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486A - 소리/향 발생장치,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및 소리/향 발생장치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리/향 발생장치,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및 소리/향 발생장치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0486A
KR20140040486A KR1020120107216A KR20120107216A KR20140040486A KR 20140040486 A KR20140040486 A KR 20140040486A KR 1020120107216 A KR1020120107216 A KR 1020120107216A KR 20120107216 A KR20120107216 A KR 20120107216A KR 20140040486 A KR20140040486 A KR 20140040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formation
fragrance
user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7399B1 (ko
Inventor
최용순
Original Assignee
최용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순 filed Critical 최용순
Priority to KR1020120107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399B1/ko
Publication of KR20140040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소리/향 발생장치,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및 소리/향 발생장치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또는 상대방 통신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상대방 통신모듈로부터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무선통신모듈로부터 상기 소리ID정보 및 상기 향ID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소리ID정보에 대응되는 소리발생신호 및 상기 입력받은 향ID정보에 대응되는 향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소리발생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소리발생신호에 대응되는 소리를 외부로 출력하는 소리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향발생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향발생신호에 대응되는 향을 외부로 발산하는 향발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리/향 발생장치,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및 소리/향 발생장치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Sound/Perfume Actuator, Method For Controlling Sound/Perfume Actuator In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and Sound/Perfume Actuator}
본 발명은 소리/향 발생장치,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및 소리/향 발생장치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단말기 또는 다른 소리/향 발생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에 따라 소리 출력 및 향 발산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소리/향 발생장치,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및 소리/향 발생장치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점점 더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는 현대 사회에서, 우리는 하루에도 많은 다른 사람들과 새로운 브랜드들을 접하게 되지만, 이 모든 것들의 이름, 분위기, 느낌 등을 잊어버리지 않고 모두 기억하는 것은 쉽지 않다.
소리(Sound) 및 향(Perfume)은 사람의 뇌에서 기억과 감정을 조절하는 뇌의 영역과 비슷한 영역에서 자극을 받고 사람의 기억과 감성에도 많은 영향을 준다. 예를 들면, 길을 걷다 불현듯 들리는 음악 소리에 잊고 있었던 옛 기억이 되살아나는 경우가 있고 갑자기 느껴지는 향기에 기분이 좋아지는 경험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새롭게 만나게 되는 사람과 브랜드 등의 새로운 정보에 각각의 독특한 소리와 향을 같이 제공하여 상대방의 정보를 기억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극을 제공받을 수 있다면, 상대방의 정보를 기억해내고 또는 감성적인 반응을 유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소리와 향을 이용해서 사람들의 기억과 감성에 영향을 주는 방법은 이미 마케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방법 중에 하나로, 이를 통해 자신들의 브랜딩의 감성적 이미지를 높이고 타 브랜드와 구별되는 독특한 이미지로 소비자들로부터 기억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싱가폴 항공과 프랑스 항공은 기내에 자신들의 브랜딩 향기를 사용하여 승객들에게 자신들의 브랜딩에 대한 감성적 이미지를 높이고 있고, 이미 많은 백화점이나 슈퍼마켓에서 음악을 이용해서 소비자들의 구매 심리를 자극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향을 발생시키는 기술들만 공개되어 있을 뿐, 상술한 바와 같이 소리 및 향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상대방을 연결시켜 기억에 도움을 주거나 감성적 변화를 이끌어 주고, 사용자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해 개성적인 자신의 소리 및 향을 설정하여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기술은 알려져 있지 않았다. 즉, 공개특허공보 제2006-0066490호는 향 발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발열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향을 발생시키는 향 발생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을 뿐이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0222호에도 정보단말기용 향기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USB를 통해 정보단말기에 연결되어 정보단말기의 전원에 의해 향기를 발생시키는 향기 발생장치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을 뿐이다.
즉, 상술한 종래기술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미리 정해진 향이 발생될 뿐이고, 사용자 자신의 개성적인 향 및 소리를 설정할 수 없으며, 사용자 자신의 개성적인 향 및 소리를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1 :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6-0066490호("향 발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2006. 6. 16 공개) 선행기술2: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0222호("정보단말기용 향기 발생장치", 2005. 3. 29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바일 단말기 또는 다른 소리/향 발생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에 따라 소리 출력 및 향 발산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소리/향 발생장치,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및 소리/향 발생장치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또는 상대방 통신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상기 상대방 통신모듈로부터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무선통신모듈로부터 상기 소리ID정보 및 상기 향ID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소리ID정보에 대응되는 소리발생신호 및 상기 입력받은 향ID정보에 대응되는 향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소리발생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소리발생신호에 대응되는 소리를 외부로 출력하는 소리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향발생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향발생신호에 대응되는 향을 외부로 발산하는 향발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향발생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기초향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초향발생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향발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초향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초향발생신호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초향 각각의 발산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는, 상기 향발산부가 상기 소리출력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소리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향발산부에서 발산되는 향이 상기 향발산부의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리발생신호는, 소리샘플 선택신호, 비트 선택신호, 코러스 선택신호 및 효과음 선택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소리출력부는,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리샘플, 비트, 코러스 및 효과음 중에서 상기 소리발생신호에 포함된 소리샘플 선택신호, 비트 선택신호, 코러스 선택신호 및 효과음 선택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소리를 조합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는 스트레스 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대비 소리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대비 향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레스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스트레스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스트레스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대비 소리정보에 대응되는 소리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소리출력부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대비 향정보에 대응되는 향발생신호를 생성하여 향발산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메모리부 및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입력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사용자입력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ID정보 및/또는 향ID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출력하거나,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저장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ID정보 및/또는 향ID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소리ID 정보 및 상기 향ID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모듈에서 소리/향 발생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저장데이터는, 온라인쿠폰, 문자메시지, 이메일 및 사진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저장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저장데이터에 포함된 텍스트, 바코드 및 QR코드 중 어느 하나로부터 소리ID정보 및/또는 향ID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재생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재생 명령을 입력받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ID정보 또는 상기 재생 명령을 입력받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향ID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ID정보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향ID정보를 입력받아 제어부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ID정보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향ID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결합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재생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재생 명령을 입력받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ID정보 또는 상기 재생 명령을 입력받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향ID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소리ID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향ID정보를 수신하는 제1 통신모듈, 상대방 통신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상대방 