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1280A - 안전 퓨즈 및 그것의 열화 현상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안전 퓨즈 및 그것의 열화 현상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1280A
KR20140041280A KR1020120108413A KR20120108413A KR20140041280A KR 20140041280 A KR20140041280 A KR 20140041280A KR 1020120108413 A KR1020120108413 A KR 1020120108413A KR 20120108413 A KR20120108413 A KR 20120108413A KR 20140041280 A KR20140041280 A KR 20140041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fuse
thermoelectric element
led lamp
fuse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한
김웅
배진운
박영국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8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1280A/ko
Publication of KR20140041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2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30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fus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47Means for cool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Fus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 현상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퓨즈는 안전 퓨즈; 상기 안전 퓨즈에 부착되고, 상기 안전 퓨즈의 열 발생을 감지하여 열에너지에 상응하는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열전소자; 및 상기 열전소자로부터 발생된 상기 전기에너지에 따라 점등되는 엘이디 램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 퓨즈 및 그것의 열화 현상 감지 방법{SAFETY FUSE AND METHOD FOR DETECTING DETERIORATION PHENOMENA IN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열화 현상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퓨즈 및 상기 안전 퓨즈의 열화 현상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퓨즈는 각종 공업장소, 주택 및 관련 전기설비나 상품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사용률이 높고 응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아래 각양각색의 형태와 기능을 지닌 퓨즈가 시장에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흔히 접할 수 있는 퓨즈 구조 형태를 나눠보면 대체적으로 실퓨즈, 온도퓨즈, 플러그퓨즈, 통형퓨즈 등이며, 조립이 편리하고 안전성이 높으며 다양한 종류의 형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점 등의 장점을 지닌다.
본 발명의 일 실실시예에 따른 열화 현상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퓨즈 및 상기 안전 퓨즈의 열화 현상 감지 방법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33288호(발명의 명칭: 단전표시 안전퓨즈, 등록일자: 2006년 12월 4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열전소자와 LED 램프를 이용하여 안전 퓨즈의 열화 현상을 감지할 수 있으며, 안전 퓨즈의 교체 시기를 알 수 있어 열화 현상으로 인한 안전 퓨즈의 폭발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열화 현상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퓨즈 및 상기 안전 퓨즈의 열화 현상 감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 현상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퓨즈는 안전 퓨즈; 상기 안전 퓨즈에 부착되고, 상기 안전 퓨즈의 열 발생을 감지하여 열에너지에 상응하는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열전소자; 및 상기 열전소자로부터 발생된 상기 전기에너지에 따라 점등되는 엘이디 램프를 포함한다.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안전 퓨즈의 힌지 접합부에 적어도 하나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 현상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퓨즈는 상기 열전소자와 상기 엘이디 램프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열전소자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가변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 현상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퓨즈는 상기 열전소자에 형성되어 상기 열전소자의 열을 방출함으로써 상기 안전 퓨즈와 상기 열전소자 간의 온도차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방열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 현상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퓨즈는 상기 엘이디 램프로부터 점등된 빛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 소자; 및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모니터링 신호를 출력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퓨즈의 열화 현상 감지 방법은 안전 퓨즈에 부착되는 열전소자에서, 상기 안전 퓨즈의 열 발생을 감지하여 열에너지에 상응하는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엘이디 램프에서, 상기 열전소자로부터 발생된 상기 전기에너지에 따라 빛을 점등하여 상기 안전 퓨즈의 열화 현상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퓨즈의 열화 현상 감지 방법은 상기 열전소자와 상기 엘이디 램프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변저항에서, 저항을 변화시켜 상기 안전 퓨즈와 상기 열전소자 간의 온도차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또는 상기 열전소자에 형성되는 방열판을 통해, 상기 열전소자의 열을 방출함으로써 상기 안전 퓨즈와 상기 열전소자 간의 온도차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퓨즈의 열화 현상 감지 방법은 수광 소자에서, 상기 엘이디 램프로부터 점등된 빛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 장치에서,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모니터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전소자와 LED 램프를 이용하여 안전 퓨즈의 열화 현상을 감지할 수 있으며, 안전 퓨즈의 교체 시기를 알 수 있어 열화 현상으로 인한 안전 퓨즈의 폭발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 현상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퓨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화 현상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퓨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화 현상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퓨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퓨즈의 열화 현상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설비에는 송전 선로 이상으로 인해 과전류가 흐를 경우를 대비하여 설비 보호를 위한 퓨즈 및 차단기가 설치된다. 이러한 퓨즈 및 차단기는 정기적으로 상태, 냄새, 온도 등 정기 점검을 받아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노후화가 진행될 경우 퓨즈 내부 또는 표면 온도가 점점 상승하고, 이에 따라 내부의 상태가 노후화 되는 열화 현상이 일어난다. 대부분 열화 현상은 점진적으로 일어나고 순간적으로 급 온도 상승으로 인해 퓨즈 자체가 파손되어 폭발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안전 퓨즈 외부에 열전 소자(열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어줌)와 경고 LED 램프와 조절용 가변 저항이 부착된, 열화 현상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퓨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 현상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퓨즈는 열화 현상이 없는 경우에는 열전 소자에 열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열전 소자가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지 않는다. 그래서 상기 LED 램프는 꺼져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하지만, 열화 현상이 진행되어 안전 퓨즈 자체에 온도가 올라가면 열전 소자는 그에 상응하는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고 일정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상기 LED 램프가 켜진다.
