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2197A -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2197A
KR20140042197A KR1020120108623A KR20120108623A KR20140042197A KR 20140042197 A KR20140042197 A KR 20140042197A KR 1020120108623 A KR1020120108623 A KR 1020120108623A KR 20120108623 A KR20120108623 A KR 20120108623A KR 20140042197 A KR20140042197 A KR 20140042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data
hi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진
한재종
Original Assignee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8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2197A/ko
Priority to PCT/KR2013/001078 priority patent/WO2014051224A1/ko
Publication of KR20140042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1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안전하고 투명한 유통 물류 흐름을 구현할 수 있는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력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이 중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은 도,소매상에서 출고되는 제품의 차기 목적지 식별정보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도소매상의 물류 주체 식별정보를 포함한 이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복수의 유통판매 서버와, 유통판매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이력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이력 데이터에서 물류 주체 식별정보와 차기 목적지 식별정보를 통해 제품의 정상유통 여부를 판별하는 제조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력 관리방법{SYSTEM FOR TRACKING RECORD OF PRODUC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류 주체별 이력 데이터를 이력 관리가 이루어지는 특정 물류 주체에 전송하여 영세한 물류 주체의 시스템 구축 부담을 줄이고, 이력 데이터의 물류 주체 식별정보와 제품의 차기 목적지 식별정보를 통해, 제품의 정상유통을 효과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력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EPC 글로벌 네트워크는 EPC(Electronic Product Code)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복수의 RFID 시스템을 통합하여 물류 애플리케이션이 분산된 EPC 이벤트 정보에 쉽게 접근하여 객체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RFID Infrastructure이다. 여기서, RFID는 제품의 생산, 판매 및 구매에 이르는 전체 과정의 정보를 초소형칩(IC칩)에 내장시키고,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추적할 수 있도록 한 기술로서, "전자태그" 또는 "스마트 태그", "전자라벨", "무선식별"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이 RFID 기술을 기반으로 한 EPC 글로벌 네트워크를 도입한 물류 환경에서는, 객체 단위의 정교하고 자동화된 물류 관리를 위하여 객체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이때, 객체에 붙는 RFID 태그에 저장되는 정보인 EPC(Electronic Product Code)는, 제조사ID, 상품분류코드, 일련번호로 구성되며, 기관에 설치된 리더기로 판독한 데이터는 기관 내부에 존재하는 객체정보 서버에 저장이 된다.
한편, 공급망에 의해 제품의 유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도소매업자들은 재고나 판매 상황을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나름 대로의 코드로 분류하여 관리하게 된다.
그런데, 제조사에서 생산된 제품이 물류 유통상에 있는 도매상, 소매상 등을 통해서 제품이 입출고되는 경우, 각각의 단계별 도소매업자들이 동일한 제품에 대하여 서로 다른 제품코드를 사용하게 되므로, 이로 인해 제품이 정상적으로 유통되는지에 대한 확인이 어렵고, 제품의 이력 관리에 혼란과 불편이 초래될 수 있다. 특히, 제조사는 제품의 물류 흐름에 투명한 파악을 원하고자 하는데, 각 제품의 입출고 정보는 해당 업체에만 있으므로 전체 물류 흐름의 파악이 어려울 수 있다.
