스프링과 스프링고정슬릿이 형성된 pcb기판이 납땜연결된 센서
KR20180097153A (ko) 압력 센서
KR100969530B1 (ko) 자동차용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내에 전자제어장치를 고정하는 구조
KR102535655B1 (ko) 압력센서
CN103262666A (zh) 具有夹紧在电路板和电路板载体之间的微型开关的电路板装置
KR102068990B1 (ko) 압력센서를 갖춘 차량용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
US20220069503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ontrol unit of a vehicle brake system
WO2017078212A1 (ko) 신호전달 스프링과 pcb기판이 납땜연결된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