통신모듈로부터 상대방의 소리ID정보 및 상기 상대방의 향ID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소리ID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향ID정보를 상기 상대방 통신모듈로 송신하는 제2 통신모듈, 상기 제2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상대방의 소리ID 정보 및 상기 상대방의 향ID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상대방의 소리ID정보에 대응되는 소리발생신호 및 상기 상대방의 향ID정보에 대응되는 향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소리발생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소리발생신호에 대응되는 소리를 외부로 출력하는 소리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향발생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향발생신호에 대응되는 향을 외부로 발산하는 향발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통신모듈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2 통신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상기 상대방 통신모듈로 송신하고, 상기 상대방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적외선 통신모듈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상기 제1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를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소리샘플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의 소리ID정보에 대응되는 소리샘플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상대방의 소리ID정보에 대응되는 소리발생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대방 통신모듈은, 미술품, 전시품, 공연 설치물 및 광고물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인터페이스부, 디스플레이부, 제어부, 메모리부 및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로부터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입력받은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접촉상대방 표시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접촉상대방 표시명령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대방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메모리부 및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진 촬영 명령 또는 동영상 촬영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진 촬영 명령 또는 상기 동영상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로 상대방 정보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통신모듈에서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로부터 상기 상대방의 소리ID정보 및 상기 상대방의 향ID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진 촬영 명령에 따른 사진 데이터 또는 상기 동영상 촬영 명령에 따른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상대방의 소리ID정보 및 상기 상대방의 향ID정보와 결합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사진 데이터 또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재생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재생 명령에 대응되는 사진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에 결합된 상기 상대방의 소리ID정보 및 상기 상대방의 향ID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및 소리/향 발생장치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제1 사용자의 소리ID정보, 상기 제1 사용자의 향ID정보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제1 사용자의 소리/향 발생장치로 송신하는 제1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상기 제1 사용자의 소리ID정보, 상기 제1 사용자의 향ID정보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적외선통신모듈을 통해 제2 사용자의 소리/향 발생장치로 송신하는 제1 사용자의 소리/향 발생장치, 상기 제1 사용자의 소리ID정보, 상기 제1 사용자의 향ID정보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소리ID정보에 대응되는 소리를 외부로 출력하며, 상기 제1 사용자의 향ID정보에 대응되는 향을 외부로 발산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제2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사용자의 소리/향 발생장치,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접촉상대방 표시명령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대방 목록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2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및 소리/향 발생장치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 또는 다른 소리/향 발생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에 따라 소리 출력 및 향 발산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및 소리/향 발생장치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은, 사용자가 자신만의 소리 및 향을 만들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 자신의 개성을 상대방에게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는, 사용자가 현재 스트레스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스트레스대비 소리정보 및 스트레스대비 향정보에 따라 소리 및 향을 발산하여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및 소리/향 발생장치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은, 소리와 향을 이용해 사용자에 대한 기억하기 좋고 감성적인 인상을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고, 상대방으로부터 전달받은 소리 및 향으로부터 상대방의 정보를 기억해내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및 소리/향 발생장치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은, 상품이나 브랜드에 감성적 이미지를 높이거나 보다 친근하고 독특한 이미지 브랜딩에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소리/향 발산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안경 형태로 구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및 소리/향 발생장치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100)는, 무선통신모듈(110), 제어부(120), 소리출력부(130) 및 향발산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100)는 스트레스 감지센서(1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일례로서, 도 1에 도시된 소리/향 발생장치(100)는 목걸이의 팬던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110)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80)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모바일 단말기(180)로부터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110)은 모바일 단말기(180)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대표적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WiFi(Wireless Fidelity)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적외선 통신모듈,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일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110)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80) 이외에도 외부의 다른 통신모듈(상대방 통신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하여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180)를 통해 자신의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를 생성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100)의 무선통신모듈(1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소리ID정보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소리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로서, 소리/향 발생장치(10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소리샘플, 비트(beat), 코러스, 효과음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소리샘플, 비트, 코러스, 효과음이 어떤 것인지 소리/향 발생장치(100)로 전달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향ID정보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향을 생성하기 위한 신호로서, 향발산부(14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초향 각각의 발산량을 조절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 신호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100)는 소리샘플, 비트, 코러스 및 효과음 이외에도 악기 종류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음악구성요소들을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음악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소리를 생성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80)를 통해 사용자의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가 생성되고 무선통신모듈(110)로 전송되는 과정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180)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메모리부 및 무선통신모듈 등의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소리/향 발생장치(100)의 제어부(120)는, 무선통신모듈(110)로부터 사용자의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소리ID정보에 대응되는 소리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소리출력부(130)로 출력할 수 있고, 입력받은 향ID정보에 대응되는 향발생신호를 생성하여 향발산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가 입력받은 소리ID정보에는 소리크기조절에 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고, 향ID정보에도 향발산량조절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소리크기조절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소리발생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향발산량조절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향발생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소리ID정보에 대한 일례로서, 소리/향 발생장치(100)에 8개의 소리샘플들 및 8종류의 비트, 코러스, 효과음들이 저장되어 있고 소리ID정보는 12비트 신호인 경우, 무선통신모듈(110)로부터 입력받은 소리ID정보가 상기 8개의 소리샘플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고 8종류의 비트, 코러스, 효과음들 중 어느 하나의 비트, 코러스, 효과음에 각각 대응되면, 제어부(120)는 소리ID정보에 의해 선택된 소리샘플, 비트, 코러스 및 효과음에 대응되는 소리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소리출력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받은 소리ID정보가 “010011001100”인 경우, 최상위 비트부터 순서대로, 소리샘플에 대응되는 신호는 “010”이고 비트에 대응되는 신호는 “011”이며 코러스에 대응되는 신호는 “001”이고 효과음에 대응되는 신호는 “10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입력받은 소리ID정보에 의해 선택된 소리샘플, 비트, 코러스 및 효과음이, 소리/향 발생장치(100)에 저장된 8개의 소리샘플들 및 8종류의 비트, 코러스, 효과음들 중에서, 두 번째 소리샘플, 세 번째 비트, 첫 번째 코러스 및 네 번째 효과음인 것으로 해석하고, 상기 소리ID정보에 대응되는 소리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소리출력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소리발생신호는 선택된 소리샘플, 선택된 비트, 선택된 코러스 및 선택된 효과음에 각각 대응되는 소리샘플 선택신호, 비트 선택신호, 코러스 선택신호 및 효과음 선택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소리출력부(130)는 입력받은 소리발생신호에 대응되는 소리샘플, 비트, 코러스 