점검자는 상기 LED 램프가 켜질 경우 즉시 열화 현상이 진행된 퓨즈라 판명하고 교체를 하게 된다.
상기 가변 저항은 온도 상승시 열전 소자에 의해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일정량 이상으로 흐를 때까지 잡아 놓는 기능을 한다. 이 기능은 사용자 요구 사항에 따라 기준 온도를 다르게 설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LED 램프 대신 다른 전자기기를 동작시키는 수광소자(예: 포터커플러 또는 광학 소자)를 이용하여 빛을 감지하는 부수적인 회로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부수적 회로는 다른 위험 알림 시스템(모니터 장치)과 연결되어 네트워크 또는 경광등들을 동작시켜 점검자에게 자동으로 알릴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열전소자의 일측면은 상기 안전 퓨즈의 표면에 부착된다. 상기 열전소자는 1개 ~ 3개 정도의 얇은 판막 형상으로 퓨즈 양단 및 가운데에 부착될 수 있다. 내부 열화 현상이 진행되면 퓨즈 자체 내부 온도도 상승한다. 온도가 상승하여 열전소자에 온도차가 생기면 열전소자는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사전에 정의된 온도 상승으로 인해 온도차이가 발생하면 LED 램프가 점등한다. LED 램프의 점등을 감지하는 수광 소자, 또는 전기 에너지를 감지하도록 열전소자에 회로를 연결하면, 경광등 및 알람등을 외부에 전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전에 열화 진행 현상을 감지할 수 있어 교체 주기를 알 수 있다. 또한, 열전소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램프 구동 전원이 필요 없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안전 퓨즈의 표면 외에 외부 환경, 즉 주변의 온도 상승으로 인해 열전소자의 표면 온도 차이가 발생하면 경보를 전파하기 때문에 설비의 이상 유무를 간접적으로 알려 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 현상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퓨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 현상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퓨즈(100)는 안전 퓨즈(110), 열전소자(120), LED 램프(130), 및 가변저항(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 퓨즈(110)는 배전반에 설치되어 설비와 연결된 송전 선로의 이상으로 인해 과전류가 흐를 경우 과전류를 차단하는 장치이다. 상기 안전 퓨즈(110)는 상기 설비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열로 퓨즈가 녹어서 끊어지는 방식으로 과전류로부터 상기 설비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120)는 상기 안전 퓨즈(110)의 표면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열전소자(120)는 상기 안전 퓨즈(110)의 양측 또는 중앙에 설치될 수 있지만, 열화에 가장 취약한 부분, 즉 힌지 접합부(11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소자(120)는 상기 안전 퓨즈(110)의 열 발생을 감지하여 열에너지에 상응하는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 퓨즈(11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열전소자(120)에 온도차가 생기면, 상기 열전소자(120)는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LED 램프(130)는 상기 열전소자(120)로부터 발생된 상기 전기에너지에 따라 점등된다. 즉, 상기 LED 램프(130)는 상기 안전 퓨즈(110) 내부에 열화 현상이 발생하면 상기 열전소자(120)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램프를 점등하게 된다.
상기 가변저항(140)은 상기 열전소자(120)와 상기 LED 램프(13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120)가 상기 안전 퓨즈(110)에 여러 개 부착되는 경우, 상기 열전소자(120)는 상기 LED 램프(130)에 병렬로 연결되게 된다.