특허등록공보 10-0995666 (2010.11.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서, 이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물류 주체의 시스템 구축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제품의 정상유통을 효과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력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은, 도,소매상에서 출고되는 제품의 차기 목적지 식별정보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도소매상의 물류 주체 식별정보를 포함한 이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복수의 유통판매 서버; 및 상기 유통판매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이력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이력 데이터에서 물류 주체 식별정보와 차기 목적지 식별정보를 통해 제품의 정상유통 여부를 판별하는 제조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조 서버는 상기 유통판매 서버로부터 이력 데이터를 전송받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에서 전송받은 이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소; 및 상기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이력 데이터의 물류 주체 식별정보와 차기 목적지 식별정보를 통해, 제품이 목적지를 따라 경유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품의 정상유통 여부를 판별하는 정상유통 판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통판매 서버는 도매상에서 출고되는 제품의 이력 데이터를 상기 이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매 서버; 및 소매상에서 출고되는 제품의 이력 데이터를 상기 이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통판매 서버는 상기 도소매상에서 출고되는 제품의 차기 목적지 식별정보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도소매상의 물류 주체 식별정보를 포함한 이력 데이터를 상기 제조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조 서버의 주소를 판별하는 제조 서버 판별모듈; 및 상기 제조 서버 판별모듈에서 판별된 제조 서버의 주소로 상기 이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력 데이터는 상기 제품의 차기 목적지 식별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물류 주체의 물류 주체 식별정보, 제품의 단품단위 고유정보 및 제품의 입,출고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상유통 판별모듈은 실시간 또는 특정 시점에 상기 물류 주체 식별정보와 차기 목적지 식별정보를 통해 제품이 정상유통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소는 상기 제품이 정상유통 여부를 판별한 정상유통 판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품의 이력 관리방법은, a) 제품 이력이 관리되는 제조 서버의 전송 위치를 판별하는 단계; b) 제품이 유통판매 서버에서 출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출고되는 제품의 차기 목적지 식별정보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도소매상의 물류 주체 식별정보를 포함한 이력 데이터를 상기 제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d) 전송된 상기 이력 데이터의 물류 주체 식별정보와 차기 목적지 식별정보를 통해, 제품이 목적지를 따라 경유했는지를 판단하여 제품의 정상유통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력 관리방법은, e) 상기 제품의 정상유통 여부를 판별한 정상유통 판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 및 스캐닝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물류 흐름과 관련된 정보의 발생시, 물류 주체별 이력 데이터를 이력 관리가 이루어지는 특정 물류 주체(제조 서버)에 모아 저장함으로써, 이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물류 주체(유통판매 서버)의 시스템 구축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품의 목적지 식별정보와 입출고 데이터의 전송 주체 식별정보를 통해, 제품의 정상유통을 효과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시간 또는 특정 시점에 제품이 정상 유통중인지를 판별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고 투명한 유통 물류 흐름을 구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이력 관리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은, 물류 주체별로 이력 데이터를 이력 관리 주체에 전송하여, 물류 주체별 시스템 구축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제품의 정상유통 여부를 효과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의 정상유통 여부를 판별하여 제품의 이력을 관리하는 제조 서버(100)와, 제품의 물류 흐름과 관련된 이력 데이터를 제조 서버(100)에 전송하는 유통판매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력 데이터는 제품의 차기 목적지 식별정보와, 물류 주체의 물류 주체 식별정보와, 제품의 단품단위 고유정보와, 제품의 입,출고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차기 목적지 식별정보는 특정 물류 주체에 입고된 제품이 다음 목적지로 예정된 차기 목적지 식별자로 구성될 수 있고, 물류 주체 식별정보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물류 주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코드로 구성될 수 있고, 단품단위 고유정보는 특정 제품을 다른 제품과 구별하기 위해 부여된 기호, 숫자, 문자 등의 조합된 제품코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입,출고정보는 물품의 생산, 판매, 구매 등과 같은 유통과정의 모든 내용(예를 들어, 제조자의 송신/수신 내역, 도,소매상의 송신/수신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조 서버(100)는 제조사에서 생산된 제품이 도,소매상으로 유통되는 과정을 제품 이력으로 관리하기 위한 제조사의 서버로서, 각각의 도,소매상에서 제품의 물류 흐름이 발생되면, 해당 도,소매상의 유통판매 서버(200)로부터 이력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이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품이 정상적으로 유통되고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품의 입고는 제품이 물품 주체로 유입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고, 제품의 출고는 제품이 물품 주체에서 배출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의 입고는 제품이 생산되는 경우와 생산된 제품이 창고에 입하되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제품의 출고는 물품이 창고에서 출하되는 경우와 제품이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조 서버(100)는 이력 데이터 저장소(110), 통신모듈(120), 정상유통 판별모듈(140), 리더기(160) 및 컨트롤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조 서버(100)의 이력 데이터 저장소(110)는, 제조사에서 출고되는 제품의 이력 데이터와 통신모듈(120)에서 전송받은 이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 제품의 정상 유통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이력 데이터를 정상유통 판별모듈(140)에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정상유통 판별모듈(140)에서 제품의 정상유통 여부가 판별되면, 이력 데이터 저장소(110)에는 판별된 제품의 정상유통 판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품의 출고시, 제품의 이력 데이터가 이력 데이터 저장소(110)에 저장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제품이 입고(생산)되거나, 특정 시점 또는 실시간으로, 제품의 이력 데이터가 이력 데이터 저장소(110)에 저장될 수 있다.