및 효과음에 따라 소리를 조합, 생성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소리/향 발생장치(100)에 저장된 소리샘플, 비트, 코러스 및 효과음 등을 조합하여 자신이 원하는 소리를 다양하게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100)에 저장되는 소리샘플, 비트, 코러스, 효과음 등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80)를 통해 추가, 변경 또는 삭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향발산부(14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초향 각각의 발산량을 조절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향ID정보를 분석한 후, 상기 향ID정보에 대응되는 향발생신호를 생성하여 향발산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향발생신호에 대해서는 향발산부(140)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2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은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리출력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 소리발생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소리발생신호에 대응되는 소리를 생성하여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점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 소리출력부(130)는 입력받은 소리발생신호에 포함된 소리크기조절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소리출력부(130)는 "SOMO-14D"와 같은 소리생성모듈 및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향발산부(140)는, 제어부(120)로부터 향발생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향발생신호에 대응되는 향을 외부로 발산(점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 향발산부(140)는 입력받은 향발생신호에 포함된 향발산량조절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향의 절대적인 발산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향발산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기초향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초향을 조합하여 발산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향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와 대응되도록, 제어부(120)로부터 입력받은 향발생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기초향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초향발생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발산부(140)는, 4개의 기초향을 구비할 수 있고, 제어부(120)로부터 입력받은 향발생신호는 4개의 기초향 각각에 대응되는 4개의 기초향발생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4개의 기초향을 A, B, C, D 라 하고 향발생신호를 8비트 신호라고 가정하면, 각각의 기초향발생신호는 2비트 신호이고, 기초향발생신호에 따라 각각의 기초향의 발산량을 0단계(발산 안 함), 1단계(소량), 2단계(중량), 3단계(다량)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로부터 입력받은 향발생신호가 "01100011"이라고 하면, 상위 비트부터 차례대로, 기초향 A에 대응되는 기초향발생신호는 "00", 기초향 B에 대응되는 기초향발생신호는 "01", 기초향 C에 대응되는 기초향발생신호는 "10", 기초향 D에 대응되는 기초향발생신호는 "11"에 해당된다. 따라서, 이 경우 향발산부(140)는, 기초향 A를 1단계(소량)만큼 발산하고, 기초향 B를 2단계(중량)만큼 발산하며, 기초향 C를 발산하지 않고, 기초향 D를 3단계(다량)만큼 발산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기초향을 조합하여 자신이 원하는 향을 만들 수 있고 이렇게 만들어낸 자신의 향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80)를 통해 향ID정보로 생성하여 소리/향 발생장치(100)로 전송하면, 향발산부(140)는 향발생신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초향발생신호에 따라 각 기초향의 발산량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만들어낸 자신의 향을 생성한 후 외부로 발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리출력부(130)는 외부에 소리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버튼을 더 포함할 수도 있고, 향발산부(140)도 외부에 향발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소리/향 발생장치(100) 및 모바일 단말기(180)를 구비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180)를 통한 소리/향 발생장치(100)의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180)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소리와 향을 결정하고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를 생성하여 소리/향 발생장치(100)로 출력할 수 있고, 소리/향 발생장치(1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소리와 향을 출력 또는 발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180)를 이용하여 소리/향 발생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크기 및 발산되는 향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런 의미에서 소리/향 발생장치(100) 및 모바일 단말기(180)는 사용자의 소리/향 발생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로 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100)는 모바일 단말기(180)로부터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 중 어느 하나만을 전송받을 수도 있고, 이 경우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100)는 전송받은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거나 향을 발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100)는 스트레스 감지센서(1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스트레스 감지센서(150)는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한 후 측정된 스트레스 지수를 제어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스트레스 감지센서(150)는 혈압 측정용 압력센서 및 온도센서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혈압, 맥박 및 체온 등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트레스 감지센서(150)는, 측정된 혈압, 맥박 및 체온 등을 하나의 수식으로 계산하여 스트레스 지수를 얻을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스트레스 상태일 때 소리/향 발생장치(100)에서 발산될 소리 및 향을 설정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180)를 통해 사용자의 스트레스대비 소리정보 및 스트레스대비 향정보를 생성하여 무선통신모듈(11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110)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8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스트레스대비 소리정보 및 스트레스대비 향정보를 제어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스트레스 감지센서(150)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스트레스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에는 사용자가 스트레스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스트레스 지수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20)가 측정된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와 기준스트레스 지수를 비교하여 판단한 결과 사용자가 현재 스트레스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스트레스대비 소리정보에 대응되는 소리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소리출력부(130)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대비 향정보에 대응되는 향발생신호를 생성하여 향발산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소리출력부(130)는 입력받은 소리발생신호에 대응되는 소리를 생성하여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점선으로 표시)할 수 있고, 향발산부(140)는 입력받은 향발생신호에 대응되는 향을 외부로 발산(점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100)는, 사용자가 현재 스트레스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모바일 단말기(18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스트레스대비 소리정보 및 스트레스대비 향정보에 따라 소리 및 향을 발산하여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100)에 구비되는 스트레스 감지센서(150)는, 소리/향 발생장치(100)에 포함되는 구성이 아니라 별도의 스트레스 감지모듈(미도시)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스트레스 감지모듈(미도시)은 스트레스 감지센서(150) 및 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트레스 감지센서(15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혈압, 맥박 및 체온 등에 따라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여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18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80)는 전송받은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를 기저장된 기준스트레스 지수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현재 스트레스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가 현재 스트레스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스트레스대비 소리정보 및 스트레스대비 향정보를 소리/향 발생장치(100)의 무선통신모듈(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리/향 발생장치(100)는 사용자의 스트레스대비 소리정보에 대응되는 소리를 소리출력부(130)에서 출력하고, 사용자의 스트레스대비 향정보에 대응되는 향을 향발산부(140)에서 발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100)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8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의 소리ID정보 및 사용자의 향ID정보에 따라, 일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소리 및 향을 외부로 발산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소리/향 발산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소리/향 발산모듈(20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출력부(230) 및 향발산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산모듈(20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외부를 감싸는 하우징을 생략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산모듈(200)은 외부를 감싸는 하우징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산모듈(200)에 구비되는 향발산부(240)는 소리출력부(23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소리출력부(230)는, 외측에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고 내부에는 "SOMO-14D"와 같은 소리생성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소리출력부(230)에서 짙게 도시된 부분이 스피커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리출력부(130)는 입력받은 소리발생신호에 대응되는 소리를 생성하여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향발산부(2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기초향(241), 가열회로부(242) 및 가열판(243)을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초향(241)은 고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0℃~50℃의 범위에서 융해(melting)되어 향을 발산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향(241)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가열회로부(242)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가열회로부(242)는 전류가 흐르면 열이 발생되는 저항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고, 저항부(미도시)에서 발생된 열은 가열판(243)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초향(241)으로 전달될 수 있다.
