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1378A - 정제 분배 장치 - Google Patents

정제 분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1378A
KR20140041378A KR1020130165784A KR20130165784A KR20140041378A KR 20140041378 A KR20140041378 A KR 20140041378A KR 1020130165784 A KR1020130165784 A KR 1020130165784A KR 20130165784 A KR20130165784 A KR 20130165784A KR 20140041378 A KR20140041378 A KR 20140041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tray
dust
main body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130165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1378A/ko
Publication of KR20140041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3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69Trays for holding or distributing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24Cleaning of, or removing dust from, containers, wrappers, or packaging ; Preventing of fou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05Safety-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8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causing operation of audible or visible alarm sig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는 정제가 투입되어 내부에 배치된 트레이에 수집되도록 하는 다수의 정제투입부가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정제의 투입 여부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입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제 분배 장치{Tablets distribu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정제 분배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정제를 트레이에 분배하는데 있어서 정확성과 간편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정제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제 자동 포장 장치는 정제카세트에 수용되는 정제와 정제카세트에 수용될 수 없는 정제를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1회 복용분씩 자동으로 포장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정제카세트에 수용되는 정제는 정제 자동 포장 장치 내의 소정위치에 다량으로 보관되어 필요에 따라 자동적으로 분배될 수 있으나, 정제카세트에 수용될 수 없는 정제는 필요할 때마다 정제를 분배한 트레이를 별도로 준비한 후 상기 정제 자동 포장 장치 내에 장착시켜 자동적으로 분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제카세트에 수용될 수 없는 정제는 약사 등의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트레이에 미리 분배시키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게 되며, 다시 말해 약사 등의 사용자가 처방전에 기재된 정제 중 정제카세트에 수용될 수 없는 정제를 트레이에 수동으로 분배하는 행위가 반드시 요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수동 분배과정이 완료되면 약사 등의 사용자는 트레이 상에 분배된 정제를 일일이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확인 후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트레이를 정제 자동 포장 장치에 삽입하고 난 후 정제 자동 포장 장치를 작동시켜 정제카세트 내의 정제와 트레이에 분배된 정제를 1회 복용분씩 공급 및 포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트레이에 정제를 분배하는 과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약사 등의 사용자에 의한 수동 행위에 의해 구현되게 되며, 수동 행위라는 특성상 본질적으로 정확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트레이에 정제 분배 과정이 완료되었더라도 추가적인 확인 절차가 반드시 요구되며, 이로 인해 작업의 효율성은 저감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약사 등의 사용자가 정확한 분배 여부에 대해 확인을 하였더라도 육안관찰의 특성상 정확성을 신뢰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아주 작은 실수에 의해 환자의 건강을 해치는 등의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정제카세트에 수용될 수 없는 정제를 트레이에 수동으로 분배하는 과정에 있어서,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정제의 분진이 장치 내에 남아있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분진은 다른 정제를 분배하는 경우 혼합을 방지하기 위해 수시로 제거하는 별도의 세척과정이 요구되며, 이러한 세척과정은 작업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아주 번거로운 작업일 수 있다.