통신모듈(120)은 유통판매 서버(200)로부터 이력 데이터를 전송받는 수신장치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수신기능 이외에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송신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정상유통 판별모듈(140)은 이력 데이터 저장소(110)로부터 이력 데이터를 제공받으면, 이력 데이터에 포함된 물류 주체 식별정보와 차기 목적지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제품이 목적지를 따라 정상적으로 경유했는지를 판단하여 제품의 정상 유통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의 정상적인 물류 흐름이 A 제조사에서 B 물류 주체로 유통되고 B 물류 주체에서 C 물류 주체로 유통(A→B→C)된다고 가정하고, 이력 데이터가 B 물류 주체의 유통판매 서버(200) 및 C 물류 주체의 유통판매 서버(200)로부터 A 제조사의 제조 서버(100)에 전송되는 경우, A 제조사의 제조 서버(100)에는 하나의 특정 제품에 대해서, A 제조사의 A 물류 주체 식별정보 및 B 목적지 식별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B 물류 주체의 B 물류 주체 식별정보 및 C 목적지 식별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C 물류 주체의 C 물류 주체 식별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정상유통 판별모듈(140)에서 이들 정보를 각각의 목적지에 맞게 나열하면, 하나의 특정 제품이 A-B-C 목적지를 따라 경유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상유통 판별모듈(140)은 특정 제품이 정상적으로 유통되고 있음을 판별할 수 있다.
리더기(160)는 제품에 부착된 제품 태그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입출고되는 제품의 위치 파악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품에 무선인식부로서 RF 태그가 부착되고, 리더기(160)가 RF 태그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 RFID 기반 기술이 적용되지만, 상기의 RFID 기반 기술 이외에, 제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형태의 무선 인식 기술이 본 발명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컨트롤러(150)는 제조 서버(100)의 전체적인 운영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술한 이력 데이터 저장소(110), 통신모듈(120), 정상유통 판별모듈(140) 및 리더기(160)의 작동을 제어하여, 유통판매 서버(200)내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유통판매 서버(200)는 제조사에서 생산된 제품이 유통되고 판매되는 도소매상의 서버로, 보다 상세하게 이 유통판매 서버(200)는 도매상에서 출고되는 제품의 이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매 서버(200a)와, 소매상에서 출고되는 제품의 이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매 서버(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통판매 서버(200), 예컨대 도매 서버(200a) 및 소매 서버(200b)는, 통신모듈(220), 리더기(260), 제조 서버 판별모듈(270) 및 컨트롤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유통판매 서버(200)의 통신모듈(220)은 도매 서버(200a) 또는 소매 서버(200b)에서 출고되는 제품의 이력 데이터, 예를 들어, 차기 목적지 식별정보, 물류 주체 식별정보, 단품단위 고유정보 및 입,출고정보와 같은 데이터를 제조 서버(100)에 전송하는 송신장치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송신기능 이외에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한 수신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리더기(260)는 제품에 부착된 제품 태그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입출고 되는 제품의 위치 파악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의 RFID 기반 기술 이외에, 제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형태의 무선 인식 기술이 본 발명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조 서버 판별모듈(270)은 도소매상에서 출고되는 제품의 이력 데이터를 제조 서버(100)에 전송하기 전, 제조 서버(100)의 주소를 판별함으로써, 특정 제품이 생산된 제조 서버(100)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컨트롤러(250)는 유통판매 서버(200)의 전체적인 운영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술한 통신모듈(220), 리더기(260) 및 제조 서버 판별모듈(270)의 작동을 제어하여, 유통판매 서버(200)내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 내지 4는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 제품이 서로 다른 제조사로에서 도,소매상으로 유통되는 경우, 도,소매상의 통신모듈(120)은 복수의 제조 서버(100),(100')에 제품의 이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동일 제품이 서로 다른 제조사로부터 도,소매상으로 유통되는 경우, 도,소매상의 통신모듈(120)은 제품의 출고시, 이력 데이터를 서로 다른 제조 서버(100),(100')에 동시에 전송할 수 있고, 다른 제품이 서로 다른 제조사로부터 도,소매상으로 각각 유통되는 경우, 도,소매상의 통신모듈(120)은 각각의 제품이 도,소매상에서 출고될 때, 다른 제조 서버(100),(100')에 각각 이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 하나의 제조사에서 출고된 특정 제품이 서로 다른 복수의 도매상과 서로 다른 복수의 소매상으로 병렬 유통되는 경우, 각각의 도매 서버(200a),(200a') 및 소매 서버(200b),(200b')의 통신모듈(120)은 특정 제품이 도,소매상에서 출고될 때, 하나의 제조 서버(100)에 이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 하나의 제조사에서 출고된 특정 제품이 서로 다른 복수의 도매상을 거쳐 소매상으로 직렬 유통되는 경우, 각각의 도매 서버(200a),(200a') 및 소매 서버(200b)의 통신모듈(120)은 특정 제품이 도,소매상에서 출고될 때, 하나의 제조 서버(100)에 이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이력 관리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이력 관리방법은, 제품이 생산된 제조 서버의 위치(주소)를 판별하고, 제조 서버의 위치가 판별되면 제품이 유통판매 서버에서 출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출고되는 제품의 이력 데이터를 제조 서버에 전송하고, 전송된 이력 데이터를 통해 제품의 정상유통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된 정상유통 판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품 태그가 유통판매 서버의 리더기를 통해 리딩되면, 제품이 생산된 제조 서버의 위치(주소)를 판별하고, 제품이 유통판매 서버에 입고되는 상황인지, 또는 출고되는 상황인지를 판단한다.