상기 가변저항(140)은 상기 열전소자(120)의 온도 상승시 상기 열전소자(120)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일정량 이상으로 흐를 때까지 잡아 놓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상기 가변저항(140)은 상기 열전소자(120)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가변저항(140)은 상기 열전소자(120)의 온도차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온도차의 민감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기에너지량을 조절하여 상기 LED 램프(130)의 점등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화 현상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퓨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화 현상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퓨즈(200)는 안전 퓨즈(210), 열전소자(220), LED 램프(230), 및 방열판(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 퓨즈(210)는 배전반에 설치되어 설비와 연결된 송전 선로의 이상으로 인해 과전류가 흐를 경우 과전류를 차단하는 장치이다. 상기 안전 퓨즈(210)는 상기 설비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열로 퓨즈가 녹어서 끊어지는 방식으로 과전류로부터 상기 설비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220)는 상기 안전 퓨즈(210)의 표면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열전소자(220)는 상기 안전 퓨즈(210)의 양측 또는 중앙에 설치될 수 있지만, 열화에 가장 취약한 부분, 즉 힌지 접합부(21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소자(220)는 상기 안전 퓨즈(210)의 열 발생을 감지하여 열에너지에 상응하는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 퓨즈(21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열전소자(220)에 온도차가 생기면, 상기 열전소자(220)는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LED 램프(230)는 상기 열전소자(220)로부터 발생된 상기 전기에너지에 따라 점등된다. 즉, 상기 LED 램프(230)는 상기 안전 퓨즈(210) 내부에 열화 현상이 발생하면 상기 열전소자(220)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램프를 점등하게 된다.
상기 방열판(240)은 상기 열전소자(220)에 형성되어 상기 열전소자(220)의 열을 방출함으로써 상기 안전 퓨즈(210)와 상기 열전소자(220) 간의 온도차를 조절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방열판(240)이 형성된 경우, 상기 열전소자(220)는 도 1과는 달리 상기 LED 램프(230)와 직렬로 연결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방열판(240)은 상기 열전소자(220)의 온도차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온도차의 민감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기에너지량을 조절하여 상기 LED 램프(230)의 점등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화 현상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퓨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화 현상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퓨즈(300)는 안전 퓨즈(310), 열전소자(320), LED 램프(330), 수광소자(340), 및 모니터링 장치(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 퓨즈(310)는 배전반에 설치되어 설비와 연결된 송전 선로의 이상으로 인해 과전류가 흐를 경우 과전류를 차단하는 장치이다. 상기 안전 퓨즈(310)는 상기 설비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열로 퓨즈가 녹어서 끊어지는 방식으로 과전류로부터 상기 설비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320)는 상기 안전 퓨즈(310)의 표면에 부착된다. 상기 열전소자(320)는 상기 안전 퓨즈(310)의 열 발생을 감지하여 열에너지에 상응하는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 퓨즈(31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열전소자(320)에 온도차가 생기면, 상기 열전소자(320)는 상기 온도차에 대응하는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LED 램프(330)는 상기 열전소자(320)로부터 발생된 상기 전기에너지에 따라 점등된다. 즉, 상기 LED 램프(330)는 상기 안전 퓨즈(310) 내부에 열화 현상이 발생하면 상기 열전소자(320)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램프를 점등하게 된다.
상기 수광소자(340)는 상기 LED 램프(330)로부터 점등된 빛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수광소자(340)는 빛 에너지를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광소자(340)로서 포토다이오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350)는 상기 수광소자(340)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모니터링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모니터링 신호는 알람음, 경광등, 모니터 화면 표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퓨즈의 열화 현상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410)에서 열전소자를 통해 안전 퓨즈의 열 발생을 감지하여 열에너지에 상응하는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단계(420)에서 상기 열전소자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량을 조절한다.
이때, 상기 전기에너지량의 조절은 상기 열전소자와 LED 램프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변저항, 또는 상기 열전소자에 형성되는 방열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430)에서 LED 램프를 통해 상기 열전소자로부터 발생된 전기에너지에 따라 빛을 점등하여 상기 안전 퓨즈의 열화 현상을 감지한다.
다음으로, 단계(440)에서 상기 LED 램프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수광 소자를 통해, 상기 LED 램프로부터 점등된 빛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단계(450)에서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모니터링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열전소자와 LED 램프를 이용하여 안전 퓨즈의 열화 현상을 감지할 수 있으며, 안전 퓨즈의 교체 시기를 알 수 있어 열화 현상으로 인한 안전 퓨즈의 폭발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210, 310: 안전 퓨즈
111, 211: 힌지 접합부
120, 220, 320: 열전소자
130, 230, 320: LED 램프
140: 가변저항
240: 방열판
330: 수광소자
340: 모니터링 장치

Claims (8)

  1. 안전 퓨즈;
    상기 안전 퓨즈에 부착되고, 상기 안전 퓨즈의 열 발생을 감지하여 열에너지에 상응하는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열전소자; 및
    상기 열전소자로부터 발생된 상기 전기에너지에 따라 점등되는 엘이디 램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 현상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퓨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안전 퓨즈의 힌지 접합부에 적어도 하나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 현상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퓨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와 상기 엘이디 램프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열전소자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가변저항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 현상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퓨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에 형성되어 상기 열전소자의 열을 방출함으로써 상기 안전 퓨즈와 상기 열전소자 간의 온도차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방열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 현상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퓨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 램프로부터 점등된 빛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 소자; 및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모니터링 신호를 출력하는 모니터링 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 현상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안전 퓨즈.