향발산부(240)는 제어부(120)로부터 향발생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향발생신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초향 각각의 발산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가열회로부(242) 각각에 흐르는 전류량을 각기 다르게 제어하거나, 가열회로부(242) 각각의 가열 시간을 각기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로부터 입력받은 향발생신호에 대응되는 향이 향발산부(240)로부터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한편, 향발산부(240)에서 발산되는 향은 소리출력부(230)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산모듈(200)은 외부를 감싸는 하우징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의 기초향을 발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향발산구멍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소리/향 발산모듈(200)은, 소리출력부(230)에서 출력되는 소리에 따라 발생되는 공기의 진동에 의해 향발산부(240)에서 발산되는 향을 상기 향발산구멍을 통해 소리/향 발산모듈(200)의 외부로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산모듈(200)은 향을 외부로 발산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소리출력부(230) 및 향발산부(240)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출력부(230) 및 향발산부(240)는 이로부터 다양하게 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일례로서, 향발산부(240)가 소리출력부(230)의 하단에 배치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원뿔형 이외에도 직육면체 모양의 블록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메모리부 및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180)에서 수행될 수 있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모바일 단말기(180)에 설치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먼저, 모바일 단말기(180)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소리ID정보 및 사용자의 향ID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입력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부로 출력하는 단계(S3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사용자에게 소리/향 발생장치(10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소리샘플들, 비트들, 코러스들 및 효과음들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소리샘플, 비트, 코러스 및 효과음을 선택받음으로써 사용자의 소리ID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80)는, 적어도 하나의 기초향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각각의 기초향들의 발산량을 입력받음으로써 사용자의 향ID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소리 및 향을 결정하여 이에 대응되는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입력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제어부에서 사용자입력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ID정보 및/또는 향ID정보를 추출하여 무선통신모듈로 출력하거나, 메모리부에 저장된 저장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ID정보 및/또는 향ID정보를 추출하여 무선통신모듈로 출력하는 단계(S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메모리부에 저장된 저장데이터는, 온라인쿠폰, 문자메시지, 이메일 및 사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에서, 메모리부에 저장된 저장데이터는 온라인쿠폰, 문자메시지, 이메일 및 사진 이외에도 모바일 단말기가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메모리부에 저장한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일 수 있다.
제어부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저장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저장데이터에 포함된 텍스트, 바코드 및 QR코드 중 어느 하나로부터 소리ID정보 및/또는 향ID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모바일 단말기(180)로 수신되는 온라인 쿠폰, 문자메시지(SMS, MMS), 이메일 등을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가 온라인 쿠폰, 문자메시지, 이메일 등을 선택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될 때, 선택된 온라인 쿠폰, 문자메시지, 이메일 등에 포함된 소리ID정보 또는 향ID정보를 제어부에서 추출하여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받은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에 대응되는 소리 또는 향을 외부로 발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피전문점이 새로운 메뉴를 개발한 경우 고객들의 모바일 단말기(180)로 신메뉴 홍보 문자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데, 이때 신메뉴 홍보 문자메시지에 신메뉴의 향ID정보를 첨부할 수 있다. 신메뉴의 향ID정보는 문자메시지 내에 텍스트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고, 바코드나 QR코드와 같은 형태로 문자메시지에 첨부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기(180)의 제어부는 수신한 문자메시지에서 향ID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향ID정보를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소리/향 발생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은 자신의 소리/향 발생장치(100)를 통해 신메뉴의 향(냄새)을 맡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광고포스터나 영화포스터 등에 표시된 바코드나 QR코드에 소리ID정보 또는 향ID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기(180)의 사진 촬영 기능을 통해 사진을 촬영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사진에 포함된 바코드나 QR코드를 인식한 후, 모바일 단말기(180)의 제어부에서 바코드나 QR코드로부터 소리ID정보 또는 향ID정보를 추출하여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받은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에 대응되는 소리 또는 향을 외부로 발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소리ID 정보 및/또는 향ID정보를 무선통신모듈에서 소리/향 발생장치(100)로 송신하는 단계(S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80)로부터 전송받은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에 대응되는 소리 및 향을 외부로 발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80)에 직접 저장한 소리샘플, 비트, 코러스, 효과음 또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8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전송받은 소리샘플, 비트, 코러스, 효과음 등을 모바일 단말기(180)의 무선통신모듈(110)을 통해 소리/향 발생장치(10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100)에 저장되는 소리샘플, 비트, 코러스, 효과음 등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80)를 통해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도 있다. 그 후,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180)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새로 추가된 소리샘플, 비트, 코러스, 효과음 등을 선택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소리를 생성하여 소리/향 발생장치(100)에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소리/향 발생장치(100)에 저장된 소리샘플들, 비트, 코러스, 효과음 이외에도 다른 소리샘플들, 비트, 코러스, 효과음 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소리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메모리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ID정보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향ID정보를 입력받아 제어부로 출력하는 단계(S3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기(180)의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로부터 메모리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고, 이와 함께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ID정보 또는 향ID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80)에 저장될 수 있는 사진, 음악,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80)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이나 동영상 등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인터페이스부는 소리ID정보 또는 향ID정보와 함께 시간정보도 함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시간정보는, 음악이나 동영상의 재생 구간 중에서 어느 구간에서 소리 또는 향을 출력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제어부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ID정보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향ID정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결합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S3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메모리부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할 때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ID정보 또는 향ID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S36). 인터페이스부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음악 또는 동영상인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시간정보도 함께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메모리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재생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S37)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80)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목록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재생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모바일 단말기(180)에서 실행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재생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상기 재생 명령을 입력받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ID정보 또는 향ID정보를 메모리부에서 추출하여 무선통신모듈로 출력하는 단계(S38)를 포함할 수 있다.