그러므로, 트레이에 정제를 분배하는 수동 과정에 있어서 분배의 정확성을 향상시켜 환자의 처방전과 일치하는 정제의 포장을 구현하고 분진 제거를 효율적으로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제카세트에 미리 수용될 수 없는 정제를 트레이 상에 수동 분배하는데 있어서, 처방전에 따른 분배의 정확성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분배 작업의 소요 시간을 최소화하여 분배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정제 분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는 정제가 투입되어 내부에 배치된 트레이에 수집되도록 하는 다수의 정제투입부가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정제의 투입 여부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입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의 상기 투입센서는 상기 정제가 상기 정제투입부를 통과하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의 상기 투입센서는 기설정된 상기 정제의 투입 횟수를 센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의 상기 투입센서는 상기 정제투입부를 규정하는 적어도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의 상기 투입센서는 상기 정제투입부를 규정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에 각각 구비되는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의 상기 발광소자 및 상기 수광소자는 각각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의 상기 발광소자에 의한 광조사 영역은 상기 정제투입부의 횡방향으로의 단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정제의 투입 여부를 식별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의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정제투입부의 적어도 일측과 대응되는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정제의 투입 여부에 따라 발광의 상태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의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정제투입부의 적어도 일측과 대응되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의 외측을 향하여 발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는 상기 정제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상기 정제를 수집하는 트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정제투입부가 형성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회동을 지지하고 상기 트레이를 배치시키도록 하는 받침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의 상기 트레이와 상기 받침부의 대향면 중 하나는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돌기를 구비하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트레이의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의 상기 삽입홈은 상기 삽입돌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가 상기 받침부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의 상기 커버부는 상기 트레이를 상기 받침부의 일측을 향해 가압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시키도록 하는 가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의 상기 삽입돌기 및 상기 삽입홈은 서로 대응되도록 다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가압부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삽입홈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는 상기 삽입돌기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와 밀착되어 상기 트레이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의 상기 삽입돌기 중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가장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의 상기 받침부는 상기 트레이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정제의 분진을 수집하도록 하는 수집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의 상기 수집공간은 상기 받침부의 일측을 향하여 깊이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의 상기 받침부는 상기 수집공간에 수집된 상기 분진을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외부와 연통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는 상기 정제의 투입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을 제거토록 상기 정제투입부에 착탈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분진흡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의 상기 분진흡착부의 적어도 일부는 광이 투과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의 상기 분진흡착부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의 상기 분진흡착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정제가 통과되도록 하는 관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의 상기 분진흡착부는 다수의 상기 정제투입부 중 적어도 일부에 동시 착탈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의 상기 분진흡착부는 상기 본체부와의 고정을 위한 착탈마그네트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착탈마그네트의 자성에 반응하는 착탈대응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의 상기 분진흡착부는 상기 정제투입부에 삽입되는 구획부 및 상기 구획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정제의 투입 여부를 식별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분진흡착부를 투과하여 식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에 의하면, 정제 자동 포장 장치 내에 삽입되는 트레이에 정제카세트에 미리 수용될 수 없는 정제를 정확하게 수동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수동 분배의 정확성을 구현함과 동시에 수동 분배 작업의 소요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수동 분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정제의 분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분진과 다른 정제간의 혼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정제의 수동 분배를 위한 트레이의 장착을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하여 장치에 대한 미숙련자라도 능숙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가 접혀진 모습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개략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에 보호덮개가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에 대한 개략 확대도.
도 6은 도 5의 BB선에 대한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에 제공되는 투입센서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가 펼쳐지고 트레이가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에 제공되는 분진흡착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에 제공되는 분진흡착부와 본체부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8의 C에 대한 개략 확대도.
도 12는 도 11의 DD선에 대한 개략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에 제공되는 투입센서를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3은 도 8의 E에 대한 변형예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에 제공되는 분진흡착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14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에 제공되는 본체부와 트레이의 결합관계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로,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를 도시한 개략 저면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에 제공되는 트레이가 본체부에 안착되기 이전을 도시한 개략도.