  6. 안전 퓨즈에 부착되는 열전소자에서, 상기 안전 퓨즈의 열 발생을 감지하여 열에너지에 상응하는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엘이디 램프에서, 상기 열전소자로부터 발생된 상기 전기에너지에 따라 빛을 점등하여 상기 안전 퓨즈의 열화 현상을 감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퓨즈의 열화 현상 감지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와 상기 엘이디 램프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변저항에서, 저항을 변화시켜 상기 안전 퓨즈와 상기 열전소자 간의 온도차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또는
    상기 열전소자에 형성되는 방열판을 통해, 상기 열전소자의 열을 방출함으로써 상기 안전 퓨즈와 상기 열전소자 간의 온도차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퓨즈의 열화 현상 감지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수광 소자에서, 상기 엘이디 램프로부터 점등된 빛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 장치에서,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모니터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퓨즈의 열화 현상 감지 방법.
KR1020120108413A 2012-09-27 2012-09-27 안전 퓨즈 및 그것의 열화 현상 감지 방법 KR201400412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413A KR20140041280A (ko) 2012-09-27 2012-09-27 안전 퓨즈 및 그것의 열화 현상 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413A KR20140041280A (ko) 2012-09-27 2012-09-27 안전 퓨즈 및 그것의 열화 현상 감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280A true KR20140041280A (ko) 2014-04-04

Family

ID=5065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413A KR20140041280A (ko) 2012-09-27 2012-09-27 안전 퓨즈 및 그것의 열화 현상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12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0399A1 (de) * 2015-01-13 2016-07-14 Hochschule Für Technik Und Wirtschaft Berlin Anordnung bestehend aus einer Schmelzsicherung und einer an der Schmelzsicherung angeordneten Messeinrichtung sowie Messeinrichtu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0399A1 (de) * 2015-01-13 2016-07-14 Hochschule Für Technik Und Wirtschaft Berlin Anordnung bestehend aus einer Schmelzsicherung und einer an der Schmelzsicherung angeordneten Messeinrichtung sowie Messeinrichtung
WO2016113245A1 (de) 2015-01-13 2016-07-21 Hochschule Für Technik Und Wirtschaft Berlin Anordnung mit einer elektrischen sicherungseinrichtung und einer an der sicherungseinrichtung angeordneten messeinrichtung sowie messeinrichtung
DE102015100399B4 (de) * 2015-01-13 2016-07-28 Hochschule Für Technik Und Wirtschaft Berlin Anordnung bestehend aus einer Schmelzsicherung und einer an der Schmelzsicherung angeordneten Messeinrichtung sowie Messeinricht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1852B1 (ko) 배터리 팩 보호 장치 및 방법
US9312679B2 (en)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with a measuring device for monitoring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s
KR101470348B1 (ko) 화재방지 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136877B1 (ko) 태양광발전장치용 접속반 시스템
CN101373684B (zh) 具有温度传感器的空气断路器
US9816877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to prevent arc faults in electrical connectivity
KR101574709B1 (ko) 다중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전기설비박스
JP6259582B2 (ja) 照明装置
US20150262468A1 (en) Power socket temperature alarm device
JP2012104598A (ja) 劣化警報機能付きspd
CN101493358A (zh) 温度传感器
KR20140041280A (ko) 안전 퓨즈 및 그것의 열화 현상 감지 방법
TWI460951B (zh) 具有感測器配置以由過電流保護元件偵測轉換事件之操作偵測裝置及相關方法,以及過電流保護組件
EP2028678B1 (en) Circuit breaker with temperature sensor
JP4176675B2 (ja) 避雷器
JP2016169984A (ja) 接続不良検出器
JP6405932B2 (ja) 地絡検出装置および地絡検出方法
CN208170039U (zh) 一种不易起火的电灯及避免灯管异常起火的装置
US8531111B2 (en) Light module
KR100773769B1 (ko) 누전 조기경보 기능을 갖는 전원 공급기
KR100890837B1 (ko) 낙뢰 안전회로가 내장된 저압기중차단기
US20120154968A1 (en) Overload protection device
KR101713960B1 (ko) 장비의 위험 보호 장치 및 그에 의한 위험 보호 방법
CN104698327A (zh) 一种线路短路故障指示器
JP3226486U (ja) 過負荷保護機能付きled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