재생 명령을 입력받은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음악이나 동영상인 경우에는, 제어부는, 재생 명령을 입력받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간정보도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할 수 있고, 상기 시간정보에 따라 상기 재생 명령을 입력받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ID정보 또는 향ID정보를 무선통신모듈로 출력하는 시점을 결정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무선통신모듈에서 상기 재생 명령을 입력받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ID정보 또는 향ID정보를 소리/향 발생장치(100)로 송신하는 단계(S39)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ID정보 또는 향ID정보에 대응되는 소리 또는 향을 외부로 발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재생 명령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재생됨과 동시에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 및 향이 소리/향 발생장치(100)에서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80)로 사진을 보는 경우 상기 사진과 함께 저장된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가 존재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180)로 사진을 보면서 소리/향 발생장치(100)를 통해 해당 사진에 대응되는 소리 및 향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80)로 음악을 듣는 경우 상기 음악과 함께 저장된 향ID정보가 존재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180)로 음악을 들으면서 소리/향 발생장치(100)를 통해 해당 음악에 대응되는 향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음악이나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에는 실행 구간에 따라 소리 또는 향이 달라질 수 있도록, 상술한 시간정보에 따라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의 출력시점을 모바일 단말기(180)의 제어부에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80)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지만,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작자에 의해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가 결합된 상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400)는, 제1 통신모듈(410), 제어부(420), 소리출력부(430), 향발산부(440), 제2 통신모듈(450) 및 메모리부(46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4에 도시된 소리/향 발생장치(400)는 안경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통신모듈(410)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480)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모바일 단말기(480)로부터 사용자의 소리ID정보 및 사용자의 향ID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420)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통신모듈(410)은 모바일 단말기(480)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대표적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WiFi 모듈, 지그비 모듈,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일 수 있다. 제1 통신모듈(410)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480) 이외에도 외부의 다른 통신모듈(상대방 통신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하여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2 통신모듈(450)은, 상대방 통신모듈(490)과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대방 통신모듈(490)로부터 상대방의 소리ID정보 및 상대방의 향ID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420)로 출력하거나, 제어부(420)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소리ID정보 및 사용자의 향ID정보를 상대방 통신모듈(490)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통신모듈(450)은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적외선 통신규격을 따르는 적외선 통신모듈일 수 있고, 적외선을 송수신하는 적외선 송수신기(Transceiver) 및 적외선 송수신기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적외선 인코더/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통신모듈(450)은, 상대방 통신모듈(490)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블루투스 모듈, WiFi 모듈, 지그비 모듈 또는 NFC 모듈일 수 있다.
제어부(420)는, 제2 통신모듈(450)로부터 상대방의 소리ID 정보 및 상대방의 향ID정보를 입력받고, 상대방의 소리ID정보에 대응되는 소리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소리출력부(430)로 출력하고, 상대방의 향ID정보에 대응되는 향발생신호를 생성하여 향발산부(44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2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은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리출력부(430)는, 제어부(420)로부터 입력받은 소리발생신호에 대응되는 소리를 외부로 출력하고, 향발산부(440)는,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향발생신호에 대응되는 향을 외부로 발산할 수 있다. 소리출력부(430) 및 향발산부(440)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추가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메모리부(460)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소리샘플, 비트, 코러스, 효과음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개인정보에는 사용자의 이름, 전화번호, 기타 연락처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부(460)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리샘플, 비트, 코러스, 효과음 등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80)를 통해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420)는, 상대방의 소리ID정보에 대응되는 소리샘플, 비트, 코러스 및 효과음 등을 메모리부(460)에서 추출하여 상대방의 소리ID정보에 대응되는 소리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소리출력부(43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460)는 EEPRO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400)는 상대방 통신모듈(490)과 통신이 가능한 제2 통신모듈(450)을 구비하기 때문에, 제2 통신모듈(450)을 통해 수신한 상대방의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에 따라 소리출력부(430) 및 향발산부(440)에서 상대방의 개성적인 소리 및 향을 발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400)는, 사용자와 상대방이 직접 대면하여 커뮤니케이션을 할 때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통신모듈(410)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480)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고, 제2 통신모듈(450)은 모바일 단말기(48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개인정보 또는 메모리부(460)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상대방 통신모듈(49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상대방 통신모듈(490)로부터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420)로 출력할 수 있다. 상대방의 개인정보에는 상대방의 이름, 전화번호, 기타 연락처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420)는 제2 통신모듈(450)로부터 입력받은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제1 통신모듈(410)을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48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400)를 이용하여, 상대방 통신모듈(490)과 무선(특히, 적외선)으로 통신함으로써, 상대방의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 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개인정보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상대방의 개인정보는 모바일 단말기(480)에서 관리할 수 있다. 상대방 통신모듈(490)은 상대방이 구비한 상대방의 소리/향 발생장치(미도시)에 구비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대방의 모바일 단말기(미도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사용자와 상대방은 각자의 모바일 단말기 및 소리/향 발생장치를 통해 서로의 소리ID정보, 향ID정보 및 개인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400)는 모바일 단말기(480) 또는 상대방 통신모듈(490)로부터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 중 어느 하나만을 전송받을 수도 있고, 이 경우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400)는 전송받은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거나 향을 발산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상대방 통신모듈(490)은, 자연인인 상대방의 모바일 단말기(미도시) 또는 소리/향 발생장치(미도시)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미술품, 전시품, 공연 설치물 및 광고물 등 제3의 사물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대방 통신모듈(490)은 부착된 사물의 소리ID정보, 향ID정보 및 상세정보를 무선 통신 또는 적외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소리/향 발생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소리/향 발생장치(400)는 전송받은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에 따라 소리 및 향을 발산할 수 있으며, 전송받은 상세정보는 제1 통신모듈(410)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480)로 전송하여 모바일 단말기(48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400) 및 모바일 