도 17 및 도 18은 트레이가 본체부에 안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및 개략 평면도이며, 도 19 및 도 20은 트레이가 본체부에 안착되고 가압부에 의해 트레이가 본체부에 고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및 개략 평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가 접혀진 모습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개략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에 보호덮개가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에 대한 개략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선에 대한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에 제공되는 투입센서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가 펼쳐지고 트레이가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100)는 트레이(130)에 정제를 분배시키기 위한 장치로, 정제의 분배가 완료된 트레이(130)를 분리시키고 새로운 트레이(130)를 삽입시킴으로써 반복적으로 트레이(130)에 정제의 수동 분배를 구현시키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100)에 의해 상기 트레이(130)에 정제의 분배가 완료되면, 상기 트레이(130)는 정제 자동 포장 장치(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정제 자동 포장 장치는 환자의 처방전에 맞게 정제카세트 내의 정제와 상기 트레이(130)에 분배된 정제를 1회 복용분씩 포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정제의 분배가 완료된 트레이(130)가 삽입되어 정제 자동 포장 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에서도 정제 분배 장치(100)의 반복적인 작동에 의해 정제가 분배된 다수의 트레이(130)를 준비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정제 자동 포장 장치 내로 상기 트레이(130)를 삽입하는데 필요한 상기 정제 자동 포장 장치의 중단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100)는 다수의 정제투입부(113)가 형성된 본체부(110) 및 상기 본체부(110)에 구비되어 상기 정제의 투입 여부를 센싱하는 투입센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정제 분배 장치(100)가 놓여지는 바닥면을 지지하는 받침부(114) 및 상기 받침부(114)의 일측으로부터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커버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커버부(112) 및 상기 받침부(114)가 접혀지는 경우 상기 정제투입부(113)를 통해 투입된 정제를 수집하는 트레이(130)를 배치시키도록 하는 소정의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10)의 커버부(112)는 상기 트레이(130)에 정제가 수집되도록 상기 공간과 외부와 연통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정제투입부(11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정제투입부(113)를 통해 약사 등의 사용자는 정제를 상기 트레이(130)에 투입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정제투입부(113)는 정제가 관통되는 일종의 홀일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10)에 상기 트레이(130)가 배치되고 정제 분배 장치(100)가 접혀지면 상기 트레이(130)에 형성된 정제수집부(132)와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제투입부(113)는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다수개가 상기 커버부(11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112)가 상기 받침부(114)를 기준으로 접혀진 경우 상기 받침부(114)에 배치되는 트레이(130)의 정제수집부(132)와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제투입부(113)를 통한 상기 정제의 투입 여부는 투입센서(120)에 의해 센싱될 수 있으며, 상기 투입센서(120)는 상기 본체부(110)에 구비되어 상기 정제가 상기 정제투입부(113)를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투입센서(120)는 기설정된 상기 정제의 투입 횟수를 센싱할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해 잘못된 수의 정제의 투입 여부도 센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입센서(120)는 상기 정제투입부(113)를 규정하는 적어도 일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정제투입부(113)를 규정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에 각각 구비되는 발광소자(122) 및 수광소자(1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소자(122) 및 상기 수광소자(124)는 각각 상기 정제투입부(113)를 규정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발광소자(122)에 의한 광조사 영역은 상기 정제투입부(113)의 횡방향으로의 단면적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정제투입부(113)를 관통하여 트레이(130)에 투입되는 정제의 투입 여부에 대한 센싱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함으로, 정제투입부(113)에 센싱의 사각지대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입센서(120)의 발광소자(122)는 계속적으로 수광소자(124)를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정제가 투입되면서 상기 수광소자(124)로 조사되는 광이 순간적으로 끊어지는 것을 통해 정제의 투입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입센서(120)의 정제의 투입 여부에 대한 센싱 결과는 본체부(11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140)에 의해 외부에서 식별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부(140)는 발광다이오드(LED)일 수 있다.
상기 발광부(140)는 상기 정제투입부(113)의 적어도 일측과 대응되는 상기 본체부(1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정제의 투입 여부, 즉, 상기 투입센서(120)의 센싱 결과에 따라 발광의 상태가 상이할 수 있다.