제품이 유통판매 서버에서 출고되는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유통판매 서버에서 출고되는 제품의 이력 데이터(차기 목적지 식별정보, 물류 주체 식별정보, 제품의 단품단위 고유정보 및 제품의 출고정보)를 통신모듈을 통해 제품의 이력 데이터를 제조 서버로 전송한다.
유통판매 서버에서 전송된 이력 데이터가 제조 서버의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면, 제조 서버의 정상유통 판별모듈은 이력 데이터에 포함된 물류 주체 식별정보와 차기 목적지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제품이 목적지를 따라 경유했는지를 판단하여 제품의 정상 유통 여부를 판별한다.
정상유통 판별모듈에서 제품의 정상유통 여부가 판별되면, 판별된 제품의 정상유통 판별 정보를 제조 서버의 이력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한다.
한편, 제품이 유통판매 서버에서 입고되는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입고되는 제품의 이력 데이터(차기 목적지 식별정보, 물류 주체 식별정보, 제품의 단품단위 고유정보 및 제품의 입고정보)를 통신모듈을 통해 제조 서버로 전송한다.
유통판매 서버에서 전송된 이력 데이터가 제조 서버의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면, 제조 서버의 정상유통 판별모듈은 이력 데이터에 포함된 물류 주체 식별정보와 차기 목적지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제품이 목적지를 따라 정상적으로 경유했는지를 판단하여 제품의 정상 유통 여부를 판별한다.
정상유통 판별모듈에서 제품의 정상유통 여부가 판별되면, 판별된 제품의 정상유통 판별 정보를 제조 서버의 이력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품이 유통판매 서버에서 입고되는 상황과 출고되는 상황에 대해 판단한 후, 각각의 상황에 따라 유통판매 서버의 이력 데이터를 제조 서버에 전송하고 제조 서버에 전송된 이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품의 정상 유통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제품의 입,출고되는 상황 이외에도, 특정 시점 또는 실시간으로, 유통판매 서버로부터 이력 데이터를 전송받아 제품의 정상 유통 여부를 판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류 흐름과 관련된 정보의 발생시, 물류 주체별 이력 데이터를 이력 관리가 이루어지는 특정 물류 주체(제조 서버)에 모아 저장하여, 이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물류 주체(유통판매 서버)의 시스템 구축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제품의 목적지 식별정보와 입출고 데이터의 전송 주체 식별정보를 통해, 제품의 정상유통을 효과적으로 판별하며, 실시간 또는 특정 시점에 제품이 정상 유통중인지를 판별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고 투명한 유통 물류 흐름을 구현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제조 서버 200 :유통판매 서버
200a :도매 서버 200b :소매 서버
110 :데이터 저장소 120, 220 :통신모듈
140 :정상유통 판별모듈 150, 250:컨트롤러
160, 260:리더기 270 :제조 서버 판별모듈

Claims (8)

  1. 도,소매상에서 출고되는 제품의 차기 목적지 식별정보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도소매상의 물류 주체 식별정보를 포함한 이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복수의 유통판매 서버; 및
    상기 유통판매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이력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이력 데이터에서 물류 주체 식별정보와 차기 목적지 식별정보를 통해 제품의 정상유통 여부를 판별하는 제조 서버를 포함하는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서버는
    상기 유통판매 서버로부터 이력 데이터를 전송받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에서 전송받은 이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소; 및
    상기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이력 데이터의 물류 주체 식별정보와 차기 목적지 식별정보를 통해, 제품이 목적지를 따라 경유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품의 정상유통 여부를 판별하는 정상유통 판별모듈을 포함하는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판매 서버는
    도매상에서 출고되는 제품의 이력 데이터를 상기 이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매 서버; 및
    소매상에서 출고되는 제품의 이력 데이터를 상기 이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매 서버를 포함하는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판매 서버는
    상기 도소매상에서 출고되는 제품의 차기 목적지 식별정보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도소매상의 물류 주체 식별정보를 포함한 이력 데이터를 상기 제조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조 서버의 주소를 판별하는 제조 서버 판별모듈; 및
    상기 제조 서버 판별모듈에서 판별된 제조 서버의 주소로 상기 이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데이터는
    상기 제품의 차기 목적지 식별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물류 주체의 물류 주체 식별정보, 제품의 단품단위 고유정보 및 제품의 입,출고정보를 포함하는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유통 판별모듈은 실시간 또는 특정 시점에 상기 물류 주체 식별정보와 차기 목적지 식별정보를 통해 제품이 정상유통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소는 상기 제품이 정상유통 여부를 판별한 정상유통 판별 정보를 저장하는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