단말기(480)를 구비한 채로 미술관에서 그림을 감상할 때 해당 작품에 적외선 통신이 가능한 상대방 통신모듈(490)이 부착되어 있으면, 사용자의 소리/향 발생장치(400)는 상대방 통신모듈(490)로부터 해당 작품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작품에 대응되는 소리 및 향을 발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미술관에서 그림을 감상할 때 작가가 의도한 소리나 향을 느끼면서 그림을 감상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소리/향 발생장치(400)는 작품에 부착된 상대방 통신모듈(490)로부터 작품의 상세정보도 전송받을 수 있고, 전송받은 작품의 상세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48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480)를 통해서 감상 중인 미술작품의 상세정보(예: 작가명, 창작연도, 배경지식 등)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한, 연극, 영화 또는 음악 공연 등에서도 관람자들에게 무선 통신 또는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여 관련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관람자들은 자신의 소리/향 발생장치를 통해서 연극, 영화 또는 음악 공연과 관련된 소리 및 향을 느낄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소리/향 발생장치(400)가 안경 형태로 구현되고 안경의 렌즈들 사이의 중앙부분에 제2 통신모듈(450)이 배치되며 제2 통신모듈(450)이 적외선 통신모듈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소리/향 발생장치(100)를 착용한 채로 상대방 통신모듈(490)을 바라보는 행위를 통해 상대방 통신모듈(490)로부터 소리ID정보, 향ID정보 및 개인정보(또는 상세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즉, 적외선이 전송되는 시야각이 좁다는 적외선 통신의 특성으로 인해, 안경 형태의 소리/향 발생장치(400)를 착용한 사용자가 바라보는 곳에 위치한 상대방 통신모듈(490)과 사용자의 소리/향 발생장치(400)의 제2 통신모듈(450)이 서로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안경 형태로 구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500)는 안경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체부(520), 소리/향 발산모듈(530) 및 제2 통신모듈(550)을 구비할 수 있다.
본체부(520)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1 통신모듈(410), 제어부(420) 및 메모리부(46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520)에는 소리/향 발생장치(50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소리/향 발산모듈(530)은 소리출력부(430) 및 향발산부(44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산모듈(200)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리/향 발산모듈(530)은 소리/향 발생장치(500)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2 통신모듈(5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의 렌즈들 사이의 중앙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무선 통신모듈 중에서 적외선 통신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소리/향 발생장치(500)를 착용한 채로 상대방 통신모듈(490)을 바라보는 행위를 통해 상대방 통신모듈(490)과 적외선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는, 도 5에 도시된 안경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는, 팔찌, 헤드폰, 헤어밴드, 브로치, 담뱃갑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는, 작은 크기의 모듈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모듈 형태로 제작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는 기존의 다양한 악세서리, 예를 들면 머리핀, 넥타이, 펜던트, 팔찌, 안경 등에 삽입되거나 부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인터페이스부, 디스플레이부, 제어부, 메모리부 및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480)에서 수행될 수 있고,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400)를 제어하는 방법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모바일 단말기(480)에 설치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먼저,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소리/향 발생장치(400)로부터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단계(S6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400)는 상대방 통신모듈(490)로부터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48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제어부에서 입력받은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S62)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는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63).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모바일 단말기(480)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접촉상대방 표시명령을 입력받는 단계(S6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촉상대방 표시명령은, 모바일 단말기(48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명령아이콘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접촉상대방 표시명령에 따라 제어부에서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대방 목록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S6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입력받은 상대방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S66).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대방 목록에는 그동안 사용자가 접촉했던 사람들이 포함될 수 있고, 각 상대방의 이름, 전화번호, 기타 연락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접촉상대방 표시명령에 따라 그동안 자신이 만났던 사람들의 목록 및 개인정보를 모바일 단말기(48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메모리부 및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480)에서 수행될 수 있고,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400)를 제어하는 방법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모바일 단말기(480)에 설치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먼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진 촬영 명령 또는 동영상 촬영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S7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진 촬영 명령 또는 동영상 촬영 명령은, 모바일 단말기(48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명령아이콘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모바일 단말기(480)에서 실행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사용자로부터 사진 촬영 명령 또는 동영상 촬영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사진 촬영 명령 또는 동영상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에서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소리/향 발생장치(400)로 상대방 정보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72, S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대방 정보요청 신호를 전송받은 소리/향 발생장치(400)는, 제2 통신모듈(450)을 통해 상대방 통신모듈(490)로부터 상대방의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상대방의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를 제1 통신모듈(410)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48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400)는 상대방 통신모듈(490)로부터 상대방의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 중 어느 하나만을 전송받을 수도 있고, 전송받은 상대방의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 중 어느 하나만을 제1 통신모듈(410)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48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무선통신모듈에서 소리/향 발생장치(400)로부터 상대방의 소리ID정보 및 상대방의 향ID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7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사진 촬영 명령에 따른 사진 데이터 또는 동영상 촬영 명령에 따른 동영상 데이터를 소리/향 발생장치(400)로부터 수신된 상대방의 소리ID정보 및 상대방의 향ID정보와 결합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S75, S7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진 촬영 명령 또는 동영상 촬영 명령에 따라 촬영된 사진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할 때, 촬영하는 동안 소리/향 발생장치(400)를 거쳐 모바일 단말기(480)로 수신된 상대방의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를 함께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된 상대방의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를 사진 데이터나 동영상 데이터와 함께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동영상 데이터의 경우에는, 동영상의 촬영이 이루어진 시간정보도 함께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메모리부에 저장된 사진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재생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S7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진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 재생 명령은 모바일 단말기(48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명령아이콘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모바일 