즉, 기설정된 정제의 투입이 구현되는 경우와 그렇지 못한 경우 발광의 색 변화, 깜박거림 또는 깜박거림의 정도 차이 등을 이용하여 정제의 정확한 투입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부(140)에 의한 발광은 상기 정제투입부(113)의 적어도 일측과 대응되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면의 외측을 향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발광부(140)에 의한 발광은 커버부(112)의 상면의 외측을 향할 수 있으므로, 약사 등의 사용자는 상기 커버부(112)를 육안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정제의 정확한 투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100)는 보호덮개(150)에 의해 외부로부터 내부를 보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덮개(150)는 상기 정제 분배 장치(100)를 미사용하는 동안에 정제투입부(113)를 덮어줌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이물 등의 유입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10)의 받침부(114)에 배치되는 트레이(130)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돌기(134) 및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115)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돌기(134)와 상기 삽입홈(115)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트레이(130)와 상기 받침부(114)의 대향면 중 하나는 돌출되어 형성되는 삽입돌기(134)를 구비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삽입돌기(134)가 삽입되어 상기 트레이(130)의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115)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돌기(134)는 다수개가 상기 트레이(13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홈(115)은 상기 삽입돌기(134)와 대응되도록 받침부(114)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130)를 상기 받침부(114)에 배치시키는 경우 상기 삽입돌기(134)를 상기 삽입홈(115)에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트레이(130)의 위치가 가이드되어 상기 트레이(130)를 상기 받침부(114)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130)의 저면과 대향하는 받침부(114)의 상면에는 상기 트레이(130)에 수집된 정제의 분진을 수집하도록 하는 수집공간(S)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집공간(S)은 상기 받침부(114)의 일측을 향하여 깊이가 증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수집공간(S)은 정제투입부(113)를 통해 정제를 트레이(130)에 투입시키는 과정 및 상기 과정이 완료되어 커버부(112)를 받침부(114)로부터 회동시킨 후 상기 트레이(130)를 본체부(110)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 등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정제의 분진이 수집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분진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집공간(S)은 연통부(116)에 의해 외부와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연통부(116)에 의해 상기 수집공간(S)에 수집된 분진을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연통부(116)는 상기 수집공간(S)의 일측, 즉, 깊이가 가장 큰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의 흡입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장치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수집공간(S)에 수집된 분진을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기 연통부(116)의 형성 위치는 수집공간(S)의 일측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집공간(S)에 수집된 분진을 유출시킬 수 있다면 그 형성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100)의 전체적인 작동 순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트레이(130)를 본체부(110)의 내부공간, 즉, 받침부(114)의 수집공간(S) 상측에 배치시킨다.
이때, 트레이(130)에 형성된 삽입돌기(134)를 받침부(114)에 형성된 삽입홈(115)에 삽입하여 상기 트레이(130)를 상기 받침부(114)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130)를 상기 받침부(114)에 고정시키고 커버부(112)를 닫게 되면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정제(T)가 투입될 부분에 해당되는 정제투입부(113)의 위치가 디스플레이(미도시) 상에 표시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본체부(110)에 구비되는 발광부(140)도 상기 디스플레이와 동일하게 일정한 색을 발광하게 되며, 상기 발광부(140)의 발광색은 커버부(112)의 상면의 외측을 향하므로 외부로부터 식별가능할 수 있다.
이후에는 약사 등의 사용자가 상기 발광부(140)에 의한 발광 여부에 따라 정제를 정제투입부(113)로 투입하게 되며, 투입하는 과정에서 투입센서(120)는 투입여부를 정확히 센싱하게 된다.
즉, 상기 투입센서(120)는 발광소자(122)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수광소자(124)로 도달하는 과정에서 끊김이 있는지 여부로 정제의 투입여부를 센싱하게 되며, 정확한 투입이 구현되면 상기 발광부(140)는 제어부(미도시)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발광의 상태가 변하게 된다.
만약, 정확한 정제의 투입이 구현되지 못하면, 즉, 한알의 정제가 투입되어야 하는 정제투입부(113)에 두알 이상의 정제(T)가 투입되는 경우 발광부(140)의 발광색은 깜박거리거나 또 다른 발광색으로 변하게 되는 등의 발광의 상태 변화를 통해 사용자가 이를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잘못 투입된 정제투입부(113)에 투입된 정제(T)를 꺼내는 등의 행위로 이를 수정할 수 있으며, 수정이 완료되면 발광부(140)는 발광의 상태가 바뀜으로써 약사 등의 사용자에게 이를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모두 완료되면, 커버부(112)를 회동시켜 정제가 투입된 트레이(130)를 분리시키고, 새로운 트레이(130)를 다시 장착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한편, 발광부(140)의 발광색은 정제가 투입되어야 하는 정제투입부(113)라도 다른 색을 발광할 수도 있으며, 이는 하나의 정제투입부(113)에 투입되는 정제의 갯수가 달라지는 것에 대한 표시일 수 있다.