  7. a) 제품 이력이 관리되는 제조 서버의 전송 위치를 판별하는 단계;
    b) 제품이 유통판매 서버에서 출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출고되는 제품의 차기 목적지 식별정보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도소매상의 물류 주체 식별정보를 포함한 이력 데이터를 상기 제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d) 전송된 상기 이력 데이터의 물류 주체 식별정보와 차기 목적지 식별정보를 통해, 제품이 목적지를 따라 경유했는지를 판단하여 제품의 정상유통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품의 이력 관리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e) 상기 제품의 정상유통 여부를 판별한 정상유통 판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품의 이력 관리방법.
KR1020120108623A 2012-09-28 2012-09-28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 KR201400421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623A KR20140042197A (ko) 2012-09-28 2012-09-28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
PCT/KR2013/001078 WO2014051224A1 (ko) 2012-09-28 2013-02-12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력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623A KR20140042197A (ko) 2012-09-28 2012-09-28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197A true KR20140042197A (ko) 2014-04-07

Family

ID=50651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623A KR20140042197A (ko) 2012-09-28 2012-09-28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21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66988A (zh) * 2021-01-28 2021-05-07 中国科学院空天信息创新研究院 基于北斗时空基准的农产品溯源码编制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66988A (zh) * 2021-01-28 2021-05-07 中国科学院空天信息创新研究院 基于北斗时空基准的农产品溯源码编制系统
CN112766988B (zh) * 2021-01-28 2024-04-16 中国科学院空天信息创新研究院 基于北斗时空基准的农产品溯源码编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0674B1 (en) System for cataloging an inventory and method of use
US10078947B2 (en) Control tag with environmentally selected conditional response
US7205897B2 (en) Product flow based auto-ID infrastructure
US20130201337A1 (en) Rfid-based asset security and track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JP5304094B2 (ja) 棚在庫管理システム
US10360777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enhanced reading and tracking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JP2014532214A (ja) 在庫管理トランスポンダ
KR20160067807A (ko) 실시간 재고 파악이 가능한 스마트 물류관리 시스템
KR20160064477A (ko) 비콘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60149776A1 (en) Auto-id simulator
US20060149605A1 (en) Exception reduction and event reordering in an item tracking system
KR101404590B1 (ko) 공급망 관리용 키오스크
CA2903717C (en) Misplaced item determination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ata
US20060186998A1 (en) Association of business processes with scanning of physical objects
KR20140042197A (ko)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
KR20140042196A (ko) 제품의 이력 관리시스템
KR101560444B1 (ko) Rfid 기반 통합 물류 이력 시스템
KR101506496B1 (ko) 무선ic태그를 이용한 재고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50109213A (ko) 알에프 아이디를 이용한 배송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7123A (ko) Rfid를 이용한 실험실 물품 정리 체계
KR101389139B1 (ko) 개체단위 고유번호를 이용한 이벤트 데이터 수집 장치
JP2011037571A (ja) 物品管理システム、物品管理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0734180B1 (ko) 무선 주파수 인식 시스템의 물품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728306B1 (ko) 무선 주파수 식별 시스템에서 태그 충돌 방지방법
CN202267995U (zh) 基于rfid技术的防伪及防串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