단말기(480)에서 실행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사용자로부터 사진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 재생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제어부에서 상기 재생 명령에 대응되는 사진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에 결합된 상대방의 소리ID정보 및 상대방의 향ID정보를 메모리부에서 추출하여 무선통신모듈로 출력하는 단계(S78)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재생 명령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동영상 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간정보도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할 수 있고, 상기 시간정보에 따라 재생 명령에 대응되는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를 무선통신모듈로 출력하는 시점을 결정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무선통신모듈에서 상대방의 소리ID정보 및 상대방의 향ID정보를 소리/향 발생장치(400)로 송신하는 단계(S79)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400)는, 도 4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받은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에 대응되는 소리 또는 향을 외부로 발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모바일 단말기(480)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때 촬영 대상이 되는 상대방의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를 사진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와 함께 메모리부에 저장한 후, 사용자로부터 재생 명령을 입력받으면 재생 명령에 대응되는 사진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함과 동시에, 재생되는 사진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 및 향이 소리/향 발생장치(400)에서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480)로 사진을 보는 경우 상기 사진과 함께 저장되었던 상대방의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가 존재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180)로 사진을 보면서 소리/향 발생장치(100)를 통해 해당 사진에 대응되는 상대방의 소리 및 향을 느낄 수 있게 된다. 한편, 동영상 데이터인 경우에는 상술한 시간정보에 따라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의 출력시점을 제어부에서 결정할 수 있으므로, 동영상의 재생 구간에 따라 소리/향 발생장치(400)에서 발산되는 소리 또는 향이 달라질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및 소리/향 발생장치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및 소리/향 발생장치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800)은 제1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820), 제1 사용자의 소리/향 발생장치(830), 제2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860) 및 제2 사용자의 소리/향 발생장치(8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820)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1 사용자(810)부터 입력받은 제1 사용자(810)의 소리ID정보, 향ID정보 및 개인정보를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제1 사용자의 소리/향 발생장치(820)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사용자의 소리/향 발생장치(830)는, 제1 사용자(810)의 소리ID정보, 향ID정보 및 개인정보를 적외선통신모듈을 통해 제2 사용자의 소리/향 발생장치(870)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사용자의 소리/향 발생장치(870)는 제1 사용자(810)의 소리ID정보, 향ID정보 및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제1 사용자(810)의 소리ID정보에 대응되는 소리를 외부로 출력하며, 제1 사용자(810)의 향ID정보에 대응되는 향을 외부로 발산하고, 제1 사용자(810)의 개인정보는 제2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86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860)는, 제1 사용자(810)의 개인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제2 사용자(850)의 접촉상대방 표시명령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대방 목록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및 소리/향 발생장치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800)은, 제1 사용자(810)와 제2 사용자(850)가 서로 직접 대면한 상황에서, 각자의 소리/향 발생장치(830, 870)에 구비된 적외선 통신모듈을 이용해 서로 각자의 소리ID정보, 향ID정보 및 개인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사용자(810)는 자신의 소리/향 발생장치(830)를 통해 제2 사용자(850)의 소리 및 향을 느낄 수 있고, 제2 사용자(850)는 자신의 소리/향 발생장치(870)를 통해 제1 사용자(810)의 소리 및 향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사용자(810)의 개인정보가 제2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860)에 저장되고, 제2 사용자(850)의 개인정보가 제1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81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의 소리/향 발생장치(830) 및 제2 사용자의 소리/향 발생장치(870)는 안경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안경의 렌즈들 사이의 중앙부분에 적외선 통신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810) 및 제2 사용자(850)는 각자의 소리/향 발생장치(830, 870)를 착용한 채로 상대방의 소리/향 발생장치(830, 870)를 바라보는 행위를 통해 상대방과 소리ID정보, 향ID정보 및 개인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및 소리/향 발생장치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소리/향 발생장치 및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400, 500: 소리/향 발생장치 110: 무선통신모듈
120, 420: 제어부 130, 230, 430: 소리출력부
140, 240, 440: 향발산부 150: 스트레스 감지센서
180, 480: 모바일 단말기 200, 530: 소리/향 발산모듈
241: 기초향 242: 가열회로부
243: 가열판 410: 제1 통신모듈
450, 550: 제2 통신모듈 490: 상대방 통신모듈
520: 본체부 810: 제1 사용자
820: 제1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830: 제1 사용자의 소리/향 발생장치
850: 제2 사용자 860: 제2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870: 제2 사용자의 소리/향 발생장치

Claims (17)

  1.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또는 상대방 통신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상기 상대방 통신모듈로부터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무선통신모듈로부터 상기 소리ID정보 및 상기 향ID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소리ID정보에 대응되는 소리발생신호 및 상기 입력받은 향ID정보에 대응되는 향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소리발생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소리발생신호에 대응되는 소리를 외부로 출력하는 소리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향발생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향발생신호에 대응되는 향을 외부로 발산하는 향발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향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발생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기초향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초향발생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향발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초향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초향발생신호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초향 각각의 발산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향 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는,
    상기 향발산부가 상기 소리출력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소리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에 따라 발생되는 공기의 진동에 의해 상기 향발산부에서 발산되는 향이 상기 향발산부의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향 발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발생신호는,
    소리샘플 선택신호, 비트 선택신호, 코러스 선택신호 및 효과음 선택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소리출력부는,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리샘플, 비트, 코러스 및 효과음 중에서 상기 소리발생신호에 포함된 소리샘플 선택신호, 비트 선택신호, 코러스 선택신호 및 효과음 선택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소리를 조합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향 발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는 스트레스 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대비 소리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대비 향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레스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스트레스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스트레스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대비 소리정보에 대응되는 소리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소리출력부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대비 향정보에 대응되는 향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향발산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향 발생장치.