이는 모두 트레이(130)에 포함된 처방전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어되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으며, 약사 등의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참조하면 쉽게 이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정제투입부(113)를 통해 정제를 트레이(130)에 투입시키는 과정 및 상기 과정이 완료되어 커버부(112)를 받침부(114)로부터 회동시킨 후 상기 트레이(130)를 본체부(110)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 등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정제의 분진은 수집공간(S)에 형성되는 연통부(116)를 통해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에 의하면, 투입센서(120) 및 발광부(140)에 의해 트레이(130)에 정제를 정확하게 수동 분배할 수 있는 동시에 수동 분배의 정확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수동 분배 작업의 소요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에 제공되는 분진흡착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에 제공되는 분진흡착부와 본체부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8의 C에 대한 개략 확대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DD선에 대한 개략 개략 단면도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에 제공되는 투입센서를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200)는 분진흡착부(26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1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분진흡착부(26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체부(210)는 커버부(212) 및 받침부(2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분진흡착부(260)는 상기 커버부(212)에 형성된 정제투입부(213)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분진흡착부(260)는 정제의 투입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일종의 구조물로, 상기 정제투입부(21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정제 투입시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정제투입부(213)를 규정하는 모든 면과의 접촉을 미연에 차단하여 상기 본체부(210)에 분진이 남아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정제의 분진은 분진흡착부(260)에 남아있을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분진흡착부(260)를 상기 정제투입부(213)로부터 분리하고 세척하는 과정을 통해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진흡착부(260)는 상기 정제투입부(213)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구획부(262) 및 안착부(264)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분진흡착부(260)는 상기 정제투입부(213)에 삽입되는 구획부(262)및 상기 구획부(26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본체부(210)의 일 구성요소인 커버부(212)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26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262)는 정제투입부(213)와 대응되도록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정제가 통과되도록 하는 관통공(261)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정제투입부(213), 상기 구획부(262) 및 상기 관통공(261)의 형상은 대략 사각형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제의 투입을 구현할 수 있는 형상이라며 모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획부(262)가 상기 정제투입부(213)에 삽입되고 나면, 상기 정제투입부(213)를 규정하는 모든 면은 상기 구획부(262)에 의해 정제와의 접촉이 차단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본체부(210)에 정제의 분진이 남아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진흡착부(260)는 다수의 상기 정제투입부(213) 중 적어도 일부에 동시 착탈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일례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열마다 별개의 분진흡착부(260)가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정제투입부(213)에 삽입되는 분진흡착부(260)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하나의 열마다 별개의 분진흡착부(260)가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분진흡착부(260)는 상기 본체부(210)와 자성의 성질에 의해 안정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이는 착탈마그네트(267)와 착탈대응부(217)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분진흡착부(260)와 상기 본체부(210)의 고정, 즉, 안착부(264)와 커버부(212)와의 고정은 상기 안착부(264)에 구비되는 착탈마그네트(267)와 상기 커버부(212)에 구비되는 착탈대응부(217)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착탈마그네트(267)는 자성의 성질을 구비할 수 있는 일종의 자석으로 안착부(264)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착탈마그네트(267)와 대응되는 커버부(212)에는 자성에 반응하는 착탈대응부(217)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진흡착부(260)를 정제투입부(213)에 삽입하는 경우 자성에 의한 인력에 의해 손쉬우면서도 간편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본체부(210)와 착탈 가능한 상기 분진흡착부(260)로 인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200)는 정제의 투입 시 발생될 수 있는 분진을 용이하게 제거토록 하여 다른 정제 투입시 상기 분진과의 혼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분진흡착부 없이 정제투입부를 통해 곧바로 정제를 투입하는 경우 정제투입부를 규정하는 일면에 분진이 묻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 경우에 상기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일일이 상기 정제투입부를 청소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정제투입부(213)에 분진흡착부(260)를 삽입함으로써 정제의 분진은 상기 분진흡착부(260)에 흡착되게 되며, 이 경우 상기 분진흡착부(260) 만을 본체부(210)로부터 분리시켜 별도의 세척과정을 거침으로써 간편하게 분진 제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제를 수동 분배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정제의 분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분진과 다른 정제간의 혼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진흡착부(260)의 일 구성인 구획부(262)의 적어도 일부(263)는 광이 투과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더욱 자세하게는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투입센서(220)의 센싱의 정확성을 구현하기 위함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투입센서(220)의 발광소자(222)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분진흡착부(260)를 관통하여 수광소자(224)에 도달할 수 밖에 없으며, 이를 위해 투입센서(220), 즉, 발광소자(222) 및 수광소자(224)와 대응되는 상기 분진흡착부(260)의 적어도 일부(263)는 조사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진흡착부(260)의 적어도 일부(263)는 광투과성을 위해 투명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분진흡착부(260)의 안착부(264)는 발광부(240)의 발광을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발광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발광부(240)에 의한 발광은 상기 정제투입부(213)의 적어도 일측과 대응되는 상기 본체부(210)의 상면의 외측을 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발광의 경로는 분진흡착부(260)의 안착부(264)에 의해 덮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240)는 상기 분진흡착부(260)의 상기 안착부(264)를 투과하여 식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안착부(264)는 상기 발광부(240)의 발광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200)는 보호덮개(250)에 의해 외부로부터 내부를 보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덮개(250)는 상기 정제 분배 장치(200)를 미사용하는 동안에 분진흡착부(260)를 덮어줌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이물 등의 유입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도 13은 도 8의 E에 대한 변형예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에 제공되는 분진흡착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분진흡착부(260')는 다수의 상기 정제투입부(213) 각각에 착탈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웃하는 분진흡착부(260')와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분진흡착부(260')는 이웃하는 분진흡착부(260')와 결합을 위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체결부(262') 및 함입되어 형성되는 체결대응부(26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구성요소들끼리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구조로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약사 등의 사용자는 분진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될 수 있는 정제투입부(213)를 선별하여 그 부분에 삽입되는 분진흡착부(260')를 서로 결합하여 일체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분진 제거를 위한 과정에서 일체화된 상기 분진흡착부(260')만을 세척함으로써 분진 제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분진흡착부(260')끼리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262') 및 체결대응부(264')는 도 13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다리꼴 형상 또는 원호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이 채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최외측에 형성되는 정제투입부(213)에 삽입되는 분진흡착부(260')는 모든 모서리 부분에 체결부(262') 및 체결대응부(264')가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도 14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에 제공되는 본체부와 트레이의 결합관계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로,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를 도시한 개략 저면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에 제공되는 트레이가 본체부에 안착되기 이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또한, 도 17 및 도 18은 트레이가 본체부에 안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및 개략 평면도이며, 도 19 및 도 20은 트레이가 본체부에 안착되고 가압부에 의해 트레이가 본체부에 고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및 개략 평면도이다.
우선, 도 14 내지 도 20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100)는 앞선 실시예 모두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100, 2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편의상 도 1 내지 도 7에 따른 정제 분배 장치(100)에 대한 도면 부호를 이용하기로 한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체부(110)의 받침부(114)에 배치되는 트레이(130)는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돌기(13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와 대응되어 상기 받침부(114)는 상기 트레이(130)의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115)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돌기(134)가 삽입되는 상기 삽입홈(115)은 상기 삽입돌기(134)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약사 등의 사용자가 트레이(130)를 받침부(114)에 배치시키는 경우 상기 삽입홈(115)에 상기 삽입돌기(134)를 대략적으로 위치시켜도 상대적이 크기 차이에 의해 손쉽게 상기 삽입돌기(134)를 상기 삽입홈(115)에 삽입시킬 수 있다.