  6.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메모리부 및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입력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사용자입력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ID정보 및/또는 향ID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출력하거나,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저장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ID정보 및/또는 향ID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소리ID 정보 및/또는 상기 향ID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모듈에서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저장데이터는,
    온라인쿠폰, 문자메시지, 이메일 및 사진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저장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저장데이터에 포함된 텍스트, 바코드 및 QR코드 중 어느 하나로부터 소리ID정보 및/또는 향ID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재생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재생 명령을 입력받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ID정보 또는 상기 재생 명령을 입력받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향ID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ID정보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향ID정보를 입력받아 제어부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ID정보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향ID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결합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재생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재생 명령을 입력받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리ID정보 또는 상기 재생 명령을 입력받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향ID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
  10.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소리ID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향ID정보를 수신하는 제1 통신모듈;
    상대방 통신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상대방 통신모듈로부터 상대방의 소리ID정보 및 상기 상대방의 향ID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소리ID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향ID정보를 상기 상대방 통신모듈로 송신하는 제2 통신모듈;
    상기 제2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상대방의 소리ID 정보 및 상기 상대방의 향ID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상대방의 소리ID정보에 대응되는 소리발생신호 및 상기 상대방의 향ID정보에 대응되는 향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소리발생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소리발생신호에 대응되는 소리를 외부로 출력하는 소리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향발생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향발생신호에 대응되는 향을 외부로 발산하는 향발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향 발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모듈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2 통신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상기 상대방 통신모듈로 송신하고, 상기 상대방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적외선 통신모듈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상기 제1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향 발생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 소리ID정보 및 향ID정보를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소리샘플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의 소리ID정보에 대응되는 소리샘플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상대방의 소리ID정보에 대응되는 소리발생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향 발생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통신모듈은,
    미술품, 전시품, 공연 설치물 및 광고물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향 발생장치.
  14. 인터페이스부, 디스플레이부, 제어부, 메모리부 및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로부터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입력받은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접촉상대방 표시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접촉상대방 표시명령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대방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
  15.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메모리부 및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진 촬영 명령 또는 동영상 촬영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진 촬영 명령 또는 상기 동영상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로 상대방 정보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통신모듈에서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로부터 상기 상대방의 소리ID정보 및 상기 상대방의 향ID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진 촬영 명령에 따른 사진 데이터 또는 상기 동영상 촬영 명령에 따른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상대방의 소리ID정보 및 상기 상대방의 향ID정보와 결합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사진 데이터 또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재생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재생 명령에 대응되는 사진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에 결합된 상기 상대방의 소리ID정보 및 상기 상대방의 향ID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소리/향 발생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
  16. 제6항 내지 제9항, 및 제14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7.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제1 사용자의 소리ID정보, 상기 제1 사용자의 향ID정보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제1 사용자의 소리/향 발생장치로 송신하는 제1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상기 제1 사용자의 소리ID정보, 상기 제1 사용자의 향ID정보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적외선통신모듈을 통해 제2 사용자의 소리/향 발생장치로 송신하는 제1 사용자의 소리/향 발생장치;
    상기 제1 사용자의 소리ID정보, 상기 제1 사용자의 향ID정보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소리ID정보에 대응되는 소리를 외부로 출력하며, 상기 제1 사용자의 향ID정보에 대응되는 향을 외부로 발산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제2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사용자의 소리/향 발생장치;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접촉상대방 표시명령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대방 목록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2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소리/향 발생장치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KR1020120107216A 2012-09-26 2012-09-26 소리/향 발생장치,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및 소리/향 발생장치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KR101517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216A KR101517399B1 (ko) 2012-09-26 2012-09-26 소리/향 발생장치,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및 소리/향 발생장치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216A KR101517399B1 (ko) 2012-09-26 2012-09-26 소리/향 발생장치,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및 소리/향 발생장치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486A true KR20140040486A (ko) 2014-04-03
KR101517399B1 KR101517399B1 (ko) 2015-05-06

Family

ID=50650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216A KR101517399B1 (ko) 2012-09-26 2012-09-26 소리/향 발생장치,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및 소리/향 발생장치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3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2172B1 (en) 2014-12-08 2016-05-03 Lg Electronics Inc. Terminal device,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KR101689761B1 (ko) * 2016-03-04 2016-12-26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방향물질 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2172B1 (en) 2014-12-08 2016-05-03 Lg Electronics Inc. Terminal device,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WO2016093420A1 (en) * 2014-12-08 2016-06-16 Lg Electronics Inc. Terminal device,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KR101689761B1 (ko) * 2016-03-04 2016-12-26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방향물질 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89763B1 (ko) * 2016-03-04 2016-12-27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이동식 방향물질 배출장치
KR101720266B1 (ko) * 2016-03-04 2017-03-28 피움랩스 주식회사 방향물질 배출장치
WO2017150919A1 (ko) * 2016-03-04 2017-09-08 피움랩스 주식회사 방향물질 배출장치
WO2017150917A1 (ko) * 2016-03-04 2017-09-08 피움랩스 주식회사 방향물질 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7150920A1 (ko) * 2016-03-04 2017-09-08 피움랩스 주식회사 이동식 방향물질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7399B1 (ko)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3245B2 (ja) 観衆ベースのハプティック
JP5394532B2 (ja) ローカライズされたオーディオ・ネットワークおよび関連するディジタル・アクセサリ
WO2017001706A1 (en) Wearable devices
JP2010002941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TWI486904B (zh) 律動影像化方法、系統以及電腦可讀取記錄媒體
CN114205324B (zh) 消息显示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CN110959166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系统、显示设备和预订系统
TWI666608B (zh) Service providing system,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data construction method
EP2728838B1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message exchange via network
CN109035180A (zh) 视频播放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817929B (zh) 设备交互方法、装置、家居设备和存储介质
KR101517399B1 (ko) 소리/향 발생장치,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및 소리/향 발생장치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WO2022151663A1 (zh) 门禁机的交互方法及装置、门禁机组件、电子设备和介质
WO2022151667A1 (zh) 资源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US2022007006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KR102093610B1 (ko) 음원 콘텐츠 제공 및 관리 시스템
CN115079816A (zh) 基于音频和身体移动的主动动作
KR20150046769A (ko) 사용자 인터랙션 장치, 그 동작방법 및 사용자 인터랙션 시스템
JP2016167245A (ja) サービス提供装置
CN111198506A (zh) 家用电器输出视听信息的控制方法
CN111198505A (zh) 家用电器输出视听信息的控制方法
TWI770400B (zh) 照明系統及照明控制方法
KR102192027B1 (ko) 추론 엔진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101563582B1 (ko) 사용자 인터랙션 장치, 그 동작방법 및 사용자 인터랙션 시스템
KR102315243B1 (ko) 성인콘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