한편, 본체부(110)의 커버부(112)에는 상기 커버부(112)가 닫히는 경우 트레이(130)를 가압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11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17 및 도 18를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130)가 받침부(114)에 배치되고 나면 상기 삽입홈(115)과 상기 삽입돌기(134)의 상대적인 크기 차이에 의해 상기 트레이(130)는 상기 받침부(114) 상에서 상하좌우로 약간씩 이동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112)를 닫는 경우 상기 트레이(130)는 외력에 의해 받침부(114)의 일측으로 밀려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되어야 하며, 이는 상기 커버부(112)에 형성된 가압부(1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커버부(112)는 받침부(114) 상에 이동가능한 채 배치되는 트레이(130)를 상기 받침부(114)의 일측을 향해 가압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111)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부(111)는 커버부(112)의 내측 모서리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경사지게 형성됨으로 인해 커버부(112)를 닫는 경우 경사진 면이 트레이(130)의 일측 모서리를 자연스럽게 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112)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상기 트레이(130)는 상기 가압부(111)에 의하 가압력에 의해 더이상 이동이 불가능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트레이(130)의 안정적인 고정을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압부(111)에 의해 상기 트레이(130)가 밀리게 되면 결국, 상기 트레이(130)에 형성된 삽입돌기(134) 중 적어도 하나는 삽입홈(115)의 일부와 밀착됨으로써 트레이(130)의 고정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상기 삽입홈(115)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가압부(111)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삽입홈(115)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는 상기 삽입돌기(134') 외면의 적어도 일부와 밀착되어 상기 트레이(130)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홈(115')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홈(115')은 상기 삽입돌기(134')의 외면과 밀착되도록 대략 삼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115')은 삽입홈(115)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삽입돌기(134) 중 상기 고정홈(115')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34')가 가장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고정홈(115') 이외의 삽입홈(115)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34)는 작게 형성하여 트레이(130)를 받침부(114)에 최초 고정할 때 삽입의 용이성을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고정홈(115')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34')는 크게 형성하여 상기 고정홈(115')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삽입돌기(134, 134'), 삽입홈(115) 및 고정홈(115')에 의해 정제의 수동 분배를 위한 트레이(130)의 장착을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하여 장치에 대한 미숙련자라도 능숙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즉, 상기에서는 정제투입부(113, 213)로의 정제 투입을 약사 등의 사용자에 의한 수동 투입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동화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투입시키는 방법도 적용될 수 있다.
100, 200: 정제 분배 장치
110, 210: 본체부
120, 220: 투입센서
130, 230: 트레이
140, 240: 발광부
260: 분진흡착부

Claims (27)

  1. 정제가 투입되어 내부에 배치된 트레이에 수집되도록 하는 다수의 정제투입부가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정제의 투입 여부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입센서;를 포함하는 정제 분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센서는 상기 정제가 상기 정제투입부를 통과하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정제 분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센서는 기설정된 상기 정제의 투입 횟수를 센싱하는 정제 분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센서는 상기 정제투입부를 규정하는 적어도 일면에 장착되는 정제 분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센서는 상기 정제투입부를 규정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에 각각 구비되는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정제 분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및 상기 수광소자는 각각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정제 분배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에 의한 광조사 영역은 상기 정제투입부의 횡방향으로의 단면적을 포함하는 정제 분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정제의 투입 여부를 식별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를 구비하는 정제 분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정제투입부의 적어도 일측과 대응되는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정제의 투입 여부에 따라 발광의 상태가 상이한 정제 분배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정제투입부의 적어도 일측과 대응되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의 외측을 향하여 발광되는 정제 분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상기 정제를 수집하는 트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정제투입부가 형성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회동을 지지하고 상기 트레이를 배치시키도록 하는 받침부를 구비하는 정제 분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와 상기 받침부의 대향면 중 하나는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돌기를 구비하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트레이의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을 구비하는 정제 분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삽입돌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가 상기 받침부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정제 분배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트레이를 상기 받침부의 일측을 향해 가압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시키도록 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정제 분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 및 상기 삽입홈은 서로 대응되도록 다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가압부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삽입홈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는 상기 삽입돌기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와 밀착되어 상기 트레이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홈인 정제 분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 중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가장 크게 형성되는 정제 분배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트레이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정제의 분진을 수집하도록 하는 수집공간을 구비하는 정제 분배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공간은 상기 받침부의 일측을 향하여 깊이가 증가하는 정제 분배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수집공간에 수집된 상기 분진을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외부와 연통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부를 구비하는 정제 분배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의 투입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을 제거토록 상기 정제투입부에 착탈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분진흡착부;를 더 포함하는 정제 분배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흡착부의 적어도 일부는 광이 투과되도록 형성되는 정제 분배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흡착부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하게 형성되는 정제 분배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흡착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정제가 통과되도록 하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정제 분배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흡착부는 다수의 상기 정제투입부 중 적어도 일부에 동시 착탈이 가능한 정제 분배 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흡착부는 상기 본체부와의 고정을 위한 착탈마그네트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착탈마그네트의 자성에 반응하는 착탈대응부를 구비하는 정제 분배 장치.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흡착부는 상기 정제투입부에 삽입되는 구획부 및 상기 구획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정제 분배 장치.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정제의 투입 여부를 식별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분진흡착부를 투과하여 식별되는 정제 분배 장치.
KR1020130165784A 2013-12-27 2013-12-27 정제 분배 장치 KR201400413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784A KR20140041378A (ko) 2013-12-27 2013-12-27 정제 분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784A KR20140041378A (ko) 2013-12-27 2013-12-27 정제 분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884A Division KR101445929B1 (ko) 2012-09-27 2012-09-27 정제 분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378A true KR20140041378A (ko) 2014-04-04

Family

ID=50651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784A KR20140041378A (ko) 2013-12-27 2013-12-27 정제 분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13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4179B1 (ko) 약제 공급 장치
ES2427592T3 (es) Distribuidor automático de bebidas con dispositivo mejorado de suministro
CN105247583A (zh) 药物分配容器
GB0415262D0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with integrated capsule feeding apparatus
CA2953624C (en) Pill dispenser with cylindrical package holder for array-type packages
CN109998914B (zh) 一种智能家用配药方法、配药系统及存储介质
KR101545767B1 (ko) 에어로졸 흡입장치
KR20130004726U (ko) 주사바늘 자동처리기
KR101445929B1 (ko) 정제 분배 장치
KR101445928B1 (ko) 정제 분배 장치
KR20140041378A (ko) 정제 분배 장치
KR20140041376A (ko) 정제 분배 장치
KR20140057945A (ko) 약제 자동 포장장치
KR101413857B1 (ko) 정제 분배 장치 및 정제 분배 장치의 제어방법
KR20140041377A (ko) 정제 분배 장치 및 정제 분배 장치의 제어방법
CA2980370A1 (en) Portion pack for preparing beverages
KR101474510B1 (ko) 자판기의 조립식 회전형 컵 디스펜서
KR20090018533A (ko) 호퍼의 내부 커버 및 상기 내부 커버가 끼워진 호퍼를 갖는약제 자동 포장기
KR20110026133A (ko) 정수기
KR20140057944A (ko) 약제 자동 포장장치
KR102034539B1 (ko) 약제 자동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자동 포장장치
KR20140101544A (ko) 약제 보관 박스 설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수집 장치
KR101181057B1 (ko) 자동판매기용 캡 또는 캡슐 공급 디스크
TWM582023U (zh) Powder powder equalizer capsule filling device
KR101356529B1 (ko) 침구 청소기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